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7396A -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 Google Patents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7396A
KR20130097396A KR1020120019018A KR20120019018A KR20130097396A KR 20130097396 A KR20130097396 A KR 20130097396A KR 1020120019018 A KR1020120019018 A KR 1020120019018A KR 20120019018 A KR20120019018 A KR 20120019018A KR 20130097396 A KR20130097396 A KR 20130097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ntainer
cap
sealing
clos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9692B1 (ko
Inventor
정규선
Original Assignee
정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규선 filed Critical 정규선
Priority to KR1020120019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9692B1/ko
Publication of KR20130097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7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9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9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068J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with doubl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71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means for positioning the cap on the container, or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cap, or for preventing accidental loosening of the c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9/00Plugs, sleeves, caps, or like rigid or semi-rigid elements for protecting parts of articles or for bundling articles, e.g. protectors for screw-threads, end caps for tubes or for bundling rod-shaped articles
    • B65D59/06C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림타입의 화장품이 수용되는 수용실이 일방으로 개방 형성되고, 입구부의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부에 형성된 나선에 체결되는 나선이 측벽 내주면에 대응되게 형성 결합되는 개폐캡으로 이루어지는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100)(200)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부 상단에는 밀봉부를 더 연장 형성하고, 상기 개폐캡의 내부에는 용기본체의 밀봉부에 기워져 밀봉 및 해제되는 밀봉홈이 구비된 밀봉덮개를 일체로 구비하여 개폐캡을 열고 닫음에 따라 수용실의 화장품을 간편하게 밀봉 및 해제되도록 구성된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A COSMETIC CASE OF CREAM TYPE}
본 발명은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개폐 캡을 열고 닫는 동작에 의해 용기 본체의 수용실에 수용된 크림 타입의 화장품이 밀봉 또는 해제되도록 하여 화장품의 밀봉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도 화장품의 인출 사용을 보다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1)는 도 1a 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2)의 수용실(3)에 수용된 크림 타입의 화장품을 보호덮개(4)로 1차 덮어 보호하고, 2차로 개폐캡(5)의 내부에 구비된 압축 발포된 폴라이트 소재의 패킹(6)을 이용하여 화장품을 밀봉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으며, 화장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용기 본체로부터 개폐 캡을 개방한 다음 보호덮개(4)에 구비된 손잡이(4a)를 이용하여 보호덮개를 별도로 제거한 다음 손가락을 이용하여 화장품을 찍어 바르도록 하고 있다. 이때 용기 본체(2)로부터 분리 제거된 보호덮개(5)는 별도의 장소에 놓은 다음 화장을 하게 된다. 그리고 화장품을 다 사용한 후 화장품을 밀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시와는 역순으로 다시 손잡이(4a)를 이용하여 보호덮개(4)를 덮고, 개폐캡(5)을 닫아주는 것에 의해 밀봉되어 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의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의 사용시마다 일일이 보호덮개(4)를 분리 제거한 다음 다시 덮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상당하고, 또 별도의 장소에 보관시 손잡이(4a)가 형성된 반대면, 즉 하부면이 바닥에 놓여지는 경우 바닥면에 묻어 있는 화장품이 먼지 등 각종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되거나 더럽혀지는 문제를 피하기 어려워 사용자가 항상 주의해서 보호덮개를 놓아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손잡이를 손으로 잡은 다음 보호덮개를 일일이 열고 닫음에 따른 화장품의 오염 역시 피하기 어렵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보호덮개 및 폴라이트 소재의 패킹을 이용하여 화장품을 밀봉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만큼 부품수의 증가로 인한 제조단가의 상승을 피하기 어려웠다.
