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889Y1 - Packing vessel having dual container - Google Patents
Packing vessel having dual contai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2889Y1 KR200462889Y1 KR2020100005703U KR20100005703U KR200462889Y1 KR 200462889 Y1 KR200462889 Y1 KR 200462889Y1 KR 2020100005703 U KR2020100005703 U KR 2020100005703U KR 20100005703 U KR20100005703 U KR 20100005703U KR 200462889 Y1 KR200462889 Y1 KR 20046288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lid
- edge
- outer circumferential
- outer peripher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8—Materials, e.g. different materials, enclosed in separate compartments formed during filling of a single contain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4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not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Abstract
본 고안의 이중 용기를 갖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저장부가 형성되며 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용기본체(10);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면 테두리와 저면이 결합하는 것에 의해 상부를 덮도록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용기덮개(20); 및 상기 용기본체(10)의 상면 양측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위쪽으로 꺾여 형성되는 손잡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포장 용기의 손잡이가 용기본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조작 및 사용이 간편하고, 손잡이가 용기본체로부터 떨어지거나 훼손될 우려가 없는 이중 용기를 갖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doubl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a container body 10 having a storage part formed to contain contents and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therein; A container cover 20 provided to be coupled and detachable to cover an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0 by combining an upper edge and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 handle 30 formed integrally extending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0 to be bent upward, and the handle of the packaging container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body, and thus is easy to operate and us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double container in which the handle is not likely to fall or be damaged from the container body.
Description
본 고안은 이중 용기를 갖는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용기 내에 다른 내부 용기가 내장되어, 예를들어 볶음밥과 반찬 등, 2 이상의 내용물을 내장하는 것이 용이한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doubl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ckaging container in which another inner container is embedded in the outer container, and for example, it is easy to contain two or more contents such as fried rice and side dishes.
최근 패스트푸드 시장의 확장에 따라 패스트푸드 점에서 취급하게 되는 음식의 종류도 덩달아 다양화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유독 한식에 있어서는 그 종류가 극히 제한적인바, 그 이유 중의 하나는 한식의 경우 밥과 반찬이 동시에 필요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한식의 경우에는 김밥과 같이 단일 품목인 경우만 판매가 되거나, 아니면 밥과 반찬이 별도로 포장되어 판매될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이는 패스트푸드점에서 한식의 대중화에 큰 걸림돌이 되는 것이 사실이다.
As the fast food market expands recently, the types of food handled by fast food stores are also diversifying. However, the toxic Korean food is extremely limited in the kind, one of the reasons for the Korean food and rice and side dishes at the same time seems to be necessary. Thus, in the case of Korean food, only a single item, such as gimbap, is sold, or rice and side dishes are sold separately. And this is a fact that is a big obstacle to the popularization of Korean food in fast food restaurants.