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6084A - 직선형 배기관 및 그 직선형 배기관을 이용한 배기관 - Google Patents

직선형 배기관 및 그 직선형 배기관을 이용한 배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6084A
KR20130106084A KR1020120027713A KR20120027713A KR20130106084A KR 20130106084 A KR20130106084 A KR 20130106084A KR 1020120027713 A KR1020120027713 A KR 1020120027713A KR 20120027713 A KR20120027713 A KR 20120027713A KR 20130106084 A KR20130106084 A KR 20130106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traight
exhaust pipe
bear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7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2640B1 (ko
Inventor
원영식
Original Assignee
원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영식 filed Critical 원영식
Priority to KR1020120027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2640B1/ko
Publication of KR20130106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6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2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2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 B08B9/045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the cleaning devices being rotated while moved, e.g. flexible rotating shaft or "sna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4Preventing accumulation of dirt or other matter in the pipes, e.g. by traps, by str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선형 배기관이 포함된 배기관의 내부면을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브러쉬를 통해 연속 또는 주기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직선형 배기관 및 그 직선형 배기관을 이용한 배기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직선형 배기관은, 둘레에는 연결관이 구비되고 양측의 둘레에는 플랜지가 형성된 연결 직선관과; 상기 연결 직선관의 양측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베어링이 장착되며 둘레에는 다수의 배기가스 통과홀이 형성된 베어링 브라켓과; 상기 양측 베어링 브라켓의 베어링에 양측이 관통 설치되고 일,타측 단부에는 사각홈과 사각축이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통해 상기 연결 직선관의 내부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이탈시키는 브러쉬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직선형 배기관 및 그 직선형 배기관을 이용한 배기관{Straight pipe and an exhaust pip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직선형 배기관 및 그 직선형 배기관을 이용한 배기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선형 배기관이 포함된 배기관의 내부면을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브러쉬를 통해 연속 또는 주기적으로 청소할 수 있는 직선형 배기관 및 그 직선형 배기관을 이용한 배기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특히 반도체 공장 등에 시공되어 사용되는 배기관은, 생산공정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고온의 가스 또는 유독성 가스 등을 배기할 수 있도록 통상적으로 금속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배기가 진행되는 과정에서는 배기관의 내부면에 배기가스에 포함된 흡착성 이물질이 흡착되어 고착된다. 이로 인해 배기관을 장기간 동안 사용하게 되면, 배기관 내부에 고착된 이물질의 두께가 두꺼워져 배기관의 배기 성능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 되고, 좀 더 기간의 경과되면 배기관이 완전히 막혀 공장내의 배기 불량으로 인해 질식 사고도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에, 종래에는 배기관 내부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일정 기간마다 배기관의 외부를 막대기 등의 봉으로 타격하여 충격을 주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배기관의 외부를 봉으로 타격하여 내부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이탈 제거시키는 과정에서는, 이탈된 고착 덩어리가 배관의 내부에 쌓여 잔류됨으로써 배기관의 내부 단면적이 오히려 더 줄어들게 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종래에 봉의 타격을 통해 배관을 주기적으로 청소하게 되면, 배기관의 내부 하부에 고착 덩어리가 잔류됨에 따라, 배기성능을 오히려 더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종래에는 어쩔 수 없이 일정기간이 경과되면, 배기관을 전체적으로 해체하여 배기관의 내부를 수동으로 청소하거나 배기관을 교체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배기관을 전체적으로 해체하여 배기관을 청소하거나 교체할 경우에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들게 되고 생산라인을 중단시켜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직선형 배기관이 포함된 배기관의 내부면을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브러쉬를 통해 연속 또는 주기적으로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직선형 배기관 및 그 직선형 배기관을 이용한 배기관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은, 둘레에는 연결관이 구비되고 양측의 둘레에는 플랜지가 형성된 연결 직선관과; 상기 연결 직선관의 양측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베어링이 장착되며 둘레에는 다수의 배기가스 통과홀이 형성된 베어링 브라켓과; 상기 양측 베어링 브라켓의 베어링에 양측이 관통 설치되고 일,타측 단부에는 사각홈과 사각축이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통해 상기 연결 직선관의 내부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이탈시키는 브러쉬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은, 양측의 둘레에는 플랜지가 형성된 연결 직선관과; 상기 연결 직선관의 양측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베어링이 장착되며 둘레에는 다수의 배기가스 