KR20130107992A - 위치 정보 발신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객체 위치 검색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정보 발신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객체 위치 검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7992A
KR20130107992A KR1020120030230A KR20120030230A KR20130107992A KR 20130107992 A KR20130107992 A KR 20130107992A KR 1020120030230 A KR1020120030230 A KR 1020120030230A KR 20120030230 A KR20120030230 A KR 20120030230A KR 20130107992 A KR20130107992 A KR 20130107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mmunication terminal
location
location information
external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0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8426B1 (ko
Inventor
이찬일
Original Assignee
이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찬일 filed Critical 이찬일
Priority to KR1020120030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8426B1/ko
Publication of KR20130107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24Acquisition or tracking or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system
    • G01S19/25Acquisition or tracking or demodulation of signals transmitted by the system involving aiding data received from a cooperating element, e.g. assisted G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42Determining posi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4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 G08B13/1427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with transmitter-receiver for distance det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위치 정보 발신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객체 위치 검색 방법은 위치 정보 발신 장치를 객체에 부착 또는 포함시키고, 인증 서버 및 연락받을 휴대폰에 등록함으로써, 그 객체의 분실 시 객체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 및/또는 등록된 휴대폰에 송신하여 분실된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게 한다. 본 발명의 위치 정보 발신 장치는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 센서; 상기 동작 감지 센서가 설정된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받아서 객체 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GPS 수신기;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GPS 수신기에서 생성된 객체 위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송수신기를 포함하여, 분실된 객체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 정보 발신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객체 위치 검색 방법{Posi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and object position search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위치 정보 발신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객체 위치 검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객체에 부착 또는 포함시키고, 인증 서버 및 연락받을 휴대폰에 등록함으로써, 그 객체의 분실 시 객체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 및/또는 등록된 휴대폰에 송신하여 분실된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게 하는 위치 정보 발신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객체 위치 검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위치를 확인하는 기술은 전철 또는 버스 교통 카드에 이용되거나 각종 게이트에 적용되는 통행 관리 시스템에 이용되어 사용자의 교통 수단 이용시 및 현관 도어 또는 주차장 게이트 진출입에 적용되어 사용자의 위치 또는 신분을 확인하여 요금을 징수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국 공개 특허 2009-43660는 아이-스마트키를 이용한 지능형 홈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공동주택의 입주자의 출입관리, 입주자에게 필요한 정보의 전달, 세대 간 기기 자동화 및 단지 내 입주자 위치 확인 등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아이-스마트키를 이용한 지능형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는 제1아이-스마트키(Tag 1)를 소지한 아버지가 아파트 공동현관 근처 앞 약 2~3m에 도착하면, 제1베이스스테이션(Base Station A)이 송신한 저주파수 대역의 신호(LF)에 포함된 웨이크 업 정보에 의해 절전모드에 있던 제1아이-스마트키(Tag 1)가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제1아이-스마트키(Tag 1)와 제1아이-스마트키 인식장치(Base Station A)가 초고주파 대역 신호를 이용한 정규의 통신을 수행하여 인증된 제1아이-스마트키(Tag 1)가 아파트에 접근하였음을 월 패드(Wall Pad)에 알린다. 월 패드로부터 이 정보를 받는 중앙서버는 아버지가 도착한 것을 제2아이-스마트키(Tag 2)의 내장 스피커와 부저 등을 통해 알려준다.
또한,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기술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자동차에 사용되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자동차에 장착된 GPS 단말기가 위치 정보를 알려주는 GPS 위성과 통신함으로써, 자동차의 위치를 알게 되고, 저장된 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목적지까지 안내한다.
이러한 GPS 기술은 자동차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외에도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GPS 기술을 이용하는 미국 공개 특허 2007/0090965는 키-포브 위치 확인 방법 및 장치( Key-fob locating method and apparatus)로, 그에 적용되는 키-포브는 차량 링크 송신기 또는 수신기, 움직임검출기, 무선네트워크 송수신기, 키-포브의 3차원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GPS 요소를 구비한다. 키-포브는 현재의 GPS 위치를 현재 통신할 수 있는 노드로 전송할 수 있다(단락 [0020] 참고). 여기서는 동작검출기를 이용하여 키-포브가 움직이는지가 판단된다. 키-포브가 움직이는 경우, 그 키-포브가 슬리핑 상태이면 그것을 깨운다. 키-포브 부근에 노드가 있으면 애드-혹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위치 정보를 교환한다 (단락 [0023] 참고).
