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9381A - 교육 평가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육 평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9381A
KR20130099381A KR1020120020846A KR20120020846A KR20130099381A KR 20130099381 A KR20130099381 A KR 20130099381A KR 1020120020846 A KR1020120020846 A KR 1020120020846A KR 20120020846 A KR20120020846 A KR 20120020846A KR 20130099381 A KR20130099381 A KR 20130099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cher
class
student
serv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인
Original Assignee
조용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용인 filed Critical 조용인
Priority to KR1020120020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9381A/ko
Publication of KR20130099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93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Abstract

본 발명은 교육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하여 학생을 평가하되, 학습능력뿐만 아니라, 학생의 수업 태도와 과제에 대한 태도 등도 같이 평가할 수 있는 교육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업, 교사, 학생의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교사 단말기와, 상기 서버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학생 단말기로 이루어지되, 상기 서버는 수업의 정보를 저장하는 클래스 데이터베이스와, 교사의 정보를 저장하는 교사 데이터베이스와, 학생의 정보를 저장하는 학생 데이터베이스와, 수업을 관리하는 클래스 모듈과, 과제를 관리하는 과제 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육 평가 시스템{assessment system for education}
본 발명은 교육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하여 학생을 평가하되, 학습능력뿐만 아니라, 학생의 수업 태도와 과제에 대한 태도 등도 같이 평가할 수 있는 교육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상에서 이루어지는 온라인교육은 대부분 강사의 일방적 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실시간으로 강사와 학생간의 커뮤니케이션이 되도록 지원하는 온라인교육 시스템의 경우에도 강사가 주어진 시간 안에 학생들의 학습능력 및 강의 이해도를 평가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으며, 강의를 받는 학생의 경우에도 모니터를 통해 나오는 강의에 대해 집중력이 저하됨에 따라 쉽게 지루함을 느낄 수 있다.
그래서, 강의내용에 따른 각 구성 별 예상질문 데이터를 원격 교육 진행중에 상기 원격교육을 받는 학생 클라이언트에게 실시간 전송하고, 전송된 예상질문에 대한 학생 클라이언트의 응답을 수신한 후, 수신 데이터를 학생 클라이언트별 학습평가 및 강의 이해도 정보 데이터로 가공 처리한 후, 이를 상기 원격 강의를 진행하는 강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전술한 기술 역시 계속적인 강의에 따른 학습 향상의 정도나 수준갱신이 즉각적으로 반영되지 못하였고, 학생클라이언트별 수준을 고려하지 않은 예상문제를 학생클라이언트에 제공함으로써, 학생클라이언트별 수준을 보다 정확하고 세분화되게 파악하지 못하여, 수준에 다른 적절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개특허 제10-2010-0006446호에 기재된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강사클라이언트 단말(10)과 학생클라이언트 단말(30) 간에 온라인 교육서버(20)를 통하여 온라인교육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통한 온라인교육평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교육서버(20)가 온라인교육 실시 전에, 상기 강사클라이언트 단말(10)로부터 강의와 관련된 진행순서별 및 난이도별 예상문제 데이터를 제공받아 온라인교육 진행순서별 및 난이도별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학생클라이언트별 수준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축단계; 상기 온라인 교육서버(20)에서 온라인교육 진행 중의 진행순서에 따라 또는 예정된 진행순서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된 난이도 수준별 예상문제 데이터를 상기 학생클라이언트 단말(30)로 전송하는 수준별 예상문제 데이터전송단계; 상기 온라인 교육서버(20)가 상기 수준별 예상문제에 대한 상기 학생클라이언트 단말(30)로부터의 학생클라이언트 수준별 응답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준별 응답데이터 수신단계; 및 상기 온라인 교육서버(20)에서 수신된 수준별 응답데이터를 학생클라이언트별 학습능력평가 또는 강의이해도 정보로 가공 처리하고 상기 가공처리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학생클라이언트별로 저장하는 수준별 응답데이터 가공처리 및 저장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공개특허 제10-2010-0006446호에 기재된 기술은 학생의 수준에 따라 적절하게 학습능력을 평가하도록 하는 장점은 있으나, 모든 학습과정이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학습능력에 따른 평가만 가능할 뿐, 학습능력 이외의 심동적(신체적) 영역과 정의적(정서, 태도) 영역에 대한 평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하여 학생들을 평가하되, 오프라인 수업 중에는 교사는 교사 단말기를 통하여 클래스 룸을 개설하고, 학생들이 소지한 학생 단말기를 통하여 서버에 개설된 해당 클래스에 접속하여, 오프라인 상에서 교사가 불러주는 키를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출석을 체크하도록 하여 출석 체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교육 평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프라인 수업 중에 교사가 학생들의 수업 태도를 관찰하여, 교사 단말기를 통하여 학생의 수업 태도에 대한 가산점 및 감점을 부여함으로써, 학습 능력 이외의 부분에 대한 평가를 가능하게 하는 교육 평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온라인으로 과제를 부여하고, 제출하도록 하며, 과제 중에서 영상피드백을 이용하는 과제일 경우, 서버 및 모바일 기기의 그리기와 음성기록을 추가할 수 있는 영상 편집 모듈을 이용하여, 피드백 또는 확인, 점검, 