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9723A - 초고화질 영상 컨텐츠 편집 및 재생을 위한 입출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초고화질 영상 컨텐츠 편집 및 재생을 위한 입출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9723A
KR20130099723A KR1020120021436A KR20120021436A KR20130099723A KR 20130099723 A KR20130099723 A KR 20130099723A KR 1020120021436 A KR1020120021436 A KR 1020120021436A KR 20120021436 A KR20120021436 A KR 20120021436A KR 20130099723 A KR20130099723 A KR 20130099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put
uhd
conten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1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호
김동순
김제우
신화선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21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9723A/ko
Priority to US14/381,754 priority patent/US9601156B2/en
Priority to PCT/KR2012/002036 priority patent/WO2013129724A1/ko
Publication of KR20130099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7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2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the video stream, e.g.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of the video stream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the whole image or par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clients with a lower screen resol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05Crea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2Demultiplexing isochronously with video sync, e.g. according to bit-parallel or bit-serial interface formats, as SD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3Extrac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25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one of the standards being a high definition standard

Abstract

본 발명은 초고화질 영상을 위한 입출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고화질의 영상 신호를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받아 실시간 처리하며, 처리한 초고화질의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초고화질 영상을 위한 입출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양한 해상도를 갖는 데이터를 UHD 데이터로 변환하는 시스템은 데이터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편집 장치로 제공하며, 상기 편집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제공하는 컨텐츠 입출력 장치, 상기 컨텐츠 입출력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UHD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컨텐츠 입출력 장치로 제공하는 편집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초고화질 영상 컨텐츠 편집 및 재생을 위한 입출력 시스템{Input-output System for eding and playing of UHD image contents}
본 발명은 초고화질 영상을 위한 입출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고화질의 영상 신호를 외부장치로부터 입력받아 실시간 처리하며, 처리한 초고화질의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초고화질 영상을 위한 입출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영상기술이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변화하면서 더 실제화면과 가까운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SD에서 HD로 발전해왔다. SD는 704×480의 해상도를 지원하고 35만 픽셀 정도로 구성되며, HD 중 Full-HD는 1920×1080의 해상도를 지원하며 200만 픽셀로 구성되어 SD에 비해 상당한 고화질이 영상을 제공한다.
현재 상용 서비스 중인 HDTV 이후에 예측 가능한 가장 실현성이 높이 차세대 미디어 한경의 핵심은 초고화질 및 초고해상도 영상 서비스이다. 미국을 비롯한 세계 영화 산업계는 디지털 시네마라는 새로운 디지털 영화를 2006년부터 본격적으로 제작 및 상영하고 있다. 초기에는 HDTV(1920x1080) 와 동일한 해상도인 2K (2048x1080) 크기의 디지털시네마가 주류였지만, 2009년 이후는 4K (4096x2160) 해상도 및 최대 16채널 오디오가 주류가 될 것이 확실시 되고 있다.
한편 디지털 방송 분야에서 차세대 방송으로 UHD TV(Ultra HDTV)가 유력시 되고 있고, UHD 콘텐츠는 4K(3840x2160)/8K(7680x4320) 해상도와 22.2 채널의 서라운드 오디오를 갖고 있다.