또한 미국 특허 7479889는 위치확인 시스템(Locator system)으로, 포브는 가까운 셀룰러 타워에 동작적으로 연결되고, 셀룰러 타워는 포브의 GSM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특정 ISN(Identification System Number)을 가지는 GSM 무선 주파수로 "실종(loss)" 명령을 송출한다. 이 신호를 수신하는 포브의 GPS모듈은 포브의 위치를 판독하여 셀룰러 링크를 통해 콜 센터에 전송한다 (칼럼 3 라인 43- 칼럼 4 라인 51 참고).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위치 확인 서버와 단말기 사이의 유무선 통신에 의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으로, 단말기가 인식장치에 접근할 때 서버로 하여금 그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또는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단말기가 통신가능한 범위에 있을 때 서버가 그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단말기가 인식장치에 접근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 단말기의 위치를 알 수가 없게 되고, 또는 단말기가 움직이지 않거나 단말기가 통신가능한 범위에 있지 않을 경우에는 그 단말기의 위치를 알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단말기 자체를 분실하거나 단말기가 장착된 물건을 유실하였을 때, 그 단말기가 움직이지 않을 경우 또는 통신가능한 범위에 있지 않을 경우에는 그 단말기의 위치를 알 수 없어 분실물을 찾을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휴대폰의 경우, 분실되는 경우 통신사에 연락하여 분실된 휴대폰의 대략적인 위치를 찾아 볼 수는 있으나, 통신사에 분실신고 등의 절차를 밟아서 그 위치를 알아보게 되므로 많은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휴대폰이 아닌 경우에는 분실된 물건의 위치를 찾을 수가 없게 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기존의 분실물 및 유실물 보관 센터에서도 주인의 연락처를 알 수 없는 상태이므로 손쉽게 주인에게 찾아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 공개 특허 2009-43660, 아이-스마트키를 이용한 지능형 홈 네트워크 시스템, 주식회사 에이치앤테크 ,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2. 미국 공개 특허 2007/0090965, Key-fob locating method and apparatus, Clark E. Mc Call 3. 미국 특허 7479889, Locator system, Ronald S. Kazdin & Thomas J Fadu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 해결할 수 없었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객체에 부착 또는 포함시키고, 인증 서버 및 연락받을 휴대폰에 등록함으로써, 그 객체의 분실 시 객체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 및/또는 등록된 휴대폰에 송신하여 분실된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게 하는 위치 정보 발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 해결할 수 없었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객체에 부착 또는 포함시키고, 인증 서버 및 연락받을 휴대폰에 등록함으로써, 그 객체의 분실 시 객체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인증 서버 및/또는 등록된 휴대폰에 송신하여 분실된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게 하는 위치 정보 발신 장치를 이용한 객체 위치 검색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발명의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은 객체에 부착되거나 포함되어 제어부의 제어하에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받아서 객체 위치 신호를 외부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위치 정보 발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 센서;
상기 동작 감지 센서가 설정된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받아서 객체 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GPS 수신기;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GPS 수신기에서 생성된 객체 위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발신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로부터 확인 요청 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GPS 수신기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받아서 객체 위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GPS 수신기에서 생성된 객체 위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로부터 고주파 액세스 신호에 응답하여 통신할 수 있는 경우 근거리 고주파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객체 위치 신호를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응답하여 통신할 수 없는 경우 원거리 고주파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객체 위치 신호를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의 해결 수단은 객체에 부착되거나 포함되는 위치 정보 발신 장치를 이용하여,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받아서 객체 위치 신호를 외부 통신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객체 위치를 확인하는 객체 위치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발신 장치를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에 등록하여 사용 승인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 발신 장치는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는 경우, 상기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받아서 객체 위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객체 위치 검색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 발신 장치에 확인 요청 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위치 정보 발신 장치는 상기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받아서 객체 위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객체 위치 신호를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위치 정보 발신 장치는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고주파 액세스 신호에 응답하여 통신할 수 있는 경우 근거리 고주파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객체 위치 신호를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응답하여 통신할 수 없는 경우 원거리 고주파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객체 위치 신호를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위치 정보 발신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객체 위치 검색 방법은 위치 정보 발신 장치를 객체에 부착하거나 포함시켜 분실된 객체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위치 정보 발신 장치는 그를 부착하거나 포함한 객체가 설정된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는 경우에 활성화되어,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받아서 객체 위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게 함으로써 배터리의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위치 정보 발신 장치와 객체 위치 검색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위치 정보 발신 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객체 위치 검색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위치 정보 발신 장치와 객체 위치 검색 방법의 구성 및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위치 