지시 등의 내용을 영상화면에서 동적인 그리기와 음성이 포함된 피드백 영상으로 재생산 할 수 있고, 교사는 제출한 영상을 다시 편집하여 피드백 함으로써, 오프라인 수업이 아니더라도 세세하게 설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상을 통하여 과제에 대한 학생의 태도를 평가할 수 있는 교육 평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업, 교사, 학생의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교사 단말기와, 상기 서버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학생 단말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서버는 수업의 정보를 저장하는 클래스 데이터베이스와, 교사의 정보를 저장하는 교사 데이터베이스와, 학생의 정보를 저장하는 학생 데이터베이스와, 수업을 관리하는 클래스 모듈과, 과제를 관리하는 과제 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교사는 교사 단말기를 통하여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클래스 모듈을 통하여 담당한 클래스 룸을 개설하며, 학생은 학생 단말기를 통하여 서버에 개설된 클래스 룸에 접속하여, 교사가 오프라인 상으로 알려주는 키를 학생 단말기를 통하여 입력함으로써, 출석을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클래스 모듈은 학생의 키값 입력 시간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교사는 수업 중의 학생들의 태도를 감지하여 교사 단말기를 통하여 가산점 및 감점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교사는 교사 단말기를 통하여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과제 모듈을 통하여 해당 과목의 고유번호와 과제를 입력하면, 해당 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의 계정으로 과제가 전송되도록 하여, 온라인으로 학생들에게 과제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에는 영상 편집 모듈이 더 구비되되, 상기 영상 편집 모듈은 편집 중 영상의 플레이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 조절 모듈과, 영상에 포함되는 소리를 제어하는 소리 제어 모듈과, 영상에 라인과 도형을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마킹 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하여 학생들을 평가하되, 오프라인 수업 중에는 교사는 교사 단말기를 통하여 클래스 룸을 개설하고, 학생들이 소지한 학생 단말기를 통하여 서버에 개설된 해당 클래스에 접속하여, 오프라인 상에서 교사가 불러주는 키를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출석을 체크하도록 하여 출석 체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오프라인 수업 중에 교사가 학생들의 수업 태도를 관찰하여, 교사 단말기를 통하여 학생의 수업 태도에 대한 가산점 및 감점을 부여함으로써, 학습 능력 이외의 부분에 대한 평가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출하도록 하며, 과제 중에서 영상피드백을 이용하는 과제일 경우, 서버 및 모바일 기기의 그리기와 음성기록을 추가할 수 있는 영상 편집 모듈을 이용하여, 피드백 또는 확인, 점검, 지시 등의 내용을 영상화면에서 동적인 그리기와 음성이 포함된 피드백 영상으로 재생산 할 수 있고, 교사는 제출한 영상을 다시 편집하여 피드백 함으로써, 오프라인 수업이 아니더라도 세세하게 설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상을 통하여 과제에 대한 학생의 태도를 평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온라인 교육 평가 방법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온라인 교육 평가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 평가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 평가 시스템의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 평가 시스템을 통하여 출석을 체크하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 평가 시스템의 교사 단말기의 출력화면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 평가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 평가 시스템의 서버의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육 평가 시스템을 통하여 출석을 체크하는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육 평가 시스템의 교사 단말기의 출력화면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하여 학생을 평가하는 교육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수업, 교사, 학생의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서버(100)와 상기 서버(100)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교사 단말기(200)와 상기 서버(100)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학생 단말기(3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서버(100)와 교사 단말기(200), 학생 단말기(300)를 연결하는 통신망은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한 연결망을 사용하기도 하고, 이동통신사의 통신망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교사 단말기(200)와 학생 단말기(300)는 본 발명의 교육 평가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하여 직접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요즘 대다수가 사용하는 스마트폰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100)는 수업의 정보를 저장하는 클래스 데이터베이스(110)와 교사의 정보를 저장하는 교사 데이터베이스(120)와 학생의 정보를 저장하는 학생 데이터베이스(130)와 수업을 관리하는 클래스 모듈(140)과 과제를 관리하는 과제 모듈(15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클래스 데이터베이스(110)에는 개설된 수업과 해당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와 해당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의 데이터가 저장되고, 상기 교사 데이터베이스(120)에는 해당 교사가 담당하는 수업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며, 학생 데이터베이스(130)에는 학생이 수강하는 수업과 각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다.
