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3966A - 부분 이완 및 물구나무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부분 이완 및 물구나무용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3966A
KR20130103966A KR1020120025038A KR20120025038A KR20130103966A KR 20130103966 A KR20130103966 A KR 20130103966A KR 1020120025038 A KR1020120025038 A KR 1020120025038A KR 20120025038 A KR20120025038 A KR 20120025038A KR 20130103966 A KR20130103966 A KR 20130103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r
moving
screw
an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5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2924B1 (ko
Inventor
기 석 우
Original Assignee
기 석 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 석 우 filed Critical 기 석 우
Priority to KR1020120025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2924B1/ko
Publication of KR20130103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3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2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2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7Pivot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63B21/4013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to the ank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Abstract

본 발명은 부분 이완 및 물구나무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편안하게 누워 발목을 편안하고 안정되게 홀딩시킨 다음, 원하는 각도로 자동으로 회전시켜 물구나무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 혈액 순환이 우수하여 피로 회복과 머리를 맑게 해주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편안하게 누워 척추를 마시지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또한 사용자의 허리 및 다리 관절을 이완시키는 운동을 하게 되어, 노인, 장애자 등의 재활 운동 및 성장기청소년들의 성장에 도움을 주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부분 이완 및 물구나무용 운동기구{Partial release and hand-standing exercising machine}
본 발명은 부분 이완 및 물구나무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쿠션부재에 편안하고 누운 다음, 발목을 안정되게 홀딩하고, 각도를 조절하여 거꾸로 매달아 혈액 순환 운동과 전후방으로 사용자의 허리영역을 이완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구나무서기 운동은 팔을 지면에 대고 다리를 하늘로 향하도록 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중력에 의해 지면 방향으로 치우친 장기나 척추 관절의 하중을 정반대로 함으로써, 혈액 순환 및 신체 내장의 원활한 운동에 많은 도움을 준다. 이러한 물구나무서기 운동은 사람이 직접 또는 벽면에 기대면서 물구나무서기를 행하였지만, 상기한 물구나무서기 자세를 유지하기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어 누구나 손쉽게 행할 수는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누구나 손쉽게 물구나무서기 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기구가 다양한 타입으로 개시된바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로는 공개 실용신안 20-2010-0001221호, 공개특허 2002-0090099호, 실용신안등록 20-0419741호, 실용신안등록 20-0382969호 등이 제공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사용자가 몸체에 누워서 발목을 고정하고, 몸체를 원하는 각도로 자동으로 회전시켜 전신을 거꾸로 매달아 혈액순환을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물구나무 운동기구는 사용자에 대한 허리 및 관절 부위에 대한 마사지 기능 및 지압 기능이 부가되지 못하고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발목을 홀딩시키는 구조가 취약하여 사용자가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운동기구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발목을 편안하게 홀딩시키고, 허리 및 다리 관절을 휠팅시키는 재활기능이 구비되고, 각도를 조절하면서 거꾸로 매달아 혈액 순환 운동을 할 수 있는 부분 이완 및 물구나무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척추를 마시지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수단은 바닥면에 밀착되는 받침 부재; 상기 받침 부재의 보강 받침대 상부에 간격을 유지하여 아치형으로 고정되고, 한 쌍의 회동 브라켓이 각각 구비된 돌출파이프와; 상기 돌출파이프 양측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돌출파이프와 보강 받침대 상부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보강판으로 이루어진 수직고정프레임; 상기 수직고정프레임에 각도조절장치로써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각도조절프레임; 상기 각도조절프레임 상부에 장착되어 전방고정프레임 상부에 체결 고정된 전방쿠션프레임과; 후방고정프레임에 고정된 후방쿠션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등을 편안하게 받치기 위한 쿠션부재; 및 상기 후방쿠션프레임 상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발목을 편안하게 홀딩시키기 위한 발목 홀딩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편안하게 누워 발목을 편안하고 안정되게 홀딩시킨 다음, 원하는 각도로 자동으로 회전시켜 물구나무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 혈액 순환이 우수하여 피로 회복과 머리를 맑게 해주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편안하게 누워 척추를 마시지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또한 사용자의 허리 및 다리 관절을 이완시키는 휠 팅 운동을 하게 되어, 노인, 장애자 들의 재활 운동에 적합하고, 성장기 청소년들의 성장에 도움을 주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이완 및 물구나무용 운동기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측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평면 구성도.
도 3a,3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각도조절장치에 대한 동작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각도조절장치에 대한 요부 구성도.
도 5a,5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전방길이조절장치에 대한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전방길이조절장치에 대한 요부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발목 홀딩장치에 대한 동작상태도.
도 8은 도 7의 요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팔걸이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 10a,10b은 도 9의 동작상태 구성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휠 팅 및 물구나무용 운동기구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
도 16은 도 15의 요부 단면 구성도.
도 17은 도 16의 "B"부분의 확대도.
도 18은 도 17의 A-A선 단면도.
도 19는 도 15의 요부 동작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이완 및 물구나무용 운동기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측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평면 구성도이며, 도 3a,3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각도조절장치에 대한 동작상태도이며, 도 4는 도 3a,3b의 요부 구성도이고, 도 5a,5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전방길이조절장치에 대한 동작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전방길이조절장치에 대한 요부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이완 및 물구나무용 운동기구는 바닥면에 밀착되는 받침 부재(10)와; 받침 부재(10) 상부에 수직으로 돌출되게 고정된 수직고정프레임(20)과; 수직고정프레임(20)에 각도조절장치(40)로써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방길이조절장치(50)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각도조절 및 길이조절프레임(30)과; 각도조절 및 길이조절프레임(30) 상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등을 편안하게 받치기 위한 쿠션부재(6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 부재(10)는 전후방 영역으로 수평으로 배치되는 전방 받침대(12) 및 후방 받침대(14)와; 전방 받침대(12) 및 후방 받침대(14) 사이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보강 받침대(16)로 이루어져 운동기구기를 안정되게 받치게 된다.
