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7769A - 낚시 거치대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낚시 거치대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7769A
KR20130107769A KR1020120029811A KR20120029811A KR20130107769A KR 20130107769 A KR20130107769 A KR 20130107769A KR 1020120029811 A KR1020120029811 A KR 1020120029811A KR 20120029811 A KR20120029811 A KR 20120029811A KR 20130107769 A KR20130107769 A KR 20130107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horizontal extension
vertical
fixing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9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홍식
Original Assignee
한홍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홍식 filed Critical 한홍식
Priority to KR1020120029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7769A/ko
Publication of KR20130107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7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9/00Work holders
    • Y10S269/907Work holder for fishing fl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1/00Tools
    • Y10S81/01Tool-support adjun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 거치대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 상하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상하 연장부와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 상하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2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를 받치는 복수개의 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상하 연장부와 상기 제2 상하 연장부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낚시 거치대 지지 장치{SUPPORTING DEVICE FOR FISHING ROD HOLDER}
본 발명은 낚시 거치대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 거치대가 삽입되는 부분의 폭을 조절 가능하여, 다양한 제조사의 다양한 크기의 낚시 거치대를 고정할 수 있으면서도, 그 사용이 간편한 낚시 거치대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낚시 거치대 지지 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다리 사이에 낚시 거치대를 고정시킨 다음, 상기 낚시 거치대에 낚시대를 거치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종래의 낚시 거치대 지지 장치는, 각 제조사별로 제조된 거치대만을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어, 다양한 폭과 다양한 길이의 낚시 거치대를 모두 고정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설치 및 철거가 복잡하고 번거롭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제조사에서 제조된, 다양한 규격의 낚시 거치대를 모두 고정, 지지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갖는 낚시 거치대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그 설치 및 철거가 간단한 낚시 거치대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낚시 거치대 지지 장치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 상하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상하 연장부와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 상하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2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를 받치는 복수개의 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상하 연장부와 상기 제2 상하 연장부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상하 연장부에 결합되는 제1 수평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2 상하 연장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수평 연장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수평 연장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수평 연장부와 상기 제2 수평 연장부가 슬라이딩하며 상대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수평 연장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상기 제1 수평 연장부와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3 수평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수평 연장부는, 상기 제1 수평 연장부와 상기 제3 수평 연장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상하 연장부 또는 제2 상하 연장부에는 좌우 방향 중앙에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리는,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 회전부를 포함하여, 다리 사이를 벌리거나 좁히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는,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하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폭과 길이를 갖는 다양한 낚시 거치대를 모두 지지,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설치 및 철거가 간단해 진다.
도1은 종래의 낚시 거치대 지지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낚시 거치대 지지 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낚시 거치대 지지 장치를 하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낚시 거치대 지지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낚시 거치대 지지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실시예에 의한 낚시 거치대 받침 장치를 위쪽에서 비스듬히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실시예에 의한 낚시 거치대를 아래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낚시 거치대 지지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낚시 거치대 받침 장치는, 제1 고정부(10)와, 제2 고정부(20) 및 그 하부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다리(50, 6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제1 고정부(10)는 상하로 연장되는 제1 상하 연장부(11)와, 상기 제1 상하 연장부(11)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수평 연장부(12)와, 상기 제1 수평 연장부(12)의 상부에서 상기 제1 수평 연장부(12)와 이격되어 전방을 향해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3 수평 연장부(13)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수평 연장부(12)와 상기 제3 수평 연장부(13)는 일단이 상기 제1 상하 연장부(11)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수평 연장부(12)와 상기 제3 수평 연장부(13)사이에는 삽입홈(1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상하 연장부(11)의 중앙에는 절개부(15)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15)는, 본 실시예에 의한 낚시 거치대 지지 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낚시 거치대가 휘어진 형상을 갖는 경우, 휘어져 돌출된 부분이 튀어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간이다.
또한, 직선으로 2개의 낚시 거치대가 연장되어 사용될 때, 연결부위가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경우에도, 상기 절개부(15)가 존재함으로 인해, 본 실시예에 의한 낚시 거치대 지지 장치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10)의 전방에는 제2 고정부(20)가 구비된다.