한편, 해당 교사가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학생의 출석을 체크하여야 하는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사는 교사 단말기(200)를 통하여 서버(100)에 접속하고, 클래스 모듈(140)을 사용하여 담당하는 수업의 클래스 룸(180)를 서버(100)에 개설하게 된다.
이때, 해당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은 학생 단말기(300)를 통하여 서버(100)에 접속하고, 서버(100)에 개설된 클래스 룸(180)에 입장하게 되는데, 여기서, 교사는 학생들의 출석을 체크하기 위하여 학생들에게 특정 키를 알려주고, 학생들은 교사가 알려준 특정 키를 학생 단말기(300)를 사용하여 입력하게 된다.
그러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사 단말기(200)의 화면에는 서버(100)에 개설한 클래스 룸(180)에 입장한 학생이 디스플레이되고, 학생들이 교사가 알려준 키를 입력하게 되면, 교사 단말기(200)의 화면 중 KEY 부분이 체크되면서 출석을 체크하게 된다.
만약, 실제 오프라인 교실에서 수업을 듣지 않으면서 학생 단말기(300)를 통하여 클래스 룸(180)에 입장한 학생은 교사가 알려준 특정 키를 알 수 없기 때문에 KEY 부분이 체크가 되지 않으므로, 출석을 인정받을 수 없게 된다.
또한, 서버(100)의 클래스 모듈(140)은 학생들이 키를 입력한 시간을 저장하게 되므로, 학생들이 키를 입력한 시간을 감지하여 학생의 지각 여부도 알 수 있게 되므로, 교사가 수업을 진행할 때, 별도로 출석을 체크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줄 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각자 키를 입력하면 되므로, 출석을 체크하는 시간을 줄여주게 된다.
한편, 교사 단말기(200)의 화면 최상단에는 수업의 명칭과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의 수가 표시되므로, 출석한 학생의 수와 클래스 룸(180)에 접속한 학생의 수를 비교하여 출석을 보다 정확하게 체크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교사는 수업을 진행하는 중에 학생들의 수업 태도를 관찰하고, 수업태도가 불량한 학생이 눈의 뜨일 경우에는 교사 단말기(300)의 화면에 나타난 해당 학생의 감점부분을 터치하여, 해당 학생에게 감점를 부가하고, 수업태도가 적극적이고, 예습 등이 잘된 학생에게는 해당 학생의 가산점부분을 터치하여 해당 학생에게 가산점을 부가하도록 하여, 학습능력뿐만 아니라 수업에 대한 태도도 평가하여 학생의 성적에 반영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클래스 모듈(140)이 학생의 출석 및 가산점과 감점이 발생할 경우, 각각의 데이터를 학생 데이터베이스(130)에 실시간으로 저장하게 되는데, 저장할 때, 해당 수업이 진행된 날짜 및 시간과 함께 저장하게 된다.
그래서, 교사가 특정 학생을 검색할 때, 날짜별로 검색이 가능하여 해당 학생의 수업태도의 변화를 한눈에 알 수 있게 한다.
한편, 교사가 정기적인 학력 평가를 위한 시험뿐만 아니라, 별도의 과제를 학생들에게 부가할 수 있는데, 이때는 상기 서버(100)의 과제 모듈(150)을 통하여 과제를 부여하게 된다.