종래 보호덮개의 열고 닫음에 따른 화장품의 오염을 피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104058호에 의하면, 화장품이 수용되는 수용실을 하나 이상으로 구획하고, 그 상면을 수용실의 구획면을 따라 절곡되는 밀폐수단을 구비하여 수용실에 수용된 화장품을 보호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 역시 화장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수용실을 덮고 있는 밀폐수단을 별도로 개폐 조작해야되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84800호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104058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본체의 수용실에 담겨진 크림 타입의 화장품을 보호하는 밀봉덮개를 개폐 캡의 내부에 일체로 구비하여 개폐 캡을 열고 닫는 것에 의해 수용실에 담겨진 화장품이 밀봉 또는 해제되도록 하여 화장품의 밀봉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도 화장품의 인출 사용을 보다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1실시 예는, 크림타입의 화장품이 수용되는 수용실이 일방으로 개방 형성되고, 입구부의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부에 형성된 나선에 체결되는 나선이 측벽 내주면에 대응되게 형성 결합되는 개폐캡으로 이루어지는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부 상단에는 밀봉부를 더 연장 형성하고, 상기 개폐캡의 내부에는 용기본체의 밀봉부에 기워져 밀봉 및 해제되는 밀봉홈이 구비된 밀봉덮개를 일체로 구비하여 개폐캡을 열고 닫음에 따라 수용실의 화장품을 간편하게 밀봉 및 해제되도록 구성된 점에 있다.
제1실시 예의 화장품 용기에 따르면, 상기 개폐캡의 내부에 구비되는 밀봉덮개는 개폐캡의 측벽 내주면에 구비되는 걸림턱에 의해 유동되지 않도록 걸림 고정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제1실시 예의 화장품 용기에 따르면, 상기 개폐 캡의 내부에는 밀봉덮개가 끼워지는 유동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유동공간 범위 내에서 개폐캡의 개폐 조작시 밀봉덮개가 상하로 유동되어 지면서 용기본체의 입구부 상단에 연장 형성된 밀봉부의 높낮이에 대응하여 능동적으로 밀봉 및 해제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2실시 예는, 크림타입의 화장품이 수용되는 내용기가 입구부의 상단에 일체로 끼워 고정되고, 입구부의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외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외용기의 입구부에 형성된 나선에 체결되는 나선이 내부 측벽에 대응되게 형성된 내캡과 이의 외측에 일체로 커버 결합되는 외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개폐캡으로 이루어지는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내용기 상단에는 밀봉부를 더 연장 형성하고, 상기 개폐캡의 내캡에는 상기 내용기의 밀봉부를 밀봉 및 해제하기 위한 밀봉홈이 구비된 밀봉덮개를 일체로 구비하여 개폐캡을 열고 닫음에 따라 내용기에 수용된 화장품이 간편하게 밀봉 및 해제되도록 구성된 점에 있다.
제2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내용기의 상단 내주면으로는 경사 지지면을 형성하고, 상기 개폐캡의 내캡으로 구비되는 밀봉덮개의 밀봉홈으로도 경사 지지면을 대응되게 형성하여 상호 접촉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제2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개폐캡의 내캡 내부에 구비되는 밀봉덮개는 내캡의 측벽 내주면에 구비되는 걸림턱에 의해 유동되지 않도록 걸림 고정되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제2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개폐캡의 내캡에는 밀봉덮개가 끼워지는 유동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유동공간 범위 내에서 개폐캡의 개폐 조작시 상기 밀봉덮개가 상하로 유동되어 지면서 용기본체의 내용기 상단에 연장 형성되는 밀봉부의 높낮이에 대응하여 능동적으로 밀봉 및 해제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르면,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를 단순화하면서도 개폐캡의 내부에 화장품을 밀봉 및 해제하기 위한 밀봉덮개를 일체로 구비함으로써 화장품을 밀봉하기 위하여 보호덮개 및 패킹으로 나누어져 있던 것을 밀봉덮개 하나로 줄이면서도 개폐캡을 단순히 열고 닫는 것에 의해 화장품의 밀봉 및 해제 동작이 가능함에 따라 화장품의 밀봉 및 해제 동작이 간편 용이하고, 또 종래와 같이 개폐캡과는 별도로 보호 덮개를 일일이 열고 닫아야 하는 불편함이나 번거로움이 해소되어 화장품의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사용 편리성 또한 현저하게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실시 예의 효과에 더하여 용기본체나 개폐캡을 이중 구조로 채택함으로써 크림 화장품 용기의 고급화가 가능하면서도 크림 화장품의 성분이나 종류에 맞추어 보다 효과적으로 담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 예에 따르면, 밀봉덮개가 개폐캡의 내부에 구비되는 유동공간을 통해 상하로 유동되어 지게 구성됨으로써 화장품 용기의 제작 과정에서 설령 밀봉부의 높낮이가 다소 차이가 나게 제작되더라도 이에 능동적인 밀봉력을 제공하면서도 개폐캡의 안정된 개폐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의 밀봉 구조를 보인 결합 전 후의 측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구조를 보인 결합 전 후의 측 단면도이다.
