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8664A - 기판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기판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8664A
KR20130098664A KR1020120020366A KR20120020366A KR20130098664A KR 20130098664 A KR20130098664 A KR 20130098664A KR 1020120020366 A KR1020120020366 A KR 1020120020366A KR 20120020366 A KR20120020366 A KR 20120020366A KR 20130098664 A KR20130098664 A KR 20130098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hamber
susceptor
support
hea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5644B1 (ko
Inventor
연강흠
송대석
Original Assignee
(주)앤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앤피에스 filed Critical (주)앤피에스
Priority to KR1020120020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5644B1/ko
Publication of KR20130098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5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5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2Graphene
    • C01B32/184Pr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24Stationary reactors without moving elements inside
    • B01J19/247Suited for forming thin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4Coating on selected surface areas, e.g. using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tallur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면적의 기판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기판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된 챔버 몸체와, 상기 챔버 몸체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구비되는 서셉터와; 상기 도어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서셉터와 평행하게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챔버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서셉터를 가열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원 유닛;을 포함하고, 기판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도 처짐 현상 없이 안정적으로 로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판 전체에 걸친 균일한 처리가 가능해지고, 설치 공간도 줄일 수 있어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설비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판 처리 장치{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기판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면적의 기판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기판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기판 등을 열처리하는 방법으로 급속열처리(rapid thermal processing; RTP)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급속열처리 방법은 텅스텐 램프 등의 열원에서 나오는 방사광(放射光)을 기판에 조사하여 기판을 가열 처리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급속열처리 방법은 퍼니스(furnace)를 이용한 기존의 기판 열처리 방법과 비교하여, 신속하게 기판을 가열하거나 냉각시킬 수 있으며, 압력 조건이나 온도 대역의 조절 제어가 용이하여, 기판의 열처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급속열처리 방법이 이용되었던 종래의 기판 처리 장치는, 주로 기판이 처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챔버와, 챔버 내부에서 기판을 지지하는 서셉터(susceptor)와, 기판을 가열하도록 방사광을 조사하는 열원과, 챔버에 연결되며 열원을 장착하기 위한 히팅 블록과, 히팅 블록과 챔버의 연결 부위에 배치되어 열원으로부터 조사된 방사광을 투과시키는 투과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기판이 대면적화됨에 따라 이를 처리하기 위한 기판 처리 장치의 부피도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었다. 통상 기판은 챔버 내부에 수평방향으로 로딩되는데 이에 따라 기판이 처리되는 챔버의 크기도 커져 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넓은 공간이 요구된다. 이외에도 기판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도 더 요구되기 때문에 이를 대처하기 위한 설비 비용이 증가하고 이와 같은 비용이 제품에 반영되어 가격 경쟁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면적의 기판을 수평방향으로 로딩하게 되면 기판의 자체 하중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기판 전체에 걸쳐 균일한 처리가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한편, 그래핀(graphene)은 탄소원자들이 2차원 상에서 벌집 모양의 배열을 이루면서 원자 한 층의 두께를 가지는 전도성 물질로서, 다양한 저차원 나노 현상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모델이 되어 왔다. 그리고 그래핀은 구조적, 화학적으로도 매우 안정할 뿐 아니라 매우 뛰어난 전도체로서, 실리콘에 비해 대략 100배 가량 빠르게 전자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구리에 비해 대략 100배 가량 더 많은 전자를 흐르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래핀은 상대적으로 가벼운 원소인 탄소만으로 이루어져 1차원 혹은 2차원 나노패턴을 가공하기가 매우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장점을 활용하면 반도체-도체 성질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소가 가지는 화학결함의 다양성을 이용해 센서, 메모리 등과 같은 광범위한 기능성 소자의 제작이 가능해 진다.
다만,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그래핀은 뛰어난 전기적/기계적/화학적 장점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실제 상용에 적용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량합성법이 소개되지 못하고 있다. 종래에는 주로 흑연을 기계적으로 분쇄하여 용액 상에 분산시킨 후 자기조립 현상을 이용해 박막으로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을 뿐, 이 경우 저 비용의 장점이 있으나 수많은 그래핀 조각들이 서로 겹치면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전기적, 기계적 성질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다. 또한, 최근 소개된 화학증기증착법에 의한 대면적 그래핀 합성 기술이 소개되면서 금속에 버금가는 전도성을 지닌 그래핀 박막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알려진 바 있으나, 이 역시 고 비용이 요구되며, 상대적으로 높은 공정 온도가 요구되는 문제가 있었다.
