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6194A - 친환경 폴리머 콘크리트용 바인더 조성물 - Google Patents

친환경 폴리머 콘크리트용 바인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6194A
KR20130096194A KR1020130018131A KR20130018131A KR20130096194A KR 20130096194 A KR20130096194 A KR 20130096194A KR 1020130018131 A KR1020130018131 A KR 1020130018131A KR 20130018131 A KR20130018131 A KR 20130018131A KR 20130096194 A KR20130096194 A KR 20130096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olyol
curing agent
visco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8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1446B1 (ko
Inventor
권인욱
Original Assignee
(주) 피유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피유시스 filed Critical (주) 피유시스
Publication of KR20130096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6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16Polyureth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3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other binders, e.g. synthetic material, i.e. re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017Aspects relating to th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241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284Materials permeable to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75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for road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폴리머 콘크리트용 바인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친환경 바이오 폴리올(Bio-polyol)과 경질 폴리올을 포함하며 점도가 600 ~ 5500cps/23℃인 주제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고 점도가 170 ~ 250cps/23℃인 제1 경화제, 또는 이소시아네이트와 연질 폴리올로 이루어지고 점도가 300 ~ 800cps/23℃인 제2 경화제, 또는 이소시아네이트와 연질 폴리올로 이루어지고 점도가 700 ~ 1400cps/23℃인 제3 경화제 중 어느 하나의 경화제로 구성된 2액형으로서, 상온에서 가열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고, 시공 과정에서 환경 오염물질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서 특히 도로 포장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친환경 폴리머 콘크리트용 바인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친환경 폴리머 콘크리트용 바인더 조성물{Ecofriendly binder composition for polymer concrete}
본 발명은 친환경 폴리머 콘크리트용 바인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친환경 바이오 폴리올(Bio-polyol)과 경질 폴리올을 포함하며 점도가 600 ~ 5500cps/23℃인 주제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지고 점도가 170 ~ 250cps/23℃인 제1 경화제, 또는 이소시아네이트와 연질 폴리올로 이루어지고 점도가 300 ~ 800cps/23℃인 제2 경화제, 또는 이소시아네이트와 연질 폴리올로 이루어지고 점도가 700 ~ 1400cps/23℃인 제3 경화제 중 어느 하나의 경화제로 구성된 2액형으로서, 상온에서 가열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고, 시공 과정에서 환경 오염물질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서 특히 도로 포장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친환경 폴리머 콘크리트용 바인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시멘트 콘크리트(Cement concrete)는 시멘트와 자갈 및 모래를 적당한 비율로 섞고 물과 반죽한 혼합 재료로서, 경화되면 내구성이 매우 커서 토목 및 건축 공사의 기본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자갈과 모래를 골재라 하고, 시멘트는 상기 골재들을 서로 결합시켜 주는 바인더(Binder)의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상기 시멘트 대신에 아스팔트(Asphalt)를 바인더로 사용한 것을 ‘아스팔트 콘크리트’ 이라 한다.
상기 아스팔트 콘크리트는 ‘아스콘(Ascon)’으로 약칭되기도 하며, 주로 도로 포장용으로 사용된다.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은 차량 하중에 대하여 탄성 및 유연성이 우수하고, 주행 소음이 적은 장점이 있으나, 내구성이 약하고 특히 온도 변화에 민감하여 저온에서는 표층에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고온에서는 교통하중에 의해 도로 표면이 소성 변형되는 등의 단점이 있다.
반면,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은 콘크리트 구조물 자체가 빔과 같이 거동하여 교통 하중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을 휨 저항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내구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에 비해 표층의 탄성 및 유연성 부족하여 차량의 주행으로 인한 소음이 크고, 승차감이 불량한 단점이 있다.
최근 상기 아스팔트 콘크리트와 시멘트 콘크리트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폴리우레탄 계열의 폴리머를 바인더로 사용한 콘크리트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콘크리트를 ‘폴리머 콘크리트(Polymer concrete)’라 칭한다.
