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6370A - 유기물 정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물 정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6370A
KR20130096370A KR1020120017757A KR20120017757A KR20130096370A KR 20130096370 A KR20130096370 A KR 20130096370A KR 1020120017757 A KR1020120017757 A KR 1020120017757A KR 20120017757 A KR20120017757 A KR 20120017757A KR 20130096370 A KR20130096370 A KR 20130096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organic material
inner tube
organic
purification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7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섭
양승각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7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6370A/ko
Priority to US13/541,251 priority patent/US20130216968A1/en
Publication of KR20130096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3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5/00Muffle furnaces; Retort furnaces; Othe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is held completely isolated
    • F27B5/02Muffle furnaces; Retort furnaces; Othe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is held completely isolated of multiple-chamb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5/00Supports, screens, or the like for the charge within the furn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274Sequential or parallel reactions; Apparatus and devices for combinatorial chemistry or for making arrays; Chemical library technology
    • B01J2219/00759Purification of compounds synthesised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물 정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제 대상 유기물을 로딩하기 위한 2개 이상의 로딩보트를 구비함으로써 정제 시간을 단축시키고 정제 수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제 대상 유기물의 분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유기물 정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기물 정제장치{APPARATUS FOR REFINING ORGANIC MATERIAL}
본 발명은 유기물 정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제 대상 유기물을 로딩하기 위한 2개의 로딩보트를 구비함으로써 정제 시간을 단축시키고 정제 수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제 대상 유기물의 분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유기물 정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소자는 일함수가 크고 투명한 양극과 일함수가 낮은 음극 금속 사이에 여러 개의 얇은 유기 박막층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유기발광소자의 발광원리는 소자에 전압을 가하면 양극 전극에서 정공이 유기층으로 주입되고 음극에서는 전자가 주입되어 발광층에서 재결합하여 빛을 내는 것이다.
유기발광소자의 발광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유기물 재료의 순도가 있다. 유기물 재료 중에 불순물이 혼입되어 있으면, 그 불순물이 전하 이동의 트랩이 되거나 소광의 원인이 되어 발광 강도 및 발광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불순물을 줄이기 위해 유기물 재료를 정제할 필요가 있다.
유기물 재료의 정제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용매를 사용한 재결정 또는 승화에 의한 재결정이 사용된다. 용매를 사용한 재결정에서는 유기물 재료를 대량으로 정제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용매를 사용하기 때문에 용매가 유기 결정 중에 들어가기 쉽다는 단점이 있다. 즉, 유기 결정 중에 들어간 용매는 불순물로 작용하여 발광 특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매에 의해 정제된 유기물을 통한 소자 제작 시 아웃게싱에 의한 진공도 저하 및 박막의 불순물 침투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한편, 승화에 의한 재결정에서는 진공 하에서 유기물 재료가 승화되어 재결정되므로 불순물이 들어가기 어렵다. 