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4210A - 와이어하니스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와이어하니스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4210A
KR20130104210A KR1020120025529A KR20120025529A KR20130104210A KR 20130104210 A KR20130104210 A KR 20130104210A KR 1020120025529 A KR1020120025529 A KR 1020120025529A KR 20120025529 A KR20120025529 A KR 20120025529A KR 20130104210 A KR20130104210 A KR 20130104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jig
wire harness
work
cir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석
Original Assignee
김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석 filed Critical 김규석
Priority to KR1020120025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4210A/ko
Publication of KR20130104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42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 H01B13/01209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 H01B13/0123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the wires being disposed by mach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8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removal of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하니스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와이어얼라인지그에 작업준비길이로 각각 분리시킨 다수의 와이어가 결합된 초품 와이어하니스를 정렬 배치시켜 주는 단계; 상기 초품 와이어하니스가 정렬 배치된 와이어얼라인지그를 제1작업공정에서 원형작업판의 가장자리 부위에 테두리를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된 지그착탈부재에 장착시켜 주는 단계; 상기 와이어얼라인지그가 장착된 원형작업판을 회전시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그착탈부재로 그룹핑된 지그블록을 제2작업공정으로 이동시켜 준 다음 상기 와이어의 커팅부위를 초과하는 부분에 대한 커팅; 및 상기 와이어의 터미널 압착부위에 대한 소선이 노출되게 피복을 탈피시켜 주는 단계; 상기 원형작업판을 회전시켜 지그블록을 제3작업공정으로 이동시켜 준 다음 탈피된 와이어의 소선에 터미널을 압착시킨 완품 와이어하니스를 생성시켜 주는 단계; 상기 원형작업판을 회전시켜 지그블록을 제4작업공정으로 이동시켜 준 다음 지그착탈부재로부터 와이어얼라인지그를 탈착시켜 주는 단계; 상기 원형작업판을 회전시켜 지그블록을 제1작업공정으로 이동시켜 준 다음 상기 탈착된 지그착탈부재에 초품 와이어하니스가 정렬 배치된 와이어얼라인지그를 또 다시 장착시켜 주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이어하니스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
본 발명은 와이어하니스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지그블록이 동일한 회전각에 의해 하나 이상의 독립된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작업공정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수평 회전하는 원형작업판에 초품 와이어하니스가 정렬 배치된 복 수개의 상기 와이어얼라인지그를 장착시켜, 상기 초품 와이어하니스에 대한 커팅 및 탈피공정을 비롯하여 터미널 압착공정, 완품 와이어하니스에 대한 해체공정이 지그블록 단위로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어하니스(Wire Harness)는 일측 또는 양측으로 터미널(Terminal)(이를 "접속단자"라고도 함.)이 접속된 여러 가닥의 와이어가 서로 결합 구성된 것으로 컴퓨터와 같은 전자제품이나 자동차 등의 전기적인 회로연결을 용도별, 특성별로 분류하여 커넥터를 통해 한번에 배선 가능하게 하여 주는 부품 중의 하나이다.
이와 같은 와이어하니스에 대한 종래의 기술에 대해 살펴보면, 특허출원 제10-1981-0004492호(1981년 11월 20일)로 출원된 '와이어 하니스와 제조방법 및 장치'(이를 '문헌1'이라 함.)를 비롯하여 특허출원 제10-1982-0004332호(1982년 09월 25일)로 출원된 '와이어 하니스 제조방법'(이를 '문헌2'이라 함.), 특허출원 제10-1982-0004333호(1982년 09월 25일)로 출원된 '와이어 하니스 제조장치'(이를 '문헌3'이라 함.) 등이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상기 언급된 문헌1 내지 문헌3을 참조하면, 와이어 하니스의 임의의 설계도와 일치하는 간격으로 작업대위에 배치된 다수의 와이어링 블럭을 이용하여 하니스를 자동적으로 제작하는 방법에 대한 사례로써, 릴(Reel)에 감겨진 다 수 가닥의 와이어를 와이어링 블럭에 하나씩 일일이 배치시켜 주되, 상기 와이어링 블럭은 와이어 클램핑 부분과 이것에 대한 원근이동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와이어 커팅부분 및 단자압착 부분으로 되어 있고, 또한 작업대는 다수의 작업위치를 통하여 이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종래의 제조방법의 각 단계에 있어서는 적어도 하나의 절연피복 와이어를 기 설정길이로 두 와이어링 블럭위에 확장시켜 절단하는 동안에 와이어 클램핑 부분에 와이어가 확실히 고정되도록 절연피복 와이어를 하나의 와이어링 블럭에서 또 다른 하나의 와이어링 블럭에 배치하는 단계와, 기 설정된 틈새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와이어 클램핑 부분으로부터 와이어 캇팅 부분과 단자압착 부분을 분리시키는 동안에 작업대를 와이어 배치위치로부터 와이어 필링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틈새로 와이어끝 필링장치를 설치하여 와이어 끝부분의 피복을 벗겨서 절연피복체를 거기서 제거시키는 단계와, 단자압착 부분을 와이어클램핑 부분까지 이동시키는 동안에 상기 작업대를 와이어 필링위치에서 다시 단자압착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와이어의 나선부분에 단자를 압착시키는 수 많은 작업단계들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와이어링 블럭에 와이어를 일일이 하나씩 배치시켜 주는 번거로운 준비작업 단계들로 인해 와이어하니스 제조를 위한 작업공정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이로 인해 제조공정의 단축 내지는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작업개선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 수개의 지그착탈부재로 그룹핑된 지그블록이 동일한 회전각에 의해 하나 이상의 독립된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작업공정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수평 회전하는 원형작업판에 초품 와이어하니스가 정렬 배치된 복 수개의 와이어얼라인지그를 장착시켜, 상기 와이어얼라인지그를 통해서 초품 와이어하니스에 대한 커팅 및 탈피공정을 비롯하여 터미널 압착공정, 완품 와이어하니스에 대한 해체공정이 지그블록 단위로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와이어하니스 제조를 위한 생산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와이어얼라인지그에 작업준비길이로 각각 분리시킨 다수의 와이어가 결합된 초품 와이어하니스를 정렬 배치시켜 주는 단계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초품 와이어하니스가 정렬 배치된 