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6343A - 시트 제품 - Google Patents

시트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6343A
KR20130106343A KR1020137000037A KR20137000037A KR20130106343A KR 20130106343 A KR20130106343 A KR 20130106343A KR 1020137000037 A KR1020137000037 A KR 1020137000037A KR 20137000037 A KR20137000037 A KR 20137000037A KR 20130106343 A KR20130106343 A KR 20130106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adhesive sheet
sheet
pedestal
prot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0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라 쇼지
다츠야 즈카고시
겐지 후루타
미도리 도조
요시오 데라다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6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3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16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of derivatives thereof
    • C08G18/625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hydrolyzed polymers of esters of these acids
    • C08G18/6254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and of esters of these acids containing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5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of the release li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27Manufacturing meth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2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2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4/83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layer conne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4C4-(meth)acrylate, e.g. but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or tert-but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70/00Compositions for adhesives
    • C08G2170/40Compositions for pressure-sensitive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characterized by perforations in the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adhesiv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7Manufacturing methods
    • H01L2224/27001Involving a temporary auxiliary member not forming part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e.g. removable or sacrificial coating, film or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2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2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29001Core members of the layer connector
    • H01L2224/29099Material
    • H01L2224/2919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polymer, e.g. polyester, phenolic based polymer, epox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2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29001Core members of the layer connector
    • H01L2224/29099Material
    • H01L2224/2919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in the form of a matrix with a filler, i.e. being a hybrid material, e.g. segmented structures, foa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6Layer connectors, e.g. plate connectors, solder or adhesive lay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2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29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layer connector
    • H01L2224/29001Core members of the layer connector
    • H01L2224/29099Material
    • H01L2224/29198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in the form of a matrix with a filler, i.e. being a hybrid material, e.g. segmented structures, foams
    • H01L2224/29298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3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layer connector
    • H01L2224/8319Arrangement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mounting
    • H01L2224/83192Arrangement of the layer connectors prior to mounting wherein the layer connectors are disposed only on another item or body to be connected to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3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a layer connector
    • H01L2224/838Bonding techniqu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11Not relevant to the scope of the group, the symbol of which is combined with the symbol of this grou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13Fully indexed cont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4Beryllium [B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5Boron [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6Carbon [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12Magnesium [M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13Aluminum [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19Potassium [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2Calcium [C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29Copper [Cu]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3Zinc [Z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33Arsenic [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43Technetium [T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47Silver [A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5Tin [S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51Antimony [S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56Barium [B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78Platinum [P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79Gold [Au]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88Radium [R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6Polymers
    • H01L2924/0665Epoxy res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71Protective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점착성을 갖는 시트 형상의 점착 시트와, 상기 점착 시트로부터 박리할 수 있게 상기 점착 시트의 한쪽 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점착 시트를 지지하여 토대를 이루는 받침대 세퍼레이터와, 점착 시트로부터 박리할 수 있게 점착 시트의 다른 쪽 면측에 배치된 보호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시트 제품이며, 점착 시트와 받침대 세퍼레이터 사이의 박리력이 점착 시트와 보호 세퍼레이터 사이의 박리력보다 작고 또한 0.05 내지 0.8N/50㎜이며, 점착 시트 및 보호 세퍼레이터는, 서로 겹친 상태에서 받침대 세퍼레이터로부터 분할편으로서 박리할 수 있게 점착 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절입이 형성되어, 받침대 세퍼레이터의 두께가 60㎛ 이상, 받침대 세퍼레이터 및 보호 세퍼레이터는, 점착 시트측의 표면 거칠기 Ra가 모두 3㎛ 이하이다.

Description

시트 제품{SHEET PRODUCT}
본 발명은, 시트 제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점착성 및 열전도성을 갖는 시트 형상의 점착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점착 시트가 전자 기기 등의 발열원과 방열용의 히트싱크 등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사용되는 시트 제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시트 제품으로서는, 상기한 점착 시트와, 상기 점착 시트로부터 박리할 수 있게 상기 점착 시트의 한쪽 면측에 배치되어 사용 전의 점착 시트를 지지하여 토대를 이루는 받침대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시트 제품은, 예를 들어, 사용시에 받침대 세퍼레이터를 점착 시트로부터 박리하고, 상기 점착 시트를 통해서 발열원으로부터의 열을 히트싱크에 전달시키기 위해, 상기 점착 시트를 발열원 및 히트싱크 사이에 배치해서 사용된다.
이러한 종류의 시트 제품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점착 시트를 시트 형상의 분할편으로서 받침대 세퍼레이터로부터 박리할 수 있게 점착 시트가 두께 방향으로 절입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또한, 이러한 종류의 시트 제품으로서는, 받침대 세퍼레이터가 있는 측과 반대측에 배치되어 점착 시트로부터 박리할 수 있는 보호 세퍼레이터를 더 구비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사용전의 점착 시트를 보호하는 보호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상기 시트 제품은, 사용시에 우선 보호 세퍼레이터만을 제거하고, 그 후, 점착 시트가 분할된 분할편을 받침대 세퍼레이터로부터 박리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시트 제품은, 점착 시트의 분할편(점착 시트편)을 손가락으로 집는 것에 의해 받침대 세퍼레이터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고 하는 점에서, 취급이 양호한 것이다.
그러나, 이들 시트 제품에 있어서는, 점착 시트편을 직접 손가락으로 집는 것에 의해 점착 시트편의 표면이 오염되고, 점착성이나 열전도성 등의 물성을 갖는 점착 시트편이 소정의 물성을 갖지 않게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에 반해, 특허문헌 2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점착 시트와 시트 형상의 받침대 세퍼레이터와 시트 형상의 보호 세퍼레이터를 구비하고, 피 부착체의 피착 부분의 형상에 맞춰서 두께 방향으로 절단해서 작은 조각 시트로 한 시트 제품도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시트 제품은, 우선, 받침대 세퍼레이터편을 점착 시트편으로부터 박리할 수 있고, 다음에, 보호 세퍼레이터편에 적층하고 있는 점착 시트편을 피 부착체에 부착시키고, 그 후, 점착 시트편을 피 부착체에 부착시킨 채로 보호 세퍼레이터편을 점착 시트편으로부터 박리할 수 있기 때문에, 점착 시트편을 손가락 등으로 오염시킬 우려가 저감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트 제품은, 절단했을 때에, 점착 시트편과 받침대 세퍼레이터편 사이, 또는, 점착 시트편과 보호 세퍼레이터편 사이에 기포가 인입하고, 기포의 영향을 받아서 점착 시트편의 표면 물성이 바뀌는 것에 의해, 불량품이 발생하여 수율이 나빠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트 제품은, 절단시에 발생한 기포에 의해, 점착 시트편과 받침대 세퍼레이터편 사이 및, 점착 시트편과 보호 세퍼레이터편 사이의 박리력의 편차가 커질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시에, 점착 시트편이 받침대 세퍼레이터편 및 보호 세퍼레이터편의 양쪽으로부터 동시에 박리되는, 소위 "원하지 않는 박리(undesirable parting)"라고 하는 의도하지 않는 박리가 일어날 수 있다. 