정보 발신 장치는 객체(목적 대상물)에 부착 또는 포함시키기 위하여 소형화되고 배터리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객체가 소정 시간 움직임이 없는 경우에만 위치 정보 발신 장치가 활성화되어 배터리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의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는 객체에 부착되거나 포함되어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위성(300)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객체 위치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 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상기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는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위치 확인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객체 위치 신호를 외부 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상기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는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200)로부터의 고주파 액세스 신호에 응답하여 통신할 수 있는 경우 근거리 고주파 무선 통신망(500)을 통하여 상기 객체 위치 신호를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200)로부터의 고주파 액세스 신호에 응답하여 통신할 수 없는 경우 원거리 고주파 무선 통신망(400)을 통하여 상기 객체 위치 신호를 외부 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근거리 고주파 무선 통신망(500)은 자동차 도어 개폐 장치 또는 자동차 원격 시동 장치에 적용되거나 교통 카드 시스템에 적용되는 근거리 고주파 (RF) 통신 방식이다. 이러한 근거리 고주파 통신 방식에 의하면, 외부 통신 단말기(200)는 근거리 고주파 통신망을 통하여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로 액세스 신호(위치 확인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액세스 신호에 응답하여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가 상기 통신 단말기(200)와 통신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는 근거리 고주파 통신망(500)을 통하여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위성(300)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객체 위치 신호로 생성하여 외부 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그러나, 상기 액세스 신호에 응답하여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가 상기 통신 단말기(200)와 통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배터리의 소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근거리 고주파 통신망(500)을 통한 외부 통신 단말기(200)와의 접속을 중단하고, CDMA, GSM, TRS와 같은 원거리 고주파 통신망(400)을 통하여 상기 객체 위치 신호로 외부 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그러나, 원거리 고주파 통신망(400)을 통하여도 접속이 원할하지 않는 경우에는 접속을 중단하고 슬립모드로 전환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원거리 고주파 무선 통신망(400)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에 적용되는 CDMA, GSM, TRS와 같은 원거리 고주파 통신 방식이다. 이러한 원거리 고주파 통신 방식에 의하면, 외부 통신 단말기(200)는 원거리 고주파 통신망을 통하여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로 액세스 신호(위치 확인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액세스 신호에 응답하여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가 상기 통신 단말기(200)와 통신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는 원거리 고주파 통신망(400)을 통하여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위성(300)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객체 위치 신호로 생성하여 외부 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그러나, 상기 액세스 신호에 응답하여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가 상기 통신 단말기(200)와 통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배터리의 소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원거리 고주파 통신망(400)을 통한 외부 통신 단말기(200)와의 접속을 중단하고 슬립모드로 전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로부터 객체 위치 신호가 통신 단말기(200)로 전송되면,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통신 단말기(200)는 객체 위치 신호를 지리 정보 시스템(GI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미도시)에 보내 근거리 위치를 파악하여, 통신 단말기(200)상에 객체 위치 앱(Application)을 통해 표시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는 통신 단말기(200)를 통해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에 고주파 명령(RF 신호)을 보내,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로 하여금 소리(sound), 불빛(light), 진동(vibration) 등의 표시정보를 출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를 부착하거나 포함한 객체의 위치를 더욱 쉽게 파악하도록 한다.
지금까지는 외부 통신 단말기(200)에서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로 위치 확인 요청 신호(액세스신호)를 보내어 그 액세스 신호에 응답하여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가 상기 통신 단말기(200)와 통신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에서 외부 통신 단말기(200)로 위치 확인 요청 신호(액세스신호)를 보내어 액세스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200)가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와 외부 통신 단말기(200) 사이의 근거리 고주파 통신 방식에 대해서는 당업자에게 명확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와 외부 통신 단말기(200) 사이의 원거리 고주파 통신 방식에 대해서는 당업자에게 명확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위치 정보 발신 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의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는 객체에 부착되거나 포함되어 객체의 위치를 전송하는 장치로서, 제어부(110);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동작) 감지 센서(130); 상기 동작 감지 센서(130)가 설정된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상기 GPS 위성(도 1의 300)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받아서 객체 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GPS 수신기(120); 및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하에 상기 GPS 수신기(120)에서 생성된 객체 위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송수신기(140)를 포함한다.
도 2에서, 상기 송수신기(140)는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142)과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145)을 구비하여 외부 통신 단말기(200)와 원거리 무선 통신 및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원거리 무선 통신과 근거리 무선 통신은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142)은 원거리 고주파 통신망(도 1의 400)을 통하여 통신 단말기(200)와 통신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15)은 근거리 고주파 통신망(도 1의 500)을 통하여 통신 단말기(200)와 통신한다.