통과홀이 형성된 베어링 브라켓과; 상기 양측 베어링 브라켓의 베어링에 양측이 관통 설치되고 일,타측 단부에는 사각홈과 사각축이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통해 상기 연결 직선관의 내부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이탈시키는 브러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은, 양측의 둘레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양측의 길이가 조정되게 자바라 관부가 구비된 연결 직선관과; 상기 연결 직선관의 양측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베어링이 장착되며 둘레에는 다수의 배기가스 통과홀이 형성된 베어링 브라켓과; 상기 양측 베어링 브라켓의 베어링에 양측이 관통 설치되고, 타측의 축이 일측의 축에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일,타측 단부에는 사각홈과 사각축이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통해 상기 연결 직선관의 내부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이탈시키는 브러쉬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어링 브라켓은, 상기 연결 직선관의 단부에 플랜지 이음을 통해 설치되고, 중앙에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며, 중앙의 둘레에는 상기 배기가스 통과홀이 다수의 연결대의 사이에 형성된 커버판과; 상기 커버판의 내측 중앙에 상기 연결대들에 볼트 결합을 통해 장착되고, 내부에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베어링이 구비된 베어링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러쉬부는,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돌출되게 고정부를 통해 구비되며, 외측에는 브러쉬만 또는 브러쉬와 밀착판이 구비된 브러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직선형 배기관의 이용한 배기관은, 둘레에는 연결관이 구비되고 양측의 둘레에는 플랜지가 형성된 연결 직선관과, 상기 연결 직선관의 양측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베어링이 장착되며 둘레에는 다수의 배기가스 통과홀이 형성된 베어링 브라켓과, 상기 양측 베어링 브라켓의 베어링에 양측이 관통 설치되고 일,타측 단부에는 사각홈과 사각축이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통해 상기 연결 직선관의 내부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이탈시키는 브러쉬부, 포함하는 직선형 배기관과; 상기 타측의 베어링 브라켓의 외측에 상기 타측의 베어링 브라켓의 외측을 막으면서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게 설치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베어링 브라켓의 외측에 프랜지 이음을 통해 설치되고, 중앙에는 회전축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체와; 상기 회전축 관통홀에 장착되고, 단부에는 상기 회전축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사각홈에 삽입 연결되는 사각축이 형성된 구동 회전축과; 상기 고정체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 구동부는, 상기 고정체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회전축에 연결된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의 입력축과 연결되어 감속기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선형 배기관 일측의 베어링 브라켓의 외측에 설치되며, 양측의 둘레에는 플랜지가 형성된 연결 직선관과; 상기 연결 직선관의 양측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베어링이 장착되며 둘레에는 다수의 배기가스 통과홀이 형성된 베어링 브라켓과; 상기 양측 베어링 브라켓의 베어링에 양측이 관통 설치되고 일,타측 단부에는 사각홈과 사각축이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통해 상기 연결 직선관의 내부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이탈시키는 브러쉬부로 구성된 직선형 배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선형 배기관 일측의 베어링 브라켓의 외측에 설치되며, 양측의 둘레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양측의 길이가 조정되게 자바라 관부가 구비된 연결 직선관과; 상기 연결 직선관의 양측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베어링이 장착되며 둘레에는 다수의 배기가스 통과홀이 형성된 베어링 브라켓과; 상기 양측 베어링 브라켓의 베어링에 양측이 관통 설치되고, 타측의 축이 일측의 축에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일,타측 단부에는 사각홈과 사각축이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통해 상기 연결 직선관의 내부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이탈시키는 브러쉬부로 구성된 직선형 배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선형 배기관 중 하나의 일측 베어링 브라켓의 외측에 설치되며,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관의 직경이 줄어들게 구성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타측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베어링이 장착되며 둘레에는 다수의 배기가스 통과홀이 형성되어 있는 베어링 브라켓과, 상기 베어링 브라켓의 베어링에 타측이 관통되어 설치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직선형 배기관에 장착된 회전축의 사각축이 삽입 연결되는 사각홈이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통해 상기 배출관의 내부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이탈시키는 브러쉬부로 구성된 배출 배기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어링 브라켓은, 상기 연결 직선관 또는 직관형 배기관의 단부에 플랜지 이음을 통해 설치되고, 중앙에는 회전축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며, 중앙의 둘레에는 상기 배기가스 통과홀이 다수의 연결대의 사이에 형성된 커버판과; 상기 커버판의 내측 중앙에 상기 연결대들에 볼트 결합을 통해 장착되고, 내부에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베어링이 구비된 베어링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러쉬부는,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돌출되게 고정부를 통해 구비되며, 외측에는 브러쉬만 또는 브러쉬와 밀착판이 구비된 브러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직선형 배기관이 포함된 배기관의 내부면을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브러쉬를 통해 연속 또는 주기적으로 청소를 함으로써, 배기관을 장기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배기관의 배기 성능이 저하되거나 배기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이 장착된 배기관을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단면도이고,
