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8994A - 강제해제장치 및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용기 - Google Patents

강제해제장치 및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8994A
KR20130098994A KR1020137002938A KR20137002938A KR20130098994A KR 20130098994 A KR20130098994 A KR 20130098994A KR 1020137002938 A KR1020137002938 A KR 1020137002938A KR 20137002938 A KR20137002938 A KR 20137002938A KR 20130098994 A KR20130098994 A KR 20130098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ced release
cover
base body
container
forc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2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6589B1 (ko
Inventor
디터 자우어
프랑크 히에로니무스
게르하르트 슈바르츠
Original Assignee
쿠퍼 크로우즈-하인드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퍼 크로우즈-하인드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쿠퍼 크로우즈-하인드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098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4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 H05K5/0052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a two-part housing enclosing a PCB characterized by joining features of the hous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2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 F16K31/521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comprising a pivoted disc or flap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02Striking-plates; Keepers; Bolt staples; Escutcheons
    • E05B15/0205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 E05B15/024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adjustable
    • E05B2015/026Striking-plates, keepers, staples adjustable using eccent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Abstract

강제해제장치는 특히 폭발방지 또는 화염방지 용기에 제공된다. 용기는 개구부 에지에 의해 둘러싸인 개구부를 가진 적어도 하나의 기본 몸체부 및 개구부 에지 상에 배치되거나 그 안으로 삽입될 수 있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용기가 손상없이 간단한 방식으로 열려질 수 있는 경우에 이러한 용기의 강제해제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강제해제 숄더부가 용기의 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섹션에 기본 몸체부 또는 커버부 상에 형성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강제해제부가 강제해제 위치와 비작동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커버부 상에 또는 기본 몸체부 상에 장착된다. 강제해제 위치에서, 강제해제부는 커버부와 기본 몸체부의 간격 형성을 위해 강제해제 숄더부와 맞닿아 있는 상태이다.

Description

강제해제장치 및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용기{Forcing-off device and container comprising such a device}
본 발명은 특히 폭발방지 또는 화염방지 용기의 강제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용기는 개구부 에지에 의해 둘러싸진 개구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기본 몸체부 및 개구부 에지 상에 배치되거나 그 안으로 삽입될 수 있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용기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들을 수용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개개의 용기들로 또는 그룹을 지어 배열될 수 있다. 커버부와 기본 몸체부는 예를 들어 서로 나사결합되어 커버부를 기본 몸체부에 단단히 고정시킨다. 커버부와 기본 몸체부 사이에 특히 개구부 에지 영역에 형성되는 접촉 표면들은 원칙적으로 평평한 디자인이고 윤활유와 같은 보호제(protecting agent)를 적용함에 따라 예를 들어 부식에 대하여 보호된다. 사용자가 어느 정도의 시간 후에 용기를 오픈하고 싶다면, 이것은 기본 몸체부와 커버부 사이의 접착 때문에 비교적 어려울 수 있다. 보호제는 거의 접착제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원칙적으로, 도구를 사용함으로써 커버부와 기본 몸체부 사이의 간격을 형성하는 시도가 이루어지는데, 이때 간격은 용기의 그 이상의 열림을 위해 사용된다. 상응하는 힘이 적용되는 때에, 커버부 또는 기본 몸체부는 특히 개구부 에지 영역에서 손상될 수 있어, 용기가 다시 닫힌 때에, 더이상 폭발방지 또는 화염방지를 보장할 수 없다. 이것은 비용 증가, 용기의 수리 또는 불안전한 용기로 이어질 수 있다.
