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6922A -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 및 그의 코팅 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 및 그의 코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6922A
KR20130096922A KR1020120018511A KR20120018511A KR20130096922A KR 20130096922 A KR20130096922 A KR 20130096922A KR 1020120018511 A KR1020120018511 A KR 1020120018511A KR 20120018511 A KR20120018511 A KR 20120018511A KR 20130096922 A KR20130096922 A KR 201300969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terial
coating layer
coating
layer
fingerpr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8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4795B1 (ko
Inventor
장민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8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4795B1/ko
Publication of KR20130096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4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4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02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acromolecular substances, e.g.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6Three layers or more
    • B05D7/58No clear coat specifi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01/00Polymeric substrate or laminate
    • B05D2201/02Polymeric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3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3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J23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carbonates;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5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particle size in gener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코팅층으로 구성된 모재에 있어서, 모재부와, 상기 모재부의 상부에 코팅되는 제 1 프라이머층과, 상기 제 1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코팅되고, 유브이(UV) 코팅층 및 멀티 증착층을 포함하는 제 1 코팅층과, 상기 제 1 코팅층의 상부에 코팅되는 제 2 프라이머층 및 상기 제 2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코팅되고, 세라믹 및 내지문 첨가제를 포함하는 제 2 코팅층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 및 그의 코팅 방법{PREFORM HAVING DOUBLE COATING LAYER AND CO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모재의 표면 처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중 코팅층을 구성한 모재 및 그의 코팅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사출 모재의 용도가 화장품, 휴대용 통신 장치, 전기/전자 기기, 윈도우, 자동차 및 전자장비등의 분야에서 그 사용량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상기 제품들은 표면이 유리나 금속에 비해 내구성 및 경도가 떨어져 상품가치에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플라스틱 사출 모재의 표면 손상 보호 및 경도 광택 향상을 위해 여러 가지 도장기법이 개발되고 있다.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어지는 도장기법들로는 자연건조방법, 저온소부 방법, 자외선 경화방법등을 들 수 있다.
최근 들어, 상기 사출 모재는 차별화된 디자인 외관 구현을 위한 신소재 및 표면 처리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특히, 금속의 고급 질감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사출 모재의 내, 외장 기구물에는 금속성 색상 및 금속성 질감을 구현하고 있다. 이러한 금속 질감의 표면 처리 방법으로는, 통상적인 도금 및 진공 증착 방법 또는 금속 소재를 이용한 박막 코팅 및 실링 방법등이 사용된다.
도 1과 같이, 사출 모재의 표면 코팅 구조를 살펴보면, 먼저, 사출 모재(1)의 상부에 하도막(2)을 형성하고, 상기 하도막(2)의 상부에 중도막(3)을 형성하며, 상기 중도막(3)의 상부에 상도막(4)을 형성한다.
상기 상, 하도막(2)(4)은 유브이(UV) 경화 도료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도막(3)은 칼라 구현이 가능한 칼라 도료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사출 모재는 주로 외부에 노출되는 케이스나 윈도우로 사용되고, 이러한 사출 모재는 사람 손에 노출이 되는 부분이 존재하게 되어 표면에 손자국 즉, 지문이 잘 남게 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과 같이, 상기 사출 모재(1)의 상도막(4)의 상부에는 내지문 첨가제(5a)를 첨가한 내지문 코팅층(5)이 형성된다.