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들어 볶음밥과 같은 메인 식료를 수용하는 외부용기 안에 다시 반찬 및/또는 짜장과 같은 내용물을 수용하는 내부용기의 이중 용기를 갖는 포장용기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가 하나의 포장용기만 구입하더라도 이 모든 음식물을 한번에 구입하고 휴대가능하도록 하여, 구입 및 보관, 운반이 편리한 이중 용기를 갖는 포장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for example, a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double container of the inner container containing the contents such as side dishes and / or jangjang in the outer container containing the main food such as fried rice By providing a, even if the consumer only buys one packaging container to buy all the food at once and to be portable, to provide a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double container that is convenient to buy, store, transpor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이중 용기를 갖는 포장용기는, 제1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제1 수용부(11)가 형성되며 상부 연부에는 제1 외주 연부턱(12)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 용기(10); 하나 이상의 제2 내용물을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수용부(21, 21')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상부 연부에는 상기 제1 외주 연부턱(12)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2 외주 연부턱(22)이 형성된 내부 용기(20); 및 상기 제1 및 제2 외주 연부턱(12, 22)과 치밀 결합되는 결착부(32)를 갖는 뚜껑(30);을 포함하여, 상기 제2 외주 연부턱(22)이 상기 제1 외주 연부턱(12)의 일부 또는 전체에 걸리도록 하며, 상기 외부 용기(10)는 모서리부가 라운딩 처리된 다각형 기둥 형상이며, 상기 내부 용기(20)는 상기 외부 용기(10)의 일부에만 걸치도록 하여 제1 내용물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하며, 상기 내부 용기(20)의 제2 외주 연부턱(22)은 상기 내부 용기의 상측 일부에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외주 연부턱(12)의 일부에만 동일 형태로 걸쳐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용기(20)의 상기 제2 외주 연부턱이 형성되지 않는 후면부(23)는 다른 부위보다 측벽이 높게 형성되되, 상기 후면부(23)는 상기 뚜껑(30)을 닫았을 때에, 측벽의 상부 윤곽이 뚜껑의 상층부(31)의 윤곽과 맞닿도록 되는 형상이며, 상기 내부 용기(20)의 상기 제2 외주 연부턱(22)과 상기 후면부(23)의 경계면 역시, 상기 뚜껑(30)을 닫았을 때에 상기 뚜껑(30)의 해당 부위와 윤곽이 맞닿도록 되는 형상이며, 상기 뚜껑(30)은, 상기 제1 외주 연부턱(12) 및 상기 제1 외주 연부턱(12)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2 외주 연부턱(22)과 치밀 결합되는 결착부(32)을 가지며, 상기 뚜껑(30)을 상기 외부 용기(10)와 결착할 때에, 상기 내부 용기(20)는, 상기 제1 외주 연부턱(12)과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는 상기 제2 외주 연부턱(22)과 상기 후면부(23) 및 상기 뚜껑(30)에 의해 완전 밀폐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후면부(23)에는 걸림고리(23a)가 형성되어, 사용시에 상기 걸림고리(23a)가 상기 제1 외주 연부턱(12)의 일부에 걸려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doubl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rst receiv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용기(10)는 모서리부가 라운딩 처리된 삼각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용기(20)는 두 개의 제2 내용물을 수용하는 두 개의 제2 수용부(21, 21')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수용부 사이에는 중앙 격벽(24)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 격벽(24)의 상부 윤곽 역시, 상기 뚜껑(30)을 닫았을 때에, 상기 뚜껑(30)의 상층부(31)의 윤곽과 맞닿도록 되는 형상이며, 상기 뚜껑(30)을 상기 외부 용기(10)와 결착할 때에, 상기 두 개의 제2 수용부(21, 21')는, 상기 제1 외주 연부턱(12)과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는 상기 제2 외주 연부턱(22)과 상기 후면부(23)와 상기 중앙 격벽(24) 및 상기 뚜껑(30)에 의해 완전 밀폐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More preferably, th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고안의 이중 용기를 갖는 포장용기에 따르면, 소비자가 하나의 포장용기만 구입하더라도 밥과 반찬을 동시에 한번에 구입하고 휴대가능하도록 하여, 구입 및 보관, 운반이 편리한 이중 용기를 갖는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doubl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a consumer buys only one packaging container, it is possible to purchase and carry rice and side dishes at the same time, and to provide a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double container which is convenient to purchase, store and transport. It is possible.
또한, 사용시에는 본 고안의 이중 용기를 갖는 포장용기의 내부용기를 외부용기의 턱에 걸쳐놓고 식사를 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배가되며, 그러면서도 하나의 뚜껑만으로 밀봉이 가능하므로 사전 밀봉시나 사후 쓰레기 처리 등에 있어서도 편리성이 제고된다.
