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335B1 -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335B1
KR101173335B1 KR20080130492A KR20080130492A KR101173335B1 KR 101173335 B1 KR101173335 B1 KR 101173335B1 KR 20080130492 A KR20080130492 A KR 20080130492A KR 20080130492 A KR20080130492 A KR 20080130492A KR 101173335 B1 KR101173335 B1 KR 101173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image
bit rate
target bit
video im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130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1690A (ko
Inventor
조숙희
정세윤
최해철
최진수
홍진우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20080130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335B1/ko
Priority to JP2009202689A priority patent/JP2010148089A/ja
Publication of KR20100071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1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04N19/159Prediction type, e.g. intra-frame, inter-frame or bidirectional frame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은, 제1비디오 영상을 상기 제1비디오 영상보다 저해상도인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으로 분할하고,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 각각에 대응하는 목표 비트율(bit rate)을 계산하며, 계산된 각각의 목표 비트율에 기초하여, 각각의 분할된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을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의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한 개의 비디오 영상 스트림을 출력한다.
Figure R1020080130492
초고해상도, UHD, 영상 분할, 비트율, bit rate

Description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IMAGE PARTITION BASED ULTRA-HIGH DEFINITION VIDEO ENCODER AND DECOD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정보통신연구진흥원의 IT원천기술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8-F-011-01, 과제명: 차세대 DTV 핵심기술개발 (표준화연계) - 무안경 개인형 3D 방송기술개발].
사실감과 현장감을 시청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풀(Full) HDTV가 제공하는 화질보다 4배에서 16배 이상 선명한 초고화질 비디오인 UHD TV(Ultra-High Definition TV)가 각광을 받고 있다.
UHDTV는 풀(Full) HDTV의 해상도인 1920 x 1080보다 4배의 해상도를 갖는 4K(3840 x 2160) UHDTV와, 16배의 해상도를 갖는 8K(7680 x 4320) UHDTV로 분류될 수 있다.
풀(Full) HDTV보다 4배에서 16배 이상의 데이터량을 갖는 초고해상도(UHD) 비디오를 실시간으로 부호화하기 위하여, 초고해상도(UHD) 비디오를 HD급 해상도로 분할하여 4개 또는 16개의 HD 비디오를 병렬처리로 부호화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4등분 또는 16 등분으로 분할된 비디오는 영상에 따라 복잡도가 다르므로, 각각의 부호화에 동일한 비트율을 할당하면 각 비디오는 서로 다른 화질로 부호화되어, 한 장의 UHD 비디오로 복원하였을 때에는, 한 영상에서 부분별로 서로 다른 화질을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영상분할기반으로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를 수행할 경우에, 부호화하기 전에 분할된 비디오에 할당할 목표 비트율을 할당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분할영상간의 화질 차이를 극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분할기반으로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 구조에 있어서, 부호화된 복수개의 부호화 스트림을 복수개의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으로 만든 후 이를 다중화 하지 않고, 부호화된 복수개의 부호화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한 개의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을 출력하여, 오디오 및 기타 부가데이터를 다중화하는 시스템측에서의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 제어가 보다 용이하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따르면 초고해상도 비디오 복호화 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복수개의 분할된 비디오 신호 형태, 또는 한 개의 초고해상도 비디오 신호 형태로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복호화 장치와 연결되는 다양한 초고해상도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력 인터페이스와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1비디오 영상을 상기 제1비디오 영상보다 저해상도인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 각각에 대응하는 목표 비트율(bit rate)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각각의 목표 비트율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분할된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을 부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부호화된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의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한 개의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비디오 영상은, 상기 제1비디오 영상에서의 상기 제2비디오 영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 각각에 대응하는 목표 비트율(bit rate)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 각각의 복잡도 및 객체의 존재 유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의 각각의 목표 비트율을 계산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계산된 각각의 목표 비트율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분할된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을 부호화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분할된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을 복수개의 부호화기를 이용하여, 각각 부호화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 각각에 대응하는 목표 비트율(bit rate)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제1비디오 영상의 인트라 픽쳐(Intra