도 1b는 직선형 배기관과 배출 배기관의 연결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직선형 배기관과 배출 배기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선형 배기관의 내부에 장착되는 브러쉬부를 확대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 배기관의 내부에 장착되는 브러쉬부를 확대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이 장착된 배기관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직선형 배기관들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직선형 배기관들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이 장착된 배기관을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직선형 배기관들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직선형 배기관들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이 장착된 배기관을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단면도이고, 도 1b는 직선형 배기관과 배출 배기관의 연결 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직선형 배기관과 배출 배기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선형 배기관의 내부에 장착되는 브러쉬부를 확대 도시한 개략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1)은, 둘레에 연결관(12)이 구비되고 양측의 둘레에는 플랜지(3)가 형성된 연결 직선관(11)과, 상기 연결 직선관(11)의 양측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베어링(45)의 장착되며 둘레에는 다수의 배기가스 통과홀(42)이 형성된 베어링 브라켓(4)과, 상기 양측 베어링 브라켓(4)의 베어링(45)에 양측이 관통 설치되고 일,타측 단부에는 사각홈(S2)과 사각축(S1)이 형성된 회전축(S)과, 상기 회전축(S)의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S)의 회전을 통해 상기 연결 직선관(11)의 내부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이탈시키는 브러쉬부(5)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S)의 일,타측 단부에 구비된 사각홈(S2)과 사각축(S1)의 단면적은, 다른 직선형 배기관(1)이나 후술할 배출 배기관(2)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호 동일한 단면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 브라켓(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직선관(11)의 단부에 플랜지 이음을 통해 설치되고, 중앙에는 상기 회전축(S)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며, 중앙의 둘레에는 상기 배기가스 통과홀(42)이 다수의 연결대(43)의 사이에 형성된 커버판(41)과; 상기 커버판(41)의 내측 중앙에 상기 연결대(43)들에 볼트 결합을 통해 장착되고, 내부에는 상기 직선형 배기관(1)의 회전축(S)이 관통되는 베어링(45)이 구비된 베어링 고정판(44)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 이음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이음으로써 이미 공지된 것이다.
즉 상기 베어링 고정판(44)은, 연결대(43)의 형성된 탭홀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45)은, 미끄럼 베어링이나 볼 베어링 또는 롤러 베어링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미끄럼 베어링을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브러쉬부(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S)의 둘레에 돌출되게 고정부(51)를 통해 구비되며, 외측에는 브러쉬(521)만 또는 브러쉬(521)와 밀착판(522)이 구비된 브러쉬판(52)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51)는, 회전축(S)의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브러쉬판(52)이 리벳이나 볼트로 고정되는 브라켓(511)을 포함하는데, 도면에서는 리벳(513)으로 브러쉬판(52)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상기 브러쉬판(52)은, 연결 직선관(11)의 내면에 밀착되는 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S)의 중간에는 브러쉬(521)만 구비된 브러쉬판(52)을 사용하고, 회전축(S)의 양측에는 브러쉬(521)와 밀착판(522)이 구비된 브러쉬판(52)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을 이용한 배기관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1)을 이용한 배기관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선형 배기관(1)과, 상기 직선형 배기관(1) 타측의 베어링 브라켓(4)의 외측에 설치되는 구동부(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6)는, 상기 직선형 배기관(1) 타측의 베어링 브라켓(4)의 외측에 상기 타측의 베어링 브라켓(4)의 외측을 막으면서 상기 회전축(S)과 연결되게 설치되어 회전축(S)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구동부(6)는, 상기 베어링 브라켓(4)의 외측에 플랜지 이음을 통해 설치되고 중앙에는 회전축 관통홀(611)이 형성된 고정체(61)와, 상기 회전축 관통홀(611)에 장착되고 단부에는 상기 회전축(S)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사각홈(S2)에 삽입 연결되는 사각축(S1)이 형성된 구동 회전축(62)과, 상기 고정체(61)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 회전축(62)을 회전시키는 모터 구동부(63)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 구동부(63)는, 상기 고정체(61)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회전축(62)에 연결된 감속기(631)와, 상기 감속기(631)의 입력축과 연결되어 감속기(631)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632)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 배기관의 내부에 장착되는 브러쉬부를 확대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1)을 이용한 배기관은, 도 2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선형 배기관(1)의 외측에는 배출 배기관(2)이 더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배출 배기관(2)은, 상기 직선형 배기관(1) 일측의 베어링 브라켓(4)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관의 