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6749A -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제작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제작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6749A
KR20150086749A KR1020140006790A KR20140006790A KR20150086749A KR 20150086749 A KR20150086749 A KR 20150086749A KR 1020140006790 A KR1020140006790 A KR 1020140006790A KR 20140006790 A KR20140006790 A KR 20140006790A KR 20150086749 A KR20150086749 A KR 201500867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cloud
editing
unit
ed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6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숙희
김휘용
정세윤
임성창
김종호
이대열
최진수
김진웅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06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86749A/ko
Publication of KR20150086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7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제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명세서는 미디어를 저장하는 저장장치,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저용량의 미디어를 고용량의 미디어로 변환하여 상기 저장장치로 업로드하는 인제스트 기능 처리기, 상기 저장장치로부터 EDL 정보를 입력받아 편집명령 정보를 해석하고, 해석된 편집명령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미디어를 편집하는 편집 기능 처리기, 및 클라우드 자원을 관리하고, 상기 저장장치, 상기 인제스트 기능 처리기 및 상기 편집 기능 처리기간의 데이터들을 제어하는 클라우드 자원 제어/관리 처리기를 포함하는 미디어 제작 장치를 게시한다.

Description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제작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DIA PRODUCTION BASED ON CLOUD}
본 발명은 미디어 제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클라우드 기반의 미디어 제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우드 컴퓨팅 자원을 이용하여 UHD 등과 같이 대용량의 미디어를 고속으로 편집 및 가공하여 하나의 콘텐츠 제작하기 위한 시스템, 그의 제작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방송사는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제작 및 유통을 수행함에 있어서 몇 가지 단계로 구분된 워크플로우를 사용한다. 도 1은 예시적으로 종래기술에 따른 기본적인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제작 및 유통 워크플로우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촬영된 원본 미디어를 디지털 방송의 제작 시스템이 공유저장장치에 업로드하면, 편집자들이 단말을 통해 공유저장장치에 있는 미디어에 접근하고 업로드된 원본 미디어를 편집한다. 편집자들에 의한 편집 작업 내용은 EDL(Edit Decision List) 파일에 저장된다. 그리고 EDL 파일이 최종적으로 완성되면, EDL을 바탕으로 컷편집 및 후편집 작업이 이루어지고, 이렇게 제작된 방송 콘텐츠는 시청자들에게 송출된다. 송출이란 편집이 완료된 콘텐츠를 압축하여 일반 시청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말한다. 송출된 이후, 편집이 완료된 콘텐츠 혹은 편집과정에서 저장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콘텐츠 등을 저장시스템에 저장하는 아카이빙이 수행될 수 있다.
대용량의 UHD 미디어 편집의 경우, 컷편집과 후편집에 따른 부복호화에 의한 연산량은 고속 편집을 불가능하게 한다.
종래기술에 따른 전문 방송을 위한 스튜디오 편집용 NLE(non-linear editing system, 비선형 편집기) 코덱으로서 대부분 AVC(advanced video coding) 기반의 부호화 기술이 사용된다. 그러나, 편집 원본 영상의 압축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 기존 코덱은 UHD와 같은 대용량 실감미디어에 대해서는 압축 성능 저하 및 저장 용량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고압축률을 달성하는 부호화 기술이 NLE에 사용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UHD 서비스가 본격화되면서, 콘텐츠 촬영단계에서 HD 카메라와 UHD 카메라를 혼용하여 촬영하고 이를 편집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으므로, HD로 획득된 영상을 UHD 영상으로 변환하여 편집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클라우드 컴퓨팅 자원을 이용하여 3D, UHD 등과 같이 대용량의 미디어를 이용하여 하나의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시스템, 그의 제작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제작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클라우드 기반 HD 및 UHD 미디어 제작 시스템, 그의 제작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클라우드 기반의 미디어 제작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미디어를 저장하는 저장장치,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저용량의 미디어를 고용량의 미디어로 변환하여 상기 저장장치로 업로드하는 인제스트 기능 처리기, 상기 저장장치로부터 EDL(Edit