picture)를 저해상도 인트라 픽쳐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저해상도 인트라 픽쳐, 및 상기 저해상도 인트라 픽쳐에 대하여 기 계산된 목표 비트율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의 각각의 목표 비트율(bit rate)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이때, 상기 저해상도 인트라 픽쳐에 대하여 기 계산된 목표 비트율은, 상기 제1비디오 영상의 부호화에 대한 목표 비트율, 및 상기 제1비디오 영상의 인트라 픽쳐(Intra picture)를 저해상도로 변환 시의 축소 비율에 기초하여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 각각에 대응하는 목표 비트율(bit rate)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제1비디오 영상의 인트라 픽쳐(Intra picture), 및 상기 제1비디오 영상의 부호화에 대하여 기 설정된 목표 비트율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의 각각의 비트율(bit rate)을 계산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복호화 장치의 제어 방법은, 한 개의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을 입력받고, 상기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의 헤더에 포함된 분할된 비디오 영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을 복수개의 부호화 스트림으로 역다중화 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부호화 스트림을 복호화하여 복수개의 비디오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비디오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생성된 복수개의 비디오 영상을 결합하여 하나의 비디오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 장치는, 제1비디오 영상을 상기 제1비디오 영상보다 저해상도인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으로 분할하는 영상분할기; 상기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 각각에 대응하는 목표 비트율(bit rate)을 계산하는 목표 비트율 계산기; 상기 계산된 각각의 목표 비트율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분할된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을 부호화하는 부호화기; 및 상기 부호화된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의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한 개의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을 출력하는 다중화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비디오 영상은, 상기 제1비디오 영상에서의 상기 제2비디오 영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목표 비트율 계산기는, 상기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의 복잡도 및 객체의 존재 유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의 각각의 비트율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호화기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각각의 분할된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을 각각 부호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목표 비트율 계산기는, 상기 제1비디오 영상의 인트라 픽쳐(Intra picture)를 저해상도 인트라 픽쳐로 변환하는 다운 컨버터; 및 상기 저해상도 인트라 픽쳐(Intra picture), 및 상기 저해상도 인트라 픽쳐에 대하여 기 계산된 목표 비트율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의 각각의 목표 비트율(bit rate)을 계산하는 인트라 부호화기를 포함한다.
삭제
이때, 상기 저해상도 인트라 픽쳐에 대하여 기 계산된 목표 비트율은, 상기 제1비디오 영상의 부호화에 대한 목표 비트율, 및 상기 제1비디오 영상의 인트라 픽쳐(Intra picture)를 저해상도로 변환 시의 축소 비율에 기초하여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목표 비트율 계산기는, 상기 제1비디오 영상의 인트라 픽쳐(Intra picture), 및 상기 제1비디오 영상의 부호화에 대하여 기 설정된 목표 비 트율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의 각각의 비트율(bit rate)을 계산하는 인트라 부호화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복호화 장치는, 한 개의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을 입력받고, 상기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의 헤더에 포함된 분할된 비디오 영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을 복수개의 부호화 스트림으로 역다중화 하는 역다중화기; 상기 복수개의 부호화 스트림을 복호화하여 복수개의 비디오 영상을 생성하는 복호화기; 및 상기 복수개의 비디오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생성된 복수개의 비디오 영상을 결합하여 하나의 비디오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합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분할기반으로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를 수행할 경우에, 부호화하기 전에 분할된 비디오에 할당할 목표 비트율을 할당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분할영상간의 화질 차이를 극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분할기반으로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 구조에 있어서, 부호화된 복수개의 부호화 스트림을 복수개의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으로 만든 후 이를 다중화 하지 않고, 부호화된 복수개의 부호화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한 개의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을 출력하여, 오디오 및 기타 부가데이터를 다중화 하는 시스템측에서의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 제어가 보다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초고해상도 비디오 복호화 장치에서 출력되는 신호 를 복수개의 분할된 비디오 신호 형태, 또는 한 개의 초고해상도 비디오 신호 형태로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복호화 장치와 연결되는 다양한 초고해상도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의 입력 인터페이스와의 연결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 및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인,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 장치는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기(110) 및 목표 비트율 계산기(120)를 포함한다.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기(110)는 대용량의 초고해상도 비디오 영상을 실시간으로 부호화하기 위하여, 복수개(N개)의 저해상도 비디오 영상으로 등분하여 부호화하고, 1개의 부호화 스트림으로 출력한다.