그리고, "원하지 않는 박리"가 발생된 경우에는, 취급하기 어려워져, 작업성이 나빠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시트 제품은, 반드시 수율이나 사용시에 있어서의 작업성이 우수한 것은 아니라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7-059464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084083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 등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수율이 우수하고 사용시의 작업성이 우수한 시트 제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시트 제품은, 점착성을 갖는 시트 형상의 점착 시트와, 상기 점착 시트로부터 박리할 수 있게 상기 점착 시트의 한쪽 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점착 시트를 지지하여 토대를 이루는 받침대 세퍼레이터와, 상기 점착 시트로부터 박리할 수 있게 상기 점착 시트의 다른 쪽 면측에 배치된 보호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시트 제품이며, 상기 점착 시트와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 사이의 박리력이 상기 점착 시트와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 사이의 박리력보다 작고 또한 0.05 내지 0.8N/50㎜이며, 상기 점착 시트 및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는, 서로 겹친 상태에서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로부터 분할편으로서 박리할 수 있게 상기 점착 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절입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의 두께가 60㎛ 이상이며,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 및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는, 점착 시트측의 표면 거칠기 Ra가 모두 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시트 제품은, 상기 점착 시트와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 사이의 박리력이 0.05N/50㎜ 이상이며, 상기 박리력보다도 상기 점착 시트와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 사이의 박리력이 크고, 상기 점착 시트와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 사이의 박리력 및, 상기 점착 시트와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 사이의 박리력이 비교적 큰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절입을 형성함에 의해서도, 상기 점착 시트와 각 세퍼레이터 사이에 기포가 들어가는 것이 억제되고, 기포에 의해 일어나는 점착 시트의 표면 물성 변화가 억제되어 있어, 불량품의 발생이 억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 및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의 점착 시트측의 표면 거칠기 Ra가 모두 3㎛ 이하이기 때문에, 절입을 형성함에 의해서도, 상기 점착 시트와 각 세퍼레이터 사이에 기포가 들어가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따라서, 기포에 의해 일어나는 점착 시트의 표면 물성 변화가 억제되어 있어, 불량품의 발생이 억제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점착 시트와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 사이 및, 상기 점착 시트와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 사이에 있어서 기포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박리력의 편차가 억제되어 있다. 따라서, 의도하지 않는 박리의 발생, 즉, 소위 "원하지 않는 박리"의 발생이 억제되어 있어, 작업성의 악화가 억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점착 시트와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 사이의 박리력이, 0.8N/50㎜ 이하이며 또한 상기 점착 시트와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 사이의 박리력보다 작기 때문에, 상기 점착 시트와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가 겹친 채로, 절입에 의해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로부터 용이하게 박리된다. 따라서, 사용시의 작업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의 두께가 60㎛ 이상이기 때문에, 상기 점착 시트 및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에 형성되는 절입이 받침대 세퍼레이터를 관통하는 것이 억제되어, 불량품으로 되어 있을 우려도 저감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시트 제품은, 수율이 우수하고 사용시의 작업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제품은, 상기 점착 시트가 아크릴 중합체와 열전도성 충전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 시트가 열전도성 충전제를 포함함으로써, 점착 시트가 열전도성도 갖는다고 하는 이점이 있고, 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보다 피 부착체에 점착하기 쉬워져, 보다 작업성이 우수하게 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제품은, 상기 절입이, 서로 겹친 상기 점착 시트 및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의 분할편이 시트 형상의 직사각형의 작은 조각으로 되어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로부터 박리할 수 있게,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착 시트와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 사이의 박리력이 0.05N/50㎜를 초과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제품은,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의 두께가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의 두께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의 두께가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제품은,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 및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가 동종의 기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제품은, 수율이 우수하고 사용시의 작업성이 우수하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시트 제품의 평면도 및 정면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시트 제품을 사용할 때의 모습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시트 제품의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제품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상기 시트 제품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도 1의 (a)는,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를 하측으로 했을 때의 상기 시트 제품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의 (b)는, 상기 시트 제품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의 (a) 및 도 2의 (b)는, 상기 시트 제품을 사용할 때의 모습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시트 제품(5)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점착성을 갖는 점착 시트(1)와, 상기 점착 시트(1)의 한쪽 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점착 시트로부터 박리할 수 있는 받침대 세퍼레이터(2)와, 상기 점착 시트(1)의 다른 쪽 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점착 시트로부터 박리할 수 있는 시트 형상의 보호 세퍼레이터(3)를 구비한 시트 제품(5)으로서, 상기 점착 시트(1)와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2) 사이의 박리력이 상기 점착 시트(1)와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3) 사이의 박리력보다 작고 또한 0.05 내지 0.8N/50㎜이며, 상기 점착 시트(1) 및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3)는, 서로 겹친 상태에서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2)로부터 분할편으로서 박리할 수 있게 상기 점착 시트(1)의 두께 방향으로 절입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2)의 두께가 60㎛ 이상인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 및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는, 점착 시트 측의 표면 거칠기 Ra가 모두 3㎛ 이하이다.
상기 시트 제품(5)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점착 시트를 지지하여 토대를 이루는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2)와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3) 사이에 상기 점착 시트(1)가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점착 시트(1) 및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3)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절입 A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겹친 상기 점착 시트(1) 및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3)가, 시트 형상의 분할편으로 되어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2)로부터 박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절입 A는, 상기 점착 시트(1) 및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3)의 분할된 분할편이 피 부착체의 피착 부분의 형상에 맞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1의 (a), 도 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점착 시트(1) 및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3)의 분할편이 시트 형상의 직사각형의 작은 조각으로 되어 받침대 세퍼레이터(2)로부터 박리할 수 있게,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 제품(5)에 있어서는, 우선 도 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 분할편의 점착 시트(1)(점착 시트편(1a)) 및 분할편의 보호 세퍼레이터(3)(보호 세퍼레이터편(3a))가 서로 겹친 상태에서, 분할편으로서 받침대 세퍼레이터(2)와 박리시킨다. 다음에,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할편의 점착 시트편(1a) 측을 예를 들어 전자 기기 등의 발열체(4)에 점착한다. 그리고, 분할편으로부터 보호 세퍼레이터편(3a)을 제거하고, 노출된 점착 시트편(1a)에 히트싱크(도시하지 않음) 등을 부착시킴으로써, 히트싱크 등에 전자 기기 등의 발열체(4)를 고정시킨다.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2)와 상기 점착 시트(1) 사이의 박리력은, 실시예에 기재된 180도 벗겨냄 박리력에 의해 측정된 것이다. 또한,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3)와 상기 점착 시트(1) 사이의 박리력도, 마찬가지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것이다.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2)와 상기 점착 시트(1) 사이의 박리력은, 0.05 내지 0.8N/50㎜이며, 바람직하게는 0.08 내지 0.5N/5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3N/50㎜이다. 받침대 세퍼레이터(2)와 점착 시트(1) 사이의 박리력이 0.05N/50㎜ 미만이면, 박리력이 부족하여, 펀칭 등에 의해 보호 세퍼레이터(3) 및 점착 시트(1)에 절입 A를 형성하였을 때에, 점착 시트(1)와 세퍼레이터 사이에 기포가 들어갈 우려가 있다. 또한, 0.8N/50㎜를 초과하면, 점착 시트(1)와 받침대 세퍼레이터(2) 사이의 박리가 곤란해져, 작업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2)와 상기 점착 시트(1) 사이의 박리력은,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3)와 상기 점착 시트(1) 사이의 박리력보다 작다. 이에 의해, 상기 점착 시트편(1a) 및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편(3a)가 서로 겹친 상태에서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2)로부터 박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2)와 상기 점착 시트(1) 사이의 박리력은,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3)와 상기 점착 시트(1) 사이의 박리력보다 0.01N/50㎜ 이상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2)와 상기 점착 시트(1) 사이의 박리력 및,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3)와 상기 점착 시트(1) 사이의 박리력의 차는, 0.01N/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박리력의 차가 0.01N/50㎜ 이상인 것에 의해, "원하지 않는 박리"의 발생이 보다 억제되어, 사용시의 작업성이 보다 양호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박리력의 차는, 0.02N/5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시의 작업성이 보다 양호하게 될 수 있다고 하는 점에서, 이러한 박리력의 차는, 0.05N/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3)와 상기 점착 시트(1) 사이의 박리력은, 0.05N/50㎜를 초과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박리력이 비교적 큰 것에 의해, 상기 절입 A를 형성하였을 때에, 보호 세퍼레이터(3)와 점착 시트(1) 사이에 기포가 들어가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따라서, 기포에 의한 박리력의 편차가 억제되어 있어, 시트 제품(5)을 사용할 때의 "원하지 않는 박리"의 발생이 억제되어 있다.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3)와 상기 점착 시트(1) 사이의 박리력은, 바람직하게는 0.10 내지 1.0N/5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0.5N/5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내지 0.35N/50㎜이다. 보호 세퍼레이터(3)와 점착 시트(1) 사이의 박리력이 0.10N/50㎜ 이상인 것에 의해, 박리에 필요한 힘이 보다 커지고, 절입 A를 형성함에 수반하는 기포 혼입이 보다 억제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박리력이 1.0N/50㎜ 이하인 것에 의해, 보호 세퍼레이터(3)를 점착 시트(1)로부터 박리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져, 시트 제품(5) 사용시에 있어서의 작업성이 보다 양호하게 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2)와 상기 점착 시트(1) 사이의 박리력, 또는,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3)와 상기 점착 시트(1) 사이의 박리력은, 예를 들어, 상기 점착 시트(1)의 재질을 바꾸는 것에 의해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점착성이 상이한 재질을 상기 점착 시트(1)에 채용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2)의 두께는, 상기 점착 시트(1)의 두께 방향과 동일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이다. 상기 두께는, 6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60㎛ 미만이면, 제조시의 펀칭 칼 등에 의한 절입 A가 받침대 세퍼레이터(2)를 관통할 우려가 있어, 시트 제품(5)이 불량품으로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5㎛ 이하이다. 두께가 150㎛ 이하인 것에 의해, 시트 제품(5)이 비교적 두께가 얇은 시트 형상으로 되고, 권취할 때 등에 취급하기 쉬워질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2)는, 통상 시트 형상이다.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3)의 두께는, 겹친 상태의 상기 점착 시트편(1a) 및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편(3a)를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2)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고 하는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2)의 두께 미만이다.
