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7632A - Basin for various types of aquatic plant - Google Patents

Basin for various types of aquatic pl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7632A
KR20130097632A KR1020127008455A KR20127008455A KR20130097632A KR 20130097632 A KR20130097632 A KR 20130097632A KR 1020127008455 A KR1020127008455 A KR 1020127008455A KR 20127008455 A KR20127008455 A KR 20127008455A KR 20130097632 A KR20130097632 A KR 20130097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aquatic plants
water
main container
pl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84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주화
Original Assignee
정주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화 filed Critical 정주화
Publication of KR20130097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63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3/00Cultivation of seaweed or 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6Flower va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Hydroponic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PURPOSE: A new type of basin is provided to grow various kinds of aquatic plants in one basin. CONSTITUTION: A main container (20) includes an upper edge (24) formed to a predetermined height (H) from the bottom surface (22) to form an internal space (21) to store water. A supporting container (30) is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container with the fixed interval (C). The water level of the supporting container from the bottom surface (32) of the supporting container is lower than the water level of the main container from the bottom surface. A hanging edge (34) crosses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container, and has the higher location than the upper edge of the main container.

Description

다양한 수생 식물을 키우기 위한 수반{BASIN FOR VARIOUS TYPES OF AQUATIC PLANT}BASIN FOR VARIOUS TYPES OF AQUATIC PLANT}

본 발명은 다양한 수생 식물을 키우기 위한 수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정수 식물, 부엽 식물, 부유 식물, 침수 식물 등 다양한 종류의 수생 식물을 하나의 수반에서 여러 가지 키울 수 있도록 하고, 금붕어와 같은 관상어를 함께 기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환경을 더욱 편리하게 자연친화적으로 꾸밀 수 있도록 하고 수반에 담기는 물과 수생 식물을 통해 자연적으로 실내 습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수생 식물을 키우기 위한 수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 for growing various aquatic plants, and more specifically, to allow various kinds of aquatic plants, such as purified water plants, side plants, floating plants, submerged plants, to grow in a single head, goldfish and By bringing together the same ornamental fish, the environment for the indoor environment is more conveniently and naturally-friendly, and the water and aquatic plants contained in the water can be used to grow various aquatic plants. will be.

최근, 건조한 실내 환경의 습도 조절을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습기에 대한 오염문제가 불거지면서 건강과 안전에 문제가 없도록 하여 실내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Recently, a pollution problem for a humidifier that is generally used for controlling humidity in a dry indoor environment is called, and a method of controlling indoor humidity by preventing a health and safety problem is required.

이와 같은 필요성으로 가습 기능을 발휘하면서 실내 환경을 자연친화적으로 꾸밀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는데, 수생 식물을 수반(basin)에 키우는 것도 가습기를 대체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As a necessity, vari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for exerting a humidifying function and decorating the indoor environment in a natural manner. Growing aquatic plants in basins is recognized as a method of replacing the humidifier.

일반적으로 수생 식물(aquatic plant)은 하천이나 호수의 수중에 서식하는 식물을 지칭한다. 이와 같은 수생 식물은 부들, 줄, 연꽃, 갈대 등과 같이 뿌리는 물속 흙에 내리고 줄기와 잎은 물속과 물 위로 뻗어 자라는 정수 식물, 마름, 자라풀, 수련, 가래, 어리연꽃 등과 같이 뿌리는 물속 흙에 내리고 잎은 물 위에 뜨는 부엽 식물, 개구리밥, 생이가래, 부레옥잠, 물배추 등과 같이 몸을 물 위에 띄우고 사는 부유 식물, 통발, 붕어마름, 검정 말, 나사말 등과 같이 모든 부분이 물에 잠겨 있고 물 위로는 모습을 거의 드러내지 않는 침수 식물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In general, an aquatic plant refers to a plant that lives in the water of a river or a lake. These aquatic plants fall in the soil under roots such as buds, ropes, lotuses, and reeds, and stalks and leaves extend under water and in the soil under roots, such as rye, green grass, water lilies, sputum, and lotus flowers. All the parts are submerged and floated above the water, such as floating plants floating on the water, such as leafy plants, duckweed, raw sputum, water hyacinth, water cabbage, floats, crucian caramels, black horses, and horses. There are many varieties, including submerged plants, which rarely reveal.