KR 2010-0111447 A1 KR 2011-0100428 A1
본 발명은 대면적의 기판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기판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그래핀을 박막 형태로 제조할 수 있는 기판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그래핀 박막의 상용화를 위하여 급속열처리 방식으로 그래핀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판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판 처리 장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된 챔버 몸체와, 상기 챔버 몸체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구비되는 서셉터와; 상기 도어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서셉터와 평행하게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챔버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서셉터를 가열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원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챔버는 일측에 공정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가스주입구와, 상기 가스주입구에 대향하는 타측에 상기 챔버 내의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버 몸체는 전면 및 적어도 일 측면이 개방된 중공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되는 측면에 연결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열원 유닛은 상기 커버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커버의 일측면에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셉터는 그라파이트(graphite) 또는 탄화규소(SiC)가 코팅된 그라파이트, 탄화규소(Silicon Carbide), 질화규소(Silicon nitride), 알루미나(Al2O3), 질화 알루미늄(Aluminum nitride) 및 석영(Quartz)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서셉터는 상기 서셉터의 가장자리와 상기 챔버의 내벽을 부분적으로 연결하는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챔버의 내벽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고 복수의 고정공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고정공에 체결되어 기판을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공에 삽입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너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며 복수의 홈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양쪽 가장자리에는 프레임이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홈에 맞물려지는 고정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사이에는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사이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바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며 서로 대향하는 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한 쌍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양쪽 가장자리에는 프레임이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딩방식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형성되어 공정가스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판 처리 장치는 기판을 수직 방향으로 로딩하도록 구성되어 대면적의 기판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기판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도 처짐 현상 없이 안정적으로 로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판 전체에 걸친 균일한 처리가 가능해진다. 설치 공간도 줄일 수 있어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이에 설비 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판 처리 장치는 급속열처리(rapid thermal processing: RTP) 방식을 응용하여 공정 챔버 내에 수용된 기판을 가열하여 그래핀을 대량 생산해 낼 수 있다. 이로써, 전기적, 기계적, 화학적으로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는 그래핀의 상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공정 챔버와, 방사광을 조사하는 열원을 구비하고, 열원의 가열 작용에 의해 서셉터를 1차적으로 가열한 다음, 가열된 서셉터의 열전달(즉, 복사 또는 전도)에 의해 2차적으로 기판이 균일하게 가열됨에 따라 그래핀 박막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판 처리 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판 처리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지대에 기판을 장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지지부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지지부에 기판을 장착하기 위해 기판을 프레임에 고정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지지부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판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그래핀을 제조할 때 기판이 가열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판 처리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판 처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박막 제조장치는, 기판(S)이 처리되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몸체(102)와, 몸체(102) 일측에 개폐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도어(110)를 포함하는 챔버(100)와, 챔버(100)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서셉터(120)와, 도어(1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서셉터(120)와 평행하도록 기판(S)을 지지하는 지지부(130) 및 챔버(100)의 양측에 배치되어 서셉터(120)를 가열하기 위한 방사광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원 유닛(200)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열원 유닛(200)이 챔버(100)의 양측에 배치된 예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열원 유닛(200)은 챔버(100)의 양측 중 어느 한쪽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열원 유닛(200)의 배치에 따라 챔버(100)의 형태, 열원 유닛(200)의 연결 형태, 서셉터(120)의 개수 및 지지부(130)의 구조 등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각 실시 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 효과는 동일하다.
