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5460A - 히트펌프 - Google Patents

히트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5460A
KR20130105460A KR1020130026261A KR20130026261A KR20130105460A KR 20130105460 A KR20130105460 A KR 20130105460A KR 1020130026261 A KR1020130026261 A KR 1020130026261A KR 20130026261 A KR20130026261 A KR 20130026261A KR 20130105460 A KR20130105460 A KR 20130105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porator
compressor
refrigerant
heat pump
expansion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9833B1 (ko
Inventor
신코 아카키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30105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5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9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9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2Heat pumps of the compress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2Defrosting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4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 F25B2400/0401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for the compr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01Bypass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3Expansion valves

Abstract

(과제) 제상운전에 의한 에너지 소비를 억제하여 히트펌프의 열효율을 향상시킨다.
(해결수단) 바이패스경로(50)는 압축기(34)로부터 응축기(36)를 거쳐 팽창밸브(38)에 이르는 냉매경로의 구간(44, 46)과 팽창밸브(38)로부터 증발기(32)를 거쳐 압축기(34)에 이르는 냉매경로의 구간(48)을 압축기(34) 및 팽창밸브(38)를 개재하지 않고 서로 접속하고 있다. 바이패스밸브(52)는 바이패스경로(50)를 개방/폐쇄하는 개폐밸브이다. 컨트롤러는 압축기(34)를 정지한 후에 바이패스밸브(52)를 개방함으로써 제상운전을 실행한다.

Description

히트펌프{HEAT PUMP}
여기서 개시하는 기술은 히트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히트펌프의 증발기에 부착된 성에의 제거(소위 "제상(除霜)")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히트펌프의 제상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이 기술에서는 히트펌프를 제상할 때에 퀵 제상운전과 리버스 제상운전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퀵 제상운전이란, 냉동 사이클로 운전하는 히트펌프에 있어서 압축기의 출구측과 증발기의 입구측의 사이를 바이패스경로로 접속하는 것이다. 한편, 리버스 제상운전이란, 냉동 사이클에 있어서의 응축기와 증발기의 역할을 역전시켜 압축기를 운전하는 것이다. 어느 운전에서나 압축기로부터 토출되는 고온고압의 냉매를 증발기에 유입시킴으로써 증발기에 부착된 성에를 융해시키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 2002-107014호 공보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어느 방식의 제상운전을 실행하는 경우에도 압축기를 운전시키고 있다. 이러한 구성이면, 압축기에 의한 에너지가 제상운전에서 소비되어 본래의 목적으로 하는 운전에 대하여 히트펌프의 열효율을 저하시킨다.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제상운전에 의한 에너지 소비를 억제하여, 본래의 목적으로 하는 운전에 대하여 히트펌프의 열효율을 향상시키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기술에 관한 히트펌프는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증발기는 공기 중의 열로 냉매액을 증발하여 기화시킨다. 압축기는 증발기의 출구측에 접속되어 있고, 증발기로부터의 냉매가스를 압축한다. 이에 의해, 냉매가스는 고온고압이 된다. 응축기는 압축기의 출구측에 접속되어 있고, 냉매가스를 냉각하여 응축시켜 액화시킨다. 냉매로부터의 방열은 예를 들면 급탕이나 난방에 이용된다. 팽창밸브는 응축기의 출구측에 접속되고, 또한 그 출구측이 증발기의 입구측에 접속되어 있다. 팽창밸브를 통과한 냉매액은 급속하게 팽창함으로써 저온저압의 냉매액이 되어 증발기에 보내진다.