도구들은 예를 들어 해당하는 간격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종래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는데, 이 도구들은 용기의 재료보다 더 부드러운 재료로 만들어진다. 이에 따라, 간격을 형성하는 동안 손상이 대부분 피해질 수는 있지만, 용기를 오픈하는 것은 여전히 상당히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가 손상없이 간단한 방식으로 오픈될 수 있는 경우에 이에 해당하는 용기의 강제해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특허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강제해제 숄더부가 용기의 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섹션에서 기본 몸체부 또는 커버부 상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강제해제부가 강제해제 위치와 비작동 위치 사이에서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커버부 상에 또는 기본 몸체부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히 특징으로 한다. 강제해제 위치에서 강제해제부는 커버부와 기본 몸체부의 간격 형성(gap-forming spacing)을 위해 강제해제 숄더부와 맞닿은 상태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제해제부가 예를 들어 커버부 상에 배열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때 대응되는 강제해제 숄더부는 기본 몸체부 상에 형성된다. 유추하면, 반대의 또는 합쳐진 장치가 적용가능한 것으로, 커버부 상의 강제해제부 및 기본 몸체부 상의 다른 강제해제부에 각각 용기의 다른 부품 상의 각각 관련된 강제해제 숄더부를 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또한, 커버부 상의 또는 기본 몸체부 상의 2개 이상의 강제해제부에 용기의 다른 부품 상의 각각 관련된 강제해제 숄더부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강제해제부는 강제해제 숄더부와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 있는 비작동 위치를 벗어나 강제해제 위치로 회전된다. 이렇게 회전하는 동안 강제해제부는 강제해제 숄더부와 접촉하게 되고 강제해제 위치로까지 회전시 강제해제부는 강제해제 숄더부 상에서 강제로 밀려나 따라서 커버부와 기본 몸체부의 간격 형성이 수행된다. 이때, 커버부와 기본 몸체부 사이의 해당되는 간격은 이어서 커버부와 기본 몸체부가 커버부 상에서의 수작업에 의해 또는 다른 도구들의 사용에 의해 비교적 쉽게 분리될 수 있을 정도로 적어도 그렇게 크게 형성된다. 상기 설명에서와 같은 적어도 처음의 접착은 커버부와 기본 몸체부가 적어도 간격만큼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간격 형성에 의해 극복된다.
요건들에 따라, 간격 형성은 강제해제부와 강제해제 숄더부의 대응되는 구성을 통해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대응되는 강제해제 숄더부는 둘레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연장형성된 숄더부의 일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부 에지는 이러한 둘러싸고 있는 숄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둘러싸는 숄더부는 기본 몸체부 상의 강제해제 숄더부와 함께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강제해제 숄더부는 대응되는 측면 위에서 용기의 각각의 부분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고려가능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또한 강제해제부는 용기의 각각의 다른 부분 상에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방식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실시예는 강제해제부가 기본 몸체부 또는 커버부의 측면 홈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선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강제해제부는 용기의 해당되는 부분으로부터 측면으로 돌출되지 않아 상대적으로 보호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유추하면, 대응되는 강제해제 숄더부는 강제해제부의 배열을 위한 이러한 측면 홈부의 영역에 구성될 수도 있는 것으로 특히 단지 측면 홈부의 영역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간단한 방식으로 강제해제부와 강제해제 숄더부 사이의 접촉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토록, 측면 홈부는 적어도 강제해제 숄더부 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강제해제부를 상응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강제해제부는 개구부를 통해 돌출될 수 있고 이때 강제해제 숄더부와의 상응하는 접촉에 의해 강제해제 위치에서 간격 형성을 만들어낼 수 있다.
드라이버 또는 이와 동종의 것과 같은 도구는 보통 강제해제부를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도구를 쉬운 방식으로 강제해제부와 접촉되도록 하기 위하여, 측면 홈부는 커버부 또는 기본 몸체부의 에지를 향해 오픈되어 형성된 결합용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 도구는 이러한 결합용 오목부를 통하여 강제해제부와 접촉하고 결합하게 될 수 있어, 강제해제부는 비작동 위치와 강제해제 위치 사이에서 도구에 의해 회전가능하다.
여기서, 해당 결합 오목부는 비작동 위치와 강제해제 위치 사이에서의 강제해제부의 충분한 회전이 해당 도구에 의해 가능토록 회전 방향으로 적어도 그렇게 크게 형성된다.