Decision List) 정보를 입력받아 편집명령 정보를 해석하고, 해석된 편집명령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미디어를 편집하는 편집 기능 처리기, 및 클라우드 자원을 관리하고, 상기 저장장치, 상기 인제스트 기능 처리기 및 상기 편집 기능 처리기간의 데이터들을 제어하는 클라우드 자원 제어/관리 처리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작 시스템은 HD/UHD 방송 콘텐츠를 고가의 전문 편집 장비를 활용하지 않고 외주제작사 등 콘텐츠 제작자가 낮은 비용으로 HD급부터 UHD급까지 방송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대용량의 방송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제작할 수 있도록 대용량 저장, 다양한 접속, 고성능 연산 기능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기반에서 HD/UHD 콘텐츠의 제작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대용량의 HD 및 UHD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약할 수 있다. 또한, IT 인프라를 포함한 방송 제작 기능 자체를 클라우드 상에 구축 및 통합함으로써 개별 장비의 업그레이드 및 복잡한 통합 문제를 단순화할 수 있으므로, 신기술을 쉽게 도입하고 적용함으로써 저비용으로 고효율의 제작 환경을 지속적으로 유지 관리 및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도 1은 예시적으로 종래기술에 따른 기본적인 디지털 방송 프로그램 제작 및 유통 워크플로우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방송 제작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자원 제어/관리 처리기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인제스트 기능 처리기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코딩부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변환부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편집 기능 처리기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편집 기능 처리기의 입력부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편집본 생성부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편집 처리부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방송 제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방송 제작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방송 제작 시스템(200)은 HEVC 기반으로 미디어를 고압축률로 압축할 수 있고, HD 콘텐츠를 UHD 콘텐츠로 변환할 수 있으며, UHD 미디어를 편집할 수 있다. 또한, 이 모든 기능들이 클라우드 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클라우드 기반의 방송 제작 시스템(200)은 각 압축, 변환, 편집의 각 기능에 따라 클라우드 자원을 효율적으로 할당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클라우드 환경에서 대용량의 UHD 미디어를 고속으로 편집하고, 대용량의 미디어를 저장하는 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클라우드 기반의 방송 제작 시스템(200)은 상기와 같이 디지털 방송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일련의 제작 과정이 클라우드 환경에서 이루어지기 위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요소들은 대용량 저장, 다양한 접속, 고성능 연산 기능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기반에서 HD/UHD 콘텐츠를 고속으로 압축, 변환, 편집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기반의 방송 제작 시스템(200)은 클라우드 시스템(210) 및 단말 장치(220)를 포함한다.
클라우드 시스템(210)은 모든 미디어 데이터의 저장 및 편집 관련 연산 처리를 클라우드 내에서 수행하며, 이러한 기능의 수행을 위해 저장장치(211), 인제스트 기능 처리기(212), 편집 기능 처리기(213) 및 클라우드 자원제어/관리 처리기(214)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우드 시스템(210)은 단순히 클라우드라 불릴 수도 있다.
단말 장치(220)는 인제스트를 수행하는 단말 또는 편집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220)는 클라우드 시스템(210)에 접속할 수 있는 일반적인 컴퓨터가 되며, 후편집시에 필요한 색보정 및 특수영상 처리와 같은 별도의 계측 장비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저장장치(211)는 미디어를 기록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필름, 테잎, CD, DVD 등 모든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는 스튜디오나 야외에서 카메라로 포착된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로 구성될 수 있다.
클라우드 자원 제어/관리 처리기(214)는 인제스트를 수행하는 단말 또는 편집 기능을 수행하는 단말과 클라우드 시스템(210)내의 구성장치들 사이에 주고받는 데이터들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클라우드 자원 제어/관리 처리기(214)는 도 3과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자원 제어/관리 처리기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클라우드 자원 제어/관리 처리기(214)는 단말명령 수신부(300), 단말명령 해석부(305), 단말명령 전달부(310), 미디어 전달부(315), 클라우드 자원 검색부(320), 클라우드 자원 할당 설계부(325), 클라우드 자원 할당 처리부(330), 처리기 명령 수신부(335), 처리기 명령 해석부(340), 처리기 명령 전달부(345) 및 클라우드 자원 해제 처리부(350)를 포함한다.