도 2에서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는 전원장치로서 배터리를 사용하여 동작되는 것으로, 평상시에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는 슬립 모드 또는 아이들 모드로 동작하여 배터리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가 부착된 객체가 분실되어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내의 움직임 감지 센서(130)가 설정 시간 (예로써 1시간, 2시간...1일, 2일 또는 임의의 시간) 동안 동작하지 않는 경우, 분실된 것으로 판단하여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가 활성화되어 위치 신호 전송을 시도하도록 할 수 있거나 또는 등록된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위치 확인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가 활성화되어 위치 신호 전송을 시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의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는 최소의 전원을 사용하여 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을 할 수 있다.
도 2에서 움직임 감지 센서(130)는 동작 인식 센서(motion recognition kinetic sensor), 자이로센서 (gyro sensor), 동작센서 (motion sensor), 동작 검출기(motion detector)등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명백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객체에 부착되거나 포함되는 위치 정보 발신 장치를 이용하여,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받아서 객체 위치 신호를 외부 통신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객체 위치를 확인하는 객체 위치 검색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객체 위치 검색 방법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는 객체 위치를 검색하기 위하여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를 객체에 부착하거나 포함시키고, 상기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와 등록된 통신 단말기(200) 사이의 통신에 의하여 객체의 위치를 확인한다.
도 3에서, 통신 단말기(200) 및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를 인증 서버(미도시)에 인증 및 등록한다(S10). 사용자는 인증 서버에 회원등록을 하여 사용자 스마트폰과 같은 통신 단말기(200)의 사용자 인증을 받고, 사용하고자 하는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의 제품도 인증하고 등록함으로써,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를 객체에 부착한 후 등록된 통신 단말기(200)를 통하여 객체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인증 서버에 통신 단말기(200) 및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를 인증 및 등록하는 이유는 본 발명의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의 고유 번호(Identification Serial Number)를 관리할 수가 있고, 또한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와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스마트 폰과 같은 통신 단말기(200)를 인증 등록함으로써, 중복없이 원하는 사용자에게 객체의 위치를 확인하게 해주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있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증 서버에 통신 단말기(200) 및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를 인증 및 등록하지 않고, 사용자가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를 외부 통신 단말기(200)에 시리얼번호를 등록하여 사용 승인을 얻도록 할 수도 있다(S20).
사용자가 상기 단계 S10와 S20을 거치거나, 또는 단계 S10없이 S20을 거친 후, 원하는 객체에 상기 등록된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를 부착하거나 포함시킨다(S30).
그 후 상기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는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객체에 부착되거나 포함된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내의 움직임 감지 센서(130)가 설정된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는지를 확인한다 (S40). 단계 S40에서 설정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는 경우, 상기 GPS 위성(300)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받아서 객체 위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60). 단계 S40에서 설정 시간 동안 움직임이 있는 경우, 통신 단말 기(200)로부터 위치 확인 요청 신호가 수신되었는가를 확인한다(S50). 단계 S50에서 통신 단말 기(200)로부터 위치 확인 요청 신호가 수신되었으면,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는 상기 GPS 위성(300)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받아서 객체 위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60). 단계 S50에서 통신 단말 기(200)로부터 위치 확인 요청 신호가 수신되지 않았으면, 단계 S40으로 진행하여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에 포함된 움직임 감지 센서(130)가 설정된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는지를 확인한다 (S40).