챔버(100)는 내부에 기판(S)을 수용하여 가열해주기 위한 공간, 즉 진공의 가열공간이 마련된 구성으로서, 대략적인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의 박스 형상 또는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챔버(100)는 하나의 몸체로 일체 제작될 수도 있으나, 여러 부품이 연결 또는 결합된 조립 몸체를 지닐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각 부품 간의 연결 부위에는 밀폐(sealing) 수단(미도시)이 부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S)의 가열 또는 냉각 시 장치 내에 투입되는 에너지를 절감해 줄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챔버(100)는 기판이 처리되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중공의 몸체(102)와, 몸체(102)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도어(110)를 포함한다. 몸체(102)는 양측면이 개방되고 전면(前面)에 게이트(105)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하우징(104)과, 하우징(104)의 양측면에 각각 연결되는 커버(106a, 106b)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06a, 106b)에는 열원 유닛(200)이 장착되어 서셉터(120)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블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커버(106a, 106b) 내부에는 열원 유닛(200)을 장착하기 위한 고정홈(109)이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홈(109)은 열원 유닛(200)으로부터 방출되는 방사광이 서셉터(120) 측으로 집광되어 조사될 수 있도록 아치(arch)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고정홈(109)은 열원 유닛(200)보다 크게 형성하여 고정홈(109)의 표면과 열원 유닛(200)의 표면이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사광이 효과적으로 집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형성되는 챔버(100)는 기판(S)을 수직방향, 즉 세로방향으로 로딩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104)의 상하방향 길이를 커버(106a)의 일측면에서 커버(106b)의 일측면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여 상하방향으로 긴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챔버(100)를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게 되면 챔버(100)를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때보다 설치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열원 유닛(200)을 챔버(100)의 일측면에만 배치하는 경우에는 하우징(104)의 상하방향 길이를 커버의 일측면에서부터 하우징의 일측면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몸체(102), 즉 하우징(104)의 전면(前面)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105)는 기판(S)을 반입 및 반출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고, 도어(110)에 의해 개폐될 수 있으며, 게이트(105)가 폐쇄된 경우 챔버(100) 내부가 밀폐될 수 있도록 도어(110)와 게이트(105)의 연결부위에 밀폐부재(미도시)를 개재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몸체(102)와 도어(110)가 서로 분리되어 구성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도어(110)의 이동통로 및 구동수단 등을 구비하여 도어(110)를 자동으로 이동시켜 게이트(105)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챔버(100)의 외부에는 챔버(100)의 내부공간으로 공정가스를 공급하는 가스공급부(미도시)가 구비되고, 챔버(100)의 일측면에는 가스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공정가스를 챔버(100) 내부로 주입하기 위한 가스주입구(103)가 형성되며 가스주입구(103)와 대향하는 챔버(100)의 타측면에는 챔버(100) 내부의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출구(101)가 형성된다. 가스주입구(103)와 가스배출구(101)가 형성되는 위치는 기판(S)을 고정하는 지지부(130)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가스배출구(101)를 통해 챔버(100) 내부의 가스를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가스배출구(101)와 연결되는 배기라인(미도시) 상에 펌프(미도시)를 장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챔버(100) 내부에 진공 형성과 같은 압력 제어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챔버(100)에는 열원 유닛(200) 및 서셉터(120)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가스가 공급되는 냉각 라인(107)이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냉각 라인(107)은 하우징(104), 커버(106a, 106b) 및 도어(110)의 내부에서 분기되어 냉각가스를 서셉터(120)에 균일하게 분사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열원 유닛(200)이 챔버(100)의 어느 한 쪽 측면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냉각 라인(107)은 열원 유닛(200)이 구비되는 쪽에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냉각 라인(107)을 여러 방향에 걸쳐 형성함으로써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챔버(100)의 내벽에는 라이너(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라이너는 챔버(100) 내부에서 공정 가스가 도달할 수 있는 모든 곳에 형성되어 공정 중 발생하는 오염물을 흡착시킨다. 이와 같이 라이너를 챔버(100) 내벽에 적용함으로써 장비 전체를 세정하지 않고 라이너만 교체하여 장비의 유지 보수 주기를 연장할 수 있다. 이때, 라이너는 그라파이트(graphite) 또는 탄화규소(SiC)가 코팅된 그라파이트, 탄화규소(Silicon Carbide), 질화규소(Silicon nitride), 알루미나(Al2O3), 질화 알루미늄(Aluminum nitride) 및 석영(Quartz)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서셉터(120)는 챔버(100)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별도의 고정수단(122)을 이용하여 챔버(100) 내벽에 고정되어 열원 유닛(200)의 배열 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서셉터(120)는 챔버(100) 내벽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서셉터(120)를 챔버(100) 내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서셉터(120) 가장자리와 챔버(100) 내벽 간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기판 처리 시 챔버(100) 내부로 공급되는 공정가스가 챔버(100) 내부 전체에 걸쳐 신속하고 균일하게 확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고정부재(122)는 서셉터(120)의 가장자리와 챔버(100)의 내벽을 부분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셉터(120)는 기판 처리 시 기판(S)이 열원 유닛(200)에서 조사되는 방사광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기판으로서 니켈(Ni), 구리(Cu), 코발트(Co), 몰리브덴(Mo), 마그네슘(Mg), 백금(Pt), 은(Ag), 크롬(Cr), 망간(Mn), 티타늄(Ti) 및 텅스텐(W) 등의 금속 박판을 이용하는데, 이와 같은 금속 재질의 기판에 방사광을 직접 조사하면 방사광이 반사되어 기판(S)을 공정 온도까지 가열하는데 많은 시간과 전력이 소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방사광을 흡수하고 열전도도가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는 서셉터(120)를 열원 유닛(200)과 기판(S)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방사광에 의해 가열된 서셉터(120)를 통해 기판이 간접적으로 가열될 수 있도록 하였다. 