상기한 히트펌프에서는 냉동 사이클 운전의 결과, 증발기에 성에가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증발기에 대한 착상(着霜)은 히트펌프의 열효율을 유의하게 저하시킨다. 그 때문에, 본 기술에 관한 히트펌프에서는 바이패스경로와 바이패스밸브와 컨트롤러가 더 부가되어 있다. 바이패스경로는 압축기로부터 응축기를 거쳐 팽창밸브에 이르는 냉매경로의 구간과 팽창밸브로부터 증발기에 이르는 냉매경로의 구간을 압축기 및 팽창밸브를 개재하지 않고 서로 접속한다. 바이패스밸브는 바이패스경로를 개방/폐쇄하는 개폐밸브이다. 컨트롤러는 바이패스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제상운전을 실행할 수 있다. 즉, 고압측 구간에 존재하는 고온의 냉매를 저압측 구간에 직접적으로 보냄으로써 증발기에 부착된 성에를 융해시킨다.
상기한 제상운전에 있어서, 컨트롤러는 바이패스밸브를 개방하기 전에 압축기의 운전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압축기나 응축기로부터의 냉매는 고압이다. 그 때문에, 압축기를 운전하지 않아도 바이패스밸브를 개방하는 것만으로, 고온의 냉매를 증발기에 순간적으로 보낼 수 있다. 제상운전 중에 압축기를 운전하지 않는 점에서, 본래의 목적으로 하는 운전에 대하여 제상운전에 기인하는 에너지의 손실을 억제할 수 있어 히트펌프의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기술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히트펌프가 증발기에 송풍하는 팬을 구비한다. 이 경우, 컨트롤러는 바이패스밸브를 개방하는 기간의 적어도 일부에서 팬을 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증발기에 부착되는 융해된 성에(즉 물방울)를 송풍하여 제거함으로써 제상운전후의 재차의 착상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컨트롤러가 바이패스밸브를 개방하는 기간의 초기에서 팬을 일단 정지시키고, 그 후에 팬을 운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패스밸브를 개방하는 기간의 초기에서 팬을 정지시켜 두면, 증발기에 보낸 냉매의 열을 공기 중에 헛되이 확산시키는 일이 없다. 따라서, 증발기에 부착된 성에를 보다 많이 융해시킬 수 있다. 그 후, 팬에 의한 송풍을 개시함으로써 증발기로부터 융해된 성에(즉 물방울)를 제거할 수 있다.
본 기술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컨트롤러가 바이패스밸브를 개방하는 기간의 적어도 일부에서 팽창밸브도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패스밸브뿐만 아니라 팽창밸브도 개방함으로써 고온의 냉매를 증발기에 보다 급속하게 보낼 수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컨트롤러가 바이패스밸브를 개방하는 기간의 초기에서 팽창밸브를 폐쇄하고, 그 후에 팽창밸브를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이패스경로에 의해 보낸 고압의 냉매가 증발기에 보내지는 것을 촉진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기술에 관한 히트펌프에 있어서, 바이패스경로는 압축기의 출구측을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바이패스하여 증발기의 입구측에 접속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보다 고온고압의 냉매를 증발기에 보다 직접적으로 보낼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급탕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제상운전에 있어서의 각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임차트
도 3은 실시예 2의 급탕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본 기술에 관한 히트펌프는, 압축기 운전을 필요로 하는 제상 방식에 비하여 제상 능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착상(着霜) 상태에 따라서는 제상운전의 빈도가 늘어나지만, 저탕식 급탕장치(급탕난방장치를 포함한다)에 바람직하게 채택할 수 있다. 이 경우, 급탕장치는 가스열원기 그 외의 연소식 열원기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외기 온도가 매우 낮은 경우 혹은 제상운전을 실행하고 있는 경우 등, 히트펌프의 능력이 현저하게 저하될 때, 연소식 열원기를 이용하여 급탕이나 난방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바이패스밸브는 압축기로부터 응축기에 이르는 냉매경로의 구간을 팽창밸브로부터 증발기에 이르는 냉매경로의 구간에 접속하는 것이어도 된다. 혹은, 바이패스밸브는 응축기로부터 팽창밸브에 이르는 냉매경로의 구간을 팽창밸브로부터 증발기에 이르는 냉매경로의 구간에 접속하는 것이어도 된다.