와이어얼라인지그를 제1작업공정에서 원형작업판의 가장자리 부위에 테두리를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된 지그착탈부재에 장착시켜 주는 단계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얼라인지그가 장착된 원형작업판을 회전시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그착탈부재로 그룹핑된 지그블록을 제2작업공정으로 이동시켜 준 다음 상기 와이어의 커팅부위를 초과하는 부분에 대한 커팅 및 상기 와이어의 터미널 압착부위에 대한 소선이 노출되게 피복을 탈피시켜 주는 단계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형작업판을 회전시켜 지그블록을 제3작업공정으로 이동시켜 준 다음 탈피된 와이어의 소선에 터미널을 압착시킨 완품 와이어하니스를 생성시켜 주는 단계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형작업판을 회전시켜 지그블록을 제4작업공정으로 이동시켜 준 다음 지그착탈부재로부터 와이어얼라인지그를 탈착시켜 주는 단계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원형작업판을 회전시켜 지그블록을 제1작업공정으로 이동시켜 준 다음 상기 탈착된 지그착탈부재에 초품 와이어하니스가 정렬 배치된 와이어얼라인지그를 또 다시 장착시켜 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는 와이어얼라인지그에 작업준비길이로 각각 분리시킨 다수의 와이어가 결합된 초품 와이어하니스를 정렬 배치시켜 주는 단계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초품 와이어하니스가 정렬 배치된 와이어얼라인지그를 제1작업공정에서 초기작업 대기 중인 원형작업판의 가장자리 부위에 테두리를 따라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된 지그착탈부재에 장착시켜 주는 단계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얼라인지그가 장착된 원형작업판을 회전시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그착탈부재로 그룹핑된 지그블록을 제2작업공정으로 이동시켜 준 다음 상기 와이어의 커팅부위를 초과하는 부분에 대한 커팅 및 상기 와이어의 터미널 압착부위에 대한 소선이 노출되게 피복을 탈피시켜 주는 단계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형작업판을 회전시켜 지그블록을 제3작업공정으로 이동시켜 준 다음 탈피된 와이어의 소선에 터미널을 압착시킨 완품 와이어하니스를 생성시켜 주는 단계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형작업판을 회전시켜 지그블록을 제4작업공정으로 이동시켜 준 다음 지그착탈부재로부터 와이어얼라인지그를 탈착시켜 주는 단계가 구비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탈착시킨 와이어얼라인지그로부터 완품 와이어하니스를 해체시켜 주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및 해결수단들은 첨부한 도면에 나타난 다양한 일실시 사례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보다 더 명백하여 질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평으로 회전하는 원형작업판에 초품 와이어하니스가 정렬 배치된 와이어얼라인지그를 장착시켜, 커팅 및 탈피공정을 비롯하여 터미널 압착공정, 와이어얼라인지그 탈착공정이 지그블록 단위로 각각의 작업공정에 매칭시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와이어하니스의 제조 생산성을 향상시켜 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든 작업공정이 원형작업판을 중심으로 집중화 설치된 와이어커팅탈피기 및 터미널압착기를 통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좁은 작업공간에서도 와이어하니스의 제조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하니스 제조를 위한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실시사례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하니스 제조를 위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에 있어서, 초품 와이어하니스가 정렬 배치된 와이어얼라인지그를 회전작업판의 지그불록에 장착시켜 주기 위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에 있어서, 초품 와이어하니스에 대한 커팅 및 탈피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에 있어서, 초품 와이어하니스에 대한 터미널 압착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 2에 있어서, 회전작업판의 지그불록으로부터 와이어얼라인지그를 탈착시켜 완품 와이어하니스에 대한 해체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일실시사례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3에 있어서, 와이어얼라인지그에 초품 와이어하니스를 정렬 배치시켜 주기 위한 준비작업 중인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 4에 있어서, 와이어얼라인지그에 정렬 배치된 초품 와이어하니스가 커팅 대기 중인 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도 4에 있어서, 와이어얼라인지그에 정렬 배치된 초품 와이어하니스의 와이어에 대해 커팅이 이루어진 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에 있어서, 와이어얼라인지그에 정렬 배치된 초품 와이어하니스의 와이어에 대해 터미널 압착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낸 제1실시사례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에 있어서, 와이어얼라인지그에 정렬 배치된 초품 와이어하니스의 와이어에 대해 터미널 압착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상세하게 나타낸 제2실시사례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8에 있어서, 와이어얼라인지그에 초품 와이어하니스가 정렬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도 12에 있어서, A-A선 절단부위를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도 2에 있어서, 와이어얼라인지그가 장착되는 지그착탈부재의 C-C선 절단부위를 상세하게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하니스를 제조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제1실시사례 플로우차트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하니스를 제조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제2실시사례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실시 사례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도면에 의해 도시되어 있고, 이에 따른 구성과 수단들은 적어도 하나의 일실시 사례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적인 구성 및 수단들이 제한받지는 않아야 할 것이다.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첫째, 와이어하니스(Wire Harness)는 어느 일측 또는 양측으로 터미널(Terminal)(이를 "접속단자"라고도 함.)(512)이 접속된 여러 가닥의 와이어(511)가 서로 결합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컴퓨터와 같은 전자제품이나 자동차 등의 전기적인 회로연결을 용도별, 특성별로 분류하여 커넥터를 통해서 한번에 배선 가능하게 하여 주는 부품을 의미한다.
또한, 둘째로 초품 와이어하니스(Wire Harness)(510)는 여러 가닥의 와이어(511)가 서로 결합 구성되어 있는 것을 사전에 용도에 맞게 일정한 길이로 절단한 다음 작업준비길이(L1)로 각각 분리시켜 와이어얼라인지그(Wire Align Jig)(400)에 정렬 배치시켜 준 것을 의미한다.