서셉터(120)는 그라파이트(graphite) 또는 탄화규소(SiC)가 코팅된 그라파이트, 탄화규소(Silicon Carbide), 질화규소(Silicon nitride), 알루미나(Al2O3), 질화 알루미늄(Aluminum nitride) 및 석영(Quartz)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열원 유닛(200)이 챔버(100)의 양측면 중 어느 한쪽에만 배치되는 경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서셉터(120)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하나의 서셉터만 사용해도 무방하다. 이때, 기판이 서셉터(120)에 의해 간접적으로 가열될 수 있도록 서셉터(120)를 기판(S)과 열원 유닛(200)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에서 한 쌍의 서셉터(120)를 사용하는 경우 기판 처리, 예컨대 기판(S)을 열처리하거나 박막을 증착하는 동안 기판(S)을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여 그래핀의 증착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서셉터(120)에는 서셉터(120)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측정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온도 측정부는 한 쌍의 서셉터(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으며, 플레이트 형상의 서셉터(120) 상에 일정한 간격마다 형성될 수도 있고, 중심부와 각 가장자리부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형성 개수 및 형성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열원 유닛(200)은 챔버(100)에 형성된 고정홈(109)에 설치되어 챔버(100) 내부에 설치된 서셉터(120)를 가열한다. 열원 유닛(200)은 방사광을 발생시키는 열원과, 열원을 감싸 보호하고 열원에서 발생되는 방사광을 외부로 투과시키는 윈도우를 포함한다. 열원은 텅스텐 할로겐 램프, 카본 램프 및 루비 램프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선형, 벌브(bulb) 형태 등 다양한 형태의 열원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선형의 열원을 사용하는 경우, 복수 개의 열원 유닛(200)을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열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열원 유닛(200)을 격자 형태로 배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열원 유닛(200)과 몸체(102)의 연결부위에는 오링 등의 밀폐부재(미도시)를 삽입하여 챔버(100) 내부를 밀폐시킴으로써 공정 중 챔버(100) 내의 공정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열원 유닛(200)을 고정홈(109)에 장착한 이후 열원 유닛(200)이 챔버(100) 내부공간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원 유닛(200) 전면에 투과창(미도시)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박막을 증착하는 과정에서 열원 유닛(200)에 박막 물질이 증착되는 것을 억제하여 열원 유닛(20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열원의 표면 일부에는 반사막(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선형 열원의 경우 방사광이 방사상으로 방출되는데, 가열 대상인 서셉터(120)는 열원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열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방사광의 진행 방향을 제어하여 서셉터(120)의 가열 효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열원의 표면 일부에 방사광을 서셉터(120) 측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막(미도시)을 형성할 수도 있다. 반사막은 열원의 중심부로부터 20° 내지 300°범위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반사막이 제시된 범위보다 넓은 범위에 형성되는 경우 방사광이 투과되는 영역이 매우 좁아져 서셉터(120)를 균일하게 가열하기 어렵고, 제시된 범위보다 좁은 범위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반사막을 통해 방사광의 반사되는 정도가 감소하여 서셉터(120)를 효과적으로 가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반사막은 반사율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세라믹이나 Ni 또는 Ni/Au 합금 등의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반사막은 열원 유닛(200)이 설치되는 고정홈(109)의 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홈(109)은 열원에서 방출되는 방사광을 집광할 수 있도록 아치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고정홈(109)의 표면에 반사막을 형성하면 방사광이 고정홈(109)의 표면에서 반사되어 서셉터(120) 측으로 조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방사광의 집광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어 보다 적은 전력을 이용해서 서셉터(120)를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지지부(130)는 도어(110)의 일측면, 다시 말해서 챔버(100)의 전면에 대향하는 면에 연결되어 기판을 지지한다. 지지부(130)는 기판을 서셉터(120)와 평행한 방향으로 지지하며 챔버(100) 내부로 로딩 및 언로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기판으로서 금속 박판을 이용하기 때문에 지지부(130)는 기판을 평평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110) 및 지지부(13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지부(130)에 기판을 장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어(110)의 일측면에는 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30)가 연결된다. 지지부(130)는 도어(110) 일측면의 상부에 연결되는 제1지지대(132a)와, 도어(110) 일측면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지지대(132b) 및 기판(S)을 지지대(132a, 132b)에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부재(134)를 포함한다.
