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8402A - 슬립 클럭 오류 복구 기법 - Google Patents

슬립 클럭 오류 복구 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8402A
KR20130098402A KR1020137015034A KR20137015034A KR20130098402A KR 20130098402 A KR20130098402 A KR 20130098402A KR 1020137015034 A KR1020137015034 A KR 1020137015034A KR 20137015034 A KR20137015034 A KR 20137015034A KR 20130098402 A KR20130098402 A KR 20130098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keep
transmissions
keep alive
slav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5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3365B1 (ko
Inventor
폴 제이 후스테드
윌리엄 제이 맥팔랜드
데이비드 케이 수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098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8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무선 디바이스는 기능 유닛, 무선 송수신기, 안테나, 및 클럭을 포함한다. 무선 송수신기 및 안테나는 기능 유닛에 연결된다. 클럭은 기능 유닛 및 무선 송수신기에 연결된다. 클럭은 클럭 신호를 발생시킨다. 무선 디바이스는 무선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연결된다. 기능 유닛은 클럭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와의 마지막 킵 얼라이브 송신이 일어난 이후부터의 시간의 양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기능 유닛은, 마지막 킵 얼라이브 송신 이후부터의 결정된 시간의 양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 다수의 킵 얼라이브 송신들, 다음 예정된 킵 얼라이브 송신 시간에 관해 킵 얼라이브 송신들에 대한 적절한 송신 시간들을 결정한다. 기능 유닛은 송신 시간들마다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킵 얼라이브 송신들의 연속적인 송신을 시작한다.

Description

슬립 클럭 오류 복구 기법{SLEEP CLOCK ERROR RECOVERY SCHEME}
이 발명은 무선 통신들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보다 안정적인 저전력 발진기들의 설계에 관한 것이다.
블루투스는 고정 디바이스 및 이동 디바이스로부터 (짧은 길이의 전파들을 이용하여) 단거리들에 걸쳐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무선 프로토콜이다. 블루투스는 저전력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것으로, 팩스들, 이동 전화들, 전화들, 랩탑들, 개인용 컴퓨터들, 프린터들,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들, 디지털 카메라들, 및 비디오 게임 콘솔들과 같은 디바이스들에서 종종 이용된다. 블루투스는 주파수 도약 확산 스펙트럼 (frequency-hopping spread spectrum) 이라고 불리는 무선 기술을 이용하는데, 이는 전송되는 데이터를 파티셔닝하고 범위 2402 MHz - 2480 MHz 에서 1 MHz 대역폭의 79 개의 대역들까지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블루투스 무선 링크는 피코넷의 맥락으로 형성된다. 피코넷은 동일한 물리적 채널을 차지하는 2 개 이상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이는 2 개 이상의 디바이스들이 공통 클럭 및 도약 시퀀스에 동기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통 (피코넷) 클럭은 피코넷의 마스터로 알려진, 피코넷 내의 디바이스들 중 하나의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클럭과 같고, 도약 시퀀스는 마스터의 클럭 및 마스터의 블루투스 디바이스 주소로부터 도출된다. 모든 다른 동기화된 디바이스들은 피코넷에서 슬레이브들이라고 지칭된다.
블루투스는 마스터-슬레이브 구조를 갖는 패킷 기반 프로토콜이다. 하나의 마스터는 피코넷에서 7 개까지의 슬레이브들과 통신할 수도 있으며; 모든 디바이스들은 마스터의 클럭을 공유한다. 패킷 교환은 312.5 ㎲ 간격으로 작동하는 (tick), 마스터에 의해 정의되는 기본 클럭에 기초한다. 2 개의 클럭 작동들은 625 ㎲ 의 슬롯을 이루며; 2 개의 슬롯들은 1250 ㎲ 의 슬롯 쌍을 이룬다. 단일 슬롯 패킷들의 간단한 경우에서, 마스터는 짝수 슬롯들에서 송신하고 홀수 슬롯들에서 수신하며, 슬레이브는, 반대로, 짝수 슬롯들에서 수신하고 홀수 슬롯들에서 송신한다. 패킷들은 1, 3, 또는 5 슬롯 길이일 수도 있으나, 모든 경우들에서 마스터 송신은 짝수 슬롯들에서 시작될 것이고, 슬레이브 송신은 홀수 슬롯들에서 시작될 것이다.
블루투스 사양은 스니프 모드 (sniff mode) 라고 지칭되는 저전력 모드를 포함하는데, 스니프 모드는 좀더 일반적으로는 저전력 슬립 모드, 또는 간결하게 하기 위해 간단히 슬립 모드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스니프 모드에서, 활발히 통신하지 않는 디바이스들은 저전력 (슬립) 상태로 들어갈 수 있으며, 한편 서로에게 "킵 얼라이브" 메시지들 또는 송신들을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다시 말해, 스니프 모드에서, 통신 링크를 수립한 송신기 디바이스 및 수신기 디바이스는 서로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링크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블루투스 키보드 또는 마우스를 이용하고 특정 시간의 기간 동안 입력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 키보드 또는 마우스는 저전력 스니프 모드로 들어갈 것이고, 블루투스 마스터 디바이스 (호스트 컴퓨터) 는 슬레이브 디바이스 (키보드 또는 마우스) 와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링크를 유지할 것이다. 스니프 모드는 배터리로 동작되는 휴먼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들에 최대의 이득을 제공하고, 이러한 디바이스들에 대해 증가된 배터리 수명을 제공한다.
블루투스 사양은, 슬립 중일지라도, 블루투스 디바이스가 3.2 kHz 블루투스 클럭을 유지할 것을 요구한다. 슬립 중에, 블루투스는 클럭이 250 ppm +/- 10 ㎲ 내로 유지될 것을 요구한다. 디바이스가 내부 저전력 발진기 (low power oscillator; LPO) 를 포함하는 경우, 내부 LPO 회로소자는 250 ppm 보다 많이 드리프팅하는 (drift) 클럭을 때때로 생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드리프트는 잡음, 온도에서의 변화, 공급 전압 변동들, 또는 상기의 조합으로 인한 것일 수도 있다.