직경이 줄어들게 구성된 배출관(21)과, 상기 배출관(21)의 타측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베어링(45)이 장착되며 둘레에는 다수의 배기가스 통과홀(42)이 형성되어 있는 베어링 브라켓(4)과, 상기 베어링 브라켓(4)의 베어링(45)에 타측이 관통되어 설치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직선형 배기관(1)에 장착된 회전축(S)의 사각축(S1)이 삽입 연결되는 사각홈(S2)이 형성된 회전축(S)과, 상기 회전축(S)의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S)의 회전을 통해 상기 배출관(21)의 내부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이탈시키는 브러쉬부(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 배기관(2) 타측의 베어링 브라켓(4)은 상기 직선형 배기관(1) 일측의 베어링 브라켓(4)과 플랜지 이음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배출 배기관(2)은, 배기관의 배출 단부나 투입 단부에 설치되어 배기 가스를 배출하거나 투입받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브러쉬부(5)는, 상기 회전축(S)의 둘레에 돌출되게 고정부(51)를 통해 구비되며, 외측에는 브러쉬(521)만 또는 브러쉬(521)와 밀착판(522)이 구비된 브러쉬판(52)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51)는, 회전축(S)의 둘레에 상기 브러쉬판(52)이 삽입되어 리벳이나 볼트로 고정되는 함몰홈(514)을 포함하는데, 도면에서는 리벳(515)으로 브러쉬판(52)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상기 브러쉬판(52)은, 상기 배출관(21)의 내면에 밀착되는 면적으로 넓힐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S)의 일측에는 브러쉬(521)만 구비된 브러쉬판(52)을 사용하고, 회전축(S)의 타측에는 브러쉬(521)와 밀착판(522)이 구비된 브러쉬판(52)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어링 브라켓(4)은, 상술한 직선형 배기관(1)의 양측에 장착되는 베어링 브라켓(4)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모터 구동부(63)의 모터(632)가 회전되면, 회전력이 상기 직선형 배기관(1)과 배출 배기관(2)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축(S)으로 전달됨으로써, 각각의 회전축(S)의 둘레에 구비된 브러쉬부(5)가 회전된다.
그러므로 상기 각각의 회전축(S)의 둘레에 구비된 브러쉬부(5)가 직선형 배기관(1)과 배출 배기관(2)의 내부면에 밀착 회전됨으로써, 배기관의 내부를 연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청소할 수 있음에 따라, 배기관을 장기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배기관의 배기 성능이 저하되거나 배기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이 장착된 배기관을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직선형 배기관들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직선형 배기관들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1)은, 양측의 둘레에는 플랜지(3)가 형성된 연결 직선관(11)과; 상기 연결 직선관(11)의 양측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베어링(45)이 장착되며 둘레에는 다수의 배기가스 통과홀(42)이 형성된 베어링 브라켓(4)과; 상기 양측 베어링 브라켓(4)의 베어링(45)에 양측이 관통 설치되고 일,타측 단부에는 사각홈(S2)과 사각축(S1)이 형성된 회전축(S)과; 상기 회전축(S)의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S)의 회전을 통해 상기 연결 직선관(11)의 내부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이탈시키는 브러쉬부(5)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S)의 일,타측 단부에 구비된 사각홈(S2)과 사각축(S1)의 단면적은, 다른 직선형 배기관(1)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호 동일한 단면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 브라켓(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직선관(11)의 단부에 플랜지 이음을 통해 설치되고, 중앙에는 상기 회전축(S)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며, 중앙의 둘레에는 상기 배기가스 통과홀(42)이 다수의 연결대(43)의 사이에 형성된 커버판(41)과; 상기 커버판(41)의 내측 중앙에 상기 연결대(43)들에 볼트 결합을 통해 장착되고, 내부에는 상기 직선형 배기관(1)의 회전축(S)이 관통되는 베어링(45)이 구비된 베어링 고정판(44)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 이음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이음으로써 이미 공지된 것이다.
즉 상기 베어링 고정판(44)은, 연결대(43)의 형성된 탭홀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45)은, 미끄럼 베어링이나 볼 베어링 또는 롤러 베어링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미끄럼 베어링을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브러쉬부(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S)의 둘레에 돌출되게 고정부(51)를 통해 구비되며, 외측에는 브러쉬(521)만 또는 브러쉬(521)와 밀착판(522)이 구비된 브러쉬판(52)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51)는, 회전축(S)의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브러쉬판(52)이 리벳이나 볼트로 고정되는 브라켓(511)을 포함하는데, 도면에서는 리벳(513)으로 브러쉬판(52)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상기 브러쉬판(52)은, 연결 직선관(11)의 내면에 밀착되는 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S)의 중간에는 브러쉬(521)만 구비된 브러쉬판(52)을 사용하고, 회전축(S)의 양측에는 브러쉬(521)와 밀착판(522)이 구비된 브러쉬판(52)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직관용 배기관을 이용한 배기관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1)을 이용한 배기관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선형 배기관(1)과, 상기 직선형 배기관(1) 타측의 베어링 브라켓(4)의 외측에 설치되는 구동부(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6)는, 상기 직선형 배기관(1) 타측의 베어링 브라켓(4)의 외측에 상기 타측의 베어링 브라켓(4)의 외측을 막으면서 상기 회전축(S)과 연결되게 설치되어 회전축(S)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구동부(6)는, 상기 베어링 브라켓(4)의 외측에 프랜지 이음을 통해 설치되고 중앙에는 회전축 관통홀(611)이 형성된 고정체(61)와, 상기 회전축 관통홀(611)에 