제1지지대(132a)와 제2지지대(132b)는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고, 지지대(132a, 132b)를 관통하는 복수의 고정공(133)이 형성된다.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1지지대(132a)와 제2지지대(132b) 사이에는 제1지지대(132a)와 제2지지대(132b)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바(미도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지지바에도 고정공(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어(110)의 일측면에 연결되는 제1지지대(132a) 및 제2지지대(132b)의 일측에는 기판(S)의 고정 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단턱(135)이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공(133)은 기판(S)을 지지대(132a, 132b)의 양측면에 연결할 수 있도록 지지대(132a, 132b)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고정부재(134)는 기판(S)을 제1 및 제2지지대(132a, 132b)에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고정공(133)에 삽입되는 볼트(134a)와, 볼트(134a)에 체결되는 너트(134b)를 사용하였다.
2개의 기판을 지지대(132a, 132b)에 고정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대(132a, 132b)를 사이에 두고 기판(S)을 지지대(132a, 132b)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하고, 볼트(134a)를 고정공(133)과 기판(S)을 관통시킨 후 볼트(134a)의 단부에 너트(134b)를 체결하여 기판(S)을 지지대(132a, 132b)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기판(S)을 지지대(132a, 132b)에 용이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기판(S)의 가장자리부분에서 고정공(133)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공(SH)을 미리 형성할 수도 있다. 기판(S)은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가 제1지지대(132a) 및 제2지지대(132b)에 각각 고정되어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대면적의 기판(S)도 챔버(100) 내에 세로방향으로 용이하게 로딩할 수 있고, 이에 기판(S)의 하중에 의한 처짐 현상 등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대(132a) 및 제2지지대(132b)는 기판(S) 사이에 개재되어 기판(S)의 상부 및 하부를 이격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공정 수행 시 기판(S) 사이에 공정 가스의 유입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기판(S) 전체에 걸친 균일한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기판(S)의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는 지지대(132a, 132b)에 직접 접촉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기판(S) 사이가 지지대(132a, 132b)에 의해 폐쇄되어 기판(S1)의 상하부방향을 따라 공정가스가 원활하게 흐르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가스주입구(103) 및 가스배출구(101)를 지지대(132a, 132b)의 배치방향과 평행한 방향, 예컨대 도어(110)와 도어(110)에 대향하는 방향에 형성하는 것이 좋다. 다만, 지지대(132a, 132b)에 기판(S) 사이로 공정가스를 유입 및 배출시킬 수 있는 슬릿(131)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가스주입구(103)와 가스배출구(101)를 어느 위치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2개 이상의 기판, 예컨대 4개의 기판(S1, S2, S3, S4)을 지지대(132a, 132b)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과 기판 사이마다 너트(134b)를 개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기판(S)을 지지대(132a, 132b)에 고정하게 되면 너트(134b)가 기판(S)을 지지대(132a, 132b)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도 하지만, 기판(S2, S3, S4) 사이를 이격시키는 스페이서로도 사용되므로 공정 시 공정가스가 기판(S2, S3, S4) 사이사이마다 균일하게 흐를 수 있으므로 모든 기판(S1, S2, S3, S4)에 걸쳐 균일한 처리가 가능해진다.
지지부(130)는 다음과 같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지지부(130)의 변형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지지부에 기판을 장착하기 위해 기판을 프레임에 고정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130)는 일측이 도어(110)의 일측면에 연결되고 복수의 홈(143a, 143b)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대(142a, 142b)를 포함한다. 이때 한 쌍의 지지대(142a, 142b) 사이에는 지지대(142a, 142b)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바(미도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지지대(142a, 142b)는 바형상으로 형성되고, 도어(110)의 일측면 상부에 연결되는 제1지지대(142a)와, 도어(110)의 일측면 하부에 연결되는 제2지지대(142b)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지지대(142a, 142b)는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구비되며, 단부는 챔버(100) 내부를 향한다. 