단말명령 수신부(300)는 단말 장치(220)로부터 업로드되는 명령어를 수신하여 단말명령 해석부로 출력한다.
단말명령 해석부(305)는 단말 장치(220)의 명령을 해석하여 명령수행에 사용될 미디어 데이터 요청에 필요한 정보를 미디어 전달부(315)에 출력한다.
단말명령 전달부(310)는 해석된 명령정보를 인제스트 또는 편집 기능 처리기(212, 213)로 출력한다.
미디어 전달부(315)는 미디어 단말과 클라우드 시스템(210)내에 있는 인제스트 또는 편집기능 처리기(212, 213) 사이에서 주고 받는 미디어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포맷으로 만들어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클라우드 자원 검색부(320)는 수시로 가용한 클라우드 내의 저장용량 및 컴퓨팅 자원을 검색하여 결과를 보관한다.
클라우드 자원 할당 설계부(325)는 단말명령 해석부(305)로부터 입력받은 단말장치(220)의 명령과 클라우드 자원 검색부(320)로부터 받은 가용한 클라우드 자원을 바탕으로 클라우드 자원 어떻게 할당할지를 설계한다.
클라우드 자원 할당 처리부(330)는 클라우드 자원 할당 설계부(325)로부터 입력받은 설계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제 자원을 할당한다.
처리기 명령 수신부(335)는 인제스트 또는 편집 기능 처리기(212, 213)에서 단말장치(220)로 전달하고자 하는 처리명령을 수신한다.
처리기 명령 해석부(340)는 처리명령을 해석하여 작업 완료에 대한 명령인 경우 클라우드 자원 해제 요청을 한다. 처리기 명령 전달부(340)는 처리명령을 단말장치(220)가 인식 가능한 포맷으로 만들어 전달한다.
클라우드 자원 해제 처리부(350)는 인제스트 또는 편집 기능 처리기(212, 213)에 할당된 자원을 해제하여 가용한 자원으로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인제스트 기능 처리기(212)는 단말장치(220)에 있는 미디어 데이터(예를 들어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클라우드 시스템(210)내의 저장장치(211)로 업로드하며,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저용량의 미디어(예를 들어 HD 미디어)를 고용량의 미디어(예를 들어 UHD 미디어)로 변환하여 업로드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즉, 인제스트 기능 처리기(212)는 촬영되어 저장된 다양한 포맷의 신호를 입력받고, 편집 기능을 가진 단말장치(220)가 지원하는 포맷으로 트랜스코딩 하여 저장장치(211)로 업로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제스트 기능 처리기(212)는 도 4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인제스트 기능 처리기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제스트 기능 처리기(212)는 입력부(400), 트랜스코딩부(405), 미디어 변환부(410), 출력부(415) 및 처리기 명령 생성부(420)를 포함한다.
입력부(400)는 클라우드 자원 제어/관리 처리기(214)로부터 입력받은 인제스트 명령을 해석하고, 미디어 데이터를 업로드하여 트랜스코딩부(405) 또는 미디어 변환부(410)로 출력한다.
트랜스코딩부(405)는 업로드된 미디어를 클라우드 내 편집기에서 지원하는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하고 컨테이너 포맷으로 패키징하여 저장장치(211)에 저장한다. 이를 위해, 트랜스코딩부(405)는 도 5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코딩부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트랜스코딩부(405)는 컨테이너 포맷 디패키징 블록(500), 미디어 복호화 블록(505), 프록시 미디어 생성 블록(510), 원본 미디어 부호화 블록(515), 프록시 미디어 부호화 블록(520) 및 계층적 접근을 지원하는 MXF 포맷 패키징 블록(525)을 포함한다.