또한, 셋째로 완품 와이어하니스(Wire Harness)(520)는 상기 언급된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에 구비된 와이어(511)의 소선 예컨데, 탈피가 이루어진 나선 부분에 터미널(512) 압착이 완료된 것을 본 발명의 와이어얼라인지그(400)로부터 해체시켜 준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와이어하니스 제조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으로는 하나 또는 복 수개의 지그(Jig)착탈부재(121)로 그룹핑(Grouping)된 지그블록(Jig Block)(120)이 동일한 회전각에 의해 하나 이상의 독립된 작업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제1작업공정 내지 제4작업공정(P1 내지 P4)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수평으로 회전하는 원형작업판(100)에 초품 와이어하니스(Wire Harness)(510)가 정렬 배치된 복 수개의 와이어얼라인지그(Wire Align Jig)(400)를 장착시켜, 상기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에 대한 커팅 및 탈피공정을 비롯하여 터미널(512) 압착공정, 상기 터미널(512) 압착공정이 이루어진 완품 와이어하니스(520)에 대한 지그착탈부재(121)로부터 와이어얼라인지그(400)의 탈착공정 등이 와이어얼라인지그(400)가 장착된 지그착탈부재(121)가 복 수개 포함된 지그블록(120) 단위로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와이어하니스의 제조 생산성을 더욱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수평 회전식 원형작업판(100)의 둘레에는 하나 이상의 독립된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작업공정(P1 내지 P4)이 배치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서, 제1작업공정(P1)에서는 벨트(Belt)식 제1컨베어(600)로부터 와이어얼라인지그(400)에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을 정렬 배치시켜 원형작업판(100)에 장착시켜 주는 공정을 비롯하여, 제2작업공정(P2)에서는 와이어커팅(Wire Cutting)탈피기(200-1 내지 200-4)의 배치시켜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에 대한 커팅과 탈피공정, 제3작업공정(P3)에서는 터미널(Terminal)압착기(300-1 내지 300-4)를 배치시켜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에 대한 터미널(Terminal)(512) 압착공정, 제4작업공정(P4)에서는 원형작업판(100)으로부터 와이어얼라인지그(400)를 탈착(분리)시켜 준 다음 벨트(Belt)식 제2컨베어(700)에서 터미널(512) 압착이 이루어진 완품 와이어하니스(520)에 대해 와이어얼라인지그(400)로부터 해체에 이어 검사가 이루어지는 작업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수단에 대해 살펴보면, 수평으로 회전하는 회전식 원형작업판(10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원형작업판(100)을 회전시켜 하나 이상의 독립된 작업공정을 가진 제1작업공정 내지 제4작업공정(P1 내지 P4)에 지그블록(120)이 매칭되도록 정지제어 또는 이동제어를 프로그램으로 설정시켜 주기 위한 프로그램부(13)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부(13)에서의 설정에 의해 원형작업판(100)을 회전시켜 초품 와이어하니스(510)가 정렬 배치된 와이어얼라인지그(400)가 장착된 지그블록(120)을 수평으로 이동시켜 주기 위한 모터로 이루어진 구동부(23)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독립된 작업공정 중에서 제2작업공정(P2)에서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에 대한 커팅 및 탈피공정이 이루어지는 와이어커팅탈피기(200-1 내지 200-4)에 대한 구동과 제3작업공정(P3)에서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에 대한 터미널(512) 압착공정이 이루어지는 터미널압착기(300-1 내지 300-4)에 대한 구동을 위해 예컨데, 에어 콤프레셔(Air Compressor)로 이루어진 에어생성부(21)에서 생성된 에어(Air)의 공급을 시켜 주기 위해 솔레노이드밸브로 이루어진 에어제어밸브(22)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1)로 이루어진 콘트롤러(1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콘트롤러(10)는 원형작업판(100)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구동시켜 주기 위한 모드(Mode)설정부(12) 및 프로그램부(13)에서 설정된 원형작업판(100)에 대한 제1작업공정 내지 제4작업공정(P1 내지 P4)으로 회전시켜 주는 시간, 와이어커팅탈피기(200-1 내지 200-4)와 터미널압착기(300-1 내지 300-4)에 에어(Air)의 공급시간을 저장시켜 주는 저장부(1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원형작업판(100)에 구비된 바디(Body)(410)의 가장자리 부위에 테두리를 따라 동일한 간격(D1)으로 설치된 지그(Jig)착탈부재(121)에 와이어얼라인지그(400)를 장착시켜 주는 구성으로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수단에 대해 살펴보면, 두 개 이상의 제1작업공정 내지 제4작업공정(P1 내지 P4)에서 독립된 작업공정이 이루어지는 회전식 원형작업판(10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원형작업판(100)에 작업준비길이(L1)로 사전에 각각 분리시킨 다수의 와이어(511)가 결합된 초품 와이어하니스(510)가 정렬 배치된 와이어얼라인지그(400)를 제1작업공정(P1)에서 장착시켜 주기 위해 가장자리 부위에 테두리를 따라 동일한 간격(D1)으로 설치된 지그(Jig)착탈부재(121)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그착탈부재(121)를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하여 그룹핑(Grouping)시킨 지그블록(120)을 제1작업공정 내지 제4작업공정(P1 내지 P4)으로 순차적인 수평이동을 시켜 줌과 함께 제1작업공정 내지 제4작업공정(P1 내지 P4)에서 원형작업판(100)이 정지된 동안에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독립된 작업공정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지는 콘트롤러(1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러(10)는 모터로 이루어진 구동부(23)를 제어하여 제1작업공정 내지 제4작업공정(P1 내지 P4)에 지그블록(120)이 순차적으로 매칭되도록 이동 또는 정지시켜 주기 위한 원형작업판(100)의 회전시간 설정이 이루어지는 프로그램부(13)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콘트롤러(10)는 제2작업공정(P2)에서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에 대한 커팅 및 탈피공정이 이루어지는 와이어커팅탈피기(200-1 내지 200-4)에 대한 구동 및 상기 제3작업공정(P3)에서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에 대한 터미널(512) 압착공정이 이루어지는 터미널압착기(300-1 내지 300-4)에 대한 구동을 위해 예컨데, 에어 콤프레셔(Air Compressor)로 이루어진 에어생성부(21)에서 생성된 에어(Air)의 공급을 위한 솔레노이드밸브로 이루어진 에어제어밸브(22)를 제어시켜 주는 구성으로 된다.
