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8799A - 지게차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지게차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8799A
KR20130098799A KR1020120020608A KR20120020608A KR20130098799A KR 20130098799 A KR20130098799 A KR 20130098799A KR 1020120020608 A KR1020120020608 A KR 1020120020608A KR 20120020608 A KR20120020608 A KR 20120020608A KR 20130098799 A KR20130098799 A KR 20130098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ow bar
forklift
blocking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7565B1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0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565B1/ko
Publication of KR20130098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지게차용 안전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지게차용 안전장치는: 견인봉의 외측과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코일의 내경부에 접하면서 견인봉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승하강부와, 견인봉의 내측에 설치되며 승하강부가 견인봉의 외측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승하강부를 탄성 지지하는 지지부와, 승하강부의 내측 이동과 연동하여 견인봉의 측면으로 돌출되며 코일의 이동을 구속하는 차단부 및 승하강부와 차단부에 연결되며 승하강부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차단부를 이동시키는 링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게차용 안전장치{SAFETY DEVICE FOR FORKLIFT}
본 발명은 지게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게차로 운반되는 코일의 낙하를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지게차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짐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 사용하는 산업용 트럭의 특수한 형태로, 산업 현장이나 창고에서 사람이 들기 어려운 무거운 짐을 유용하게 적재 및 운반할 수 있는 차량이다.
이러한 지게차는 동력원에 따라 엔진 지게차와 전동 지게차로 구분된다.
엔진 지게차는 디젤이나 가솔린 등을 엔진으로 사용하며, 출력이 좋아 야외 작업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전동 지게차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며, 엔진 지게차에 비해 배기 가스가 없고 소음이 작아 실내 작업에 이용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11-0069941호(2011.06.24 공개, 발명의 명칭: 전동지게차)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지게차로 운반되는 코일의 낙하를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지게차용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용 안전장치는: 견인봉의 외측과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코일의 내경부에 접하면서 견인봉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승하강부와, 견인봉의 내측에 설치되며 승하강부가 견인봉의 외측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승하강부를 탄성 지지하는 지지부와, 승하강부의 내측 이동과 연동하여 견인봉의 측면으로 돌출되며 코일의 이동을 구속하는 차단부 및 승하강부와 차단부에 연결되며 승하강부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차단부를 이동시키는 링크부를 포함한다.
또한 승하강부는, 견인봉의 내측과 외측으로 이동되는 승하강몸체 및 승하강몸체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견인봉의 내측에 걸리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부는, 승하강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1홀더부재와, 제1홀더부재와 마주하는 견인봉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2홀더부재 및 탄성을 구비하며 제1홀더부재와 제2홀더부재에 양측이 지지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단부는, 견인봉의 일단에 설치되며, 링크부의 동작으로 회전되어 견인봉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링크부는, 승하강부와 차단부의 하측에 힌지 연결되며 승하강부의 하강에 의해 차단부를 견인봉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제1연결링크부 및 승하강부와 차단부의 몸체에 힌지 연결되며 승하강부의 하강에 의해 차단부를 견인봉의 내측으로 당기는 제2연결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연결링크부는, 승하강부에 힌지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 및 일측은 제1연결부재에 힌지 연결되는 장공을 구비하며 타측은 차단부의 하측에 힌지 연결되는 제1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연결링크부는, 승하강부에 힌지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 및 일측은 제2연결부재에 힌지 연결되며 타측은 차단부의 몸체에 힌지 연결되는 제2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연결부재와 제1전달부재는 둔각을 이루며 설치되며, 제2연결부재와 제2전달부재는 예각을 이루며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용 안전장치는, 코일을 운반하는 견인봉의 외측으로 차단부가 돌출되어 운반 중인 코일의 낙하를 방지하므로, 코일의 낙하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안전장치를 구비하는 지게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봉이 코일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차단부가 동작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안전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안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부가 하강되어 차단부가 상승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용 안전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코일을 운반하는 지게차에 구비된 지게차용 안전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안전장치를 구비하는 지게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봉이 코일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차단부가 동작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안전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안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부가 하강되어 차단부가 상승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선된 코일(10) 등을 운반하는 지게차(1)는 운전석(3)을 구비하는 본체부(2)와, 본체부(2)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부재(4)를 구비한다.
본체부(2)의 전방(이하 도 1기준 좌측)에는 종 방향으로 프레임부재(5)가 설치되며, 이러한 프레임부재(5)를 따라 상하로 리프트부(6)가 이동된다.