이러한 코팅 물질 및 코팅 방법은 이미 대한 민국 공개 특허 번호 제10-2009-0055641호(공개 일자 2009, 06,02)에 관련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사출 모재는 단지 상도막의 상부에 내지문 첨가제만을 포함한 내지문 코팅층이 형성되는 구조이므로, 상기 내지문 코팅층은 연필 경도 1H 로서 스크래치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내지문 코팅층의 경도를 증가시켜야 하고, 이럴 경우, 사출 모재에 클랙(Crack)이 발생되는 추가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내지문 코팅층은 충격에 대한 클랙(Crack)과 표면의 경도가 서로 경합(tradeoff)하는 관계이므로, 도 2와 같이, 상기 내지문 코팅층(5)은 가교밀도로 설계하여 상기 1H 경도를 구현한다. 이와 같이, 상기 내지문 코팅층(5)은 가교밀도를 높이게 되면, 신장율이 낮아지지 때문에 수축, 팽창 또는 충격시 클랙(Crack)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내지문 코팅층은 첨가된 내지문 첨가제(5a; 도 2에 도시됨)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구조이므로, 사용자의 지문이 상기 내지문 첨가제의 일부와 접촉되어 묻음과 동시에 잘 닦이지 않고, 이로인해 상기 내지문 코팅층 표면의 고휘도 구현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사출 모재에 경도를 향상시키는 첨가제를 포함시키고, 내스크래치 및 내지문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이중으로 코팅층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유브이(UV) 코팅층과 멀티 증착층을 포함한 제 1 코팅층과 세리믹 및 내지문 첨가제를 포함한 제 2 코팅층으로 구성함으로써, 제품을 제 1 코팅층에 의해 1차적으로 경도를 향상시키고, 세라믹이 포함된 제 2 코팅층에 의해 2차적으로 경도를 더 향상시키며, 이로인해 제품의 내스크래치 및 내지문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 및 그의 코팅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2 코팅층에 포함된 내지문 첨가제가 제품의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지문이 내지문 첨가제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사용자의 지문이 제품에 묻을 경우 잘 닦일 뿐만 아니라, 제품의 고휘도 외관 구현이 가능하며, 이로인해 제품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 및 그의 코팅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에 있어서,
모재부;
상기 모재부에 코팅되고, 유브이(UV) 코팅층 및 멀티 증착층을 포함하는 제 1 코팅층; 및
상기 제 1 코팅층의 상부에 코팅되고, 세라믹 및 내지문 첨가제를 포함하는 제 2 코팅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에 있어서,
모재부;
상기 모재부의 상부에 코팅되는 제 1 프라이머층;
상기 제 1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코팅되고, 유브이(UV) 코팅층 및 멀티 증착층을 포함하는 제 1 코팅층;
상기 제 1 코팅층의 상부에 코팅되는 제 2 프라이머층; 및
상기 제 2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코팅되고, 세라믹 및 내지문 첨가제를 포함하는 제 2 코팅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코팅 방법은,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의 코팅 방법에 있어서,
모재부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모재부의 상부에 제 1 프라이머층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제 1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유브이(UV) 코팅층 및 멀티 증착층을 포함한 제 1 코팅층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제 1 코팅층의 상부에 제 2 프라이머층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세라믹 및 내지문 첨가제를 포함한 제 2 코팅층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 및 그의 코팅 방법에 의하면,
모재에 유브이(UV) 코팅층 및 멀티 증착층을 포함한 제 1 코팅층과 세라믹 및 내지문 첨가제를 포함한 제 2 코팅층을 구성하여, 제 1 코팅층에 의해 1차적으로 제품의 경도를 향상시키고, 제 2 코팅층에 의해 2차적으로 제품의 경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제품의 스크래치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뿐만 아니라, 스크래치에 강하면서도 크랙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제품의 내지문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제 2 코팅층에 포함된 내지문 첨가제가 제품의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지문이 내지문 첨가제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제품에 묻은 사용자의 지문이 퍼지면서 잘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잘 닦이는 효과가 있다. 이로인해 제품의 고휘도 외관 구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내지문 코팅층이 형성된 사출 모재의 구성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내지문 코팅층이 형성된 사출 모재의 가교밀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의 가교밀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의 스크래치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의 저주파 진동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의 내지문 성능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의 코팅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모재(1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10)는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모재부(11)와, 제 1, 2 프라이머층(12)(14) 및 제 1, 2 코팅층(13)(15)를 포함한다. 