이와 같은 수생 식물이 놓인 수반에선 공기 중으로 증발이 일어나고, 식물은 증산 작용을 통해 잎 뒷면의 기공을 통해 수증기를 내놓는데, 이것이 공기 중에 포함돼 습도를 높인다. 2005년 12월 대한건축학회집 "아파트 실내정원의 겨울철 실내환경 조절효과"에 따르면, 거실에 수생 식물 등으로 실내 정원을 조성한 경우 실내습도가 평균 37.8%까지 높아져 실내 정원이 거실 습도를 약 8% 정도 높이는 것으로 기술하고 있다.In the water where these aquatic plants are placed, evaporation takes place in the air, and the plants give water vapor through the pores on the back of the leaves through transpiration, which is contained in the air to increase humidity. According to the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ural Studies in December 2005, the indoor garden garden with aquatic plants in the living room increases the humidity to 37.8% on average. We describe by raising.

따라서, 실내에서 물이 담기는 수반에 수생 식물을 키우는 경우 가습기를 대체하여 친환경적으로 실내 습도를 유지할 수 있어 건강 및 안전에 대한 문제를 해소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growing aquatic plants in the water containing indoors, it can be said that it is effective to solve the problem of health and safety by replacing the humidifier and maintaining indoor humidity i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nner.

한편, 수반은 수생 식물뿐만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관상어를 키우는 경우에도 사용되고 있다. 즉, 통상 수족관보다 적은 수의 관상어를 더욱 가깝고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비교적 옅은 수위의 수반에 수생 식물과 같이 넣어 키움으로써 실내 환경을 더욱 자연 친화적인 분위기로 조성하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head is used not only for aquatic plants but also for raising various kinds of ornamental fish.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bring a small number of ornamental fish closer to the aquarium more closely and intimately than in an aquarium, so that the indoor environment is made a more natural environment by growing with aquatic plants in a relatively light water head.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수반은 이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수생 식물과 관상어를 효과적으로 조합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수생 식물은 뿌리는 물속 흙에 내리고 줄기와 잎은 물속과 물 위로 뻗어 자라는 정수 식물, 뿌리는 물속 흙에 내리고 잎은 물 위에 뜨는 부엽 식물, 몸을 물 위에 띄우고 사는 부유 식물, 모든 부분이 물에 잠겨 있고 물 위로는 모습을 거의 드러내지 않는 침수 식물 등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수위가 일정하게 형성되는 수반에 적용되는 물의 높이가 다른 여러 종류의 수생 식물을 키우거나 물에 잠기는 깊이를 달리할 필요가 있는 여러 종류의 수생 식물을 키우기가 어려운 것이다.However, the accompanying head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difficulty in effectively combining such various kinds of aquatic plants and ornamental fish. That is, as described above, aquatic plants are rooted in water soil, stems and leaves extend in water and water, and purified water plants, roots are fallen in water soil, and leafs are floating on water, floating bodies floating on water. There are many varieties of plants, including submerged plants where all parts are submerged and barely visible above the water. It is difficult to grow many kinds of aquatic plants that need different depths.

또한, 수반에 수생 식물과 관상어를 함께 키우는 경우, 수생 식물은 제한된 수반의 한계로 인해 일정한 주기로 비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는데, 이 경우 관상어가 죽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In addition, when growing aquatic plants and ornamental fish in the head together, the aquatic plants need to provide fertilizers at regular intervals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accompanying head, in which case the problem is that the ornamental fish dies.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대상 수생 식물이 자라는 수위 또는 수생 식물의 크기 등에 따라 조절해야 할 수위가 다른 다양한 종류의 수생 식물을 하나의 수반에 기를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다양한 수생 식물을 키우기 위한 수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을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grow a variety of aquatic plants of different water levels to be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water level or the size of the aquatic plants to grow the target aquatic plants in one hea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ccompaniment for growing various types of aquatic plants.