장착되고 단부에는 상기 회전축(S)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사각홈(S2)에 삽입 연결되는 사각축(S1)이 형성된 구동 회전축(62)과, 상기 고정체(61)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 회전축(62)을 회전시키는 모터 구동부(63)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 구동부(63)는, 상기 고정체(61)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회전축(62)에 연결된 감속기(631)와, 상기 감속기(631)의 입력축과 연결되어 감속기(631)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632)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1)을 이용한 배기관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선형 배기관(1)의 외측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1)이 더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2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1)은, 상기 직관형 배기관(1) 일측의 베어링 브라켓(4)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양측의 둘레에는 플랜지(3)가 형성된 연결 직선관(11)과, 상기 연결 직선관(11)의 양측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베어링(45)이 장착되며 둘레에는 다수의 배기가스 통과홀(42)이 형성된 베어링 브라켓(4)과, 상기 양측 베어링 브라켓(4)의 베어링(45)에 양측이 관통 설치되고 일,타측 단부에는 사각홈(S2)과 사각축(S1)이 형성된 회전축(S)과, 상기 회전축(S)의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S)의 회전을 통해 상기 연결 직선관(11)의 내부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이탈시키는 브러쉬부(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브러쉬부(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S)의 둘레에 돌출되게 고정부(51)를 통해 구비되며, 외측에는 브러쉬(521)만 또는 브러쉬(521)와 밀착판(522)이 구비된 브러쉬판(52)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51)는, 회전축(S)의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브러쉬판(52)이 리벳이나 볼트로 고정되는 브라켓(511)을 포함하는데, 도면에서는 리벳(513)으로 브러쉬판(52)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상기 브러쉬판(52)은, 연결 직선관(11)의 내면에 밀착되는 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S)의 중간에는 브러쉬(521)만 구비된 브러쉬판(52)을 사용하고, 회전축(S)의 양측에는 브러쉬(521)와 밀착판(522)이 구비된 브러쉬판(52)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어링 브라켓(4)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1)의 양측에 장착되는 베어링 브라켓(4)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모터 구동부(63)의 모터(632)가 회전되면, 회전력이 상기 제1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1)과 제2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1)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축(S)으로 전달됨으로써, 각각의 회전축(S)의 둘레에 구비된 브러쉬부(5)가 회전된다. 그러므로 상기 각각의 회전축(S)의 둘레에 구비된 브러쉬부(5)가 제1 실시에의 직선형 배기관(1)과 제2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1)의 내부면에 밀착 회전됨으로써, 배기관의 내부를 연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청소할 수 있음에 따라, 배기관을 장기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배기관의 배기 성능이 저하되거나 배기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따른 상기 제2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1)에는 상기 배출 배기관(2)이 더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이 장착된 배기관을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선형 배기관들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직선형 배기관들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1)은, 양측의 둘레에는 플랜지(3)가 형성되고 양측의 길이가 조정되게 자바라 관부(111)가 구비된 연결 직선관(11)과; 상기 연결 직선관(11)의 양측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베어링(45)이 장착되며 둘레에는 다수의 배기가스 통과홀(42)이 형성된 베어링 브라켓(4)과; 상기 양측 베어링 브라켓(4)의 베어링(45)에 양측이 관통 설치되고, 타측의 축(S4)이 일측의 축(S3)에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회전축(S)의 일,타측 단부에는 사각홈(S2)과 사각축(S1)이 형성된 회전축(S)과; 상기 회전축(S)의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S)의 회전을 통해 상기 연결 직선관(11)의 내부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이탈시키는 브러쉬부(5); 포함한다.
상기 일측의 축(S3)의 타측은 관으로 구성되고, 타측의 축(S4)는 봉으로 구성됨에 따라 타측의 축(S4)이 일측의 축(S3)에 신축과 신장이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서, 상기 일,타측의 축(S3)(S4)이 자바라 관부(111)의 신축 또는 신장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1)의 양측 거리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회전축(S)의 일,타측 단부에 구비된 사각홈(S2)과 사각축(S1)의 단면적은, 다른 직선형 배기관(1)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호 동일한 단면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 브라켓(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직선관(11)의 단부에 플랜지 이음을 통해 설치되고, 중앙에는 상기 회전축(S)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며, 중앙의 둘레에는 상기 배기가스 통과홀(42)이 다수의 연결대(43)의 사이에 형성된 커버판(41)과; 상기 커버판(41)의 내측 중앙에 상기 연결대(43)들에 볼트 결합을 통해 장착되고, 내부에는 상기 직선형 배기관(1)의 회전축(S)이 관통되는 베어링(45)이 구비된 베어링 고정판(44)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 이음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이음으로써 이미 공지된 것이다.
