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4511A - 도로 상황 공유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도로 상황 공유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4511A
KR20190024511A KR1020170150330A KR20170150330A KR20190024511A KR 20190024511 A KR20190024511 A KR 20190024511A KR 1020170150330 A KR1020170150330 A KR 1020170150330A KR 20170150330 A KR20170150330 A KR 20170150330A KR 20190024511 A KR20190024511 A KR 20190024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ituation
road
vehicle
sh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0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0904B1 (ko
Inventor
고태영
이종훈
Original Assignee
고태영
이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태영, 이종훈 filed Critical 고태영
Publication of KR20190024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4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0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0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5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output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to the driv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상황 공유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도로 상황 공유 방법은 차량의 주행 방향을 촬영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으로부터 제1 시점에 대한 제1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으로부터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 대한 제2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시점에 상기 차량이 위치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좌표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상, 상기 제2 영상 및 상기 GPS 좌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제1 영상보다 용량이 작을 수 있다.

Description

도로 상황 공유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for sharing road situation and computer program recorded on record-medium for execut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교통(traffic)과 정보 통신 기술(Information Technology, IT)의 융합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 상황을 다른 차량과 공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IT)이 발전하면서 차량 주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전자 기기들이 등장하였다. 대표적으로, 차량의 현 위치에서부터 목적지까지 길 안내하는 내비게이션(navigation), 차량의 대시 보드 등에 설치되어 차량 외부의 상황을 촬영하는 블랙박스(dashboard camera) 등이 등장하였다.
최근에는 단순히 길 안내를 넘어, 실시간 교통 상황을 반영하여 목적지까지 최단 시간이 소요되는 경로를 안내하는 내비게이션도 등장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내비게이션이 반영하는 교통 상황은 동일한 내비게이션이 설치된 차량으로부터 수집되지 아니하고, 교통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전용 장비가 설치된 별도의 차량으로부터 수집된다. 또한, 이와 같은 내비게이션은 차량들의 교통(traffic) 상황을 반영할 뿐, 물리적인 도로(road)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다.
한편, 블랙박스에 의해 촬영된 차량 외부의 영상에는 물리적인 도로 상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블랙박스에 의해 촬영된 차량 외부의 영상은 데이터 용량이 매우 커서 다른 차량의 블랙박스 또는 다른 장치와 공유되기 쉽지 않다.
교통 사고는 차량 운전자의 부주의에 의해 발생되기도 하나, 외부의 돌발 상황에 차량 운전자가 대응하지 못하여 발생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외부의 돌발 상황에는 물리적인 도로 상황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적 차량(overloaded vehicle)에서 떨어진 도로 위의 낙하물(fallen object), 로드킬(roadkill) 당한 동물의 사체, 물 웅덩이 등을 발견한 차량 운전자는 갑작스런 조향 변경을 하게 되고, 갑작스런 조향 변경은 교통 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과적 차량에서 떨어진 도로 위의 낙하물, 로드킬 당한 동물의 사체, 물 웅덩이 등과 같은 돌발적인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차량 운전자들이 실시간으로 공유하게 하여, 돌발 상황에 의한 교통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솔루션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3-0037051호, ‘실시간 도로교통정보 전달 시스템’, (2003.05.12 공개)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도로 상황을 다른 차량과 공유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개시는 도로 상황을 다른 차량과 공유하기 위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로 상황 공유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도로 상황 공유 방법은 차량의 주행 방향을 촬영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으로부터 제1 시점에 대한 제1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으로부터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 대한 제2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시점에 상기 차량이 위치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좌표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상, 상기 제2 영상 및 상기 GPS 좌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제1 영상보다 용량이 작을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영상 중 도로 영역 내에 존재하는 오브젝트(object)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오브젝트의 유형(type)을 기초로, 