본 기술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히트펌프가 냉매의 순환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사방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증발기의 착상량이 많은 경우 등, 바이패스밸브에 의한 제상운전으로는 충분한 제상을 실행할 수 없을 때에 리버스 제상운전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기술의 일 실시형태에서는, 히트펌프가 증발기에 대한 착상을 검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착상을 검출하는 수단에 대하여 그 구체적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 1의 급탕장치(10)에 대하여 설명한다. 급탕장치(10)는 수도꼭지(도시생략)나 욕조와 같은 급탕 개소에 온수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탕장치(10)는 온수를 저장하는 저탕탱크(18)와, 저탕탱크(18)의 온수를 순환 가열하는 히트펌프(30)와, 보조 열원인 가스열원기(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급탕장치(10)는 저탕탱크(18)에 저장한 온수의 열을 난방에도 이용하는 급탕난방장치이어도 된다. 또한, 급탕장치(10)는 저탕탱크(18)를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고, 히트펌프(30)로 가열한 온수를 급탕 개소(혹은 난방 개소)에 직접적으로 공급하는 것이어도 된다.
저탕탱크(18)에는 급수관(16)과 출탕관(14)이 접속되어 있다. 급수관(16)은 저탕탱크(18)에 상수(上水)를 공급하는 관로이다. 급수관(16)은 저탕탱크(18)의 저부에 접속되어 있다. 도시를 생략하지만, 급수관(16)에는 각종 센서나 밸브 등이 설치되어 있다. 출탕관(14)은 저탕탱크(18)로부터 급탕 개소에 온수를 보내는 관로이다. 출탕관(14)은 저탕탱크(18)의 상부에 접속되어 있다. 도시를 생략하지만, 출탕관(14)에도 각종 센서나 밸브 등이 설치되어 있다.
가스열원기(12)는 출탕관(14)의 경로상에 설치되어 있다. 가스열원기(12)는 저탕탱크(18)로부터의 온수의 온도가 필요한 온도를 하회할 때, 연료 가스를 연소함으로써 해당 온수를 가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급탕장치(10)는 대량 또는 고온의 급탕 요구가 있어 저탕탱크(18)의 온수량 및 온수 온도로는 불충분한 경우에 가스열원기(12)를 가동시킴으로써 부족한 열량을 보충할 수 있다. 혹은, 외기 온도가 매우 낮을 때 등, 히트펌프(30)의 능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경우에도 가스열원기(12)를 가동시킴으로써 필요한 급탕을 실행할 수 있다.
히트펌프(30)는 대기로부터 채열하여 온수를 가열하는 히트펌프이다. 히트펌프(30)는 가열왕로(22)와 가열복로(20)를 통하여 저탕탱크(18)에 접속되어 있다. 가열왕로(22)는 저탕탱크(18) 내의 온수를 히트펌프(30)에 보내는 관로이다. 가열복로(20)는 히트펌프(30)로 가열된 온수를 저탕탱크(18)에 되돌리는 관로이다. 가열왕로(22)와 가열복로(20)는 일련으로 접속되어 있고, 저탕탱크(18)와 히트펌프(30)의 사이에서 온수를 순환시키는 순환경로를 구성하고 있다. 가열왕로(22)에는 순환펌프(60)가 설치되어 있다. 순환펌프(60)는 후술하는 히트펌프(30)의 컨트롤러(70)에 의해 제어된다. 도시를 생략하지만, 가열왕로(22) 및 가열복로(20)에는 각종 센서나 밸브 등이 설치되어 있다.
히트펌프(30)는 증발기(32), 압축기(34), 응축기(36) 및 팽창밸브(38)를 구비하고 있다. 증발기(32)와 압축기(34)와 응축기(36)와 팽창밸브(38)의 사이는 냉매경로(42, 44, 46, 48)에 의해 차례로 접속되어 있고, 냉매를 순환시키는 순환경로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히트펌프(30)는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70)를 구비하고 있다.