In addition, during use, since the inner container of the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doubl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laced over the chin of the outer container,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doubled, and the sealing can be done with only one lid, so it can be sealed before or after Convenience is also improved in waste disposal.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용기를 갖는 포장용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용기를 갖는 포장용기의 일부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에 따라 단면을 형성하였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용기를 갖는 포장용기의 내부 용기를 외부 용기 외주 연부턱에 걸쳐놓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에 따라 단면을 형성하였을 때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C-C'에 따라 단면을 형성하였을 때의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doub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ly perspective view of the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doub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a cross section is formed along the line AA ′ of FIG. 2.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inner container of the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doub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ver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outer container.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a cross section is formed along BB ′ of FIG. 4.
6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a cross section is formed along the line CC ′ in FIG. 4.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용기를 갖는 포장용기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용기를 갖는 포장용기의 일부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에 따라 단면을 형성하였을 때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용기를 갖는 포장용기의 내부 용기를 외부 용기 외주 연부턱에 걸쳐놓은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에 따라 단면을 형성하였을 때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C-C'에 따라 단면을 형성하였을 때의 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doub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combination of the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doub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A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n inner container of a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doubl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over an outer circumferential edge of an outer container, and FIG. 5 is in accordance with BB ′ of FIG. 4. It is sectional drawing when a cross section is formed, and FIG. 6 is sectional drawing when a cross section is formed according to C-C 'of FIG.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이중 용기를 갖는 포장용기는 크게 제1 내용물(일례로 볶음밥)을 담을 수 있도록 수용부(11)가 형성되며 상부 연부에는 제1 외주 연부턱(12)이 형성되어 있는 외부 용기(10), 하나 이상의 제2 내용물(일례로 반찬 및/또는 짜장)을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수용부(21, 21')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상부 연부에는 상기 제1 외주 연부턱(12)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2 외주 연부턱(22)이 형성된 내부 용기(20), 및 상기 제1 및 제2 외주 연부턱(12, 22)과 치밀 결합되는 결착부(32)를 갖는 뚜껑(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 1 and 6, the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doubl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receiving
이때, 상기 제1 수용부(11)는 여러 다각형 기둥의 형태가 가능하나, 합성수지 재질의 용기를 사용할 경우, 견고성을 위해 모서리부가 라운드진 삼각기둥 형으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irst
상기 내부 용기(20)는 상기 외부 용기와 동일한 형상을 취하여 상기 제1 외주 연부턱(12)에 모두 걸치는 것도 가능하나, 제1 내용물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일부 (대략 1/2 가량) 에만 걸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이 경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 용기(20)의 제2 외주 연부턱(22)의 전면과 측면의 부분이, 외부 용기(10)의 제1 외주 연부턱(12)의 전면과 측면 일부의 부분에 걸쳐 있게 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2, portions of the front and side surfaces of the second outer
아울러, 상기 제1 외주 연부턱(12)의 일부 상에 상기 제2 외주 연부턱(22)이 걸쳐 있게 되며, 다시 여기에 뚜껑(30)의 연부의 결착부(32)가 치밀하게 결합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outer