컨테이너 포맷 디패키징 블록(500)은 MXF, MOV, MP4와 같은 컨테이터 포맷으로 업로드된 미디어 데이터를 디패키징하여 출력한다.
미디어 복호화 블록(505)은 AVC, MPEG-2, JPEG2000 등으로 부호화되어 있는 비디오 스트림과 PCM 등으로 부호화되어 있는 오디오 스트림을 복호화한다. 한편, 인제스트 명령에서 HD 미디어를 UHD 미디어로 변환하는 요청이 있을 경우 복호된 미디어 데이터는 미디어 변환부(410)로 출력된다.
프록시 미디어 생성 블록(510)은 대용량 UHD 미디어의 고속편집을 지원하기 위하여 원본 미디어보다 작은 HD, qHD(HD의 1/4 해상도) 영상 크기와 원본 비디오보다 낮은 프레임율/색차공간/비트심도의 영상을 생성한다. 이는 대용량의 UHD 비디오를 용량이 적은 비디오를 기반으로 편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생성하는 것이다.
원본 미디어 부호화 블록(515)은 미디어 복호화 블록(505)에서 복호되거나, 미디어 변환부(410)에서 출력되는 미디어를 HEVC 고압축 비디오 부호화 기술 및 오디오 부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부호화한다.
프록시 미디어 부호화 블록(520)은 프록시 미디어 생성블록(510)에서 출력되는 미디어를 HEVC 고압축 비디오 부호화 기술 및 오디오 부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부호화한다. 계층적 접근을 지원하는 MXF 포맷 패키징 블록(525)은 원본 미디어와 프록시 미디어를 계층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도록 MXF 파일을 생성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미디어 변환부(410)는 저용량의 미디어(예를 들어 HD 미디어)를 고용량의 미디어(예를 들어 UHD 미디어)로 변환한다. 미디어 변환부(410)는 HDtoUDH 변환부라 불릴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변환부(410)는 인제스트 명령에서 HDtoUHD 변환의 요청이 있을 경우에만 HDtoUHD 변환부가 미디어의 변환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미디어 변환부(410)는 도 6과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변환부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미디어 변환부(410)는 해상도 보간 블록(600), 프레임율 보간 블록(605), 색차정보 보간 블록(610) 및 비트심도 보간 블록(615)을 포함한다. 해상도 보간 블록(600)은 HD 해상도를 가로 2배, 세로 2배로 업스케일링하여 UHD 해상도의 비디오로 출력한다. 미디어의 변환을 위한 단말장치(220)의 명령에 따라, 프레임율 보간 블록(605), 색차정보 보간 블록(610), 비트심도 보간 블록(615)은 프레임율/색차정보/비트심도 변환의 요청이 있을 경우에만 동작할 수 있다. 프레임율 보간 블록(605)은 60i, 30p 또는 24p 등의 프레임율을 60p, 120p 프레임율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색차정보 보간 블록(610)은 YUV420 또는 YUV422 신호를 YUV 422 또는 YUV444 신호로 변환한다. 비트심도 보간 블록(615)은 8bit 또는 10bit의 신호를 10bit 또는 12bit 신호로 변환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방송 제작 시스템(200)은 고압축률을 달성하는 HEVC 기반의 압축기능과, HD 콘텐츠를 UHD 콘텐츠로 변화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UHD 미디어를 편집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출력부(415)는 트랜스코딩부(405)를 거쳐 출력되는 MXF(Material eXchange Format) 파일을 전달받아 저장장치(211)에 저장한다. 이 때 클라우드 내의 저장장치(211)에 편집 처리시 분산처리를 지원할 수 있도록 MXF 파일을 분산하여 저장할 수 있다.