상기 도로 영역 내에 존재하는 이상(abnormal) 상황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이상 상황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오브젝트의 속성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상의 엣지를 검출(edge detection)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엣지를 기초로 상기 도로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상 내에서 상기 도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대한 이미지 압축률(compression rate)과, 상기 도로 영역에 대한 이미지 압축률을 서로 상이하게 설정하여 상기 제1 영상을 재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오브젝트의 속성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상의 엣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엣지를 기초로 상기 오브젝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상 내에서 상기 도로 영역 및 상기 오브젝트를 제외한 영역에 대한 이미지를 폐기(discard)하고, 상기 도로 영역에 대한 이미지 압축률과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압축률을 서로 상이하게 설정하여 상기 제1 영상을 재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제1 영상보다 이미지 해상도(resolution)가 낮거나 또는 제1 영상보다 이미지 압축률이 높아, 상기 제1 영상보다 용량이 작을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제1 영상은 컬러(full-color) 이미지이고, 상기 제2 영상은 단색(mono-color) 이미지가 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로 상황 공유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와 결합되어, 차량의 주행 방향을 촬영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으로부터 제1 시점에 대한 제1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으로부터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 대한 제2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시점에 상기 차량이 위치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좌표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상, 상기 제2 영상 및 상기 GPS 좌표를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시킬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과적 차량에서 떨어진 도로 위의 낙하물, 로드킬 당한 동물의 사체, 물 웅덩이 등과 같은 돌발적인 도로 상황에 의한 교통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의 동작 및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나열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 공유 장치의 논리적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 공유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샘플링 과정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압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상황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과적 차량(overloaded vehicle)에서 떨어진 도로 위의 낙하물(fallen object), 로드킬(roadkill) 당한 동물의 사체, 또는 물 웅덩이 등과 같은 물리적인 도로 상황은 교통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내비게이션 또는 블랙박스 등과 같은 기존의 전자 장비들은 도로 상황을 제공하거나 반영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돌발적인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차량 운전자들이 실시간으로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제안하고자 하는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동작 및 효과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의 동작 및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의 동작 및 효과를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1 차량(10a)의 운전자가 주행 방향의 도로에 존재하는 물 웅덩이(20)를 발견했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차량(10a, 10b)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상황 공유 장치(100a, 100b)가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제1 차량(10a)의 운전자는 상황 공유 장치(100a)에 대하여 현재의 도로 상황을 공유하라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량(10a)의 운전자는 상황 공유 장치(100a)의 일측에 구비된 "공유 버튼"을 눌러 현재의 도로 상황을 공유하라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제1 차량(10a)의 운전자가 차량의 비상등을 누른 경우, 상황 공유 장치(100a)가 CAN(Controller Area Network) 등과 같은 차량용 네트워크를 통해 비상등 점등을 확인하고, 현재의 도로 상황을 공유하라는 명령을 인식할 수 있다.
제1 차량(10a)의 상황 공유 장치(100a)는 제1 차량(10a)의 주행 방향에 대한 영상을 수집한다. 예를 들어, 상황 공유 장치(100a)가 차량 블랙박스의 일부로서 구현된 경우, 블랙박스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동영상 중 일부의 영상을 샘플링(sampling)할 수 있다. 또는, 상황 공유 장치(100a)가 스마트폰(smart phone)의 일부로서 구현된 경우,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통해 하나 이상의 영상을 캡쳐(capture)할 수 있다.