강제해제부는 다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레버와 같은 강제해제부가 가능한데, 이때 이의 하나의 레버 암(arm)은 해당 도구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는 반면 다른 하나의 레버 암은 강제해제부를 상응하여 회전시킴에 따라 강제해제 숄더부와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강제해제부는 편심 디스크일 수 있다.
해당 도구와 강제해제부 사이의 결합을 간단한 방식으로 가능케 하기 위하여, 강제해제부는 실질적으로 결합용 홈부를 향해 방향이 형성되는 결합용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구는 결합용 홈부로부터 상기 결합용 개구부 안으로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고, 그리고나서 강제해제부는 해당 위치들 사이에서 도구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사용되는 도구에 따라, 결합용 개구부는 그에 맞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라이버가 사용된다면, 결합용 개구부는 슬릿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작동 위치를 형성하기 위하여 그리고 또한 해당 도구의 삽입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결합용 개구부는 결합용 홈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가이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결합용 개구부로부터 일측에서 돌출형성되고 가이드 멈춤부(stop)로써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비작동 위치에서 해당 가이드 돌출부는 결합용 개구부의 경계 에지와 맞닿아 있는 상태일 수 있고, 이때 비작동 위치가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해당 강제해제부는 상기 영역에서 커버부와 기본 몸체부를 분리토록 용기의 에지 가까이에 배열된다. 해당 강제해제부는 이러한 에지 영역에서 용기의 적어도 각각의 측면에 배열될 수 있다.
강제해제부가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제해제부는 커버부의 측면으로 둘러싸는 커버부 에지에 특히 오목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것은 기본 몸체부에서의 강제해제부의 배열에 유추하여 적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강제해제장치를 구비한 해당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도구를 가지고 커버부와 기본 몸체부 사이에 간격을 직접적으로 형성할 필요없이 간단한 방법으로 해당하는 커버부를 기본 몸체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다음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제해제장치의 일 실시예를 가진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용기의 평면도이며; 그리고
도 3은 측면에서의 강제해제장치를 가진 도 1에 따른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1은 용기(2)의 강제해제장치(1)의 사시 측면도를 나타낸다. 용기(2)는 대략 정육면체 형태의 기본 몸체부(3)를 포함한다. 이의 상단부에서 기본 몸체부(3)는 개구부 에지(4)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개구부(5)를 포함한다. 커버부(6)는 개구부(5) 및 개구부 에지(4) 각각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다. 커버부(6)는 2개의 홈형 그립부(25)와 기본 몸체부(3) 방향으로 돌출된 커버부 에지(21)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측면에서 기본 몸체부(3)의 개구부 에지(4)가 커버부(6)의 커버부 에지(21)에 의해 단단히 잡히게 되거나(gripped), 또는 커버부 에지(21)가 개구부 에지(4) 안으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 안쪽으로 위치된 개구부 또는 커버부 에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되는 다른 부품의 에지에 대한 평평한(flat) 맞닿음면으로써 기능하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숄더부(shoulder)(13)를 포함한다. 밀폐 또는 부식 방지(protection) 수단, 예를 들어 윤활유가 에지들 사이에 일반적으로 적용된다. 대응되는 에지들의 좁고 평평한 맞닿음으로 인하여 그리고 용기의 폭발방지 및 화염방지 구성으로 인하여, 문제들이 커버부(6)의 분리 동안 일부 경우들에서 발생할 수 있다.