즉 상기 베어링 고정판(44)은, 연결대(43)의 형성된 탭홀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45)은, 미끄럼 베어링이나 볼 베어링 또는 롤러 베어링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미끄럼 베어링을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브러쉬부(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S)의 둘레에 돌출되게 고정부(51)를 통해 구비되며, 외측에는 브러쉬(521)만 또는 브러쉬(521)와 밀착판(522)이 구비된 브러쉬판(52)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51)는, 회전축(S)의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브러쉬판(52)이 리벳이나 볼트로 고정되는 브라켓(511)을 포함하는데, 도면에서는 리벳(513)으로 브러쉬판(52)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상기 브러쉬판(52)은, 연결 직선관(11)의 내면에 밀착되는 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S)의 중간에는 브러쉬(521)만 구비된 브러쉬판(52)을 사용하고, 회전축(S)의 양측에는 브러쉬(521)와 밀착판(522)이 구비된 브러쉬판(52)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직관용 배기관을 이용한 배기관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직관용 배기관(1)을 이용한 배기관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1)과, 상기 제1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1) 타측의 베어링 브라켓(4)의 외측에 설치되는 구동부(6)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6)는, 상기 직선형 배기관(1) 타측의 베어링 브라켓(4)의 외측에 상기 타측의 베어링 브라켓(4)의 외측을 막으면서 상기 회전축(S)과 연결되게 설치되어 회전축(S)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구동부(6)는, 상기 베어링 브라켓(4)의 외측에 프랜지 이음을 통해 설치되고 중앙에는 회전축 관통홀(611)이 형성된 고정체(61)와, 상기 회전축 관통홀(611)에 장착되고 단부에는 상기 회전축(S)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사각홈(S2)에 삽입 연결되는 사각축(S1)이 형성된 구동 회전축(62)과, 상기 고정체(61)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 회전축(62)을 회전시키는 모터 구동부(63)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 구동부(63)는, 상기 고정체(61)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회전축(62)에 연결된 감속기(631)와, 상기 감속기(631)의 입력축과 연결되어 감속기(631)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632)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1)을 이용한 배기관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선형 배기관(1)의 외측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1)이 더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제3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1)은, 상기 제1 실시예의 직관형 배기관(1) 일측의 베어링 브라켓(4)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양측의 둘레에는 플랜지(3)가 형성되고 양측의 길이가 조정되게 자바라 관부(111)가 구비된 연결 직선관(11)과; 상기 연결 직선관(11)의 양측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베어링(45)이 장착되며 둘레에는 다수의 배기가스 통과홀(42)이 형성된 베어링 브라켓(4)과; 상기 양측 베어링 브라켓(4)의 베어링(45)에 양측이 관통 설치되고, 타측의 축(S4)이 일측의 축(S3)에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일,타측 단부에는 사각홈(S2)과 사각축(S1)이 형성된 회전축(S)과; 상기 회전축(S)의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S)의 회전을 통해 상기 연결 직선관(11)의 내부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이탈시키는 브러쉬부(5);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브러쉬부(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S)의 둘레에 돌출되게 고정부(51)를 통해 구비되며, 외측에는 브러쉬(521)만 또는 브러쉬(521)와 밀착판(522)이 구비된 브러쉬판(52)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51)는, 회전축(S)의 둘레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브러쉬판(52)이 리벳이나 볼트로 고정되는 브라켓(511)을 포함하는데, 도면에서는 리벳(513)으로 브러쉬판(52)을 고정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상기 브러쉬판(52)은, 연결 직선관(11)의 내면에 밀착되는 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S)의 중간에는 브러쉬(521)만 구비된 브러쉬판(52)을 사용하고, 회전축(S)의 양측에는 브러쉬(521)와 밀착판(522)이 구비된 브러쉬판(52)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어링 브라켓(4)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1)의 양측에 장착되는 베어링 브라켓(4)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음에 따라,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모터 구동부(63)의 모터(632)가 회전되면, 회전력이 상기 제1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1)과 제3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1)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축(S)으로 전달됨으로써, 각각의 회전축(S)의 둘레에 구비된 브러쉬부(5)가 회전된다. 그러므로 상기 각각의 회전축(S)의 둘레에 구비된 브러쉬부(5)가 제1 실시에의 직선형 배기관(1)과 제3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1)의 내부면에 밀착 회전됨으로써, 배기관의 내부를 연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청소할 수 있음에 따라, 배기관을 장기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배기관의 배기 성능이 저하되거나 배기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1)은, 내부의 일,타측 축(S3)(S4)의 길이 조정을 가능하고 외측에 자바라 관부(111)가 구비됨으로써, 관의 연결시 폭이 좁거나 넓을 경우에 직선형 배기관(1)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배기관을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제3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1)을 제1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1)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3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1)은 제2 실시예의 직선형 배기관(1)이나 상기 배출 배기관(2)에도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직선형 배기관
11 : 연결 직선관
111 : 자바라 관부
12 : 연결관
2 : 배출 배기관
21 : 배출관
3 : 플랜지
4 : 베어링 브라켓
41 : 커버판
42 : 배기가스 통과홀
43 : 연결대
44 : 베어링 고정판
45 : 베어링
5 : 브러쉬부
51 : 고정부
511 : 브라켓, 512 : 삽입홈, 513 : 리벳,
514 : 함몰홈, 515 : 리벳
52 : 브러쉬판
521 : 브러쉬, 522 : 밀착판
6 : 구동부
61 : 고정체
611 : 회전축 관통홀
62 : 구동 회전축
63 : 모터 구동부
631 : 감속기, 632 : 모터
S : 회전축

Claims (13)

  1. 둘레에는 연결관이 구비되고 양측의 둘레에는 플랜지가 형성된 연결 직선관과;
    상기 연결 직선관의 양측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베어링이 장착되며 둘레에는 다수의 배기가스 통과홀이 형성된 베어링 브라켓과;
    상기 양측 베어링 브라켓의 베어링에 양측이 관통 설치되고 일,타측 단부에는 사각홈과 사각축이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통해 상기 연결 직선관의 내부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이탈시키는 브러쉬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배기관.
