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2722A - 무빙셀터 - Google Patents

무빙셀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2722A
KR20130102722A KR1020120023771A KR20120023771A KR20130102722A KR 20130102722 A KR20130102722 A KR 20130102722A KR 1020120023771 A KR1020120023771 A KR 1020120023771A KR 20120023771 A KR20120023771 A KR 20120023771A KR 20130102722 A KR20130102722 A KR 20130102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oving
shelter
canvas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7652B1 (ko
Inventor
강신일
송재영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3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652B1/ko
Publication of KR20130102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2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for temporarily covering the whole worksite, e.g. building, trench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8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against unfavourable weather influ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Special W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빙셀터에 관한 것으로, 주행구동부에 의해 이동이 가능한 무빙셀터에 있어서, 양단부에 캔버스도어가 구비되며, 상기 주행구동부에 의해 지면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몸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캔버스도어에 인접하여 좌우 이동가능하게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하단부에 관통되는 개구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씰링부재를 포함하는 날개부; 및 상기 날개부에 연결되어 상기 개구홈을 개폐하는 출입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복수동의 무빙셀터가 연결되더라도 인접한 무빙셀터 사이의 갭을 폐쇄할 수 있어 눈, 비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형강 등의 부재가 부식되는 것을 감소시켜 부자재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무빙셀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빙셀터{Moving shelter}
본 발명은 무빙셀터에 관한 것이다.
선박과 같은 대형 철 구조물은 용접 등의 작업여건과 이의 운반 등을 고려하여 주로 야외작업장(yard)에서 작업을 한다. 하지만 눈, 비와 강풍 등의 작업여건에 따라 야외작업장에서의 작업이 어려워질 경우에도 날씨에 상관없이 작업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야외작업장에 무빙셀터를 설치하게 된다.
여기서, 무빙셀터는 선박과 플랜트 장비와 같은 대형 구조물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철골구조물 방식의 이동식 공장 건물을 말한다. 무빙셀터는 야외작업장 내에 복수동으로 이루어져 각기 다른 동의 무빙셀터에서 여러 블록이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서로 떨어져 각기 다른 작업이 이루어졌던 무빙셀터는 블록이 조립되어 크기가 커짐에 따라 제조공간이 넓어질 필요가 생긴다. 이에 따라, 서로 이웃한 복수동의 무빙셀터가 연결되어 하나의 제조공간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한편, 복수동의 무빙셀터는 주행구동부에 의해 서로 근접하여 연결되는데, 충돌 등을 방지하기 위해 범퍼 등을 구비하게 되어, 인접한 무빙셀터와의 사이에 갭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무빙셀터 내로 눈, 비 등이 유입되어 형강 등 철재질로 이루어지는 부재를 부식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무빙셀터는 전후방에 캔버스도어가 형성되어 이를 통해 작업자 및 운송장비(지게차, 고소차) 등이 함께 출입함으로써, 운송장비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하거나, 화재시 복수동이 결합된 전 후방의 캔버스도어를 통해 이동하여야 함에 따라 먼거리로 인한 탈출이 어려울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빙셀터가 여로 동이 연결되더라도 제조공간 내로 눈, 비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와 운송장비의 출입구를 달리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화재시 빠른 탈출을 유도할 수 있는 무빙셀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빙셀터는, 주행구동부에 의해 이동이 가능한 무빙셀터에 있어서, 양단부에 캔버스도어가 구비되며, 상기 주행구동부에 의해 지면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몸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캔버스도어에 인접하여 좌우 이동가능하게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하단부에 관통되는 개구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씰링부재를 포함하는 날개부; 및 상기 날개부에 연결되어 상기 개구홈을 개폐하는 출입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는 상기 출입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주행구동부로 신호를 송신하는 도어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구동부는 상기 출입도어의 폐쇄시 주행동작 전원이 차단되며, 상기 출입도어가 개방시 주행동작 전원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빙셀터는 복수동의 무빙셀터가 연결되더라도 인접한 무빙셀터 사이의 갭을 폐쇄할 수 있어 눈, 비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형강 등의 부재가 부식되는 것을 