종래에 알려진 폴리머 콘크리트 관련 기술을 살펴보면, 국내 특허등록 제0603916호(등록일자; 2006년 07월 14일)에는 탄성 포장용 개질 우레탄 바인더를 이용한 탄성 포장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즉, 주제로는 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며 이소시아네이트기와 폴리에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중의 히드록실기의 당량비(NCO/OH)가 2 ~ 20 범위에 있는 우레탄 프리폴리머를 사용하고, 경화제로는 활성 수소 화합물이 폴리아민 또는 폴리올로 구성되어 있으며 활성 수소 화합물의 사용량(당량비)은 NCO/H(활성 수소)의 비율이 0.1 ~ 3.0의 범위에 있는 활성 수소 화합물과, 경화제 총량에 대해 0.05 ~ 5 중량%의 범위에서 아민류, 황 및 유기 금속 화합물(주석, 납)로 구성된 촉매를 사용하는 개질 폴리우레탄 바인더를 제조하여 이를 우레탄 탄성 포장에 쓰이는 우레탄 탄성 고무 칩의 바인더로 사용함으로써 탄성 포장재의 내구성과 강도를 향상시키고 경화 속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 소개된 바인더는 골재용 바인더가 아니라, 탄성이 있는 고무칩용 바인더로서, 상기 프리폴리머에 상대적으로 독성이 강한 TDI를 사용하고 있으며, 특히 동절기에 사용할 경우에는 가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국내 특허등록 제0719855호(등록일자; 2007년 05월 14일)에서는 폴리우레탄 계열의 고분자 화합물을 도로 포장용 골재 바인더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바인더는 이소시아네이트(-NCO)기를 가지고 있는 모노메릭 엠디아이(Monomeric MDI) 25 ~ 42 중량%에, 말단에 프로필렌 옥사이드(PO) 또는 에틸렌 옥사이드(EO)중 선택된 하나가 부가된 2가 폴리에테르 폴리올 30 ~ 40 중량% 및 말단에 프로필렌 옥사이드(PO) 또는 에틸렌 옥사이드(EO)가 부가된 3가 폴리에테르 폴리올 18 ~ 45 중량%를 소정 온도에서 소정 시간 동안 반응시켜 제조된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 소개된 폴리우레탄 바인더 조성물은 점도와 NCO 함량 등이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과 상이하고, 특히 바이오 폴리올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시공 과정에서 환경 오염물질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과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아스팔트 콘크리트는 도로 포장 공사 시 아스팔트를 녹이기 위해서 약 170℃ 정도로 가열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연료가 소모되는 것은 물론, 시공 과정에서 이산화탄소(CO2)나 먼지, 질소산화물(NoX) 및 황산화물(SoX)와 같은 다량의 환경 오염물질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중온형 아스팔트 콘크리트가 개발되는가 하면, 아스팔트의 녹는점을 낮추어 주는 특수 보조제를 사용하여 130 ~ 140℃에서 시공하는 기술도 개발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동절기에도 가열을 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어서 연료 소모량을 약 30% 정도 절감할 수 있고, 나아가 이산화탄소(CO2)나 먼지, 질소산화물(NoX) 및 황산화물(SoX)와 같은 환경 오염물질의 발생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친환경 폴리머 콘크리트 바인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종래의 아스팔트 콘크리트나 시멘트 콘크리트 보다 우수한 내구성과 높은 탄성을 가지면서 배수성이 우수하여 도로 수명과 주행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어서 특히 도로 포장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폴리머 콘크리트용 바인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폴리머 콘크리트용 바인더 조성물은 2액형으로서 주제와 경화제로 이루어지되, 상기 경화제는 사용 목적에 따라 제1 경화제나 제2 경화제 또는 제3 경화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경화제를 사용한다.
상기 주제는 바이오 폴리올 35 ~ 75 중량부와, 분자량이 100 ~ 1000이고 관능기가 3 ~ 10개인 경질 폴리올 28 ~ 67 중량부와, 수지화 촉매(Gelling catalyst)나 포화 촉매(Blowing catalyst) 0.01 ~ 1.5 중량부를 포함하고, 점도가 600 ~ 5500cps/2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경화제는 NCO 함량이 30 ~ 32중량%이고, 점도가 170 ~ 250cps/23℃인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 65 ~ 80 중량부와, 분자량이 1000 ~ 10,000이고 관능기가 1 ~ 3개인 연질 폴리올 15 ~ 3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NCO 함량이 15 ~ 25 중량%이며, 점도가 300 ~ 800cps/2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 45 ~ 80 중량부와, 분자량이 1000 ~ 10,000이고 관능기가 1 ~ 3개인 연질 폴리올 20 ~ 45 중량부를 포함하고, NCO 함량이 15 ~ 25 중량%이고 점도가 700 ~ 1400cps/2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주제와 상기 제1 경화제 또는 상기 제2 경화제의 혼합 비율은 중량비로 100 : 20 ~ 100이고, 상기 주제와 상기 제3 경화제의 혼합 비율은 중량비로 100 : 150 ~ 2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머 콘크리트용 바인더 조성물은 -20℃ ~ 40℃의 온도에서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동절기에도 시공을 위해 가열을 할 필요가 없고, 동시에 친환경 바이오 폴리올을 원료로 사용함으로써 시공 과정에서 환경 오염물질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을 도로 포장용 콘크리트에 사용할 경우, 아스팔트 콘크리트 보다 우수한 내구성과 시멘트 콘크리트 보다 높은 탄성을 유지함으로써 도로 표층이 울퉁불퉁하게 소성 변형하거나 일부가 파손되어 포트 홀(Pot hole)이 형성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골재와 골재 사이에 적정한 공극이 형성되어 배수성이 우수하며, 도로 수명 및 주행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에 대한 휨 강도를 도시한 그래프,
도 2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한 콘크리트 시편에 대한 간접인장 강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3는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한 콘크리트의 배수성 시험용 시편을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바인더 조성물은 2액형으로서 시공 전까지 서로 분리된 상태로 보관되는 주제와 경화제로 이루어진다.