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개폐캡의 발췌 측 단면도 및 개폐캡의 유동공간에 밀봉덮개가 끼워진 상태의 발췌 측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구조를 보인 결합 전 후의 측 단면도이다.
도 3c 및 도 3d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개폐캡의 발췌 측 단면도 및 개폐캡의 유동공간에 밀봉덮개가 끼워진 상태의 발췌 측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 예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구조를 보인 결합 전 후의 측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제1실시 예에 따른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100)는, 크림타입의 화장품이 수용되는 수용실(112)이 일방으로 개방 형성되고, 입구부(114)의 외주면에 나선(116)이 형성된 용기본체(110)와,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부에 형성된 나선에 체결되는 나선(122)이 측벽(124) 내주면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용기본체에 개폐 조작되는 개폐캡(1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 본체(110)의 입구부(114) 상단에는 밀봉부(130)가 더 연장 형성되고, 상기 개폐캡(120)의 내부에는 용기 본체의 밀봉부(130)를 밀봉 및 해제하기 위한 밀봉홈(142)이 구비된 밀봉덮개(140)를 일체로 구비하여 개폐캡(120)을 열고 닫음에 따라 용기본체의 수용실(112) 내에 담겨지는 크림 타입의 화장품을 간편하게 밀봉 및 해제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밀봉덮개(140)의 소재는 폴리에틸렌(PE)소재가 바람직하나, 기타 대체 소재의 사용도 가능할 것이다.
제1실시 예의 화장품 용기(100)에 따르면, 상기 개폐캡(120)의 내부에 구비되는 밀봉덮개(140)는 개폐캡의 측벽(124) 내주면에 구비되는 걸림턱(150)에 의해 유동되지 않도록 걸림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제1실시 예의 화장품 용기(100)에 따르면, 도 2c 및 도 2d와 같이 상기 개폐캡(120)의 내부 걸림턱(150)에 의해 걸림되어 지는 밀봉덮개(140)는, 상기 걸림턱(150)과 개폐캡(120)의 상벽(125) 내주면과의 사이에 유동공간(160)을 형성하고, 상기 유동공간 범위 내에서 개폐캡(120)의 개폐 조작시 상기 밀봉덮개(140)가 상하로 유동되어 지면서 용기본체(110)의 입구부(114) 상단에 연장 형성된 밀봉부(130)의 높이에 대응하여 능동적으로 밀봉 및 해제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100)에 따르면, 수용실(112)에 화장품이 담겨지는 용기본체(110)의 입구부(114)에 마련되는 밀봉부(130)를 밀봉 및 해제하기 위한 밀봉덮개(140)가 개폐캡(120)의 내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어, 상기 개폐캡을 용기본체의 입구부에 결합 또는 분리하는 동작을 통해 밀봉덮개(140)에 형성된 밀봉홈(142)이 상기 밀봉부(130)에 상호 끼워지면서 밀봉 및 해제되는 것이어서, 그만큼 화장품의 밀봉 조작이 간편 용이하게 되고, 또 종래 화장품을 밀봉하기 위해 보호덮개 및 패킹을 이용하던 것에 비하여 밀봉덮개(140) 하나로만 하게 됨에 따라 부품수를 줄이면서도 안정된 밀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밀봉덮개(140)가 개폐캡(120)의 내부에 마련되는 유동공간(160) 범위 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설령 화장품 용기의 제작 과정에서 재질이나 작업조건 등에 의해 용기 본체(110)의 입구부(114) 상단에 형성되는 밀봉부(130)의 높낮이가 설계 치수를 기준으로 다소 차이가 나게 형성되더라도 이에 대응한 밀봉이 가능하면서도 용기본체(110)에 대한 개폐캡(120)의 결합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게 된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밀봉덮개(140)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밀봉되게 함은, 밀봉부의 설계 치수 차이로 인한 용기본체(110)를 다시 제작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그만큼 제품의 불량률을 줄이는 하나의 긍정적인 요인으로도 작용하게 된다.