상기 수직고정프레임(20)은 보강 받침대(16) 상부에 적정 간격을 유지하여 돌출되게 고정되고, 한 쌍의 회동 브라켓(21)이 각각 구비된 돌출파이프(22)(23)와; 돌출파이프(22)(23) 양측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돌출파이프(22)(23)와 보강 받침대(16) 상부 사이에 공간부(24)가 형성되는 보강판(2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도조절 및 길이조절프레임(30)은 돌출파이프(22)(23)의 회동 브라켓(21) 사이에 회동핀(31)으로써 회동 가능하게 축설된 전방고정프레임(32)과; 전방고정프레임(32)의 후방 외주면에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결합된 후방이동프레임(3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전방고정프레임(32) 및 후방이동프레임(34) 상부에는 장착브라켓(33)이 구비되어, 쿠션부재(60)가 장착된다.
상기 각도조절장치(40)는 받침 부재(10)의 보강 받침대(16) 상부와 돌출파이프(22)(23) 사이에 경사지게 구비된 경사프레임(41)과; 경사프레임(41)에 단부가 경사지게 장착되고, 회전 가능하게 워엄기어(42a)가 구비된 전기모터(42)와; 일측에는 전기모터(42)의 워엄기어(42a)에 회전 가능하게 치합되는 수평기어(44a)가 장착되고, 타측에는 스크류(44b)가 구비된 회전스크류바(44)와; 회전스크류바(44)의 스크류(44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하부로 이동하는 이동나사(46a)가 내부에 구비되고, 타단이 전방고정프레임(32) 하부에 회동핀(47)으로써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바(46)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기모터(42)의 일측과 이동바(46)의 외주연에는 커버(48)가 고정되어 이동바(46)의 일부를 은폐시키게 된다.
이때, 전기모터(42)의 동작으로 이동바(46)가 상하로 이동하게 되면, 전방고정프레임(32)이 회동 핀(31)(47)을 중심으로 각도가 조절되는데, 최대 90°까지 조절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전기모터(42)는 리모컨으로써 동작이 제어된다.
상기 전방길이조절장치(50)는 전방고정프레임(32)의 전방에 장착되고, 회전 가능하게 워엄기어(52a)가 구비된 전방전기모터(52)와; 후방에는 전방전기모터(52)의 워엄기어(52a)에 회전 가능하게 치합되는 수평기어(54a)가 장착되고, 전방에는 스크류(54b)가 구비된 전방회전스크류바(54)와; 전방회전스크류바(54)의 스크류(54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이동나사(56a)가 내부에 구비되고, 전방이 후방이동프레임(34) 내부에 고정된 전방이동바(56)로 이루어진다.
이때, 전방전기모터(52)의 동작으로 전방이동바(56)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후방이동프레임(34)이 전방고정프레임(32)으로부터 분리되어 길이가 조절된다.이러한 전방전기모터(52)는 리모컨으로써 동작이 제어된다.
상기 쿠션부재(60)는 전방고정프레임(32) 상부에 체결 고정된 전방쿠션프레임(62)과; 후방이동프레임(34)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된 후방쿠션프레임(64)과; 전방쿠션프레임(62)과 후방쿠션프레임(64) 상부 영역을 각각 감싸게 되어 사용자가 편안하게 누울 수 있는 쿠션재(66)로 이루어진다. 이때, 쿠션재(66)는 경질의 스펀지와 가죽으로 이루어지고, 이에 미도시된 진동모터로써 진동이 발생 되는 다수의 돌기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쿠션프레임(64) 상부에는 사용자의 발목을 홀딩시키기 위한 발목 홀딩장치(70)가 구비된다.
상기 발목 홀딩장치(70)는 후방쿠션프레임(64) 후방 영역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 고정된 하부브라켓(71)과; 하부브라켓(71)의 하부에 고정핀(72)으로써 하부 영역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회동레버(73)와; 회동레버(73)의 상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발목을 안정되게 홀딩시키기 위한 발목홀딩부재(74)와; 회동레버(73)의 하단과 하부브라켓(71) 사이에 장착되어 회동레버(73)의 회동을 지지하기 위한 회동지지부재(79)로 이루어진다. 이때, 회동레버(73)는 사용자의 발목 홀딩이 가능하도록 후방쿠션프레임(64)의 하부로부터 상부 영역으로 위치되도록 만곡지게 형성된다.
상기 발목홀딩부재(74)는 회동레버(73)의 전방 영역에 수평으로 구비된 수평고정바(75)와; 수평고정바(75)의 외주연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어 발목을 지지하기 위한 홀딩재(76)로 이루어진다. 이때, 홀딩재(76)는 경질의 스펀지와 가죽으로 이루어지고, 발목의 홀딩이 용이하도록 만곡지게 형성된다.
상기 회동지지부재(79)는 회동레버(73)의 하단에 장착된 유압실린더(77)와; 유압실린더(77)에 일측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단이 하부브라켓(71)에 장착된 유압피스톤(78)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9 및 도 10a,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부재(60)의 전방쿠션프레임(62) 하부 양측에는 사용자의 양팔을 편안하게 지지하거나 파지하기 위한 팔걸이장치(80)가 구비된다.