블루투스 디바이스 클럭이 250 ppm 보다 많이 드리프팅하는 경우들에서, 2 개의 디바이스들은 스니프 모드 중에 통신 링크를 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도 있다. 이는, 마스터 디바이스와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클럭들에서의 차이로 인해,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휴지인 (asleep) 동안 마스터가 스니프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스니프 링크에서의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있어서, 마스터 송신기를 발견할 수 있도록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스캐닝 윈도우를 개방할 수 있다. 슬레이브 디바이스는 보통 원하는 양만큼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윈도우를 개방하여, 링크의 양 측들 상에 250 ppm 의 허용가능한 클럭 드리프트 오류 범위를 허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스캐닝 윈도우를 증가시키는 경우일지라도,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슬립 모드에 있는 경우에는 마스터 디바이스가 여전히 스니프 통신을 송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슬레이브가 +/- 250 ppm 보다 많이 슬레이브의 수신 윈도우를 개방할 것이라고 마스터가 가정할 수 없거나, 마스터가 슬레이브에게 그렇게 하도록 요청할 수 없다. 마스터 디바이스는 정시에 그리고 (클럭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은) 적절한 주파수로 마스터 송신을 수행할 필요가 있거나, 링크 감시 타임아웃의 만료 후에 (링크를 복구시키기 위해 협의되거나 프로그램가능 횟수의 시도들이 있을 수도 있는 타임아웃 중에) 링크를 끊을 것이다.
선행기술에 관련되는 다른 대응하는 문제들은 그러한 선행 기술을 본원에 설명된 실시형태들과 비교한 후에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블루투스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 링크를 유지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마스터 디바이스, 및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저전력 모드 (또는 슬립 모드) 로 들어가는 경우, 마스터 디바이스는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킵 얼라이브 메시지들을 주기적으로 전송하여 통신 링크를 유지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마스터 디바이스는 마지막 성공적인 킵 얼라이브 송신이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전송되었던 이후부터의 시간의 양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마스터 디바이스는 그 다음에 마지막 킵 얼라이브 송신 이후부터의 결정된 시간의 양에 기초하여, 적절한 수의 킵 얼라이브 송신들, 및 킵 얼라이브 송신들을 위한 적절한 송신 시간들을 결정할 수도 있다. 마스터 디바이스는 그 다음에 예정된 시간들에서 복수의 킵 얼라이브 메시지들을 송신하여 통신 링크를 유지할 수도 있다.
이 발명의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읽는 경우,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좀더 완전히 이해될 수도 있는데,
도 1 은 예시적인 블루투스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시스템을 도시하며;
도 2 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블루투스 마스터 송신기 디바이스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며;
도 3 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슬립 클럭 오류들로부터의 복구 방법의 플로우 차트 다이어그램이며;
도 4 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터 무선 디바이스와 슬레이브 디바이스 간의 슬립 모드 송신들에 대한 시간 관계들의 차트를 도시하며;
도 5 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터 무선 디바이스와 슬레이브 디바이스 간의 계획된 슬립 모드 송신들에 대한 예시적인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도시하며;
도 6 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터 무선 디바이스와 슬레이브 디바이스 간의 실제 슬립 모드 송신들에 대한 예시적인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도시하고;
도 7 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슬립 클럭 오류들로부터의 복구 방법의 플로우차트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이 다양한 수정들 및 대안적인 형태들이 가능하긴 하나,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들은 도면들에서 예로서 도시되고 본원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원에 대한 도면들 및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특정 형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고, 반대로,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수정들, 등가물들, 및 대안들을 포함시키고자 함이 이해되어야 한다. 제목들은 단지 구조적 목적들을 위한 것이고, 설명 또는 청구항들을 제한하거나 해석하는데 이용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음에 주의한다. 또한, 단어 "일 수도 있다 (may)" 는, 이 출원 전체에 걸쳐, 의무적인 뜻 (즉, 반드시 그래야 함 (must)) 이 아니라, 자유 재량적인 뜻 (즉, 가능성을 가짐 (having the potential to), 그럴 수 있음 (being able to)) 으로 이용됨에 주의한다. 용어 "포함하다", 및 그것의 파생들은 "포함하나, 그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를 의미한다. 용어 "연결되는" 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슬립 모드" 를 포함하고 2 개의 디바이스들 간에 송신되는 메시지들을 이용하는 다양한 무선 통신 시스템들 중 임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될 수도 있으며, 여기서 2 개의 디바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는 저전력 모드로 배치되어 2 개의 디바이스들 간의 통신 링크를 유지할 수도 있다. 블루투스 (Bluetooth) 시스템의 맥락에서 하기에 실시형태들이 설명된다. 본원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용어 "블루투스" 는 표준의 과거, 현재, 및 미래 버전들을 포함하여, 블루투스 무선 통신 표준을 지칭한다. 하기의 실시형태들은 예시이고 실시형태들은 다른 유사한 유형의 시스템들에 적용될 수도 있음에 다시 한번 주의한다. 각각, 블루투스 특정 용어들 "스니프 모드" 및 "스니프 프레임" 을 총칭적으로 지칭하고 그에 대응하게, 용어들 "슬립 모드" 및 "슬립 프레임" 이 본원에서 이용됨에 또한 주의한다. 또한, 본원에서 이용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 특정 용어 "스니프 패킷" 을 총칭적으로 지칭하고 그에 대응하게, 용어 "킵 얼라이브 (keep alive) 송신" 또는 "킵 얼라이브 메시지" 가 이용된다.