먼저 주제는 바이오 폴리올 35 ~ 75 중량부와, 경질 폴리올 28 ~ 67 중량부와, 촉매 0.01 ~ 1.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추가적으로 가교제나 사슬연장제 0.5 ~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바이오 폴리올(Bio-polyol)로는 식물성 천연 폴리올로서,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피마자유(Caster oil)나, 다음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대두유 폴리올(Soybean oil based polyol)을 사용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대두유 폴리올(Soybean oil based polyol)은 대두유(Soybean oil)를 산화시키면서 에폭시화 한 후, 개환 및 알콕시화 하여 제조되는 천연 폴리올의 일종이다. 또한, 상기 바이오 폴리올로는 피마자유나 대두유 폴리올 이외에, 유채유, 면실유, 팜유, 해바라기유 등과 같은 식물성 오일(Vegetable oil)로부터 제조되는 천연 폴리올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바이오 폴리올은 본 발명의 바인더 조성물이 친환경적인 성능을 갖게 하고, 동시에 탄성을 향상시켜 주는 기능을 하며, 그 함량은 35 ~ 7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바이오 폴리올의 함량이 35 중량부 미만이면, 원하는 친환경 효과나 탄성을 얻을 수 없고, 반대로 75 중량부를 초과하면 다른 구성성분들과의 상용성이 불량하게 될 우려가 있다.
다음으로 경질 폴리올은 분자량이 100 ~ 1000 이고 관능기가 3 ~ 10개 인 폴리올로서, 경화된 콘크리트의 강성을 향상시켜 주는 기능을 하며, 예컨대 폴리에테르 폴리올이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질 폴리올은 다음과 같은 개시제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이때 괄호 안의 숫자는 각 개시제의 관능기수를 나타낸다.
* 경질 폴리올 개시제의 종류; glycerine(3), trimethyioipropane(3), pentaerytritol(4), a - methly glucoside(4), sorbitol(6), surcose(8), triethannol amine(3), ethlylene diamine(4), diethylene triamine(5), aniline(2), toluene diamine(4), diphenyl methane diamine(4)
상기 경질 폴리올로는 시판 중인 제품들 중에서 상품명 ‘HR-370’( KPX CHEMICAL), PPG-360(금호석유화학), SC-381(국도화학)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질 폴리올의 함량은 28 ~ 67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한데, 28 중량부 미만이면 경화된 콘크리트의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반대로 67 중량부 이상 이면 바인더 조성물의 점도가 상승하여 상온 사용이 곤란한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촉매로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수지화 반응을 촉진시켜 주는 수지화 촉매(Gelling catalyst)와, 이소시아네이트와 물과의 포화반응을 촉진시켜 주는 포화 촉매(Blowing catalyst)가 각각 또는 함께 사용된다.
상기 수지화 촉매로는 유기 금속계 촉매나 아민계 촉매를 사용할 수 있는데, 유기 금속계 촉매로는 DBTL(Dibutyltin dilaurate)이나 스테너스옥토에이트(stannous octoate)를 사용할 수 있고, 아민계 촉매로는 TEDA(triethylene diamine), DMEA(dimethyl ethanol amine), TMBDA(tetramethyl butane diamine), DMCHA(dimethyl cyclohexyl amine), TEA(triethyl amin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화 촉매로는 3급 아민이 주로 사용된다. 상기 촉매의 함량은 0.01 ~ 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주제는 추가적으로 가교제나 사슬연장제 0.1 ~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고분자 사슬에 가지(Branch)나 망상 구조를 형성하는 물질로서, 트리올, 테트라올, 폴리아민과 같은 다관능성 물질이 주로 사용된다. 또한, 사슬연장제는 중합 내지 분자간 결합을 강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반응성 단분자 물질로서, 디올이나 디아민과 같은 2관능성 물질이 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주제는 필요에 따라 흡습제나 안료, 난연제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첨가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주제의 제조방법은 23 ~ 25℃의 온도에서 먼저 중량비가 큰 바이오 폴리올과 경질 폴리올을 혼합하고, 여기에 촉매와 기타 가교제나 첨가제를 순서대로 투입하고 교반한다. 이렇게 하여 제조되는 주제는 점도가 600 ~ 5500cps/23℃인 액체로서, 색상은 담황색 또는 유색이다. 상기 주제는 대기 중 수분에 노출될 경우, 물성이 변할 수 있으므로 취급 시 주의를 요하며, 23 ~ 25℃의 온도에서 밀봉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경화제는 제1 경화제나 제2 경화제 또는 제3 경화제 중 어느 하나의 경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경화제는 경화 후 콘크리트의 강성 및 배수 기능이 우수한 특징이 있고, 제2 경화제는 탄성이 보다 우수하고, 유색 적용이 가능한 특징이 있으며, 제3 경화제는 탄성과 강성이 보다 우수하고, 유색 적용이 가능하며 변색이 일어나지 않는 무황변의 특징이 있다.