따라서 유기발광소자용 유기물 재료의 정제에는 승화 정제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행하여지는 유기물 재료의 승화 정제 방법은 시료를 수용하는 수용기와 재결정되는 유기물 재료를 포착하기 위한 내부관을 사용하고, 비활성 가스를 흘려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통상적인 유기물 재료의 정제방법은 물질에 따라서 정제하는데 높은 온도와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며, 고온에 의한 정제로 인해 유기물 재료의 분해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일례에서는 보다 빠른 단위시간에 보다 많은 양의 유기물을할 정제할 수 있는 정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의 일례에서는 동일한 용량과 동일한 온도조건에서 유기물의 변성을 최소화하여 순도 및 수율을 높일 수 있으며, 정제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유기물 정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중공관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외부관; 상기 외부관 내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내부관; 상기 외부관의 외부에 배치되는 가열수단; 및 상기 외부관과 연결되어, 상기 외부관 내부 및 내부관에 저압상태를 제공하기 위한 진공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내부관은 정제대상 유기물을 로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로딩용 내부관 및 상기 정제된 유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거용 내부관을 포함하며, 상기 로딩용 내부관에는 유기물을 로딩하기 위한 제1 로딩보트 및 제2 로딩보트를 포함하며, 상기 로딩용 내부관에서 상기 제1 로딩보트 상부에 제2 로딩보트가 배치되는 유기물 정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수거용 내부관은 상기 로딩용 내부관보다 더진공펌프 쪽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로딩용 내부관은 진공펌프쪽은 개방되어 있으며, 진공펌프 반대쪽은 밀폐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제1 로딩보트 및 상기 제2 로딩보트는, 평면형태로 된 기저부 및 상기 기저부의 단부에 배치된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측벽은 상기 기저부의 진공펌프 쪽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제1 로딩보트와 상기 제2 로딩보트 사이의 간격은 20 내지 200 mm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제1 로딩보트의 측벽 말단과 상기 제2 로딩보트의 기저부 사이의 간격은 10 내지 200 mm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로딩용 내부관에는 상기 제1 로딩보트를 거치하기 위한 제1 거치수단 및 제2 로딩보트를 거치하기 위한 제2 거치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제1 거치수단 및 제2 거치수단 중 적어도 하나는 돌출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제1 거치수단 및 제2 거치수단 중 적어도 하나는 기저부의 측면을 수용할 수 있는 슬릿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외부관을 따라 분리된 2개 이상의 독립된 가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2개 이상의 가열장치가 제공하는 가열온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내부관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진공펌프는 외부관 내부의 압력을 10-5Pa 내지 100Pa이 되도록 할 수 있는 용량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로딩용 내부관과 상기 수거용 내부관 사이에는 재승화용 내부관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재승화용 내부관은, 상기 로딩용 내부관에서 승화된 후, 상기 로딩용 내부관에서 유출된 후 결정이 되었던 유기물을 다시 승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정제대상 유기물은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이다. 상기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은, 발광층 형성용 유기물, 정공주입층 형성용 유기물, 정공수송층 형성용 유기물, 전자주입층 형성용 유기물 및 전자수송층 형성용 유기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대상 유기물은 분자량이 500 내지 2000의 범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하면 유기물 정제 시 수율을 향상시키고 정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유기물 정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통상적인 유기물 정제장치의 주요부를 도식적으로 표시한 구조도이다.
도 3은 통상적인 유기물 정제장치에서 제1 내부관의 일반적인 구조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유기물 정제장치를 도식적으로 표시한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유기물 정제장치의 제1 내부관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유기물 정제장치의 제1 내부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유기물 정제장치의 로딩 보트에 대한 예시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 바, 특정의 실시예만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렇다고 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인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통상적인 유기물 정제장치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로 할 때, 유기물 정제장치는, 일반적으로 정제대상 유기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기(50), 정제된 유기물과 불순물을 분리하기 위한 복수개의 내부관(21, 22, 23), 상기 복수개의 내부관(21, 22, 23)을 연결하는 연결부(61, 62), 상기 일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내부관(21, 22, 23)을 수용하며 복수개의 히터(31, 32, 33, 34)의 안쪽에 위치하는 외부관(10), 상기 외부관(10) 및 각각의 내부관(21, 22, 23)에 열을 인가하기 위한 복수개의 히터(31, 32, 33, 34), 상기 외부관(10)과 상기 복수개의 히터 사이에 위치하며 히터에서 발생하는 열을 전도시키기 위한 열전도관(35)을 포함한다.