상기 팔걸이장치(80)는 전방쿠션프레임(62)과 암 레스트(81)의 하부에 상부가 수직으로 각각 고정된 수직고정바(82)(83)과; 수직고정바(82)(83)의 하부 외주연에 회전, 상하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각각 삽입되고, 중공의 수평연결대(84)로써 수평으로 연통되게 연결된 수직이동바(85)(86)와; 수직고정바(82)(83), 수평연결대(84) 및 수직이동봉(85)(86) 사이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수직고정바(82)(83)로부터 수직이동바(85)(86)의 회전, 상하 이동 및 회전 위치를 유지 및 해제하기 위한 록킹수단(9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록킹수단(90)은 수직고정바(82)와 수직이동바(85)에 대응되게 관통 형성되고, 수직이동바(86)에 관통 형성된 제1조립공(91) 및 제2조립공(92)과; 제1조립공(91) 및 제2조립공(9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수평으로 삽입되고, 일측에는 걸림단(94a)이 형성되어 제2조립공(92)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되고, 수직고정바(83)의 하단이 올려지게 되며, 타측에는 걸림요홈(94b)이 형성된 회전 스크류(94)와; 회전 스크류(94)에 이동 가능하게 나사되는 조절나사공(95a)이 형성되어 제2조립공(92)을 통하여 삽입되어 수직고정바(83)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이동조임쇠(95)와; 회전 스크류(94)의 걸림요홈(94b)이 일면의 조립요홈(96a) 내부에서 고정부재(97)로써 공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회전 스크류(94)의 회전시 제1조립공(91)을 통하여 수직고정바(82)을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조임쇠(96)와; 회전스크류(94)의 일단에 체결 고정되어 회전 스크류(94)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99)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부재(97)는 고정조임쇠(96) 상부에서 조립요홈(96a) 영역으로 수직으로 체결된 체결볼트(97a)와; 체결볼트(97a)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회전 스크류(94)의 걸림요홈(94b)이 공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스냅링 타입의 결합구(97b)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이는 휠 팅 및 물구나무용 운동기구의 제1실시예에 도시된 전방고정프레임(32) 상부에 체결 고정되는 전방쿠션프레임(62)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사용자의 척추를 마사지하기 위한 좌우이동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좌우이동장치(100)는 전방쿠션프레임(62)을 공간부(101)가 형성되도록 분리하여 나누어진 전방프레임(102) 및 후방프레임(103)과; 후방프레임(103)의 공간부(101)에 구비된 가로 안내바(105)(106)와; 가로 안내바(105)(106)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세로 고정바(107)로써 상호 연결된 전방 이동구(108) 및 후방 이동구(109)와; 전방 이동구(108) 전방의 공간부(101)와 후방 이동구(109) 사이에 장착되어 후방 이동구(109)를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11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수단(110)은 전방 이동구(109)의 중앙 영역에 형성된 이동안내공(111)과; 전방 이동구(109) 전방의 공간부(101)에 장착된 구동모터(113)와; 구동모터(113)의 회전축(114)에 편심되게 장착되어 이동안내공(111)을 따라 편심 되게 회전하는 회전롤러(115)로 이루어진다.
이때, 이동안내공(111)과 회전롤러(115)는 상호 회전력을 높이기 위하여 정밀하게 가공하여 회전력을 높이게 되고, 회전롤러(105)의 편심 길이만큼 회전롤러(115)가 이동안내공(111)을 따라 회전하게 되어 전방 이동구(108) 및 후방 이동구(109)가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전방 이동구(108) 및 후방 이동구(109) 상부에는 커버(120)를 마감하고, 이 커버(120)에 쿠션부(121)가 장착되어 커버(120)와 쿠션부(121)가 좌우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척추 영역을 진동 마사지하게 된다.
이때, 전방프레임(102) 및 후방프레임(103)에는 전,후방프레임(102)(103)에 적절한 쿠션부(미도시)가 각각 장착된다.
그리고,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는, 후방이동프레임(34)을 후방으로 길이 조절하기 위한 후방길이조절장치(140)에 관한 것으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과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상기 후방길이조절장치(140)는 후방이동프레임(34)의 전방에 장착되고, 회전 가능하게 워엄기어(141)가 구비된 후방전기모터(142)와; 후방에는 후방전기모터(142)의 워엄기어(141)에 회전 가능하게 치합되는 수평기어(143)가 장착되고, 전방에는 스크류(144)가 구비된 후방회전스크류바(145)와; 후방회전스크류바(145)의 스크류(14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이동나사(147)가 내부에 구비되고, 전방이 후방이동프레임(34) 내부에 고정된 후방이동바(148)로 이루어진다.
이때, 후방전기모터(142)의 동작으로 후방이동바(148)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후방이동프레임(34)이 전방고정프레임(32)으로부터 분리되어 길이가 조절된다. 이러한 후방전기모터(142)는 리모컨으로써 동작이 제어된다.