처리기 명령 생성부(420)는 출력부(415)에서 작업완료에 대한 정보를 받으면 작업완료라는 명령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또한, 처리기 명령 생성부(420)는 처리기 명령어를 입력받아 클라우드 자원 제어/관리 처리기(214)에 전달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편집 기능 처리기(213)는 미디어(특히 UHD 미디어)의 편집을 수행한다. 편집은 크게 컷편집과 후편집으로 나뉜다. 그리고 컷편집은 다시 가편집과 진편집으로 나뉜다. 먼저 가편집은 편집의 첫 단계로서 촬영순서 혹은 시나리오 대로 NG는 빼고 OK만 이어 붙이는 과정으로, 촬영순서 혹은 시나리오에 따라 러프하게(roughly) 연결하고 기본적인 소리를 배치한다. 가편집의 경우 원본 해상도의 비디오가 아닌 원본보다 저해상도의 비디오를 보면서 편집하는 경우가 많아 프록시(Proxy) 편집이라고도 한다. 다음으로, 컷편집의 다음 단계인 진편집은 가편집(rough cut)에서의 작업결과를 심화시켜 최종 편집에 거의 근접시킨 편집 과정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 잘 들어맞도록 컷과 컷 사이를 미세하게 조절하고 영상효과를 추가하는 과정이다. 진편집은 크래프트(craft) 편집이라고도 불린다. 크래프트 편집은 와이프(wipe), 디졸브, 음악삽입, 성우녹음, 음향효과 등의 작업을 포함한다. 편집의 마지막 단계인 후편집은 특수영상(CG), 타이틀, 자막 등의 처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편집을 수행하기 위해, 편집 기능 처리기(213)는 도 7과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편집 기능 처리기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편집 기능 처리기(213)는 입력부(700), 편집본 생성부(705), 온라인 편집 처리부(710), EDL 생성부(715), 출력부(720), 처리기 명령 생성부(725) 및 처리기 명령 전달부(730)를 포함한다.
입력부(700)는 클라우드 자원 제어/관리 처리기(214)로부터 편집명령을 입력받거나, 저장장치(211)로부터 EDL 정보를 입력받아 편집명령 정보를 해석하여 편집본 생성부(705) 또는 온라인 편집 처리부(710)로 출력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입력부(700)는 도 8과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편집 기능 처리기의 입력부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입력부(700)는 편집명령 해석 블록(800), EDL 정보 해석 블록(805), 미디어 데이터 탐색 블록(810) 및 미디어 데이터 요청 블록(815)을 포함한다.
편집명령 해석 블록(800)은 클라우드 자원 제어/관리 처리기(214)로부터 편집명령을 입력받아 편집명령이 의미하는 바를 해석하여 온라인 편집 처리부(710)로 출력하거나, 편집명령이 편집본을 출력하라는 명령일 경우는 저장장치(211)로부터 EDL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해석하여 나온 편집정보를 편집본 생성부(705)로 출력한다.
EDL 정보 해석 블록(805)은 저장장치(211)로부터 받은 EDL 정보에 기반하여 편집명령 정보를 해석하고, 해석된 편집명령 정보를 편집본 생성부(705) 또는 미디어 데이터 탐색 블록(810)으로 출력한다.
미디어 데이터 탐색 블록(810)은 편집 해석 블록(800) 및 EDL 정보 해석 블록(805)에 의하여 요청되는 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하는 미디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위치 정보를 탐색하여 출력한다.
미디어 데이터 요청 블록(815)은 입력받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미디어 데이터가 온라인 편집 처리부(710) 또는 편집본 생성부(705)로 입력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편집본 생성부(705)는 편집이 완료되고 난 후, 외부장치로의 출력 요청이라는 편집명령을 받으면, 저장장치(211)로부터 EDL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기반으로 편집본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편집본 생성부(705)는 도 9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편집본 생성부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편집본 생성부(705)는 컨테이너 포맷 디패키징 블록(900), 원본 미디어 복호화 블록(905), 편집 기능 처리 블록(910), 원본 미디어 부호화 블록(915) 및 컨테이너 포맷 패키징 블록(920)을 포함한다.
컨테이너 포맷 디패키징 블록(900)은 MXF의 컨테이터 포맷으로 저장되어 있는 원본 미디어 데이터를 디패키징하여 출력한다.