상기 히터(31, 32, 33, 34)는 상기 각각의 내부관(21, 22, 23)을 서로 다른필요에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열전도관(35)에 배치되어 상기 외부관(10)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75), 상기 금속관 말단부에 냉각라인을 설치하여 내부관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70), 및 상기 외부관(10) 내를 진공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진공펌프(40)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통상적인 유기물 정제장치의 구성을 도식적으로 표시한 구조도로서, 이해를 돕기 위해 정제장치의 주요부만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외부관(10), 내부관(21, 22, 23), 히터(31, 32, 33, 34), 진공펌프(40), 수용기(50), 연결부(61, 62)의 구성은 상기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서 복수개의 내부관 중 수용기(50)가 내재된 제1 내부관(21)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통상적인 정제장치에서 상기 복수개의 내부관(21, 22, 23)은 외부관(10) 내에 배치되며 연결부(61, 6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내부관(21, 22, 23)은 정제된 유기물과 불순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온도로 가열되며, 상기 복수의 내부관(21, 22, 23) 중에서 하나의 내부관에는 수용기(50)가 실장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유기물 정제장치에서는 정제대상 유기물을 제1 내부관(21) 내 수용기(50)에 로딩한다. 이때,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기물이 수용기(50)의 하단에만 로딩되기 때문에 로딩되는 유기물의 양에 제한이 있으며, 상기 로딩부의 하단부 및 히터가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유기물과 중간부분에 위치하는 유기물에 전해지는 열이 일정하지 않고, 히터와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유기물은 상대적으로 정제 시간 동안 계속되는 열적 스트레스로 인해 변성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정제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유기물이 받는 열적 스트레스가 증가되기 때문에 유기물 순도 및 수율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례에서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은 유기물 정제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 따른 유기물 정제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유기물 정제장치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정제장치는 중공관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외부관(100); 상기 외부관 내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내부관(200); 상기 외부관의 외부에 배치되는 가열수단(300); 및 상기 외부관과 연결되어, 상기 외부관 내부 및 내부관에 저압상태를 제공하기 위한 진공펌프(400);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관(200)은 복수개(210, 220, 230)로 이루어져 상기 외부관(100)의 내부에서 소정 연결부(610, 620)를 통하여 서로 연결이 되어 있다. 그 결과, 유기물 로딩시 및 정제 작업 완료 후 서로 분리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연결부(610, 620)를 도시하였으나, 그 숫자는 내부관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상기 복수개의 내부관(200)은 정제대상 유기물을 로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로딩용 내부관(210) 및 정제된 유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거용 내부관(2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거용 내부관(230)은 상기 로딩용 내부관(210)보다 진공펌프(400) 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로딩용 내부관(210)과 상기 수거용 내부관(230) 사이에는 재승화용 내부관(2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재승화용 내부관(220)은 상기 로딩용 내부관(210)에서 승화된 후, 고온 불순물을 걸러낼 뿐 아니라 정제된 유기물에 저온 불순물이 포함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로딩용 내부관(210)은 적어도 한쪽 면이 개방되거나 밀폐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진공펌프(400)쪽은 개방되어 있으며 진공펌프 반대쪽은 밀폐되어 있는 형태로 설명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로딩용 내부관(210)의 외측으로 유동되는 유기물 중 일부는 상기 로딩용 내부관 한쪽에 형성된 밀폐면에 막혀 다시 진공펌프 쪽으로 유동하게 되며, 이를 통하여 상기 밀폐면에서 결정화되는 유기물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곧 수율의 향상에 관련된다.
한편, 상기 가열수단(300)은 상기 외부관(100)을 따라 분리된 2개 이상의 독립된 가열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가열장치(310, 320, 330, 340)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었다. 상기 각각의 가열장치는 동일한 온도 또는 상이한 온도로 가열되어 그에 따른 복수의 내부관의 온도가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진공펌프(400)는 외부관의 내부 및 내부관을 저압상태로 만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진공펌프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외부관(100) 내부의 압력을 10-5Pa 내지 100Pa이 되도록 할 수 있는 용량을 가지는 진공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가열수단(300)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로딩용 내부관(210)에서 승화된 유기물이 진공펌프(400)의 구동에 의하여 재승화용 내부관(220)을 거쳐 수거용 내부관(230)으로 이동되어 결정화된 후 수거된다. 이때 일부는 재승화용 내부관(220)에서 결정화가 되기도 한다. 재승화용 내부관(220)에서 결정화되었다가 가열에 의하여 유기물은 수거용 내부관(230)으로 이동되어 상기 로딩용 내부관(210)과 다른 온도로 가열된 유기물 회수관에서 유기물은 결정화된다. 모든 작업 완료 후 상기 유기물 수거용 내부관(230) 에 결정화된 유기물을 회수하여 이용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유기물 정제장치의 로딩용 내부관(210)의 일례에 대한 상세도이다.
상기 로딩용 내부관(210)은 정제대상 유기물을 로딩하기 위한 제1 로딩보트(510) 및 제2 로딩보트(520)를 포함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딩용 내부관에서 상기 제1 로딩보트(510) 상부에 제2 로딩보트(520)가 배치된다.
