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6102B1 - 낚시 받침대 - Google Patents

낚시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6102B1
KR100886102B1 KR1020070056907A KR20070056907A KR100886102B1 KR 100886102 B1 KR100886102 B1 KR 100886102B1 KR 1020070056907 A KR1020070056907 A KR 1020070056907A KR 20070056907 A KR20070056907 A KR 20070056907A KR 100886102 B1 KR100886102 B1 KR 100886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body
fishing
fishing rod
support
le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6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8841A (ko
Inventor
오용삼
Original Assignee
오용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용삼 filed Critical 오용삼
Priority to KR1020070056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102B1/ko
Publication of KR20080108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8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9/00Work holders
    • Y10S269/907Work holder for fishing fl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1/00Tools
    • Y10S81/01Tool-support adjun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바디와, 상기 베이스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베이스 바디를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를 유지하도록 지지하고 그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여 베이스 바디의 높이를 조절하는 지지다리들과,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면에 다수로 장착되어 낚시대를 지지하는 낚시대 지지장치와,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면에 장착되어 각종 낚시도구들이 수납되는 태클박스로 구성되어, 베이스 바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태클박스를 일체로 구비하여 사용이 편리한 낚시 받침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낚시 받침대{SUPPORT APPARATUS FOR FISHING PO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낚시대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낚시대 받침대에 낚시대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낚시대 받침대에 설치되는 태클박스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거치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거치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거치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낚시대 걸이의 일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낚시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대를 보다 편리하게 거치함과 아울러 태클박스를 일체로 구비하여 사용이 편리한 낚시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낚시 받침대는 베이스 바디와, 상기 베이스 바디의 네 모서리 부위에 장착되어 지면이 지지되는 지지 다리와, 상기 베이스 바디에 다수로 장착되어 낚시대를 지지하는 거치대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낚시 받침대는 지지 다리를 회전시켜 지면에 지지시킨 후 거치대에 낙시대 지지대를 고정시키고, 낚시대를 낚시대 지지대 위에 올려놓고 낚시를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현재 사용되는 낚시 받침대는 지지 다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없어 낚시터의 지형이나 낚시하는 사람의 신체 조건에 따라 베이스 바디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어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종 낚시도구가 수납되는 태클박스를 별도로 가지고 다녀야되고, 야간 낚시를 할 때 태클박스에서 낚시도구를 꺼내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받침대의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낚시터의 조건에 따라 받침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낚시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다른 목적은 받침대에 태클박스를 구비하여 태클박스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고, 낚시를 하는 도중에 태클박스에 저장된 낚시도구들을 쉽게 쓸 수가 있어 사용이 편리한 낚시 받침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받침대는 베이스 바디와;
상기 베이스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베이스 바디를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를 유지하도록 지지하고 그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여 베이스 바디의 높이를 조절하는 지지다리들과,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면에 다수로 장착되어 낚시대를 지지하는 낚시대 지지장치와,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면에 장착되어 각종 낚시도구들이 수납되는 태클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 다리들은 베이스 바디의 전방 양쪽 측면 및 후방 양쪽 측면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 바디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다리부재와, 제1다리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다리부재와, 상기 제2다리부재에 삽입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한 제3다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다리부재와 베이스 바디에는 제1다리부재의 회전각도를 조절하고 각도 조절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각도 조절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다리부재의 끝부분에는 바닥면에 전방다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그 하면에는 지면에 박히는 스톱핑 핀들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태클박스는 베이스 바디의 상면에 장착되어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고 덮개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일측에는 태클박스 내부 또는 낚시대를 조명하는 조명기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낚시대 지지장치는 상기 베이스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힌지 연결되고 낚시대 지지대가 거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은 그 일측이 베이스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타측에는 프레임의 회전된 위치를 고정시키는 회전위치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위치 고정부는 베이스 바디의 바닥면에 호 형태로 형성되는 슬롯과,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삽입되고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슬롯을 따라 이동되는 바와, 상기 바에 삽입되고 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되는 지지 와셔와, 상기 바의 상단에 힌지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지지 와셔에 지지되어 바를 록킹시키는 록킹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 받침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시 받침대에 낚시대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받침대는 베이스 바디(10)와, 베이스 바디(10)의 네 모서리 부위에 장착되어 베이스 바디(10)를 지지하는 지지 다리(20)와, 베이스 바디(10)에 길이방향으로 다수로 장착되는 낚시대 지지장치(30)와, 베이스 바디(30)에 장착되어 각종 낚시도구를 수납하는 태클 박스(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베이스 바디(10)는 일정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타입으로 형성되고 그 양쪽 가장자리가 상측방향으로 절곡되어 내부에 공간을 갖는다. 이때, 베이스 바디(10)의 전방측에 순차적으로 다수의 낚시대 지지장치(40)가 설치되고, 베이스 바디(10)의 후방측에 태클 박스(30)가 장착된다.