상기 내부 용기(20)는 하나의 반찬만을 수용하도록 하여도 되나,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제2 내용물을, 일예로 반찬과 짜장을, 수용하도록 두 개의 제2 수용부(21, 21')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2 수용부를 두 개로 마련할 경우에는, 그들 사이에 중앙 격벽(24)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 격벽(24)을 엄지와 검지 손가락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되, 이상의 손잡이부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게 위해 미끄럼방지 요철부(24a)가 형성되도록 한다. 내부 용기(20)의 바닥면에는 견고성을 위해 엠보싱부(21a)를 형성하도록 한다 (도 6 참조).The
이울러, 상기 제2 외주 연부턱이 형성되지 않는 후면부(23)는 다른 부위보다 측벽이 높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도 3의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뚜껑을 닫았을 때에, 측벽의 상부 윤곽이 뚜껑의 상층부(31)의 윤곽과 맞닿도록 하는 것이 밀폐의 목적상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 용기(10)의 제1 수용부(11)에 제1 내용물(1)(예컨데 볶음밥)을 넣고, 제1 외주 연부턱(12)에 제2 외주 연부턱(22)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외부 용기(10) 상에 내부 용기(20)를 걸치고, 반찬이나 짜장과 같은 제2 내용물(2)을 넣은 후, 뚜껑(30)을 결착시켜, 제1 내용물(1)은 뚜껑(30)의 일부와 외부 용기(10) 및 내부 용기(20)의 일부(바닥면 및 특히 후면부(23))에 의해 밀폐되도록 하며, 제2 내용물(2)은 뚜껑(30)의 나머지 부위와 내부 용기(20)에 의해 밀폐되도록 한다.Now, referring to FIGS. 2 to 5, the method of us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이렇게 하는 경우, 제1 수용부(11)와 제2 수용부(21)가 격리되면서도 간단히 밀폐가 가능하고, 외부 용기(10)와 내부 용기(20)가 겹치게 되므로 단단히 제 모양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first
이렇게 포장 및 유통되어지다 구입 후 소비자가 식사를 할 경우에는, 뚜껑(30)을 열고, 내부 용기(20)의 중앙 격벽(24)을 손잡이로 하여 엄지와 검지를 사용하여 들어올린 다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부(23)의 걸림고리(23a)를 통해 외부 용기(10)의 일 측면에 걸치도록 한다. When the consumer eats after being packaged and distributed in this way, the
따라서, 볶음밥과 여러가지 반찬을 동시에 음미할 수 있으며, 뚜껑의 개폐와 밀봉 및 사후 처리가 간단하여 진다는 장점이 있게 되며, 특히 반찬의 액상 부분이 내부 용기 내에 묻더라도, 요철부(24a)로 인해 손가락으로 파지시에 미끄럼이 방지되는 등, 여러가지 편의성이 고양된다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njoy the fried rice and various side dishes at the same tim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id and sealing and post-processing is simplified, in particular, even if the liquid portion of the side dishes buried in the inner container, fingers due to the
이처럼, 앞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As suc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change and chang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forms. Therefore, such improvements and modifications will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 : 제1 내용물(볶음밥) 2 : 제2 내용물(반찬/짜장)
10: 외부 용기 11: 제1 수용부
12: 제1 외주 연부턱
20: 내부 용기 21,21': 제2 수용부
21a: 엠보싱부 22: 제2 외주 연부턱
23: 후면부 23a: 걸림고리
24: 중앙 격벽 24a: 미끄럼방지 요철부
30: 뚜껑 32: 결착부1: 1st contents (fried rice) 2: 2nd contents (side dish / jjajang)
10: outer container 11: first receiving portion
12: first outer edge edge
20:
21a: embossed portion 22: second outer peripheral edge jaw
23:
24:
30: lid 32: binding portion
Claims (5)
하나 이상의 제2 내용물을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제2 수용부(21, 21')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상부 연부에는 상기 제1 외주 연부턱(12)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2 외주 연부턱(22)이 형성된 내부 용기(20); 및
상기 제1 및 제2 외주 연부턱(12, 22)과 치밀 결합되는 결착부(32)를 갖는 뚜껑(30);을 포함하여,
상기 제2 외주 연부턱(22)이 상기 제1 외주 연부턱(12)의 일부 또는 전체에 걸리도록 하며,
상기 외부 용기(10)는 모서리부가 라운딩 처리된 다각형 기둥 형상이며,
상기 내부 용기(20)는 상기 외부 용기(10)의 일부에만 걸치도록 하여 제1 내용물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하며,
상기 내부 용기(20)의 제2 외주 연부턱(22)은 상기 내부 용기의 상측 일부에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외주 연부턱(12)의 일부에만 동일 형태로 걸쳐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 용기(20)의 상기 제2 외주 연부턱이 형성되지 않는 후면부(23)는 다른 부위보다 측벽이 높게 형성되되, 상기 후면부(23)는 상기 뚜껑(30)을 닫았을 때에, 측벽의 상부 윤곽이 뚜껑의 상층부(31)의 윤곽과 맞닿도록 되는 형상이며,
상기 내부 용기(20)의 상기 제2 외주 연부턱(22)과 상기 후면부(23)의 경계면 역시, 상기 뚜껑(30)을 닫았을 때에 상기 뚜껑(30)의 해당 부위와 윤곽이 맞닿도록 되는 형상이며,
상기 뚜껑(30)은, 상기 제1 외주 연부턱(12) 및 상기 제1 외주 연부턱(12)과 대응되는 형상의 제2 외주 연부턱(22)과 치밀 결합되는 결착부(32)을 가지며,
상기 뚜껑(30)을 상기 외부 용기(10)와 결착할 때에, 상기 내부 용기(20)는, 상기 제1 외주 연부턱(12)과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는 상기 제2 외주 연부턱(22)과 상기 후면부(23) 및 상기 뚜껑(30)에 의해 완전 밀폐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되며,