이러한 리프트부(6)에 봉 형상의 견인봉(7)이 설치되며, 견인봉(7)은 코일(10)의 내측에 구비된 내경부(12)로 삽입되어 코일(10)을 들어올린다.
리프트부(6)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견인봉(7)은, 리프트부(6)와 함께 상하 이동된다.
지게차(1)의 견인봉(7)이 코일(10)의 내경부(12)로 인입된 후, 견인봉(7)이 상승하여 코일(10)을 들어올리는 경우, 지게차용 안전장치(20)가 작동되어 견인봉(7)에서 코일(10)의 이탈을 방지한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안전장치(20)는, 견인봉(7)의 외측과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코일(10)의 내경부(12)에 접하면서 견인봉(7)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승하강부(30)와, 견인봉(7)의 내측에 설치되며 승하강부(30)가 견인봉(7)의 외측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승하강부(30)를 탄성 지지하는 지지부(40)와, 승하강부(30)의 내측 이동과 연동하여 견인봉(7)의 측면으로 돌출되며 코일(10)의 이동을 구속하는 차단부(50) 및 승하강부(30)와 차단부(50)에 연결되며 승하강부(30)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차단부(50)를 이동시키는 링크부(60)를 포함한다.
견인봉(7)의 내측에는 승하강부(30)가 상하(이하 도 4기준) 이동되기 위한 내측공간(90)이 구비된다.
승하강부(30)는 견인봉(7)의 외측과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승하강부(30)는 코일(10)의 내경부(12)와 접하는 견인봉(7)의 측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승하강부(30)는 견인봉(7)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설치된다.
견인봉(7)이 코일(10)의 내경부(12)로 삽입된 후, 상측으로 이동되어 코일(10)을 들어올리는 경우, 견인봉(7)의 측면에서 돌출된 승하강부(30)가 코일(10)의 내경부(12)에 접하면서 견인봉(7)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승하강부(30)는, 견인봉(7)의 내측과 외측으로 이동되는 승하강몸체(32) 및 승하강몸체(32)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견인봉(7)의 내측에 걸리는 걸림부재(36)를 포함한다.
견인봉(7)에 구비된 내측공간(90)이 견인봉(7)의 외측과 연통되는 통로는 견인봉(7)의 상측에 형성되며, 견인봉(7)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승하강부(30)도 견인봉(7)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견인봉(7)이 코일(10)의 내경부(12)로 삽입되어 코일(10)을 들어올리는 경우, 견인봉(7)의 상측과 코일(10)의 내경부(12)가 서로 접하므로, 견인봉(7)의 상측에 설치된 승하강부(30)도 코일(10)의 내경부(12)에 접하여 견인봉(7)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승하강몸체(32)는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승하강몸체(32)의 양측 모서리 부근에 경사부재(34)가 구비된다.
견인봉(7)과 함께 승하강부(30)가 코일(10)의 내경부(12)로 인입되는 경우, 견인봉(7)의 외측으로 돌출된 승하강부(30)의 양측에 경사부재(34)가 구비되므로, 코일(10)의 내경부(12)로 인입되는 승하강부(30)의 이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승하강몸체(32)의 하부 양측으로 걸림부재(36)가 돌출되며, 이러한 걸림부재(36)는 견인봉(7)에 구비된 걸림턱(9)에 걸리므로, 승하강몸체(32)가 견인봉(7)에서 이탈됨을 방지한다.
승하강부(30)가 견인봉(7)의 외측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승하강부(30)를 탄성 지지하는 지지부(40)는 견인봉(7)의 내측에 구비된 내측공간(90)에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부(40)는, 승하강부(30)를 설정된 힘으로 가압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가압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40)는, 승하강부(30)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1홀더부재(42)와, 제1홀더부재(42)와 마주하는 견인봉(7)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2홀더부재(44) 및 탄성을 구비하며 제1홀더부재(42)와 제2홀더부재(44)에 양측이 지지되는 스프링부재(46)를 포함한다.
제1홀더부재(42)와 제2홀더부재(44)는 스프링부재(46)의 양측을 지지하며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홀더부재(42)와 제2홀더부재(44)의 내경은 스프링부재(46)의 외경보다 크므로 스프링부재(46)의 양측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승하강부(30)가 상하 이동될 때, 승하강부(30)를 지지하는 스프링부재(46)가 측방향으로 이탈됨을 방지한다.