도 1 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예시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 의 예시적인 시스템은 블루투스 시스템이다. 예시적인 시스템은, 블루투스 송신기/수신기, 즉, 송수신기로 동작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컴퓨터 시스템 (102) 을 포함한다. 컴퓨터 시스템 (102) 은,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표준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메모리, 디스플레이, 및 다른 다양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와 같은 다양한 표준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컴퓨터 시스템 (102) 은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블루투스 송신/수신, 즉, 송수신기, 디바이스 (200, 도 2) 를 포함한다.
컴퓨터 시스템 (102) 은, 도시된 바와 같은, 블루투스 키보드 (112), 블루투스 마우스 (114), 및/또는 블루투스 헤드셋 (116) 과 같은 하나 이상의 주변 디바이스들과 통신한다. 주변 디바이스들 (112, 114, 116) 의 각각은 호스트 컴퓨터 (102) 와 무선 방식으로 통신하는 배터리 (또는 다른 휴대용 에너지 소스) 로 동작되는 디바이스들일 수도 있다.
다른 것들 중에서,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시스템들, 스마트 폰들이나 다른 이동 전화들, 마이크들, 스피커들, 디지털 카메라들, 광 펜들, 조이스틱들, 팩스 기계들, 프린터들,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들,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들, 디지털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재생기들, 및 비디오 게임 콘솔들 중 임의의 것과 같은, 다른 유형의 무선 디바이스들이 고려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 대신에, 또는 그에 더해, 무선 디바이스는 일부 다른 유형의 기능들, 예를 들어,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주문형 집적 회로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와 같은 프로그램가능 하드웨어 소자를 사용할 수도 있음에 또한 주의한다. 본원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기능 유닛" 은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고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컴포넌트 (또는 컴포넌트들) 을 지칭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도 1 은 단지 예일 뿐이고, 실시형태들은 무선 방식으로 서로 통신하는 디바이스들의 다양한 조합들 중 임의의 것과 동작할 수도 있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블루투스 디바이스들 중 임의의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도 있는 예시적인 블루투스 마스터 송수신기 디바이스 (200) 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블루투스 마스터 송수신기 디바이스 (200) 는 마스터 송신기 (또는 송수신기) 디바이스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 디바이스 (200) 는 기능 유닛, 예를 들어, 메모리 (204) 에 연결되는 프로세서 (202) 를 포함하나, 원한다면, 다른 유형의 기능 유닛, 예를 들어,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주문형 집적 회로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등과 같은 프로그램가능 하드웨어 소자들 원한다면 이용될 수도 있다. 블루투스 디바이스 (200) 는 또한 안테나 (206) 및, 클럭 (210), 예를 들어, 저전력 발진기를 포함하여, 블루투스 통신들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블루투스 회로소자 (208) 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클럭은 다양한 방식들 중 임의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또한, 디바이스 내의 다른 곳에 위치될 수도 있음에 주의해야 한다.
메모리 (204) 는 블루투스 디바이스 (200) 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유형의 프로그램 명령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 (204) 는 또한 오류 복구 프로그램 명령들 (212) 을 저장할 수도 있다. 오류 복구 프로그램 명령들 (212) 은 본원에서 설명된 방법들 및 기능들, 예를 들어, 도 3 - 도 7 의 플로차트들 및 타이밍 다이어그램들에서 설명된 방법들 및 기능들의 실시형태들을 수행하도록 프로세서 (202) 에 의해 실행가능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본원에 개시된 오류 복구 기능은, 원한다면, 하드웨어로, 예를 들어, 적절하게 구성된 프로그램가능 하드웨어, 예를 들어, FPGA 나 다른 로직,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좀더 일반적으로, 오류 복구 기능은 기능 유닛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 은 클럭 오류로부터 복구하는 방법의 일 실시형태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다이어그램이다. 방법은 컴퓨터 시스템 (102) 과 같은 마스터 송신기로서 동작하는 블루투스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마스터 무선 디바이스는 슬립 모드 (302), 예를 들어, 블루투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스니프 모드로 들어갈 수도 있다. 마스터 무선 디바이스는, 슬립 모드에서도,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무선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연결된다. 마스터 무선 디바이스 및 슬레이브 무선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무선 디바이스가 유휴이기 때문에 슬립 모드로 들어갈 수도 있고, 슬립 모드 (즉, 저전력 슬립 모드, 또는 스니프 모드) 로 들어가도록 결정하여, 예를 들어, 배터리 전력을 아낀다. 예를 들어, 슬레이브 무선 디바이스가 블루투스 키보드이고, 미리 결정된 시간의 양 동안 사용자가 키보드에 어떠한 입력도 입력하지 않은 (키보드 상의 어떠한 키들도 누르지 않은) 경우, 블루투스 키보드는 슬립 (예를 들어, 스니프) 모드로 들어갈 수도 있다.
마스터 무선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무선 디바이스와의 마지막 성공적인 킵 얼라이브 송신이 일어난 이후부터의 시간의 양을 결정한다 (304). 성공은,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송신에 뒤따르는 수신 확인 (receipt acknowledgment) 으로 정의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마지막 킵 얼라이버 송신의 검출 이후부터의 특정 시간의 양의 경과는 하기에서 설명된 블록 306 - 블록 308 에서 서술된 동작들을 유발할 것이다. 마스터 무선 디바이스는 슬레이브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 킵 얼라이브 프레임들의 개수, 및 킵 얼라이브 송신들을 송신하기 위한 적절한 시간들과 주파수 채널들을 결정한다 (306).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킵 얼라이브 프레임들의 개수는 복수이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마스터 무선 디바이스는, 블록 304 에서 결정된 바와 같은, 마지막 킵 얼라이브 송신이 일어난 이후부터의 시간의 양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 다수의 킵 얼라이브 송신들을 결정한다.