커버부(6)를 기본 몸체부(3)로부터 적어도 어느 정도로 쉽게 들어올리기 위하여, 용기(2)는 강제해제장치(1)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버부 에지(21)에서의 용기(2)의 에지 영역에 배열된다. 강제해제장치(1)는 편심 디스크(16) 형태의 회전가능한 강제해제부(1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크는 회전 샤프트(24) 상에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편심적으로 지지된다. 편심 디스크(16)는 커버부 에지(21)의 홈부(14)에 배열된다. 이에 따라, 편심 디스크(16)는 상기 홈부(14)에 오목한 형태로(countersunk) 배열되고 커버부 에지 넘어 바깥쪽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홈부(14)는 상부면 상에서 결합용 오목부(engagement depression)(15)를 포함한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드라이버(screwdriver)와 같은 도구(23)가 상기 오목부를 통하여 홈부(14)로 삽입가능하다. 도구의 강제해제부(10)와의 회전식 연결을 위하여, 상기 강제해제부는 결합용 오목부(15)를 향해 방향이 형성된 결합용 개구부(17)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용 개구부(17)는 도구(23)의 자유단의 삽입을 위해 슬릿(slit) 형태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서, 슬릿 형태의 결합용 개구부(17)는 도구(23)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가이드 돌출부(18)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구(23) 상에서의 측면 맞닿음과 강제해제부(10)의 비작동 위치(passive position)(12)의 고정 기능을 한다. 이러한 비작동 위치에서, 가이드 돌출부(18)는 결합용 오목부(15)의 에지 상에 놓인다.
도 1 및 3에서, 강제해제부(10)는 강제해제 위치(11)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강제해제부(11)는 숄더부(13)의 일부분인 강제해제 숄더부(9)와 접촉한다. 이러한 강제해제 위치(11)에서, 간격(22)이 커버부(6)의 하단부와 기본 몸체부(3)의 숄더부(13) 사이에 형성된다. 먼저 상기 2개의 부품들의 서로에 대한 부착을 극복하고 이어서 커버부(6)의 떼어냄을 용이하게 하는 커버부(6)와 기본 몸체부(3)의 선행의(already) 부분적인 분리가 상기 간격을 통하여 수행된다.
해당 강제해제 숄더부(9)는 숄더부(13)의 섹션(8)에 형성된다. 이러한 섹션(8)에서 홈부(14)는 강제해제 숄더부(9)를 향해 개방되어 있다. 강제해제부(10)의 대응되는 회전에 따라 상기 강제해제부는 홈부(14)로부터 강제해제 숄더부(9)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강제해제 위치(11)로까지의 대응되는 회전시 커버부(6)와 기본 몸체부(3) 사이에 간격(22)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기본 몸체부(3)의 에지(20) 영역에 배열된 다른 홈부(14)를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대응되는 강제해제부(10)가 이러한 홈부(1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비작동 위치(12)로부터 강제해제 위치(11)로 회전시 커버부(6) 상을 대응되는 강제해제 숄더부(9)에 대하여 가압하여 상응하는 간격(22)을 형성하는 가능성이 있다.
복수의 이러한 강제해제장치들(1)이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둘레 방향(7)을 따라 바람직하게는 에지들(19, 20) 영역에 각각 배열되는 다른 가능성이 있다. 각각의 에지로부터 대응되는 도구(23)의 결합이 도 1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용기(2)를 평면도로 나타낸다. 특히, 도구(23)는 강제해제부(10)가 강제해제 위치(11)로 회전된 기울어진 위치에서 보여질 수 있다. 그 외에는, 강제해제장치 및 용기의 설명과 관련하여 도 1 및 3을 통해 참조가 이루어진다.
도 3은 커버부 에지(21) 영역에 배열된 강제해제장치(1)를 포함하는 용기(2)를 나타내고 있는 측면도이다. 강제해제장치(1)가 도 1을 유추하여 도시되어 있는 것으로, 강제해제부(10)는 이미 대응되는 강제해제 위치(11)에 배열되어 있다. 도 3에 따른 도구(23)의 실질적으로 수직한 위치에서, 강제해제부(10)는 비작동 위치(12)에 배열된다; 도 3에서 파선으로 표시된 것을 참조한다.
이러한 비작동 위치(12)에서, 가이드 돌출부(18)는 결합용 홈부(15)의 에지 상에 측면으로 맞닿아 있다. 비작동 위치(12)에서, 커버부(6)와 기복 몸체부(3)는 간격이 형성되지 않고서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도 3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숄더부(13)는 대응되는 강제해제 숄더부(9)가 이의 일부분인 것이 상세하게 보여질 수 있다.
