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160Y1 - 낚시대 받침장치 - Google Patents

낚시대 받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160Y1
KR200233160Y1 KR2019990003573U KR19990003573U KR200233160Y1 KR 200233160 Y1 KR200233160 Y1 KR 200233160Y1 KR 2019990003573 U KR2019990003573 U KR 2019990003573U KR 19990003573 U KR19990003573 U KR 19990003573U KR 200233160 Y1 KR200233160 Y1 KR 2002331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support
fishing
screw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5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7887U (ko
Inventor
오장혁
Original Assignee
문현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현옥 filed Critical 문현옥
Priority to KR20199900035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160Y1/ko
Publication of KR200000178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8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1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16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낚시대 받침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낚시용의자의 지지대에 나사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부면에 낚시지지대 고정부재로 낚시지지대를 고정하고, 낚시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낚시대 높이조절부재를 이용하여 낚시대를 받쳐줌과 동시에 높이를 조절하므로 다양한 낚시터의 환경에 쉽게 적응하여 낚시대의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특히, 낚시대로 잡은 고기의 길이를 낚시대받침판에 형성된 치수측정눈금으로 즉석에서 측정하도록 하여 낚시에 대한 흥미를 최대한 유발하므로 낚시의 즐거움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장점을 지닌다.

Description

낚시대 받침장치 { Device For Supporting The Fishing Rod }
본 고안은 낚시대를 받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낚시용의자의 지지대에 나사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부면에 낚시지지대 고정부재로 낚시지지대를 고정하고, 낚시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낚시대 높이조절부재를 이용하여 낚시대를 받쳐줌과 동시에 높이를 조절하므로 다양한 낚시터의 환경에 쉽게 적응하여 낚시대의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낚시대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은 다양한 직업을 선택하여 사회활동을 수행하다 보면, 여러 가지 어려움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이러한 스트레스를 해소 하면서 풍요로운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자연과 친화 될 수 있는 다양한 취미활동이나 레저활동을 필요로 한다.
그러한 레저중에 조용하고 정적인 활동을 중요시 하는 사람들은 낚시를 많이 즐기고 있으며, 이러한 낚시는 장시간 낚시대를 지켜 보면서 낚시용의자에 앉아 있어야 하므로 편안한 자세로 앉아 있지 못한 경우 낚시 동호인의 피로를 가중시켜서 레저활동을 제대로 즐기지 못하게 된다.
최근에는 낚시를 편안한 자세에서 즐기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낚시용 의자를 선보이고 있으며, 특히, 접철식으로 접거나 펼 수 있으며, 누울 수도 있도록 하는 접철식 낚시용의자가 선보이고 있다.
한편, 이러한 낚시용의자는 낚시대를 지지하기 위한 적절한 장치가 없으며, 특히 낚시대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은 낚시대지지대를 땅바닥면에서 빼내어 새로운 위치에 꽂아서 낚시대의 높,낮이를 조절하므로 낚시조사에게 불편함을 야기 할 뿐만 아니라 낚시대를 들었다 놓았다 하는 과정에서 낚시대 지지대가 바닥면에서 약간 이탈되므로 그대로 그 높이를 유지하지 못하여 낚시대가 기울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낚시대를 여러대를 동시에 지지하는 받침대가 고안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 받침대는 높이가 일률적으로 동일하므로 낚시대의 길이에 따라 높,낮이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어려울 뿐 만 아니라 낚시 조사들 특히, 낚시광들이 잡은 고기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손쉬운 방법이 없어서 자기의 