블록 306 에서 슬레이브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 다수의 킵 얼라이브 송신들을 결정할 시에, 마스터 무선 디바이스는 하기에 논의된, 도 4 의 표와 같은 데이터 구조를 검사할 수도 있다. 마스터 무선 디바이스는 또한 데이터 구조를 검사함으로써 킵 얼라이브 프레임들에 대한 적절한 송신 시간들을 결정할 수도 있다. 데이터 구조는 메모리 (204) 의 오류 복구 프로그램 명령들 (212) 에 저장될 수도 있다. 마스터 디바이스는 선택된 개수의 킵 얼라이브 프레임들의 송신을 시작한다 (308). 블록 306 - 블록 308 에서 수행된 동작들은 반복된 실패들에 응답하여 반복되어 슬레이브 디바이스로부터의 송신을 검출할 수 있고,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다양한 반복들에 대한 송신 시간들은 각각의 반복시의 상황들에 응답하여 상이하게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형태들은 예상되거나 예측된 클럭 드리프트 레이트를 조정하여, 블록 306 - 블록 308 에 관해 상술된 동작들의 반복된 실행들에 응답하여 송신 수들 및 간극들을 재계산할 수도 있다.
도 4 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터 무선 디바이스와 슬레이브 디바이스 간의 슬립 모드 송신들 (킵 얼라이브 송신들) 에 대한 시간 관계들의 차트를 도시한다. 표 (400) 는, 1.25 밀리초 떨어져 다수의 킵 얼라이브 패킷들 (또는 스니프 프레임들) 의 세트를 전송하는 경우가 성공적인 클럭 복구를 초래할 것 같은지를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일련의 값들을 나타낸다. 표 (400) 는 625 마이크로초의 슬롯 기간을 나타낸다. 표 엔트리들 (402 - 414) 의 각각에 있어서, 슬롯들의 수는 슬롯 열 (416) 에 표시된다. 표 엔트리들 (402 - 414) 의 각각에 있어서, 시간 열 (418) 은 슬롯 열 (416) 에 표시된 625 마이크로초의 슬롯들의 개수에 대한 시간의 양을 표시한다.
표 엔트리들 (402 - 414) 의 각각에 있어서, 오류 열 (420) 은 허용된 오류 용인 또는 예측된 클럭 드리프트 오류 범위로 나타내어진 오류의 정도를 표시한다. 표 (400) 의 경우에서, 예측된 클럭 드리프트 오류 레이트의 250 ppm 의 오류 용인은 오류 열 (420) 에 나타내어진다. 오류 열 (420) 은, 엔트리들의 슬롯 열 (416) 에서의 각각의 선택된 개수의 슬롯들에 대해, 250 ppm 만큼 부정확한 크리스탈 (crystal) 로부터 기인할 오류의 양을 도시한다. LPO 주파수가 250 ppm 만큼 잘못 조정된 경우, 오류 열 (420) 에 리스트된 양은 예상된 클럭 드리프트 또는 예측된 클럭 드리프트이다. 오류 열 (420) 은 시간 열 (418) 에 수용가능한 오류 부분 (예를 들어, 클럭 드리프트 레이트) 을 곱함으로써 계산되는데, 표 (400) 의 경우에서, 엔트리 (402) 에 있어서, 12.5 밀리초에 시간 열 (420) 의 값인 250 을 곱하고, 백만으로 나누어 오류 열 (420) 에 3.125 마이크로초의 값을 발생시켜 산출한다.
오류 프레임 열 (422) 은 오류 열 (420) 에 열거된 오류의, 동등한 개수의 블루투스 송신 프레임들로의 변환을 표현한다. 하나의 프레임은 2 개의 슬롯들로 구성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슬롯 기간은 625 마이크로초이다. 따라서, 각각의 프레임은 1.25 밀리초이다. 블루투스 디바이스들은 슬롯들 및 프레임들에서의 시간을 지킨다. 스니프 간격들은, 예를 들어, 보통 프레임들 또는 슬롯들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스니프 간격은 20 개의 슬롯들 (또는 160 또는 320) 로 계산될 수 있다. 엔트리들 (402) 의 각각은 슬롯 열 (416) 에서 주어진 스니프 간격에 대한 오류 프레임 열 (422) 에서의 가능성 있는 (potential) 드리프트의 프레임들의 개수를 제공한다. 슬롯 열 (416) 의 값은 슬레이브 디바이스와의 마지막 접촉 이후부터 얼마나 많은 슬롯들이 지났는지를 표현하는 동기 기간으로 생각될 수 있다.
표 (400) 는, 스니프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오류와 연관된 가능성 있는 시간의 길이가 증가하는 프레임들의 개수를 표현함을 입증한다. 스니프 기간과, 오류와 연관된 가능성 있는 시간의 길이 간의 관계를 결정하는 것은 슬레이브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의 확률을 증가시키기 위해 전송될 수 있는 다수의 킵 얼라이브 메시지들 (스니프 패킷들) 의 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LPO 가 정확히 250 ppm 이라는 사항이 주어지면, 그 다음에 16000 슬롯 기간 후에, 대략 +/- 2 프레임의 불확실성이 전개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LPO 주파수에서 가능한 오류가 1000 ppm 만큼 높다고 디바이스가 결정하는 경우, 예를 들어, 이 열의 값들은 4 가 곱해질 수 있어, 16000 슬롯 기간에 걸쳐 대략 +/- 8 프레임의 불확실성을 준다. 전송하기 위한 다수의 마스터 송신들은 그러면 나타내어진 오류의 반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5 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마스터 무선 디바이스와 슬레이브 디바이스 간의 계획된 킵 얼라이브 송신들에 대한 예시적인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5 는 마스터 시간선 (500) 및 슬레이브 시간선 (502) 을 포함한다. 마스터 시간선 (500) 은 일련의 송신 윈도우들 (504 - 512) 및 수신 윈도우들 (514 - 522) 을 포함한다. 슬레이브 시간선 (502) 은 송신 윈도우 (524) 및 수신 윈도우 (526) 를 포함한다.