2008년에 일본 정부는 2015년에 UHDTV를 차세대 디지털 방송 표준으로 정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따라서 차세대 디지털 방송을 비롯한 미디어 환경을 미리 준비하기 위해서는 UHD 콘텐츠의 캡쳐, 저장, 편집, 및 재생 기술이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입출력이 가능한 UHD 콘텐츠 저장용 방송장비를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수신한 다양한 해상도를 갖는 데이터를 UHD 데이터로 변환하는 시스템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수신한 데이터를 별도의 편집 장치에서 처리함으로써 데이터 변환 속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양한 해상도를 갖는 데이터를 UHD 데이터로 변환하는 시스템은 데이터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편집 장치로 제공하며, 상기 편집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제공하는 컨텐츠 입출력 장치, 상기 컨텐츠 입출력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UHD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컨텐츠 입출력 장치로 제공하는 편집 장치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UHD 변환 시스템은 데이터 제공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제공받으며, 컨텐츠 재생 장치로 UHD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지털 입출력부, 상기 디지털 입출력부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부호화하거나, 변환된 UHD 데이터를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부복호화부, 다채널로 입력되는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하며, 동기화된 데이터를 PCIe 프로세스부로 전달하는 AV 프로세스부, 상기 AV 프로세스부로부터 전달받은 동기화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도록 지시하는 PCIe 프로세스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입출력 장치, 상기 컨텐츠 입출력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편집하는 편집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UHD 변환 시스템은 다양한 해상도를 갖는 데이터를 UHD 데이터로 변환하여 UHD 재생 장치로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편집 장치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수신된 데이터를 압축/부호화함으로써 컨텐츠 입출력 장치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초고화질 영상을 위한 입출력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입출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편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입출력 장치와 편집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입출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다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초고화질 영상을 위한 입출력 시스템의 사양을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UHD 저장용 방송 장비는 다음과 같은 기술을 요구한다.
1. UHD 콘텐츠 실시간 입출력 기술
-채용 규격 고려 (SMPTE292M, SMPTE372M 등)
- bandwidth 고려 : 3.xGbps 대, 7.xGbps 대, 30Gbps대
- 테스트를 위한 상용 인터페이스 구현 고려 (HD/3G-SDI, HDMI 등)
- 저장/재생을 위한 버스 규격 검토 및 선정
2. 무손실 UHD 영상 압축 기술 및 편집용 시각적 무손실 압축 기술(비디오 압축 기술)
- 무손실 영상 압축 기술은 ISO/IEC 14495-1/2 인 JPEG-LS 또는 고압축률을 보이는 FFV1 알고리듬을 기반으로 복잡도를 최소로 유지하면서, 압축률은 향상시키는 알고리듬을 개발.
- 특히 R/G/B 간의 인터 플레인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압축률을 높일 예정임. 다만 무손실 압축의 특성상 1/2 내지 1/3의 낮은 압축률로 인해 UHD 콘텐츠, 특히 8K 영상의 경우 실시간 저장에 난관이 예상되므로 그 대안으로 편집용 시각적 무손실 영상 압축 기술도 동시에 개발.
3. 무손실 다채널 오디오 압축 기술(오디오 압축 기술)
- 저 복잡도 고효율 무손실 오디오 코덱 기술은 최대 지원 가능 채널이 1023 ch, 지원 가능 샘플 분석도 8, 16, 24, 32 bits, IEEE 32-bit floating point, 최대 샘플링 주파수 192 kHz으로 다른 무 손실 오디오 압축 코덱 보다 높은 확장성 및 고품질 오디오를 제공할 수 있는 MPEG-4 ALS를 기반으로 저복잡도 성능 개선
- 낮은 복잡도의 무손실 오디오 코덱의 개발은 PCM 데이터가 갖는 데이터 사이즈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낮은 복잡도에 의해 전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미비
- 항상 모든 채널이 전체 오디오 서비스에서 같은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일부 채널은 전체 오디오 신호에서 상당히 중요한 반면 일부 채널은 중요도가 낮게 됨. 그러므로 중요도가 높은 채널에 대해서는 무손실 압축 방법을 적용하고 중요도가 낮은 채널에 대해서는 기존의 손실 압축방식을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손실 오디오 압축 방법 보다 상당히 높은 품질의 오디오 서비스가 가능함.