제1 차량(10a)의 상황 공유 장치(100a)는 수집된 주행 방향에 대한 영상을 이동 통신망(30)을 통해 상황 공유 서버(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다. 상황 공유 서버(미도시)는 수신된 주행 방향에 대한 영상을 기초로 도로 상황을 식별하고, 식별된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1 차량(10a)과 동일한 도로에서 주행하고 있는 제2 차량(10b)의 상황 공유 장치(100b)에게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차량(10b)의 상황 공유 장치(100b)는 수신된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경고음 또는 경고 화면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은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공유하기 위하여, 상황 공유 장치(100)가 차량(10)의 주행 방향에 대한 영상의 용량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은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 공유를 유도하기 위하여, 차량(10)의 주행 방향에 대한 영상을 제공한 운전자에게 다양한 보상을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이 적용되면, 동일한 도로에서 주행 중인 차량(10a, 10b)은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 공유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은 과적 차량에서 떨어진 도로 위의 낙하물, 로드킬 당한 동물의 사체, 물 웅덩이 등과 같은 돌발적인 도로 상황에 의한 교통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의 구성을 나열한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은 상황 공유 장치(100) 및 상황 공유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로 상황 공유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은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요소들을 나타낸 것에 불과하므로, 어느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실제 물리적 환경에서는 서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황 공유 장치(100)는 상황 공유 장치(100)는 차량 운전자의 명령에 응답하여,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한 영상을 상황 공유 서버(200)에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상황 공유 장치(100)는 기존의 차량 내비게이션에 상황 공유 기능이 추가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존의 차량 블랙박스에 상황 공유 기능이 추가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또는 기존의 스마트폰에 상황 공유 기능이 구현된 앱(application)이 설치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황 공유 장치(100)는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자체적으로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황 공유 장치(100)는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는 외부 장치로부터 동영상 또는 영상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상황 공유 장치(100)는 차량 운전자로부터 도로 상황을 공유하라는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하여,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또는 물리적인 버튼 등과 같은 입력 장치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황 공유 장치(100)는 CAN,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플렉스레이(FlexRay) 등과 같은 차량용 네트워크로부터 차량의 비상등이 점등되었는지 확인하고, 차량 비상등의 점등을 도로 상황을 공유하라는 명령으로 인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황 공유 장치(10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추후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황 공유 서버(200)는 복수 개의 차량에 각각 설치된 상황 공유 장치(100)들로부터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한 영상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좌표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도로 상황을 식별하여 상기 복수 개의 차량에 각각 설치된 상황 공유 장치(100)에게 공유한다. 이와 같은, 상황 공유 서버(200)는 도로를 관리하는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 소속 기관 또는 공공 기업체 등에서 운용하는 서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 공유 서버(200)는 "한국도로공사"에서 운용하는 서버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 공유 서버(200)는 복수 개의 상황 공유 장치(100)로부터 수집된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한 영상을 기초로, 직접 도로 상황을 식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황 공유 서버(200)는 상황 공유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한 영상의 엣지(edge)를 검출(detection)할 수 있다. 상황 공유 서버(200)는 검출된 엣지를 기초로, 영상 내에 존재하는 도로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상황 공유 서버(200)는 추출된 도로 영역 내에 존재하는 오브젝트(object)를 식별할 수 있다. 상황 공유 서버(200)는 식별된 오브젝트의 유형(type)을 기초로, 도로에서 발생된 상황이 이상(abnormal) 상황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황 공유 서버(200)는 상황 공유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GPS 좌표를 기초로, 이상 상황이 존재하는 도로에서 주행하는 차량에 설치된 상황 공유 장치(100)에 대하여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황 공유 서버(200)는 복수 개의 상황 공유 장치(100)들로부터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한 영상, GPS 좌표 및 이상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즉, 상황 공유 서버(200)는 제1 상황 공유 장치(100)들로부터 수신된 이상 상황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제2 상황 공유 장치(100)에 도로 상황 정보를 전파하는 역할만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황 공유 서버(200)는 공유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이상 상황에 대한 정보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동일한 도로에서 주행 중인 임계수(threshold) 이상의 상황 공유 장치(100)로부터 동일한 이상 상황에 대한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만, 상황 공유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이상 상황에 대한 정보를 신뢰하고, 해당 이상 상황에 대응하는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다른 상황 공유 장치(100)에 전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 공유 서버(200)는 3개의 상황 공유 장치(100)로부터 동일한 이상 상황에 대한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만, 해당 이상 상황에 대응하는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다른 상황 공유 장치(100)에 전파할 수 있다.