지지부(40)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승하강부(30)는 견인봉(7)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며, 견인봉(7)의 측면이 코일(10)의 내경부(12)에 접하는 경우, 승하강부(30)도 코일(10)의 내경부(12)에 접하여 견인봉(7)의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승하강부(30)의 내측 이동과 연동하는 차단부(50)는, 견인봉(7)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코일(10)의 이동을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50)는, 견인봉(7)의 일단(도 5기준 좌측)에 설치되며, 링크부(60)의 동작으로 회전되어 견인봉(7)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견인봉(7)의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는 내측공간(90)은, 승하강부(30)와 지지부(40)가 설치되는 메인공간(92) 및 메인공간(92)과 견인봉(7)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공간(94)을 포함한다.
이러한 내측공간(90)에 승하강부(30)와 차단부(50)를 연결하는 링크부(60)가 설치된다.
링크부(60)는, 승하강부(30)와 차단부(50)에 힌지 연결되며 승하강부(30)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차단부(50)를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연결링크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부(60)는 제1연결링크부(70)와 제2연결링크부(80)로 구성된다.
제1연결링크부(70)는, 승하강부(30)와 차단부(50)의 하측에 힌지 연결되며 승하강부(30)의 하강에 의해 차단부(50)를 견인봉(7)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구조의 링크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연결링크부(70)는, 승하강부(30)에 힌지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72) 및 일측은 제1연결부재(72)에 힌지 연결되는 장공(76)을 구비하며 타측은 차단부(50)의 하측에 힌지 연결되는 제1전달부재(74)를 포함한다.
제1연결부재(72)의 상측은 승하강부(30)에 힌지 연결되며, 제1연결부재(72)의 하측에는 연결핀(77)이 구비된다. 연결핀(77)이 설치된 제1연결부재(72)의 하측은 차단부(50)가 설치된 일측(이하 도 5기준 좌측)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된다.
제1연결부재(72)의 하측은 차단부(50)의 하측에 힌지 연결된 제1전달부재(74)에 힌지 연결된다.
제1전달부재(74)의 일측은 차단부(50)의 하측에 구비된 제1힌지연결부(52)에 힌지 연결된다.
제1전달부재(74)는, 메인공간(92)과 견인봉(7)의 일단을 연결하는 내측공간(90)을 따라 설치되며, 이러한 제1전달부재(74)의 타측(이하 도 5기준 우측)에는 제1연결부재(72)의 연결핀(77)이 힌지 연결된다.
제1전달부재(74)의 타측에는 장공(76)이 구비되며, 이러한 장공(76)에 연결핀(77)이 삽입되어 이동되므로, 제1연결부재(72)로 전달된 동력은 제1전달부재(74)를 통해 차단부(50)로 전달된다.
제1연결링크부(70)와 같이 동작되는 제2연결링크부(80)는, 승하강부(30)와 차단부(50)의 몸체에 힌지 연결되며 승하강부(30)의 하강에 의해 차단부(50)를 견인봉(7)의 내측으로 당기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구조의 링크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연결링크부(80)는, 승하강부(30)에 힌지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82) 및 일측은 제2연결부재(82)에 힌지 연결되며 타측은 차단부(50)의 몸체에 힌지 연결되는 제2전달부재(84)를 포함한다.
제2연결부재(82)의 상측은 승하강부(30)에 힌지 연결되며, 제2연결부재(82)의 하측은 제2전달부재(84)에 힌지 연결된다.
이러한 제2연결부재(82)의 하측은 차단부(50)와 멀어지는 타측(도 5기준 우측) 방향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된다.
제2전달부재(84)의 일측은 차단부(50)의 하측에 구비된 제2힌지연결부(54)에 힌지 연결된다.
연결공간(94)의 외측에 위치한 막대 형상의 차단부(50)는, 제1전달부재(74)와 힌지 연결되는 제1힌지연결부(52) 및 제2전달부재(84)와 힌지 연결되는 제2힌지연결부(54)를 구비한다.
제1힌지연결부(52)는 차단부(50)의 하측에 구비되며, 제2힌지연결부(54)는 제1힌지연결부(52)의 상측에 위치하는 차단부(50)의 몸체에 구비된다.
제2전달부재(84)는, 메인공간(92)과 견인봉(7)의 일단을 연결하는 내측공간(90)을 따라 설치되며, 이러한 제2전달부재(84)의 타측(도 5기준 우측)에는 제2연결부재(82)가 힌지 연결된다.
제1연결부재(72)와 제1전달부재(74)는 둔각을 이루며 설치되며, 제2연결부재(82)와 제2전달부재(84)는 예각을 이루며 설치되므로, 승하강부(30)의 이동에 따라 제1연결링크부(70)와 제2연결링크부(80)는 상이한 동작상태를 갖는다.
