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2749A - 적외선 카메라를 구비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 Google Patents

적외선 카메라를 구비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2749A
KR20130102749A KR1020120023824A KR20120023824A KR20130102749A KR 20130102749 A KR20130102749 A KR 20130102749A KR 1020120023824 A KR1020120023824 A KR 1020120023824A KR 20120023824 A KR20120023824 A KR 20120023824A KR 20130102749 A KR20130102749 A KR 20130102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camera
vehicle
image
black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석
김택수
Original Assignee
지앤아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앤아이(주) filed Critical 지앤아이(주)
Priority to KR1020120023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2749A/ko
Publication of KR20130102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27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3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camera systems provided with artificial illumination device, e.g. IR light source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는, 차량 외부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촬영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 외부로 적외선을 방사하는 적외선 램프; 상기 방사된 적외선을 통해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 대응하는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 및 상기 적외선 램프 및 상기 적외선 카메라를 통한 적외선 영상의 촬영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적외선 카메라를 구비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VEHICLE BLACKBOX APPARATUS EQUIPPED FOR INFRARED CAMERA}
본 발명은 적외선 카메라를 구비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블랙박스에 적외선 램프 및 적외선 카메라를 추가 장착하여 차량 외부의 조도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적외선 램프 및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적외선 영상을 추가 촬영함으로써 야간이나 터널 등의 환경에서도 차량의 운행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촬영할 수 있는 적외선 카메라를 구비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망이 개방되고 위치 데이터와 관련된 법률이 정비됨에 따라,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 관련 산업이 활성화되고 있다. 위치 기반 서비스의 한 분야로서, 디바이스가 장착된 차량 등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거나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를 안내해주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관련 산업 또한 급격히 활성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최근에는 차량용 내비게이션과 더불어 차량의 외부를 촬영하여 차량의 운행정보나 주변환경정보를 실제 영상으로 판독할 수 있도록 하는 블랙박스 시장이 활성화되고 있다.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용 내비게이션과 신호를 교환하여 차량의 사고처리과정 등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의 운행 중에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 차량용 블랙박스에서 획득하여 저장한 영상데이터를 분석하여 사고의 경위 및 과실의 정도를 판단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내비게이션과 연결되어있는 차량용 블랙박스는, 차량용 내비게이션에 저장되어있는 각종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용 블랙박스에서 획득한 영상을 차량용 내비게이션에 저장된 맵(map) 데이터에 매칭시켜 차량용 블랙박스의 효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차량용 블랙박스의 성능은 촬영된 영상의 선명도에 의해 좌우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차량용 블랙박스는 일반적인 소형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기 때문에 영상촬영에 필요한 충분한 광량이 제공되지 않으면 선명한 영상을 촬영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야간이나 터널 등에서는 블랙박스로 운행정보를 촬영한다 하더라도, 추후 차량의 운행상황이나 주변상황을 판독하기가 매우 난해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따라, 야간이나 터널 등 광량이 충분히 제공되지 않는 열악한 환경에서도 블랙박스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보다 용이하게 판독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촬영 환경을 제공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야간이나 터널 등 광량이 충분히 제공되지 않는 열악한 환경에서도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사용자가 차량의 운행정보나 주변환경정보를 용이하게 판독할 수 있도록 하는 적외선 카메라를 구비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도센서를 통해 차량 외부의 조도를 감지하여 적외선 영상의 촬영이 필요한 경우에만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적외선 영상을 일반 카메라의 영상과 대응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블랙박스 장치를 통해 촬영된 영상의 정보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적외선 카메라를 구비한 블랙박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는, 차량 외부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촬영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 외부로 적외선을 방사하는 적외선 램프; 상기 방사된 적외선을 통해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 대응하는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 및 상기 적외선 램프 및 상기 적외선 카메라를 통한 적외선 영상의 촬영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는, 