상기 제1 로딩보트(510) 및 제2 로딩보트(520)는, 평면 형태로 된 기저부(511, 521) 및 상기 기저부의 단부에 배치된 측벽(512, 513, 522, 523)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7a 및 7b는 상기 제1 로딩보트(510)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로딩보트(510)는 평면 형태로 된 기저부(511) 및 상기 기저부의 단부에 배치된 측벽(512, 51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측벽은 한쪽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진공펌프(400) 반대쪽이 밀폐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기저부(511)의 진공펌프(400)쪽 단부에 하나의 측벽(513)만을 배치하고, 밀폐면인 진공펌프(400) 반대쪽은 단부에 배치된 측벽을(512) 생략할 수 있다.
도 7a 및 7b는 제1 로딩 보트(510)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지만, 제2 로딩 보트(520)도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2 로딩 보트(520)는 평면 형태로 된 기저부(521) 및 상기 기저부의 단부에 배치된 측벽(522, 523)을 포함한다. 또한, 진공펌프(400) 반대쪽이 밀폐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기저부(521)의 진공펌프(400)쪽 단부에 하나의 측벽(523)만을 배치하고, 밀폐면인 진공펌프(400) 반대쪽은 단부에 배치된 측벽을(522) 생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제1 로딩 보트(510) 및 제2 로딩 보트(520)는 로딩용 내부관(210)에 포함되며, 제1 로딩 보트(510) 상부에 제2 로딩 보트(520)가 배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반대로 제1 로딩 보트(510)가 제2 로딩 보트(5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로딩 보트(510)와 제2 로딩 보트(520) 사이의 간격은 20 내지 200 mm가 되도록 하고, 상기 제1 로딩 보트(510)의 측벽 말단(512, 513)과 상기 제2 로딩 보트(520)의 기저부(521) 사이의 간격은 10 내지 200 mm가 되도록 한다. 상기 간격이 너무 작으면 열 전달 및 승화된 유기물의 유동에 어려움이 있고, 반면 간격이 너무 크면 내부관에 대한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며 각각의 로딩 보트가 가열 장치에 가까워져, 로딩보트에 로딩된 유기물이 열적 스트레스를 받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딩용 내부관(210)에 제1 로딩보트(510) 및 제2 로딩보트(520)를 거치하기 위해서, 상기 로딩용 내부관(210)은 제1 거치수단 및 제2 거치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유기물 정제장치의 로딩용 내부관(210)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거치수단 및 제2 거치수단 중 적어도 하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 형태(515, 525)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로딩보트의 기저부(511)가 상기 돌출부(515, 52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상기 거치수단은 슬릿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예컨대, 로딩보트가 기저부의 한쪽 측면만이 존재하는 도 7b와 같은 구성일 때, 상기 로딩보트의 한쪽 측면을 통하여 슬릿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로딩보트가 지지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로딩보트(510) 및 제2 로딩보트(520)가 로딩용 내부관(210)에 지지될 수만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정제장치에서는 정제대상 유기물을 제1 로딩보트(510)와 제2 로딩보트(520)에 나누어 로딩하므로 로딩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동일한 용량일 경우에는 유기물을 넓게 펼쳐서 로딩하므로 열이 골고루 전달되기 때문에 정제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정제 시간이 단축됨으로써 유기물 변성이 감소되어 수거한 유기물의 순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정제대상 유기물은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발광층 형성용 유기물, 정공주입층 형성용 유기물, 정공수송층 형성용 유기물, 전자주입층 형성용 유기물 및 전자수송층 형성용 유기물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대상 유기물의 분자량의 범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르면 상기 유기물의 분자량은 500 내지 2000의 범위인 것이 가능하다.