증발기(32)는 공기 중의 열을 냉매에 흡열시키는 열교환기이다. 증발기(32)에는 실외 팬(54)에 의해 송풍이 행해진다. 실외팬(54)은 팬모터(56)에 의해 구동된다. 증발기(32)에서는 팽창밸브(38)를 통과한 미스트상의 냉매가 공기 중의 열을 흡수하여 증발한다. 일례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냉매로서 이산화탄소를 채택하고 있다. 단, 냉매의 종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팬모터(56)는 컨트롤러(7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그 동작, 즉 실외 팬(54)의 동작이 컨트롤러(70)에 의해 제어된다.
압축기(34)는 증발기(32)의 출구측에 접속되어 있고, 증발기(32)로부터의 냉매를 압축한다. 증발기(32)에서 기화한 냉매는 압축됨으로써 고온고압 상태가 된다. 압축기(34)의 구조, 방식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압축기(34)는 컨트롤러(7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압축기(34)의 동작은 컨트롤러(70)에 의해 제어된다.
응축기(36)는 압축기(34)의 출구측에 접속되어 있다. 응축기(36)는 냉매와 온수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열교환기이다. 응축기(36)에는 가열왕로(22)를 통하여 저탕탱크(18)의 온수가 보내진다. 응축기(36)에서는 압축기(34)로부터의 냉매가 응축하면서 방열하고, 이 방열에 의해 저탕탱크(18)로부터의 온수가 가열된다. 가열후의 온수는 가열복로(20)를 통하여 저탕탱크(18)에 되돌려진다. 이에 의해, 저탕탱크(18)에 온수가 저장된다.
팽창밸브(38)는 응축기(36)의 출구측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팽창밸브(38)는 일례이지만, 그 개방도를 전기적으로 조정 가능한 전자팽창밸브이다. 팽창밸브(38)는 컨트롤러(7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팽창밸브(38)의 동작은 컨트롤러(70)에 의해 제어된다. 응축기(36)로부터의 냉매는 팽창밸브(38)를 통과함으로써 급속하게 팽창한다(미스트상이 된다). 팽창밸브(38)의 출구측은 증발기(32)의 입구측에 접속되어 있고, 저온저압(일부는 미스트상임)이 된 냉매가 증발기(32)에 보내진다. 증발기(32)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대기로부터 채열함으로써 냉매가 기화된다. 이상의 냉동 사이클에 의해, 히트펌프(30)는 대기의 열을 이용하여 저탕탱크(18)내의 온수를 가열할 수 있다.
히트펌프(30)에서는 상기한 냉동 사이클의 결과, 증발기(32)에 성에가 부착되는 경우가 있다. 증발기(32)에 대한 착상은 히트펌프(30)의 열효율을 유의하게 저하시킨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의 히트펌프(30)에서는 바이패스경로(50)와 바이패스밸브(52)가 부가되어 있다. 또한, 컨트롤러(70)에는 증발기(32)에 부착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운전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바이패스경로(50)는 압축기(34)의 출구측을 응축기(36) 및 팽창밸브(38)를 바이패스하여 증발기(32)의 입구측에 접속하는 냉매의 경로이다. 바이패스경로(50)의 상류단은 압축기(34)와 응축기(36)를 접속하는 냉매경로의 구간(44)에 접속되어 있고, 바이패스경로(50)의 하류단은 팽창밸브(38)와 증발기(32)를 접속하는 냉매경로의 구간(48)에 접속되어 있다. 바이패스밸브(52)는 바이패스경로(50) 상에 설치되어 있고, 바이패스경로(50)를 개방/폐쇄하기 위한 개폐밸브이다. 바이패스밸브(52)는 그 개폐를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한 전자제어밸브이다. 바이패스밸브(52)는 컨트롤러(7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바이패스밸브(52)의 동작은 컨트롤러(70)에 의해 제어된다.