지지 다리(20)는 베이스 바디(10)의 전방측 양쪽 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전방 다리(22a,22b)와, 베이스 바디(10)의 후방측 양쪽 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후방 다리(24a,24b)로 구성된다.
전방 다리(22a,22b)는 베이스 바디(1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다리부재(110)와, 제1다리부재(11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다리부재(112)와, 제2다리부재(112)에 삽입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한 제3다리부재(114)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제1다리부재(110)와 베이스 바디(10)에는 제1다리부재(1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고 각도 조절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각도 조절부(120)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각도 조절부(120)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라쳇 공구의 회전부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그 일측에 버튼부(122)가 설치되어 버튼부(122)를 일방향으로 누르면 제1다리부재(110)가 화살표 P 방향으로 회전되지만 화살표 Q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도록 하고, 버튼부(122)를 타방향으로 누르면 제1다리부재(110)가 화살표 Q방향으로는 회전되지만 화살표 P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각도 조절부(120)는 상기와 같은 구조 이외에 제1다리부재(110)의 회전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어떠한 구조도 적용이 가능하다.
제2다리부재(112)는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그 상측이 제1다리부재(110)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그 하측에 제3다리부재(114)가 삽입된다.
여기에서, 제2다리부재(112)의 상측에는 걸림홈(124)이 형성되고, 제1다리부재(110)에는 걸림돌기(126)가 탄성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돌기(126)가 걸림홈(124)에 삽입되면 제1다리부재(110)와 제2다리부재(112) 사이가 서로 연결된 상 태로 된다.
제3다리부재(114)의 끝부분에는 바닥면에 전방다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116)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고정부재(116)는 그 하면에 스톱핑 핀(118)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지면에 박히게 된다.
후방 다리(24a,24b)는 베이스 바디(10)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다리부재(130)와, 상기 제1다리부재(130)에 길이 조절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다리부재(132)와, 상기 제2다리부재(13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제3다리부재(134)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후방 다리의 제1다리부재(130)와 베이스 바디(110) 사이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구조와 동일한 각도 조절부가 구비되어 제1다리부재(13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고, 조절된 회전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2다리부재(132)는 제1다리부재(130)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3다리부재(134)는 제2다리부재(132)의 끝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지지 다리(20)는 낚시 받침대를 보관할 때 제2다리부재(112,132)를 제1다리부재(110,130)에서 분리한 후 제1다리부재(110,130)는 베이스 바디(10)의 측면에 접으면 된다.
상기 태클박스(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의 후방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베이스 바디(10)의 후방에 장착된다. 그리고, 태클박스(30)는 덮개(32)가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태클박스(30) 내부에 수납된 낚시도구들을 보호한다. 이러한 태클박스(30)의 내부는 칸막이(34)에 의해 구획되어 다수의 낚시도구들이 각각 수납된다.
상기 베이스 바디(10)의 일측에는 조명기구(50)가 설치되어 태클박스(30) 내부를 조명하거나 낚시대(36)를 조명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상기 조명기구(50)는 베이스 바디(10)의 일측에 변형이 자유로운 자라바 형태의 연결라인(52)으로 연결되어 조명하고자 하는 부위를 자유롭게 조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태클박스(30)의 덮개(32)의 표면에는 낚시로 잡은 물고기의 길이를 잴 수 있도록 하는 어체 계측용 자(146)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어체 계측용 자(146)가 태클박스의 표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어체 개측용 자를 별도로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어 사용이 편리하다.
그리고, 상기 태클박스(30)의 내부에는 교체하기 위한 바늘들이 장착되는 바늘쌈지(150)가 장착된다. 상기 바늘쌈지(150)는 고무 재질 등의 바늘이 꼽힐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낚시대 지지장치(40)는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바디(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42)과, 프레임(42)에 힌지 연결되어 낚시대지지대(38)가 거치되는 거치대(44)로 구성된다.