도 5 에 묘사된 예에서, 마스터 클럭은 슬레이브 시간선 (502) 과의 정렬에서 시간 400 ppm 에 마스터 시간선 (500) 을 발생하는 오류와 마주친다. 마스터 디바이스와 슬레이브 디바이스 간의 통신 링크를 복구하기 위해, 마스터 디바이스가 송신 윈도우 (504 - 512) 에서 5 개까지의 킵 얼라이브 송신들을 송신할 것을 마스터가 결정한다. 마스터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자원 관리자 (Bluetooth resource manager; BRM) 는 정상보다 2 슬롯 먼저 마스터 시스템을 깨우는데, 예를 들어, 송신 윈도우 (504) 에서, 2 만큼 프레임 카운트를 조정하고, 블루투스 회로소자가 킵 얼라이브 송신을 발생시킬 것을 요청한다. 슬레이브 디바이스로부터 회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BRM 은 슬립 시간 위치로 프레임 카운트를 다시 조정하고 송신 윈도우 (506) 에서 재송신할 것이다. 송신들은, 5 회까지, 위의 예에서, 약 -1000 ppm (송신 윈도우 (504)), -500 ppm (송신 윈도우 (506)), 정시 (송신 윈도우 (508)), +500 ppm (송신 윈도우 (510)), 및 +1000 ppm (송신 윈도우 (512)) 에 일어나도록 계획된다. 도 5 의 예에서, 슬레이브 클럭은 마스터 클럭과의 정렬에서 400 ppm 이여서, 송신 윈도우 (510) 에서의 4 번째 송신은 슬레이브 수신 윈도우 (526) 에서 도착할 것이고, 마스터 수신 윈도우 (520) 에서 수신되는 슬레이브 송신 (524) 으로 회답될 것이다.
슬립 응답이 발견되면, 마스터는 슬레이브가 응답하고 링크가 계속될 수 있는 스니프 송신을 생성하는 클럭이 되도록 마스터의 클럭을 조정할 수도 있다. 마스터 클럭을 조정하는 것은 마스터 클럭이 오류 상태에 있다는 가정을 포함하고, 슬레이브 클럭과 매칭하도록 마스터 클럭을 조정함으로써, 마스트 클럭이 정정된다. 그러나, 오류가 슬레이브 클럭에서였을지라도, 슬레이브 클럭에 대한 재동기화는 많은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이득을 제공할 것이다. 클럭들이 재정렬되기 때문에, 실시형태들은 링크가 유지될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돕는다. 비교적 긴 시간의 기간들 동안 어떠한 응답들도 없이, 슬립 중에 시간에 민감한 동기 데이터를 활발하지 않게 전송하는 경향이 있는, 그러한 경우를 겪을 수도 있는, 동기식 접속 지향 (Synchronous Connection Oriented; SCO) 링크들과 같은 동기 링크들이 실시형태들에서 이용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송신 윈도우들 (504 - 512) 에서의 슬립 송신들은 우선 프레임들로 취급된다. (공존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다른 블루투스 또는 WLAN 트래픽에 의해 송신들이 먼저 점유된 경우, 슬립 응답이 발견되지 않는다면 다음의 슬립 기간은 또한 슬립 복구를 이용할 것이다.
모든 프레임에서 킵 얼라이브 송신들을 전송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송신기는 하나의 슬립 앵커 (anchor) 에서 어떤 프레임 기간들에, 그 다음에 다른 슬립 앵커에서 다른 슬립 기간들에 송신하도록 선택적으로 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기는 하나의 슬립 앵커에서 짝수 프레임 오프셋들 (-4, -2, 0, 2, 4) 로, 그 다음에 다음 앵커에서 홀수 프레임 오프셋들로 전송하도록 택할 수 있다. 그러한 실시형태들은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택해질 수도 있고, 슬레이브가 이제 1 개의 전체 프레임 기간보다 많은 기간 동안 개방된 윈도우를 가질 것이기 때문에, 디바이스가 슬립 응답 없이 5 초보다 많이 지난 경우 유용함을 증명할 수도 있다. 그러한 실시형태들은 또한 마스터가 전송할 다른 블루투스 트래픽을 가지거나, 공존 인터페이스 상의 WLAN 트래픽이 어떤 트래픽을 위한 매체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유용함을 증명할 수도 있다.
본 개시물을 읽는다는 것을 고려하면, 도 5 에 묘사된 송신들이 프레임 경계들에 대응하도록 정렬되나, 일부 실시형태들은 본 개시물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수백 마이크로초의 증분들로 클럭의 분해능을 조정함으로써 프레임 경계들에 걸치는 송신들을 포함함을 당업자는 알아차릴 것이다. 또한, 본원에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이 간결함을 위해 단일 마스터 및 단일 슬레이브에 관해 설명되나, 본 개시물을 읽는다는 것을 고려하면, 본 개시물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수의 슬레이브들을 지원하는 실시형태들이 구현될 수도 있음을 당업자는 알아차릴 것이다. 다수의 스니프 링크들을 수용하기 위한 해결책들은 다수의 마스터-슬레이브 관계들의 오직 단일 링크에 대한 복구를 위한 지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실시형태들은 다수의 슬레이브 링크들에 대한 다수의 마스터 클럭들을 구현한다.
도 6 은 도 5 에서 보여진 계획된 시간 다이어그램에 대한 예시적인 결과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6 은 마스터 시간선 (600) 및 슬레이브 시간선 (602) 을 포함한다. 마스터 시간선 (600) 은 일련의 송신 윈도우들 (604 - 610) 및 수신 윈도우들 (614 - 620) 을 포함한다. 슬레이브 시간선 (602) 은 송신 윈도우 (624) 및 수신 윈도우 (626) 를 포함한다.