또한,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3)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다. 보호 세퍼레이터(3)의 두께가 20㎛ 이상인 것에 의해, 보호 세퍼레이터편(3a)를 점착 시트편(1a)로부터 박리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되어 작업성이 보다 우수하게 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5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35㎛ 이하이다. 150㎛ 이하인 것에 의해, 시트 제품(5)의 두께가 보다 얇아져, 시트 제품(5)의 권취 등에 있어서의 취급이 보다 용이하게 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 및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는, 점착 시트측의 표면 거칠기 Ra가 모두 3㎛ 이하이다. 상기 표면 거칠기 Ra는, 바람직하게는 모두 0.01 내지 1㎛,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두 0.03 내지 0.3㎛이다. 그 표면 거칠기 Ra가 모두 1㎛ 이하인 것에 의해, 절입 A를 형성하는 가공(이하, 하프컷 가공이라고도 함) 시에 있어서, 세퍼레이터와 점착 시트(1) 사이에 기포가 들어가는 것이 보다 억제되고, 그 기포의 영향으로 점착 시트(1)의 열저항이 높아지는 것이 보다 억제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표면 거칠기 Ra는, 예를 들어, 엠보스 가공 등 일반적인 가공의 정도에 따라, 그 값의 대소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표면 거칠기 Ra는, JIS B0601(2001년)에서 정의되는 산술 평균 거칠기(Ra)를 의미한다. 산술 평균 거칠기의 측정은, VEECO사제의 비접촉 3차원 표면 형상 측정 장치 「NT8000」을 사용해서 행한다.
상기 점착 시트(1)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 20 내지 2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30㎛이다.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2) 또는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3)를 구성하는 기재(이하, 세퍼레이터용 기재라고도 함)로서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제, 종이제, 금속제 등의 각종 기재를 들 수 있다. 또한, 그 기재는, 섬유제이어도 된다.
상기 세퍼레이터용 기재는, 단층체 또는 적층체 중 어떠한 형태이어도 된다.
상기 플라스틱제 기재로서는, 각종 플라스틱제 기재를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제(폴리에틸렌제, 폴리프로필렌제, 폴리부텐제, 폴리부타디엔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제,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제), 폴리에스테르제(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등), 폴리아크릴레이트제, 폴리우레탄제, ε-카프로락탐을 개환 중합해서 이루어지는 「나일론6」, 아디프산과 헥사메틸렌디아민을 중합해서 이루어지는 「나일론6,6(상품명)」, 혹은 부분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을 사용한 폴리아미드제, 폴리염화비닐제, 폴리염화비닐리덴제, 폴리카보네이트제,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제,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제,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제, 셀룰로오스제 등의 각 기재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시트 제품을 제조 또는 사용할 때의 작업성이 우수하다고 하는 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기재 등의 폴리에스테르제 기재가 바람직하다.
상기 종이제 기재로서는, 각종 종이제 기재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한 것을 들 수 있고, 예를 들어, 일본 종이제, 상질지제, 글라신지제, 크래프트지제, 쿨팩지제, 크레이프지제, 클레이코트지제, 톱 코트지제, 합성지제 등의 각 기재를 들 수 있다.
상기 종이제 기재에 플라스틱 라미네이트층을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세퍼레이터를 채용하는 경우, 상기 세퍼레이터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5-15933호 공보에 개지된 방법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라미네이트층의 재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종 플라스틱 재료(열가소성 수지)가 사용된다. 그 재질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4-메틸-1-펜텐 등의 각종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화 비닐리덴계 공중합체, 에틸렌과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아세트산 비닐 등과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라미네이트층의 재질로서는, 하프컷 가공에 있어서의 취급의 용이성 등의 점에서, 폴리에틸렌 수지가 바람직하다. 그 폴리에틸렌 수지로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중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받침대 세퍼레이터(2) 및 보호 세퍼레이터(3)에 있어서, 한쪽에 폴리에스테르제 기재를 사용한 경우에는, 다른 쪽에도 폴리에스테르 기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쪽에 종이제 기재를 사용한 경우에는, 다른 쪽에도 종이제 기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받침대 세퍼레이터(2) 및 보호 세퍼레이터(3)가 동종의 기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대 세퍼레이터(2) 및 보호 세퍼레이터(3)가 동종의 기재로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하프컷 가공에 있어서의 가공성이 우수하게 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2),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3)에는, 필요에 따라서, 실리콘계 이형제, 불소계 이형제, 장쇄 알킬계 이형제 혹은 지방산 아미드계 이형제, 또는 실리카분 등을 사용한, 이형 처리 또는 방오 처리가 되어 있어도 된다.
특히, 세퍼레이터의 표면에 실리콘계 이형제, 장쇄 알킬계 이형제, 불소계 이형제에 의한 이형 처리가 행해지고 있는 것에 의해, 점착 시트(1)로부터의 박리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즉, 세퍼레이터에 이형 처리를 행함으로써, 상기 점착 시트(1)와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2) 사이의 박리력, 또는, 상기 점착 시트(1)와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3) 사이의 박리력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이형 처리에서 사용하는 이형제의 양을 늘리는 것에 의해, 더욱 박리력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이형 처리에서 사용하는 이형제의 종류를 바꾸는 것, 세퍼레이터에의 이형제의 도포 방법을 바꾸는 것 등에 의해, 적절하게 박리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용 기재에는, 일반적인 대전 방지제를 도포하는 것, 부착시키는 것, 증착하는 것 등에 의한 대전 방지 처리가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세퍼레이터용 기재의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서, 코로나 방전 처리 가공, 또는, 엠보스 가공 등의 각종 표면 가공이 실시될 수 있다.
상기 각 세퍼레이터의 초기 탄성률은, 1 내지 10GPa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GPa이다. 1GPa 이상인 것에 의해, 세퍼레이터 강도가 보다 커지고, 제조시에 있어서의 세퍼레이터의 파손, 주름의 발생 등이 억제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10GPa 이하인 것에 의해, 적절하게 세퍼레이터 강도가 작아져 하프컷 가공에 있어서의 기포 혼입이 억제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초기 탄성률은, JIS K7161에 있어서의 「인장 탄성률」에 준해서 측정한 것이다. 또한, JIS K7127에 준하여, 시험편 타입2, 시험 샘플의 폭 10㎜, 인장 속도 300㎜/분의 조건에서 측정한 것이다.
계속해서, 점착 시트로서 점착성에 부가해서 열전도성도 갖는 점착 시트(이하, 열전도성 점착 시트라고도 함)를 구비한 열전도 시트 제품을 예로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열전도 시트 제품에 있어서의 상기 열전도성 점착 시트는, 아크릴 중합체와 열전도성 충전제를 포함한다. 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피 부착체와의 점착성이 보다 우수하고, 피 부착체로부터 점착 시트가 보다 박리되기 어려워져, 작업성이 보다 우수하게 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열전도성 충전제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열전도성 점착 시트의 양면에 부착된 피 부착체간의 열의 전도가 우수하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아크릴 중합체는, 단량체 단위로서,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지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다.