한편,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휠 팅 및 물구나무용 운동기구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요부 단면 구성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B"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19는 도 15의 요부 동작상태도이다. 이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과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상기 발목 홀딩장치(70)는 후방쿠션프레임(64) 후방 영역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고, 외주연에 발목을 홀딩하기 위한 하부발목홀딩부(150)가 구비된 원통형의 수직고정봉(154)과; 수직고정봉(154)에 높이조절수단(160)으로써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연에 하부발목홀딩부(150)와 대응되게 발목을 홀딩하기 위한 상부발목홀딩부(155)가 구비된 수직이동봉(15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발목홀딩부(150)는 수직고정봉(154) 외주연에 대응되게 고정된 하부수평바(152)와; 하부수평바(152) 외주연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어 발목을 지지하기 위한 하부홀딩재(153)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발목홀딩부(155)는 수직이동봉(158) 외주연에 대응되게 고정된 상부수평바(156)와; 상부수평바(156) 외주연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어 발목을 지지하기 위한 상부홀딩재(157)로 이루어진다. 이때, 하부홀딩재(153)와 상부홀딩재(157)는 경질의 스펀지와 가죽으로 이루어지고, 발목의 홀딩이 용이하도록 상호 만곡지게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160)은 수직이동봉(158)의 하부 및 상부 내주연에 삽입 고정되고, 통공(161)이 각각 형성된 하부마감구(162) 및 상부마감구(163)와;
하부마감구(162) 및 상부마감구(163)의 통공(161)을 통하여 수직으로 삽입되고, 상부에는 손잡이(164)가 체결 고정되며, 하부에는 하부마감구(162)와 결합 되는 록킹 결합구(170)가 체결너트(166)로써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체결된 회전장볼트(168)로 이루어진다. 이때, 하부마감구(162)는 하부 외주연 영역에 하향 경사면(162a)이 형성된다.
상기 록킹결합구(170)는 수직고정봉(154)의 내주연에 결합되고, 하부에 체결너트(166)가 결합되는 결합홈(171)이 형성된 하부끼움부(172)와; 하부끼움부(172)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마감구(162)의 하향 경사면(162a)과 결합되도록 상부 내주연에 상향 경사면(173)이 형성되며, 하향 경사면(162a)과 밀착시 외측으로 탄력적으로 벌어져 외주연이 수직고정봉(154)의 내주연에 밀착되고, 절개부(174)로써 나누어진 다수의 탄성절개편(175)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체결너트(166)는 하부끼움부(172)의 결합홈(171) 내부에 결합되고, 스냅링(167)으로써 이탈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신체 이완용 물구나무 운동기구에 대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쿠션부재(60)를 구성하는 전방쿠션프레임(62)과 후방쿠션프레임(64) 상부의 쿠션재(66)에 편안하게 누운 다음, 피 사용자 또는 사용자가 사용자의 양발을 후방쿠션프레임(64) 상부에 구비된 발목 홀딩장치(70)에 발목을 안정되게 홀딩시키게 된다.
즉, 사용자의 발목을 발목 홀딩장치(70)를 구성하는 발목홀딩부재(74)의 수평고정바(75)에 삽입되는 홀딩재(76)에 밀착시킨 다음, 회동레버(73)를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후방쿠션프레임(64) 후방 영역에 체결 고정된 하부브라켓(71)의 하부에 고정핀(72)으로써 하부 영역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회동레버(73)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동레버(73)의 하단에 장착되고, 유압피스톤(78)이 삽입된 유압실린더(77)가 유압피스톤(78)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하게 되어 회동레버(73)의 회동을 유지시켜 사용자의 발목을 안정되게 홀딩시키게 된다.(도 7및 도 8참조)
그 후, 도 3a 및 도 4에서와 같이 피 사용자 또는 사용자가 리모컨으로 전기모터(42)를 동작하면, 각도조절장치(40)를 구성하는 전기모터(42)가 동작되어 워엄기어(42a)가 회전하게 되고, 이 워엄기어(42a)에 치합된 수평기어(44a)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회전스크류바(44)가 공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회전스크류바(44)의 스크류(44b)에 이동나사(46a)로써 체결된 이동바(46)가 스크류(44b)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타단이 전방고정프레임(32) 하부에 회동 핀(47)으로써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바(46)가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방고정프레임(32)이 회동핀(47)을 중심으로 각도가 조절되는데, 최대 90°까지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발목이 발목 홀딩장치(70)에 의해 편안하게 안정되게 홀딩 되고, 전방고정프레임(32) 상부의 전방쿠션프레임(62)과 후방쿠션프레임(64) 상부의 쿠션재(66)에 편안하게 누운 상태에서 거꾸로 매달린 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혈액 순환이 용이한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설정한 시간이 지나면, 전기모터(42)를 반대로 동작시켜 이동바(46)를 회전스크류바(44)로부터 하강시키면, 전방고정프레임(32)이 회동 핀(47)을 중심으로 원래 상태로 이동하여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도 3b참조)
그 다음으로 쿠션재(66) 내부에 장착된 진동모터(미도시)를 동작시켜 돌기로써 허리 및 등 부위에 대한 지압을 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a 및 도 6에서와 같이, 피 사용자 또는 사용자가 리모컨으로 전방길이조절장치(50)를 구성하는 전방전기모터(52)를 동작시키면, 전방고정프레임(32)에 장착된 전방전기모터(52)가 동작되어, 전방전기모터(52)의 워엄기어(52a)가 회전하게 되고, 이 워엄기어(52a)에 치합된 수평기어(54a)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전방회전스크류바(54)가 공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전방회전스크류바(54)의 스크류(54b)에 이동나사(56a)로써 체결되고, 전방이 후방이동프레임(34) 내부에 고정된 전방이동바(56)가 스크류(54b)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후방이동프레임(34)이 전방고정프레임(32)으로부터 분리되고, 후방이동프레임(34) 상부의 후방쿠션프레임(64)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허리 영역을 후방으로 이완시키는 동작을 하게 된다.(도 5b참조)
한편, 도 9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전방쿠션프레임(62)과 후방쿠션프레임(64) 상부의 쿠션재(66)에 편안하게 누운 상태에서 운동기구의 이용시, 전방쿠션프레임(62) 하부 양측에 구비된 팔걸이장치(80)의 암 레스트(81)를 안정되게 파지하거나 편안하게 올려놓게 된다.