상기 제2 고정부(20)는 상하로 연장되는 제2 상하 연장부(21)와, 상기 제2 상하 연장부(21)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제2 수평 연장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상하 연장부(21)의 중앙에는 절개부(23)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23)는, 본 실시예에 의한 낚시 거치대 지지 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낚시 거치대가 휘어진 형상을 갖는 경우, 휘어져 돌출된 부분이 튀어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간이다.
또한, 직선으로 2개의 낚시 거치대가 연장되어 사용될 때, 연결부위가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경우에도, 상기 절개부(23)가 존재함으로 인해, 본 실시예에 의한 낚시 거치대 지지 장치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수평 연장부(22)는 일단이 상기 제2 상하 연장부(21)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며, 자유단으로 형성되는 타단이 상기 제1 수평 연장부(12)와 상기 제3 수평 연장부(13)사이의 삽입홈(14)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고정부(10)와 상기 제2 고정부(20)가 전후 방향으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면, 상기 제2 수평 연장부(22)는 상기 제1 수평 연장부(12)와 상기 제3 수평 연장부(13)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며, 이때 제1 상하 연장부(11)와 상기 제2 상하 연장부(21)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아진다.
상기 제1 고정부(10)와 상기 제2 고정부(20) 사이의 간격은, 간격 조절 수단(30)에 의해 이루어진다.
간격 조절 수단(30)은, 상기 제1 고정부(10)에 형성되는 제1 관통공(31)과, 상기 제2 고정부(20)에 형성되는 제2 관통공(32)과, 상기 제1 관통공(31) 및 상기 제2 관통공(32)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스크류 볼트(3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관통공(31)은 제1 상하 연장부(11)와 제3 수평 연장부(13)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제2 관통공(32)은 제2 상하 연장부(21)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그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스크류 볼트(33)는, 헤드가 상기 관통공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돌리기 편하도록, 헤드가 다소 넓게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거나, 톱니 형상을 갖는 원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 고정부(10)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다리(50, 60)가 결합되는데, 상기 다리(50, 60)는 후방 다리(50)와 전방 다리(60)를 포함한다.
상기 후방 다리(50)는, 상기 제1 고정부(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 회전부(61)와, 상기 수평 회전부(61)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 회전부(62, 63)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 다리(60)는, 상기 제1 고정부(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 회전부(51)와, 상기 수평 회전부(51)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 회전부(5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하 회전부는, 상단 상하 회전부(62)와 하단 상하 회전부(6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단 상하 회전부(62)와 하단 상하 회전부(63)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의한 낚시 거치대 지지 장치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먼저 후방 다리(50)와 전방 다리(60)의 수평 회전부(51, 61)를 적당한 간격으로 벌리고, 상하 회전부(52, 62, 63)를 상하로 회전시켜, 지형에 맞게 낚시 거치대 지지 장치를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제1 고정부(10)와 제2 고정부(20)의 상부에 낚시 거치대를 재치시킨다.
이때, 낚시 거치대는, 상기 제1 상하 연장부(11)와 제2 상하 연장부(21)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스크류 볼트(33)의 헤드를 돌려, 상기 제1 고정부(10)에 대해 상기 제2 고정부(20)를 상대 이동시키며, 상기 제1 상하 연장부(11)와 상기 제2 상하 연장부(21) 사이에 낚시 거치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 수평 연장부(22)는 상기 제1 수평 연장부(12)와 상기 제3 수평 연장부(13)사이의 삽입홈(14)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다양한 폭을 갖는 다양한 제조사의 낚시 거치대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낚시 거치대가 직선으로 연장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곡선으로 휘어지는 경우에도,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한데, 이는 낚시 거치대가 휘어진 경우, 휘어져 돌출되는 부분이 제1 상하 연장부(11)에 형성된 절개부(15) 외측으로 튀어나오거나, 제2 상하 연장부(21)에 형성된 절개부(23) 외측으로 튀어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낚시 거치대가 고정되면, 사용자는 상기 낚시 거치대 위에 복수개의 낚시대를 거치시켜, 낚시를 할 수 있게 된다.