먼저 제1 경화제는 NCO 함량이 30 ~ 32중량%이고, 점도가 170 ~ 250cps/23℃인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NCO 함량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중에 포함되어 있는 NCO의 중량을 백분율(중량%)로 나타낸 것으로, KS M 5969(우레탄 중간체 또는 프리폴리머 중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량 시험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경화제에서 NCO 함량이 낮아질수록 바인더 조성물의 점도가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상기 점도가 170 cps/23℃인 미만이면 상기 주제와 교반할 때 주제와의 점도 차이로 인해 교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반대로 250cps/23℃를 초과하면 점도가 너무 높아져서 사용 시 외부 온도가 낮을 때는 가온을 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제 1경화제로는 시판 중에 제품들 중에서 예컨대 상품명 ‘M20S’(BASF), ‘M-200’(금호미쓰이화학), ‘PAPI-135’(DOW), ‘B-5005’(Huntsman), ‘44V20L’(Bay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 65 ~ 80 중량부와, 분자량이 1000 ~ 10,000이고 관능기가 1 ~ 3개인 연질 폴리올 15 ~ 3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NCO 함량이 15 ~ 25중량% 이며, 점도가 300 ~ 800cps/23℃인 것을 사용한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로는 상품명 ‘MM103C’(BASF사)나 ‘LL’(금호 미쓰이 화학)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소시아네이트의 함량이 65 중량부 미만이면 NCO의 함량이 15중량% 이하로 낮아지면서 점도가 800cps/25℃ 이상으로 상승하는 문제가 있고, 반대로 이소시아네이트의 함량이 80 중량부를 초과하면 NCO의 함량이 25중량% 이상으로 증가하면서 점도가 300cps/25℃ 미만으로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연질 폴리올은 분자량이 1000 ~ 10,000이고 관능기가 1 ~ 3개인 것으로써, 경화된 콘크리트의 강성을 향상시켜 주는 기능을 하며, 시판 중인 제품들 중에서 상품명‘KE-810’ (KPX CHEMICAL), ‘L-2040’(BASF), 'GY-6000E'(국도화학), 'PPG-6000'(금호석유화학)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질 폴리올의 함량이 15 중량부 미만이면, NCO의 함량이 25중량% 이상으로 증가하면서 점도가 300cps/25℃ 미만으로 낮아지는 문제가 있고, 반대로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NCO의 함량이 15중량% 이하로 낮아지면서 점도가 800cps/25℃ 이상으로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경화제나 상기 제2 경화제를 사용할 경우, 주제로는 피마자유(Caster oil) 28 ~ 75 중량부와, 분자량이 100 ~ 1000이고 관능기가 3 ~ 10개인 경질 폴리올 28 ~ 67 중량부와, 수지화 촉매(Gelling catalyst)나 포화 촉매(Blowing catalyst) 0.1 ~ 1.5 중량부를 포함하고, 점도가 600 ~ 1500cps/23℃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3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 45 ~ 80 중량부와, 분자량이 1000 ~ 10,000이고 관능기가 1 ~ 3개인 연질 폴리올 20 ~ 45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NCO 함량이 15 ~ 25중량% 이며, 점도가 700 ~ 1400cps/23℃인 것을 사용한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로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 또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sophorone diisocyanate)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소시아네이트의 함량이 45 중량부 미만이면 NCO의 함량이 15중량% 이하로 낮아지면서 점도가 1400cps/25℃ 이상으로 상승하는 문제가 있고, 반대로 이소시아네이트의 함량이 80 중량부를 초과하면 NCO의 함량이 25중량% 이상으로 증가하면서 점도가 700cps/25℃ 미만으로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연질 폴리올은 분자량이 1000 ~ 10,000이고 관능기가 1 ~ 3개인 것으로써, 경화된 콘크리트의 강성을 향상시켜 주는 기능을 하며, 