상기 차량 외부에 대한 조도 데이터를 센싱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조도 데이터가 선정된(predetermined)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적외선 램프가 적외선을 방사하고 상기 적외선 카메라가 상기 방사된 적외선을 통해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상기 적외선 카메라가 적외선 영상의 촬영을 개시하는 경우 상기 촬영된 적외선 영상의 촬영시작 시각정보 및 촬영종료 시각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한 촬영시작 시각정보 및 상기 촬영종료 시각정보를 통해 상기 적외선 영상을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해당 영상과 대응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상기 적외선 램프에서 방사되는 상기 적외선을 통해 상기 차량 외부의 물체를 인식하고, 상기 물체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선정된 거리 이내로 진입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 알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상기 차량에 구비된 내비게이션 장치 또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Head-UP Display)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적외선 영상의 촬영이 개시되는 경우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 또는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적외선 영상을 전송하여 상기 적외선 영상이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 또는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외선 카메라를 구비한 블랙박스 장치에 따르면, 야간이나 터널 등 광량이 충분히 제공되지 않는 열악한 환경에서도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사용자가 차량의 운행정보나 주변환경정보를 용이하게 판독할 수 있고, 조도센서를 통해 필요한 경우에만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여 일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과 대응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최소한의 자원으로 정보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카메라 영상 및 적외선 카메라 영상의 저장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일반 영상 및 카메라 영상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110), 카메라(121), 적외선 램프(122), 적외선 카메라(123), 조도센서(131), GPS 모듈(132), 메모리(141), 및 디스플레이 수단(142)을 포함할 수 있다.
GPS 모듈(132)은 본 발명의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일부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내비게이션 장치(151),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52), 또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153)가 포함하는 GPS 모듈로도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는 GPS 모듈(132)을 구성으로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는 차량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GPS 모듈을 포함하는 내비게이션 장치(151),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52), 또는 ECU(153)로부터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수단(142)도 GPS 모듈(132)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일부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내비게이션 장치(151)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52)의 일부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차량의 내부나 외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외부에 대한 운행상황이나 주정차 상황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블랙박스에 일반적으로 널리 적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블랙박스의 종류, 예를 들어 채널수에 따라 하나 이상이 차량의 다양한 공간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적외선 램프(122)는 카메라(121)의 촬영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 외부로 적외선을 방사한다. 적외선 카메라(123)는 상기 방사된 적외선을 통해 카메라(121)가 촬영한 영상에 대응하는 적외선 영상을 촬영한다. 즉, 적외선 램프(122) 및 적외선 카메라(123)는 카메라(121) 근처에 설치되어 카메라(121)가 촬영하는 영상과 동일한 장면을 적외선 영상으로 촬영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적외선 램프(122) 및 적외선 카메라(123)는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카메라(121)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의 내부나 외부에 하나 이상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121) 및 적외선 카메라(123)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과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121) 및 적외선 카메라(123)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과 유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카메라(121) 및 적외선 카메라,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은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 및 적외선 카메라,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은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ntification) 모듈, 적외선 통신(IrDA, Infraed Data Association) 모듈, UWB(Ultra WidBand) 모듈, ZigBee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110)은 상기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각 구성과 연결되어, 상기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은 적외선 램프 및 적외선 카메라를 통한 적외선 영상의 촬영을 제어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은 선정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적외선 촬영의 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벤트는 조도센서(131)의 조도 데이터 센싱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조도센서(131)는 차량 외부에 대한 조도(illuminance) 데이터를 센싱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은 조도센서(131)를 통해 측정된 조도 데이터를 선정된 임계값과 비교한다. 