이때, 초고해상도 (Ultra-High Definition: UHD)비디오 영상은 3840 x 2160의 해상도, 또는 7680 x 4320의 해상도를 가지는 비디오 영상 일 수 있으며, 저해상도 비디오 영상은 3840 x 2160의 해상도를 가지는 비디오 영상일 수 있다.
목표 비트율 계산기(120)는 분할된 각각의 저해상도 비디오 영상의 부호화에 할당할 목표 비트율을 계산한다.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기(110)는 복수개(N개)의 저해상도 비디오에 대한 부호화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최종적으로 한 개의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을 출력한다.
따라서,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 장치는, 오디오 부호화 스트림 및 부가 데이터 등과 함께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1개의 전송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기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기(110)는 영상분할기(210), 부호화기(220), 및 다중화기(230)를 포함한다.
영상 분할기(210)는 초고해상도 비디오 영상(제1비디오 영상)을 상기 초고해상도 비디오 영상(제1비디오 영상)보다 저해상도인 복수개의 저해상도 비디오 영상(제2비디오 영상)으로 분할한다.
이때, 저해상도 비디오 영상(제2비디오 영상)은 상기 초고해상도 비디오 영상(제1비디오 영상)에서의 상기 저해상도 비디오 영상(제2비디오 영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부호화기(220)는, 상기 복수개의 상기 저해상도 비디오 영상(제2비디오 영 상)의 비트율(bit rate)을 각각 서로 다른 비트율로 계산한 결과를 입력받고, 상기 계산된 각각의 비트율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분할된 복수개의 상기 저해상도 비디오 영상(제2비디오 영상)을 부호화한다.
이때, 부호화기(220)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각각의 분할된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을 각각 부호화할 수 있다.
다중화기(230)는 상기 부호화된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의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한 개의 비디오 영상 스트림을 출력한다.
도 3,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초고해상도 비디오 영상을 저해상도 비디오로 분할한 일례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분할기(210)는 초고해상도 비디오를 저해상도 비디오로 분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K(3840 x 2160) 초고해상도(UHD) 비디오는 HD(1920 x 1080) 비디오 4개로 분할되어 부호화 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8K(7680 x 4320) 초고해상도(UHD) 비디오는 4K(3840 x 2160)인 저해상도 비디오 4개로 분할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해상도 비디오(1920 x 1080) 16개로 분할되어 부호화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저해상도 비디오 영상은, 초고해상도 비디오 영상보다 해상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비디오 영상을 말한다.
복수개의 부호화기, 즉 분할된 제 1, 제 2, … 제(N) 비디오 부호화기는, 모두 동일한 구성 및 특징을 가지는 부호화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부호화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부호화기로는 MPEG-2/4, AVC/H.264 등 I, B, P 픽처로 부호화되는 어떠한 부호화기라도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목표 비트율을 종래에서와 같이 부호화 전에 수동으로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목표 비트율 계산기에 의하여 자동으로 갱신되어 입력받는다.