상황 공유 서버(200)는 제1 상황 공유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한 영상 등을 기초로, 제2 상황 공유 장치(200)에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공유한 경우, 제1 상황 공유 장치(100)의 사용자에 대하여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황 공유 서버(200)는 상황 공유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주행 방향에 대한 영상을 활용한 경우, 해당 상황 공유 장치(100)의 사용자 계정에 기 설정된 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 공유 서버(200)가 "한국도로공사"에서 운용하는 서버인 경우, 상황 공유 서버(200)는 상황 공유 장치(100)의 사용자 계정에 도로 사용료 지불에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황 공유 장치(100)의 사용자는 제공받은 포인트를 이용하여 도로 사용료를 지불할 수 있다. 즉, 상황 공유 서버(200)는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공유해준 차량 운전자에게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유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황 공유 장치(100) 및 상황 공유 서버(200)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와이드 밴드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DMA, WCDMA), 고속 패킷 접속(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등과 같은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상황 공유 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 공유 장치의 논리적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황 공유 장치(100)는 입출력부(105), 측위부(110), 영상 획득부(115), 상황 식별부(120), 영상 조정부(125), 상황 공유부(130), 통신부(135) 및 보상 관리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황 공유 장치(100)가 차량 내비게이션 또는 차량 블랙박스에 상황 공유 기능이 추가된 형태로 구현된 경우, 차량 내비게이션 또는 차량 블랙박스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본 발명에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또한, 상황 공유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은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요소들을 나타낸 것에 불과하므로, 어느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실제 물리적 환경에서는 서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하면, 입출력부(105)는 사용자(즉, 차량 운전자)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거나, 또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출력부(105)는 사용자의 터치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키패드(keypad), 터치패드(touchpad)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입출력부(105)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ED, OLED),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ctive Matrix OLED, AM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스피커 및 진동모터 등을 이용하여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입출력부(105)는 입력과 출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나의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출력부(105)는 차량용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출력부(105)는 차량의 OBD(On-Board Diagnostics) 단자를 통해 차량용 네트워크의 신호를 후킹(hooking)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용 네트워크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또는 플렉스레이(FlexRay)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측위부(110)는 차량의 위치를 측위하여 GPS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위부(110)는 GPS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위하여 GPS 좌표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측위부(110)는 통신부(135)를 통해 세 개 이상의 이동통신 기지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의 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를 기초로 삼각 측량(triangulation)을 수행하여 GPS 좌표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측위부(110)는 영상 획득부(115)에 의해 영상이 획득되는 시점에 차량이 위치한 GPS 좌표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영상 획득부(115)는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한 하나 이상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획득부(115)는 차량의 주행 방향을 촬영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획득부(115)는 상황 공유 장치(100)가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었는지에 따라, 다소 상이하게 차량 주행 방향에 대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 공유 장치(100)가 차량 블랙박스의 일부로서 구현된 경우, 영상 획득부(115)는 블랙박스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동영상을 샘플링하여 하나 이상의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상황 공유 장치(100)가 스마트폰의 일부로서 구현된 경우, 영상 획득부(115)는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캡쳐하여 하나 이상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영상 획득부(115)는 상황 공유 장치(100)의 외부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입력 단자를 통해 제공 받아 하나 이상의 영상을 획득할 수도 있다.