도 6 에 묘사된 예에서, 마스터 클럭은 슬레이브 시간선 (602) 에 대해 시간 400 ppm 오프셋으로 마스터 시간선 (600) 에서 발생하는 오류와 마주친다. 마스터 디바이스와 슬레이브 디바이스 간의 통신 링크를 복구하기 위해, 송신 윈도우들 (604 - 610) 에서, 단지 4 개만이 실제로 송신될지라도, 마스터는 5 개까지의 슬립 송신들을 송신할 것을 계획한다. 마스터 디바이스의 BRM 은 정상보다 2 슬롯 먼저 마스터 시스템을 깨우는데, 예를 들어, 송신 윈도우 (604) 에서, 2 만큼 프레임 카운트를 조정하고, 블루투스 회로소자가 슬립 송신을 발생시킬 것을 요청한다. 슬레이브로부터 회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BRM 은 슬립 시간 위치로 프레임 카운트를 다시 조정하고 송신 윈도우 (606) 에서 재송신한다. 이는, 5 회까지, 위의 예에서, 약 -1000 ppm (송신 윈도우 (604)), -500 ppm (송신 윈도우 (606)), 정시 (송신 윈도우 (608)), +500 ppm (송신 윈도우 (510)), 및 +1000 ppm (취소로 인해 미도시)) 으로 일어나도록 계획된다. 예에서, 슬레이브 클럭은 마스터 클럭과 상이한 400 ppm 이여서, 송신 윈도우 (510) 에서의 4 번째 송신은 슬레이브 수신 윈도우 (626) 에 도착할 것이고, 마스터 수신 윈도우 (620) 에서 수신되는 슬레이브 송신 (624) 으로 회답될 것이다.
슬립 응답이 발견되면, 마스터는 슬레이브 클럭에 대해 마스터의 클럭을 조정할 수도 있고, 조정된 시간 값 (628) 으로 반영됨에 따라, 링크는 계속될 수 있다. 그에 포함된 가정은, 마스터 클럭이 오류 상태에 있고, 슬레이브 클럭을 조정함으로써 마스터 클럭이 이제 정정된다는 것이다.
도 7 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슬립 클럭 오류들로부터의 복구 방법의 플로우차트 다이어그램이다. 방법은 컴퓨터 시스템 (102) 과 같은 마스터 송신기로서 동작하는 블루투스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마스터 무선 디바이스는 슬립 모드 (702), 예를 들어, 블루투스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스니프 모드로 들어갈 수도 있다. 마스터 무선 디바이스는, 슬립 모드에서도,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무선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연결된다. 마스터 무선 디바이스 및 슬레이브 무선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무선 디바이스가 유휴이기 때문에 슬립 모드로 들어갈 수도 있고, 슬립 모드 (즉, 저전력 슬립 모드, 또는 스니프 모드) 로 들어가도록 결정하여, 예를 들어 배터리 전력을 아낀다. 예를 들어, 슬레이브 무선 디바이스가 블루투스 키보드이고, 미리 결정된 시간의 양 동안 사용자가 키보드에 어떠한 입력도 입력하지 않은 (키보드 상의 어떠한 키들도 누르지 않은) 경우, 블루투스 키보드는 슬립 (예를 들어, 스니프) 모드로 들어갈 수도 있다.
마스터 무선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무선 디바이스와의 마지막 성공적인 킵 얼라이브 송신이 일어난 이후부터의 시간의 양을 결정한다 (704). 성공은,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송신에 뒤따르는 수신 확인으로 정의된다. 마스터 무선 디바이스는 슬레이브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 슬립 프레임들의 개수, 및 복수의 킵 얼라이브 송신들을 송신하기 위한 적절한 시간들을 결정한다 (706). 또한, 일부 실시형태들에서는, 적절한 채널 주파수들이 결정된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슬립 프레임들의 개수는 복수이다.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마스터 무선 디바이스는, 블록 704 에서 결정된 바와 같은, 마지막 킵 얼라이브 송신이 일어난 이후부터의 시간의 양에 기초하여 슬레이브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 다수의 킵 얼라이브 송신들을 결정할 수도 있다.
블록 706 에서 슬레이브 무선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 다수의 킵 얼라이브 송신들을 결정할 시에, 마스터 무선 디바이스는 위에서 논의된 도 4 의 표와 같은 데이터 구조를 검사할 수도 있다. 마스터 무선 디바이스는 또한 데이터 구조를 검사함으로써 슬립 프레임들에 대한 적절한 송신 시간들을 결정할 수도 있다. 마스터 무선 디바이스는, 일부 실시형태들에서, 또한 링크 감시 타임아웃까지 남아있는 시간의 양을 고려할 수도 있다. 그러한 실시형태들에서, 링크 감지 타임아웃의 다가옴에 대한 응답으로 다수의 스니프 프레임들의 좀더 적극적인 송신이 적절할 수도 있다. 데이터 구조는 메모리 (204) 의 오류 복구 프로그램 명령들 (212) 에 저장될 수도 있다. 마스터 디바이스는 그 다음에 킵 얼라이브 송신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슬립 프레임을 송신한다 (708).
슬레이브 응답이 수신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710). 슬레이브 응답이 수신된 경우, 마스터 클럭이 조정된다 (712). 슬레이브 응답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접속이 타임아웃되었는지 여부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714). 접속이 타임아웃된 경우, 접속이 종료된다 (716). 접속이 타임아웃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스는 위에서 설명된 블록 708 로 돌아간다.
위의 실시형태들이 상당히 자세히 설명되었으나, 위의 개시물이 충분히 이해되면 다양한 변동들 및 수정들이 당업자에게 자명해질 것이다. 다음의 청구항들은 모든 그러한 변동들 및 수정들을 포괄하도록 해석되고자 한다.