Figure pct00001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R2는 탄소수 1 내지 18의 알킬기임)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2의 알킬기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 내지 12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 내지 9이다. 또한, R2의 알킬기는, 직쇄상 알킬기 또는 분기쇄 형상 알킬기 중 어느 것이어도 되지만, 유리 전이점이 보다 낮다고 하는 점에서 분기쇄 형상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내지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s-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헵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아밀(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n-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n-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미리스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트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n-테트라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내지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1종이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내지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는, 아크릴 중합체에 있어서의 함유량이, 50 내지 98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내지 98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0 내지 98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메트)아크릴계 단량체가 아크릴 중합체 중에 50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에 의해, 점착 시트의 점착성이 보다 우수하게 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아크릴 중합체로서는,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등의 극성기 함유 단량체를 사용해서 중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크릴 중합체로서는, 전체 단량체에 대하여 상기 극성기 함유 단량체를 0.1 내지 20중량% 사용해서 중합된 것이 바람직하고, 0.2 내지 10중량% 사용해서 중합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2 내지 7중량% 사용해서 중합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체 단량체에 대하여 상기 극성기 함유 단량체를 0.1중량% 이상 사용해서 중합되어 있음으로써, 점착 시트의 응집력이 보다 충분하게 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20중량% 이하 사용해서 중합되어 있음으로써, 얻어지는 아크릴 중합체의 점착성이 보다 우수하게 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는, 분자 중에 1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이다.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5-히드록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10-히드록시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12-히드록시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메틸아크릴레이트,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메트)아크릴아미드, 비닐알코올, 알릴알코올, 2-히드록시에틸비닐에테르, 4-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디에틸글리콜모노비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는, 분자 중에 1 이상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이다.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카르복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아크릴산, 메타크릴산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중합체의 합성에 있어서는, 아크릴 중합체의 유리 전이점이나 점착 시트의 박리성을 조정하기 위해, 상술한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및 카르복실기 함유 단량체 이외의 다른 중합성 단량체를,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중합성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술폰산기 함유 단량체, 인산기 함유 단량체, 니트릴기 함유 단량체, 비닐 에스테르 단량체, 방향족 비닐 단량체 등과 같이, 아크릴 중합체의 응집력 또는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 또는,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 이미드기 함유 단량체,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 또는 비닐에테르 단량체 등과 같이 아크릴 중합체 중에 있어서 가교화 기점으로서 기능하여 아크릴 중합체의 점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른 중합성 단량체는, 1종이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술폰산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스티렌술폰산, 알릴술폰산, 2-(메트)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판술폰산, 술포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로일옥시나프탈렌술폰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인산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니트릴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닐 에스테르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 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라우르산 비닐, 비닐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스티렌, 클로로스티렌, 클로로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α-메틸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 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 아미드, N,N-디에틸(메트)아크릴 아미드, N,N-디에틸메타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 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 아미드, N-메톡시메틸(메트)아크릴 아미드, N-부톡시메틸(메트)아크릴 아미드, (메트)아크릴산 디메틸아민 에틸, (메트)아크릴산t-부틸 아미노에틸, 다이아세톤(메트)아크릴 아미드, N-비닐 아세트아미드, N,N'-메틸렌비스(메트)아크릴 아미드, N,N-디메틸아민 프로필(메트)아크릴 아미드, N-비닐 카프로락탐, N-비닐-2-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민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민 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메트)아크릴로일 모르포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이미드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N-시클로헥실 말레이미드, N-페닐 말레이미드, N-메틸 말레이미드, N-에틸 말레이미드, N-프로필 말레이미드, N-이소프로필 말레이미드, N-부틸 말레이미드, 이타콘 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에폭시기 함유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닐에테르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 비닐에테르, 에틸 비닐에테르, 이소부틸 비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른 중합성 단량체로서는, 점착 시트의 응집력을 높이는 등의 목적으로 더욱 필요하다면, 예를 들어, 시클로펜틸 디(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환식 알코올의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류;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가 알코올의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류; 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벤젠환 함유(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류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중합성 단량체는, 1종이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중합성 단량체의 함유량은, 아크릴 중합체의 전체 단량체에 대하여, 0 내지 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 내지 35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 내지 25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중합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60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0만 내지 300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만 내지 250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60만 이상인 것에 의해, 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 시트의 내구성이 보다 우수하게 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고, 300만 이하인 것에 의해, 점착 시트의 점착성이 보다 우수하게 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겔·퍼미에이션·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하고,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해 산출된 값을 말한다.
상기 아크릴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점착 시트의 점착성이 적당하게 될 수 있다고 하는 점에서,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크릴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가 -5℃ 이하인 것에 의해, 아크릴 중합체의 유동성이 높아져, 점착 시트와 접하는 피착체(하우징이나 히트싱크, 전자 기기 등의 발열원)에의 누설이 충분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점착 시트의 점착력이 보다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아크릴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사용하는 단량체의 종류나 단량체의 조성비를 적절하게 바꿈으로써 상기 범위 내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유리 전이 온도(Tg)는, 아크릴 중합체를 구성하는 각 단량체의 단독 중합체(호모폴리머)의 Tg 및, 상기 각 단량체의 중량분율(공중합 조성)에 기초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나타내는 Fox의 식으로부터 구해지는 값이다. 단독 중합체(호모폴리머)의 Tg값은, 원칙적으로 일간 공업신문사의 「점착 기술 핸드북」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Figure pct00002
Tg :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K]
Tgn : 단량체n의 단독 중합체(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K]
Wn : 단량체n의 중량분율
상기 아크릴 중합체는, 종래 공지의 각종 라디칼 중합에 의해 조제할 수 있다. 각종 라디칼 중합으로서는, 용액 중합, 괴상 중합, 유화 중합 등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 중합체는, 단독 중합체(호모폴리머)이어도 공중합체(코폴리머)이어도 되고, 공중합체인 경우에는,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그라프트 공중합체 등 어느 것이어도 된다.
상기 아크릴 중합체를 용액 중합에 의해 조제하는 경우에는, 중합 용매로서, 예를 들어, 아세트산에틸, 톨루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합 용매는, 아크릴 중합체가 조제된 후, 통상, 가열에 의한 휘발 등에 의해 제거된다.
상기 아크릴 중합체의 구체적인 용액 중합 방법으로서는,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 기류하에서, 전체 단량체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중합 개시제로서 아조비스이소부틸올니트릴을 0.01 내지 0.2중량부 사용하고, 중합 용매 중에서, 50 내지 90℃ 정도의 온도에 의해, 2 내지 30시간 정도의 중합 반응을 행하는 방법이 예시된다.
또한, 상기 아크릴 중합체의 중합에 있어서는, 중합 개시제, 연쇄 이동제, 유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합 개시제, 연쇄 이동제, 유화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것을 적절하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연쇄 이동제를 사용함으로써, 아크릴 중합체의 분자량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틸올니트릴, 2,2'-아조비스 [N-(2-카르복시에틸)-2-메틸프로피온아미딘]하이드레이트(상품명 「VA-057」와코쥰야쿠사제) 등의 아조계 개시제;과황산 칼륨, 과황산 암모늄 등의 과황산염; 디(2-에틸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t-부틸하이드로퍼옥시드, 과산화수소 등의 과산화물계 개시제;과황산염과 아황산 수소 나트륨의 조합, 과산화물과 아스코르브산 나트륨의 조합 등의 과산화물과 환원제를 조합한 레독스계 개시제;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합 개시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상기 중합 개시제의 양은, 전체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1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02 내지 0.5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연쇄 이동제로서는, 예를 들어, 라우릴 메르캅탄, 글리시딜 메르캅탄, 메르캅토아세트산, 2-메르캅토에탄올, 티오글리콜산, 티오글리콘산 2-에틸헥실, 2,3-디메르캅토-1-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연쇄 이동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도 된다. 상기 연쇄 이동제의 양은, 전체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01 내지 0.1중량부이다.