이러한 팔걸이장치(80)에 대하여 도 10a, 10b를 참조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회전 스크류(94) 일단의 손잡이(99)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회전 스크류(94)가 제2조립공(92)을 통하여 삽입되어 수직고정바(83) 하부 외주연에 밀착된 이동조임쇠(95)의 조절나사공(95a)을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회전 스크류(94)의 걸림요홈(94b)이, 제1조립공(91)을 통하여 수직고정바(82)에 밀착된 고정조임쇠(96)의 조립요홈(96a) 내부에서 고정부재(97)의 결합구(97b)를 따라 공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조임쇠(95)의 조절나사공(95a)이 회전 스크류(94)를 따라(도 10기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이동조임쇠(95)가 수직고정바(83)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조임력이 해제되어 수직고정바(83)가 수직이동바(86)로부터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회전 스크류(94)가 이동조임쇠(95)의 조절나사공(94b)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고정조임쇠(96)가 수직이동바(85)의 제1조립홈(92) 내부로부터 분리되어, 수직고정바(82)가 수직이동바(85)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됨에 따라, 수평연결대(84)로써 연결된 수직이동바(85)(86)가 수직고정바(82)(83)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암 레스트(81)가 전방쿠션프레임(62)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 스크류(94) 일단의 손잡이(99)를 상하부로 이동시키면, 암 레스트(81)가 연결된 수직고정바(83)는 상하부로 이동하지 않고, 수직이동바(85)가 수직고정바(82)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암 레스트(81)의 높이가 조절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99)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회전 스크류(94)가 이동조임쇠(95)의 조절나사공(95a)을 따라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회전 스크류(94)의 걸림요홈(94b)이, 제1조립공(91)을 통하여 수직고정바(82)에 밀착된 고정조임쇠(96)의 조립요홈(96a) 내부에서 고정부재(97)를 따라 공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조임쇠(95)의 조절나사공(95a)이 회전 스크류(94)를 따라(도 10기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이동조임쇠(95)가 수직이동바(86)의 제2조립공(92) 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수직고정바(83)에 조임력이 발생된다.
이와 동시에, 회전 스크류(94)가 이동조임쇠(95)의 조절나사공(94b)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고정조임쇠(96)가 수직이동바(85)의 제1조립홈(92) 내부로 유입되어 수직고정바(82)에 밀착됨으로써, 전방쿠션프레임(62)의 외측으로 암 레스트(81)의 이동과, 높이 조절에 대한 위치가 고정된다.
한편,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휠 팅 및 물구나무용 운동기구의 제2실시예, 즉 전방고정프레임(32) 상부에 체결 고정된 전방쿠션프레임(62)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좌우이동장치(100)를 구비되어 사용자의 척추를 마사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쿠션부재(60)를 구성하는 쿠션재(66) 상부에 편안하게 누운 상태에서 이동수단(110)을 구성하는 구동모터(113)를 동작하면, 구동모터(113)의 동작으로 회전축(114)에 편심되게 축설된 회전롤러(115)가 후방 이동구(109)의 이동안내공(111)을 따라 편심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회전롤러(115)의 편심 길이만큼 회전롤러(115)가 이동안내공(111)을 따라 회전하게 되어 후방 이동구(109) 및 전방 이동구(108)가 후방프레임(103)의 공간부(101)에 구비된 가로 안내바(105)(106)를 따라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방 이동구(108) 및 후방 이동구(109) 상부의 커버(120)와 쿠션부(121)가 좌우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척추 영역을 진동 마사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13 및 도 14는 휠 팅 및 물구나무 운동기구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후방이동프레임(34)을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이 조절하기 위한 후방길이조절장치(140)에 관한 것이다. 이에 대한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피 사용자 또는 사용자가 리모컨으로 후방길이조절장치(140)를 구성하는 후방전기모터(142)를 동작시키면, 후방이동프레임(34)에 장착된 후방전기모터(142)가 동작되어, 전방전기모터(142)의 워엄기어(141)가 회전하게 되고, 이 워엄기어(141)에 치합된 수평기어(143)가 회전하게 됨에 따라 후방회전스크류바(145)가 공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후방회전스크류바(145)의 스크류(144)에 이동나사(147)로써 체결되고, 후방이 전방고정프레임(32) 내부에 고정된, 후방이동바(148)의 이동나사(147)를 따라 후방회전스크류바(145)의 스크류(144)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후방이동프레임(34)이 전방고정프레임(32)으로부터 분리되고, 후방이동프레임(34) 상부의 후방쿠션프레임(64)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허리 영역을 후방으로 이완시키는 동작을 하게 된다.
한편, 도 15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신체 이완용 물구나무 운동기구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이에 대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쿠션부재(60)를 구성하는 전방쿠션프레임(62)과 후방쿠션프레임(64) 상부의 쿠션재(66)에 편안하게 누운 상태에서, 피 사용자가 사용자의 양발을 후방쿠션프레임(64) 상부에 구비된 발목 홀딩장치(70)에 발목을 안정되게 홀딩시키게 된다.