Claims (20)

  1. 무선 디바이스로서,
    기능 유닛;
    상기 기능 유닛에 연결되는 무선 송수신기 및 안테나; 및
    상기 기능 유닛 및 상기 무선 송수신기에 연결되고,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클럭을 포함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기능 유닛은,
    a) 상기 클럭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와 마지막 킵 얼라이브 송신 (keep alive transmission) 이 일어난 이후부터의 시간의 양을 결정하고;
    b) 상기 마지막 성공적인 킵 얼라이브 송신 이후부터의 결정된 상기 시간의 양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 다수의 킵 얼라이브 송신들, 및 다음 예정된 킵 얼라이브 송신 시간에 관해 상기 킵 얼라이브 송신들을 위한 적절한 송신 시간들을 결정하며;
    c) 결정된 상기 송신 시간들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상기 다수의 킵 얼라이브 송신들의 연속적인 송신을 시작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유닛은,
    상기 킵 얼라이브 송신들을 위한 적절한 주파수 채널들을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상기 다수의 킵 얼라이브 송신들 중 적어도 하나의 킵 얼라이브 송신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로부터 킵 얼라이브 송신을 수신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킵 얼라이브 송신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수의 킵 얼라이브 송신들의 연속적인 송신을 중단시킴으로써, 상기 다수의 킵 얼라이브 송신들의 임의의 잔여분을 송신하지 않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킵 얼라이브 송신에 기초하여 상기 클럭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대해 상기 클럭을 동기화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송신하기 위한 상기 다수의 킵 얼라이브 송신들을 결정하기 위해,
    상기 기능 유닛은,
    예측된 클럭 드리프트 오류 레이트에 더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킵 얼라이브 송신들 및 적절한 송신 시간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유닛은, 특정 시간의 양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로부터 킵 얼라이브 송신을 검출하는 것에 대한 실패에 응답하여 상기 a) - c) 를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유닛은,
    상기 특정 시간의 양 동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로부터 킵 얼라이브 송신을 검출하는 것에 대한 각각의 실패에 응답하여 매번, 상기 a) - c) 의 복수 횟수 반복들을 수행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반복들 중 적어도 2 회의 반복에 대한 상기 적절한 송신 시간들은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유닛은,
    상기 a) - c) 를 특정 횟수 수행한 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로부터 킵 얼라이브 송신을 검출하는 것에 대한 실패에 응답하여 예측된 클럭 드리프트 레이트를 증가시키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킵 얼라이브 송신들의 각각의 송신은 송신 프레임 경계에서 일어나는, 무선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유닛은,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유닛은,
    프로그램가능 하드웨어 소자; 또는
    주문형 집적 회로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11. 무선 마스터 디바이스가, 클럭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와의 무선 접속에 대한 마지막 킵 얼라이브 송신이 일어난 이후부터의 시간의 양을 결정하는 단계;
    마지막 성공적인 킵 얼라이브 송신 이후부터의 결정된 상기 시간의 양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 다수의 킵 얼라이브 송신들, 및 다음 예정된 킵 얼라이브 송신 시간에 관해 상기 킵 얼라이브 송신들을 위한 적절한 송신 시간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송신 시간들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상기 다수의 킵 얼라이브 송신들의 연속적인 송신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슬립 클럭 오류로부터 복구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킵 얼라이브 송신들을 위한 적절한 주파수 채널들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상기 다수의 킵 얼라이브 송신들 중 적어도 하나의 킵 얼라이브 송신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로부터 킵 얼라이브 송신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킵 얼라이브 송신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수의 킵 얼라이브 송신들의 연속적인 송신을 중단시킴으로써, 상기 다수의 킵 얼라이브 송신들의 임의의 잔여분을 송신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슬립 클럭 오류로부터 복구하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킵 얼라이브 송신에 기초하여 상기 클럭을 조정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무선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상기 클럭을 동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슬립 클럭 오류로부터 복구하는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기 위한 상기 다수의 킵 얼라이브 송신들을 결정하는 것은 예측된 클럭 드리프트 오류 레이트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킵 얼라이브 송신들 및 적절한 송신 시간들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슬립 클럭 오류로부터 복구하는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킵 얼라이브 송신들의 각각의 송신은 송신 프레임 경계에서 일어나는, 슬립 클럭 오류로부터 복구하는 방법.
  16. 실행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컴퓨터들로 하여금 방법을 구현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명령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무선 마스터 디바이스가, 클럭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와의 무선 접속에 대한 마지막 킵 얼라이브 송신이 일어난 이후부터의 시간의 양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마지막 킵 얼라이브 송신 이후부터의 결정된 상기 시간의 양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 다수의 킵 얼라이브 송신들, 및 다음 예정된 킵 얼라이브 송신 시간에 관해 상기 킵 얼라이브 송신들을 위한 적절한 송신 시간들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송신 시간들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상기 다수의 킵 얼라이브 송신들의 연속적인 송신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상기 다수의 킵 얼라이브 송신들 중 적어도 하나의 킵 얼라이브 송신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로부터 킵 얼라이브 송신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킵 얼라이브 송신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다수의 킵 얼라이브 송신들의 연속적인 송신을 중단시킴으로써, 상기 다수의 킵 얼라이브 송신들의 임의의 잔여분을 송신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킵 얼라이브 송신에 기초하여 상기 클럭을 조정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무선 슬레이브 디바이스에 상기 클럭을 동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기 위한 상기 다수의 킵 얼라이브 송신들을 결정하는 것은 예측된 클럭 드리프트 오류 레이트에 기초하여 상기 다수의 킵 얼라이브 송신들 및 적절한 송신 시간들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킵 얼라이브 송신들의 각각의 송신은 송신 프레임 경계에서 일어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37015034A 2010-11-12 2011-11-11 슬립 클럭 오류 복구 기법 KR1014633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45,067 2010-11-12
US12/945,067 US8504889B2 (en) 2010-11-12 2010-11-12 Sleep clock error recovery scheme
PCT/US2011/060383 WO2012065069A1 (en) 2010-11-12 2011-11-11 Sleep clock error recovery sche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8402A true KR20130098402A (ko) 2013-09-04
KR101463365B1 KR101463365B1 (ko) 2014-11-19

Family

ID=45217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5034A KR101463365B1 (ko) 2010-11-12 2011-11-11 슬립 클럭 오류 복구 기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04889B2 (ko)
EP (1) EP2638743B1 (ko)
JP (1) JP5612221B2 (ko)
KR (1) KR101463365B1 (ko)
CN (1) CN103202072B (ko)
WO (1) WO201206506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5859A (ko) * 2015-02-04 2016-08-12 전자부품연구원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링크 품질 판단 방법