정제대상 유기물의 분자량이 500 미만인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물 정제장치의 수율이 저하되는 것은 아니나, 유기물의 분자량이 500 미만인 경우는 비교적 저온에서 유기물이 되며 승화된 유기물의 활동도가 커서 내부관의 길이가 매우 길어져야 하거나 또는 많은 수의 내부관을 사용해야하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유기물의 분자량이 2000을 초과하는 경우는 유기물들 사이에 분자량의 편차가 클 수가 있으며, 분자량이 큰 유기물을 승화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열을 가해야 하는데, 이 경우 열 효율이 떨어질 수 있으며, 많은 열을 가하는 것으로 인해 유기물이 열적 스트레스를 받을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유기물 정제장치를 이용할 경우 정제대상 유기물에 열 전달이 비교적 고르게 될 수 있도록 유기물을 나누어 로딩함으로써, 정제 시간을 단축시킬 뿐 아니라 유기물의 순도 및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은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을 정제하는 유기물 정제장치를 일례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에 이들에게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0: 외부관 200: 내부관
210: 로딩용 내부관 220: 재승화용 내부관
230: 수거용 내부관 300: 가열수단
310, 320, 330, 340: 가열장치 400: 진공펌프
500: 로딩보트 510: 제1 로딩보트
515: 제1 거치수단 520: 제2 로딩보트
525: 제2 거치수단 610,620: 연결부

Claims (19)

  1. 중공관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외부관;
    상기 외부관 내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내부관;
    상기 외부관의 외부에 배치되는 가열수단; 및
    상기 외부관과 연결되어, 상기 외부관 내부 및 상기 내부관에 저압상태를 제공하기 위한 진공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내부관은 정제대상 유기물을 로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로딩용 내부관 및 정제된 유기물을 수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거용 내부관을 포함하며,
    상기 로딩용 내부관에는 유기물을 로딩하기 위한 제1 로딩보트 및 제2 로딩보트를 포함하며,
    상기 로딩용 내부관에서 상기 제1 로딩보트 상부에 제2 로딩보트가 배치되는 유기물 정제장치.
  2. 제1항에서 있어서, 상기 수거용 내부관은 상기 로딩용 내부관보다 더 진공펌프 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정제장치.
  3. 제1항에서 있어서, 상기 로딩용 내부관은 진공펌프쪽은 개방되어 있으며, 진공펌프 반대쪽은 밀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정제장치.
  4. 제1항에서 있어서, 상기 제1 로딩보트 및 상기 제2 로딩보트는, 평면형태로 된 기저부 및 상기 기저부의 단부에 배치된 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정제장치.
  5. 제4항에서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기저부의 진공펌프 쪽 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정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딩보트와 상기 제2 로딩보트 사이의 간격은 20 내지 20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정제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딩보트의 측벽 말단과 상기 제2 로딩보트의 기저부 사이의 간격은 10 내지 20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정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용 내부관에는 상기 제1 로딩보트를 거치하기 위한 제1 거치수단 및 제2 로딩보트를 거치하기 위한 제2 거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정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치수단 및 제2 거치수단 중 적어도 하나는 돌출부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정제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치수단 및 제2 거치수단 중 적어도 하나는 기저부의 측면을 수용할 수 있는 슬릿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정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외부관을 따라 분리된 2개 이상의 독립된 가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정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2개 이상의 가열장치가 제공하는 가열온도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정제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내부관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정제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펌프는 외부관 내부의 압력을 10-5Pa 내지 100Pa이 되도록 할 수 있는 용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정제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용 내부관과 상기 수거용 내부관 사이에는 재승화용 내부관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정제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승화용 내부관은, 상기 로딩용 내부관에서 승화된 후, 상기 로딩용 내부관에서 유출된 후 결정이 되었던 유기물을 다시 승화시키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정제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대상 유기물은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정제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소자 제조용 유기물은, 발광층 형성용 유기물, 정공주입층 형성용 유기물, 정공수송층 형성용 유기물, 전자주입층 형성용 유기물 및 전자수송층 형성용 유기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정제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대상 유기물은 분자량이 500 내지 200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 정제장치.