컨트롤러(70)는 바이패스밸브(52)를 개폐함으로써 제상운전을 실행한다. 압축기(34)로부터 응축기(36)를 거쳐 팽창밸브(38)에 이르는 냉매경로의 구간(44, 46)은 고압의 구간이며 고온의 냉매가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바이패스밸브(52)가 개방됨으로써 고온고압의 냉매가 증발기(32)에 직접적으로 보내진다. 이에 의해, 증발기(32)의 온도를 상승시켜 증발기(32)에 부착된 성에를 융해시킨다. 여기서, 증발기(32)에 착상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70)는 제상운전을 실행할 때에 바이패스밸브(52)(도 2의 E)뿐만 아니라 압축기(34)(도 2의 A), 순환펌프(60)(도 2의 B), 실외 팬(54)(도 2의 C), 팽창밸브(38)(도 2의 D)의 동작도 각각 제어한다. 이에 의해, 증발기(32)에 부착된 성에가 효과적으로 제거된다.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70)는 바이패스밸브(52)의 개방에 앞서서 압축기(34)를 정지시킨다. 제상운전 중에는 팽창밸브(38)를 바이패스하도록 냉매의 순환경로가 구성된다. 바이패스밸브(52)를 개방하고 있는 동안에는 압축기(34)를 정지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억제하여 제상운전에 기인하는 열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70)는 바이패스밸브(52)를 폐쇄하여 제상운전을 종료한 후에 압축기(34)를 재가동시킨다.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70)는 바이패스밸브(52)의 개방과 동시 또는 약간 전후하여 순환펌프(60)의 운전을 정지한다. 제상운전 중에는 냉동 사이클이 실현되지 않기 때문에, 순환펌프(60)를 운전하여도 저탕탱크(18)의 온수를 가열할 수 없다. 혹은, 저탕탱크(18)의 온수를 반대로 방열시키게도 된다. 그 때문에, 제상운전 중에는 순환펌프(60)의 운전을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70)는 바이패스밸브(52)의 개방과 동시 또는 약간 전후하여 실외 팬(54)을 일단 정지시킨다. 그 후, 컨트롤러(70)는 바이패스밸브(52)를 폐쇄하기 전에 실외 팬(54)을 운전한다. 바이패스밸브(52)를 개방하는 기간의 초기에서 실외 팬(54)을 정지시켜 두면, 증발기(32)에 보낸 냉매의 열을 공기 중에 헛되이 확산시키는 일이 없다. 따라서, 증발기(32)에 부착된 성에를 보다 많이 융해시킬 수 있다. 그 후, 실외 팬(54)에 의한 송풍을 실행함으로써, 융해된 성에(즉 물방울)를 증발기(32)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외 팬(54)이 강풍으로 송풍을 할수록 증발기(32)의 물방울을 건조시킬 수 있다.
도 2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70)는 바이패스밸브(52)의 개방과 동시 또는 약간 전후하여 팽창밸브(38)를 일단 폐쇄한다. 그 후, 컨트롤러(70)는 팽창밸브(38)를 완전개방 상태로 될 때까지 개방한다. 팽창밸브(38)도 함께 개방함으로써, 고온의 냉매를 증발기(32)에 보다 급속하게 보낼 수 있다. 그 후, 컨트롤러(70)는 바이패스밸브(52)의 폐쇄와 동시 혹은 약간 전후하여 팽창밸브(38)를 폐쇄한다. 그 후, 컨트롤러(70)는 통상의 냉동 사이클의 제어에 따라 팽창밸브(38)의 개방도를 제어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히트펌프(30)는 제상운전을 실시할 때에 압축기(34)나 순환펌프(60)를 정지시킨다. 그 때문에, 압축기(34)나 순환펌프(60)에 있어서 전력이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일이 없다. 제상운전에 기인하는 에너지 손실을 억제함으로써, 히트펌프(30)의 열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히트펌프(30)는 제상운전을 실시할 때에 실외 팬(54)이나 팽창밸브(38)에 대해서도 함께 제어한다. 이에 의해, 증발기(32)로부터 제상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3을 참조하여 실시예 2의 급탕장치(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급탕장치(10)는 도 1에 도시한 실시예 1의 급탕장치(10)와 비교하여 바이패스경로(50)의 구성이 상이하다. 즉, 본 실시예의 바이패스경로(50)는 응축기(36)의 출구측을 팽창밸브(38)를 바이패스하여 증발기(32)의 입구측에 접속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어도, 바이패스밸브(52)를 개방함으로써 응축기(36)로부터의 비교적 고온고압의 냉매를 증발기(32)에 직접적으로 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바이패스경로(50)는 비교적 고온고압의 냉매를 증발기(32)에 보낼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따라서, 바이패스경로(50)는 압축기(34)로부터 응축기(36)를 거쳐 팽창밸브(38)에 이르는 냉매경로의 고압측 구간(44, 46)과, 팽창밸브(38)로부터 증발기(32)를 거쳐 압축기(34)에 이르는 냉매경로의 저압측 구간(48)을 압축기(34) 및 팽창밸브(38)를 개재하지 않고 서로 접속하는 것이면 된다.