4. UHD 영상 저장 포맷 기술 (파일 포맷 기술)
- MXF 파일 포맷을 분석 및 확장
- 개발된 MXF 기반 UHD용 확장 파일 포맷 모듈 구현을 수행하고, 구현된 모듈의 최적화 및 성능 테스트
- UHD 영상 및 다채널 오디오를 포함하는 통합 파일 포맷의 라이브러리화를 통해 편집용 S/W 와의 연동
5. HD-to/from-UHD 영상 변환 기술(영상 확대/축소 기술)
- 초고해상도 영상 복원 기술: 부파수 영역 접근 방법, 비균등 보간 접근 방법, 최적화 접근 방법, 표본 기반 접근 방법
- 정칙화된 반복적 영상 보간법: 저해상도 영상으로부터 복원하여 고해상도 영상시퀀스 복원, 개선단계의 많은 정보량은 보간된 영상시퀀스가 고해상도 원영상 시권스에 근접하면 급격하게 감소, 스테일러를 부호화 방법에 적용 가능
6. 영상간 컬러보정 기술(영상 정합/보정 기술)
- 통계적 컬러왜곡 모델 생성
- 컬러 및 구조 왜곡 모델을 독립적으로 생성하고 테스트를 통한 단일화
- 최소의 에러 구현을 위한 반복형 알고리즘 생성
-실영상에서 상호정보 추정을 위한 영상 정합 기술 개발
-소량의 상호정보로부터 성능 향상을 위한 최적화 기술 개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초고화질 영상을 위한 입출력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초고화질 영상을 위한 입출력 시스템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1에 의하면, 초고화질 영상을 위한 입출력 시스템은 데이터(컨텐츠) 제공 장치, 컨텐츠 입출력 장치, 편집 장치, 컨텐츠 재생 장치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상술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한다.
데이터(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다채널 오디오 입력 장치, HD/UHD 비디오 카메라, HD-VTR 등을 포함하며,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컨텐츠 입출력 장치(110)로 전달한다.
컨텐츠 재생 장치(130)는 영상기, UHDTV, 모디터, 다채널 오디오 재생 장치를 포함하며, 컨텐츠 입출력 장치(110)로부터 제공받은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를 재생한다.
컨텐츠 입출력 장치(110)는 데이터 제공 장치(100)로부터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으며, 필요한 경우 가공한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를 컨텐츠 재생 장치(130)로 제공한다. 컨텐츠 입출력 장치(110)는 데이터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필요한 경우 편집 장치(120)로 제공한다.
편집 장치(120)는 컨텐츠 입출력 장치(110)로부터 제공받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설정된 방식에 따라 편집한 후 컨텐츠 입출력 장치(110)로 제공한다. 편집 장치(120)는 컨텐츠 입출력 장치(110)로부터 제공받은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일시 저장하거나 편집한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저장장치를 포함한다. 편집 장치(120)에서 수행되는 동작은 초당 프레임(fps), 해상도, 오디오 채널 수를 가변적으로 조정한다. 이하에서는 컨텐츠 입출력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입출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컨텐츠 입출력 장치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2에 의하면, 컨텐츠 입출력 장치는 디지털 입출력부, 부복호화부, MCU 제어부, 제어 SW부, PCIe 프로세스부, A/V 프로세스부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컨텐츠 입출력 장치에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디지털 입출력부(250)는 SDI 입출력, Optic 입출력, HDMI 입출력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며, 각 입출력은 모듈방식으로 향후 외부 인터페이스의 변화에 따른 적용이 용이하도록 구성한다. Optic 비디오 인터페이스 모듈은 내부에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SDI 입출력 모듈은 영상과 더불어 오디오도 최대 24개 채널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IC 한 개당 8개의 오디오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HDMI 입출력 모듈은 무압축, 무손실을 기반으로 한 영상 및 음성 공용 인터페이스이다.
A/V 프로세스부(240)는 병렬 분산 녹화 및 재생을 담당하며, A/V 프로세스부는 다채널로 입력되는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다중화/역다중화하며, 입력되는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의 동기화를 위해서 임시로 저장한다. A/V 프로세스부(240)에서 최종적으로 동기화 및 통합된 데이터는 A/V 제어 신호에 따라 PCIe 프로세스부(230)로 송수신된다.