조과를 집으로 가져 가서 길이를 잰 후에야 비로소 알 수 있는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낚시용의자의 지지대에 나사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부면에 낚시지지대 고정부재로 낚시지지대를 고정하고, 낚시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낚시대 높이조절부재를 이용하여 낚시대를 받쳐줌과 동시에 높이를 조절하므로 다양한 낚시터의 환경에 쉽게 적응하여 낚시대의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대 받침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대 받침장치의 결합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지지대 고정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대 높이조절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대 높이조절부재의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대 받침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낚시용의자 15 : 지지봉
20 : 낚시대 받침판 22,24 : 제1,제2통공
26 : 측면통공 27 : 체결나사
28 : 치수측정눈금 29 : 걸림홈
30 : 낚시지지대 고정부재 40 : 지지체
42 : 설치홈 50 : 핸드볼트
55 : 가압체 60 : 낚시대 높이조절부재
70 : 각도조절체 72 ; 각도조절홈
80 : 탄성지지봉 84 : 안착면
88 : 고정고리 90 : 낚시대
이러한 목적은 다수의 의자다리에 의하여 지지되는 낚시용의자에서, 상기 낚시용의자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라운딩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측으로 관통된 나사공을 형성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상측면에 접촉되어 측면으로 관통된 측면통공으로 끼워진 체결나사가 상기 지지봉의 나사공에 체결되는 사각판체 형상을 갖는 낚시대받침판과; 상기 낚시대받침판의 상,하로 관통된 제1통공으로 끼워진 제1고정나사에 의해 체결되어 낚시대지지대를 지지하는 낚시지지대 고정부재와; 상기 낚시대받침판의 상,하로 관통된 제2통공으로 끼워진 제2고정나사에 의해 체결되어 낚시대의 손잡이부분을 지지하여 각도를 가변하도록 하는 낚시대 높이조절부재로 구성된 낚시대 받침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대 받침장치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대 받침장치의 결합 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지지대 고정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대 높이조절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대 받침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 보면, 다수의 의자다리(12)에 의하여 지지되는 낚시용의자(10)에서, 상기 낚시용의자(1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라운딩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측으로 관통된 나사공(17)을 형성하는 지지봉(15)과, 상기 지지봉(15)의 상측면에 접촉되어 측면으로 관통된 측면통공(26)으로 끼워진 체결나사(27)가 상기 지지봉(15)의 나사공(17)에 체결되는 사각판체 형상을 갖는 낚시대받침판(20)과; 상기 낚시대받침판(20)의 상,하로 관통된 제1통공(22)으로 끼워진 제1고정나사(23)에 의해 체결되어 낚시대지지대(95)를 지지하는 낚시지지대 고정부재(30)와; 상기 낚시대받침판(20)의 상,하로 관통된 제2통공(24)으로 끼워진 제2고정나사(25)에 의해 체결되어 낚시대(90)의 손잡이부분을 지지하여 각도를 가변하도록 하는 낚시대 높이조절부재(6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낚시지지대 고정부재(30)는 상기 제1고정나사(23)가 체결되는 나사홈(44)을 형성하고 중심부분에 낚시대지지대(95)가 끼워지는 설치홈(42)이 형성된 지지체(40)와; 상기 지지체(40)의 설치홈(42)에서 상부로 관통된 나사공(46)에 나사부(52)가 체결되어 상,하로 이동하여 설치홈(42)으로 끼워진 낚시대지지대 (95)를 가압하는 핸드볼트(50)와; 상기 핸드볼트(50)의 나사부(52) 끝단부분에 고정나사홈(57)이 체결되어 낚시대지지대(95)의 외주면을 만곡면(56)으로 라운딩 상태로 접촉시키는 가압체(5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낚시대 높이조절부재(60)는 상기 제2고정나사(25)가 체결되는 나사홈(76)을 형성하고 측면에 일정 각도로 함몰 형성된 각도조절홈(72) 및 수평홈(74)이 형성된 각도조절체(70)와; 상기 각도조절체(70)의 끼움공(75)에 끝단부분이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턱부(82)가 끼워져 각도조절홈(72) 및 수평홈(74)에 탄성적으로 오므려지거나 벌려져서 고정되어 안착면(84)에 안착되는 낚시대(90)의각도를 조절하는 탄성지지봉(80)과; 상기 탄성지지봉 (80)의 경사부(87)에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하여 탄성지지봉(80)을 오므려주거나 벌려주도록 하는 고정고리 (88)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각도조절체(70)는 낚시대지지대(95)의 끝단부분이 끼워져 수직 및 수평각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다수의 높이조절공(78)이 형성 되는 것으로서, 상기 높이조절공(78)은 낚시대지지대(95)의 끝단부에 있는 뾰족한 부분이 끼워지는 것으로서, 각도조절체(70)와 동일한 재질로 만들거나 혹은 금속판체를 가공하여 각도조절체(70)를 사출성형하면서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낚시대 받침판(20) 상에 낚시조사가 잡은 어류의 길이를 측정하도록 하는 치수측정눈금(28)이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진다. 