이상,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에는 이상에 예시한 구체예를 다양하게 변형, 변경한 것이 포함된다.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설명한 기술 요소는 단독으로 혹은 각종 조합에 의해 기술적인 유용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출원시의 청구항에 기재된 조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또는 도면에 예시한 기술은 복수의 목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중 하나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 자체로 기술적인 유용성을 갖는 것이다.
10 - 급탕장치 12 - 가스열원기
14 - 출탕관 16 - 급수관
18 - 저탕탱크 20 - 가열복로
22 - 가열왕로 30 - 히트펌프
32 - 증발기 34 - 압축기
36 - 응축기 38 - 팽창밸브
42,44,46,48 - 냉매경로 50 - 바이패스경로
52 - 바이패스밸브 54 - 실외 팬
56 - 팬모터 60 - 순환펌프
70 - 컨트롤러

Claims (6)

  1. 공기 중의 열을 냉매에 흡열시키는 증발기와,
    증발기의 출구측에 접속되고, 증발기로부터의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기의 출구측에 접속되고, 압축기로부터의 냉매를 방열시키는 응축기와,
    응축기의 출구측에 접속되고, 또한 그 출구측에 증발기가 접속되는 팽창밸브와,
    압축기로부터 응축기를 거쳐 팽창밸브에 이르는 냉매경로의 구간과 팽창밸브로부터 증발기에 이르는 냉매경로의 구간을 압축기 및 팽창밸브를 개재하지 않고 서로 접속하는 바이패스경로와,
    바이패스경로를 개방/폐쇄하는 바이패스밸브와,
    바이패스밸브를 개방함으로써 제상운전을 실행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컨트롤러는 바이패스밸브를 개방하기 전에 압축기의 운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증발기에 송풍하는 팬을 구비하고,
    컨트롤러는 바이패스밸브를 개방하는 기간의 적어도 일부에서 팬을 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컨트롤러는 바이패스밸브를 개방하는 기간의 초기에서 팬을 정지시키고, 그 후에 팬을 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컨트롤러는 바이패스밸브를 개방하는 기간의 적어도 일부에서 팽창밸브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컨트롤러는 바이패스밸브를 개방하는 기간의 초기에서 팽창밸브를 폐쇄하고, 그 후에 팽창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경로는 압축기의 출구측을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바이패스하여 증발기의 입구측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펌프.