대용량 고속 데이터를 전송하고, 저장하기 위한 PCIe 프로세스부(230)는 통합된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가 입력되면, 이 데이터를 PCIe 변환층(Transaction Layer) 포맷으로 변경하여 PCIe Lane를 통해서 PC로 전송하고, 출력할 때는 위의 입력 스퀀스에 역 루틴을 수행한 후 A/V 프로세스부에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
제어 SW부(220)는 컨텐츠 입출력 장치 전반을 제어하며, 다수의 블록으로 구성된다. Register control 블록은 Internal Register, PCIe Register, MCU 레지스터를 제어를 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보드를 장착할 경우 해당되는 보드를 선택하여 여러 대의 UHD보드를 장착한 시스템에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DMA control 블럭은 PCI Express DMA 메모리 사이즈를 설정하는 블록으로 PC 시스템에 따라 PCI Express에 할당되는 메모리 사이즈가 틀리기 때문에 PC 및 OS에 따라 가변적으로 구성한다. Capture 블록은 Capture시에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셋팅을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Video 입력소스를 선택하고 파일이 저장될 위치를 정하고 시작 버튼을 누르면 파일 저장 과정이 이루어지고, DMA 카운트 또는 파일 저장 카운트 정보를 모니터링 하게 되어 있다. Display file control블록은 Play시에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셋팅을 제어하는 부분으로서 File 소스를 선택하고 불러올 파일을 선택하고 시작 버튼을 누르면 재생 과정이 이루어진다.
MCU 제어부(210)는 주변 IC 및 FPGA의 초기 레지스터를 설정하며 제어한다.
부복화부(200)는 디지털 입출력부로부터 제공받은 디지털 신호를 부호화하거나 필요한 복호화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편집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편집 장치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3에 의하면, 편집 장치는 편집 SW 기반 프레임워크, 영상 변환부, 비디오 코덱, 오디오 코덱, 파일 포맷부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편집 장치에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편집 SW 기반 프레임워크(300)은 영상 변환부(310), 비디오 코덱(320), 오디오 코덱(330), 파일 포맷부(340)의 상위단에 위치하며, 해당 구성의 동작을 제어한다.
영상 변환부(310)는 캡쳐부에 의해 캡쳐된 영상을 설정된 방식에 따라 변환한다. 즉, 영상 변환부(310)는 캡쳐된 영상을 UHD 영상으로 변환한다. 비디오 코덱(320)은 캡쳐부에 의해 캡쳐된 비디오를 압축 처리하며, 오디오 코텍(330)은 캡쳐부에 의해 캡쳐된 오디오를 압축 처리한다.
압축된 영상의 SMPTE 표준인 MXF(Material Exchange Format)를 주로 이용하여 비트스트림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시네마 표준의 경우, 압축되지 않은 영상은 TIFF에 저장하고, JPEG-2000으로 압축된 이후에는 MXF에 저장한다. MXF (Material eXchange Format; 콘텐츠 교환 포맷)는 방송용 데이터(영상, 오디오 및 메타데이터 등)을 서로 다른 방송장비 간에 주고받을 수 있도록 고안된 표준으로, 방송 및 영상관련 표준을 제정하는 SMPTE (Society of Motion Pictures and Television Engineers) 377M에서 표준화된 파일 저장 포맷 표준이다. 예전 아날로그 시대에는 방송 제작, 편집 환경이 선형 (linear) 구조였으나, 디지털 시대로 오면서 비선형 (non-linear, NLE) 구조가 가능하여, 상호간 호환이 중요하게 되었다.
파일 포맷부(3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표준에서 요청하는 방식인 MXF 파일 포맷을 변경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입출력 장치와 편집 장치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다른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입출력 장치와 편집 장치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4에 의하면 컨텐츠 입출력 장치와 편집 장치는 광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 파서, 전처리 모듈, UHD 비디오/오디오 압축(부호화) 모듈, 패킷 타이저, 역패킷 타이저, UHD 비디오/오디오 재생(또는 복호화) 모듈, 후처리 모듈, 포맷터, 광 출력 인터페이스 모듈, 출력 인터페이스 모듈, UHD F/F 모듈, 저장 미디어 컨트롤러, 메인 제어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컨텐츠 입출력 장치와 편집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광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400)은 외부 장치로부터 UHD 데이터를 수신한다.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420)은 외부 장치로부터 SDI, HDMI 데이터를 수신한다. 파서(402)는 광 입력 인터페이스 모듈(400) 또는 인터페이스 모듈(42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편집한다.