제2 실시 예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구조를 보인 결합 전 후의 측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제2실시 예에 따른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200)는,
크림타입의 화장품이 수용되는 내용기(212)가 입구부(214)의 상단에 일체로 끼워 고정되고, 입구부의 외주면에 나선(216)이 형성된 외용기(21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기본체(210)와, 상기 외용기의 입구부에 형성된 나선에 체결되는 나선(222)이 측벽(224)의 내주면에 대응되게 형성된 내캡(226)과 이의 외측에 일체로 커버 결합되는 외캡(22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개폐캡(2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용기본체(210)의 내용기(212) 상단에는 밀봉부(230)가 더 연장 형성하고, 상기 개폐 캡(220)의 내캡(226)에는 상기 내용기(212)의 밀봉부(230)를 밀봉 및 해제하기 위한 밀봉홈(242)이 구비된 밀봉덮개(240)를 일체로 구비하여 개폐캡(220)을 열고 닫음에 따라 내용기(212)에 수용된 화장품을 간편하게 밀봉 및 해제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밀봉덮개(240)의 소재는 폴리에틸렌(PE)소재가 바람직하나, 기타 대체 소재의 사용도 가능할 것이다.
제2실시 예의 화장품 용기(200)에 따르면, 상기 내용기(212)의 상단 내주면으로는 경사 지지면(212a)을 형성하고, 상기 개폐캡(220)의 내캡(226)으로 구비되는 밀봉덮개(240)의 밀봉홈(242)으로도 경사 지지면(242a)을 대응되게 형성하여 개폐캡(220)의 개폐 조작시 상호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밀봉력이 더욱 강화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실시 예의 화장품 용기(200)에 따르면, 개폐캡(220)의 내캡(226) 내부에 구비되는 밀봉덮개(240)는 내캡의 측벽(224) 내주면에 구비되는 걸림 ㅌ턱250)에 의해 유동되지 않도록 걸림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실시 예의 화장품 용기(200)에 따르면, 도 3c 및 도 3d와 같이 상기 개폐 캡의 내캡에 형성되는 걸림턱(250)에 의해 걸림되어 지는 밀봉덮개(240)는, 상기 걸림턱(250)과 내캡의 상벽(225) 내주면과의 사이로 일정한 유동공간(260)을 형성하고, 상기 유동공간 범위 내에서 개폐캡(220)의 개폐 조작시 상기 밀봉덮개(240)가 상하로 유동되어 지면서 용기본체(210)의 내용기(212) 상단에 연장 형성되는 밀봉부(230)의 높낮이에 대응하여 능동적으로 밀봉 및 해제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200)에 따르면, 화장품이 담겨지는 내용기(212)의 상단에 마련되는 밀봉부(230)를 밀봉 및 해제하기 위한 밀봉덮개(240)가 개폐캡(220)의 내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어, 상기 개폐캡(220)을 용기본체(210)의 외용기(218) 입구부(214)에 결합 또는 분리하는 동작을 통해 밀봉덮개(240)에 형성된 밀봉홈(242)이 상기 밀봉부(230)에 상호 끼워지면서 밀봉 및 해제되는 것이어서, 그만큼 화장품의 밀봉 조작이 간편 용이하게 되고, 또 종래 화장품을 밀봉하기 위해 보호덮개 및 패킹을 이용하던 것에 비하여 밀봉덮개(240) 하나로만 하게 됨에 따라 부품수를 줄이면서도 안정된 밀봉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밀봉덮개(240)가 개폐캡(220)의 내부에 마련되는 유동공간(260) 범위 내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설령 화장품 용기의 제작 과정에서 재질이나 작업조건 등에 의해 용기본체(210)의 내용기(212) 상단에 형성되는 밀봉부(230)의 높낮이가 설계 치수 보다 다소 차이가 나게 형성되더라도 이에 대응한 밀봉이 가능하면서도 용기본체(210)에 대한 개폐캡(220)의 결합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게 된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이 밀봉덮개(240)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밀봉되게 함은, 밀봉부(230)의 설계 치수 차이로 인한 내용기(212)를 다시 제작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그만큼 제품의 불량률을 줄이는 하나의 긍정적인 요인으로도 작용하게 된다.