그리고, 앞에서 언급된 제1실시사례 및 제2실시사례에 포함된 상기 지그착탈부재(121)는 첨부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130)에 의해 수평으로 화살표(가)와 같이 회전하는 원형작업판(100)의 중심점(C1)을 기준으로 동일한 반지름(r1)을 가지고, 동일한 각도(K1)에 의해 동일한 간격(D1)으로 각각 설치시킨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콘트롤러(10)는 키보드, 터치패널(Touch Panel) 등과 같은 키입력부(16)를 통해서 프로그램부(13)에서 설정되는 다양한 제어상태를 화면으로 표시하여 주는 디스플레이부(15)가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구성수단에 대해 살펴보면, 수평으로 회전하는 원형작업판(100)이 구성되고, 상기 원형작업판(100)의 중심점(C1)을 기준으로 동일한 반지름(r1)과 동일한 각도(K1) 및 동일한 간격(D1)으로 가장자리 부위에 테두리를 따라 설치된 지그(Jig)착탈부재(121)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그착탈부재(121)에 장착되고, 하나 이상의 독립된 작업공정이 수행되는 다수의 제1작업공정 내지 제4작업공정(P1 내지 P4)으로 상기 원형작업판(100)의 회전에 의해 수평 이동되도록 초품 와이어하니스(510)가 정렬 배치된 와이어얼라인지그(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다음은 상기 언급된 본 발명의 구성수단들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작업공정 내지 제4작업공정(P1 내지 P4)은 원형작업판(100)의 회전에 따른 지그블록(120)이 위치하는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지그블록(120)에 매칭되어 제1작업공정 내지 제4작업공정(P1 내지 P4))에서 독립된 작업공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원형작업판(100)의 둘레에 배치된 제1작업공정 내지 제4작업공정(P1 내지 P4) 중에서 제2작업공정(P2)은 와이어커팅(Wire Cutting)탈피기(200-1 내지 200-4)가 배치되고, 제2작업공정(P2)과 인접한 제3작업공정(P3)은 터미널(Terminal)압착기(300-1 내지 300-4)가 배치시켜 주는 구성으로 된다.
이때, 상기 제2작업공정(P2)에 배치된 와이어커팅탈피기(200-1 내지 200-4)에 의해 와이어얼라인지그(400)에 정렬 배치된 상태에서 탈피된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에 대한 소선(511a)의 간격(D11)은 터미널 릴(Reel)(도시 생략함.)로부터 인출되는 터미널(512)의 간격(D21)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와이어얼라인지그(400)가 장착되는 지그착탈부재(121)는 적어도 22.5 °(도) 내지 180 °(도) 범위로 필요한 갯 수 만큼 각각 설치시켜 주는 구성으로 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얼라인지그(400)가 장착되는 지그착탈부재(121)를 적어도 두 개 이상으로 하여 그룹핑(Grouping)시킨 지그블록(120)을 원형작업판(100)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독립된 작업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제1작업공정 내지 제4작업공정(P1 내지 P4)으로 순차적인 수평이동을 시켜 주는 구성으로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지그착탈부재(121)가 포함된 지그블록(120)은 제1작업공정 내지 제4작업공정(P1 내지 P4)에 매칭(Matching)되도록 원형작업판(100)의 회전축(130)을 기준하여 동일한 회전각에 의해 콘트롤러(10)의 제어를 받아서 제1작업공정 내지 제4작업공정(P1 내지 P4)으로 자동 또는 수동에 의해 순차적 이동시켜 주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작업공정(P2)에서의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에 대한 커팅 및 탈피 공정은 지그블록(120)에 장착된 복 수개의 와이어얼라인지그(400)에 대해 동시작업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3작업공정(P3)에서의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에 대한 터미널(512)을 압착공정은 지그블록(120)에 장착된 복 수개의 와이어얼라인지그(400)에 대해 동시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의 와이어(511)에 대한 터미널(512) 압착순서는 첨부된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작업판(100)의 회전방향(가)과 동일한 방향 또는 원형작업판(100)의 회전방향(가)과 반대방향((나)에서 (다)) 중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프로그램부(13)에서 설정되어 행하여지는 구성으로 된다.
또한, 상기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의 와이어(511)에 대한 커팅부위(CT1)는 첨부된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얼라인지그(400)의 전두(414)로부터 와이어커팅탈피기(200-1 내지 200-4)에 커팅용 상측 칼날부(도시 생략함.) 또는 하측 칼날부(220a)와 인접하여 앞단에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511)의 상하로 위치하는 한 쌍의 상측 및 하측 와이어홀더(210)(210a)까지의 길이(L2)를 초과한 부위인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하니스 제조에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와이어얼라인지그(400)에 대해 첨부된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와이어얼라인지그(400)에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의 정렬 배치는 첨부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의 일단에 구비된 와이어(511)에 대한 정렬홈(422)으로 인입을 용이하게 시켜주기 위해 바디(Body)(410)의 후단부(411)에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된 인입가이드부(421)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인입가이드부(421)에 인접하여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의 중간 부분에 대한 삽입을 통해 요동을 방지시켜 주고자 장방형(長方形)으로 형성된 정렬홈(422)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정렬홈(422)에 인접하여 부채 형상으로 형성되고,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에서 작업준비길이(L1)로 각각 분리시킨 다수의 와이어(511)가 각각 하나씩 삽입 배치는 다수 개의 배치홈(423)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치홈(423)과 정렬홈(422)에 중첩된 부분에 위치한 초품 와이어하니스(510)를 덮어주는 제1커버(Cover)(450)와 상기 제1커버(Cover)(450)에 인접하여 구비되고, 정렬홈(422)에 위치한 초품 와이어하니스(510)를 덮어주는 제2커버(Cover)(46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배치홈(423)은 와이어얼라인지그(400)의 중심축(X1)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시켜 주되, 전두(前頭)(414) 방향으로 갈수록 각 배치홈(423) 간의 간격을 넓어지게 형성시켜, 제2공정(P2)에 배치된 와이어커팅(Wire Cutting)탈피기(200-1 내지 200-4)에 구비된 칼날부(도시 생략함.)