또한, 본 발명은 수생 식물에 제공되는 비료가 관상어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여 수생 식물과 함께 관상어를 키울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다양한 수생 식물을 키우기 위한 수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ccompaniment for growing a variety of aquatic plants of a new type that can be used to fertilize fish with aquatic plants so that fertilizers provided to aquatic plants do not affect the fish.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물을 수용하여 수생 식물을 기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반에 있어서, 바닥면(22)으로부터 정해진 높이(H)로 형성되는 상단 테두리(24)를 구비하여 물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21)을 형성하는 메인 용기(20) 및; 바닥면(32)으로부터 정해진 높이(h)로 형성되되 상기 메인 용기(20)의 내부 공간(21)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걸침 테두리(34)를 구비하여 내부 공간(31)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메인 용기(20)의 바닥면(22)으로부터 정해진 간격(C)을 갖도록 이격되어 설치되는 받침 용기(30)를 포함하여; 상기 메인 용기(20)의 바닥면(22)으로부터의 수위보다 상기 받침 용기(30)의 바닥면(32)으로부터의 수위가 낮도록 하여 서로 다른 수심을 형성하도록 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accompaniment for accommodating water to grow aquatic plants, the upper edge 24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H from the bottom surface 22 A main container 20 provided with an inner space 21 for receiving water; The inner space 31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h from the bottom surface 32 and includes a rim 34 which is disposed across the inner space 21 of the main container 20. A support container 30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22 of the main container 20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C; The water level from the bottom surface 32 of the support container 30 is lower than the water level from the bottom surface 22 of the main container 20 to form different depths.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수생 식물을 키우기 위한 수반에서 상기 받침 용기(30)는 상기 메인 용기(20)로부터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e accompaniment for growing various aquatic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container 30 may be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ain container 20.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수생 식물을 키우기 위한 수반에서 상기 받침 용기(30)의 걸침 테두리(34)는 상기 메인 용기(20)의 상단 테두리(24)보다 높은 위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e accompanying head for growing various aquatic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iking edge 34 of the support vessel 30 may be formed to have a higher position than the upper edge 24 of the main vessel 20.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수생 식물을 키우기 위한 수반에서 상기 받침 용기(30)는 상기 바닥면(32)보다 상기 메인 용기(20)의 바닥면(22)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제 2 바닥면(32')을 더 구비하여, 상기 바닥면(3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31)의 깊이보다 더 깊은 제 2 내부 공간(31')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accompaniment for growing various aquatic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ing container 30 is formed to be recessed into the bottom surface 22 of the main container 20 rather than the bottom surface 32. 32 ′), the second inner space 31 ′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inner space 31 formed by the bottom surface 32 may be formed.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수생 식물을 키우기 위한 수반에 따르면, 받침 용기(30)를 적용하여 메인 용기(20)의 바닥면(22)으로부터의 수위보다 받침 용기(30)의 바닥면(32)으로부터의 수위가 낮도록 하여 서로 다른 수심을 형성하므로, 하나의 수반에 서로 다른 수심이 필요한 다양한 수생 식물을 기를 수 있다. 또한, 받침 용기(30)를 메인 용기(20)와 물이 통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으므로, 메인 용기(20)에 관상어를 동시에 키우는 경우 받침 용기(30)에 수생 식물을 기르면서 비료를 주어도 관상어에 나쁜 영향을 주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수생 식물을 키우기 위한 수반은 받침 용기(30)를 분리형으로 구성하여 청소 및 수생 식물의 교체가 용이하다.According to the entailment for growing various aquatic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vessel 30 is applied to provide the support vessel 30 from the bottom surface 32 of the support vessel 30 rather than the water level from the bottom surface 22 of the main vessel 20. Since the water level is lowered to form different depths, it is possible to grow a variety of aquatic plants that require different depths in one head. In addition, since the support container 30 can be configured so that water does not pass through the main container 20, when the ornamental fish is simultaneously raised in the main container 20, the fertilizer fish may be fed to the support container 30 while fertilizing the aquatic plants. I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bad influence. In particular, the accompaniment for growing various aquatic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clean and replace the aquatic plants by configuring the support container 30 in a separate type.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다양한 수생 식물을 키우기 위한 수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수생 식물을 키우기 위한 수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보인 다양한 수생 식물을 키우기 위한 수반에서 받침 용기(30)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수생 식물을 키우기 위한 수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에서 보인 다양한 수생 식물을 키우기 위한 수반에서 받침 용기(30)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ccompanying for growing various aquatic plants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ccompanying for growing various aquatic plant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cation of the supporting vessel 30 in the head for raising various aquatic plants shown in FIG. 2;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ccompanying for growing various aquatic plants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ification of the support vessel 30 in the head for growing various aquatic plants shown in FIG.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수반의 종류에 따른 제조 및 사용방법, 수생 식물 및 관상어를 수반에서 키우기 위한 방법, 이를 위해 필요한 다양한 부가 기술 등 종래기술로부터 통상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야의 종사자들 및 그들이 관련분야의 종사자들을 통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들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On the other han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ose involved in the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prior art, such as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according to the kind of general accompanying, a method for raising aquatic plants and ornamental fish in the accompanying, various additional techniques required for this and their related The illustration and detailed description of parts commonly know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have been omitted, and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ar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수생 식물을 키우기 위한 수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보인 다양한 수생 식물을 키우기 위한 수반에서 받침 용기(30)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도 2의 (a)는 메인 용기(20)에 받침 용기(30)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의 (b)는 메인 용기(20)에 받침 용기(30)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ccompanying for growing various aquatic plant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llustrates a modification of the supporting vessel 30 in the accompanying for growing various aquatic plants shown in FIG. It is a figure for following. At this time, (a) of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container 30 is coupled to the main container 20, Figure 2 (b) is the support container 30 is separated from the main container 20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us.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수생 식물을 키우기 위한 수반(10)은 메인 용기(20)와 받침 용기(30)를 구비하되, 메인 용기(20)의 바닥면(22)으로부터의 수위보다 받침 용기(30)의 바닥면(32)으로부터의 수위가 낮도록 하여 서로 다른 수심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수반에 수용된 물에 수심 깊이를 달리하는 다양한 종류의 수생 식물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메인 용기(20)는 바닥면(22)으로부터 정해진 높이(H)로 형성되는 상단 테두리(24)를 구비하여 물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21)을 형성한다. 그리고, 받침 용기(30)는 바닥면(32)으로부터 정해진 높이(h)로 형성되되 메인 용기(20)의 내부 공간(21)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걸침 테두리(34)를 구비하여 내부 공간(31)이 형성되도록 하고, 메인 용기(20)의 바닥면(22)으로부터 정해진 간격(C)을 갖도록 이격되어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2, the head 10 for growing various aquatic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in container 20 and a support container 30, from the bottom surface 22 of the main container 20. The water level from the bottom surface 32 of the support container 30 is lower than the water level so that different water depths can be formed, so that various kinds of aquatic plants having different depths can be grown in water contained in one head. . At this time, the main container 20 has an upper edge 24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H from the bottom surface 22 to form an inner space 21 in which water is accommodated. In addition, the supporting container 3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h from the bottom surface 32, and has a rim 34 which is disposed across the internal space 21 of the main container 20. ) Is formed and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22 of the main container 20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C).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반(10)은 받침 용기(30)가 메인 용기(20)로부터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받침 용기(30)가 메인 용기(20)로부터 착탈되도록 하는 구성은 걸침 테두리(34)의 반대측에 메인 용기(20)의 상단 테두리(24)에 안착되는 홈(35)이 형성되는 훅크 구조의 걸림 테(36)를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물론, 이와 같은 착탈 구조는 이외에도 일반적으로 알려진 다양한 착탈구조를 선택적으로 적용시켜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Such accompany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ing container 30 is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ain container 20. In this way, the support container 30 is detachable from the main container 20 has a hook structure in which a groove 35 seated on the upper edge 24 of the main container 20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anging frame 34. It is made by forming the engaging frame 36. Of course, such a detachable structure can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applying various detachable structures generally known.