그리고, 낚시받침대 (20)에서 낚시용의자(10) 방향으로 일측면에는 낚시대(90)의 손잡이부에서 인출된 걸림줄(92)에 고정된 걸림체(94)가 끼워져서 대어의 입질에 의하여 낚시대가 수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다.
상기 낚시받침대 고정부재(30)의 지지체(40)에 형성된 설치홈(42)의 형상은 타원 형상이면서 낚시대(90)가 받쳐지는 부분이 하측으로 갈수록 수직으로 뻗어지다가 바닥면부분이 라운딩져서 형성되는 것으로서, 낚시대(90)의 굵기에 따라 설치되는 높이가 달라지도록 구성되므로 예를 들어, 굵은 낚시대를 설치하는 경우 약간 높은 위치에 설치되지만 가는 낚시대에 비하여 자중이 무거워서 끝단 부분이 더욱 더 처지므로 실제적으로 낚시대의 끝단부분이 위치하는 높이를 동일하게 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는 설계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지지봉(80)의 안착면(84)에는 낚시대(9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연질의 연질커버(86)를 씌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지지대 고정부재(30)와 낚시대 높이조절부재(60)를 제1,제2고정나사로 낚시대받침대(20)에 설치하도록 하고, 낚시대받침판(20)은 낚시용의자(10)의 지지봉(15)에 체결나사(27)로 조립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낚시대지지대(95)를 낚시대(90)의 갯수 만큼 낚시받침대 고정부재(30)의 지지체(40)의 설치홈(42)내에 삽입하여 낚시대지지대(30)의 끝단부분에 뾰족하게 돌출된 부분을 후방에 있는 낚시대 높이조절부재(60)의 높이조절공 (78)중에 적절한 구멍에 끼우도록 한다.
그리고, 핸드볼트(50)를 조여주게 되면, 가압체(55)의 만곡면(56)이 설치홈 (42)으로 이동하여 낚시대(90)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눌러주는 상태로 고정되어지는 것으로서, 낚시대지지대(95)의 설치 각도는 각도조절체(70)의 높이조절공(78)에 끼워지는 위치에 따라 낚시대지지대(95)의 수평 및 수직각도가 달라지므로 가능하다.
그리고, 낚시대지지대(95)의 설치 후에 낚시대(90)를 소정 갯수 펼쳐서 전방부분은 낚시대지지대(95)의 끝단부분 벌려진 부분에 걸어주고, 낚시대(90)의 손잡이부분은 낚시대 높이조절재(60)인 탄성지지봉(80)의 안착면(84)에 안착시키도록 한다.
한편, 도 5는 낚시대 높이조절부재(60)의 작동 상태를 보인 도면으로서, 고정고리(88)를 상측으로 올려주게 되면, 경사부(87)가 상측으로 갈수록 협소하므로탄성지지봉(80)의 걸림턱부(82)가 양측으로 벌려져서 서로 다른 각도조절홈(72)으로 이동하여 낚시대(90)의 안치되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그리고, 탄성지지봉(80)의 회전각도를 조절한 후에는 재차 고정고리(88)를 경사부(87)의 하부로 내려주게 되면 걸림턱부(82)가 오므려지면서 탄성지지봉(80)이 견고하게 각도조절체(70)에 고정되어지게 된다.
한편, 낚시대(90)의 손잡이부에 형성된 걸림줄(92)에 고정된 걸림체(94)를 낚시대받침판(20)의 걸림홈(29)에 걸어주어서 고기의 입질에 의하여 낚시대(90)가 수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낚시대(90)로 잡은 고기는 낚시대받침판(20)에 형성된 치수측정눈금 (28)을 이용하여 길이를 즉석에서 측정하므로 조사의 흥미를 유발하고 만족감을 더욱 더 높여주므로 낚시에 대한 즐거움을 최대한도록 만끽하도록 하여 준다.
그리고, 낚시를 마친 후에는 고정고리(88)를 올려서 탄성지지봉(80)을 재차 벌린 후에 수평홈(74)으로 이동시켜서 고정고리(88)를 내려서 수평고정홈(74)에 고정시키면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낚시대 받침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낚시용의자의 지지대에 나사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부면에 낚시지지대 고정부재로 낚시지지대를 고정하고, 낚시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낚시대 높이조절부재를 이용하여 낚시대를 받쳐줌과 동시에 높이를 조절하므로 다양한 낚시터의 환경에 쉽게 적응하여 낚시대의 높이 조절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특히, 낚시대로 잡은 고기의 길이를 낚시대받침판에 형성된 치수측정눈금으로 즉석에서 측정하도록 하여 낚시에 대한 흥미를 최대한 유발하므로 낚시의 즐거움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장점을 지닌다.