의 설치 간격에 맞추어 줌으로써, 와이어(511)에 대한 커팅 및 탈피 작업에 유리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제3공정(P3)에 배치된 터미널(Terminal)압착기(300-1 내지 300-4)를 통해서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에 구비된 와이어(511)의 탈피된 소선의 간격과 터미널 릴(Reel)(도시 생략함.)로부터 인출되는 터미널(512)의 간격을 서로 동일하게 맞추어 줌으로써, 결국 소선 부분에 터미널(512)의 압착 작업에 유리하게 될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디(410)의 후단부(411)에 테이퍼(Taper) 형상으로 인입가이드부(421)를 형성시켜 줌으로써,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에서 작업준비길이(L1)로 각각 분리시킨 다수의 와이어(511)가 정렬홈(422)으로의 인입을 용이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한편, 상기 바디(410) 위에 체결되는 제1커버(450)는 제1체결수단(470)에 구비된 체결나사(471)을 중심축으로 모서리 부위에 형성된 코너링(Cornering)부(453)를 가지고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동작용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2커버(Cover)(460)는 제2체결수단(480)에 구비된 체결나사(481)을 중심축으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동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코너링부(453)는 초품 와이어하니스(510)를 와이어얼라인지그(400)에 정렬 배치하거나, 또는 완품 와이어하니스(520)를 와이어얼라인지그(400)로부터 해체시켜 줌에 있어서, 제1커버(450)를 열고 닫을 경우에 제2커버(460)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여 주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제1커버(450)는 제1체결수단(470)과 반대 방향에 형성된 해체손잡이(451)를 통해서 열거나 닫게 되고, 또한 상기 제2커버(460)는 제2체결수단(480)과 반대 방향에 형성된 해체손잡이(461)를 통해서 열거나 닫는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커버(460) 안쪽 부위에는 정렬홈(422)에 위치한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의 외피를 압입 고정시켜 주기 위해 초품 와이어(510)의 정렬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바(Bar) 형상으로 된 다수 개의 압입돌기(463)를 형성시켜 주는 구성에 의해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에 대한 요동을 방지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커버(450)는 체결돌기(452)가 바디(410) 상면부에 형성된 체결홈(412)에 체결되고, 제2커버(450)는 체결돌기(462)가 바디(410) 상면부에 형성된 체결홈(412a)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제1커버(450)는 제1체결수단(470)에 구비된 스프링(Spring)(472)의 탄성력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제2커버(460)는 제2체결수단(480)에 구비된 스프링(Spring)(482)의 탄성력에 의해 체결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473과 483은 제1체결수단(470)과 제2체결수단(480)에 각각 포함된 와셔(Washer)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기 와이어얼라인지그(400)는 바디(410)의 하면부에 형성된 착탈부(430)에 구비되어 있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진 착탈수단(440)을 통해 원형작업판(100)의 지그(Jig)착탈부재(121)에 장착되는 구성으로 되고, 이때 상기 착탈수단(440)은 전자석으로도 가능하고, 이는 고정나사 등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고정수단(441)을 통해 바디(410)에 고정시켜 주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와이어얼라인지그(400)는 지그착탈부재(121)에 장착되어 바디(410)의 양측으로 구비된 장착탈손잡이(413)를 잡고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돌려줌으로써, 상기 지그착탈부재(121)에 의해 90˚(도)씩 수동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지그착탈부재(121)는 바디(121a)에 90˚(도) 간격으로 구비된 다수 개의 고정홈(121c)에 로킹(Locking)수단(140)의 바디(141)에 구비된 고정돌기(143)가 탄성부재(142)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되어짐에 따라 그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초품 와이어하니스(510)가 정렬 배치된 와이어얼라인지그(400)는 전두(前頭)(414)가 원형작업판(100)의 바깥쪽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시켜 줌으로써,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에 대한 커팅 및 탈피 작업을 비롯하여 터미널(512) 압착 작업에 유리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그착탈부재(121)의 바디(121a) 상단에 구비된 두부(頭部)(121b)에 대해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시켜 줌으로써, 와이어얼라인지그(400)의 착탈부(430)가 용이하게 장착이 이루어지는 작용을 하게 된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얼라인지그(400)에 구비된 바디(410)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물로 제작이 가능하고, 또한 제1커버(450)와 제2커버(460)도 앞에서 언급한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물로 제작이 가능하나, 투명한 아크릴 등과 같은 합성수지물로 제작하여 초품 와이어하니스(510)가 정렬홈(422)과 배치홈(423)에 정렬 배치되는 상태를 직접 