여기서, 교사는 하나의 수업만을 담당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교사는 교사 단말기(200)를 통하여 서버(100)에 접속한 후, 상기 과제 모듈(150)을 통하여 과제를 부여할 수업의 고유번호를 입력한 후, 과제를 입력하게 되면, 과제 모듈(150)은 상기 클래스 데이터베이스(110)를 참조하여 해당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의 계정으로 과제를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해당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은 교사가 부여한 과제를 완료한 후, 상기 과제 모듈(150)을 통하여, 수업의 고유번호를 입력하고, 과제를 업로드 하게 되면, 상기 과제 모듈(150)은 클래스 데이터베이스(110)를 참조하여 해당 수업을 담당하는 교사의 계정으로 과제를 전송하게 되어, 교사는 온라인으로 학생의 과제를 평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서버(100)에는 영상 편집 모듈(160)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영상 편집 모듈(160)은 교사가 영상으로 제작된 과제를 부여하거나, 학생이 영상으로 제작된 과제를 제출할 때, 그리고, 직접 촬영한 영상에 피드백을 위한 내용을 시각화된 정보로 추가하여 원거리나 근거리 수업 현장에서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영상 편집 모듈(160)은 편집 중 영상의 재생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 조절 모듈(162)과 영상에 포함되는 소리를 제어하는 소리 제어 모듈(164)과 영상에 라인과 도형을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마킹 모듈(166)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속도 조절 모듈(162)는 영상을 편집하기 위하여, 영상의 재생 속도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영상을 편집할 수 있게 하고, 상기 마킹 모듈(166)은 재생되는 영상에 선이나 화살표, 도형 등을 추가함으로써, 영상만으로는 이해가 어려운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소리 제어 모듈(164)은 영상에 포함된 소리만 따로 분리하여 제어할 수 있는데, 영상에서 소리를 제거할 수도 있고, 영상의 설명을 위하여 소리를 추가할 수도 있다.
그래서, 교사가 과제를 부여할 때, 교사의 의사를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고, 학생들이 제출한 과제에 대해서, 미흡한 부분에 대하여 교사가 코맨트를 추가하여 학생들에게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이 자신의 과제물에 대하여 미흡한 부분을 명확하게 알 수 있어, 이를 시정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 편집 모듈(160)을 사용하여 편집한 영상은 서버(100)에서 열람할 수 있는 범위를 지정할 수 있는데, 모든 서버 접속자가 열람할 수 있게 하거나, 특정한 접속자만이 열람할 수 있게 하거나, 서버(100)에 올린 사람만이 열람할 수 있게 범위를 지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교사 또는 학생 단말기(200,300)에도 서버(100)의 영상 편집 모듈(160)과 동일한 영상 편집 모듈(미도시)을 구비하여, 영상을 편집하여 실시간으로 서버(100)에 올릴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육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하여 학생을 평가하되, 학습능력뿐만 아니라, 학생의 수업 태도와 과제에 대한 태도 등도 같이 평가할 수 있는 교육 평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100 : 서버 110 : 클래스 데이터베이스
120 : 교사 데이터베이스 130 : 학생 데이터베이스
140 : 클래스 모듈 150 : 과제 모듈
160 : 영상 편집 모듈 162 : 속도 조절 모듈
164 : 소리 제어 모듈 166 : 마킹 모듈
200 : 학생 단말기 300 : 교사 단말기

Claims (7)

  1. 수업, 교사, 학생의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교사 단말기와,
    상기 서버와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는 학생 단말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평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수업의 정보를 저장하는 클래스 데이터베이스와,
    교사의 정보를 저장하는 교사 데이터베이스와,
    학생의 정보를 저장하는 학생 데이터베이스와,
    수업을 관리하는 클래스 모듈과,
    과제를 관리하는 과제 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평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교사는 교사 단말기를 통하여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클래스 모듈을 통하여 담당한 클래스 룸을 개설하며,
    학생은 학생 단말기를 통하여 서버에 개설된 클래스 룸에 접속하여, 교사가 오프라인 상으로 알려주는 키를 학생 단말기를 통하여 입력함으로써, 출석을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평가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 모듈은 학생의 키값 입력 시간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평가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교사는 수업 중의 학생들의 태도를 감지하여 교사 단말기를 통하여 가산점 및 감점을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평가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교사는 교사 단말기를 통하여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과제 모듈을 통하여 해당 과목의 고유번호와 과제를 입력하면, 해당 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의 계정으로 과제가 전송되도록 하여, 온라인으로 학생들에게 과제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평가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는 영상 편집 모듈이 더 구비되되,
    상기 영상 편집 모듈은 편집 중 영상의 플레이 속도를 조절하는 속도 조절 모듈과,
    영상에 포함되는 소리를 제어하는 소리 제어 모듈과,
    영상에 라인과 도형을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마킹 모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평가 시스템.