상기 후면부(23)에는 걸림고리(23a)가 형성되어, 사용시에 상기 걸림고리(23a)가 상기 제1 외주 연부턱(12)의 일부에 걸려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용기를 갖는 포장용기.An outer container 10 having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 formed thereon to contain first contents and having a first outer peripheral edge jaw 12 formed at an upper edge thereof;
One or more second accommodating parts 21 and 21 ′ are formed to accommodate one or more second contents, and the upper edge of the accommodating part has a second outer peripheral edge 22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outer peripheral edge 12. An inner container 20 in which is formed; And
Including; a lid 30 having a binding portion 32 that is tight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outer peripheral edges 12 and 22.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edge jaw 22 to be caught on part or the entirety of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edge jaw 12,
The outer container 10 is a polygonal column shape rounded corners,
The inner container 20 to cover only a portion of the outer container 10 to facilitate the identification of the first contents,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edge 22 of the inner container 20 is formed only on a por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inner container, and is formed to cover only a portion of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edge 12 in the same shape,
The rear portion 23 of which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inner container 20 is not formed has a side wall higher than other portions, and the rear portion 23 has an upper portion of the side wall when the lid 30 is closed. The contour is a shape to be in contact with the contour of the upper layer portion 31 of the lid,
The interface between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edge 22 and the rear portion 23 of the inner container 20 also has a shape in which the contour of the lid 30 is in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lid 30 when the lid 30 is closed. Is,
The lid 30 has a binding portion 32 that is tightly coupled to the first outer peripheral edge jaw 12 and the second outer peripheral edge jaw 22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outer peripheral edge jaw 12. ,
When the lid 30 is engaged with the outer container 10, the inner container 20 is formed with the second outer circumferential edge 22 form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edge 12. Is configured to form a structure that is completely sealed by the rear portion 23 and the lid 30,
Hanging ring (23a) is formed on the rear portion (23), the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doubl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ring (23a) is caught on a part of the first outer peripheral edge (12) when in use.
상기 외부 용기(10)는 모서리부가 라운딩 처리된 삼각기둥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용기를 갖는 포장용기.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 container 10 is a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doubl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ner portion rounded triangular prism shape.
상기 내부 용기(20)는 두 개의 제2 내용물을 수용하는 두 개의 제2 수용부(21, 21')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수용부 사이에는 중앙 격벽(24)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 격벽(24)의 상부 윤곽 역시, 상기 뚜껑(30)을 닫았을 때에, 상기 뚜껑(30)의 상층부(31)의 윤곽과 맞닿도록 되는 형상이며,
상기 뚜껑(30)을 상기 외부 용기(10)와 결착할 때에, 상기 두 개의 제2 수용부(21, 21')는, 상기 제1 외주 연부턱(12)과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는 상기 제2 외주 연부턱(22)과 상기 후면부(23)와 상기 중앙 격벽(24) 및 상기 뚜껑(30)에 의해 완전 밀폐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용기를 갖는 포장용기.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inner container 20 has two second receiving portions 21 and 21 'for receiving two second contents, and a central partition 24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s.