또한, 제2실시 예의 화장품 용기(200) 구조에 따르면, 용기본체(210)나 개폐캡(220)이 이중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본체(210)를 구성하는 내용기(212)나 외용기(218)의 재질이나 색상을 달리하고, 또 개폐캡(220)을 구성하는 내캡(226) 및 외캡(228) 또한 재질이나 색상을 달리하여 제작함으로써, 단일체로 이루어진 제1실시 예의 화장품 용기(100) 구조에 비하여 보다 화려하고 아름다운 디자인이 연출되도록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00,200: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110,210: 용기본체
120,220: 개폐캡 130,230: 밀봉부
140, 240: 밀봉덮개 142,242: 밀봉홈
150,250: 걸림턱 160,260: 유동공간
112: 수용실 212: 내용기
218: 외용기 226: 내캡
228: 외캡

Claims (7)

  1. 크림타입의 화장품이 수용되는 수용실이 일방으로 개방 형성되고, 입구부의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부에 형성된 나선에 체결되는 나선이 측벽 내주면에 대응되게 형성 결합되는 개폐캡으로 이루어지는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부 상단에는 밀봉부를 더 연장 형성하고, 상기 개폐캡의 내부에는 용기본체의 밀봉부에 기워져 밀봉 및 해제되는 밀봉홈이 구비된 밀봉덮개를 일체로 구비하여 개폐캡을 열고 닫음에 따라 수용실의 화장품을 간편하게 밀봉 및 해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캡의 내부에 구비되는 밀봉덮개는 개폐캡의 측벽 내주면에 구비되는 걸림턱에 의해 유동되지 않도록 걸림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캡의 내부에는 밀봉덮개가 끼워지는 유동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유동공간 범위 내에서 개폐캡의 개폐 조작시 밀봉덮개가 상하로 유동되어 지면서 용기본체의 입구부 상단에 연장 형성된 밀봉부의 높낮이에 대응하여 능동적으로 밀봉 및 해제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이 바람직하다.
  4. 크림타입의 화장품이 수용되는 내용기가 입구부의 상단에 일체로 끼워 고정되고, 입구부의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외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외용기의 입구부에 형성된 나선에 체결되는 나선이 내부 측벽에 대응되게 형성된 내캡과 이의 외측에 일체로 커버 결합되는 외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개폐캡으로 이루어지는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내용기 상단에는 밀봉부를 더 연장 형성하고, 상기 개폐 캡의 내캡에는 상기 내용기의 밀봉부를 밀봉 및 해제하기 위한 밀봉홈이 구비된 밀봉덮개를 일체로 구비하여 개폐 캡을 열고 닫음에 따라 내용기에 수용된 화장품이 간편하게 밀봉 및 해제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의 상단 내주면으로는 경사 지지면을 형성하고, 상기 개폐캡의 내캡으로 구비되는 밀봉덮개의 밀봉홈으로도 경사 지지면을 대응되게 형성하여 상호 접촉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캡의 내캡 내부에 구비되는 밀봉덮개는 내캡의 측벽 내주면에 구비되는 걸림 테에 의해 유동되지 않도록 걸림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캡의 내캡으로는 밀봉덮개가 끼워지는 유동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유동공간 범위 내에서 개폐캡의 개폐 조작시 밀봉덮개가 상하로 유동되어 지면서 용기본체의 내용기 상단에 연장 형성되는 밀봉부의 높낮이에 대응하여 능동적으로 밀봉 및 해제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1020120019018A 2012-02-24 2012-02-24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101319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018A KR101319692B1 (ko) 2012-02-24 2012-02-24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018A KR101319692B1 (ko) 2012-02-24 2012-02-24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7396A true KR20130097396A (ko) 2013-09-03
KR101319692B1 KR101319692B1 (ko) 2013-10-17

Family

ID=49449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018A KR101319692B1 (ko) 2012-02-24 2012-02-24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969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883B1 (ko) * 2013-10-21 2014-04-08 김진우 화장품 용기 뚜껑
KR20200009651A (ko) * 2018-07-19 2020-01-30 주식회사 고그린라이프 밀봉용기
KR102276703B1 (ko) * 2020-01-29 2021-07-12 주식회사 한화 2중 덮개 구조를 가지는 덮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탄약의 발사통