단계 S50에서,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에 위치 확인 요청 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는 상기 GPS 위성(300)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받아서 객체 위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객체 위치 신호를 원거리 고주파 통신망(400) 또는 근거리 고주파 통신망(500)을 통하여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단계 S60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는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200)로부터의 고주파 액세스 신호에 응답하여 통신할 수 있는 경우 근거리 고주파 무선 통신망(500)을 통하여 상기 객체 위치 신호를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하고, 응답하여 통신할 수 없는 경우 원거리 고주파 무선 통신망(500)을 통하여 상기 객체 위치 신호를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위치 정보 발신 장치와 객체 위치 검색 방법은 원하는 객체에 위치 정보 발신 장치를 부착하거나 포함시켜, 객체의 분실 시 사용자에게 분실된 객체의 위치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위치 정보 발신 장치(100)내에 사용되는 전원 배터리의 낭비 없이 통신 단말기(200)와의 교신을 시도하여 객체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여 분실된 객체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위치 정보 발신 장치와 객체 위치 검색 방법은 많은 사람들이 고통받고 있는 분실물 찾기 또는 미아 찾기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적용시킴으로써 정부 및 지방자치체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민간기구 차원에서 분실물 찾기 또는 미아 찾기 비즈니스 모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100...위치 정보 발신 장치 110...제어부
120...GPS 수신기 130...움직임 감지 센서
140...송수신기 142...원거리 무선 통신 유닛
145...근거리 무선 통신 유닛 200...통신 단말기
300...GPS 위성 400...원거리 무선 통신망
500...근거리 무선 통신망

Claims (6)

  1. 객체에 부착되거나 포함되어 제어부의 제어하에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받아서 객체 위치 신호를 외부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위치 정보 발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 센서;
    상기 동작 감지 센서가 설정된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받아서 객체 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GPS 수신기;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GPS 수신기에서 생성된 객체 위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 발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로부터 확인 요청 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GPS 수신기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받아서 객체 위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GPS 수신기에서 생성된 객체 위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발신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고주파 액세스 신호에 응답하여 통신할 수 있는 경우 근거리 고주파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객체 위치 신호를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응답하여 통신할 수 없는 경우 원거리 고주파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객체 위치 신호를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정보 발신 장치.
  4. 객체에 부착되거나 포함되는 위치 정보 발신 장치를 이용하여,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받아서 객체 위치 신호를 외부 통신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객체 위치를 확인하는 객체 위치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발신 장치를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에 등록하여 사용 승인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 발신 장치는 상기 객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움직임이 없는 경우, 상기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받아서 객체 위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객체 위치 검색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 발신 장치에 확인 요청 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위치 정보 발신 장치는 상기 GPS 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받아서 객체 위치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객체 위치 신호를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위치 검색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발신 장치는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고주파 액세스 신호에 응답하여 통신할 수 있는 경우 근거리 고주파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객체 위치 신호를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고, 응답하여 통신할 수 없는 경우 원거리 고주파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객체 위치 신호를 상기 외부 통신 단말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객체 위치 검색 방법.
KR1020120030230A 2012-03-23 2012-03-23 위치 정보 발신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객체 위치 검색 방법 KR101378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230A KR101378426B1 (ko) 2012-03-23 2012-03-23 위치 정보 발신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객체 위치 검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0230A KR101378426B1 (ko) 2012-03-23 2012-03-23 위치 정보 발신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객체 위치 검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992A true KR20130107992A (ko) 2013-10-02
KR101378426B1 KR101378426B1 (ko) 2014-03-27

Family

ID=49631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0230A KR101378426B1 (ko) 2012-03-23 2012-03-23 위치 정보 발신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객체 위치 검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8426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1270A (ko) * 2004-06-30 2006-01-0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자기 위치 알림 장치 및 방법
KR101038913B1 (ko) * 2008-11-04 2011-06-03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난예방 알림 및 위치추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8426B1 (ko) 201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54878B (zh) 停车管理方法、车载蓝牙标签、基站及系统
US6498565B2 (en) Two way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ing an existing wireless network
KR101908620B1 (ko) 모바일 셀룰러 원격통신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단말들의 실내 위치결정
EP2955898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mbining beaconing with positioning
US8818270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 location for a RF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its proximity to a mobile device
JP4696016B2 (ja) 駐車場位置管理システムおよび駐車場位置管理方法
US8452306B2 (en) GPS-based location system and method
CN205428240U (zh) 信号收发装置、移动定位装置及室内定位导航系统
CN109451463B (zh) 一种基于5g网络的电动自行车防盗系统
CN103069778B (zh) 用于定位的方法、移动设备及系统
US20100216432A1 (en) Wireless device for receiving calls to automatically transmit messages of current device location
KR20070110574A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CN105228108A (zh) 用于上门洗车服务的全区域定位找车系统及应用
CN111665727A (zh) 用于控制家居设备的方法、装置和家居设备控制系统
KR20130040634A (ko) 기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378426B1 (ko) 위치 정보 발신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객체 위치 검색 방법
JP2008058203A (ja) 位置情報端末及び位置管理センタ
GB2551331A (en) Parking system, sensor, electronic tag, and methods therefor
JP6186487B1 (ja) 探索システム、駐車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探索方法
KR101825816B1 (ko) 택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EP1515155B1 (en) Two-way tracking system and method using an existing wireless network
JP6383844B2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
JP5331351B2 (ja) 貨物搭載用端末および拠点出入判定方法
KR20100091008A (ko) 주차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6305602B1 (ja) 対象物特定方法および駐車場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