원본 미디어 복호화 블록(905)은 HEVC 및 오디오 부호화로 부호화되어 있는 원본 미디어 스트림을 복호화한다.
편집 기능 처리 블록(910)은 입력받은 편집정보에 따라 원본 미디어를 이용하여 편집 작업을 수행한다.
원본 미디어 부호화 블록(915)은 편집기능 처리 블록(910)에서 출력되는 미디어를 HEVC 비디오 부호화 및 오디오 부호화하여 출력한다.
컨테이너 포맷 패키징 블록(920)은 MXF, MOV, TS 등을 컨테이너 포맷으로 패키징하여 출력한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온라인 편집 처리부(710)는 입력부(700)로부터 입력받은 편집정보에 따라 저장장치(711)로부터 입력받은 미디어 데이터를 편집하여 편집결과를 출력부(720)로 출력하고, 편집정보를 EDL 생성부(715)로 출력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온라인 편집 처리부(710)는 도 10과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편집 처리부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온라인 편집 처리부(710)는 컨테이너 포맷 디패키징 블록(1000), 프록시 또는 원본 미디어 복호화 블록(1005), 편집 기능 처리 블록(1010), 프록시 또는 원본 미디어 부호화 블록(1015) 및 MXF 포맷 패키징 블록(1020)을 포함한다.
컨테이너 포맷 디패키징 블록(1000)은 MXF의 컨테이터 포맷으로 저장되어 있는 프록시 또는 원본 미디어 데이터를 디패키징하여 출력한다.
프록시 또는 원본 미디어 복호화 블록(1005)은 HEVC 및 오디오 부호화로 부호화되어 있는 프록시 또는 원본 미디어 스트림을 복호화한다.
편집 기능 처리 블록(1010)은 입력받은 편집정보에 따라 원본 미디어를 이용하여 편집 작업을 수행한다.
프록시 또는 원본 미디어 부호화 블록(1015)은 편집기능 처리 블록(1010)에서 출력되는 미디어를 HEVC 비디오 부호화 및 오디오 부호화하여 출력한다.
MXF 포맷 패키징 블록(1020)은 MX 컨테이너 포맷으로 패키징하여 출력한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EDL 생성부(715)는 입력받은 편집정보를 EDL 파일 포맷으로 생성하여 저장장치(211)에 출력한다.
출력부(720)는 입력받은 편집결과의 미디어 데이터를 출력한다.
처리기 명령 생성부(725)는 출력부(720)에서 작업완료에 대한 정보를 받으면 작업완료라는 처리기 명령어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처리기 명령 전달부(730)는 처리기 명령어를 입력받아 클라우드 자원 제어/관리 처리기(214)에 전달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클라우드 기반의 방송 제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클라우드 기반의 방송 제작 시스템(200)은 클라우드 기반에서 미디어를 고압축률로 압축한다(S1100). 예를 들어, 클라우드 기반의 방송 제작 시스템(200)은 HEVC 기반으로 미디어를 압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클라우드 기반의 방송 제작 시스템(200)은 도 4 내지 도 6에서 설명된 미디어 압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클라우드 기반의 방송 제작 시스템(200)은 클라우드 기반에서 HD 미디어를 UHD 미디어로 변환한다(S1105). 이때, 클라우드 기반의 방송 제작 시스템(200)은 사용자의 지시(예를 들어, 단말 장치(220)의 입력)에 따라 저용량의 미디어(예를 들어 HD 미디어)를 고용량의 미디어(예를 들어 UHD 미디어)로 변환할 수 있다.