또한, 영상 분할에 의하여 복수개로 출력되는 부호화 스트림 내에는 분할된 비디오는, 초고해상도 비디오에서 어느 위치하는 지를 알리는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분할된 비디오가 초고해상도 비디오에서 어느 위치하는 지를 알리는 정보로서 1, 2, … (N-1), N 과 같은 번호를, 각 부호화 스트림의 헤더에 포함시켜서 구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중화기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부호화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한 개의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으로 출력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목표 비트율 계산기의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예측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의 HD급 비디오 부호화기와 같이 영상의 분할 없이 한 영상으로 부호화할 경우에는, 부호화하고자 하는 목표 비트율을 부호화기에 설정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초고해상도 비디오를 분할하여 부호화할 경우 전체에 대한 목표 비트율이 설정되더라도, 각각 분할된 영상에 얼마의 목표 비트율을 설정할지에 대한 계산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복수개의 저해상도 비디오 영상(제2비디오 영상)의 비트율(bit rate)을 각각 서로 다른 비트율로 계산하여 목표 비트율을 계산하는 목표 비트율 계산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목표 비트율 계산기는, 복수개의 저해상도 비디오 영상(제2비디오 영상)의 복잡도 및 객체의 존재 유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의 각각의 비트율을 계산할 수 있다.
실제 비디오 부호화를 수행하기 이전에 각각의 분할된 비디오 부호화기에 목표 비트율 할당을 하기 위하여, 선행적으로 분할된 비디오 부호화기에 할당될 목표 비트율을 계산한다. 이때, 목표 비트율의 예측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전체 비디오 신호 중에서 인트라(Intra) 픽처로 부호화되는 영상만을 입력받아 목표 비트율을 계산한다. 도 8에 나타낸 비디오 부호화 예측구조의 경우, 현재의 T번째 Intra 픽처(810)로 부호화될 영상과, 그 다음 (T+1)번째 Intra 픽처(820)로 부호화될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두 픽처(810, 820) 사이에 있는 B 픽처와 P 픽처들과 T번째 인트라(Intra) 픽처에 대한 목표 비트율을 계산한다.
도 6에 도시된 일례에서는, 목표 비트율 계산기가, 대용량의 초고해상 비디오임을 고려하여, 목표 비트율의 예측 시간을 보다 더 줄이기 위하여, 초고해상도 영상을 축소하여 저해상도 영상으로 변환한 후에 인트라(Intra) 부호화를 수행하는 구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목표 비트율 계산기(120)는 다운 컨버터(Down Converter: 610) 및 인트라 부호화기(Intra Encoder: 620)를 포함한다.
다운 컨버터(610)는 초고해상도 영상(제1비디오 영상)의 인트라 픽쳐(Intra picture)를 저해상도 인트라 픽쳐로 변환한다.
인트라 부호화기(620)는 저해상도 인트라 픽쳐, 및 상기 저해상도 인트라 픽 쳐에 대하여 기 계산된 목표 비트율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저해상도 영상(제2비디오 영상)의 각각의 비트율(bit rate)에 해당하는 목표 비트율을 계산한다.
인트라 부호화기(620)는 다음의 수학식 1에 의하여, 상기 저해상도 인트라 픽쳐에 대하여 기 계산된 목표 비트율(저해상도 비디오 부호화에 대한 목표 비트율)을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08087552289-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와 같이, 저해상도 인트라 픽쳐에 대하여 기 계산된 목표 비트율(저해상도 비디오 부호화에 대한 목표 비트율)은, 초고해상도 비디오 영상(제1비디오 영상)의 부호화에 대한 목표 비트율, 및 상기 제1비디오 영상의 인트라 픽쳐(Intra picture)를 저해상도로 변환 시의 축소 비율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인트라 부호화기(620)는 부호화를 수행하면서, 영상분할기에서 분할될 각 영상에 해당하는 영역에 발생하는 비트수를 영역별로 누적하여, 분할 제 1, 제 2, … 제(N-1), 제 N 영역에 대한 부호화 비트율을 계산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도 6 일 실시 예의 경우는 다음의 수학식 2에서와 같이, 분할 제 1, 제 2, … 제(N-1), 제 N 영역에 대한 부호화 비트율에, 저해상도 영상으로의 축소 비율만큼 곱한 값을, 분할된 제 1, 제 2, … 제 N 비디오 부호화기에 대한 목표 비트율로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Figure 112008087552289-pat00002
도 7에 도시된 일례에서는, 상기 도 6의 구조의 경우에서보다 목표 비트율의 예측시간이 오래 소요되더라도, 보다 정확한 예측이 가능한 구조를 설명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목표 비트율 계산기(120)의 일례에서는, 초고해상도 영상의 인트라 픽쳐 영상을 저해상도 인트라 픽쳐로 변환하지 않고, 동일 해상도의 영상을 그대로 이용하여 목표 비트율을 예측한다.