상기 모재부(11)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상기 제 1 코팅층(13)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제 1 프라이머층(12)이 코팅되어 있다. 상기 제 1 프라이머층(12)의 상부에는 유브이(UV) 코팅층(13a) 및 멀티 증착층(13b)을 포함한 제 1 코팅층(13)이 코팅되어 있다. 상기 제 1 코팅층(13)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제 2 코팅층(15)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프라이머층(14)이 코팅되어 있다. 상기 제 2 프라이머층(14)의 상부에는 세라믹(15a) 및 내지문 첨가제(15b)를 포함한 제 2 코팅층(15)이 코팅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모재부(11)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모재부(11)는 사출 모재(11), 전자 기기의 케이스, 윈도우 및 배터리 커버들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상기 모재부(11)는 사출 모재, 전자 기기의 케이스, 윈도우 및 배터리 커버이외에 다른 제품들도 가능하다.(예컨대, 화장품 케이스등)
더욱이, 상기 모재부(11)의 두께는 0.6mm ~ 0.8mm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재부(11)의 두께는 0.6mm 이하 또는 0.8mm 이상도 가능하다. 상기 모재부(11)의 재질은 폴리 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 PC), 폴리 카보네이트 글래스 파이버(Poly Carbonate Glass Fiver : PCGF), 폴리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 Ethylenetere Phthalate ;PET) 및 폴리 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 Methyl Methacrylate : PMMA)들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재부(11)는 상기 재질들이외에 다른 재질도 가능하다.(예컨대, 강화 유리, 강화 플라스틱 및 금속등)
또한, 상기 멀티 증착층(13b)은 다수의 이산화티타늄(Tio2) 및 다수의 이산화규소(Sio2)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이산화티타늄(Tio2) 및 상기 이산화규소(Sio2)들은 서로 번갈아 적층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 코팅층(15)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 2 코팅층(15)은 유브이(UV) 경화 도료에 상기 세라믹(15a) 및 상기 내지문 첨가제(15b)를 첨가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세라믹(15a)의 재질은 나노 실리카 또는 알루미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상기 세라믹(15a)의 재질은 나노 실리카 또는 알루미나 이외에 다른 재질도 가능하다.(예컨대, 실리콘등)
또한, 상기 세라믹(15a)의 크기는 20~200nm 또는 10~500nm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라믹(15a)은 2~5% 또는 1~10% 첨가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내지문 첨가제(15b)는 0.1~1% 첨가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내지문 첨가제(15b)는 0.1% 이하 또는 1% 이상으로 첨가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내지문 첨가제(15b)는 상기 나노 실리카와 결합되어 상기 제 2 코팅층(15)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내지문 첨가제(15b)가 상기 제 2 코팅층(15)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지문이 상기 제 2 코팅층(15)의 표면에 묻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잘 닦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 2 코팅층(15)은 경도 2H ~ 3H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 2 코팅층(15)은 경도 2H ~ 3H 이하 또는 이상도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앞서 언급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의 제작 과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도 3과 같이, 사출 성형에 의해 모재부(11)를 제작한다. 상기 모재부(11)의 상부에 제 1 프라이머층(12)을 코팅하고, 상기 제 1 프라이머층(12)의 상부에 유브이(UV) 코팅층(13a)을 코팅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유브이(UV) 코팅층(13a)의 상부에 다수의 이산화티타늄(Tio2) 및 다수의 이산화규소(Sio2)로 구성된 멀티 증착층(13b)을 코팅한다. 여기서, 상기 유브이(UV) 코팅층(13a) 및 상기 멀티 증착층(13b)은 제 1 코팅층(13)이라 한다. 상기 멀티 증착층(13b)의 상부에 제 2 프라이머층(14)을 코팅하고, 상기 제 2 프라이머층(14)의 상부에 세라믹(15a) 및 내지문 첨가제(15b)를 포함한 제 2 코팅층(15)을 코팅한다.
이렇게 제작된 상기 모재부(11)는 상기 제 1 코팅층(13)에 의해 1차적으로 경도가 향상되고, 상기 제 1 코팅층(13)의 적층으로 세라믹(15a) 및 내지문 첨가제(15b)를 포함한 상기 제 2 코팅층(15)에 의해 2차적으로 경도가 추가적으로 향상될 뿐만 아니라, 스크래치 및 지문에 대한 저항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즉, 상기 모재부(11)는 내스크래치 및 내지문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인해 상기 모재부(11)의 표면은 고휘도의 외관 구현이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모재부(11)의 제 2 코팅층(15)의 상부면을 터치할 경우, 상기 제 2 코팅층(15)은 사용자의 지문이 펴지면서 잘 보이지 않고, 지문이 잘 닦이는 효과가 있다.