홈(143a, 143b)은 제1 및 제2지지대(142a, 142b)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S)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50)에 고정된 상태로 제1 및 제2지지대(142a, 142b)에 고정되는데, 이때, 프레임(150)에는 제1 및 제2지지대(142a, 142b)에 형성된 홈(143a, 143b)에 대응하는 형상의 고정돌기(15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판(S)을 프레임(150)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고정부재(152)가 프레임(150)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기 때문에 제1 및 제2지지대(142a, 142b)에는 이를 수용하기 위한 홈(143a, 143b)도 형성된다. 또한, 제1 및 제2지지대(142a, 142b)에는 몸체를 관통하는 슬릿(145)이 형성될 수도 있다. 슬릿(145)은 공정 과정에서 챔버(100) 내부로 공급되는 공정가스의 이동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은 고정부재(152)를 통해 프레임(150)에 고정된다. 이때, 프레임(150)은 세라믹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기판(S)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기판(S)을 프레임(150)에 고정시킬 때 기판(S)의 일면 가장자리는 기판(S)과 유사한 형태, 예컨대 사각형태의 프레임(150)에 접촉시키고 고정부재(152)를 이용하여 기판(S)을 프레임(150)에 고정할 수 있는데, 기판(S)의 타면 가장자리에 프레임(150)과 동일한 보조프레임(미도시)이나 기판(S)의 일부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는 보조프레임(151)을 덧대어 고정할 수도 있다. 도면에는 고정부재(152)가 기판(S)의 가장자리부분을 관통시키면서 기판(S)을 프레임(150)에 고정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지만, 고정부재는 기판(S)의 가장자리부분을 프레임(150)에 압착시키는 형태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프레임(150)에는 다양한 형상의 고정돌기(153)가 형성되는데, 고정돌기(153)는 지지대(142a, 142b)에 형성된 홈(143a, 143b)과 맞물려지도록 홈(143a, 143b)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고정돌기(153)가 홈(143a, 143b)에 얹혀져 맞물려지는 형태로, 프레임(150)의 상부는 제1지지대(142a)에, 프레임(150)의 하부는 제2지지대(142b)에 각각 얹혀진 상태로 고정된다.
도 7은 지지부(130)의 또 다른 변형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지지대(146a)의 하부면과 제2지지대(146b)의 상부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47)을 형성한 후 기판(S)이 고정된 프레임(155)을 가이드홈(147)에 슬라이드방식으로 삽입하여 기판(S)을 고정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지지부(130)의 구성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기판(S)을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기판을 지지대에 수직방향으로 고정하여 챔버 내부로 로딩할 수 있다. 이때, 기판의 가장자리부분은 프레임에 고정되기 때문에 두께가 얇은 형태의 기판도 수직방향, 즉 세로방향으로의 로딩이 가능하게 되고, 공정 과정에서 기판이 변형되는 현상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기판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기판 상에 그래핀을 증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판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그래핀을 제조할 때 기판이 가열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에서는 기판을 도 3에 도시된 지지대에 고정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기판(S)을 도어(110)에 연결되어 있는 지지대(132a, 132b)에 상하방향으로 고정한다. 기판(S)은 그 상부 및 하부의 가장자리부분이 지지대(132a, 132b)에 고정되기 때문에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기판(S)은 니켈(Ni), 구리(Cu), 코발트(Co), 몰리브덴(Mo), 마그네슘(Mg), 백금(Pt), 은(Ag), 크롬(Cr), 망간(Mn), 티타늄(Ti) 및 텅스텐(W)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박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대(132a, 132b)에 기판(S)이 고정되면, 도어(110)를 이동시켜 기판(S)을 챔버(100) 내부로 로딩한다. 이때, 도어(110)에 의해 게이트(105)가 폐쇄되며, 기판(S)은 챔버(100) 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서셉터(120) 사이로 배치된다.
이후, 챔버(100) 내의 가스를 배출시켜 챔버(100)의 내부 압력을 진공 상태로 만든다. 이때, 챔버(100)의 내부 압력은 0.01 내지 50torr 범위로 제어될 수 있다.
이어서 열원 유닛(200)을 작동시켜 서셉터(120)를 가열하면서 가스주입구(104)를 통해 공정가스를 공급하여 기판(S) 상에 그래핀을 증착한다. 이때, 서셉터(120)는 800 내지 1050℃ 정도까지 가열될 수 있으며, 공정가스로는 CH4, C2H6, C2H2, C6H6 등과 같이 탄소를 함유하는 가스가 사용될 수 있다. 기판(S) 상에 그래핀이 증착되는 동안 가스주입구(104)를 통해 공정가스가 공급되는 동시에 미반응 가스 및 잔류물 등이 가스배출구(105)를 통해 배출된다.
도 8을 참조하면, 그래핀이 기판(S) 상에 증착되는 과정에서 열원으로부터 조사된 방사광은 윈도우를 투과한 후, 서셉터(120)로 조사된다. 이에 서셉터(120)는 열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방사광에 의해 미리 설정된 온도까지 가열되고, 서셉터(120) 상에 장착된 기판(S)은 가열된 서셉터(120)에 의해 간접적으로 가열된다. 이때, 기판(S)은 가열된 서셉터(120)의 열전달(즉, 복사 또는 전도)에 의해 균일하게 가열되기 때문에 고온에 의해 직접 가열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기판(S)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서셉터(120)가 단열구조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그래핀이 증착되는 동안 기판(S)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그래핀 박막을 균일하게 증착할 수 있다.