특히, 영상 획득부(115)는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공유된 도로 상황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황 식별부(120)는 영상 획득부(115)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기초로, 차량 주행 방향의 도로에 존재하는 이상 상황을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황 식별부(120)는 영상 획득부(115)를 통해 획득된 영상의 엣지(edge)를 검출(detection)할 수 있다. 상황 식별부(120)는 검출된 엣지를 기초로 영상 내에 존재하는 도로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상황 식별부(120)는 추출된 도로 영역 내에 존재하는 오브젝트를 식별할 수 있다. 상황 식별부(120)는 식별된 오브젝트의 유형을 기초로, 도로 영역 내에 존재하는 이상 상황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도로 영역(road area)은 영상 내에서 차량이 주행할 수 있는 도로가 차지하고 있는 영역이다. 오브젝트(object)는 도로 영역 내에 존재하는 도로 및 차량 이외의 물체이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에는 낙하물, 동물의 사체 또는 물 웅덩이 등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브젝트의 유형(type)은 공통된 성질 또는 특징을 가지는 오브젝트를 다른 성질 또는 특징을 가지는 오브젝트와 구별하기 위한 속성이다. 이상 상황(abnormal situation)은 도로 영역 내에 차량 이외의 오브젝트가 존재하여 차량의 주행이 곤란해질 수 있는 상황이다. 예를 들어, 상황 식별부(120)는 도로 영역 내에 낙하물, 동물의 사체, 또는 물 웅덩이 등이 존재하는 경우, 이상 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특히, 상황 식별부(120)는 이상 상황 식별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영상 획득부(115)를 통해 획득된 복수 개의 영상을 교차 검증하여, 차량 주행 방향의 도로에 존재하는 이상 상황을 식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영상 조정부(125)는 상황 식별부(120)를 통해 이상 상황이 식별되면, 영상 획득부(115)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다른 장치에 공유하기 위하여 영상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조정부(125)는 영상의 이미지 해상도(resolution), 압축률(compression rate) 또는 색상(color)을 조정한 후 재압축하여, 영상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조정부(125)는 영상 획득부(115)를 통해 획득된 영상의 이미지 해상도를 낮추어, 영상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영상 조정부(125)는 영상 획득부(115)를 통해 획득된 영상의 압축률을 높여, 영상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영상 조정부(125)는 영상 획득부(115)를 통해 획득된 영상이 컬러(full-color) 이미지인 경우, 단색(mono-color) 이미지로 변환시켜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 조정부(125)는 영상을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영역의 중요도에 따라 압축률을 상이하게 설정한 후 재압축하여, 영상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조정부(125)는 영상 식별부(120)를 통해 추출된 도로 영역에 대한 이미지 압축률 보다, 영상 내에서 도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대한 이미지 압축률을 높게 설정하여, 영상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는, 영상 조정부(125)는 영상 내에서 도로 영역 및 오브젝트를 제외한 영역에 대한 이미지를 폐기하고, 오브젝트에 대한 이미지 압축률 보다, 도로 영역에 대한 이미지 압축률을 높게 설정하여, 영상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영상 내에서 오브젝트의 중요도가 가장 높고, 도로 영역의 중요도가 다음으로 높고, 그 외의 영역은 중요도가 낮기 때문에, 영상 조정부(125)는 중요도가 낮을수록 이미지 압축률을 높게 설정하여 영상의 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황 공유부(130)는 영상 획득부(115)를 통해 획득된 영상 또는 영상 조정부(125)를 통해 조정된 영상, 측위부(110)를 통해 획득된 GPS 좌표를 다른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황 공유부(130)는 영상 및 GPS 좌표를 전송함에 있어, 상황 식별부(120)를 통해 식별된 이상 상황에 대한 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황 공유부(130)는 입출력부(105)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도로 상황을 공유하라는 명령이 입력되면, 영상을 다른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황 공유부(130)는 상황 식별부(120)를 통해 이상 상황이 식별되면, 영상을 다른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차량의 운전자가 도로 상황과 무관하게 비상등을 점등시키는 경우가 있으므로, 상황 공유부(130)는 입출력부(150)에 의해 차량의 비상등 점등을 기초로 도로 상황을 공유하라는 명령이 인식된 경우, 상황 식별부(120)를 통해 이상 상황이 식별된 경우에만 영상을 다른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황 공유부(130)는 영상을 수신한 상황 공유 서버(200)가 직접 이상 상황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영상 획득부(115)를 통해 획득된 영상 원본과, 영상 조정부(125)를 통해 조정된 영상을 모두 다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황 공유부(130)는 서로 상이한 시점에 촬영된 두 영상을 전송하되, 하나는 영상 획득부(115)를 통해 획득된 영상 원본을 전송하고, 다른 하나는 영상 조정부(125)를 통해 조정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 공유부(130)는 입출력부(105)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도로 상황을 공유하라는 명령이 입력된 이후 제1 시점에 대한 영상은 영상 획득부(115)를 통해 획득된 영상 원본을 전송하고,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 대한 영상은 영상 조정부(125)를 통해 조정된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황 공유부(130)가 서로 상이한 시점에 촬영된 영상 원본과 용량이 감소된 영상을 모두 전송함으로써, 상황 공유 장치(100)는 전송 용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상황 공유 서버(200)는 이상 상황에 대한 증거가 될 수 있는 영상 원본과, 이상 상황의 변화 과정을 검출할 수 있는 영상을 모두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황 공유부(130)는 통신부(135)를 통해 다른 상황 공유 장치에 의해 공유된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입출력부(105)를 통해 경고 화면 또는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부(135)는 상황 공유 서버(200)에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사용자 계정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35)는 상황 공유부(130)의 지시에 따라 영상, GPS 좌표 또는 이상 상황에 대한 정보를 상황 공유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35)는 상황 공유 서버(200)로부터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 공유에 대한 보상으로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보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35)는 상황 공유 서버(200)로부터 다른 상황 공유 장치에 의해 공유된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보상 관리부(140)는 