즉, 기존의 내지문 코팅층(5; 도 1에 도시됨)은 첨가된 내지문 첨가제(5a; 도 1에 도시됨)가 모두 외부에 노출되는 구조이므로, 사용자의 지문이 노출된 상기 내지문 첨가제(5a)와 접촉됨과 동시에 기존의 내지문 코팅층의 표면에 묻을 뿐만 아니라, 잘 닦이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 2 코팅층(15)에는 나노 실리카로 이루어진 세라믹(15a)을 포함하고, 상기 나노 실리카는 상기 내지문 첨가제(15b)들과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내지문 첨가제(15b)들이 상기 제 2 코팅층(15)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인해 상기 제 2 코팅층(15)의 내지문 첨가제(15b)들은 상기 사용자의 지문과 접촉되지 않아 상기 제 2 코팅층(15)의 표면에 지문이 묻지 않고, 묻어도 잘 닦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내지문 코팅층(5; 도 1에 도시됨)은 충격에 대한 클랙(Crack)과 표면의 경도가 서로 경합(tradeoff)하는 관계이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내지문 코팅층(5)은 가교밀도로 설계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 내지문 코팅층(5)은 가교밀도를 높이게 되면, 신장율이 낮아지지 때문에 수축, 팽창 또는 충격시 클랙(Crack)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앞서 언급한 도 4와 같이, 상기 제 2 코팅층(15)에 나노 실리카로 이루어진 세라믹(15a)을 첨가하여 가교밀도를 설계함으로써, 상기 모재부(11)의 가교밀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신장율은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수축, 팽창 또는 충격시 클랙(Crack)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이렇게 설계된 상기 모재부(11)는 충격에 대한 클랙(Crack)과 표면 경도의 경합(tradeoff) 관계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모재부(11)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5는 종래의 사출 모재(1; 도 1에 도시됨)와 본 발명의 모재(10; 도 3에 도시됨)와의 내스크래치 성능 비교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연필 경도 1H로 이루어진 종래의 사출 모재(1)는 강철솜에 의해 스크래치가 발생되고, 이에 반하여 연필 강도 3H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모재(10)는 강철솜에 의해 스크래치가 발생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본 발명의 모재(10)는 세라믹(15a; 도 3에 도시됨)을 첨가하여 경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은 종래의 사출 모재(1; 도 1에 도시됨)와 본 발명의 모재(10; 도 3에 도시됨)와의 저주파 진동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종래의 사출 모재(1)와 본 발명의 모재(10)에 5분 또는 15분 정도 저주파 진동을 가할 경우, 본 발명의 모재(10)에서는 클랙이 발생되지 않았으나, 종래의 사출 모재(1)에서는 클랙이 발생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본 발명의 모재(10)는 유브이(UV) 코팅층(13a; 도 3에 도시됨) 및 멀티 증착층(13b; 도 3에 도시됨)을 포함한 상기 제 1 코팅층(13)과 세라믹(15a; 도 3에 도시됨) 및 내지문 첨가제(15b; 도 3에 도시됨)를 포함한 상기 제 2 코팅층(15)으로 이중으로 구성함으로써, 모재(10)에 충격을 가해도 클랙이 발생되지 않음을 알 수 있고, 이로인해 경도를 크게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7은 종래의 사출 모재(1; 도 1에 도시됨)와 본 발명의 모재(10; 도 3에 도시됨)와의 내지문 성능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종래의 사출 모재(1)와 본 발명의 모재(10)에 사용자의 지문을 묻히고 위핑(Wipping)후 상태를 보면, 종래의 사출 모재(1)에는 사용자의 지문이 그대로 묻어 있고, 이 상태에서, 위핑(Wipping)후 어느 정도 시간이 소요 후 상기 지문이 닦이는 것을 알 수 있고,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모재(10; 도 3에 도시됨)는 처음부터 사용자의 지문이 거의 묻지 않고, 이 상태에서 위핑(Wipping)시 짧은 시간에 지문이 닦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모재(10)는 내지문 첨가제(15b)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는 나노 실리카로 이루어진 세라믹(15a)을 포함함으로서, 내지문 첨가제(15b)가 사용자의 지문과 접촉되지 않아 상기 모재(10)의 표면에 지문이 잘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잘 닦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모재(10; 도 3에 도시됨)는 대표적인 적용예로 전자 기기(미도시 됨)의 케이스, 윈도우 및 배터리 커버에 적용 가능하다. 하지만, 상기 본 발명은 반드시 상기 제품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제품에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다양한 형태의 제품의 예시로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를 비롯하여,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게임기, 노트북, 광고판, 티브이(TV),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 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10; 도 3에 도시됨)의 코팅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의 코팅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모재(10)의 코팅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출 성형에 의해 모재부(11)를 제작한다.(S1)
여기서, 상기 모재부(11)는 전자 기기의 케이스, 윈도우 및 배터리 커버들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S1로부터, 상기 모재부(11)의 상부에는 제 1 프라이머층(12)이 코팅된다.(S2)