상기 비교결과 상기 측정된 조도 데이터가 상기 임계값 미만인 경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은 적외선 영상의 촬영이 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은 적외선 램프(122)가 적외선을 방사하도록 제어하고, 적외선 카메라(123)가 상기 방사된 적외선을 통해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적외선 카메라(123)의 지향방향은 카메라(121)의 지향방향과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121)가 촬영하는 영상과 적외선 카메라(123)가 촬영하는 적외선 영상은 동일한 장면으로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은 적외선 카메라(123)가 상기 적외선 영상의 촬영을 개시하는 경우, 상기 촬영된 적외선 영상의 촬영시작 시각정보 및 촬영종료 시각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적외선 영상에 태깅(tagging)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상기 판독한 촬영시작 시각정보 및 상기 촬영종료 시각정보를 통해 상기 적외선 영상을 카메라(121)를 통해 촬영된 해당 영상과 대응하여 메모리(141)에 저장할 수 있다. 이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카메라 영상 및 적외선 카메라 영상의 저장원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은 카메라(121)로 촬영된 영상과 적외선 카메라(123)로 촬영된 영상을 서로 대응하여 메모리(141)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은 촬영되는 영상 및 적외선 영상을 일정한 주기로 분할하여 하나 이상의 서브 영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은 카메라(121)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주기 t 마다 분할하여 각 서브 영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다만,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은 선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주기 t가 도래하지 않더라도 상기 영상을 분할하여 새로운 서브 영상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는 조도센서를 통해 센싱된 조도 데이터가 임계값 미만으로 측정되어 적외선 영상의 촬영이 개시되는 경우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은 주기 t 마다 영상을 분할하여 제1 서브영상(211) 및 제2 서브영상(212)을 메모리(141)에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제3 서브영상(213)의 촬영 도중 주기 t가 도래하지 않은 a 시점에 적외선 영상의 촬영이 개시되는 이벤트가 발생한다면,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은 제3 서브영상(213)을 상기 a 시점에 분할하여 저장하고, 상기 a 시점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제4 서브영상(214)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4 서브영상(214)의 촬영과 더불어 상기 a 시점부터 제1 서브 적외선 영상(211)의 촬영이 개시될 수 있다. 상기 a 시점 이후 주기 t가 도래하면,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은 제4 서브영상(215) 및 제1 서브 적외선 영상을 서로 대응하여 메모리(141)에 저장하고, 이후 제5 서브영상(215) 및 제2 서브 적외선 영상(222)의 촬영을 지속한다. 제6 서브영상(216) 및 제3 서브 적외선 영상(223)의 촬영 도중 b 시점에 적외선 영상의 촬영이 종료되는 이벤트가 발생한다면, 상기 b 시점에서 제6 서브영상(216) 및 제3 서브 적외선 영상(223)은 메모리(141)에 저장되고 제7 서브영상(217)의 촬영만 지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모리(141)에는 제4 서브영상(214)과 제1 서브 적외선 영상(221)이 서로 대응하여 기록되고, 제5 서브영상(215)과 제2 서브 적외선 영상(222)이 서로 대응하여 기록되며, 제6 서브영상(216)과 제3 서브 적외선 영상(223)이 서로 대응하여 기록될 수 있다. 서로 대응하여 기록된 서브영상 및 서브 적외선 영상은 사용자에게 동시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일반 영상 및 카메라 영상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서브영상(211), 제2 서브영상(212), 제3 서브영상(213), 제7 서브영상(217)은 화면(310) 전체를 통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다만, 제4 서브영상(214)의 재생이 시작되는 경우, 제4 서브영상(214)은 제1 서브화면(320)에 디스플레이 되고, 제2 서브화면(330)에는 제1 서브 적외선 영상(221)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은 적외선 램프(122)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을 통해 상기 차량 외부의 물체를 인식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은 상기 물체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선정된 거리 이내로 진입하는 경우, 즉, 차량이 외부 장애물과 충돌할 우려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다양한 방법을 통해 경고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은 상기 차량에 구비된 내비게이션 장치(151) 또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5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영상의 촬영이 개시되는 경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은 내비게이션 장치(151) 또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52)로 상기 적외선 영상을 전송하여 상기 적외선 영상이 내비게이션 장치(151) 또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52)를 통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은 차량의 ECU(Electronic Control Unit)(153) 장치와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110)은 무선 인터넷 모듈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을 통해 차량 내 다른 장비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도 있고, 외부의 서버나 단말기 등과 네트워크 연결될 수도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은 WLAN(Wireless LAN),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ess)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의 영상 촬영 제어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