프레임(42)은 그 일측에 힌지홀(46)이 형성되어 베이스 바디(10)에 너트(48)와 볼트(54)로 체결되어 프레임(42)이 베이스 바디(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프레임(42)의 타측과 베이스 바디(10) 사이에는 프레임(42)의 회전된 위치를 고정시키는 회전위치 고정부가 형성된다.
회전위치 고정부는 베이스 바디(10)의 바닥면에 약 45 정도 각도를 갖는 호 형태의 슬롯(56)과, 프레임(42)의 타측에 형성되는 관통홀(58)에 삽입되고 슬롯(56)에 삽입되어 슬롯(56)을 따라 이동되는 바(60)와, 상기 바(60)에 삽입되고 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되는 지지 와셔(64)와, 바(60)의 상단에 힌지핀(6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지지 와셔(64)에 지지되어 바(60)를 록킹시키는 록킹로드(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록킹로드(62)의 끝부분에는 원형의 지지부(70)가 형성되어 지지부(70)가 지지 와셔(64)에 지지된다. 그리고, 바(60)의 하단은 베이스 바디(10)의 하면에서 너트(66)로 체결된다.
이와 같은 회전위치 고정부의 작용을 살펴보면, 록킹로드(62)를 수직으로 세우면 회전위치 고정부의 록킹이 해제된 상태로 되어 슬롯(56)을 따라 바(60)가 이동되고, 이에 따라 낚시대 지지장치(40)를 원하는 위치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록킹로드(62)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바(60)가 상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록킹된다.
거치대(44)는 낚시대 지지대(38)의 끝부분이 삽입되도록 반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그 양쪽 측면에는 낚시대 지지대(38)의 하면이 지지되는 지지바(72)가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관통홀부(74)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바(72)는 낚시대 지지대(38)의 하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관통홀부(74)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거치대(44)의 상면에는 낚시대(36)가 올려 놓여지는 낚시대 지지부재(78)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거치 거치대(44)의 내면에 삽입되는 낚시대 지 지대(38)를 록킹시키는 록킹볼트(76)가 장착된다.
여기에서, 베이스 프레임에는 다수의 낚시대들(36)을 걸칠 수 있는 낚시대 걸이(80)가 장착된다. 상기 낚시대 걸이(80)는 그 양단이 각각 베이스 프레임(10)의 양쪽 가장자리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면 거치대(44)의 상면에 일정 높이로 위치되어 낚시대(36)가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낚시대 걸이(8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대(36)가 안착되는 안착부(140)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140)는 "V" 형태로 절곡되게 형성되고, 낚시대(36)와 접촉되는 측면에는 낚시대(36)가 낚시대 걸이(8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리콘 고무(142)가 감겨진다.
상기 실리콘 고무(142)는 안착부(140)의 양쪽에 각각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낚시대(36)를 당기는 방향으로는 회전되지 때문에 낚시대(36)를 사용자 측으로 당기는 것은 가능하고, 낚시대(36)를 미는 방향으로는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물고기의 당기는 힘 등으로 인하여 낚시대(36)가 낚시대 걸이(8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낚시대 걸이(80)의 양단에는 낚시대 걸이(8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부(144)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높이 조절부(144)는 낚시대 걸이(80)의 양쪽 끝부분이 높이 조절부(134)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어 높이 조절부(144)에서 낚시대 걸이(80)를 인출시키거나 인입시켜 낚시대 걸이(80)의 높이를 조절한다.
상기 프레임(42)의 상면에는 한 쌍의 힌지 브래킷(84)이 수직으로 세워지게 설치되어 거치대(44)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거치대(44)의 중앙측 양쪽 가장자리에는 힌지돌기(86)가 형성되고, 상기 힌지돌기(86)는 한 쌍의 힌지 브래킷(84) 내부로 삽입된 후 힌지핀(8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거치대(44)는 그 전방이 상하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42)의 후방측에는 거치대(44)의 전방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기구가 설치된다. 상기 높이 조절기구는 프레임(42)의 후방에 수직으로 세워지고 그 중앙에 볼트구멍(90)이 형성되는 높이조절용 지지대(92)와, 상기 거치대(44)의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볼트 구멍(90)의 하부에 위치되는 높이조절용 슬롯(94)과, 상기 볼트구멍(90)에 볼트 체결되고 그 끝부분이 슬롯(9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높이조절용 볼트(96)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슬롯(94)은 거치대(44)의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거치대(44)가 회전될 때 높이조절용 볼트(96)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받침대의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먼저, 낚시터의 조건 및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베이스 바디(10)의 하면에 장착되는 지지 다리(20)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때, 사용자가 의자에 앉았을 때 낚시대(36)를 잡기 가장 편안 높이로 지지 다리(20)의 높이를 조절하여 베이스 바디(10)의 높이를 맞춘다.