감소시켜 부자재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와 운송장비의 출입구를 달리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고, 복수동이 연결된 무빙셀터의 연결지점에서 탈출할 수 있으므로 화재시 사고피해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셀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셀터의 날개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셀터의 출입도어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셀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셀터의 날개부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빙셀터의 출입도어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무빙셀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빙셀터(100)는 몸체(110), 날개부(120) 및 출입도어(130)를 포함한다.
몸체(110)는 선박과 플랜트 장비와 같은 대형 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예를 들어, 양단부가 개구된 육면체 형상을 이루어 개구된 양단부에 캔버스도어(111)가 구비된다. 여기서, 캔버스도어(111)는 천과 같이 롤링 또는 접힘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 개구된 몸체(110)의 양단부에 장착되어 상하 슬라이딩됨으로써 몸체(110)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몸체(110)는 측부에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주행구동부(113)가 연결되어 지면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다. 몸체(110)는 일 예로, 하단부에 바퀴(미도시)가 구비되어, 지면에 설치된 레일 상을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주행구동부(113)는 모터 및 콘트롤패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콘트롤패널을 조작하여 레일 상에서 몸체(11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바퀴에 연결된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게다가, 무빙셀터(100)는 야외작업장에 복수동(본 실시예에서는 두 동을 예로 함)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이 조립되어 크기가 커짐에 따라 제조공간이 넓어질 필요가 있는 경우, 두 동의 무빙셀터(100) 각각은 양단부의 캔버스도어(111) 중 하나가 개방되어 서로 연통된다. 이에 따라, 두 동의 무빙셀터(100)는 서로 인접한 몸체(110)가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조립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몸체(110)는 도어센서(1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센서(115)는 출입도어(13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후술되는 주행구동부(113)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주행구동부(113)는 출입도어(130)의 폐쇄시 주행동작 전원이 차단되고, 출입도어(130)가 개방시 주행동작 전원이 연결되어, 출입도어(130)가 닫힌 상태에서 무빙셀터(100)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협착을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개부(120)는 복수의 무빙셀터(100)가 서로 연결되는 경우 서로 마주한 몸체(110) 사이의 갭을 폐쇄하여 몸체(110) 내로 눈, 비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서, 캔버스도어(111)에 인접하여 좌우 이동가능하게 몸체(110)에 구비된다. 이때, 날개부(120)는 외주면에 씰링부재(121)를 포함하여 빗물이 새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고무재질로 이루어져 서로 마주한 날개부(120)가 맞닿을 때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날개부(120)는 그 하단부에 관통되는 개구홈(123)이 형성된다. 개구홈(123)은 캔버스도어(111)와 별도로 구비되는 이동통로인 출입홀로서, 둘 이상의 몸체(110)가 서로 연결되는 경우, 이동을 위한 공간이 넓어지도록 서로 마주하는 날개부(120)의 개구홈(123)은 연통되어 하나의 출입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개구홈 또는 캔버스도어를 통해 출입)와 고소차 등 운송장비(캔버스도어를 통해 출입)의 출입구를 달리할 수 있어, 운송장비의 충돌로 인한 안전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고, 복수동이 연결된 무빙셀터의 연결지점인 개구홈(123)을 통해 탈출할 수 있으므로 화재시 사고피해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입도어(130)는 날개부(120)에 연결되어 개구홈(123)을 개폐한다. 예를 들어, 출입도어(130)는 날개부(120)의 일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되어 작업자가 수동으로 출입도어(13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여기서, 출입도어(130)는 작업자가 이동할 정도로 개방되어 운송장비 등의 이동은 필요 없으므로 캔버스도어(11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무빙셀터(100)를 출입할 때 출입도어(130)를 이용하면, 캔버스도어(111) 또는 날개부(120)의 불필요한 개폐동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대형의 캔버스도어(111) 또는 날개부(120)에 비하여 출입도어(130)의 동작이 수월하여 작업자의 출입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110)의 양단부에 한 쌍으로 구비되는 캔버스도어(111) 중 후단부의 캔버스도어(111)에 인접한 날개부(120)에 출입도어(130)가 구비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캔버스도어(111) 각각에 출입도어(130)가 구비되어 양문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무빙셀터 110 : 몸체
111 : 캔버스도어 113 : 주행구동부
115 : 도어센서 120 : 날개부
121 : 씰링부재 123 : 개구홈
130 : 출입도어