통신부(135)를 통해 상황 공유 서버(200)로부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보상에 대한 정보가 수신된 경우, 이를 반영하여 사용자 계정을 관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황 공유 장치(100)의 논리적 구성요소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 공유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황 공유 장치(100)는 프로세서(Processor, 150), 메모리(Memory, 155), GPS 모듈(GPS module, 160), 송수신기(Transceiver, 165), 입출력장치(Input/output device, 170) 및 데이터 버스(Bus, 175) 및 스토리지(Storage, 18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황 공유 장치(100)가 차량 내비게이션 또는 차량 블랙박스에 상황 공유 기능이 추가된 형태로 구현된 경우, 차량 내비게이션 또는 차량 블랙박스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본 발명에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프로세서(150)는 메모리(155)에 상주된 도로 상황 공유 소프트웨어(185a)에 따른 명령어를 기초로, 도로 상황 공유 방법과 관련된 동작 및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메모리(155)에는 도로 상황 공유 소프트웨어(180a)가 상주(loading)될 수 있다. GPS 모듈(160)은 복수 개의 GPS 위성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GPS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송수신기(165)는 상황 공유 서버(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입출력장치(170)는 도로 상황 공유 방법의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 받고, 경과 화면 또는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 버스(175)는 프로세서(150), 메모리(155), GPS 모듈(160), 송수신기(165), 입출력장치(170) 및 스토리지(180)와 연결되어, 각 구성 요소 사이의 데이터를 전달하는 이동 통로이다.
스토리지(180)는 도로 상황 공유 소프트웨어(185a)의 실행을 위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라이브러리(library) 파일, 리소스(resource) 파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55)에 상주되거나 또는 스토리지(180)에 저장된 도로 상황 공유 소프트웨어(185a, 185b)는 차량의 주행 방향을 촬영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으로부터 제1 시점에 대한 제1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동영상으로부터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 대한 제2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제1 시점에 차량이 위치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좌표를 식별하는 단계, 및 제1 영상, 제2 영상 및 GPS 좌표를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50)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chipset),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55)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기(160)는 유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장치(165)는 키보드(keyboard), 마우스(mouse), 및/또는 조이스틱(joystick) 등과 같은 입력장치 및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ED, OLED) 및/또는 능동형 유기 발광 다이오드(Active Matrix OLED, AMOLED) 등과 같은 영상 출력 장치 프린터(printer), 플로터(plotter) 등과 같은 인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실시 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경우, 상술한 방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155)에 상주되고, 프로세서(15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155)는 프로세서(15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15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는 다양한 수단,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되어,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황 공유 장치(100)는 서로 상이한 시점에 촬영된 영상 원본과 용량이 감소된 영상을 모두 상황 공유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상황 공유 장치(100)가 서로 상이한 시점에 촬영된 두 영상을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샘플링 과정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황 공유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도로 상황을 공유하라는 명령이 입력되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으로부터 제1 시점(t1)에 대한 제1 영상(40a)과, 제2 시점(t2)에 촬영된 제2 영상(40b)을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시점은 제2 시점보다 과거의 시점이 되며, 제2 시점은 제1 시점보다 최근의 시점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영상(40a)은 제2 영상(40b)보다 과거 차량이 위치한 곳에서 촬영된 주행 방향에 대한 영상이 되며, 제2 영상(40b)은 제1 영상(40a)보다 최근 차량이 위치한 곳에서 촬영된 주행 방향에 대한 영상이 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압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우선, 도 6은 영상의 이미지 해상도, 압축률 또는 색상을 조정하여 재압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황 공유 장치(100)는 제1 영상(40a)은 원본 그대로 유지하고, 제2 영상(40b)은 이미지 압축률을 높여 재압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영상(40b)은 보다 높은 압축률에 의해 이미지 데이터의 일부가 손실되어, 제1 영상(40a)보다 용량이 작아질 수 있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황 공유 장치(100)는 제1 영상(40a)은 원본 그대로 유지하고, 제2 영상(40b)은 이미지 해상도를 낮추어 재압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영상(40b)은 낮은 이미지 해상도에 의해 이미지 크기가 작아지게 되어, 제1 영상(40a)보다 용량이 작아질 수 있다.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황 공유 장치(100)는 제1 영상(40a)은 원본 그대로 유지하고, 제2 영상(40b)은 단색 이미지로 변환시켜 재압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영상(40b)은 RGB(Red, Green, Blue) 세 가지 색상 값이 아닌 단일 색상 값 만을 가지게 되어, 제1 영상(40a)보다 용량이 작아질 수 있다.