도 7에 도시된 목표 비트율 계산기(120)의 일례에 따르면, 인트라 부호화기(710)가, 초고해상도 비디오 영상(제1비디오 영상)의 인트라 픽쳐(Intra picture), 및 초고해상도 비디오 영상의 인트라 픽쳐의 부호화에 대하여 기 설정된 목표 비트율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의 각각의 비트율(bit rate)을 계산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복호화 장치 의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복호화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복호화 장치는, 한 개의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을 입력 받아, 부호화 스트림 헤더에 포함되어 있는 분할된 비디오의 위치정보(순번)을 바탕으로, N개의 부호화 스트림으로 역다중화(분류)하고, 각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을 입력하여 복호화한다. 복수개(N개)의 복원된 비디오는, 비디오 출력형태 정보를 외부로부터 입력 받아, 복수개(N개)의 비디오 형태로 출력하거나, 한 개의 초고해상도 비디오로 합쳐져서 한 개의 비디오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비디오 신호의 출력은, 복호화 장치에 연결되는 초고해상도 비디오 디스플레이장치의 입력 인터페이스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복호화 장치를, 각 구성 요소 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은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복호화 장치는 역다중화기(910), 복호화기(920), 및 영상 합체기(930)를 포함한다. 또한,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복호화 장치는 출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기(910)는 한 개의 비디오 스트림을 입력받고, 복수개의 부호화 스트림으로 역다중화한다.
복호화기(920)는 상기 복수개의 부호화 스트림을 복호화하여 복수개의 비디오 영상을 생성한다. 이때, 복호화기(920)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영상 합체기(930)는 상기 생성된 복수개의 비디오 영상을 결합하여 하나의 비디오 영상을 생성한다.
출력부(미도시)는 상기 복수개의 비디오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영상분할기가 제1비디오 영상을 상기 제1비디오 영상보다 저해상도인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으로 분할한다(S1010).
목표 비트율 계산기가 상기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의 비트율(bit rate)을 각각 서로 다른 비트율로 계산한다(S1020). 이때, 목표 비트율 계산기가 상기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의 복잡도 및 객체의 존재 유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의 각각의 비트율을 계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비디오 영상의 인트라 픽쳐(Intra picture)를 저해상도로 변환할 수 있으며, 상기 저해상도로 변환된 제1비디오 영상의 인트라 픽쳐(Intra picture), 및 상기 저해상도 인트라 픽쳐에 대하여 기 계산된 목표 비트율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의 각각의 비트율(bit rate)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해상도 인트라 픽쳐에 대하여 기 계산된 목표 비트율은, 상기 제1비디오 영상의 부호화에 대한 목표 비트율, 및 상기 제1비디오 영상의 인트라 픽쳐(Intra picture)를 저해상도로 변환 시의 축소 비율에 기초하여 계산될 수 있다.
이때, 목표 비트율 계산기는, 상기 제1비디오 영상의 인트라 픽쳐(Intra picture), 및 상기 제1비디오 영상의 부호화에 대하여 기 설정된 목표 비트율에 기 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의 각각의 비트율(bit rate)을 계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비디오 영상은, 상기 제1비디오 영상에서의 상기 제2비디오 영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부호화기가 상기 계산된 각각의 비트율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분할된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을 부호화한다(S1030).