KR20220001159A (ko) 2020-06-29 2022-01-05 주식회사 삼화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102386272B1 (ko) * 2021-07-06 2022-04-12 정규철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기밀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용기
KR20230007763A (ko) * 2021-07-06 2023-01-13 정규철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기밀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098B1 (ko) 2021-05-18 2022-03-23 이성환 원터치 잠금식 화장품 용기
KR102461791B1 (ko) * 2021-06-04 2022-10-31 정규철 내용기 리필형 화장품 용기
KR102553546B1 (ko) * 2021-10-19 2023-07-10 주식회사 탭코리아 리필용기를 가지는 화장품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1939Y2 (ja) * 1990-12-25 1997-01-0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コンパクト容器
JP3083989B2 (ja) * 1996-03-29 2000-09-0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化粧用気密コンパクト容器
KR200172669Y1 (ko) * 1998-01-16 2000-04-01 서경배 화장품 용기 뚜껑
KR200345068Y1 (ko) * 2003-12-24 2004-03-19 오진세 화장품 용기와 캡의 밀폐구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883B1 (ko) * 2013-10-21 2014-04-08 김진우 화장품 용기 뚜껑
WO2015060555A1 (en) * 2013-10-21 2015-04-30 Ctk Co., Ltd Cap for cosmetic case
JP2016508770A (ja) * 2013-10-21 2016-03-24 シーティーケ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Ctk Co., Ltd 化粧品容器キャップ
KR20200009651A (ko) * 2018-07-19 2020-01-30 주식회사 고그린라이프 밀봉용기
KR102276703B1 (ko) * 2020-01-29 2021-07-12 주식회사 한화 2중 덮개 구조를 가지는 덮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탄약의 발사통
US11808557B2 (en) 2020-01-29 2023-11-07 Hanwha Aerospace Co., Ltd. Cover structure with double cover structure and shooting case of munition having same
KR20220001159A (ko) 2020-06-29 2022-01-05 주식회사 삼화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102386272B1 (ko) * 2021-07-06 2022-04-12 정규철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기밀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용기
KR20230007763A (ko) * 2021-07-06 2023-01-13 정규철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기밀 구조가 개선된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9692B1 (ko) 201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692B1 (ko)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101499134B1 (ko) 다단 리필용기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JP5068607B2 (ja) 飲料用容器
US20170202342A1 (en) Cosmetic container comprising multiple compartments for separately containing various cream type cosmetics
KR20150004424U (ko) 립스틱 화장품용기의 밀폐구조
KR101638813B1 (ko) 인출식 팔레트를 갖춘 화장품용기
JP6514297B2 (ja) カプセル型内容物の排出速度が向上した包装容器
KR101006209B1 (ko) 분쇄식 고형 파우더 케이스
ES2729524T3 (es) Envase estanco para cosméticos
KR102249673B1 (ko) 외부 뚜껑 개폐 및 기밀성이 향상된 크림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200473786Y1 (ko) 화장용 퍼프용기
KR20160123039A (ko) 화장품 용기
KR200466582Y1 (ko) 밀폐형 음식물 보관 용기용 누름판의 쏠림 방지구조
KR101688623B1 (ko) 튜브형 화장품 용기
KR200458129Y1 (ko) 길이 조절이 용이한 화장용 브러시
KR200479286Y1 (ko) 뚜껑의 내부에 독립된 밀폐 보조수용공간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100920814B1 (ko) 파우더토출구의 개폐가 용이한 화장품 용기
TWI400184B (zh) 植入物容器
KR20110067982A (ko) 용기
KR200479403Y1 (ko) 화장품 용기
KR200484193Y1 (ko) 화장품 콤팩트 용기
KR20090008547U (ko) 휴대용 약 보관용기
KR200474542Y1 (ko) 첨가제 첨가용 위생 이중캡
KR200466083Y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0478760Y1 (ko) 칸칸 밀폐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