이후, 기판(S) 상에 원하는 두께의 그래핀 박막이 증착되면 열원 유닛(20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열원 유닛(200) 및 기판(S)을 냉각시킨다. 이때, 챔버(100) 내부에는 냉각 라인(107)을 통해 질소(N), 아르곤(Ar) 및 헬륨(He)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의 냉각 가스가 공급될 수 있다. 냉각 가스는 챔버(100)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쪽 방향을 통해 챔버(100) 내부로 공급되어 서셉터(120)에 분사된다. 서셉터(120)가 냉각됨에 따라 서셉터(120) 사이에 장착된 기판(S)도 함께 냉각된다. 이와 같이 서셉터(120)의 냉각을 이용하여 기판(S)을 냉각시킴으로써 기판(S) 및 기판(S) 상에 증착된 그래핀 박막의 변형이나 특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렇게 기판(S) 상에 그래핀 박막을 증착한 다음, 그래핀 박막을 기판(S)으로부터 분리하여 원하는 형태의 도전성 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두께가 얇은 대면적의 기판을 챔버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용이하게 로딩할 수 있다. 즉, 기판을 지지부에 수직방향으로 고정시킨 상태로 챔버 내부로 로딩하기 때문에 기판을 로딩하는 과정이나 공정 수행 중 기판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그래핀을 급속 열처리(rapid thermal processing: RTP) 방식을 응용하여 공정 챔버 내에 수용된 기판을 가열하여 그래핀을 대량 생성해 낼 수 있다. 이로써, 전기적, 기계적, 화학적으로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는 그래핀의 상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공정 챔버와, 방사광을 조사하는 열원을 구비하고, 열원의 가열 작용에 의해 1차적으로 서셉터를 가열한 다음, 가열된 서셉터의 열전달(즉, 복사 또는 전도)에 의해 2차적으로 기판이 가열됨에 따라 그래핀 박막을 용이하게 증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S: 기판
100 : 챔버 102 : 몸체
120 : 서셉터 130 : 지지부
150 : 프레임 200 : 열원 유닛

Claims (12)

  1.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방된 챔버 몸체와, 상기 챔버 몸체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챔버와;
    상기 챔버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구비되는 서셉터와;
    상기 도어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서셉터와 평행하게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챔버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고, 상기 서셉터를 가열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원 유닛;
    을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일측에 공정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가스주입구와,
    상기 가스주입구에 대향하는 타측에 상기 챔버 내의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출구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챔버 몸체는 전면 및 적어도 일 측면이 개방된 중공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방되는 측면에 연결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열원 유닛은 상기 커버에 배치되는 기판 처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커버의 일측면에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까지의 길이보다 긴 기판 처리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셉터는 그라파이트(graphite) 또는 탄화규소(SiC)가 코팅된 그라파이트, 탄화규소(Silicon Carbide), 질화규소(Silicon nitride), 알루미나(Al2O3), 질화 알루미늄(Aluminum nitride) 및 석영(Quartz)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기판 처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셉터는 상기 서셉터의 가장자리와 상기 챔버의 내벽을 부분적으로 연결하는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챔버의 내벽에 고정되는 기판 처리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고 복수의 고정공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고정공에 체결되어 기판을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고정공에 삽입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너트;
    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며 복수의 홈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양쪽 가장자리에는 프레임이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홈에 맞물려지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기판 처리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사이에는 상기 한 쌍의 지지대 사이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바가 구비되는 기판 처리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며 서로 대향하는 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한 쌍의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양쪽 가장자리에는 프레임이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딩방식으로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기판 처리 장치.
  12. 청구항 7, 청구항 9 및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이 형성되는 기판 처리 장치.