이때, 부호화기는 상기 각각의 분할된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을 복수개의 부호화기를 이용하여, 각각 부호화할 수 있다.
이후, 다중화기가 상기 부호화된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의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한 개의 비디오 영상 스트림으로 출력한다(S1040).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분할기반으로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를 수행할 경우에, 부호화하기 전에 분할된 비디오에 할당할 목표 비트율을 할당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분할영상간의 화질 차이를 극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분할기반으로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 구조에 있어서, 부호화된 복수개의 부호화 스트림을 복수개의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으로 만든 후 이를 다중화 하지 않고, 부호화된 복수개의 부호화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한 개의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을 출력하여, 오디오 및 기타 부가데이터를 다중화 하는 시스템측에서의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 제어가 보다 용이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복호화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역다중화기가 한 개의 비디오 스트림을 입력받고,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헤더에 포함된 분할된 비디오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디오 스트림을 복수개의 부호화 스트림으로 역다중화한다(S1110).
이후, 복호화기가 상기 복수개의 부호화 스트림을 복호화하여 복수개의 비디오 영상을 생성하여(S1120), 출력한다(S1130).
이때, 영상 합체기가 상기 생성된 복수개의 비디오 영상을 결합하여 하나의 비디오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기의 구성도이다.
도 3,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초고해상도 비디오 영상을 저해상도 비디오로 분할한 일례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목표 비트율 계산기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비디오 부호화 예측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복호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복호화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기
120: 목표 비트율 계산기

Claims (18)

  1. 제1비디오 영상을 상기 제1비디오 영상보다 저해상도인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 각각에 대응하는 목표 비트율(bit rate)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각각의 목표 비트율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분할된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을 부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부호화된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의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한 개의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비디오 영상은, 상기 제1비디오 영상에서의 상기 제2비디오 영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 각각에 대응하는 목표 비트율(bit rate)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 각각의 복잡도 및 객체의 존재 유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의 각각의 목표 비트율을 계산하는 단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각각의 목표 비트율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분할된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을 부호화하는 단계는,
    상기 각각의 분할된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을 복수개의 부호화기를 이용하여, 각각 부호화하는 단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 각각에 대응하는 목표 비트율(bit rate)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제1비디오 영상의 인트라 픽쳐(Intra picture)를 저해상도 인트라 픽쳐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저해상도 인트라 픽쳐, 및 상기 저해상도 인트라 픽쳐에 대하여 기 계산된 목표 비트율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의 각각의 목표 비트율(bit rate)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해상도 인트라 픽쳐에 대하여 기 계산된 목표 비트율은,
    상기 제1비디오 영상의 부호화에 대한 목표 비트율, 및 상기 제1비디오 영상의 인트라 픽쳐(Intra picture)를 저해상도로 변환 시의 축소 비율에 기초하여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 각각에 대응하는 목표 비트율(bit rate)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제1비디오 영상의 인트라 픽쳐(Intra picture), 및 상기 제1비디오 영상의 부호화에 대하여 기 설정된 목표 비트율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의 각각의 비트율(bit rate)을 계산하는 단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 장치의 제어 방법.