  2. 양측의 둘레에는 플랜지가 형성된 연결 직선관과;
    상기 연결 직선관의 양측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베어링이 장착되며 둘레에는 다수의 배기가스 통과홀이 형성된 베어링 브라켓과;
    상기 양측 베어링 브라켓의 베어링에 양측이 관통 설치되고 일,타측 단부에는 사각홈과 사각축이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통해 상기 연결 직선관의 내부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이탈시키는 브러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배기관.
  3. 양측의 둘레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양측의 길이가 조정되게 자바라 관부가 구비된 연결 직선관과;
    상기 연결 직선관의 양측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베어링이 장착되며 둘레에는 다수의 배기가스 통과홀이 형성된 베어링 브라켓과;
    상기 양측 베어링 브라켓의 베어링에 양측이 관통 설치되고, 타측의 축이 일측의 축에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일,타측 단부에는 사각홈과 사각축이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통해 상기 연결 직선관의 내부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이탈시키는 브러쉬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배기관.
  4. 제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브라켓은,
    상기 연결 직선관의 단부에 플랜지 이음을 통해 설치되고, 중앙에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며, 중앙의 둘레에는 상기 배기가스 통과홀이 다수의 연결대의 사이에 형성된 커버판과;
    상기 커버판의 내측 중앙에 상기 연결대들에 볼트 결합을 통해 장착되고, 내부에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베어링이 구비된 베어링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배기관.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부는,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돌출되게 고정부를 통해 구비되며, 외측에는 브러쉬만 또는 브러쉬와 밀착판이 구비된 브러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배기관.
  6. 둘레에는 연결관이 구비되고 양측의 둘레에는 플랜지가 형성된 연결 직선관과, 상기 연결 직선관의 양측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베어링이 장착되며 둘레에는 다수의 배기가스 통과홀이 형성된 베어링 브라켓과, 상기 양측 베어링 브라켓의 베어링에 양측이 관통 설치되고 일,타측 단부에는 사각홈과 사각축이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통해 상기 연결 직선관의 내부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이탈시키는 브러쉬부, 포함하는 직선형 배기관과;
    상기 타측의 베어링 브라켓의 외측에 상기 타측의 베어링 브라켓의 외측을 막으면서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게 설치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배기관을 이용한 배기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베어링 브라켓의 외측에 프랜지 이음을 통해 설치되고, 중앙에는 회전축 관통홀이 형성된 고정체와;
    상기 회전축 관통홀에 장착되고, 단부에는 상기 회전축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사각홈에 삽입 연결되는 사각축이 형성된 구동 회전축과;
    상기 고정체의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배기관을 이용한 배기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구동부는,
    상기 고정체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회전축에 연결된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의 입력축과 연결되어 감속기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배기관을 이용한 배기관.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 배기관 일측의 베어링 브라켓의 외측에 설치되며, 양측의 둘레에는 플랜지가 형성된 연결 직선관과; 상기 연결 직선관의 양측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베어링이 장착되며 둘레에는 다수의 배기가스 통과홀이 형성된 베어링 브라켓과; 상기 양측 베어링 브라켓의 베어링에 양측이 관통 설치되고 일,타측 단부에는 사각홈과 사각축이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통해 상기 연결 직선관의 내부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이탈시키는 브러쉬부로 구성된 직선형 배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배기관을 이용한 배기관.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 배기관 일측의 베어링 브라켓의 외측에 설치되며, 양측의 둘레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양측의 길이가 조정되게 자바라 관부가 구비된 연결 직선관과;
    상기 연결 직선관의 양측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베어링이 장착되며 둘레에는 다수의 배기가스 통과홀이 형성된 베어링 브라켓과;
    상기 양측 베어링 브라켓의 베어링에 양측이 관통 설치되고, 타측의 축이 일측의 축에 길이 조정이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일,타측 단부에는 사각홈과 사각축이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통해 상기 연결 직선관의 내부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이탈시키는 브러쉬부로 구성된 직선형 배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배기관을 이용한 배기관.