KR1020120017757A 2012-02-22 2012-02-22 유기물 정제장치 KR2013009637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757A KR20130096370A (ko) 2012-02-22 2012-02-22 유기물 정제장치
US13/541,251 US20130216968A1 (en) 2012-02-22 2012-07-03 Apparatus for refining organic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757A KR20130096370A (ko) 2012-02-22 2012-02-22 유기물 정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370A true KR20130096370A (ko) 2013-08-30

Family

ID=48982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7757A KR20130096370A (ko) 2012-02-22 2012-02-22 유기물 정제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216968A1 (ko)
KR (1) KR20130096370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4009A (ko) * 2014-02-10 2015-08-19 희성소재 (주) 저온 승화 정제 장치
WO2015163734A1 (ko) * 2014-04-24 2015-10-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보호층을 갖는 유기소재
KR101579770B1 (ko) * 2014-09-03 2015-12-23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다중 가열 저융점 금속의 극미량 원소 제어장치
KR101580495B1 (ko) * 2014-09-03 2015-12-28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저융점 금속의 극미량 원소 제어장치
KR20160092471A (ko) 2015-07-10 2016-08-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유기소재 정제방법 및 정제장치
KR20160099769A (ko) 2015-02-12 2016-08-2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롤형 유기소재 정제방법 및 정제장치
KR20200029687A (ko) * 2018-09-10 2020-03-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물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7487A1 (ko) * 2014-03-28 2015-10-01 주식회사 디엠에스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유기재료 정제 방법 및 장치
CN103949081B (zh) * 2014-04-22 2015-12-30 上海大学 可持续生产可蒸发材料的管式提纯装置
CN105536283B (zh) * 2015-12-28 2017-05-10 西北大学 一种双向往复式升华结晶装置及方法
US10573043B2 (en) 2017-10-30 2020-02-25 Snap Inc. Mobile-based cartographic control of display content
KR102297249B1 (ko) * 2018-09-12 2021-09-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승화 정제 장치 및 승화 정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51192A (en) * 1930-12-30 1932-03-29 Quincy Stove Mfg Company Gas range side lining
KR100599428B1 (ko) * 2000-03-23 2006-07-12 신닛테츠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승화 정제 방법 및 장치
TWI277363B (en) * 2002-08-30 2007-03-21 Semiconductor Energy Lab Fabrication system, light-emitting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of organic compound-containing layer
JP4911555B2 (ja) * 2005-04-07 2012-04-04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成膜装置および成膜方法
US20080241805A1 (en) * 2006-08-31 2008-10-02 Q-Track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ed dosimetry using a real time locating system
KR20090036431A (ko) * 2007-10-09 2009-04-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물 정제장치
US9034105B2 (en) * 2008-01-10 2015-05-19 American Air Liquide, Inc. Solid precursor sublimato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4009A (ko) * 2014-02-10 2015-08-19 희성소재 (주) 저온 승화 정제 장치
WO2015163734A1 (ko) * 2014-04-24 2015-10-2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보호층을 갖는 유기소재
KR101579770B1 (ko) * 2014-09-03 2015-12-23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다중 가열 저융점 금속의 극미량 원소 제어장치
KR101580495B1 (ko) * 2014-09-03 2015-12-28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저융점 금속의 극미량 원소 제어장치
KR20160099769A (ko) 2015-02-12 2016-08-23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롤형 유기소재 정제방법 및 정제장치
KR20160092471A (ko) 2015-07-10 2016-08-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유기소재 정제방법 및 정제장치
KR20200029687A (ko) * 2018-09-10 2020-03-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물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US11930691B2 (en) 2018-09-10 2024-03-12 Samsung Display Co., Lt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rganic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material using th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216968A1 (en) 2013-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6370A (ko) 유기물 정제장치
KR100959824B1 (ko) 유기 전계 발광 재료의 정제 장치 및 정제 방법
EP2803397B1 (en) Apparatus for purifying organicelectroluminescent material and method for purifying organic compound
KR100877992B1 (ko) 승화정제장치
US201601935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rifying organic material using ionic liquid
KR20140032493A (ko) 유기 소분자의 승화 순화 방법
JP2006272071A (ja) 有機化合物の昇華精製装置
JP2005313069A (ja) 昇華精製装置及び昇華精製方法
KR20140128676A (ko) 용액기반의 유기소재 정제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26890A (ko) 승화 정제 방법
KR101025046B1 (ko) 승화 정제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승화 정제 방법
KR100582663B1 (ko) 유기물질의 승화정제방법
KR20160137504A (ko) 반송 지그, 장전 방법, 및 정제 방법
KR100550942B1 (ko) 유기물질의 정제장치 및 정제방법
KR100550941B1 (ko) 유기물질의 정제장치 및 정제방법
US11930691B2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rganic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material using the apparatus
KR101463959B1 (ko) 승화정제 장치의 유기물질 연속 수집장치
JP2014018787A (ja) 昇華精製回収方法および昇華精製回収装置
KR20090036431A (ko) 유기물 정제장치
JP6432874B1 (ja) 精製装置
TWI487566B (zh) 利用離子液體的有機材料純化方法及純化裝置
KR20130049935A (ko) 승화정제용 관체
KR101801197B1 (ko) 용액기반의 유기소재 정제방법
KR101600200B1 (ko)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4491449B2 (ja) 薄膜堆積用分子線源セ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