즉, 사용자의 발목을 발목 홀딩장치(70)를 구성하는 하부발목홀딩부(150)의 하부수평바(152)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된 하부홀딩재(153) 상부에 올려놓은 다음, 수직고정봉(154)에 높이조절수단(160)으로써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된 수직이동봉(158)을 하부로 이동시켜 상부발목홀딩부(155)의 상부홀딩재(157)를 발목 상부에 안정되게 홀딩하게 된다.
이때, 높이조절수단(160)에 대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손잡이(16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장볼트(168)가 록킹 결합구(170) 하부의 결합홈(171)에 결합되고, 스냅링(167)으로써 고정된 체결너트(166)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회전장볼트(168)가 손잡이(164)에 두무볼트(164a)로 체결 고정됨에 따라 체결너트(166)를 따라 반시계 방향으로 공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결합홈(171)에 결합되고, 스냅링(167)으로써 이탈 방지되도록 고정된 체결너트(166)가 하부로 이동하게 되며, 록킹 결합구(170)를 구성하는 탄성절개편(175)의 상향 경사면(173)이 하부마감구(162)의 하향 경사면(162a)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향 경사면(173) 사이의 절개부(174)가 내측으로 오므라들어 원래로 복귀하게 되고, 수직고정봉(154)의 내주연으로부터 탄성절개편(175)의 외측면이 이탈되어 록킹상태가 해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164)를 상방으로 당기면, 수직고정봉(154)의 내주연을 따라 상부발목홀딩부(155)가 구비된 수직이동봉(158)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상부발목홀딩부(155)의 상부수평바(156)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된 상부홀딩재(157)를 사용자의 발목에 안정되게 안착시킨 다음, 손잡이(164)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장볼트(168)가 록킹 결합구(170)를 구성하는 하부끼움부(172) 하부의 결합홈(171)에 결합되고, 스냅링(167)으로써 고정된 체결너트(166)를 따라, 시계 방향으로 공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결합홈(171) 내부에 스냅링(167)으로써 고정된 체결너트(166)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록킹 결합구(170)를 구성하는 탄성절개편(175)의 상향 경사면(173)이 하부마감구(162)의 하향 경사면(162a)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향 경사면(173) 사이의 절개부(174)가 외측으로 벌어져 수직고정봉(154)의 내주연에 탄성절개편(175)의 외측면이 밀착되어 록킹상태가 유지되어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기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 받침 부재 16 : 보강 받침대
20 : 수직고정프레임 22,23 : 돌출파이프 24 : 공간부 25 : 보강판
30 : 각도조절 및 길이 조절프레임 32 : 전방고정프레임
34 : 후방고정프레임 40 : 각도조절장치
41 : 경사프레임 42 : 전기모터
42a,52a,141 : 워엄기어 44 : 회전스크류바
44a,54a,143 : 수평기어 44b,54b,144 : 스크류
46 : 이동바 46a,56a,147 : 이동나사
47 : 회동핀 50 : 전방길이조절장치
52 : 전방전기모터 54 : 전방회전스크류바
56 : 전방이동바 60 : 쿠션부재
62 : 전방쿠션프레임 64 : 후방쿠션프레임
70 : 발목 홀딩장치 71 : 하부브라켓
73 : 회동레버 74 : 발목홀딩부제
75 : 수평고정바 76 : 홀딩재
77 : 유압실린더 78 : 유압피스톤
79 : 회동지지부재 80 : 팔걸이장치
81 : 암 레스트 82,83 : 수직고정바
84 : 수평연결대 85,86 : 수직이동바
90 : 록킹수단 91,92 : 제1,2조립공
94 : 회전 스크류 94a : 걸림단
94b : 걸림요홈 95 : 이동조임쇠
95a : 조절나사공 96 : 고정조임쇠
96a : 조립요홈 97 : 고정부재
97a : 체결볼트 97b : 결합구
100 : 좌우이동장치 101 : 공간부
102,103 : 전,후방프레임 105,106 : 가로 안내바
107 : 세로 고정바 108,109 : 전,후방 이동구
110 : 이동수단 111 : 이동안내공
113 : 구동모터 114 : 회전축
115 : 회전롤러 120 : 커버
121 : 쿠션부 140 : 후방길이조절장치 142 : 후방전기모터 145 : 후방회전스크류바
148 : 후방이동바 150 : 하부발목홀딩부
154 : 수직고정봉 155 : 상부발목홀딩부
158 : 수직이동봉 160 : 높이조절수단
161 : 통공 162 : 하부마감구
162a : 하향 경사면 163 : 상부마감구
164 : 손잡이 166 : 체결너트
167 : 스냅링 168 : 회전장볼트
170 : 록킹 결합구 171 : 결합홈
172 : 하부끼움부 173 : 하향 경사면
174 : 절개부 175 : 탄성절개편

Claims (13)

  1. 받침 부재(10)의 보강 받침대(16) 상부에 돌출되게 설치된 돌출파이프(22)(23)와; 상기 돌출파이프(22)(23) 양측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 보강판(25)으로 이루어진 수직고정프레임(20);
    상기 수직고정프레임(20)에 각도조절장치(40)로써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방길이조절장치(50)로써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각도조절 및 길이조절프레임(30); 및
    상기 각도조절 및 길이조절프레임(30) 상부에 장착된 쿠션부재(60)의 후방쿠션프레임(64) 상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발목을 편안하게 홀딩시키기 위한 발목 홀딩장치(7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이완 및 물구나무용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장치(40)는
    받침 부재(10)의 보강 받침대(16) 상부와 돌출파이프(22)(23) 사이에 경사지게 구비된 경사프레임(41)과;
    상기 경사프레임(41)에 단부가 경사지게 장착되고, 회전 가능하게 워엄기어(42a)가 구비된 전기모터(42)와;
    일측에는 전기모터(42)의 워엄기어(42a)에 회전 가능하게 치합되는 수평기어(44a)가 장착되고, 타측에는 스크류(44b)가 구비된 회전스크류바(44)와;
    상기 회전스크류바(44)의 스크류(44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하부로 이동하는 이동나사(46a)가 내부에 구비되고, 타단이 전방고정프레임(32) 하부에 회동핀(47)으로써 가능하게 장착된 이동바(4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이완 및 물구나무용 운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길이조절장치(50)는