시판 중인 제품들 중에서 상품명‘GP-1000’ (KPX CHEMICAL), 'GY-1000'(국도화학), 'PPG-1000'(금호석유화학)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질 폴리올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이면, NCO의 함량이 25중량% 이상으로 증가하면서 점도가 700cps/25℃ 미만으로 낮아지는 문제가 있고, 반대로 45 중량부를 초과하면, NCO의 함량이 15중량% 이하로 낮아지면서 점도가 1400cps/25℃ 이상으로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3 경화제를 사용할 경우, 주제는 대두유 폴리올(Soybean oil based polyol) 35 ~ 65 중량부와, 분자량이 100 ~ 1000이고 관능기가 3 ~ 10개인 경질 폴리올 28 ~ 67 중량부와, 수지화 촉매(Gelling catalyst)나 포화 촉매(Blowing catalyst) 0.01 ~ 1.5 중량부를 포함하고, 점도가 3500 ~ 5500cps/23℃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 경화제 및 제3 경화제에서 NCO 함량이 15중량% 미만이면, 콘크리트의 강성을 부여하기 위해 경화제의 요구량이 증가하게 되고, 점도가 높아 교반 효율이 낮아지게 되며 상온 사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고, 반대로 NCO 함량이 25중량%를 초과하면, 경화제의 요구량이 상대적으로 낮아 중량 오차 범위가 커지게 되고 상대적으로 탄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제2 경화제 또는 제3 경화제에는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여러 가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로는 예컨대, 흡습제나 안료, 난연제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경화제 또는 제3 경화제의 제조방법은 약 80℃ 의 온도에서 이소시아네이트와 연질 폴리올 및 첨가제를 5 ~ 7시간 동안 반응시켜서 제조된다. 이렇게 하여 제조되는 제2 경화제는 담황색 액체로서, NCO 함량이 15 ~ 25중량% 이고, 점도가 300 ~ 800cps/23℃이다. 그리고, 제3 경화제는 담황색 액체로서, NCO 함량이 15 ~ 25중량% 이고, 점도가 700 ~ 1400cps/23℃이다. 상기 제2 경화제 또는 제3 경화제 역시 대기 중 수분에 노출될 경우 물성이 변할 수 있으므로 취급 시 주의를 요하며, 23 ~ 25℃에서 보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바인더 조성물은 주제와 경화제를 따로 보관하고 있다가 시공 직전에 서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때, 주제와 제1 경화제 또는 제 2경화제의 혼합 비율은 100 : 20 ~ 100 중량비인 것이 바람직하고, 주제와 제3 경화제의 혼합 비율은 100 : 150 ~ 250 중량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제와 경화제는 서로 혼합한 후 2시간 정도 경과하면 경화되므로 혼합 후 2시간 이내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다만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이들 실시예로 인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A. 주제의 제조
1) 제1 주제 ; 바이오 폴리올로서 피마자유 69.3 중량%와 경질 폴리올로서 상품명‘HR-370’(KPX CHEMICAL) 29.7 중량%를 23 ~ 25℃의 온도에서 혼합하고, 여기에 촉매로서 TEDA(triethylene diamine) 0.2 중량%와 흡습제로서 상품명 ‘SYLOSIV’(GRACE) 0.8 중량%를 순서대로 투입한 후 교반하여 제1 주제를 제조하였다.
2) 제2 주제 ; 바이오 폴리올로서 NATOL(금호씨앤에스) 39.3 중량%와 경질 폴리올로서 상품명 ‘ED-750’(국도화학) 59.7 중량%를 23 ~ 25℃의 온도에서 혼합하고, 여기에 촉매로서 TEDA(triethylene diamine) 0.2 중량%와 흡습제로서 상품명 ‘SYLOSIV’(GRACE) 0.8 중량%를 순서대로 투입한 후 교반하여 제2 주제를 제조하였다.
B. 경화제의 제조
1) 제1 경화제; 상품명 ‘M20S’ (BASF)을 제1 경화제로 사용하였다.
2) 제2 경화제; 이소시아네이트로서 상품명 ‘MM103C’(BASF) 71.5 중량%와, 연질 폴리올로서 상품명‘KE-810’(KPX CHEMICAL) 28.5 중량%를 약 80℃ 의 온도에서 혼합, 교반하여서 제2 경화제를 제조하였다.
3) 제3 경화제; 이소시아네이트로서 IPDI(Isophorone diisocyanate) 65 중량%와, 연질 폴리올로서 상품명‘GY-1000’(국도화학) 35 중량%를 약 80℃ 의 온도에서 혼합, 교반하여서 제3 경화제를 제조하였다.
C. 각 구성성분의 물성
상기 주제 및 경화제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주요 구성성분들의 물성은 다음 표 1과 같다.