The upper contour of the central partition wall 24 also has a shape that abuts the contour of the upper layer portion 31 of the lid 30 when the lid 30 is closed,
When the lid 30 is attached to the outer container 10, the two second receiving portions 21 and 21 ′ have the second shape form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outer circumferential edge 12. Packaging container having a doubl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periphery edge (22) and the rear portion (23) and the central partition (24) and the lid 30 is configured to form a structure that is completely seal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5703U KR200462889Y1 (en) | 2010-06-01 | 2010-06-01 | Packing vessel having dual cont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5703U KR200462889Y1 (en) | 2010-06-01 | 2010-06-01 | Packing vessel having dual contai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1324U KR20110011324U (en) | 2011-12-07 |
KR200462889Y1 true KR200462889Y1 (en) | 2012-10-09 |
Family
ID=47560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5703U KR200462889Y1 (en) | 2010-06-01 | 2010-06-01 | Packing vessel having dual contai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2889Y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094782A1 (en) * | 2011-12-20 | 2013-06-27 | Jeong Ju-Hwa | Bowl for growing diverse aquatic plants |
KR101425077B1 (en) * | 2012-04-17 | 2014-08-01 | 삼광글라스 주식회사 | Air-tight container for keeping food |
KR102375501B1 (en) * | 2020-07-17 | 2022-03-17 | 임시형 | Lid and bowl with side dish bowl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2041U (en) * | 1979-07-06 | 1981-02-02 | ||
JPS6293034U (en) * | 1985-11-28 | 1987-06-13 | ||
KR200222459Y1 (en) * | 2000-12-05 | 2001-05-02 | 이창호 | Receptacle for packing food |
-
2010
- 2010-06-01 KR KR2020100005703U patent/KR200462889Y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2041U (en) * | 1979-07-06 | 1981-02-02 | ||
JPS6293034U (en) * | 1985-11-28 | 1987-06-13 | ||
KR200222459Y1 (en) * | 2000-12-05 | 2001-05-02 | 이창호 | Receptacle for packing fo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1324U (en) | 2011-1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543464C2 (en) | Measuring spoon with clamp | |
KR200462889Y1 (en) | Packing vessel having dual container | |
KR200475771Y1 (en) | Structure of instant food double spaced bowl having water hole | |
JP2014043277A (en) | Cup lid for drink, and cup for drink | |
JP3916229B2 (en) | Sealed stacked container | |
CA2749773C (en) | Container assembly with removable lid | |
KR200471718Y1 (en) | Food Packing Container | |
KR200481814Y1 (en) | Integrated package for food | |
KR102015447B1 (en) | a hamburger container | |
KR20110011870U (en) | Container | |
KR20160064708A (en) | Chopsticks packaging paper | |
KR200487369Y1 (en) | Multiple Simple Package | |
KR101775614B1 (en) | Packaging container | |
TWM526995U (en) | Improved plastic package container | |
KR200343019Y1 (en) | Ice cream cup | |
KR20110005325U (en) | Folderable cover for cup nuddle | |
KR20100127160A (en) | A food container lid with built-in portion cup | |
KR101389708B1 (en) | Hamburger holder | |
TWM582942U (en) | container | |
KR101921565B1 (en) | Packing case for instant food | |
TWM644093U (en) | Lid with removable spoon | |
KR200356833Y1 (en) | food receptacle cover | |
KR101025158B1 (en) | Disposable vessel | |
KR200386101Y1 (en) | A cup noodles economical packaging structure | |
KR200350491Y1 (en) | a one time receptacle for a fo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