또한, 참조가 선행하는 설명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본문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강제해제장치(1)를 포함하는 대응되는 용기(2)를 참조한다.
이러한 용기(2)는 개개의 용기로서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전기 기구의 또는 배전 과정에서의 통합된 용기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구를 가지고 커버부와 기본 몸체부 사이에 간격을 직접적으로 형성할 필요없이 간단한 방법으로 해당하는 커버부를 기본 몸체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강제해제장치 2 ... 용기
3 ... 기본 몸체부 4 ... 개구부 에지
5 ... 개구부 6 ... 커버부
8 ... 섹션 10 ... 강제해제부
11 ... 강제해제 위치 12 ... 비작동 위치

Claims (12)

  1. 개구부 에지(4)에 의해 둘러싸인 개구부(5)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기본 몸체부(3) 및 개구부 에지 상에 배치되거나 그 안으로 삽입될 수 있는 커버부(6)를 포함하는 특히 폭발방지 또는 화염방지 용기의 강제해제장치(1)에 있어서,
    강제해제 숄더부(9)가 용기(2)의 둘레 방향(7)으로 적어도 섹션(8)에서 기본 몸체부(3) 또는 커버부(6) 상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강제해제부(10)가 강제해제 위치(11)와 비작동 위치(12) 사이에서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커버부(6) 상에 또는 기본 몸체부(3) 상에 장착되며, 이때 강제해제 위치(11)에서 강제해제부(10)는 커버부(6)와 기본 몸체부(3)의 간격 형성을 위해 강제해제 숄더부(9)와 맞닿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해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개구부 에지(4)는 강제해제 숄더부(9)를 갖는 숄더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해제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강제해제부(10)는 기본 몸체부(3) 또는 커버부(6)의 측면 홈부(1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해제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면 홈부(14)는 적어도 강제해제 숄더부(9) 방향으로 개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해제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측면 홈부(14)는 커버부(6) 또는 기본 몸체부(3)의 에지(19, 20)를 향해 개방되어 형성된 결합용 오목부(1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해제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제해제부(10)는 편심 디스크(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해제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제해제부(10)는 실질적으로 결합용 오목부(15) 방향으로 향하는 결합용 개구부(17)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해제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용 개구부(17)는 슬릿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해제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용 개구부(17)는 블라인드 홀(blind hole)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해제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용 개구부(17)는 결합용 오목부(15)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가이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해제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강제해제부(10)는 커버부(6)의 측면으로 둘러싸는 커버부 에지(21)에 배열되되 특히 오목한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제해제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강제해제장치(1)를 포함하는 용기(2).
KR1020137002938A 2010-07-30 2011-06-16 강제해제장치 및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용기 KR1018765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32832.4A DE102010032832B4 (de) 2010-07-30 2010-07-30 Abdrückvorrichtung und Behältnis mit einer solchen
DE102010032832.4 2010-07-30
PCT/EP2011/002980 WO2012013267A1 (de) 2010-07-30 2011-06-16 Abdrückvorrichtung und behältnis mit einer solch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994A true KR20130098994A (ko) 2013-09-05
KR101876589B1 KR101876589B1 (ko) 2018-07-09

Family

ID=44627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2938A KR101876589B1 (ko) 2010-07-30 2011-06-16 강제해제장치 및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용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998016B2 (ko)
EP (1) EP2599368B1 (ko)
KR (1) KR101876589B1 (ko)
CN (1) CN103155730B (ko)
AU (1) AU2011285232B2 (ko)
BR (1) BR112013002347B1 (ko)
CA (1) CA2806609C (ko)
DE (1) DE102010032832B4 (ko)
RU (1) RU2576527C2 (ko)
WO (1) WO20120132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4049B (zh) * 2019-08-21 2021-10-12 深圳睿蚁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调节式电子烟盒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173230A (de) * 1934-03-24 1934-11-15 Hoffmann Geb Deckelöffner an Blechdosen mit Einsteckdeckel.