상기 아크릴 중합체를 유화 중합에 의해 조제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유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라우릴 황산나트륨, 도데실 벤젠 술폰산 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황산암모늄 등의 음이온계 유화제;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중합체 등의 비이온계 유화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화제는, 1종이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로서는, 프로페닐기, 알릴 에테르기 등의 라디칼 중합성 관능기가 도입된 반응성 유화제도 들 수 있다. 상기 반응성 유화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상품명 「아쿠아론 HS-10」, 「아쿠아론 HS-20」, 「아쿠아론 KH-10」, 「아쿠아론 BC-05」, 「아쿠아론 BC-10」, 「아쿠아론 BC-20」(모두 다이이치공업제약사제), 「아데카리어소프 SE10N」(ADEKA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화제의 양은,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안정적인 유화 중합을 행한다고 하는 점에서, 0.3 내지 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내지 1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성 유화제는, 중합 후에 중합체 중에 도입되기 때문에, 친수성기를 갖는 반응성 유화제가 반응 후에 잔존하기 어려워, 점착 시트의 내수성이 우수하게 될 수 있다고 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열전도성 점착 시트는, 점착 시트의 접착력, 내구력이 보다 우수하게 될 수 있다고 하는 점에서, 상기 가교제를 사용해서 조제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멜라민계 가교제, 옥사졸린계 가교제, 카르보디이미드계 가교제, 아지리딘계 가교제,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등, 종래 공지의 가교제를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는,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어, 부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저급 지환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류;시클로펜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류;2,4-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틸렌폴리페닐 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류;트리메틸올프로판/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3량체 부가물(상품명 「코로네이트 L」 니뽄폴리우레탄 공업사제), 트리메틸올프로판/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3량체 부가물(상품명 「코로네이트 HL」 니뽄폴리우레탄 공업사제),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상품명 「코로네이트 HX」 니뽄폴리우레탄 공업사제) 등의 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폴리에테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과 각종 폴리올과의 부가물;이소시아누레이트 결합, 뷰렛트 결합, 아로파네이트 결합 등으로 다관능화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교제의 양은, 상기 아크릴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2 내지 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04 내지 4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5 내지 3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의 양이 아크릴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2중량부 이상인 것에 의해, 점착 시트의 응집력이나 내구성이 보다 확실하게 충분하게 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고, 5중량부 이하인 것에 의해, 아크릴 중합체의 과잉의 가교 형성이 억제되어, 점착 시트의 점착성이 보다 우수하게 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점착 시트에 있어서는, 겔 분율이, 40 내지 9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내지 85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5 내지 80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겔 분율이 40중량% 이상인 것에 의해, 응집력이 보다 충분해져 점착 시트의 내구성이 보다 우수하게 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고, 겔 분율이 90중량% 이하인 것에 의해, 점착 시트의 점착성이 보다 우수하게 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겔 분율은, 가교제의 양을 조정해서 점착 시트의 가교 정도를 바꿈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점착 시트의 겔 분율(중량%)은, 점착 시트로부터 건조 중량 W1(g)의 시료를 채취하고, 이것을 아세트산 에틸에 침지한 후, 상기 시료의 불용분을 아세트산에틸 중에서 취출하고, 건조 후의 중량 W2(g)를 측정하고,(W2/W1)×100을 계산해서 구한 값이다.
상기 열전도성 충전제는, 점착 시트의 구성 성분으로서 배합됨으로써, 배합되지 않는 경우보다 점착 시트의 열전도성을 높이는 입자 형상의 것이다.
상기 열전도성 충전제의 재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무기 질화물, 금속 수산화물, 금속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질화물로서는, 예를 들어, 질화붕소, 질화알루미늄, 질화규소, 질화갈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수산화물로서는, 예를 들어,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금속 수산화물로서는, 열전도성이 보다 높고, 전기 절연성이 우수하다고 하는 점에서, 수산화알루미늄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산화물로서는,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주석, 산화구리, 산화니켈, 안티몬 도프 산화주석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전도성 충전제의 재질로서는, 그 밖에도, 탄화 규소, 이산화규소, 탄산칼슘, 티탄산 바륨, 티탄산 칼륨, 구리, 은, 금, 니켈, 알루미늄, 백금, 탄소(카본 블랙, 카본 나노 튜브, 카본 파이버, 다이아몬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열전도성 충전제는, 1종이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열전도성 충전제의 형상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구 형상, 바늘 형상, 판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이형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전도성 충전제의 크기는, 형상이 구 형상인 경우에는, 1차 평균 입자 직경이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이다. 일차 평균 입자 직경이 1000㎛ 이하인 것에 의해, 점착 시트의 두께에 대한 열전도성 충전제의 크기의 비가 작아질 수 있기 때문에, 점착 시트의 두께의 편차를 발생하기 어렵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열전도성 충전제의 크기는, 형상이 바늘 형상 또는 판 형상인 경우에는, 최대 길이(장축 길이 또는 대각 길이)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이다. 상기 최대 길이가 1000㎛ 이하인 것에 의해, 충전제끼리의 응집이 일어나기 어려워져, 취급이 용이해진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이들 충전제의 어스펙트비(바늘 형상 결정의 경우에는, 장축 길이/단축 길이, 또는 장축 길이/두께로 표현된다. 또한, 판 형상 결정의 경우에는, 대각 길이/두께, 또는 장변 길이/두께로 표현됨)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이다.
상기 열전도성 충전제로서는, 일반적인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질화 붕소로서는, 상품명 「HP-40」(미즈시마 합금철사제), 상품명 「PT620」(모멘티브사제) 등을, 수산화알루미늄으로서는, 상품명 「하이디 라이트 H-32」, 상품명 「하이디 라이트 H-42」(쇼와덴코사제) 등을, 산화알루미늄으로서는, 상품명 「AS-50」(쇼와덴코사제) 등을, 수산화마그네슘으로서는, 상품명 「KISUMA 5A」(교와화학공업사제) 등을, 안티몬 도프 산화 주석으로서는, 상품명 「SN-100S」, 「SN-100P」, 「SN-100D(물 분산품」(이시하라산업사제) 등을, 산화티탄으로서는, 상품명 「TTO 시리즈」(이시하라산업사제) 등을, 산화아연으로서는, 상품명 「ZnO-310」, 「ZnO-350」, 「ZnO-410」(스미토모 오사카 시멘트사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전도성 충전제의 양은, 아크릴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200중량부이다. 아크릴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열전도성 충전제의 양이 10중량부 이상인 것에 의해, 점착 시트의 열전도성이 보다 높아진고 하는 이점이 있고, 열전도성 충전제의 양이 1000 중량부 이하인 것에 의해, 점착 시트의 가요성이 높아져, 점착력이 보다 우수하게 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점착 시트는, 점착 시트의 접착력, 내구력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하고, 열전도성 충전제와 아크릴 중합체의 친화성을 보다 우수한 것으로 하기 위해, 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해서 조제된 것일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종래 공지의 것을 적절하게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예를 들어,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아미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메트)아크릴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인시아네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 시트에는, 그 접착력, 내구력을 보다 향상시킬 목적으로, 점착 부여 수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여 수지로서는, 종래 공지의 일반적인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여 수지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로진계 수지, 테르펜계 수지, 지방족계 석유수지, 방향족계 석유수지, 공중합계 석유수지, 지환족계 석유수지, 크실렌수지, 및 엘라스토머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점착 부여 수지의 양은, 점착 시트에 있어서, 아크릴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0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80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내지 50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는 상세하게 서술하지 않지만, 상기 점착 시트에는, 또한, 분산제, 노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 가공조제, 안정제, 소포제, 난연제, 증점제, 안료 등, 고무나 플라스틱에 배합되는 일반적인 것이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포함될 수 있다.
계속해서, 시트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기 열전도 시트 제품의 제조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열전도 시트 제품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점착 시트의 원료로서의 아크릴 중합체와 열전도성 충전제를 포함하는 열전도성 점착제 조성물을 조제하는 조성물 조제 공정과, 받침대 세퍼레이터 또는 보호 세퍼레이터 상에 열전도성 점착제 조성물을 코팅함으로써 시트 형상의 점착 시트를 형성시키는 코팅 공정과, 형성된 점착 시트와 보호 세퍼레이터 또는 받침대 세퍼레이터를 접합하는 접합 공정과, 점착 시트 및 보호 세퍼레이터에 절입 A를 형성하는 절입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 조제 공정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상기 아크릴 중합체 및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중합체 용액과, 열전도성 충전제와, 필요에 따라서 가교제 등을 혼합하여, 액상의 열전도성 점착제 조성물(이하, 코팅액이라고도 함)을 조제한다.
상기 조성물 조제 공정은, 상기 코팅액을 조제하기 위해서, 아크릴 중합체와 열전도성 충전제와 필요에 따라서 그 밖의 성분을 혼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성물 조제 공정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우선, 믹서에 열전도성 충전제를 투입하고, 다음에, 아크릴 중합체나 그 밖의 성분을 유기 용매에 분산시켜서 이루어지는 수지 용액의 일부를 이 믹서 내에 투입하여, 예를 들어, 1 내지 20kPa의 감압 하, 상온에서 교반하는 것 등에 의해, 응집 상태의 열전도성 충전제를 미세화시키는 입도 조정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입도 조정 공정에 있어서는, 열전도성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에 필요한 수지 용액의 일부를 투입해서 교반함으로써, 충전제와 수지 용액의 혼합물을 고점도의 상태로 할 수 있어, 충분한 셰어 스트레스를 열전도성 충전제의 2차 입자에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충분한 셰어 스트레스를 받은 응집 상태의 열전도성 충전제는, 응집 상태가 풀려, 1차 입자에 가까운 상태로 미세화되고, 예를 들어, 3㎛ 이상 20㎛ 이하의 2차 입자 직경으로까지 미세화될 수 있다.