KR20190105676A (ko) * 2014-11-04 2019-09-1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제 2 수신기를 이용한 저 전력 불연속 수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04889B2 (en) * 2010-11-12 2013-08-06 Qualcomm Incorporated Sleep clock error recovery scheme
US20130064337A1 (en) * 2011-09-12 2013-03-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Hysteresis Timer Adjustments for Clock Gating
US8995908B2 (en) * 2012-01-25 2015-03-31 Blackberry Limited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providing enhanced out of band (OOB) bluetooth pairing and related methods
WO2013181356A1 (en) 2012-05-30 2013-12-05 Zhong Li Instantaneous detection of biomarks and uses thereof
US9806892B2 (en) * 2012-07-13 2017-10-31 Zte Corporation Optical network unit power management in passive optical networks
CN104244239A (zh) * 2013-06-06 2014-12-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热点的启动装置、方法及系统
US10154106B2 (en) 2013-11-28 2018-12-11 Huawei Device (Dongguan) Co., Ltd. Method for sending heartbeat message and mobile terminal
US9788288B2 (en) * 2014-01-13 2017-10-10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CN109691191B (zh) * 2016-09-14 2020-11-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时钟同步的方法及设备
CN107040742B (zh) 2017-03-10 2019-10-18 浙江宇视科技有限公司 一种异常检测方法及网络硬盘录像机nvr及视频服务器
CN112019305B (zh) * 2019-05-28 2023-04-1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152745B (zh) * 2019-08-07 2021-09-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时间同步方法、时间同步发送端、接收端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3648A (en) * 1996-08-13 1999-09-1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clock error in a remote communication device
US6735454B1 (en) * 1999-11-04 2004-05-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a high frequency clock following a sleep mode within a mobile station operating in a slotted paging mode
GB2371449A (en) * 2001-01-22 2002-07-24 Nokia Mobile Phones Ltd Synchronizing a new device to a synchronized network of devices
US7522689B2 (en) * 2002-09-23 2009-04-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lock recovery in communication systems
US7701858B2 (en) * 2003-07-17 2010-04-20 Sensicast Systems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a mesh network
US7330736B2 (en) * 2004-12-17 2008-02-12 Bbn Technologies Corp.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ed energy communication in an ad hoc network
WO2006069067A2 (en) * 2004-12-20 2006-06-29 Sensicast Systems Method for reporting and accumulat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1886415B1 (en) * 2005-06-01 2016-01-20 III Holdings 3, LLC Communicating over a wireless network
US7529531B2 (en) * 2005-11-09 2009-05-05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estimating a sleep clock frequency
US7921316B2 (en) * 2007-09-11 2011-04-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luster-wide system clock in a multi-tiered full-graph interconnect architecture
US8005065B2 (en) * 2007-09-11 2011-08-23 Qualcomm Incorporated Keep-alive for wireless networks
US8155055B2 (en) * 2007-09-14 2012-04-1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utomatic re-connection of a previously lost connection in a frequency hopping communication system
US7979420B2 (en) * 2007-10-16 2011-07-12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Handling silent relations in a data stream management system
US7886175B1 (en) * 2008-03-05 2011-02-08 Juniper Networks, Inc. Delaying one-shot signal objects
US8294566B2 (en) * 2008-05-02 2012-10-23 Escherlogic Inc. Emergency warning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8023425B2 (en) * 2009-01-28 2011-09-20 Headwater Partners I Verifiable service billing for intermediate networking devices
KR101537043B1 (ko) * 2008-06-18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서버와의 연결 유지 방법 및시스템
WO2010022771A1 (en) * 2008-08-27 2010-03-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bsolute control of virtual switches
US8504889B2 (en) * 2010-11-12 2013-08-06 Qualcomm Incorporated Sleep clock error recovery sche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5676A (ko) * 2014-11-04 2019-09-1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제 2 수신기를 이용한 저 전력 불연속 수신
KR20160095859A (ko) * 2015-02-04 2016-08-12 전자부품연구원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링크 품질 판단 방법
US9635701B2 (en) 2015-02-04 2017-04-25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Method for determining link quality in wireless network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44467A (ja) 2013-12-12
EP2638743A1 (en) 2013-09-18
US8504889B2 (en) 2013-08-06
US20120124444A1 (en) 2012-05-17
JP5612221B2 (ja) 2014-10-22
WO2012065069A1 (en) 2012-05-18
EP2638743B1 (en) 2016-07-06
KR101463365B1 (ko) 2014-11-19
CN103202072B (zh) 2016-06-08
CN103202072A (zh)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3365B1 (ko) 슬립 클럭 오류 복구 기법
US9848069B2 (en) Device synchronization over bluetooth
US81704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a transmission at a receiver
JP4944251B2 (ja) 周波数ホッピング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以前に失った接続の自動的再接続
US10306451B2 (en) Wireless system, wireless device,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stored therein communication program, and communication method
EP2245887B1 (en) Code keying in a power savings mode
US965506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energy consumption of radio communications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KR101600370B1 (ko) 다중 병치 무선장치의 공존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JP4389575B2 (ja) 無線中継装置
JP4919204B2 (ja) 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メディアアクセス制御方法
US20120246265A1 (en) Time synchronization in wireless networks
KR20170016697A (ko) 멀티 채널 기반의 비컨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디바이스
JP5206858B2 (ja) 無線通信装置
WO2016065642A1 (zh) 一种同步装置及方法
CN115552989A (zh) 多跳中继系统、通信方法及通信装置
Parsch et al. A reliable MAC for delay-bounded and energy-efficient WSNs
JP2018038023A (ja) 無線送受信システム
JP2012100143A (ja) 2チャンネル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Popovski et al. Avoidance of Self-Interference in Bluetooth Scattern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