전처리 모듈(404)은 파서(402)로부터 편집한 데이터에 대해 전처리를 수행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전처리는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부호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UHD 비디오/오디오 압축(부호화) 모듈(406)은 전처리 모듈(404)에서 전처리를 수행한 데이터를 압축한다. 압축된 데이터는 패킷타이저(408)로 제공된다. 패킷타이저(408)는 압축된 데이터를 패킷화한다.
패킷화된 데이터는 UHD F/F 모듈(422)로 제공된다. UHD F/F모듈(422)은 패킷타이저(408)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UHD 데이터로 변환한 후 저장된다. 저장된 UHD 데이터는 필요한 경우 역패킷 타이저(410)로 전달한다.
역패킷 타이저(410)는 수신한 UHD 패킷 데이터를 일반적인 데이터로 변환한다. UHD 비디오/오디오 재생(복호화) 모듈(412)은 수신한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고, 후처리 모듈(414)은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 과정을 수행한다.
포맷터(416)는 복호화 과정을 수행한 데이터를 설정된 포맷으로 변환한 후 광 출력 인터페이스 모듈(418) 또는 출력 인터페이스 모듈(420)을 통해 외부 재생 장치로 제공한다.
저장 미디어 콘트롤러(424)는 UHD F/F(File Format, 파일 포맷) 모듈(422)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제어한다. 즉, 저장 미디어 콘트롤러(424)는 UHD F/F 모듈(422)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저장 매체(43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메인 제어부(428)는 편집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저장매체(430)는 저장 미디어 콘트롤러(424)의 명령에 따라 UHD F/F 모듈(422)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입출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다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컨텐츠 입출력 장치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5에 의하면, 컨텐츠 입출력 장치는 HD/SD SDI 입력포트, HD/SD SDI 출력포트, USB 포트, 복수의 저장 매체, 복수의 칩, 파워 소켓, 전원부, 젠록(genlock) 입력부, 젠록 출력부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컨텐츠 입출력 장치에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HD/SD SDI 입력포(500)트는 외부로부터 HD 또는 SD 영상을 입력받는 포트이며, HD/SD SDI 출력포트(506)는 외부로 HD 또는 SD 영상을 출력하는 포트이다. USB 포트(520)는 USB를 이용하여 영상을 입력받거나 출력하는 포트이다.
복수의 칩(508, 510, 512, 514)은 비디오 부호화 칩, 비디오 복호화 칩, 오디오 부호화 칩, 오디오 복호화칩, 펌웨어 칩으로 구성되며, 하나의 칩에서 복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비디오 부호화 칩에서 오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각 칩은 DDR3(516)와 FPGA PROM(516)와 같은 메모리를 이용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한다.
파워 소켓(526)은 외부로 전원을 공급받는 소켓이며, 파워(524)는 파워 소켓을 통해 공급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컨텐츠 입출력 장치를 구동한다.
젠록은 4K 보드간의 동기를 맞추기 위해 사용된다. 일 예로 4K 보드를 2장 장착하여 4K용 입체형 비디오를 구현한다고 하면 좌우측 4K 영상간 동기는 젠록 모듈이 담당한다. 젠록 입력부(502)는 젠록 신호를 입력하며, 젠록 출력부(504)는 젠록 신호를 출력한다.
PCI-E(522)는 PCIe 버스를 담당하여 대용량 UHD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초고화질 영상을 위한 입출력 시스템의 사양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초고화질 영상을 위한 입출력 시스템의 사양은 비디오 입출력, 지원 포맷, PC 인터페이스, 저장, 통신/UI, PC 사양 등으로 구분된다.