상기 입도 조정 공정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믹서의 회전수를 30rp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rpm의 비교적 낮은 회전으로 하고, 수지 용액 중에 분산한 충전제가 믹서의 교반 날개에 부착되는 것이 관찰되지 않게 될 정도의 점도로 될 때까지, 이 회전에서의 교반 조작을 계속시킬 수 있다.
상기 코팅 공정에 있어서는, 종래 공지의 일반적인 코팅 방법을 채용하여, 상기와 같이 해서 조제된 액상의 열전도성 점착제 조성물(코팅액)을, 예를 들어 보호 세퍼레이터에 도포 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포 시공한 후에 코팅액으로부터 유기 용매를 휘발시킴으로써, 시트 형상의 점착 시트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코팅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롤 코트, 키스롤 코트, 그라비아 코트, 리버스 코트, 롤 브러시, 스프레이 코트, 딥 롤 코트, 바 코트, 나이프 코트, 에어나이프 코트, 커튼 코트, 립 코트, 다이 코터 등에 의한 압출 코트 등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접합 공정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보호 세퍼레이터 형상으로 형성된 점착 시트와, 받침대 세퍼레이터를 접합할 수 있다.
상기 절입 공정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점착 시트와 보호 세퍼레이터에 절입을 형성하는 가공(이하, 하프컷 가공이라고도 함)을 행할 수 있다. 하프컷 가공의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종래 공지의 일반적인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톰슨 칼 등을 사용해서 프레스기에 의해, 보호 세퍼레이터와 점착 시트에만 절단날을 넣어서 절입 A를 형성하는 펀칭에 의한 방법을 들 수 있다. 톰슨 칼을 사용한 펀칭에 의한 방법은, 상기 받침대 시트를 절단하기 어렵다고 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 형태의 시트 제품은, 상기 예시와 같지만, 본 발명은, 상기 예시의 시트 제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반 시트 제품에 있어서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를,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절입이 형성된 점착 시트 및 보호 세퍼레이터에 있어서, 분할되는 분할편의 점착 시트편 및 보호 세퍼레이터편이 각각의 단부 테두리를 맞대져서 이루어지는 시트 제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점착 시트편 및 보호 세퍼레이터편이 각각의 단부 테두리를 이격해서 이루어지는 시트 제품이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 제품에 있어서의 점착 시트는, 각각의 한쪽 면이 마주 향해서 배치된 제1 점착 시트(1x)(보호 세퍼레이터측) 및 제2 점착 시트(1y)(받침대 세퍼레이터측)와, 제1 점착 시트(1x) 및 제2 점착 시트(1y) 사이에 배치되어 시트 제품을 역학적으로 지지하는 중간층(1m)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점착 시트를 갖는 시트 제품은, 상기 실시 형태의 시트 제품과 마찬가지로, 통상 분할편의 제2 점착 시트측을 전자 기기 등의 발열체에 부착하고, 분할편으로부터 보호 세퍼레이터편을 제거하고, 제1 점착 시트의 노출한 면에 히트싱크(도시하지 않음) 등을 부착시킴으로써, 히트싱크 등에 전자 기기 등의 발열체를 고정시켜서 사용한다. 또한, 점착 시트에 있는 중간층에 의해, 시트 제품의 절곡 등이 억제되어, 보다 취급성이 우수하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점착 시트로서의 열전도성 점착 시트를 구비한 시트 제품의 제조예 및 제조된 시트 제품의 각종 평가 결과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실시예 1)
「아크릴 중합체의 조제」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교반기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이하의 배합 성분을 넣은 후, 계 내를 질소 가스로 충분히 치환하였다.
아크릴산 부틸:70중량부
아크릴산 2-에틸헥실:30중량부
아크릴산:3중량부
2,2'-아조비스이소부틸올니트릴(중합 개시제):0.1중량부
톨루엔(중합 용매):155중량부
그리고, 80℃에서 3시간 가열해서 고형분이 40.0중량%인 아크릴 중합체 용액을 조제하였다.
「열전도성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
이 아크릴 중합체 용액의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이하의 배합 성분을 부가하여, 열전도 점착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수산화알루미늄(열전도성 충전제)
(쇼와덴코사제 상품명 「하이디 라이트 H-32」):100중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니뽄폴리우레탄 공업사제 상품명 「코로네이트 L」):3중량부 「받침대 세퍼레이터」
PET제 세퍼레이터(두께 100㎛ 이형 처리한 PET 필름
미츠비시 화학 폴리에스테르 필름사제, 상품명 「PET 세파 MRV」
이형 처리면에 있어서의 표면 거칠기 Ra=0.04㎛)
「보호 세퍼레이터의 제작」
보호 세퍼레이터는, 하기 PET 필름에 하기 열경화성 실리콘을 도포 시공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제작하였다. 또한, 경화형 실리콘을 경화시키기 위한 경화 촉매를 사용하였다.
PET 필름(도레이사제 「루미러 S10#75」)
열경화형 실리콘(신에츠화학공업사제 품번 「KS-774」부가 반응형)
경화 촉매(신에츠화학공업사제 「PL-3」)
열경화형 실리콘을 톨루엔으로 희석하고, 고형분 0.5%로 조정한 것을 사용해서 이하의 조건에서 도포 시공을 행하고, 보호 세퍼레이터(두께 75㎛)를 제작하였다. 보호 세퍼레이터에 있어서의 도포 시공한 측의 표면 거칠기 Ra는, 0.04㎛이었다.
배합 조건: 「KS-774」: 「PL-3」=100:0.6(중량부)
건조 조건:150℃×1분
제작한 보호 세퍼레이터의 열경화형 실리콘 도포 시공 측에, 열전도성 점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50㎛로 되도록 도포하고, 70℃에서 15분간 건조해서 보호 세퍼레이터 상에 열전도성 점착 시트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의 이형 처리면과 열전도성 점착 시트를 접합하고,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열전도성 점착 시트 및 보호 세퍼레이터에 절입을 형성함으로써, 시트 제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열전도성 점착 시트의 중간층으로 되는 두께 12㎛의 폴리에스테르 필름(도레이 루미러 S10#12)을 사용하여, 그 양면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도포 방법에 의해 열전도성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두께가 50㎛인 열전도성 점착 시트를 형성하였다. 그 후, 상기 열전도성 점착 시트의 양면측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보호 세퍼레이터 및 받침대 세퍼레이터를 각각 접합하고,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점착 시트 및 보호 세퍼레이터에 절입을 형성함으로써,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시트 제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받침대 세퍼레이터로서 두께 75㎛의 PET제 세퍼레이터(미츠비시 화학 폴리에스테르 필름사제, 상품명 「PET 세파 MRF」 이형 처리한 PET 필름 이형 처리면에 있어서의 표면 거칠기 Ra=0.04㎛)를 사용한 점 이외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시트 제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받침대 세퍼레이터의 제작」
받침대 세퍼레이터는, 하기 라미네이트지에 하기 열경화성 실리콘을 도포 시공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제작하였다. 또한, 경화형 실리콘을 경화시키기 위한 경화 촉매를 사용하였다.
폴리에틸렌 라미네이트지(기재:평량 80g/㎡의 상질지)
열경화성 실리콘(신에츠화학공업사제 품번 「KS-774」부가 반응형)
경화 촉매(신에츠화학공업사제 「PL-3」)
열경화형 실리콘을 톨루엔으로 희석하고, 고형분 0.6%로 조정한 것을 사용해서 이하의 조건에서 도포 시공을 행하고, 받침대 세퍼레이터(두께 130㎛)를 제작하였다. 받침대 세퍼레이터에 있어서의 도포 시공한 측의 표면 거칠기 Ra는, 0.4㎛이었다.
배합 조건: 「KS-774」: 「PL-3」=100:0.6(중량부) 건조 조건:120℃×2분
「보호 세퍼레이터의 제작」
보호 세퍼레이터는, 하기 라미네이트지에 하기 열경화성 실리콘을 도포 시공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제작하였다. 또한, 경화형 실리콘을 경화시키기 위한 경화 촉매를 사용하였다.