10: 제1 고정부 11: 제1 상하 연장부
12: 제1 수평 연장부 13: 제3 수평 연장부
14: 삽입홈 15: 절개부
20: 제2 고정부 21: 제2 상하 연장부
22: 제2 수평 연장부 23: 절개부
30: 간격 조절 수단 31: 제1 관통공
32: 제2 관통공 33: 스크류 볼트
50: 후방 다리 51: 수평 회전부
52: 상하 회전부 60: 전방 다리
61: 수평 회전부 62: 상단 상하 회전부
63: 하단 상하 회전부

Claims (6)

  1. 제1 상하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상하 연장부와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 상하 연장부를 포함하는 제2 고정부와;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를 받치는 복수개의 다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상하 연장부와 상기 제2 상하 연장부 사이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낚시 거치대 지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상하 연장부에 결합되는 제1 수평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2 상하 연장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수평 연장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수평 연장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수평 연장 연장부와 상기 제2 수평 연장부가 슬라이딩하며 상대 이동 가능한 낚시 거치대 지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수평 연장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상기 제1 수평 연장부와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3 수평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수평 연장부는,
    상기 제1 수평 연장부와 상기 제3 수평 연장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삽입되는 낚시 거치대 지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하 연장부 또는 제2 상하 연장부에는 좌우 방향 중앙에 절개부가 형성되는 낚시 거치대 지지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 회전부를 포함하여,
    다리 사이를 벌리거나 좁히는 것이 가능한 낚시 거치대 지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하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낚시 거치대 지지 장치.
KR1020120029811A 2012-03-23 2012-03-23 낚시 거치대 지지 장치 KR201301077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811A KR20130107769A (ko) 2012-03-23 2012-03-23 낚시 거치대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9811A KR20130107769A (ko) 2012-03-23 2012-03-23 낚시 거치대 지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769A true KR20130107769A (ko) 2013-10-02

Family

ID=49631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9811A KR20130107769A (ko) 2012-03-23 2012-03-23 낚시 거치대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776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25221A (zh) * 2017-06-21 2017-09-05 王仁锋 一种便携式可调节鱼竿架
KR20200049143A (ko) * 2018-10-31 2020-05-08 김호정 기능성 낚시대 캐리어
KR102176754B1 (ko) * 2019-06-03 2020-11-09 곽흥만 낚시대 거치대용 받침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25221A (zh) * 2017-06-21 2017-09-05 王仁锋 一种便携式可调节鱼竿架
CN107125221B (zh) * 2017-06-21 2019-11-26 王仁锋 一种便携式可调节鱼竿架
KR20200049143A (ko) * 2018-10-31 2020-05-08 김호정 기능성 낚시대 캐리어
KR102176754B1 (ko) * 2019-06-03 2020-11-09 곽흥만 낚시대 거치대용 받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71950S1 (en) Apparatus holder
KR20130107769A (ko) 낚시 거치대 지지 장치
KR200426550Y1 (ko) 낚시대 받침틀
KR20170095001A (ko) 낚싯대 거치장치
KR20130078368A (ko) 세탁물건조대용 바구니받침대
KR20100008123U (ko) 벽면 부착형 행거
KR20130136649A (ko) 낚싯대용 접이식 낚시받침대
KR200475759Y1 (ko) 전자기기용 거치대
KR20220103419A (ko) 액자 받침대
CN205442164U (zh) 一种改进后的盘管架与翻料架间管材承托架
KR101592164B1 (ko) 낚시용 받침대
ITTO20120039A1 (it) Macchina lavastoviglie con dispositivo portacesto mobile
KR20110008822U (ko) 전시대
JP5882000B2 (ja) カーテン生地の端部保持装置
JP3790836B2 (ja) 支持装置
KR101127645B1 (ko) 다리미판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0886102B1 (ko) 낚시 받침대
CN203273202U (zh) 可伸缩挂钩式机顶盒托架
CN215060994U (zh) 一种3d偏振式投影仪支撑装置
JP2017146551A (ja) Tvカメラ取付器具
CN216813598U (zh) 一种摄像机镜头一体化固定支架
CN216453939U (zh) 一种美术设计插图装置
KR101357832B1 (ko) 길이 조절이 용이한 낚시용 거치대
US2295506A (en) Center support for curtain rods
JP3207197U (ja) 物干し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