  11. 제6항, 제9항,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형 배기관 중 하나의 일측 베어링 브라켓의 외측에 설치되며,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관의 직경이 줄어들게 구성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타측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베어링이 장착되며 둘레에는 다수의 배기가스 통과홀이 형성되어 있는 베어링 브라켓과, 상기 베어링 브라켓의 베어링에 타측이 관통되어 설치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직선형 배기관에 장착된 회전축의 사각축이 삽입 연결되는 사각홈이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통해 상기 배출관의 내부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이탈시키는 브러쉬부로 구성된 배출 배기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배기관을 이용한 배기관.
  12. 제6항, 제9항,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브라켓은,
    상기 연결 직선관 또는 직관형 배기관의 단부에 플랜지 이음을 통해 설치되고, 중앙에는 회전축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되며, 중앙의 둘레에는 상기 배기가스 통과홀이 다수의 연결대의 사이에 형성된 커버판과;
    상기 커버판의 내측 중앙에 상기 연결대들에 볼트 결합을 통해 장착되고, 내부에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는 베어링이 구비된 베어링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배기관을 이용한 배기관.
  13. 제6항, 제9항,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부는,
    상기 회전축의 둘레에 돌출되게 고정부를 통해 구비되며, 외측에는 브러쉬만 또는 브러쉬와 밀착판이 구비된 브러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형 배기관을 이용한 배기관.
KR1020120027713A 2012-03-19 2012-03-19 직선형 배기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배기장치 KR101362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713A KR101362640B1 (ko) 2012-03-19 2012-03-19 직선형 배기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7713A KR101362640B1 (ko) 2012-03-19 2012-03-19 직선형 배기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배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6084A true KR20130106084A (ko) 2013-09-27
KR101362640B1 KR101362640B1 (ko) 2014-02-12

Family

ID=49454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7713A KR101362640B1 (ko) 2012-03-19 2012-03-19 직선형 배기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26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70439A (zh) * 2020-05-26 2020-08-25 福州诺通网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不同类型塑料管道内壁清洗的清洗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429Y1 (ko) * 1990-02-28 1992-08-08 박영철 탈수기용 세척수 분사관의 막힘방지장치
KR100561192B1 (ko) 2005-10-18 2006-03-15 주식회사 삼진정밀 상수관용 스케일 제거장치
KR101011576B1 (ko) * 2010-04-05 2011-01-27 김영현 무동력 유리관 세척유닛을 구비한 수중용 자외선 살균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70439A (zh) * 2020-05-26 2020-08-25 福州诺通网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不同类型塑料管道内壁清洗的清洗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2640B1 (ko)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2544B1 (ko) 엘보우 및 그 엘보우를 포함하는 배기장치
EP2830979B1 (en) Hygienic drum motor
US20120186032A1 (en) Adjustable bolt cleaner
KR20130040186A (ko) 전력 조향장치
JP6113296B2 (ja) 内レースおよびブーツスリーブ
CN101832342A (zh) 挠性联轴器及方法
TW201705894A (zh) 具有可旋轉支承之清潔滾筒的清潔裝置
KR101362640B1 (ko) 직선형 배기관 및 이를 포함하는 배기장치
JP2012115927A (ja) マニピュレータ用関節部
FR2891036A1 (fr) Dispositif de palier a roulement et mecanisme de direction assistee pour vehicule
EP2613894A1 (en) Joint construction, ventilation arm and ventilation system
EP2593275A2 (en) Right angle drive having dual shaft bearings
WO2021171491A1 (ja) 転がり軸受の洗浄方法および転がり軸受の洗浄装置
JP6118711B2 (ja) 縦型スクリュープレス式濾過装置
JP2012520179A5 (ko)
US20160116023A1 (en) Right angle drive having dual shaft bearings
CN104641135A (zh) 滚动轴承以及具有该滚动轴承的旋转装置
CN112122709B (zh) 一种便携式输送管道除漆打磨装置
JP2008279861A5 (ko)
JP7417211B2 (ja) 清掃用ブラシ
JP2008240992A (ja) ハブユニット軸受
WO2014043596A1 (en) Rotor machine having oil slinger system
JP2009002480A5 (ko)
CN220967235U (zh) 滚刷及清洁设备
CN216279896U (zh) 一种加固型耐高温机械密封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