GB544292A (en) * 1941-01-14 1942-04-07 Maria Elizabeth Bailey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ever-lid tins, drums and the like
DE3035835C2 (de) 1980-09-19 1989-02-23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Druckfestes Gehäuse mit einem rechteckigen Deckel
EP0921998A4 (en) * 1996-08-13 2000-09-13 John Daniel Containers Proprie CONTAINER
US6079332A (en) * 1996-11-01 2000-06-27 The Ensign-Bickford Company Shock-resistant electronic circuit assembly
US5992098A (en) * 1998-12-09 1999-11-30 Justrite Manufacturing Company, Llc Safety cabinet latching system
PL373918A1 (en) * 2002-07-17 2005-09-19 Diebold, Incorporated Locking bolt work apparatus for atm
TW547898U (en) * 2002-12-20 2003-08-11 Hon Hai Prec Ind Co Ltd Latch for removing a cover from a base
DE102005047713B4 (de) 2005-09-29 2007-09-20 Schäfer Gehäusesysteme GmbH Gehäuse für elektrische oder elektronische Geräte
GB2460226B (en) * 2008-05-19 2012-02-29 Plastic Can Company Ltd Container with intergrated lever-operated device for opening the lid
DE202009010039U1 (de) 2009-01-15 2009-10-01 Bartec Gmbh Elektrische Geräteeinheit
CN201414261Y (zh) * 2009-06-01 2010-02-24 上海宝临防爆电器有限公司 用于调整防爆电器安装角度的角度调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99368B1 (de) 2018-08-01
CA2806609C (en) 2018-07-17
DE102010032832A1 (de) 2012-02-02
BR112013002347B1 (pt) 2020-02-27
AU2011285232A1 (en) 2013-02-28
AU2011285232B2 (en) 2014-09-25
KR101876589B1 (ko) 2018-07-09
RU2013105489A (ru) 2014-09-10
RU2576527C2 (ru) 2016-03-10
CN103155730B (zh) 2016-11-02
EP2599368A1 (de) 2013-06-05
CN103155730A (zh) 2013-06-12
WO2012013267A1 (de) 2012-02-02
US20130206769A1 (en) 2013-08-15
BR112013002347A2 (pt) 2016-05-24
CA2806609A1 (en) 2012-02-02
DE102010032832B4 (de) 2021-02-11
US8998016B2 (en) 201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8623B2 (ja) 遊技機の基板ケース
JP2010115222A5 (ko)
US20110005800A1 (en) Protective cover
JP6289596B1 (ja) 遊技機
KR20130098994A (ko) 강제해제장치 및 이러한 장치를 포함하는 용기
JP4226613B2 (ja) 遊技機
US20170057078A1 (en) Tool Box
JP4651343B2 (ja) 基板ケース及び基板ケースの封印方法
JP5222382B2 (ja) 遊技機
JP4870175B2 (ja) 遊技機
JP5389141B2 (ja) 光ケーブル固定金具締付け不足防止構造
JP4266996B2 (ja) 遊技機
JP3124730U (ja) 不正行為防止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遊技機
JP2013045628A (ja) 操作装置
WO2014174628A1 (ja) レセプタクル保護カバー及び電子機器
JP4444125B2 (ja) 遊技機
KR10078872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회전용 스탠드
JP5115962B2 (ja) 分電盤
KR200346541Y1 (ko) 콘센트 안전 덮개
JP2013052279A5 (ko)
KR20150004326U (ko) 마스터 실린더 장착용 전원공급장치
JPH0730439U (ja) 回路遮断器の端子カバー
JP2006314845A (ja) 遊技機用基盤ボックス
JP2014188312A (ja) 物品収納容器、封印部材
JP2006314844A (ja) 遊技機用基盤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