한편, 본 실시예에서 받침 용기(30)의 걸침 테두리(34)는 메인 용기(20)의 상단 테두리(24)보다 높은 위치를 갖도록 형성하여, 받침 용기(30)에 수용된 물이 메인 용기(20)의 내부 공간(21)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추후 받침 용기(30)에 비료를 줄 경우, 받침 용기(30)의 물이 메인 용기(20)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메인 용기(20)에 관상어를 기를 때, 관상어가 비료 등에 오염된 물로 인해 폐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물론, 이와 같은 걸침 테두리(34)의 높이는 받침 용기(30)에 놓이는 수생 식물(1), 흙, 모래 등이 넣어 졌을 때 물이 넘치지 않을 정도로 설정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im 34 of the support container 30 is formed to have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edge 24 of the main container 20, the water contained in the support container 30 is the main container 20 It is prevented to fall into the inner space (21) of the), and when the fertilizer is added to the support container 30, the water of the support container 30 is prevented from falling to the main container (20). Such a configuration prevents the ornamental fish from dying due to water contaminated with fertilizers when raising the ornamental fish in the main container 20. Of course, the height of the striking edge 34 is set so that the water does not overflow when the aquatic plant 1, soil, sand, etc. placed in the support container 30 is put.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수생 식물을 키우기 위한 수반(10)에서 받침 용기(30)의 바닥면(32)에 통공(38)을 형성한 예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은 받침 용기(30)는 메인 용기(20)의 물이 그대로 작용되도록 하면서 수심만을 낮추는 작용을 하여, 개구리밥, 생이가래, 부레옥잠, 물배추 등과 같이 몸을 물 위에 띄우고 사는 부유 식물을 별도로 기르거나, 흙이나 모래 없이 얕은 수심에 담길 필요가 있는 또 다른 종류의 수생 식물을 놓을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와 같은 통공(38)은 별도의 마개(도시 않음)를 적용하여 필요시 막아서 전술한 예와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3 shows an example in which a through hole 38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32 of the support container 30 in the head 10 for growing various aquatic plant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ing container 30 lowers the depth of water while allowing the water of the main container 20 to be intact, and raises floating plants to live on the water separately, such as duckweed, raw sputum, water hyacinth, water cabbage, or the like. Allow them to place another type of aquatic plant that needs to be kept in shallow water without dirt or sand. Of course, such a through-hole 38 may be used to prevent it if necessary by applying a separate plug (not shown) to use as described above.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수생 식물을 키우기 위한 수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보인 다양한 수생 식물을 키우기 위한 수반에서 받침 용기(30)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ccompanying for growing various aquatic plants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modification of the support vessel 30 in the accompanying for growing various aquatic plants shown in FIG.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수생 식물을 키우기 위한 수반(10)은 받침 용기(30)의 바닥이 계단 형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받침 용기(30)내에서도 서로 다른 수심을 갖도록 하여, 더욱 다양한 종류의 수생 식물을 기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4 and 5, the head 10 for growing various aquatic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so that the bottom of the support container 30 is formed in a step shape, and thus different water depths are provided in the support container 3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o have a variety of aquatic plants can be grown.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수생 식물을 키우기 위한 수반(10)에서 받침 용기(30)는 바닥면(32)보다 메인 용기(20)의 바닥면(22)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제 2 바닥면(32')을 더 구비함으로써, 바닥면(3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31)의 깊이보다 더 깊은 제 2 내부 공간(31')이 형성되도록 한다.In the accompaniment 10 for growing various aquatic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ing container 30 is formed to be recessed into the bottom surface 22 of the main container 20 rather than the bottom surface 32. By further providing 32 ', the second inner space 31'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inner space 31 formed by the bottom surface 32 is formed.