승하강부(30)가 하강하는 경우, 제1연결링크부(70)는 제1연결부재(72)와 제1전달부재(74)가 둔각을 이루며 설치되므로, 제1연결부재(72)는 차단부(50)가 설치된 견인봉(7)의 외측 방향으로 제1전달부재(74)를 밀어낸다.
따라서, 제1전달부재(74)와 연결되는 차단부(50)의 하측은 견인봉(7)의 외측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제1연결링크부(70)의 동작과 함께, 제2연결링크부(80)가 동작되어 차단부(50)의 몸체를 견인봉(7)을 향한 방향으로 당긴다.
즉, 제2연결부재(82)와 제2전달부재(84)가 예각을 이루며 설치되므로, 승하강부(30)의 하강시, 승하강부(30)와 힌지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82)의 하측은 차단부(50)와 멀어지는 견인봉(7)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2연결부재(82)의 하측에 힌지 연결되는 제2전달부재(84)도 차단부(50)와 멀어지는 견인봉(7)의 타측으로 이동되므로, 제2전달부재(84)에 힌지 연결되는 차단부(50)의 제2힌지연결부(54)도 견인봉(7)의 타측으로 이동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안전장치(20)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게차(1)가 코일(10)을 수송하기 전에는, 승하강부(30)가 견인봉(7)의 외측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승하강몸체(32)의 하측은 지지부(40)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승하강몸체(32)의 양측에 구비된 걸림부재(36)가 견인봉(7)의 걸림턱(9)에 걸려서 승하강몸체(32)가 견인봉(7)의 외측으로 이탈됨을 방지한다.
견인봉(7)의 일단에 설치된 차단부(50)는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견인봉(7)이 코일(10)의 내경부(12)로 인입될 때, 차단부(50)가 코일(10)에 접하여 발생할 수 있는 간섭현상을 방지한다.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봉(7)이 코일(10)의 내경부(12)로 인입되어 코일(10)을 상측으로 들어올리는 경우, 승하강부(30)는 코일(10)의 내경부(12)에 접하면서 견인봉(7)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승하강부(30)와 힌지 연결되는 제1연결링크부(70)와 제2연결링크부(80)가 동작되어 차단부(50)를 회전시키므로, 차단부(50)는 견인봉(7)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견인봉(7)에서 코일(10)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차단부(50)의 하측에 구비된 제1힌지연결부(52)에 연결되는 제1연결링크부(70)가 차단부(50)의 하측을 견인봉(7)의 일측 방향으로 밀어낸다. 이와 동시에, 차단부(50)의 몸체에 구비된 제2힌지연결부(54)에 연결되는 제2연결링크부(80)가 차단부(50)의 몸체를 견인봉(7)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링크부(60)의 동작으로, 차단부(50)는 회전되어 견인봉(7)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코일(10)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용 안전장치(20)는, 코일(10)을 운반하는 견인봉(7)의 외측으로 차단부(50)가 돌출되어 운반 중인 코일(10)의 낙하를 방지하므로, 코일(10)의 낙하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코일을 운반하는 지게차에 구비된 지게차용 안전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다른 운송물을 운반하는 지게차에도 본 발명에 의한 지게차용 안전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지게차 2: 본체부
3: 운전석 4: 바퀴부재
5: 프레임부재 6: 리프트부
7: 견인봉 9: 걸림턱
10: 코일 12: 내경부
20: 지게차용 안전장치
30: 승하강부 32: 승하강몸체
34: 경사부재 36: 걸림부재
40: 지지부 42: 제1홀더부재
44: 제2홀더부재 46: 스프링부재
50: 차단부 52: 제1힌지연결부
54: 제2힌지연결부 60: 링크부
70: 제1연결링크부 72: 제1연결부재
74: 제1전달부재 76: 장공
77: 연결핀 80: 제2연결링크부
82: 제2연결부재 84: 제2전달부재
90: 내측공간 92: 메인공간
94: 연결공간

Claims (8)

  1. 견인봉의 외측과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코일의 내경부에 접하면서 상기 견인봉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승하강부;
    상기 견인봉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부가 상기 견인봉의 외측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승하강부를 탄성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승하강부의 내측 이동과 연동하여 상기 견인봉의 측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코일의 이동을 구속하는 차단부; 및
    상기 승하강부와 상기 차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승하강부의 상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차단부를 이동시키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안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견인봉의 내측과 외측으로 이동되는 승하강몸체; 및
    상기 승하강몸체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견인봉의 내측에 걸리는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안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승하강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1홀더부재;
    상기 제1홀더부재와 마주하는 상기 견인봉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2홀더부재; 및
    탄성을 구비하며 상기 제1홀더부재와 상기 제2홀더부재에 양측이 지지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안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견인봉의 일단에 설치되며, 상기 링크부의 동작으로 회전되어 상기 견인봉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안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승하강부와 상기 차단부의 하측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승하강부의 하강에 의해 상기 차단부를 상기 견인봉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제1연결링크부; 및
    상기 승하강부와 상기 차단부의 몸체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승하강부의 하강에 의해 상기 차단부를 상기 견인봉의 내측으로 당기는 제2연결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안전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링크부는, 상기 승하강부에 힌지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 및
    일측은 상기 제1연결부재에 힌지 연결되는 장공을 구비하며 타측은 상기 차단부의 하측에 힌지 연결되는 제1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안전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링크부는, 상기 승하강부에 힌지 연결되는 제2연결부재; 및
    일측은 상기 제2연결부재에 힌지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차단부의 몸체에 힌지 연결되는 제2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안전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1전달부재는 둔각을 이루며 설치되며,
    상기 제2연결부재와 상기 제2전달부재는 예각을 이루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용 안전장치.