  7. 한 개의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을 입력받고, 상기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의 헤더에 포함된, 분할된 비디오 영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을 복수개의 부호화 스트림으로 역다중화 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부호화 스트림을 복호화하여 복수개의 비디오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개의 비디오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복호화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복수개의 비디오 영상을 결합하여 하나의 비디오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복호화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1비디오 영상을 상기 제1비디오 영상보다 저해상도인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으로 분할하는 영상분할기;
    상기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 각각에 대응하는 목표 비트율(bit rate)을 계산하는 목표 비트율 계산기;
    상기 계산된 각각의 목표 비트율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분할된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을 부호화하는 부호화기; 및
    상기 부호화된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의 스트림을, 다중화하여 한 개의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을 출력하는 다중화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비디오 영상은, 상기 제1비디오 영상에서의 상기 제2비디오 영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비트율 계산기는,
    상기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의 복잡도 및 객체의 존재 유무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의 각각의 비트율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비디오 영상은,
    상기 제1비디오 영상에서의 상기 제2비디오 영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비트율 계산기는,
    상기 제1비디오 영상의 인트라 픽쳐(Intra picture)를 저해상도 인트라 픽쳐로 변환하는 다운 컨버터; 및
    상기 저해상도 인트라 픽쳐(Intra picture), 및 상기 저해상도 인트라 픽쳐에 대하여 기 계산된 목표 비트율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의 각각의 목표 비트율(bit rate)을 계산하는 인트라 부호화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해상도 인트라 픽쳐에 대하여 기 계산된 목표 비트율은,
    상기 제1비디오 영상의 부호화에 대한 목표 비트율, 및 상기 제1비디오 영상의 인트라 픽쳐(Intra picture)를 저해상도로 변환 시의 축소 비율에 기초하여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비트율 계산기는,
    상기 제1비디오 영상의 인트라 픽쳐(Intra picture), 및 상기 제1비디오 영상의 부호화에 대하여 기 설정된 목표 비트율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2비디오 영상의 각각의 비트율(bit rate)을 계산하는 인트라 부호화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 장치.
  15. 한 개의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을 입력받고, 상기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의 헤더에 포함된 분할된 비디오 영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비디오 부호화 스트림을 복수개의 부호화 스트림으로 역다중화 하는 역다중화기;
    상기 복수개의 부호화 스트림을 복호화하여 복수개의 비디오 영상을 생성하는 복호화기; 및
    상기 복수개의 비디오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복호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복수개의 비디오 영상을 결합하여 하나의 비디오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합체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복호화 장치.
  17. 삭제
  18. 삭제
KR20080130492A 2008-12-19 2008-12-19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173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30492A KR101173335B1 (ko) 2008-12-19 2008-12-19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9202689A JP2010148089A (ja) 2008-12-19 2009-09-02 映像分割基盤超高解像度ビデオ符号化および復号化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30492A KR101173335B1 (ko) 2008-12-19 2008-12-19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690A KR20100071690A (ko) 2010-06-29
KR101173335B1 true KR101173335B1 (ko) 2012-08-10

Family

ID=42369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130492A KR101173335B1 (ko) 2008-12-19 2008-12-19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0148089A (ko)
KR (1) KR1011733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0929A (ko) 2014-12-30 2016-07-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클라우드 기반의 적응형 초고화질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10015479B2 (en) 2013-09-06 2018-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3D display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331B1 (ko) * 2010-08-26 2012-05-21 에이스텔 주식회사 초고화질 영상 재생 모듈을 이용한 dvr 시스템
KR101130210B1 (ko) * 2010-08-26 2012-03-28 에이스텔 주식회사 초고화질 영상을 위한 크로마키 시스템
KR101148044B1 (ko) * 2010-12-03 2012-05-24 에이스텔 주식회사 초고화질 영상 서비스에서의 부가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8898718B2 (en) 2011-01-27 2014-11-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ed video services at edge-of-the-network
CN103548357A (zh) * 2011-05-19 2014-01-29 Lg电子株式会社 视频流发送装置、视频流接收装置、视频流发送方法和视频流接收方法