구분 상품명 특 징
이소시아네이트 M20S 외관 : 암갈색 액체
NCO 함량 : 30~32 중량%
점도 : 170~250 cps/25℃
비중 : 1.23
MM103C 외관 : 담황색 액체
NCO 함량 : 29~30 중량%
점도 : 25~50cps/25℃
비중 : 1.22
IPDI 외관 : 무색 액체
NCO 함량: 37~38 중량%
점도 : 5~15cps/25℃
비중 : 1.06
바이오 폴리올 피마자유 외관 : 담황색 액체
OH 값: 150~170 중량%
점도 : 800~1000cps/25℃
비중 : 0.961
NATOL 외관 : 담황색 액체
OH 값:: 69~180 중량%
점도 : 700~4500cps/25℃
비중 : 1.006~1.021
연질 폴리올 KE-810 외관 : 무색 투명 액체
OH 값 : 25~31mg KOH/g
점도 : 1000~1300 cps/25℃
비중 : 1.00 미만
GY-1000 외관 : 무색 투명 액체
OH 값 : 158~178mg KOH/g
점도 : 200~300 cps/25℃
비중 : 1.00 미만
경질 폴리올 HR-370 외관 : 담황색 액체
OH 값 : 340~370mg KOH/g
점도 : 2500~4000 cps/25℃
비중 : 1.00 미만
ED-750 외관 : 담황색 액체
OH 값 : 730~770mg KOH/g
점도 : 35000~55000 cps/25℃
비중 : 1.00 미만
D. 주제 및 경화제의 물성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주제 및 경화제의 물성은 다음 표 2와 같다.
구분 제1 주제 제2 주제 제1 경화제 제2 경화제 제3 경화제
외관 및 성상 담황색 액상 담황색 액상 암갈색 액상 담황색 액상 무색 액상
NCO 함량 - - 31 중량% 20 중량% 20 중량%
점도
(cps/℃)
5 ℃ 5000 - 1000 1550 -
15 ℃ 2000 10100 450 850 1900
25 ℃ 800 4600 200 500 1100
35 ℃ 650 3400 100 300 870
E. 바인더 시료의 제조
상기 표 2의 주제와 경화제를 각각 다음 표 3의 비율로 혼합하여 4종류의 바인더 시료를 제조하고, 각 시료의 경도(D type)와 인장강도(MPa) 및 신장율(%)을 측정하였다.
구분 시 료 명(단위; 중량비)
GBS 2I GBS 2S GBS 2P GBS 4IP
제1 주제 100 100 100 -
제2 주제 - - - 100
제1 경화제 45 35 - -
제2 경화제 - - 55 -
제3 경화제 - - - 220
합계 145 135 155 320
경도(D type) 50 40 25 80
인장강도(MPa) 20~23 16~20 10~14 22~28
신장율(%) 70~90 75~95 75~100 120~160
[물성시험]
A. 휨 강도 측정
상기 표 3의 바인더 시료 GBS 2I, GBS 2S 및 GBS 2P를 사용하여 각각 KS F 2491 시험방법에 따라 휨 강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첨부 도 1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도 1의 그래프에서 파랑색은 시료 GBS 2I에 대한 시험결과이고, 연두색은 GBS 2S, 그리고 빨강색은 GBS 2P에 대한 시험결과를 나타낸다.
상기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시료 GBS 2S(연두색) 및 GBS 2P(빨강색)은 급작스런 파단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이러한 결과는 종래 아스팔트 콘크리트에 비해 약 5배 가량 향상된 결과이다. 그리고, 시료 GBS 2I(파랑색) 경우 600Kg 이상의 최대 강도를 발현한 후 휨 변형이 발생하다가 7초를 경과한 후에 파단이 발생하였다.
B. 간접 인장강도 시험
상기 표 3의 바인더 시료를 사용하여 마샬 시험용 시편을 제작하고, 간접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시험 시편은 일반적으로 아스팔트 콘크리트에서 사용하는 밀입도 13mm의 골재를 사용하되 아스팔트 바인더 대신에 상기 바인더 시료 GBS 2I, 2S 및 2P를 각각 총중량 대비 5.4중량% 사용하고, 양면에 75회 다짐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골재와 바인더 시료를 믹싱 할 때, 일체의 가열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온에서 혼합하여 일반 아스팔트 콘크리트와 같이 공시체를 성형하였다.
상기 공시체들에 대하여 각각 간접 인장강도(Indirect Tensile Strength)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첨부 도 2에 그래프로 나타 내었다. 편의상 상기 공시체들에 대해서는 각 공시체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바인더의 시료명, 즉 GBS 2I, 2S 및 2P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여기서, 간접 인장강도는 교통 및 환경 하중에 의해 아스팔트 혼합물에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측정값으로, KS F 2382에 따라 시험한다. 이때, 금속 막대의 폭은 공시체 직경이 101.6mm일 경우에 12.7mm±0.3mm, 150mm일 경우에 19mm±0.3mm이고, 하중속도는 50mm/min이며, 시험온도는 상온(25℃)이다.
첨부 도 2의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휨 강도 시험에서 가장 높은 강도를 나타낸 GBS 2I 시편(파랑색)이 간접 인장강도 시험에서도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GBS 2S(연두색) 및 GBS 2P(빨강색) 시료는 서로 유사한 간접 인장강도를 나타냈다.
C. 간접인장 에너지 측정
한편, 다음 표 4는 상기 시편 GBS 2I, GBS 2S 및 GBS 2P에 대하여 각각 간접인장 에너지를 나타낸 것이다. 간접인장 에너지(toughness)란, 상기 간접 인장강도 시험 시 공시체가 파괴될 때까지의 하중-변위곡선 하부 면적으로 정의되며, 혼합물의 균열 저항성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측정값이다.
구분 시 료 명
GBS 2I GBS 2S GBS 2P
에너지((mm-kg) 8,083 6,465 9,067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 1에서 휨 강도가 가장 약한 것으로 나타난 GBS 2P 시료가 파괴 시 가장 많은 에너지를 소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에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포트 홀(Pot hole)의 발생을 억제하여 결과적으로 도로 포장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D. 배수성 시험
마지막으로 배수성 표층이나 미끄럼 저항 표층 등 특수한 입도에서의 시험 시편의 성형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단입도 골재를 사용하되,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바인더 시료 GBS 2I, 2S 및 2P를 각각 총중량 대비 2중량% 사용하여 시험 시편을 제작하였다.