클라우드 기반의 방송 제작 시스템(200)은 클라우드 기반에서 UHD 미디어(또는 콘텐츠)의 편집을 제어한다(S1110). 이를 위해, 클라우드 기반의 방송 제작 시스템(200)은 도 7 내지 도 10에서 설명된 편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1100 내지 단계 S1110의 순서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계 S1100 내지 단계 S1110가 다른 순서로 수행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작 시스템은 HD/UHD 방송 콘텐츠를 고가의 전문 편집 장비를 활용하지 않고 외주제작사 등 콘텐츠 제작자가 낮은 비용으로 HD급부터 UHD급까지 방송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대용량의 방송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제작할 수 있도록 대용량 저장, 다양한 접속, 고성능 연산 기능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기반에서 HD/UHD 콘텐츠의 제작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대용량의 HD 및 UHD 콘텐츠 제작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약할 수 있다. 또한, IT 인프라를 포함한 방송 제작 기능 자체를 클라우드 상에 구축 및 통합함으로써 개별 장비의 업그레이드 및 복잡한 통합 문제를 단순화할 수 있으므로, 신기술을 쉽게 도입하고 적용함으로써 저비용으로 고효율의 제작 환경을 지속적으로 유지 관리 및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

  1. 클라우드 기반의 미디어 제작 장치로서,
    미디어를 저장하는 저장장치;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저용량의 미디어를 고용량의 미디어로 변환하여 상기 저장장치로 업로드하는 인제스트 기능 처리기;
    상기 저장장치로부터 EDL(Edit Decision List) 정보를 입력받아 편집명령 정보를 해석하고, 해석된 편집명령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미디어를 편집하는 편집 기능 처리기; 및
    클라우드 자원을 관리하고, 상기 저장장치, 상기 인제스트 기능 처리기 및 상기 편집 기능 처리기간의 데이터들을 제어하는 클라우드 자원 제어/관리 처리기를 포함하는 장치.


KR1020140006790A 2014-01-20 2014-01-20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제작 장치 및 방법 KR201500867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790A KR20150086749A (ko) 2014-01-20 2014-01-20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제작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790A KR20150086749A (ko) 2014-01-20 2014-01-20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제작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749A true KR20150086749A (ko) 2015-07-29

Family

ID=53876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790A KR20150086749A (ko) 2014-01-20 2014-01-20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제작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867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121A (ko) 2018-01-04 2019-07-26 (주)젠솔소프트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72035A (ko) 2020-11-23 2022-06-02 윤디스크주식회사 개방형 os 기반의 drm 및 동영상 플레이어 서비스 플랫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8121A (ko) 2018-01-04 2019-07-26 (주)젠솔소프트 클라우드 미디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72035A (ko) 2020-11-23 2022-06-02 윤디스크주식회사 개방형 os 기반의 drm 및 동영상 플레이어 서비스 플랫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89885B (zh) 视频文件转码系统、分割方法、转码方法及装置
US9514783B2 (en) Video editing with connected high-resolution video camera and video cloud server
US966104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entral utilization of remotely generated large media data streams despite network bandwidth limitations
CA2858654C (en) Media service and method for delivery of stored media
JP6508206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EP3148200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selecting content files based on encoding parallelism type
KR20130099723A (ko) 초고화질 영상 컨텐츠 편집 및 재생을 위한 입출력 시스템
CN102802021B (zh) 一种编辑多媒体数据的方法及装置
JP2022019932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107158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ocalized management of video data
KR20150086749A (ko)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제작 장치 및 방법
JP6501127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US20170062004A1 (en) Method for enabling seamless and bidirectional playback of video
KR20160089035A (ko) 영상 제작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 그의 영상 제작을 위한 클라우드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4136291A1 (ja) 動画データ編集装置、動画データ編集方法、再生装置、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97402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reproduction processing device, and reproduction processing method
Raemy et al. Implementing a video framework based on IIIF: a customized approach from long-term preservation video formats to conversion on demand
US10582197B2 (en) Encoder, encoding method, camera, recorder, and camera-integrated recorder
US20160249078A1 (en) Cloud Encoding System
Xin et al. Live Signal Recording and Segmenting Solution Based on Cloud Architecture
BG3443U1 (bg) Система за автоматизирано транскодиране на видео-аудио потоци
KR101447190B1 (ko) 초고화질 영상을 위한 컨텐츠 실시간 캡쳐 방법 및 재생 방법
CN118118694A (zh) 点云封装与解封装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