KR20130026261A 2012-03-12 2013-03-12 히트펌프 KR101479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54307 2012-03-12
JP2012054307A JP2013185808A (ja) 2012-03-12 2012-03-12 ヒートポン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5460A true KR20130105460A (ko) 2013-09-25
KR101479833B1 KR101479833B1 (ko) 2015-01-06

Family

ID=49387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26261A KR101479833B1 (ko) 2012-03-12 2013-03-12 히트펌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3185808A (ko)
KR (1) KR1014798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4862B1 (ko) * 2014-11-11 2015-06-02 삼화주철공업 주식회사 착상 예방과 증발효율을 향상한 히트펌프 시스템
WO2015168755A1 (en) * 2014-05-09 2015-11-12 Atlas Copco Airpower, Naamloze Vennootschap Method and device for cool-drying a gas with circulating cooling liquid with bypass l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64169A (ja) * 2013-09-26 2015-04-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温水生成装置
JP2016053444A (ja) 2014-09-03 2016-04-14 リンナイ株式会社 ヒートポンプ装置
CN109790994A (zh) * 2017-04-28 2019-05-21 日立江森自控空调有限公司 空调机
JP6387197B1 (ja) * 2017-04-28 2018-09-05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102472129B1 (ko) 2021-12-14 2022-11-30 정세인 에어케어 장치와 연동되는 인공지능 기반의 히트펌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7065U (ko) * 1979-03-20 1980-09-30
JPS57196048A (en) * 1981-05-27 1982-12-01 Hitachi Ltd Refrigerator
US4420943A (en) * 1982-05-10 1983-12-20 Raytheon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refrigerator defrost
JPH01123966A (ja) * 1987-11-07 1989-05-16 Mitsubishi Electric Corp 冷凍装置
JPH10160303A (ja) * 1996-11-28 1998-06-19 Denso Corp 冷凍機の除霜制御装置
JP2004218855A (ja) * 2003-01-09 2004-08-05 Denso Corp 蒸気圧縮式冷凍機
JP2004293857A (ja) * 2003-03-26 2004-10-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ヒートポンプ装置
KR100696121B1 (ko) * 2005-02-04 2007-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난방 공기조화기에서 실행 가능한 제상운전 방법
JP4507109B2 (ja) * 2005-11-14 2010-07-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
EP2330359A4 (en) * 2008-09-16 2012-10-03 Panasonic Corp AIR CONDITIONING
JP4869320B2 (ja) * 2008-12-09 2012-02-08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給湯機
JP5170290B2 (ja) * 2011-06-17 2013-03-27 三菱電機株式会社 冷凍サイクル装置、冷凍・空調装置、給湯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8755A1 (en) * 2014-05-09 2015-11-12 Atlas Copco Airpower, Naamloze Vennootschap Method and device for cool-drying a gas with circulating cooling liquid with bypass line
US10232309B2 (en) 2014-05-09 2019-03-19 Atlas Copco Airpower, Naamloze Vennootschap Method and device for cool-drying a gas with circulating cooling liquid with bypass line
KR101524862B1 (ko) * 2014-11-11 2015-06-02 삼화주철공업 주식회사 착상 예방과 증발효율을 향상한 히트펌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9833B1 (ko) 2015-01-06
JP2013185808A (ja) 201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05460A (ko) 히트펌프
KR101192346B1 (ko) 히트 펌프식 급탕장치
KR101155496B1 (ko)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KR101190492B1 (ko) 히트펌프 연동 급탕장치
JP2010532462A (ja) 高温ガス霜取り方法および装置
KR101155497B1 (ko) 히트펌프식 급탕장치
JP5530904B2 (ja) ヒートポンプ式高温水発生器
JP5842310B2 (ja) 冷凍装置、および負荷冷却器のデフロスト方法
JP2006017427A (ja) 冷却システム
JP2012167860A (ja) 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およびその除霜方法
JP5919036B2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KR101352550B1 (ko) 전기 자동차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1629080B1 (ko) 물 가열장치
JP4523014B2 (ja) 大型低温風洞空気冷却器のデフロスト方式
KR101873846B1 (ko) 항공기용 전외기 히트 펌프 공조기
JP2004271080A (ja) 冷熱機器と温熱機器の統合機器
JP2015021643A (ja) ヒートポンプ装置
JP2014047955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101475929B1 (ko) 냉난방장치
JP2008224050A (ja) ヒートポンプ装置
KR101212686B1 (ko) 히트 펌프식 급탕장치
KR101385173B1 (ko) 냉동탑차의 냉각장치
JP6119804B2 (ja) 負荷冷却器のデフロスト方法
JP5058348B2 (ja) 二酸化炭素循環・冷却システムにおけるデフロスト装置
KR20140082171A (ko)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고효율 공기열원 히트펌프용 냉난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