첨부 도 3의 좌측 사진은 골재의 크기가 13~10mm인 10mm 단입도 시편을 촬영한 것이고, 우측 사진은 골재의 크기는 5~2.5mm인 2.5mm 단입도 시편을 촬영한 사진으로서, 골재 사이에 수많은 공극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매우 우수한 배수성을 나타낸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폴리머 콘크리트용 바인더 조성물은 도로 포장용으로 사용할 경우, 우수한 휨 강도와 복원 탄성력을 나타내며, 특히 고온에서도 소성 특성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도로 표면이 소성 변형되거나, 탈리 또는 포트 홀 생성 등의 파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조성물을 사용하여 콘크리트 포장을 실시할 경우, 골재와 골재 사이에 적정한 공극율을 유지함으로써, 여름철 집중 호우로 인한 배수 및 침수의 문제나 교통량 증가로 인한 소음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고, 나아가 석유가 아닌 자연으로부터 얻어지는 친환경 바이오 폴리올을 원료로 사용함으로서, 제조 및 시공 과정에서 탄소의 발생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골재의 크기가 균일한 단입도 골재를 사용하면 시편의 공극률이 크고, 바인더의 함량이 작아서 부착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밀입도 골재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낮은 강도를 나타낸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인더 시료 GBS 2I, 2S 및 2P를 사용할 경우, 단입도 골재를 사용하더라도 일반 아스팔트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밀입도 골재를 사용한 경우와 유사한 간접인장 강도를 나타내며, 특히 바인더의 양을 절반 이상으로 줄일 수 있어서 매우 경제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바인더 조성물은 도로 포장용으로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하지만, 이러한 용도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8)

  1. 바이오 폴리올 35 ~ 75 중량부와, 분자량이 100 ~ 1000이고 관능기가 3 ~ 10개인 경질 폴리올 28 ~ 67 중량부와, 수지화 촉매(Gelling catalyst)나 포화 촉매(Blowing catalyst) 0.01 ~ 1.5 중량부를 포함하고, 점도가 600 ~ 5500cps/23℃인 주제와;
    NCO 함량이 30 ~ 32중량%이고, 점도가 170 ~ 250cps/23℃인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진 제1 경화제로 구성되고;
    상기 주제와 상기 제1 경화제의 혼합 비율은 중량비로 100 : 20 ~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폴리머 콘크리트용 바인더 조성물.
  2. 바이오 폴리올 35 ~ 75 중량부와, 분자량이 100 ~ 1000이고 관능기가 3 ~ 10개인 경질 폴리올 28 ~ 67 중량부와, 수지화 촉매(Gelling catalyst)나 포화 촉매(Blowing catalyst) 0.01 ~ 1.5 중량부를 포함하고, 점도가 600 ~ 5500cps/23℃인 주제와;
    이소시아네이트 65 ~ 80 중량부와, 분자량이 1000 ~ 10,000이고 관능기가 1 ~ 3개인 연질 폴리올 15 ~ 30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NCO 함량이 15 ~ 25 중량%이며, 점도가 300 ~ 800cps/23℃인 제2 경화제로 구성되고;
    상기 주제와 상기 제2 경화제의 혼합 비율은 중량비로 100 : 20 ~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폴리머 콘크리트용 바인더 조성물.
  3. 바이오 폴리올 35 ~ 75 중량부와, 분자량이 100 ~ 1000이고 관능기가 3 ~ 10개인 경질 폴리올 28 ~ 67 중량부와, 수지화 촉매(Gelling catalyst)나 포화 촉매(Blowing catalyst) 0.01 ~ 1.5 중량부를 포함하고, 점도가 600 ~ 5500cps/23℃인 주제와;
    이소시아네이트 45 ~ 80 중량부와, 분자량이 1000 ~ 10,000이고 관능기가 1 ~ 3개인 연질 폴리올 20 ~ 45 중량부를 포함하고, NCO 함량이 15 ~ 25 중량%이고 점도가 700 ~ 1400cps/23℃인 제3 경화제로 구성되고;
    상기 주제와 상기 제3 경화제의 혼합 비율은 중량비로 100 : 150 ~ 2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폴리머 콘크리트용 바인더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는 피마자유(Caster oil) 28 ~ 75 중량부와, 분자량이 100 ~ 1000이고 관능기가 3 ~ 10개인 경질 폴리올 28 ~ 67 중량부와, 수지화 촉매(Gelling catalyst)나 포화 촉매(Blowing catalyst) 0.1 ~ 1.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점도가 600 ~ 1500cps/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폴리머 콘크리트용 바인더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는 대두유 폴리올(Soybean oil based polyol) 35 ~ 65 중량부와, 분자량이 100 ~ 1000이고 관능기가 3 ~ 10개인 경질 폴리올 28 ~ 67 중량부와, 수지화 촉매(Gelling catalyst)나 포화 촉매(Blowing catalyst) 0.01 ~ 1.5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점도가 3500 ~ 5500cps/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폴리머 콘크리트용 바인더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는 추가적으로 가교제나 사슬연장제 0.5 ~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폴리머 콘크리트용 바인더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폴리올은 폴리에테르 폴리올이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폴리머 콘크리트용 바인더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화 촉매(Gelling catalyst)는 DBTL(Dibutyltin dilaurate)나 스테너스옥토에이트(stannous octoate), TEDA(triethylene diamine), DMEA(dimethyl ethanol amine), TMBDA(tetramethyl butane diamine), DMCHA(dimethyl cyclohexyl amine), TEA(triethyl amine) 중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포화 촉매(Blowing catalyst)는 3급 아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폴리머 콘크리트용 바인더 조성물.