KR1020120020366A 2012-02-28 2012-02-28 기판 처리 장치 KR101355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366A KR101355644B1 (ko) 2012-02-28 2012-02-28 기판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366A KR101355644B1 (ko) 2012-02-28 2012-02-28 기판 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664A true KR20130098664A (ko) 2013-09-05
KR101355644B1 KR101355644B1 (ko) 2014-01-29

Family

ID=49450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366A KR101355644B1 (ko) 2012-02-28 2012-02-28 기판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564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606B1 (ko) * 2014-02-24 2014-08-22 (주)앤피에스 기판 처리 장치
KR101431607B1 (ko) * 2014-02-24 2014-08-22 (주)앤피에스 기판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방법
KR101472484B1 (ko) * 2014-07-07 2014-12-15 (주)앤피에스 기판 처리 장치
WO2015144558A1 (de) * 2014-03-24 2015-10-01 Aixtron Se Vorrichtung zum abscheiden von nanotubes
WO2015144514A1 (de) * 2014-03-24 2015-10-01 Aixtron Se Auf seinen beiden voneinander wegweisenden breitseiten je ein substrat tragender substratträger
US10643868B2 (en) 2015-12-21 2020-05-05 Nps Corporation Apparatus for processing substrat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20150A1 (en) * 2007-03-05 2008-09-11 Applied Materials, Inc. Microbatch deposition chamber with radiant heating
KR101097718B1 (ko) * 2011-05-31 2011-12-22 에스엔유 프리시젼 주식회사 Cigs 박막 급속 열처리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606B1 (ko) * 2014-02-24 2014-08-22 (주)앤피에스 기판 처리 장치
KR101431607B1 (ko) * 2014-02-24 2014-08-22 (주)앤피에스 기판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판 처리 방법
US9892942B2 (en) * 2014-02-24 2018-02-13 Nps Corporatio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US20150241125A1 (en) * 2014-02-24 2015-08-27 Nps Corporatio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CN106133187A (zh) * 2014-03-24 2016-11-16 艾克斯特朗欧洲公司 在基板支架的两个相背离的宽侧分别支承基板的基板支架
WO2015144514A1 (de) * 2014-03-24 2015-10-01 Aixtron Se Auf seinen beiden voneinander wegweisenden breitseiten je ein substrat tragender substratträger
WO2015144558A1 (de) * 2014-03-24 2015-10-01 Aixtron Se Vorrichtung zum abscheiden von nanotubes
KR20160135356A (ko) * 2014-03-24 2016-11-25 아익스트론 에스이 기판 캐리어의 서로 등지는 2개의 측부들 각각 상에서 기판을 반송하는 기판 캐리어
US20170175254A1 (en) * 2014-03-24 2017-06-22 Aixtron Se Substrate carrier that carries a substrate on each of two broad sides of the substrate carrier that face away from each other
JP2017520675A (ja) * 2014-03-24 2017-07-27 アイクストロン、エスイー ナノチューブを堆積するための装置
TWI648809B (zh) * 2014-03-24 2019-01-21 德商愛思強歐洲公司 在其兩個寬面上各載有基板的基板載具及包含有此基板載具的cvd反應器
US10260147B2 (en) 2014-03-24 2019-04-16 Aixtron Se Device for depositing nanotubes
KR101472484B1 (ko) * 2014-07-07 2014-12-15 (주)앤피에스 기판 처리 장치
US10643868B2 (en) 2015-12-21 2020-05-05 Nps Corporation Apparatus for processing substr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5644B1 (ko) 2014-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5644B1 (ko) 기판 처리 장치
JP5405562B2 (ja) 処理チャンバ内で物体を焼き戻し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9556522B2 (en) High throughput multi-wafer epitaxial reactor
KR102201946B1 (ko) 캐러셀 원자 층 증착을 위한 장치 및 방법들
JP3649323B2 (ja) 薄膜製造装置
KR102109108B1 (ko) 독립형 가열 엘리먼트
US20130084408A1 (en) Vacuum processing apparatus and plasma processing method
KR20140023289A (ko) 원자층 증착을 위한 장치 및 프로세스
JP2016511797A (ja) 空間分離原子層堆積のための装置およびプロセス閉じ込め
JP6418573B2 (ja) 処理モジュール
KR20130098663A (ko) 박막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190603B1 (ko) 기판 처리 장치
KR101525210B1 (ko) 기판 처리장치
KR101431606B1 (ko) 기판 처리 장치
JPS59182964A (ja) プラズマによつて励起される原子又は分子の付加反応によつて基体を被覆する装置
JP4693993B2 (ja) 蒸着リアクタおよび蒸着方法
KR101224059B1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그 처리 방법
KR101182638B1 (ko) 기판 처리 장치
KR101217638B1 (ko) 기판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KR20070013364A (ko) 화학 기상 증착장치의 히터모듈
KR101573035B1 (ko) 기판 처리 장치
KR101593536B1 (ko) 배치식 기판처리 장치
JP2007266595A (ja) プラズマ処理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基板加熱機構
KR102236013B1 (ko) 원자층 증착장치
US10260147B2 (en) Device for depositing nanotub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