또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받침 용기(30)는 두 내부 공간(31, 31')사이에 칸막이 테두리(34')를 형성하여 내부 공간(31)과 제 2 내부 공간(31')의 물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받침 용기(30)는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바닥면(31) 및/또는 제 2 바닥면(32')에 통공(38)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supporting container 30 forms a partition rim 34 ′ between the two inner spaces 31 and 31 ′, thereby forming the inner space 31 and the second inner space 31 ′. ) Water can be blocked. Of course, as shown in FIG. 3, the support container 30 may apply the through hole 38 to the bottom surface 31 and / or the second bottom surface 32 '.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수생 식물을 키우기 위한 수반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growing various aquatic plant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merely described for example and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다양한 수생 식물을 키우기 위한 수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도 1의 (a)는 수반의 평면도이고, 도 1의 (b)는 도 1의 (a)에서 b - b' 라인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ccompanying for growing various aquatic pla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Figure 1 (a) is a plan view of the accompanying, Figure 1 (b) is a view showing a state cut along the line b-b 'in Figure 1 (a).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수생 식물을 키우기 위한 수반(10)은 메인 용기(20)와 받침 용기(30)를 구비하되, 메인 용기(20)의 바닥면(22)으로부터의 수위보다 받침 용기(30)의 바닥면(32)으로부터의 수위가 낮도록 하여 서로 다른 수심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수반에 수용된 물에 수심 깊이를 달리하는 다양한 종류의 수생 식물을 기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ferring to FIG. 1, the head 10 for growing various aquatic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container 20 and a support container 30, and the water level from the bottom surface 22 of the main container 20. By lowering the water level from the bottom surface 32 of the supporting container 30 to form different depths, it is possible to raise various kinds of aquatic plants having different depths of water contained in one head. It features.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메인 용기(20)는 바닥면(22)으로부터 정해진 높이(H)로 형성되는 상단 테두리(24)를 구비하여 물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21)을 형성한다. 그리고, 받침 용기(30)는 바닥면(32)으로부터 정해진 높이(h)로 형성되되 메인 용기(20)의 내부 공간(21)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걸침 테두리(34)를 구비하여 내부 공간(31)이 형성되도록 하고, 메인 용기(20)의 바닥면(22)으로부터 정해진 간격(C)을 갖도록 이격되어 설치된다.More specifically, the main container 20 has an upper edge 24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H from the bottom surface 22 to form an inner space 21 in which water is accommodated. In addition, the supporting container 3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h from the bottom surface 32, and has a rim 34 which is disposed across the internal space 21 of the main container 20. ) Is formed and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22 of the main container 20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C).