폴리에틸렌 라미네이트지(기재:평량 80g/㎡의 상질지)
열경화성 실리콘(신에츠화학공업사제 품번 「KS-774」부가 반응형)
경화 촉매(신에츠화학공업사제 「PL-3」)
열경화형 실리콘을 톨루엔으로 희석하고, 고형분 0.5%로 조정한 것을 사용해서 이하의 조건에서 도포 시공을 행하고, 보호 세퍼레이터(두께 130㎛)를 제작하였다. 보호 세퍼레이터에 있어서의 도포 시공한 측의 표면 거칠기 Ra는, 0.4㎛이었다.
배합 조건: 「KS-774」: 「PL-3」=100:0.6(중량부)
건조 조건:120℃×2분
제작한 보호 세퍼레이터 상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열전도성 점착 시트를 형성하고, 또한 받침대 세퍼레이터를 접합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시트 제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받침대 세퍼레이터로서 두께 50㎛의 PET제 세퍼레이터(미츠비시 화학 폴리에스테르 필름사제, 상품명 「PET 세파 MRF」 이형 처리한 PET 필름 이형 처리면에 있어서의 표면 거칠기 Ra=0.04㎛)를 사용한 점, 보호 세퍼레이터의 기재로서 두께 38㎛의 PET 필름(도레이 루미러 S10#38)을 사용해서 표면 거칠기 Ra=0.04㎛의 보호 세퍼레이터를 제작한 점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시트 제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받침대 세퍼레이터로서, 하기 PET 필름에 하기 열경화성 실리콘을 도포 시공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제작한 것을 사용한 점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시트 제품을 제조하였다.
PET 필름(도레이사제 「루미러 S10#75」)
열경화성 실리콘(신에츠화학공업사제 품번 「KS-774」부가 반응형)
경화 촉매(신에츠화학공업사제 「PL-3」)
열경화형 실리콘을 톨루엔으로 희석하고, 고형분 2.0%로 조정한 것을 사용해서 이하의 조건에서 도포 시공을 행하고, 받침대 세퍼레이터(두께 100㎛)를 제작하였다. 받침대 세퍼레이터에 있어서의 도포 시공한 측의 표면 거칠기 Ra는, 0.04㎛이었다.
배합 조건: 「KS-774」: 「PL-3」=100:0.6(중량부)
건조 조건:150℃×1분
(비교예 3)
보호 세퍼레이터의 제작에 있어서, 열경화성 실리콘의 고형분 2.0중량%의 것을 사용한 점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시트 제품을 제조하였다. 또한, 보호 세퍼레이터에 있어서의 도포 시공한 측의 표면 거칠기 Ra는, 0.04㎛이며, 보호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75㎛이었다.
(비교예 4)
「받침대 세퍼레이터의 제작」
받침대 세퍼레이터로서, 하기 PET 필름에 하기 열경화성 실리콘을 도포 시공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제작한 것을 사용하였다.
PET 필름(도레이사제 「루미러 S10#100」)
열경화성 실리콘(신에츠화학공업사제 품번 「KS-774」부가 반응형)
경화 촉매(신에츠화학공업사제 「PL-3」)
열경화형 실리콘을 톨루엔으로 희석하고, 고형분 0.5%로 조정한 것을 사용해서 이하의 조건에서 도포 시공을 행하고, 받침대 세퍼레이터(두께 100㎛)를 제작하였다. 받침대 세퍼레이터에 있어서의 도포 시공한 측의 표면 거칠기 Ra는, 0.04㎛이었다.
배합 조건: 「KS-774」: 「PL-3」=100:0.6(중량부)
건조 조건:150℃×1분
「보호 세퍼레이터의 제작」
한편, 보호 세퍼레이터로서 두께가 75㎛인 PET 세퍼레이터(미츠비시 화학 폴리에스테르 필름사제, 상품명 「PET 세파 MRF」 이형 처리한 PET 필름 이형 처리면에 있어서의 도포 시공한 측의 표면 거칠기 Ra=0.04㎛)를 사용하였다.
상기의 받침대 세퍼레이터 및 보호 세퍼레이터를 사용한 점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시트 제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받침대 세퍼레이터의 제작」
받침대 세퍼레이터는, 하기 라미네이트지에 하기 열경화성 실리콘을 도포 시공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제작하였다. 또한, 경화형 실리콘을 경화시키기 위한 경화 촉매를 사용하였다.
폴리에틸렌 라미네이트지(두께 130㎛ 기재:평량 80g/㎡의 상질지)
열경화성 실리콘(신에츠화학공업사제 품번 「KS-774」부가 반응형)
경화 촉매(신에츠화학공업사제 「PL-3」)
열경화형 실리콘을 톨루엔으로 희석하고, 고형분 0.8%로 조정한 것을 사용해서 이하의 조건에서 도포 시공을 행하고, 또한, 도포 시공면에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고, 받침대 세퍼레이터를 제작하였다. 받침대 세퍼레이터에 있어서의 도포 시공한 측의 표면 거칠기 Ra는, 4㎛이었다.
배합 조건: 「KS-774」: 「PL-3」=100:0.6(중량부)
건조 조건:120℃×2분
「보호 세퍼레이터의 제작」
보호 세퍼레이터는, 하기 라미네이트지에 하기 열경화성 실리콘을 도포 시공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제작하였다. 또한, 경화형 실리콘을 경화시키기 위한 경화 촉매를 사용하였다.
폴리에틸렌 라미네이트지(두께 130㎛ 기재:평량 80g/㎡의 상질지)
열경화성 실리콘(신에츠화학공업사제 품번 「KS-774」부가 반응형)
경화 촉매(신에츠화학공업사제 「PL-3」)
열경화형 실리콘을 톨루엔으로 희석하고, 고형분 0.7%로 조정한 것을 사용해서 이하의 조건에서 도포 시공을 행하고, 또한, 도포 시공면에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고, 보호 세퍼레이터를 제작하였다. 보호 세퍼레이터에 있어서의 도포 시공한 측의 표면 거칠기 Ra는, 4㎛이었다.
배합 조건: 「KS-774」: 「PL-3」=100:0.6(중량부)
건조 조건:120℃×2분
제작한 보호 세퍼레이터 상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열전도성 점착 시트를 형성하고, 또한 받침대 세퍼레이터를 접합하고,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시트 제품을 제조하였다.
<절입에 있어서의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트 제품의 제조에 있어서, 점착 시트 및 보호 세퍼레이터에 절입을 형성하기 위해 펀칭을 행한 후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평가는, 100 샘플에 의해 행하고, 이하의 항목에 의해 판단하였다. 또한, 펀칭은, 톰슨 칼을 구비한 프레스기에 의해 행하고, 점착 시트 및 보호 세퍼레이터가 2cm×2cm의 정사각형 시트 형상 분할편으로 되도록 절입을 형성하였다. 또한, 하기의 기포 혼입수의 평가는, 펀칭 칼의 관통 부위가 없는 경우에 행하였다.
「평가 항목」
펀칭 칼의 관통 부위:있음 또는 없음
기포 혼입수:100 샘플당의 기포 혼입 샘플수
(펀칭 칼의 관통 부위가 없고, 기포 혼입수가 20 이하인 경우를 합격으로 함)
<박리력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시트 제품을, 폭 50㎜, 길이 100㎜로 절단하고, 박리력의 측정용 샘플을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인장 시험기(미네베아사제, 만능 인장 시험기 「TCM-1kNB」)를 사용하여, 23℃의 온도 조건하에서, 열전도성 점착 시트를 하측으로 해서, 세퍼레이터를 열전도성 점착 시트로부터 180도의 각도로, 인장 속도 300㎜/분으로 벗겨낼 때에 필요로 하는 힘을 박리력으로서 구하였다.
<사용시의 작업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시트 제품의 100 샘플을, 실제로 박리하고, 「원하지 않는 박리」, 또는, 보호 세퍼레이터만의 박리의 발생수(박리 불량수)를 카운트 함으로써 평가하였다. 또한, 상술한 「절입에 있어서의 평가」에서 합격하지 못한 것은, 본 평가를 행하지 않았다.