그런 후 낚시대 지지대(38)를 거치대에 삽입하고 록킹볼트(76)를 조여서 낚시대 지지대(38)를 거치대(44)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높이 조절기구의 높이 조절 용 볼트(96)를 회전시켜 낚시대 지지대(38)의 높이를 조절한다.
그리고, 베이스 프레임(10)에서 설치된 낚시대 걸이(80)를 세운 후 낚시대(36)의 끝부분을 낚시대 걸이(38)에 걸치고 낚시대(36)의 중간부위를 낚시대 지지대(38) 위에 올려놓으면 낚시 준비가 완료된다.
그리고, 낚시에 필요한 낚시 도구들은 베이스 프레임(10)에 설치된 태클박스에서 꺼내쓸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 받침대는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는 지지다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신체조건 및 낚시터의 조건에 따라 베이스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에 각종 낚시 도구가 수납되는 태클박스를 일체로 설치하여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Claims (14)

  1. 베이스 바디;
    상기 베이스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베이스 바디를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를 유지하도록 지지하고 그 길이가 조절되도록 하여 베이스 바디의 높이를 조절하는 지지다리들;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면에 다수로 장착되어 낚시대를 지지하는 낚시대 지지장치; 및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면에 장착되어 각종 낚시도구들이 수납되는 태클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다리들은 상기 베이스 바디의 전방 양쪽 측면 및 후방 양쪽 측면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 바디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다리부재와, 제1다리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다리부재와, 상기 제2다리부재에 삽입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한 제3다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받침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리부재와 베이스 바디에는 제1다리부재의 회전각도를 조절하고 각도 조절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각도 조절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받침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다리부재의 끝부분에는 바닥면에 전방다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고정부재는 그 하면에는 지면에 박히는 스톱핑 핀들이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받침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클박스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가질 수 있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바디의 상면에 장착되고,
    상기 태클박스에는 개폐 가능한 덮개가 장착되며,
    상기 베이스 바디의 일측에는 상기 태클박스의 내부 또는 낚시대를 조명하는 낚시대를 조명하는 조명기구가 장착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받침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대 지지장치는 상기 베이스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에 힌지 연결되고 낚시대 지지대가 거치되는 거치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받침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그 일측이 베이스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타측에 는 프레임의 회전된 위치를 고정시키는 회전위치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받침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위치 고정부는 베이스 바디의 바닥면에 호 형태로 형성되는 슬롯과;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형성되는 관통홀에 삽입되고 상기 슬롯에 삽입되어 슬롯을 따라 이동되는 바와;
    상기 바에 삽입되고 프레임의 상면에 배치되는 지지 와셔와;
    상기 바의 상단에 힌지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지지 와셔에 지지되어 바를 록킹시키는 록킹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받침대.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낚시대 지지대의 끝부분이 삽입되도록 반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그 양쪽 측면에는 낚시대 지지대의 하면이 지지되는 지지바가 수평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받침대.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바디의 양쪽 측면에는 다수의 낚시대를 걸치는 낚시대 걸이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받침대.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거치대 사이에는 거치대 전방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기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받침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클박스의 표면에는 어체를 계측하기 위한 어체 계측용 자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받침대.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대 걸이는 낚시대들이 안착되는 다수의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에는 낚시대가 낚시대 걸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낚시대와 마찰되는 실린콘 고무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받침대.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대 걸이는 그 양단이 높이 조절부에 의해 연결되어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 받침대.