이때, 메인 용기(20)와 받침 용기(30)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 아래 다양한 재질과 형태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일반적으로 도기, 유리, 플라스틱, 금속재 등 다양한 재질을 사용하고, 그 형태 또한 다양하게 제작되고 있다.At this time, the main container 20 and the support container 30 can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and shapes und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generally, various materials such as pottery, glass, plastic, and metal are used, and various forms thereof are also manufacture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수생 식물을 키우기 위한 수반(10)은 일반적인 수반과 같이 동일하게 사용하면서도 수심을 달리할 필요가 있는 다양한 종류의 수생 식물을 여러 종류로 키울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관상어를 수생 식물과 함께 키울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받침 용기(30)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은 관상어들이 왕래하거나 머무를 수 있어 관상어를 키우기 위해 더욱 자연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head 10 for growing a variety of aquatic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in the same way as the general head, but to grow a variety of different types of aquatic plants that need to vary the depth, and at the same time aquatic ornamental fish Provides benefits for growing with plants. For example, the spac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container 3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ornamental fish can come and go or stay to create a more natural environment to raise the ornamental fish.

산업상 이용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수생 식물을 키우기 위한 수반은 정수 식물, 부엽 식물, 부유 식물, 침수 식물 등 다양한 종류의 수생 식물을 하나의 수반에서 여러 가지 키울 수 있도록 하고, 금붕어와 같은 관상어를 함께 기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환경을 더욱 편리하게 자연친화적으로 꾸밀 수 있도록 하고 수반에 담기는 물과 수생 식물을 통해 자연적으로 실내 습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Accompanying to grow a variety of aquatic pla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various kinds of aquatic plants, such as purified water plants, side plants, floating plants, submerged plants in a single head, and to cultivate ornamental fish such as goldfish together By doing so, the indoor environment can be more conveniently and naturally decorated, and the indoor humidity can be naturally controlled through water and aquatic plants contained in the accompanying water.

Claims (4)