KR1020120020846A 2012-02-29 2012-02-29 교육 평가 시스템 KR201300993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846A KR20130099381A (ko) 2012-02-29 2012-02-29 교육 평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846A KR20130099381A (ko) 2012-02-29 2012-02-29 교육 평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9381A true KR20130099381A (ko) 2013-09-06

Family

ID=49450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846A KR20130099381A (ko) 2012-02-29 2012-02-29 교육 평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938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30471A (zh) * 2018-03-02 2018-06-29 深圳市伟业兴科技有限公司 基于云平台以实现多方交互的自动考勤系统
CN111784184A (zh) * 2020-07-14 2020-10-16 北京一起教育信息咨询有限责任公司 一种教学质量的分析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4241831A (zh) * 2021-12-29 2022-03-25 伍壹捌肆职业教育咨询(广州)有限责任公司 在线教育方法、装置、系统、教师终端及存储介质
CN114495615A (zh) * 2021-12-31 2022-05-13 江苏师范大学 一种师范生教学能力评判系统
CN116433431A (zh) * 2023-04-14 2023-07-14 华中师范大学 一种基于图像处理技术的教师教学状态自动评价方法及系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30471A (zh) * 2018-03-02 2018-06-29 深圳市伟业兴科技有限公司 基于云平台以实现多方交互的自动考勤系统
CN111784184A (zh) * 2020-07-14 2020-10-16 北京一起教育信息咨询有限责任公司 一种教学质量的分析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4241831A (zh) * 2021-12-29 2022-03-25 伍壹捌肆职业教育咨询(广州)有限责任公司 在线教育方法、装置、系统、教师终端及存储介质
CN114495615A (zh) * 2021-12-31 2022-05-13 江苏师范大学 一种师范生教学能力评判系统
CN114495615B (zh) * 2021-12-31 2023-12-01 江苏师范大学 一种师范生教学能力评测用的具有实时反馈功能评判系统
CN116433431A (zh) * 2023-04-14 2023-07-14 华中师范大学 一种基于图像处理技术的教师教学状态自动评价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1050B1 (ko) 적응적 교수 및 학습을 위한 시스템
Crawford Evolving technologies require educational policy change: Music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
CN111242515A (zh) 一种基于教育大数据的课堂教学质量测评系统及测评方法
US20190347954A1 (en) System and Method of Selective Interaction with Online Educational Programs
Camacho et al. Pivoting to online learning—The future of learning and work
Clarence Towards inclusive, participatory peer tutor development in Higher Education
Renwick Digital portfolios in the classroom: Showcasing and assessing student work
KR20130099381A (ko) 교육 평가 시스템
Zainnuri et al. Using online peer review through discussion via schoology to enhance college students' proficiency in argumentative writing: A case study
JP2002297011A (ja) 遠隔教育システム
Baecher Video in teacher learning: Through their own eyes
Hudson The effectiveness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Rock The eCoaching continuum for educators: Using technology to enrich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improve student outcomes
Ross Teacher implementation of" bring your own device" at a suburban high school serving high SES students
Shen Chinese college English teachers’ ability to develop students’ informationized learning in the era of big data: status and suggestions
Sompakdee et al. Applying the Matrix Model in an English for Presentation Online Class during COVID-19 Pandemic: A Case Study of an Undergraduate Class in Thailand.
KR100971933B1 (ko) 독서 교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24693A (ko) 협력 학습을 통한 강의 보조 방법, 시스템 및 장치
Božić The use of digital tools and AI in education
Neaves The perceived impact of 1: 1 iPad implementation on teaching and learning: A pedagogical case study
Allen et al. Digitally mediated supervision: Redefining feedback systems in field-based courses
Liao Building a Telecollaborative Community of Practice Among Pre-service English Teachers, In-Service Teachers, and International-School Teachers
Walter et al. Surviving or thriving? Experiences and job satisfaction of language instructors in the US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Günes et al. A Qualitative Inquiry into Affordances and Challenges of Online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KR20100013561A (ko) 실시간 양방향 대화식 이러닝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