KR1020070056907A 2007-06-11 2007-06-11 낚시 받침대 KR100886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907A KR100886102B1 (ko) 2007-06-11 2007-06-11 낚시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6907A KR100886102B1 (ko) 2007-06-11 2007-06-11 낚시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8841A KR20080108841A (ko) 2008-12-16
KR100886102B1 true KR100886102B1 (ko) 2009-02-27

Family

ID=40368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6907A KR100886102B1 (ko) 2007-06-11 2007-06-11 낚시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1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086B1 (ko) * 2010-02-26 2012-05-24 유현 낚싯대받침대와 탈착하는 낚시가방
US20220159939A1 (en) * 2014-05-21 2022-05-26 Stewart Andrews Tackle box with pole suppor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3184Y1 (ko) * 1986-06-17 1989-05-17 김명희 다목적 낚시받침대
KR0135749Y1 (ko) * 1996-11-15 1999-02-01 최주호 낚시받침대의 각도 조절장치
KR200203015Y1 (ko) 2000-04-24 2000-11-15 권병율 낚시용 틀 받침대
KR200225060Y1 (ko) 1999-03-08 2001-05-15 최주호 낚시대 각도조절 받침틀용 다리
KR200233160Y1 (ko) 1999-03-06 2001-09-13 문현옥 낚시대 받침장치
KR200260403Y1 (ko) 2001-08-03 2002-01-10 백동엽 다용도 낚시 받침대
KR200293018Y1 (ko) * 2002-07-30 2002-10-25 한성공업 주식회사 낚시대 받침틀
KR200295352Y1 (ko) 2002-08-07 2002-11-18 박진홍 낚싯대 받침틀이 구비된 의자 겸용 보관박스
KR200301457Y1 (ko) 2002-10-25 2003-01-24 심미연 낚시 받침대
KR200412546Y1 (ko) 2006-01-16 2006-03-28 정태수 낚시대 받침대를 위한 각도조절장치와 이를 이용한낚시의자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3184Y1 (ko) * 1986-06-17 1989-05-17 김명희 다목적 낚시받침대
KR0135749Y1 (ko) * 1996-11-15 1999-02-01 최주호 낚시받침대의 각도 조절장치
KR200233160Y1 (ko) 1999-03-06 2001-09-13 문현옥 낚시대 받침장치
KR200225060Y1 (ko) 1999-03-08 2001-05-15 최주호 낚시대 각도조절 받침틀용 다리
KR200203015Y1 (ko) 2000-04-24 2000-11-15 권병율 낚시용 틀 받침대
KR200260403Y1 (ko) 2001-08-03 2002-01-10 백동엽 다용도 낚시 받침대
KR200293018Y1 (ko) * 2002-07-30 2002-10-25 한성공업 주식회사 낚시대 받침틀
KR200295352Y1 (ko) 2002-08-07 2002-11-18 박진홍 낚싯대 받침틀이 구비된 의자 겸용 보관박스
KR200301457Y1 (ko) 2002-10-25 2003-01-24 심미연 낚시 받침대
KR200412546Y1 (ko) 2006-01-16 2006-03-28 정태수 낚시대 받침대를 위한 각도조절장치와 이를 이용한낚시의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086B1 (ko) * 2010-02-26 2012-05-24 유현 낚싯대받침대와 탈착하는 낚시가방
US20220159939A1 (en) * 2014-05-21 2022-05-26 Stewart Andrews Tackle box with pole support
US11895998B2 (en) * 2014-05-21 2024-02-13 Stewart Andrews Tackle box with pole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8841A (ko) 2008-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2578B1 (en) Drawer
US2899155A (en) Fishing pole holder
US4177595A (en) Portable fishing rod holder and stand
KR100886102B1 (ko) 낚시 받침대
KR200381852Y1 (ko) 낚시용 틀 받침대
KR101378553B1 (ko) 경사형 낚시용 좌대
KR101213327B1 (ko) 낚시받침대 거치장치
KR101961403B1 (ko) 낚싯대 받침용 지지구
US3282530A (en) Skein holder
US3806057A (en) Roll holder
KR200464988Y1 (ko) 낚시용 좌대
US4071219A (en) Fishing rod support device
US2747322A (en) Attachment for supporting a magazine and an ash tray conveniently in front of a person seated in front of a hair dryer
KR100434939B1 (ko) 낚시용 의자
US2183441A (en) Vanity or similar attachment for
US2543569A (en) Fishing rod holder
KR101819860B1 (ko) 낚시받침대 장착용 꽂이대
KR200307727Y1 (ko) 각도 조절장치가 구비된 낚싯대 받침
US20190174973A1 (en) Flushable wipe holder and system
KR200260403Y1 (ko) 다용도 낚시 받침대
KR100470563B1 (ko) 다기능 낚시가방
KR200366997Y1 (ko) 낚시대 지지 장치
US2995110A (en) Poultry watering trough
US2783009A (en) Rod holder
KR200293018Y1 (ko) 낚시대 받침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