물을 수용하여 수생 식물을 기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반에 있어서,
바닥면(22)으로부터 정해진 높이(H)로 형성되는 상단 테두리(24)를 구비하여 물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21)을 형성하는 메인 용기(20) 및;
바닥면(32)으로부터 정해진 높이(h)로 형성되되 상기 메인 용기(20)의 내부 공간(21)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걸침 테두리(34)를 구비하여 내부 공간(31)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메인 용기(20)의 바닥면(22)으로부터 정해진 간격(C)을 갖도록 이격되어 설치되는 받침 용기(30)를 포함하여;
상기 메인 용기(20)의 바닥면(22)으로부터의 수위보다 상기 받침 용기(30)의 바닥면(32)으로부터의 수위가 낮도록 하여 서로 다른 수심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수생 식물을 키우기 위한 수반.
In accompaniment for accommodating water to grow aquatic plants,
A main container 20 having an upper edge 24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H from the bottom surface 22 to form an inner space 21 in which water is received;
The inner space 31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height h from the bottom surface 32 and includes a rim 34 which is disposed across the inner space 21 of the main container 20. A support container 30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22 of the main container 20 to have a predetermined distance C;
Various aquatic pla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level from the bottom surface 32 of the support container 30 is lower than the water level from the bottom surface 22 of the main container 20 to form different depths. Accompanying to rai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용기(30)는 상기 메인 용기(20)로부터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수생 식물을 키우기 위한 수반.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ing container (30) is accompanied to grow a variety of aquatic plant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ain container (2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용기(30)의 걸침 테두리(34)는 상기 메인 용기(20)의 상단 테두리(24)보다 높은 위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수생 식물을 키우기 위한 수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Hanging frame 34 of the supporting container 30 is accompanied by a variety of aquatic plants to grow,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have a higher position than the upper edge 24 of the main container (2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용기(30)는 상기 바닥면(32)보다 상기 메인 용기(20)의 바닥면(22)으로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제 2 바닥면(32')을 구비하여 상기 바닥면(3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31)의 깊이보다 더 깊은 제 2 내부 공간(31')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수생 식물을 키우기 위한 수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upport container 30 has a second bottom surface 32 ′ which is formed to be recessed into the bottom surface 22 of the main container 20 rather than the bottom surface 32, and thus the bottom surface 32 is formed by the bottom surface 32. Accompanying to grow a variety of aquatic pla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inner space (31 ') deeper than the depth of the inner space (31) to be formed.
KR1020127008455A 2011-12-20 2011-12-20 Basin for various types of aquatic plant KR2013009763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09836 WO2013094782A1 (en) 2011-12-20 2011-12-20 Bowl for growing diverse aquatic pla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632A true KR20130097632A (en) 2013-09-03

Family

ID=48668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8455A KR20130097632A (en) 2011-12-20 2011-12-20 Basin for various types of aquatic plant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097632A (en)
WO (1) WO2013094782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74613A (en) * 2020-11-12 2021-02-19 中国水产科学研究院珠江水产研究所 Biological regulation and control method for lake submerged pla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37482A (en) * 2018-08-10 2019-12-06 李明星 Household planting water culture device with water protection ring and seed tray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0615U (en) * 1989-10-18 1991-06-14
KR200180148Y1 (en) * 1999-12-02 2000-04-15 박두하 Bowl for ornamental stone
KR200239731Y1 (en) * 2001-04-19 2001-10-11 이응선 Fish bowl with flowerpot
KR200344754Y1 (en) * 2003-11-04 2004-03-11 이동호 flowerpot structure
JP4898161B2 (en) * 2005-01-19 2012-03-14 正幸 坂本 flower pot
KR200462889Y1 (en) * 2010-06-01 2012-10-09 성세창 Packing vessel having dual contai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74613A (en) * 2020-11-12 2021-02-19 中国水产科学研究院珠江水产研究所 Biological regulation and control method for lake submerged pl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94782A1 (en) 201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9294B1 (en) Containers for the cultivation of aquatic plants
KR20150115159A (en) cc
CN105165589B (en) Hydroponic plant container
US20160309670A1 (en) Multi-functional flowerpot
KR20130097632A (en) Basin for various types of aquatic plant
KR20080004674U (en) Pot for the culture of orchid
CN203302053U (en) Multifunctional landscape flowerpot
CN106719247B (en) Ecosystem fish bowl flowerpot
JP2006296205A (en) Method for culturing vegetable
KR101885752B1 (en) Floating Plants Cultivation Device
KR20150127326A (en) Water culture and fish farming water tank of horizontal structure using fertilizer derived from fish excretion
CN204742116U (en) Matrix is banked up with earth, aerial fog is banked up with earth, water planting no. 3 is banked up climbing of combination with earth and is prolonged plant cultivation basin
JP2014045669A (en) Hydroponic device
KR101811871B1 (en) Pots for raising ginseng
CN209234575U (en) A kind of lotus cultivation apparatus without soil
CN201657657U (en) Automatic constant humidity pot for plants
KR200416035Y1 (en) A flowerpot for beautiful scenery
KR20210001133A (en) stackable structure flowerpot
CN203761936U (en) Cultivation soft pot
CN209201640U (en) A kind of sapling seedlings nursing plate
KR101663865B1 (en) Nutrient solution soil flowerpot and flowerpot supporting member applied at the nutrient solution soil flowerpot and flowerpot inner member
KR20190125730A (en) Flower container
KR200359219Y1 (en) Port for seedling cultivation of broad-leaved tree
US11297787B2 (en) Hydroponic plant container with offset opening providing access to interior volum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0359279Y1 (en) An imitation ston to set a 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