CN103718562B (zh) 2011-07-26 2017-06-20 Lg电子株式会社 发送视频流的装置、接收视频流的装置、发送视频流的方法、接收视频流的方法
KR101259449B1 (ko) * 2012-01-03 2013-04-29 국방과학연구소 고속 카메라의 디지털 영상신호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20130099723A (ko) 2012-02-29 2013-09-06 전자부품연구원 초고화질 영상 컨텐츠 편집 및 재생을 위한 입출력 시스템
KR20130101412A (ko) * 2012-03-05 2013-09-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디오 비트율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GB2542637A (en) * 2015-09-28 2017-03-29 Esaturnus Nv Ultra low latency UHD and 3D networked video communication applicable to gigabit ethernet
KR101977726B1 (ko) 2015-11-17 2019-05-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 데스크탑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N112911346A (zh) * 2021-01-27 2021-06-04 北京淳中科技股份有限公司 视频源同步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6705A (ja) 2007-06-11 2008-1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イントラピクチャーのみを利用した動画シーケンスの符号化時のビット率制御方法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2610A (ja) * 1997-10-17 1999-04-30 Toshiba Corp 画像符号化方法及び画像復号化方法並びにこれらの装置
JP3621598B2 (ja) * 1999-03-04 2005-02-1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並列ソフトウェア画像符号化方法、および並列ソフトウェア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3299090A (ja) * 2002-04-02 2003-10-17 Sony Corp 画像符号化装置と画像符号化方法、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伝送装置
JP2007013864A (ja) * 2005-07-04 2007-01-18 Pioneer Electronic Corp 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符号化方法、および動画像符号化用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6705A (ja) 2007-06-11 2008-1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イントラピクチャーのみを利用した動画シーケンスの符号化時のビット率制御方法及び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15479B2 (en) 2013-09-06 2018-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3D display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same
KR20160080929A (ko) 2014-12-30 2016-07-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클라우드 기반의 적응형 초고화질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0148089A (ja) 2010-07-01
KR20100071690A (ko) 201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335B1 (ko) 영상분할기반 초고해상도 비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2760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coding a video data signal, encoded video data signal, method and system for decoding a video data signal
US6674796B1 (en) Statistical multiplexed video encoding for diverse video formats
RU265329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дирования и декодирования видеоданных
KR100574184B1 (ko) 비디오 인코더, 비디오 디코더, 비디오 처리기 및 그 방법
JP4917148B2 (ja) ビットストリーム変換方法、ビットストリーム変換装置、ビットストリーム結合装置、ビットストリーム分割プログラム、ビットストリーム変換プログラム及びビットストリーム結合プログラム
EP09339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multiplexing image signal, method and system for demultiplexing image signal, and transmission medium
US20170127041A1 (en) Device and method for eliminating redundancy of view synthesis prediction candidate in motion merge mode
JP2022501978A (ja) ビデオエンコーダ、ビデオデコーダ、及び対応する方法
KR20100039356A (ko) 3d 비디오 신호를 인코딩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동봉된 3d 비디오 신호, 3d 비디오 신호용 디코더에 대한 방법 및 시스템
US11159799B2 (en) Encoding a plurality of signals
CN113170237B (zh) 视频编码与解码方法和设备
KR20070078783A (ko) 인코드 장치, 디코드 장치, 인코드 방법, 디코드 방법,인코드 방법의 프로그램, 디코드 방법의 프로그램, 인코드방법의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디코드 방법의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US20100008415A1 (en) Moving picture coding apparatus, method, program, and integrated circuit thereof
KR20230128584A (ko) 비트 스트림 병합
KR100211055B1 (ko) 내용기반으로 분할된 영상객체들의 스케러블 전송방법
US20120262545A1 (en) Method for coding and decoding a 3d video signal and corresponding devices
JP2022516901A (ja) タイル構成のシグナリングのためのエンコーダ、デコーダ、および対応する方法
KR20070029072A (ko) 동화상 신호의 부호화 장치, 동화상 신호의 부호화 방법 및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JP3803349B2 (ja) 画像復号化装置および画像復号化方法
US9001892B2 (en) Moving image encoder and moving image decoder
KR100943634B1 (ko) 깊이 정보의 계층적 부호화를 통한 자유 시점 비디오콘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3545060A (zh) 视频编码中的空瓦片编码
JPH1185966A (ja) 画像信号多重化装置および方法、画像信号逆多重化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伝送媒体
WO2013039333A1 (ko) 3d 비디오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