비디오 입출력은 입력, 출력, 해상도, 오디오 항목으로 구성되며, 지원 포맷은 영상, 오디오 항목으로 구분되며, PC 인터페이스는 입출력, 입출력 속도 항목으로 구분된다. 저장은 저장매체/용량, 저장속도 항목으로 구분되며, 통신/UI는 통신, UI 항목으로 구분된다. 또한 도 6은 각 항목에 따른 사양을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다. 물론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사양은 일실시 예일 뿐이며, 도시되어 있는 사양 이외에 다른 사양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컨텐츠 제공 장치 110: 컨텐츠 입출력부
120: 편집 장치 130: 컨텐츠 재생 장치

Claims (7)

  1. 다양한 해상도를 갖는 데이터를 UHD 데이터로 변환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편집 장치로 제공하며, 상기 편집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컨텐츠 재생 장치로 제공하는 컨텐츠 입출력 장치;
    상기 컨텐츠 입출력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UHD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컨텐츠 입출력 장치로 제공하는 편집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UHD 데이터 변환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입출력 장치는,
    상기 데이터 재생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분석하는 파서;
    상기 파서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전처리 모듈;
    상기 전처리 모듈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압축하는 압축 모듈;
    상기 압축 모듈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패킷화하는 패킷타이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UHD 변환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입출력 장치는,
    상기 변환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패킷 데이터를 역패킷화하는 역패킷타이저;
    상기 역패킷타이저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는 재생 모듈;
    상기 재생 모듈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후처리 모듈;
    상기 후처리 모듈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설정된 포맷으로 변환하는 포맷터;
    상기 포맷터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컨텐츠 재생 장치로부터 전달하는 출력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UHD 변환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장치는,
    상기 컨텐츠 입출력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를 UHD 컨텐츠로 변환하는 UHD F/F 모듈;
    상기 UHD F/F 모듈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UHD 변환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장치는,
    상기 UHD F/F 모듈에서 처리한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에 임시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저장 미디어 콘트롤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UHD 변환 시스템.
  6. 데이터 제공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제공받으며, 컨텐츠 재생 장치로 UHD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지털 입출력부;
    상기 디지털 입출력부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부호화하거나, 변환된 UHD 데이터를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 부복호화부;
    다채널로 입력되는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하며, 동기화된 데이터를 PCIe 프로세스부로 전달하는 AV 프로세스부;
    상기 AV 프로세스부로부터 전달받은 동기화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도록 지시하는 PCIe 프로세스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입출력 장치;
    상기 컨텐츠 입출력 장치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편집하는 편집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UHD 변환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 장치는,
    캡쳐부에 의해 캡쳐된 비디오 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에 따라 변환하는 영상 변환부;
    상기 캡쳐부에 의해 캡쳐된 비디오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비디오 코덱;
    상기 캡쳐부에 의해 캡쳐된 오디오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오디오 코덱;
    상기 부호화된 비디오 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설정된 포맷으로 변환하는 파일 포맷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UHD 변환 시스템.
KR1020120021436A 2012-02-29 2012-02-29 초고화질 영상 컨텐츠 편집 및 재생을 위한 입출력 시스템 KR2013009972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436A KR20130099723A (ko) 2012-02-29 2012-02-29 초고화질 영상 컨텐츠 편집 및 재생을 위한 입출력 시스템
US14/381,754 US9601156B2 (en) 2012-02-29 2012-03-21 Input/output system for editing and playing ultra-high definition image
PCT/KR2012/002036 WO2013129724A1 (ko) 2012-02-29 2012-03-21 초고화질 영상 컨텐츠 편집 및 재생을 위한 입출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1436A KR20130099723A (ko) 2012-02-29 2012-02-29 초고화질 영상 컨텐츠 편집 및 재생을 위한 입출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723A true KR20130099723A (ko) 2013-09-06

Family