그리고, 도 7은 영상 내의 복수 개의 영역마다 상이한 압축률로 재압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황 공유 장치(100)는 영상 내에서 도로 영역(52)에 대한 이미지 압축률 보다, 영상 내에서 도로 영역을 제외한 영역(54)에 대한 이미지 압축률을 높여 재압축할 수 있다. 이 경우, 도로 영역을 제외한 영역(54)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의 일부가 손실되어, 영상의 용량이 작아질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황 공유 장치(100)는 영상 내에서 도로 영역 및 오브젝트를 제외한 영역(56)에 대한 이미지를 폐기(discard)하고, 오브젝트(58)에 대한 이미지 압축률 보다, 도로 영역(52)에 대한 이미지 압축률을 높여 재압축할 수 있다. 이 경우, 도로 영역 및 오브젝트를 제외한 영역(56)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가 삭제되고, 도로 영역(52)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의 일부가 손실되어, 영상의 용량이 작아질 수 있다.
이하, 상황 공유 장치(100)의 도로 상황 공유 방법의 일 시나리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상황 공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황 공유 장치(100)는 차량의 주행 방향에 대하여 동영상을 촬영한다(S110). 상황 공유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라는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S120).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라는 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황 공유 장치(100)는 이하의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종료한다.
판단 결과, 사용자로부터 도로 상황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라는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황 공유 장치(100)는 촬영된 동영상 중 일부 영상을 샘플링하여 하나 이상의 영상을 추출한다(S130).
상황 공유 장치(100)는 추출된 영상의 전부 또는 일부를 재압축하여 영상의 용량을 감소시킨다(S140). 그리고, 상황 공유 장치(100)는 영상이 촬영된 시점에 차량이 위치한 GPS 좌표를 식별한다(S150).
그리고, 상황 공유 장치(100)는 재압축된 영상 및 GPS 좌표를 상황 공유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S160).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선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나 단말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앞서 설명한 기능들과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Script나 ECMA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서버 팜(Server Farm)과 같이 네트워크에 걸쳐서 분산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혹은 단일의 컴퓨터 장치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탑재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황 공유 장치: 100 상황 공유 서버: 200
입출력부: 105 측위부: 110
영상 획득부: 115 상황 식별부: 120
영상 조정부: 125 상황 공유부: 130
통신부: 135 보상 관리부: 140

Claims (7)

  1. 차량의 주행 방향을 촬영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으로부터 제1 시점에 대한 제1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으로부터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 대한 제2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시점에 상기 차량이 위치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좌표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상, 상기 제2 영상 및 상기 GPS 좌표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제1 영상보다 용량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상황 공유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영상 중 도로 영역 내에 존재하는 오브젝트(object)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오브젝트의 유형(type)을 기초로, 상기 도로 영역 내에 존재하는 이상(abnormal) 상황을 식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이상 상황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상황 공유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의 속성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상의 엣지를 검출(edge detection)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엣지를 기초로 상기 도로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상 내에서 상기 도로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 대한 이미지 압축률(compression rate)과, 상기 도로 영역에 대한 이미지 압축률을 서로 상이하게 설정하여 상기 제1 영상을 재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상황 공유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오브젝트의 속성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상의 엣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엣지를 기초로 상기 오브젝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상 내에서 상기 도로 영역 및 상기 오브젝트를 제외한 영역에 대한 이미지를 폐기(discard)하고, 상기 도로 영역에 대한 이미지 압축률과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압축률을 서로 상이하게 설정하여 상기 제1 영상을 재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상황 공유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제1 영상보다 이미지 해상도(resolution)가 낮거나 또는 제1 영상보다 이미지 압축률이 높아, 상기 제1 영상보다 용량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상황 공유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은 컬러(full-color) 이미지이고, 상기 제2 영상은 단색(mono-color)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상황 공유 방법.