Claims (2)

  1. 주행구동부에 의해 이동이 가능한 무빙셀터에 있어서,
    양단부에 캔버스도어가 구비되며, 상기 주행구동부에 의해 지면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몸체;
    적어도 하나의 상기 캔버스도어에 인접하여 좌우 이동가능하게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하단부에 관통되는 개구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씰링부재를 포함하는 날개부; 및
    상기 날개부에 연결되어 상기 개구홈을 개폐하는 출입도어;
    를 포함하는 무빙셀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출입도어의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주행구동부로 신호를 송신하는 도어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구동부는 상기 출입도어의 폐쇄시 주행동작 전원이 차단되며, 상기 출입도어가 개방시 주행동작 전원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빙셀터.
KR1020120023771A 2012-03-08 2012-03-08 무빙셀터 KR101327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771A KR101327652B1 (ko) 2012-03-08 2012-03-08 무빙셀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771A KR101327652B1 (ko) 2012-03-08 2012-03-08 무빙셀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2722A true KR20130102722A (ko) 2013-09-23
KR101327652B1 KR101327652B1 (ko) 2013-11-12

Family

ID=49452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771A KR101327652B1 (ko) 2012-03-08 2012-03-08 무빙셀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65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8097A (ja) * 1993-03-31 1994-10-11 Fukudagumi:Kk 折り畳み式全天候シェルター
JP3711280B2 (ja) 2003-03-12 2005-11-02 株式会社日本製鋼所 移動式全天候型作業用建屋
KR200335419Y1 (ko) 2003-07-21 2003-12-11 주식회사 경성21 작업장용 부스
KR200405883Y1 (ko) 2005-10-22 2006-01-11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자체 구동식 셀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7652B1 (ko) 2013-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7885B2 (en) Safety device for use in well
KR100926667B1 (ko) 장지간 빔을 이용한 자주식 주차설비
CN104499528A (zh) 一种液压挖掘机驾驶室滑移式防护网
KR101327652B1 (ko) 무빙셀터
CN102251804B (zh) 一种移动钢体避难硐室
CN105735478A (zh) 整板折叠式活动板房
KR101237378B1 (ko) 무레일 절첩식 대문
CN111188511A (zh) 可自动开启的方舱顶盖
CN109458207B (zh) 一种煤矿井下设置有行车防撞装置的风门系统
KR101833878B1 (ko) 무레일 슬라이딩 게이트
KR20090120371A (ko) 이동식 교량 점검차
CN111560853A (zh) 一种施工人孔防护装置
CN203319469U (zh) 吊笼围壁及吊笼
CN202492884U (zh) 驾驶室防护装置以及安装驾驶室防护装置的挖掘机
CN205822312U (zh) 一种工程机械用驾驶室
US20140273791A1 (en) Mine airlock system and method
CN204343366U (zh) 一种液压挖掘机驾驶室可移动式防护网
CN211547234U (zh) 一种铣刨机用后窗通道结构
CN116181394B (zh) 一种井下采区快速反风自动化装置
CN211623473U (zh) 一种风门
KR20140131189A (ko) 이동식 셀터
CN212054787U (zh) 煤矿通风救援应急通道
CN215565405U (zh) 一种矿井采煤工作面防火门
US20240052691A1 (en) Roll door unit, roll-up door and use of a roll door unit for covering a door opening
CN106864685A (zh) 一种组合式水上工作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