KR1020120020608A 2012-02-28 2012-02-28 지게차용 안전장치 KR101357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608A KR101357565B1 (ko) 2012-02-28 2012-02-28 지게차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608A KR101357565B1 (ko) 2012-02-28 2012-02-28 지게차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799A true KR20130098799A (ko) 2013-09-05
KR101357565B1 KR101357565B1 (ko) 2014-02-03

Family

ID=49450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608A KR101357565B1 (ko) 2012-02-28 2012-02-28 지게차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5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12345A1 (de) * 2015-07-29 2017-02-02 Bernhard Mehler Anlagenbau GmbH & Co. KG Dornplatte für einen Dornhubstapler zum Transport von zu Coils aufgewickelten Materialbändern, einen mit einer solchen Dornplatte ausgerüsteten Dornhubstapler sowie Vorsatzkörper zum Anbringen an einer Dornplatte eines Dornhubstaple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239B1 (ko) * 2020-04-14 2021-03-04 주식회사 에고테크 롤 코어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운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4972A (ko) * 1973-07-04 1975-03-17
JPS539683U (ko) * 1976-07-09 1978-01-26
JPH07187597A (ja) * 1993-12-28 1995-07-25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産業車両におけるラム装置
KR20070115391A (ko) * 2006-06-02 2007-12-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 적재물 이탈 방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12345A1 (de) * 2015-07-29 2017-02-02 Bernhard Mehler Anlagenbau GmbH & Co. KG Dornplatte für einen Dornhubstapler zum Transport von zu Coils aufgewickelten Materialbändern, einen mit einer solchen Dornplatte ausgerüsteten Dornhubstapler sowie Vorsatzkörper zum Anbringen an einer Dornplatte eines Dornhubstapl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7565B1 (ko) 2014-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958299U (zh) 一种带有起吊装置的叉车
KR101357565B1 (ko) 지게차용 안전장치
CN218988553U (zh) 一种砌块吊装工具
KR20120003917U (ko) 케이블 드럼 이송 장치
CN104045024A (zh) 叉车以及运输叉车的方法和组件
KR200465321Y1 (ko) 지게차에 설치되는 방파제 구조물 이송용 지그
EA200701341A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ъема и перемещения грузов
CN210504796U (zh) 双臂式重、空合一的折返式翻车机卸车系统
US2702645A (en) Lift truck
KR20170060256A (ko) 셀프 승강 리프트
CN203212212U (zh) 一种集装箱装卸用吊链旋锁装置
CN108483291B (zh) 一种建筑工地小型货物升降装置及升降方法
KR20080011736A (ko) 충돌 예방 수단을 갖는 포크리프트
US11427043B2 (en) Trailer for lifting and transporting loads
CN106429986B (zh) 一种叉车用折叠式托盘
CN203157800U (zh) 自倾半挂车
FI74445B (fi) Anordning foer hantering av packor med laongstraeckt gods saerskilt traevaropackor.
KR101048642B1 (ko) 운반대차의 적재 지그
CN103129440B (zh) 自倾半挂车
CN211001470U (zh) 卷芯搬运小车
CN220147400U (zh) 一种皮料周转车牵引杆的安全挂钩
KR20100062759A (ko) 4바퀴 굴림식 물건 이동용 핸디 카트
CN215553327U (zh) 一种导线厂用液压运输车
JP3056190B1 (ja) コンテナ搬送用クレ―ンのスプレッダ―
CN205114586U (zh) 集装箱装车平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