「평가 항목」
박리 불량수:100 샘플당의 박리 불량 샘플수
(박리 불량수가 20 이하인 경우를 합격으로 함)
<열저항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시트 제품을, 폭 20㎜×길이 20㎜로 절단하고, 받침대 세퍼레이터 및 보호 세퍼레이터를 제거하고, 측정용의 열전도성 점착 시트의 샘플을 제작하였다.
열저항의 측정에는, 에스펙사제 「TC-200」을 사용하였다. 측정 조건으로서는, 하중을 100N, 발열체의 온도를 80℃로 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트 제품에 있어서의 각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표 1의 결과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1은, 펀칭 칼의 관통이 일어났다. 또한, 비교예 2는, 펀칭 시에 기포의 혼입이 일어나기 쉽고, 비교예 3, 4는, 작업성이 떨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예 5는, 펀칭 시에 기포의 혼입이 매우 일어나기 쉬웠다.
1 : 점착 시트
2 : 받침대 세퍼레이터
3 : 보호 세퍼레이터
4 : 발열체
5 : 시트 제품
A : 절입

Claims (7)

  1. 점착성을 갖는 시트 형상의 점착 시트와, 상기 점착 시트로부터 박리할 수 있게 상기 점착 시트의 한쪽 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점착 시트를 지지하여 토대를 이루는 받침대 세퍼레이터와, 상기 점착 시트로부터 박리할 수 있게 상기 점착 시트의 다른 쪽 면측에 배치된 보호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시트 제품이며,
    상기 점착 시트와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 사이의 박리력이 상기 점착 시트와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 사이의 박리력보다 작고 또한 0.05 내지 0.8N/50㎜이며, 상기 점착 시트 및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는, 서로 겹친 상태에서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로부터 분할편으로서 박리할 수 있게 상기 점착 시트의 두께 방향으로 절입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의 두께가 60㎛ 이상이며,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 및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는, 점착 시트측의 표면 거칠기 Ra가 모두 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가 아크릴 중합체와 열전도성 충전제를 포함하는 시트 제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입은, 겹친 상기 점착 시트 및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의 분할편이 시트 형상의 직사각형의 작은 조각으로 되어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로부터 박리할 수 있게, 격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시트 제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 시트와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 사이의 박리력이 0.05N/50㎜를 초과하는 것인 시트 제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의 두께가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의 두께 미만인 시트 제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의 두께가 20㎛ 이상인 시트 제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 세퍼레이터 및 상기 보호 세퍼레이터가 동종의 기재로 구성되어 있는 시트 제품.
KR1020137000037A 2010-06-03 2011-05-27 시트 제품 KR201301063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27890A JP2011252109A (ja) 2010-06-03 2010-06-03 シート製品
JPJP-P-2010-127890 2010-06-03
PCT/JP2011/062201 WO2011152305A1 (ja) 2010-06-03 2011-05-27 シート製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343A true KR20130106343A (ko) 2013-09-27

Family

ID=45066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0037A KR20130106343A (ko) 2010-06-03 2011-05-27 시트 제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078406A1 (ko)
EP (1) EP2578652A1 (ko)
JP (1) JP2011252109A (ko)
KR (1) KR20130106343A (ko)
CN (1) CN102933673A (ko)
TW (1) TW201207077A (ko)
WO (1) WO20111523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25186B2 (ja) * 2012-08-23 2018-05-16 積水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熱伝導性シート
JP6378533B2 (ja) * 2013-06-01 2018-08-22 日東電工株式会社 熱伝導性粘着シート
JP2015201573A (ja) * 2014-04-09 2015-11-12 富士高分子工業株式会社 放熱シート
EP2957604A1 (de) * 2014-06-18 2015-12-23 HILTI Aktiengesellschaft Brandschutz-Zusammensetzung und deren Verwendung
KR101852370B1 (ko) 2015-08-04 2018-04-27 주식회사 지인테크 딥 드로잉 가공용 다층 구조의 표면보호용 테이프
JP2017183643A (ja) * 2016-03-31 2017-10-0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子デバイスパッケージ、電子デバイス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デバイスパッケージ用テープ
JP6895250B2 (ja) * 2016-12-28 2021-06-30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7101693B2 (ja) * 2017-09-28 2022-07-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熱シートおよび放熱シート付きデバイス
JP7084023B2 (ja) * 2018-03-23 2022-06-14 プラス株式会社 文具用粘着剤組成物及び積層体
JP6807419B2 (ja) * 2019-02-20 2021-01-06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Euv用ペリクル
CN115626804B (zh) * 2022-11-18 2023-06-02 吉林省圣鑫建筑材料有限公司 一种高强度环氧树脂混凝土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94381A (en) * 1979-12-27 1981-07-30 Toyonori Tamada Tools to attach poster*etc*
US6228449B1 (en) * 1994-01-31 2001-05-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heet material
JP2601131Y2 (ja) * 1994-12-15 1999-11-08 日東電工株式会社 セパレータ付粘着シート
JP2001088109A (ja) * 1999-09-27 2001-04-03 Sekisui Chem Co Ltd コンクリート表面硬化遅延テープもしくはシート
JP2002084083A (ja) 2000-07-06 2002-03-22 Fuji Kobunshi Kogyo Kk 放熱シート製品
AU2003211120A1 (en) * 2002-03-02 2003-09-16 Polymeric Converting Llc Removable labels, coupons and the like
JP2005015933A (ja) 2003-06-24 2005-01-20 Nitto Denko Corp 剥離紙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により作製された剥離紙
JP2005154689A (ja) * 2003-11-28 2005-06-16 Hitachi Chem Co Ltd セパレータ付き感圧型接着シート及び光学部材組立体並びにその組立方法
JP2005350650A (ja) * 2004-05-14 2005-12-22 Nitto Denko Corp 剥離ライナー及びそれを用いた感圧性接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4912635B2 (ja) * 2005-08-01 2012-04-11 リンテック株式会社 貼着部材および光学部品の貼着方法
JP2007059464A (ja) 2005-08-22 2007-03-08 Denki Kagaku Kogyo Kk シート製品
JP4875357B2 (ja) * 2005-12-19 2012-02-1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US7794832B2 (en) * 2006-05-18 2010-09-14 Neenah Paper, Inc. Self-releasing lint tape
JP4781185B2 (ja) * 2006-07-18 2011-09-28 日東電工株式会社 耐熱ダイシングテープ又はシート
JP5425376B2 (ja) * 2006-08-11 2014-02-26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および長尺帯状物の巻回体
JP2009045789A (ja) * 2007-08-17 2009-03-05 Polymatech Co Ltd シート積層体及びシート状成形体の装着方法
JP5787463B2 (ja) * 2007-08-24 2015-09-30 日東電工株式会社 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部品固定用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ハードディスクドライブ
JP5156511B2 (ja) * 2008-07-11 2013-03-06 ポリマテック株式会社 熱伝導性シート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78652A1 (en) 2013-04-10
CN102933673A (zh) 2013-02-13
US20130078406A1 (en) 2013-03-28
WO2011152305A1 (ja) 2011-12-08
TW201207077A (en) 2012-02-16
JP2011252109A (ja) 201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06343A (ko) 시트 제품
JP5651344B2 (ja) 熱伝導性両面粘着シート
JP4848434B2 (ja) 熱伝導性粘着剤組成物および熱伝導性粘着シート
JP5951216B2 (ja) 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20130050909A (ko) 열전도성 점착 시트의 제조 방법
JP6271122B2 (ja) 半導体装置、光半導体装置および放熱部材
WO2011145523A1 (ja) 熱伝導性粘着シート
KR102467131B1 (ko) 다이싱 다이 본드 필름,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반도체 장치
KR102012066B1 (ko) 점착 시트 및 광학 부재
CN111492007A (zh) 树脂组合物、树脂层、及层叠片
JP2011241328A (ja) 熱伝導性粘着シート
JP6336288B2 (ja) 熱伝導性両面粘着シート
JP6125157B2 (ja) 粘着シート
CN112210325A (zh) 粘合剂组合物
WO2024106156A1 (ja) 積層体
EP4317341A1 (en) Adhesive sheet
KR20220128582A (ko)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 시트
CN114729243A (zh) 粘着性组合物、粘着剂及粘着片
JP2022112539A (ja) 両面粘着シート
CN114806449A (zh) 双面粘合片
JP5314999B2 (ja) 導電性粘着剤の製造方法、導電性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剥離シート付き導電性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CN112210313A (zh) 半导体器件生产用耐热性压敏粘合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