121: 카메라
122: 적외선 램프
123: 적외선 카메라
131: 조도센서
132: GPS
141: 메모리
142: 디스플레이 수단
151: 내비게이션 장치
152: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153: ECU

Claims (5)

  1. 차량 외부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촬영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 외부로 적외선을 방사하는 적외선 램프;
    상기 방사된 적외선을 통해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에 대응하는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 및
    상기 적외선 램프 및 상기 적외선 카메라를 통한 적외선 영상의 촬영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외부에 대한 조도 데이터를 센싱하는 조도 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상기 조도 센서를 통해 측정된 조도 데이터가 선정된(predetermined)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적외선 램프가 적외선을 방사하고 상기 적외선 카메라가 상기 방사된 적외선을 통해 적외선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상기 적외선 카메라가 적외선 영상의 촬영을 개시하는 경우 상기 촬영된 적외선 영상의 촬영시작 시각정보 및 촬영종료 시각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판독한 촬영시작 시각정보 및 상기 촬영종료 시각정보를 통해 상기 적외선 영상을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해당 영상과 대응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상기 적외선 램프에서 방사되는 상기 적외선을 통해 상기 차량 외부의 물체를 인식하고, 상기 물체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선정된 거리 이내로 진입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 알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은 상기 차량에 구비된 내비게이션 장치 또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Head-UP Display)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적외선 영상의 촬영이 개시되는 경우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 또는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로 상기 적외선 영상을 전송하여 상기 적외선 영상이 상기 내비게이션 장치 또는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KR1020120023824A 2012-03-08 2012-03-08 적외선 카메라를 구비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KR201301027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824A KR20130102749A (ko) 2012-03-08 2012-03-08 적외선 카메라를 구비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824A KR20130102749A (ko) 2012-03-08 2012-03-08 적외선 카메라를 구비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749A true KR20130102749A (ko) 2013-09-23

Family

ID=49452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824A KR20130102749A (ko) 2012-03-08 2012-03-08 적외선 카메라를 구비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27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0724A1 (ko) * 2016-12-13 2018-06-21 주식회사 토비스 열에너지 정보를 표시하는 나이트 비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0724A1 (ko) * 2016-12-13 2018-06-21 주식회사 토비스 열에너지 정보를 표시하는 나이트 비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12908A1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image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CN110874925A (zh) 智能路侧单元及其控制方法
JP4556742B2 (ja) 車両直下画像表示制御装置および車両直下画像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20200027229A1 (en) Annotation cross-labeling for autonomous control systems
US11373528B2 (en) Parking management system and parking management method
KR101563112B1 (ko) 전방위 카메라와 레이저센서를 이용한 차량 카운트 시스템
CN111292351A (zh) 车辆检测方法及执行其的电子设备
US20150054958A1 (en) Vehicle safet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ing cameras
KR101573660B1 (ko) 차량 카운트 시스템을 이용한 주차장 정보 제공 방법 및 주차장 정보 제공 시스템
US992204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of processing information, and program for processing information
KR101327905B1 (ko) 꼬리물기, 정지선 위반 및 불법유턴 단속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8696320A (zh) 调制的红外照明
US11138451B2 (en) Training image selection system
JP2020038629A (ja) インテリジェント路側ユニットおよびその情報処理方法
CN112116655A (zh) 目标对象的图像的位置信息确定方法和装置
CN107798860A (zh) 车载实时影像分享系统、方法、设备及存储介质
KR20140089999A (ko) 주차 구역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N105730339A (zh) 智能投影车辆及智能投影方法
CN111243024A (zh) 停车区域识别系统及方法、检测系统及方法、安防系统
JP2013109639A (ja) 画像処理装置、サーバ、携帯端末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KR102058055B1 (ko)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주차 단속 시스템 및 이의 단속 방법
KR20130102749A (ko) 적외선 카메라를 구비한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CN110024307A (zh) 可见光通信检测和/或解码
KR20190024511A (ko) 도로 상황 공유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00426B1 (ko) 카메라 신호제어 및 시간 스케쥴링을 통한 차량 번호판 식별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