상기 S2로부터, 상기 제 1 프라이머층(12)의 상부에는 유브이(UV) 코팅층(13a) 및 멀티 증착층(13b)을 포함하는 제 1 코팅층(13)이 코팅된다.(S3)
이때, 상기 제 1 프라이머층(12)의 상부에는 유브이(UV) 코팅층(13a)이 먼저 코팅되고, 그 다음 상기 유브이(UV) 코팅층(13a)의 상부에는 멀티 증착층(13b)이 코팅된다.
한편, 상기 멀티 증착층(13b)은 다수의 이산화티타늄(Tio2) 및 다수의 이산화규소(Sio2)로 구성된다.
상기 S3으로부터 상기 멀티 증착층(13b)의 상부에는 제 2 프라이머층(14)이 코팅된다.(S4)
상기 S4로부터 상기 제 2 프라이머층(14)의 상부에는 세라믹(15a) 및 내지문 첨가제(15b)를 포함하는 제 2 코팅층(15)이 코팅된다.(S5)
여기서, 상기 제 2 코팅층(15)은 유브이(UV) 경화 도료에 상기 세라믹(15a) 및 상기 내지문 첨가제(15b)를 첨가하고, 상기 세라믹(15a)의 재질은 나노 실리카 또는 알루미나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모재(10)는 상기 제 1 코팅층(13)의 상부에 세라믹(15a) 및 내지문 첨가제(15b)를 포함한 상기 제 2 코팅층(15)을 이중으로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경도를 더욱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내스크래치 및 내지문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재(10)는 상기 제 2 코팅층(15)에 나노 실리카로 이루어진 세라믹(15a)을 첨가하여 가교밀도를 설계함으로써, 기존에 발생되던 충격에 대한 클랙(Crack)과 표면 경도의 경합(tradeoff) 관계를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모재(10)의 클랙 발생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경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 및 그의 코팅 방법은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모재 : 11 제 1, 2 프라이머층 : 12, 14
제 1, 2 코팅층 : 13, 15 유브이(UV) 코팅층 : 13a
멀티 증착층 : 13b 세라믹 : 15a
내지문 첨가제 : 15b

Claims (15)

  1.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에 있어서,
    모재부;
    상기 모재부에 코팅되고, 유브이(UV) 코팅층 및 멀티 증착층을 포함하는 제 1 코팅층; 및
    상기 제 1 코팅층의 상부에 코팅되고, 세라믹 및 내지문 첨가제를 포함하는 제 2 코팅층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부와 상기 제 1, 2 코팅층의 사이에는 각각 프라이머층이 코팅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
  3.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에 있어서,
    모재부;
    상기 모재부의 상부에 코팅되는 제 1 프라이머층;
    상기 제 1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코팅되고, 유브이(UV) 코팅층 및 멀티 증착층을 포함하는 제 1 코팅층;
    상기 제 1 코팅층의 상부에 코팅되는 제 2 프라이머층; 및
    상기 제 2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코팅되고, 세라믹 및 내지문 첨가제를 포함하는 제 2 코팅층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부는 사출 모재, 전자 기기의 케이스, 윈도우 및 배터리 커버들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부의 두께는 0.6mm ~ 0.8mm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부의 재질은 폴리 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 PC), 폴리 카보네이트 글래스 파이버(Poly Carbonate Glass Fiver : PCGF), 폴리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 Ethylenetere Phthalate ;PET) 및 폴리 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 Methyl Methacrylate : PMMA)들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증착층은 다수의 이산화티타늄(Tio2) 및 다수의 이산화규소(Sio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코팅층은 유브이(UV) 경화 도료에 상기 세라믹 및 상기 내지문 첨가제를 첨가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의 재질은 나노 실리카 또는 알루미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의 크기는 20~200nm 또는 10~500nm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은 2~5% 또는 1~10%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지문 첨가제는 0.1~1%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지문 첨가제는 상기 제 2 코팅층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코팅층은 경도 2H ~ 3H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
  15.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의 코팅 방법에 있어서,
    모재부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모재부의 상부에 제 1 프라이머층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제 1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유브이(UV) 코팅층 및 멀티 증착층을 포함한 제 1 코팅층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제 1 코팅층의 상부에 제 2 프라이머층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프라이머층의 상부에 세라믹 및 내지문 첨가제를 포함한 제 2 코팅층을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의 코팅 방법.