  7. 컴퓨팅 장치와 결합되어,
    차량의 주행 방향을 촬영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으로부터 제1 시점에 대한 제1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으로부터 상기 제1 시점 이후의 제2 시점에 대한 제2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시점에 상기 차량이 위치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좌표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상, 상기 제2 영상 및 상기 GPS 좌표를 전송하는 단계를 실행시키되,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제1 영상보다 용량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70150330A 2017-08-28 2017-11-13 도로 상황 공유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309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08892 2017-08-28
KR1020170108892 2017-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4511A true KR20190024511A (ko) 2019-03-08
KR102030904B1 KR102030904B1 (ko) 2019-11-08

Family

ID=65801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0330A KR102030904B1 (ko) 2017-08-28 2017-11-13 도로 상황 공유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09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4141A (ko) 2020-05-21 2021-11-30 임대경 로드킬 신고 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6962A (ko) 2020-07-09 2022-0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사고시 긴급 구조방법 및 시스템
KR20240025094A (ko) 2022-08-17 2024-02-27 한국자동차연구원 도로 정보 공유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051A (ko) 2001-11-01 2003-05-12 정현기 실시간 도로교통정보 전달 시스템
JP2009190536A (ja) * 2008-02-14 2009-08-27 Alpine Electronics Inc 車両用画像処理システム
KR20110084804A (ko) * 2010-01-18 2011-07-26 (주)나노포인트 저 해상도 및 고 해상도 영상 정보를 원격지에 전송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KR20150104288A (ko) * 2014-03-05 2015-09-1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영상 식별 장치,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2016151887A (ja) * 2015-02-17 2016-08-22 株式会社東芝 路上監視装置、路上監視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67237B1 (ko) * 2016-04-27 2017-08-10 (주)한양정보통신 객체 검출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051A (ko) 2001-11-01 2003-05-12 정현기 실시간 도로교통정보 전달 시스템
JP2009190536A (ja) * 2008-02-14 2009-08-27 Alpine Electronics Inc 車両用画像処理システム
KR20110084804A (ko) * 2010-01-18 2011-07-26 (주)나노포인트 저 해상도 및 고 해상도 영상 정보를 원격지에 전송하는 차량용 블랙박스 장치
KR20150104288A (ko) * 2014-03-05 2015-09-1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영상 식별 장치, 그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2016151887A (ja) * 2015-02-17 2016-08-22 株式会社東芝 路上監視装置、路上監視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67237B1 (ko) * 2016-04-27 2017-08-10 (주)한양정보통신 객체 검출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4141A (ko) 2020-05-21 2021-11-30 임대경 로드킬 신고 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0904B1 (ko) 2019-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6541B2 (en) Vehicle periphery monitoring device and vehicle periphery monitoring system
JP7218535B2 (ja) 交通違反車両識別システム及びサーバ
CN111932901B (zh) 道路车辆跟踪检测设备、方法及存储介质
CN110648539B (zh) 车载装置以及控制方法
US20210303883A1 (en) Deterioration diagnosis device, deterioration diagnosis system, deterioration diagnosis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program
US1147926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ximate event capture
US20180224296A1 (e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N104103030A (zh) 图像分析方法、照相机装置、控制装置及控制方法
Orhan et al. Road hazard detection and sharing with multimodal sensor analysis on smartphones
KR20190024511A (ko) 도로 상황 공유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해 기록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748524B1 (ko) 시정거리 산정을 이용한 안개 감지 장치 및 방법
CN109564724B (zh) 信息处理方法、信息处理装置和记录介质
CN113165651B (zh)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CN109318799B (zh) 汽车、汽车adas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90043396A (ko) 도로 경로 촬영 영상을 이용한 도로 경로 별 날씨정보 생성 및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6023341A (zh) 行车记录仪应急拍摄控制方法及装置
WO2022104296A1 (en) Camera radar fusion f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das) with radar and mobile phone
KR20150001480A (ko) 지능형 교통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1277956A (zh) 车辆盲区信息的采集方法及装置
CN108230680B (zh) 一种车辆行为信息获取方法、装置及终端
KR101875180B1 (ko) 차량을 검출하고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7187784B2 (ja) 車両情報処理システム、管理装置、車両情報処理方法および車両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12528711A (zh) 用于处理信息的方法和装置
JP6656290B2 (ja) 事故情報記録装置および事故情報収集システム
JPWO2020003764A1 (ja) 画像処理装置、移動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