ID=49082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1436A KR20130099723A (ko) 2012-02-29 2012-02-29 초고화질 영상 컨텐츠 편집 및 재생을 위한 입출력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601156B2 (ko)
KR (1) KR20130099723A (ko)
WO (1) WO201312972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2033A1 (ko) * 2014-08-29 2016-03-03 전자부품연구원 클라우드 기반 4k uhd 콘텐츠 스트리밍 장치 및 방법
WO2017034060A1 (ko) * 2015-08-27 2017-03-02 전자부품연구원 실시간 초고해상도 영상 획득 및 프리뷰 제공이 가능한 영상 처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68015B2 (en) * 2012-11-28 2017-05-30 Sony Corporation Using extra space on ultra high definition display presenting high definition video
CN103702060B (zh) * 2013-12-31 2016-03-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超高清显示装置及视频信号转换方法
US10796413B2 (en) * 2016-09-26 2020-10-06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Video monitoring system
CN106791547B (zh) * 2017-01-25 2023-04-14 南京美乐威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fpga的便携式hdmi视频采集设备和方法
TWI796548B (zh) * 2020-02-21 2023-03-21 聰泰科技開發股份有限公司 無失真4k多媒體傳輸方法
CN112437325A (zh) * 2020-11-23 2021-03-02 杭州当虹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8ksdi信号发生器实现方法
CN113824900A (zh) * 2021-09-18 2021-12-21 深圳市爱剪辑科技有限公司 一种云端视频剪辑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2318A (ja) 2005-12-22 2007-07-05 Victor Co Of Japan Ltd 画像伝送システム及び画像伝送方法
JP4709127B2 (ja) * 2006-12-15 2011-06-22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898700B1 (ko) 2007-12-17 2009-05-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시점의 영상을 이용한 초고해상도 방송 시스템 및방법
KR101173335B1 (ko) 2008-12-19 2012-08-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085554B1 (ko) 2009-11-19 2011-11-24 에이스텔 주식회사 초고화질 영상을 위한 실시간 입출력 모듈 시스템
US20110219357A1 (en) * 2010-03-02 2011-09-08 Microsoft Corporation Compressing source code written in a scripting language
US9132352B1 (en) * 2010-06-24 2015-09-15 Gregory S. Rabin Interactive system and method for rendering an objec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2033A1 (ko) * 2014-08-29 2016-03-03 전자부품연구원 클라우드 기반 4k uhd 콘텐츠 스트리밍 장치 및 방법
WO2017034060A1 (ko) * 2015-08-27 2017-03-02 전자부품연구원 실시간 초고해상도 영상 획득 및 프리뷰 제공이 가능한 영상 처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01156B2 (en) 2017-03-21
WO2013129724A1 (ko) 2013-09-06
US20150139614A1 (en) 201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1156B2 (en) Input/output system for editing and playing ultra-high definition image
CN103125123B (zh) 再现装置、再现方法、集成电路、广播系统及广播方法
JP201908802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US201300394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and Audio Encoding on a Single Chip
US8676038B2 (e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reproduc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177431A (zh) 包括多数据流配置控制转换的便携式动态画面录制设备
US7593580B2 (en) Video encoding using parallel processors
JP2014138269A (ja) 動画像多重化装置及び動画像多重化方法、ならびに多重化動画像復号装置及び多重化動画像復号方法
US20100098161A1 (en) Video encoding apparatus and video encoding method
JP2013236211A (ja) 信号送信装置、信号送信方法、信号受信装置、信号受信方法及び信号伝送システム
US20190208197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N109040818B (zh) 直播时的音视频同步方法、存储介质、电子设备及系统
CN111406404B (zh) 获得视频文件的压缩方法、解压缩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15460422B (zh) 一种超高清网络视音频专业解码器和视频帧同步方法
US20120307882A1 (en) Method for transporting information and/or application data inside a digital video stream, and relative devices for generating and playing such video stream
KR100970992B1 (ko) 그래픽스 가속을 통한 고화질 영상의 스테레오스코픽 다중화 및 저비율 압축 전송 장치 및 그 방법과 그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KR20200055242A (ko) Oled 패널을 지원하는 초고선명 텔레비전용 보급형 메인보드
KR20160144061A (ko) 초고선명 텔레비전용 보급형 메인보드
JP7350744B2 (ja) 画像処理装置
KR101603976B1 (ko) 동영상 파일 결합 방법 및 그 장치
KR101130210B1 (ko) 초고화질 영상을 위한 크로마키 시스템
KR101447190B1 (ko) 초고화질 영상을 위한 컨텐츠 실시간 캡쳐 방법 및 재생 방법
Kikuchi et al. Development of full-featured 8K recorder
Sakiyama et al. 8K-UHDTV production equipment and workflow which realize an unprecedented video experience
KR20150086749A (ko)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제작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