    상기 각도조절 및 길이조절프레임(30)의 전방고정프레임(32)의 전방에 장착되고, 회전 가능하게 워엄기어(52a)가 구비된 전방전기모터(52)와;
    후방에는 전방전기모터(52)의 워엄기어(52a)에 회전 가능하게 치합되는 수평기어(54a)가 장착되고, 전방에는 스크류(54b)가 구비된 전방회전스크류바(54)와;
    상기 전방회전스크류바(54)의 스크류(54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이동나사(56a)가 내부에 구비되고, 전방이 후방이동프레임(34) 내부에 고정된 전방이동바(5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이완 및 물구나무용 운동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 홀딩장치(70)는
    상기 후방쿠션프레임(64) 후방 영역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 고정된 하부브라켓(71)과;
    상기 하부브라켓(71)의 하부에 고정핀(72)으로써 하부 영역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회동레버(73)와;
    상기 회동레버(73)의 전방 영역에 수평으로 구비된 수평고정바(75)와; 상기 수평고정바(75)의 외주연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어 발목을 지지하기 위한 홀딩재(76)로 이루어진 발목홀딩부재(74)와;
    상기 회동레버(73)의 하단에 장착된 유압실린더(77)와; 상기 유압실린더(77)에 일측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단이 하부브라켓(71)에 장착된 유압피스톤(78)으로 이루어져 회동레버(73)의 회동을 지지하기 위한 회동지지부재(7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이완 및 물구나무용 운동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재(60)의 전방쿠션프레임(62) 하부 양측에 양팔을 편안하게 받치기 위한 팔걸이장치(80)를 구비하되,
    상기 팔걸이장치(80)는
    상기 전방쿠션프레임(62)과 암 레스트(81)의 하부에 상부가 수직으로 각각 고정된 수직고정바(82)(83)와;
    상기 수직고정바(82)(83)의 하부 외주연에 회전, 상하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각각 삽입되고, 중공의 수평연결대(84)로써 수평으로 연통되게 연결된 수직이동바(85)(86)와;
    상기 수직고정바(82)(83), 수평연결대(84) 및 수직이동바(85)(86) 사이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수직고정바(82)(83)로부터 수직이동바(85)(86)의 회전, 상하 이동 및 회전 위치를 유지 및 해제하기 위한 록킹수단(9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이완 및 물구나무용 운동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90)은
    상기 수직고정바(82)와 수직이동바(85)에 대응되게 관통 형성되고, 수직이동바(86)에 관통 형성된 제1조립공(91) 및 제2조립공(92)과;
    상기 제1조립공(91) 및 제2조립공(9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수평으로 삽입되고, 일측에는 걸림단(94a)이 형성되어 제2조립공(92)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되고, 수직고정바(83)의 하단이 올려지게 되며, 타측에는 걸림요홈(94b)이 형성된 회전 스크류(94)와;
    상기 회전 스크류(94)에 이동 가능하게 나사되는 조절나사공(95a)이 형성되어 제2조립공(92)을 통하여 삽입되어 수직고정바(83)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이동조임쇠(95)와;
    상기 회전 스크류(94)의 걸림요홈(94b)이 일면의 조립요홈(96a) 내부에서 고정부재(97)로써 공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회전 스크류(94)의 회전시 제1조립공(91)을 통하여 삽입되어 수직고정바(82)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조임쇠(96)와;
    상기 회전스크류(94)의 일단에 체결 고정되어 회전 스크류(94)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9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이완 및 물구나무용 운동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97)는
    상기 고정조임쇠(96) 상부에서 조립요홈(96a) 영역으로 수직으로 체결된 체결볼트(97a)와;
    상기 체결볼트(97a)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회전 스크류(94)의 걸림요홈(94b)이 공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결합구(97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이완 및 물구나무용 운동기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고정프레임(32) 상부에 체결 고정된 전방쿠션프레임(62)에 사용자의 척추를 마시지 하기 위한 좌우이동장치(100)를 구비하되,
    상기 좌우이동장치(100)는
    전방쿠션프레임(62)을 공간부(101)가 형성되도록 분리하여 나누어진 전방프레임(102) 및 후방프레임(103)과;
    상기 중앙프레임(103)의 공간부(101)에 구비된 가로 안내바(105)(106)와;
    상기 가로 안내바(105)(106)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세로 고정바(107)로써 상호 연결된 전방 이동구(108) 및 후방 이동구(109)와;
    상기 후방 이동구(109) 일측의 공간부(101)와 후방 이동구(109) 사이에 장착되어 후방 이동구(109)를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110)과;
    상기 전방 이동구(108) 및 후방 이동구(109) 상부에 마감된 커버(120)와;
    상기 커버(120) 상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척추 영역을 진동 마사지하게 되는 쿠션부(12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이완 및 물구나무용 운동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110)은
    상기 후방 이동구(109)에 형성된 이동안내공(111)과;
    상기 후방 이동구(109) 일측의 공간부(101)에 장착된 구동모터(113)와;