눈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 1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와이어얼라인지그(400)에 사전에 작업준비길이(L1)로 각각 분리시킨 다수의 와이어(511)가 결합된 초품 와이어하니스(510)를 정렬 배치시켜 주는 단계(S10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초품 와이어하니스(510)가 정렬 배치된 와이어얼라인지그(400)를 제1작업공정(P1)에서 원형작업판(100)의 가장자리 부위에 테두리를 따라 동일한 간격(D1)으로 설치된 지그(Jig)착탈부재(121)에 장착시켜 주는 단계(S10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얼라인지그(400)가 장착된 원형작업판(100)을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그(Jig)착탈부재(121)로 그룹핑(Grouping)된 지그블록(120)을 제2작업공정(P2)으로 이동시켜 준 다음 상기 와이어(511)의 커팅(Cutting)부위(CT1)를 초과하는 부분에 대한 커팅 및 상기 와이어(511)의 터미널(512) 압착부위(TP1)에 대한 소선(511a)이 노출되게 피복을 탈피시켜 주는 단계(S103 내지 S10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원형작업판(100)을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켜 지그블록(120)을 제3작업공정(P3)으로 이동시켜 준 다음 탈피된 와이어(511)의 소선(511a)에 터미널(512)을 압착시킨 완품 와이어하니스(520)를 생성시켜 주는 단계(S106 내지 S107)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원형작업판(100)을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켜 지그블록(120)을 제4작업공정(P4)으로 이동시켜 준 다음 지그착탈부재(121)로부터 와이어얼라인지그(400)를 탈착시켜 주는 단계(S108 내지 S109)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지그착탈부재(121)로부터 와이어얼라인지그(400)를 탈착시켜 준 다음(S109), 상기 와이어얼라인지그(400)로부터 완품 와이어하니스(520)를 해체시켜 주는 단계(S11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원형작업판(100)을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켜 지그블록(120)을 제1작업공정(P1)으로 이동시켜 준 다음 상기 탈착된 지그착탈부재(121)에 초품 와이어하니스(510)가 정렬 배치된 와이어얼라인지그(400)를 또 다시 장착시켜 주는 단계(S113)(S1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다음은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 1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와이어얼라인지그(Wire Align Jig)(400)에 작업준비길이(L1)로 각각 분리시킨 다수의 와이어(511)가 결합된 초품 와이어하니스(Wire Harness)(510)를 정렬 배치시켜 주는 단계(S201)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초품 와이어하니스(510)가 정렬 배치된 와이어얼라인지그(400)를 제1작업공정(P1)에서 초기작업 대기 중인 원형작업판(100)의 가장자리 부위에 테두리를 따라 동일한 간격(D1)으로 설치된 지그(Jig)착탈부재(121)에 장착시켜 주는 단계(S20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얼라인지그(400)가 장착된 원형작업판(100)을 회전시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그착탈부재(121)로 그룹핑(Grouping)된 지그블록(120)을 제2작업공정(P2)으로 이동시켜 준 다음 상기 와이어(511)의 커팅(Cutting)부위(CT1)를 초과하는 부분에 대한 커팅; 및 상기 와이어(511)의 터미널(512) 압착부위(TP1)에 대한 소선(511a)이 노출되게 피복을 탈피시켜 주는 단계(S203 내지 S20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원형작업판(100)을 회전시켜 지그블록(120)을 제3작업공정(P3)으로 이동시켜 준 다음 탈피된 와이어(511)의 소선(511a)에 터미널(512)을 압착시킨 완품 와이어하니스(520)를 생성시켜 주는 단계(S206 내지 S207)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원형작업판(100)을 회전시켜 지그블록(120)을 제4작업공정(P4)으로 이동시켜 준 다음 지그착탈부재(121)로부터 와이어얼라인지그(400)를 탈착시켜 주는 단계(S208 내지 S209)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탈착시킨 와이어얼라인지그(400)로부터 완품 와이어하니스(520)를 해체시켜 주는 단계(S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다음은 상기 언급된 본 발명에 포함되는 다양한 일실시 사례들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지그착탈부재(121)에 초품 와이어하니스(510)가 정렬 배치된 와이어얼라인지그(400)의 장착에 이어(S102)S202),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90˚(도)씩 회동하는 지그착탈부재(121)를 통해 와이어얼라인지그(400)의 전두(前頭)(414)가 원형작업판(100)의 바깥쪽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시켜 주는 단계(S111)(S211)를 더 구비시켜 줌으로써,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에 대한 커팅 및 탈피 작업을 비롯하여 터미널(512) 압착 작업에 유리할 것이다.
또한, 상기 와이어얼라인지그(400)에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의 정렬 배치가 제1작업공정(P1)에 설치된 벨트(Belt)식 제1컨베어(600)에서 이루어진 후에 상기 와이어얼라인지그(400)를 지그착탈부재(121)에 장착시켜 주는 단계(S102)(S202)를 더 구비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지그착탈부재(121)로부터 와이어얼라인지그(400)의 탈착시켜 줌과 함께 상기 와이어얼라인지그(400)로부터 완품 와이어하니스(520)의 해체단계(S110)(S210)를 포함하여, 해체된 상기 완품 와이어하니스(520)에 대한 제4작업위치(P4)에 설치된 벨트(Belt)식 제2컨베어(700)에서의 검사가 이루어지는 검사단계(S112)(S212)를 더 구비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작업공정 내지 제4작업위치(P1 내지 P4)는 원형작업판(100)의 수평 회전에 따른 지그블록(120)이 위치하는 영역인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그착탈부재(121)는 원형작업판(100)의 중심점(C1)을 기준으로 동일한 반지름(r1)을 가지고, 동일한 각도(K1)로 각각 설치시켜 주되, 이때 상기 지그착탈부재(121)는 22.5 °(도) 내지 180 °(도) 범위로 설치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원형작업판(100)의 지그블록(120)은 