Claims (4)

  1. 다수의 의자다리(12)에 의하여 지지되는 낚시용의자(10)에 있어서,
    상기 낚시용의자(1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라운딩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측으로 관통된 나사공(17)을 형성하는 지지봉(15)과,
    상기 지지봉(15)의 상측면에 접촉되어 측면으로 관통된 측면통공(26)으로 끼워진 체결나사(27)가 상기 지지봉(15)의 나사공(17)에 체결되는 사각판체 형상으로서 상부면에 어류의 길이를 측정하는 치수측정눈금(28)을 형성하는 낚시대받침판 (20)과;
    상기 낚시대받침판(20)의 상,하로 관통된 제1통공(22)으로 끼워진 제1고정나사(23)에 의해 체결되어 낚시대지지대(95)를 지지하는 낚시지지대 고정부재(30)와;
    상기 낚시대받침판(20)의 상,하로 관통된 제2통공(24)으로 끼워진 제2고정나사(25)에 의해 체결되어 낚시대(90)의 손잡이부분을 지지하여 각도를 가변하도록 하는 낚시대 높이조절부재(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받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지지대 고정부재(30)는 상기 제1고정나사(23)가 체결되는 나사홈(44)을 형성하고 중심부분에 낚시대지지대(95)가 끼워지는 설치홈 (42)이 형성된 지지체(40)와; 상기 지지체(40)의 설치홈(42)에서 상부로 관통된 나사공(46)에 나사부(52)가 체결되어 상,하로 이동하여 설치홈(42)으로 끼워진 낚시대지지대(95)를 가압하는 핸드볼트(50)와; 상기 핸드볼트(50)의 나사부(52) 끝단부분에 고정나사홈(57)이 체결되어 낚시대지지대(95)의 외주면을 만곡면(56)으로 라운딩 상태로 접촉시키는 가압체(5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받침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대 높이조절부재(60)는 상기 제2고정나사(25)가 체결되는 나사홈(76)을 측면에 일정 각도로 함몰 형성된 각도조절홈(72) 및 수평홈 (74)이 형성된 각도조절체(70)와; 상기 각도조절체(70)의 끼움공(75)에 끝단부분이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턱부(82)가 끼워져 각도조절홈(72) 및 수평홈(74)에 탄성적으로 오므려지거나 벌려져서 고정되어 안착면(84)에 안착되는 낙시대(90)의 각도를 조절하는 탄성지지봉(80)과; 상기 탄성지지봉 (80)의 경사부(87)에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하여 탄성지지봉(80)을 오므려주거나 벌려주도록 하는 고정고리(8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받침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체(70)는 낚시대지지대(95)의 끝단부분이 끼워져 수직 및 수평각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다수의 높이조절공(7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받침장치.
KR2019990003573U 1999-03-06 1999-03-06 낚시대 받침장치 KR2002331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573U KR200233160Y1 (ko) 1999-03-06 1999-03-06 낚시대 받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573U KR200233160Y1 (ko) 1999-03-06 1999-03-06 낚시대 받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887U KR20000017887U (ko) 2000-10-05
KR200233160Y1 true KR200233160Y1 (ko) 2001-09-13

Family

ID=54760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573U KR200233160Y1 (ko) 1999-03-06 1999-03-06 낚시대 받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16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102B1 (ko) 2007-06-11 2009-02-27 오용삼 낚시 받침대
KR20220114442A (ko) * 2021-02-08 2022-08-17 오범철 탈부착이 용이한 선박용 낚시 장대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842B1 (ko) * 2022-01-26 2022-07-07 이근훈 어신 감지 기능을 갖는 낚시 받침대
KR102424849B1 (ko) * 2022-03-16 2022-08-04 주식회사 샤크컴퍼니 전자발광 낚시찌 및 그의 챔질 제공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102B1 (ko) 2007-06-11 2009-02-27 오용삼 낚시 받침대
KR20220114442A (ko) * 2021-02-08 2022-08-17 오범철 탈부착이 용이한 선박용 낚시 장대 거치대.
KR102596339B1 (ko) 2021-02-08 2023-10-30 오범철 탈부착이 용이한 선박용 낚시 장대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887U (ko) 200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4948A (en) Article support apparatus
CA2025362C (en) Self adjustable neck support pillow
US5591090A (en) Golf training device
KR101699411B1 (ko) 낚시대용 받침장치
WO2001070071A3 (en) Adjustable chair and method of use
KR200233160Y1 (ko) 낚시대 받침장치
US6530548B2 (en) Technique for hanging strap from edge of furniture
KR101255583B1 (ko) 낚시용 의자에 착탈 가능한 받침틀 지지구
KR101961403B1 (ko) 낚싯대 받침용 지지구
KR200464988Y1 (ko) 낚시용 좌대
KR20200000144U (ko) 낚시의자
US6095059A (en) Portable seat assembly
US11259640B2 (en) Arm support for blood pressure monitoring
KR20120077857A (ko) 테트라 포드용 낚시대 받침대 고정구
US5970655A (en) Christmas tree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US20030146652A1 (en) Adjustment device of a chair backrest
KR19990088664A (ko) 낚시받침대
CN113116070A (zh) 吊挂式支架及吊挂式家具
US4124237A (en) Macrame-making stand
KR200260491Y1 (ko) 낚싯대 받침장치
KR102367070B1 (ko) 가구용 다리 어셈블리
KR200318500Y1 (ko) 레저용 의자
US4889301A (en) Stand for a shorthand machine
KR910003370Y1 (ko) 첼로 받침구
JP3231099U (ja) ギターの支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