    상기 구동모터(113)의 회전축(114)에 편심되게 장착되어 이동안내공(111)을 따라 편심 되게 회전하는 회전롤러(11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이완 및 물구나무용 운동기구.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고정프레임(32)으로부터 후방이동프레임(34)을 후방으로 길이 조절하기 위한 후방길이조절장치(140)를 구비하되,
    상기 후방길이조절장치(140)는
    상기 후방이동프레임(34)에 장착되고, 회전 가능하게 워엄기어(141)가 구비된 후방전기모터(142)와;
    후방에는 후방전기모터(142)의 워엄기어(141)에 회전 가능하게 치합되는 수평기어(143)가 장착되고, 전방에는 스크류(144)가 구비된 후방회전스크류바(145)와;
    상기 후방회전스크류바(145)의 스크류(14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이동나사(147)가 내부에 구비되고, 전방이 후방이동프레임(34) 내부에 고정된 후방이동바(14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이완 및 물구나무용 운동기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목 홀딩장치(70)는
    상기 후방쿠션프레임(64) 후방 영역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 고정되고, 외주연에 발목을 홀딩하기 위한 하부발목홀딩부(150)가 구비된 원통형의 수직고정봉(154)과;
    상기 수직고정봉(154)에 높이조절수단(160)으로써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주연에 하부발목홀딩부(150)와 대응되게 발목을 홀딩하기 위한 상부발목홀딩부(155)가 구비된 수직이동봉(15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이완 및 물구나무용 운동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160)은
    상기 수직이동봉(158)의 하부 및 상부 내주연에 삽입 고정되고, 통공(161)이 형성된 하부마감구(162) 및 상부마감구(163)와;
    상기 하부마감구(162) 및 상부마감구(163)의 통공(161)을 통하여 수직으로 삽입되고, 상부에 손잡이(164)가 체결 고정되며,
    하부에는 하부마감구(162)에 선택적으로 결합 되는 록킹 결합구(170)가 체결너트(166)로써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체결된 회전장볼트(168)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분 이완 및 물구나무용 운동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결합구(170)는
    수직고정봉(154)의 내주연에 결합되고, 하부에 스냅링(167)으로써 이탈이 방지되록 체결너트(166)가 결합되는 결합홈(171)이 형성된 하부끼움부(172)와;
    상기 하부끼움부(172)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마감구(162)의 하향 경사면(162a)과 결합되도록 상부 내주연에 상향 경사면(173)이 형성되며, 하향 경사면(162a)과 밀착시 외측으로 벌어져 외주연이 수직고정봉(154)의 내주연에 밀착되고, 절개부(174)로써 나누어진 다수의 탄성절개편(17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팅 및 물구나무용 운동기구.
KR1020120025038A 2012-03-12 2012-03-12 부분 이완 및 물구나무용 운동기구 KR101342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038A KR101342924B1 (ko) 2012-03-12 2012-03-12 부분 이완 및 물구나무용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5038A KR101342924B1 (ko) 2012-03-12 2012-03-12 부분 이완 및 물구나무용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3966A true KR20130103966A (ko) 2013-09-25
KR101342924B1 KR101342924B1 (ko) 2013-12-20

Family

ID=49452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5038A KR101342924B1 (ko) 2012-03-12 2012-03-12 부분 이완 및 물구나무용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29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681B1 (ko) * 2013-12-17 2014-09-04 신준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용 헬스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432386Y (zh) 2000-06-06 2001-05-30 巫东和 一种驱使滚压按摩装置连续移动与往复的传动构造
KR101003316B1 (ko) * 2009-10-15 2010-12-23 주식회사 맥스톤 스포츠 인버션 테이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681B1 (ko) * 2013-12-17 2014-09-04 신준용 물구나무서기 운동용 헬스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2924B1 (ko) 2013-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92286B2 (ja) 運動装置とその使用方法
US7147589B2 (en) Twist machine for whole body exercise
KR20160055812A (ko) 건요기
NO343956B1 (no) Ryggterapiapparat
KR20130086672A (ko) 자동 안마장치
KR101477957B1 (ko) 체간 운동장치
KR100965846B1 (ko)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
CN201052252Y (zh) 拉伸按摩保健椅
KR101342924B1 (ko) 부분 이완 및 물구나무용 운동기구
KR20170114874A (ko) 복근강화 및 수족지압 의자
KR101677528B1 (ko) 전동 꺼꾸리 운동기구
KR200235046Y1 (ko) 스트레칭 운동기구
KR200393369Y1 (ko) 스윙 및 틸팅가능한 복합 운동기구
CN206372446U (zh) 一种健身器材
JP2019195564A (ja) 健康器具
CN114377354A (zh) 一种护理康复锻炼装置
KR101559703B1 (ko) 거꾸리 운동기
CN219538799U (zh) 一种适用于强直性脊柱炎的腰背拉伸器
CN203736776U (zh) 一种新型拉伸机
CN215737894U (zh) 一种肢体康复训练辅助椅
CN215960988U (zh) 一种胸外科患者术后助行设备
KR200405261Y1 (ko) 척추 운동기구
KR101314930B1 (ko) 진동식 안마기
KR102247749B1 (ko) 수중 운동용 반신욕 장치
JPH0743836U (ja) ストレッチ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