제1작업공정 내지 제4작업공정(P1 내지 P4)에 매칭(Matching)되도록 회전축(130)을 기준하여 동일한 회전각에 의해 제1작업공정 내지 제4작업공정(P1 내지 P4)으로 순차적 이동시켜 주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작업공정 내지 제4작업공정(P1 내지 P4)에 지그블록(120)이 매칭되도록 정지 또는 이동시켜 주기 위한 원형작업판(100)의 회전제어는 콘트롤러(10)에 구비된 프로그램부(13)를 통해 프로그램으로 제어되는 구동부(23) 즉, 모터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작업공정(P2)에서의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에 대한 커팅 및 탈피 공정은 지그블록(120)에 장착된 복 수개의 와이어얼라인지그(400)에 대해 동시작업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제3작업공정(P3)에서의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에 대한 터미널(512) 압착공정도 지그블록(120)에 장착된 복 수개의 와이어얼라인지그(400)에 대해 동시작업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의 와이어(511)에 대한 터미널(512) 압착순서는 첨부된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작업판(100)의 회전방향(가)과 동일한 방향 또는 원형작업판(100)의 회전방향(가)과 반대방향((나)에서 (다)) 중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프로그램부(13)에서 설정되어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작업공정(P2)에서의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에 대한 커팅 및 탈피공정이 이루어지는 와이어커팅탈피기(200-1 내지 200-4)와 상기 제3작업공정(P3)에서의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에 대한 터미널(512) 압착공정이 이루어지는 터미널압착기(300-1 내지 300-4)에 대한 제어는 에어 콤프레셔(Air Compressor)로 이루어진 에어생성부(21)에서 공급되는 에어(Air)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22)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의 와이어(511)에 대한 커팅부위(CT1)는 첨부된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얼라인지그(400)의 전두(414)로부터 와이어커팅탈피기(200-1 내지 200-4)에 커팅용 칼날부(220a)와 인접하여 앞단에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511)의 상하로 위치하는 한 쌍의 상측 및 하측 와이어홀더(210)(210a)까지의 길이(L2)를 초과한 부위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제1작업공정 내지 제4작업공정(P1 내지 P4))은 초품 와이어하니스(510)가 정렬 배치된 와이어얼라인지그(400)가 복 수개 포함된 지그블록(120)에 매칭되어 하나 이상의 독립된 작업공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 등이 가능함을 자명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사례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10 : 콘트롤러(Controller)
11 : 제어부
12 : 모드설정부
13 : 프로그램부
14 : 저장부
15 : 디스플레이부
16 : 키입력부
17 : 콘트롤러
21 : 에어생성부
22 : 에어제어밸브
23 : 구동부
100 : 원형작업판
110 : 바디(Body)
120 : 지그블록(Jig Block)
121 : 지그(Jig)착탈부재
121a : 바디(Body)
121b : 두부(頭部)
121c : 고정홈
130 : 회전축
140 : 로킹(Locking)수단
141 : 바디(Body)
142 : 탄성부재
143 : 고정돌기
200-1 내지 200-4 : 와이어커팅(Wire Cutting)탈피기
210 : 상측 와이어홀더(Holder)
210a : 하측 와이어홀더(Holder)
220a : 하측 칼날부
300-1 내지 300-4 : 터미널(Terminal)압착기
400 : 와이어얼라인지그(Wire Align Jig)
410 : 바디(Body)
411 : 후단부
412, 412a : 체결홈
413 : 장착탈손잡이
414 : 전두(前頭)
421 : 인입가이드부
422 : 정렬홈
423 : 배치홈
430 : 착탈부
440 : 착탈수단
441 : 고정수단
450 : 제1커버(Cover)
451 : 해체손잡이
452 : 체결돌기
453 : 코너링부
460 : 제2커버(Cover)
461 : 해체손잡이
462 : 체결돌기
463 : 압입돌기
470 : 제1체결수단
471 : 체결나사
472 : 스프링(Spring)
473 : 와셔(Washer)
480 : 제2체결수단
481 : 체결나사
482 : 스프링(Spring)
483 : 와셔(Washer)
510 : 초품 와이어하니스(Wire Harness)
511 : 와이어
511a : 소선
512 : 터미널(Terminal)
520 : 완품 와이어하니스(Wire Harness)
600 : 제1컨베어
700 : 제2컨베어

Claims (15)

  1. 와이어얼라인지그(400)에 작업준비길이(L1)로 각각 분리시킨 다수의 와이어(511)가 결합된 초품 와이어하니스(510)를 정렬 배치시켜 주는 단계(S101);
    상기 초품 와이어하니스(510)가 정렬 배치된 와이어얼라인지그(400)를 제1작업공정(P1)에서 원형작업판(100)의 가장자리 부위에 테두리를 따라 동일한 간격(D1)으로 설치된 지그착탈부재(121)에 장착시켜 주는 단계(S102);
    상기 와이어얼라인지그(400)가 장착된 원형작업판(100)을 회전시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그착탈부재(121)로 그룹핑된 지그블록(120)을 제2작업공정(P2)으로 이동시켜 준 다음 상기 와이어(511)의 커팅부위(CT1)를 초과하는 부분에 대한 커팅; 및 상기 와이어(511)의 터미널(512) 압착부위(TP1)에 대한 소선(511a)이 노출되게 피복을 탈피시켜 주는 단계(S103 내지 S105);
    상기 원형작업판(100)을 회전시켜 지그블록(120)을 제3작업공정(P3)으로 이동시켜 준 다음 탈피된 와이어(511)의 소선(511a)에 터미널(512)을 압착시킨 완품 와이어하니스(520)를 생성시켜 주는 단계(S106 내지 S107);
    상기 원형작업판(100)을 회전시켜 지그블록(120)을 제4작업공정(P4)으로 이동시켜 준 다음 지그착탈부재(121)로부터 와이어얼라인지그(400)를 탈착시켜 주는 단계(S108 내지 S109);
    상기 원형작업판(100)을 회전시켜 지그블록(120)을 제1작업공정(P1)으로 이동시켜 준 다음 상기 탈착된 지그착탈부재(121)에 초품 와이어하니스(510)가 정렬 배치된 와이어얼라인지그(400)를 또 다시 장착시켜 주는 단계(S113)(S10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니스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착탈부재(121)로부터 와이어얼라인지그(400)를 탈착시켜 준 다음(S109), 상기 와이어얼라인지그(400)로부터 완품 와이어하니스(520)를 해체시켜 주는 단계(S110);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니스 제조방법.