KR1020130018131A 2012-02-21 2013-02-20 친환경 투수성 폴리머 콘크리트용 바인더 조성물 KR1014714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198 2012-02-21
KR20120017198 2012-0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6194A true KR20130096194A (ko) 2013-08-29
KR101471446B1 KR101471446B1 (ko) 2014-12-24

Family

ID=49219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8131A KR101471446B1 (ko) 2012-02-21 2013-02-20 친환경 투수성 폴리머 콘크리트용 바인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4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295B1 (ko) * 2016-09-09 2017-02-22 김민영 도로보수재 및 이를 이용한 도로보수시공방법
KR102381439B1 (ko) * 2021-11-08 2022-04-04 에스비비 주식회사 투수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친환경 투수블록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81441B1 (ko) * 2021-11-08 2022-04-04 에스비비 주식회사 허니컴 구조를 가지는 투수블록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0343B1 (ko) * 2015-12-11 2017-12-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도로의 노면 표시용 조성물
KR101901619B1 (ko) * 2016-07-29 2018-10-01 주식회사 아름다운길 1액형 바이오바인더를 이용한 투수포장재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만들어진 투수포장
KR101863629B1 (ko) * 2017-06-09 2018-06-04 김동건 친환경 투수성 골재를 이용한 보도포장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098B1 (ko) * 2004-08-30 2006-03-24 김정도 폴리올 수지를 이용한 도로용 우레탄계 조성물
KR100841399B1 (ko) * 2007-06-07 2008-06-26 진도화성주식회사 탄성콘크리트용 친환경성 고경도 폴리우레탄 수지
KR101119709B1 (ko) * 2011-12-23 2012-03-20 최태영 건설용 바인더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295B1 (ko) * 2016-09-09 2017-02-22 김민영 도로보수재 및 이를 이용한 도로보수시공방법
KR102381439B1 (ko) * 2021-11-08 2022-04-04 에스비비 주식회사 투수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친환경 투수블록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81441B1 (ko) * 2021-11-08 2022-04-04 에스비비 주식회사 허니컴 구조를 가지는 투수블록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1446B1 (ko)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1446B1 (ko) 친환경 투수성 폴리머 콘크리트용 바인더 조성물
DK2655466T3 (en) Adheres to wind turbine rotor blades
CN101565602B (zh) 聚氨酯遇水膨胀弹性体密封制品材料的制备方法
CN104004490B (zh) 一种透水砖或透水路面用复合高分子胶粘剂的制备方法
JP5680629B2 (ja) 塑性変形可能な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と接着剤と被覆材料とからなる複合部品
JP2007284520A (ja) 二液型ポリウレタン防水材組成物
US9562181B2 (en) Adhesive for filling joints and gaps in rotor blades for wind power plants
CN104136473B (zh) 具有改良固化速度的含有芳族异氰酸酯官能组分和脂族芳族异氰酸酯官能组分的组合物
TWI429669B (zh) A polyurethane resin-forming composition, and a water-proof material for a steel plate
JP6904454B1 (ja) 2液硬化型接着剤組成物
EP2580262B1 (en) Reactive isocyanate-terminated prepolymers for binder applications
KR20130056025A (ko) 내수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수분산 접착제
TWI777976B (zh) 版式軌道之修補材料、硬化體、版式軌道之修補方法、版式軌道及樹脂組成物
KR101448349B1 (ko) 친환경 하이브리드 폴리우레아 조성물
KR20140139814A (ko) 친환경 도로포장용 폴리우레탄 혼합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29230A (ko) 비노출용 방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638252B1 (ko) 폴리올 수지의 수용화 조성물
KR100733839B1 (ko) 도상안정제 조성물
JP3780691B2 (ja) 二液硬化型ウレタン組成物及びシーリング材
KR102381439B1 (ko) 투수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친환경 투수블록 및 이의 제조 방법
JP4074526B2 (ja) 常温アスファルト混合物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113718534B (zh) 一种防爆抗冲击纤维增强聚脲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10131330A (ko) 도로포장용 조성물
Dang et al. Polyurethanes for Sealants
JP4909956B2 (ja) 道床砕石用固結剤及びそれを用いる道床安定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