KR1020120018511A 2012-02-23 2012-02-23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 및 그의 코팅 방법 KR101934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511A KR101934795B1 (ko) 2012-02-23 2012-02-23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 및 그의 코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8511A KR101934795B1 (ko) 2012-02-23 2012-02-23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 및 그의 코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922A true KR20130096922A (ko) 2013-09-02
KR101934795B1 KR101934795B1 (ko) 2019-01-04

Family

ID=49449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8511A KR101934795B1 (ko) 2012-02-23 2012-02-23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 및 그의 코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47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683A (ko) 2015-06-24 2017-01-03 이영중 멀티 증착층을 갖는 글래스 및 그 제조방법
WO2023063554A1 (ko) * 2021-10-14 2023-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699B1 (ko) 2007-12-04 2008-07-23 주식회사 에이원 휴대폰 케이스의 코팅방법
JP2010259971A (ja) * 2009-04-30 2010-11-18 Snt Co 耐指紋付着性コーティング被膜を有する複合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683A (ko) 2015-06-24 2017-01-03 이영중 멀티 증착층을 갖는 글래스 및 그 제조방법
WO2023063554A1 (ko) * 2021-10-14 2023-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4795B1 (ko) 2019-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130550U (zh) 一种塑胶柔性盖板组合物和移动终端
WO2021000605A1 (zh) 柔性显示盖板、柔性显示模组和柔性显示装置
US8202592B2 (en) Hous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TWI703233B (zh) 抗刮材料及包括該抗刮材料之製品
US8450607B2 (en) Electronic device housing
US9471172B2 (en) Display for mobile device with abrasion resistant siloxane coating
US20090194308A1 (en) Metal housing
US20090197116A1 (en) Metal housing
KR101482762B1 (ko)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용 필름
CN111901996B (zh) 壳体组件及其制备方法、电子设备
US20090239068A1 (en) Housing for mobile devices
US20160088128A1 (en) Housing, electronic device using the housing, and method for making the housing
KR20140126824A (ko) 표시장치용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00053094A (ko) 금속 질감을 표현한 사출 모재 및 제조방법
JP2011096992A (ja) 蓋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30096922A (ko) 이중 코팅층을 포함한 모재 및 그의 코팅 방법
US20120251706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anti-fingerprint paint and use of the anti-fingerprint paint
TW201244588A (en) Housing and method for making same
WO2019046441A1 (en) MULTILAYER ANTIREFLECTED ARTICLES AND METHODS OF FORMING THESE ARTICLES
US20100330343A1 (en) Method for making key panel and key panel thereof
JP2005288720A (ja) インサートフィルムとそれを用いた成形品
US11673371B2 (en) Method of improving optical quality of curved glass structures
KR20120058306A (ko) 휴대폰 보호 커버
EP1543948A4 (en) ANTISTATIC MOLDED ARTICLE AND ANTISTATIC PAINT
KR101884279B1 (ko) 비전도성 조성물이 코팅된 모재 및 그의 코팅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