  3. 와이어얼라인지그(400)에 작업준비길이(L1)로 각각 분리시킨 다수의 와이어(511)가 결합된 초품 와이어하니스(510)를 정렬 배치시켜 주는 단계(S201);
    상기 초품 와이어하니스(510)가 정렬 배치된 와이어얼라인지그(400)를 제1작업공정(P1)에서 초기작업 대기 중인 원형작업판(100)의 가장자리 부위에 테두리를 따라 동일한 간격(D1)으로 설치된 지그착탈부재(121)에 장착시켜 주는 단계(S202);
    상기 와이어얼라인지그(400)가 장착된 원형작업판(100)을 회전시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지그착탈부재(121)로 그룹핑된 지그블록(120)을 제2작업공정(P2)으로 이동시켜 준 다음 상기 와이어(511)의 커팅부위(CT1)를 초과하는 부분에 대한 커팅; 및 상기 와이어(511)의 터미널(512) 압착부위(TP1)에 대한 소선(511a)이 노출되게 피복을 탈피시켜 주는 단계(S203 내지 S205);
    상기 원형작업판(100)을 회전시켜 지그블록(120)을 제3작업공정(P3)으로 이동시켜 준 다음 탈피된 와이어(511)의 소선(511a)에 터미널(512)을 압착시킨 완품 와이어하니스(520)를 생성시켜 주는 단계(S206 내지 S207);
    상기 원형작업판(100)을 회전시켜 지그블록(120)을 제4작업공정(P4)으로 이동시켜 준 다음 지그착탈부재(121)로부터 와이어얼라인지그(400)를 탈착시켜 주는 단계(S208 내지 S209);
    상기 탈착시킨 와이어얼라인지그(400)로부터 완품 와이어하니스(520)를 해체시켜 주는 단계(S21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니스 제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착탈부재(121)에 초품 와이어하니스(510)가 정렬 배치된 와이어얼라인지그(400)의 장착에 이어(S102)S202),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90˚(도)씩 회동하는 지그착탈부재(121)를 통해 와이어얼라인지그(400)의 전두(前頭)(414)가 원형작업판(100)의 바깥쪽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시켜 주는 단계(S111)(S211);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니스 제조방법.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업공정 내지 제4작업공정(P1 내지 P4)은 원형작업판(100)의 수평 방향으로 회전에 따른 지그블록(120)이 위치하는 영역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니스 제조방법.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착탈부재(121)는 원형작업판(100)의 중심점(C1)을 기준으로 동일한 반지름(r1)을 가지고, 동일한 각도(K1)로 각각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니스 제조방법.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착탈부재(121)는 22.5 °(도) 내지 180 °(도) 범위로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니스 제조방법.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작업판(100)의 지그블록(120)은 제1작업공정 내지 제4작업공정(P1 내지 P4)에 매칭되도록 회전축(130)을 기준하여 동일한 회전각에 의해 제1작업공정 내지 제4작업공정(P1 내지 P4)으로 순차적 이동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니스 제조방법.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업공정 내지 제4작업공정(P1 내지 P4)에 지그블록(120)이 매칭되도록 정지 또는 이동시켜 주기 위한 원형작업판(100)의 회전제어는 콘트롤러(10)에 구비된 프로그램부(13)를 통해 프로그램으로 제어되는 구동부(23);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니스 제조방법.
  1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작업공정(P2)에서의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에 대한 커팅 및 탈피공정은 지그블록(120)에 장착된 복 수개의 와이어얼라인지그(400)에 대해 동시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니스 제조방법.
  11.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작업공정(P3)에서의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에 대한 터미널(512)을 압착공정은 지그블록(120)에 장착된 복 수개의 와이어얼라인지그(400)에 대해 동시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니스 제조방법.
  12.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작업공정(P2)에서의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에 대한 커팅 및 탈피공정이 이루어지는 와이어커팅탈피기(200-1 내지 200-4); 및 상기 제3작업공정(P3)에서의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에 대한 터미널(512) 압착공정이 이루어지는 터미널압착기(300-1 내지 300-4)에 대한 제어는 에어생성부(21)에서 공급되는 에어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밸브(22);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니스 제조방법.
  13.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의 와이어(511)에 대한 커팅부위(CT1)는 와이어얼라인지그(400)의 전두(414)로부터 와이어커팅탈피기(200-1 내지 200-4)에 커팅용 칼날부(220a)와 인접하여 앞단에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511)의 상하로 위치하는 한 쌍의 상측 및 하측 와이어홀더(210)(210a)까지의 길이(L2)를 초과한 부위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니스 제조방법.
  1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얼라인지그(400)에 정렬 배치된 초품 와이어하니스(510)의 와이어(511)에 대한 터미널(512) 압착순서는 원형작업판(100)의 회전방향(가)과 동일한 방향 또는 원형작업판(100)의 회전방향(가)과 반대방향((나)에서 (다)) 중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프로그램부(13)에서 설정되어 행하여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니스 제조방법.
  1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작업공정 내지 제4작업공정(P1 내지 P4))은 초품 와이어하니스(510)가 정렬 배치된 와이어얼라인지그(400)가 복 수개 포함된 지그블록(120) 에 매칭되어 하나 이상의 독립된 작업공정이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하니스 제조방법.
KR1020120025529A 2012-03-13 2012-03-13 와이어하니스 제조방법 KR201301042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529A KR20130104210A (ko) 2012-03-13 2012-03-13 와이어하니스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529A KR20130104210A (ko) 2012-03-13 2012-03-13 와이어하니스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4210A true KR20130104210A (ko) 2013-09-25

Family

ID=49453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529A KR20130104210A (ko) 2012-03-13 2012-03-13 와이어하니스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42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81349A (zh) * 2020-02-20 2021-08-20 株式会社理光 线束的生产和自动检查装置及生产和自动检查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81349A (zh) * 2020-02-20 2021-08-20 株式会社理光 线束的生产和自动检查装置及生产和自动检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42416B (zh) 一种变压器的组装方法及组装生产线
JP2016214062A (ja) 被遮蔽多芯丸形ケーブルから遮蔽膜を除去するためのケーブル処理装置および方法
KR20130104211A (ko) 와이어하니스 제조장치
KR20130104213A (ko) 와이어얼라인지그
KR20130104210A (ko) 와이어하니스 제조방법
CN111786232A (zh) 一种实现先布线再压端子的机构
JP2017162708A (ja) 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及び端子付き電線
CN204075436U (zh) 一种用于放电加工薄壁零件的夹具
CN209748077U (zh) 一种电缆剥皮装置
KR102326503B1 (ko) 권취형 소재롤의 소재 박리장치
JPH0946844A (ja) 被覆電線の剥皮装置
CN207994492U (zh) 用于对汽车线束处理的剥皮装置
JP3862201B2 (ja) ハーネス製造方法、圧接装置、及びコネクタホルダ
CN211494595U (zh) 一种线束加工用便于整理的料盒
CN215420015U (zh) 一种新型定子绕线工装
CN114311716B (zh) 一种连接器可连续生产的方法
WO2012108152A1 (ja) 端子ボックスの端子穴に電極線を挿入する方法、組立装置、および太陽電池パネルの製造方法
CN218183644U (zh) 一种pcb手动分板治具
CN212648703U (zh) 一种实现先布线再压端子的机构
CN217882265U (zh) 线材处理治具
CN112951588B (zh) 一种基于混合阿尔法绕线技术的绕线成型设备及工艺
JP2010232120A (ja) ワイヤハーネス用治具
CN210943678U (zh) 一种声磁产品生产设备
CN209598607U (zh) 一种自动装配带轴铁芯的设备
KR20130068052A (ko) 솔더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