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5663A -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를 구비한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를 구비한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5663A
KR20130095663A KR1020130001910A KR20130001910A KR20130095663A KR 20130095663 A KR20130095663 A KR 20130095663A KR 1020130001910 A KR1020130001910 A KR 1020130001910A KR 20130001910 A KR20130001910 A KR 20130001910A KR 20130095663 A KR20130095663 A KR 20130095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irradiation field
lamp
diaphragm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7828B1 (ko
Inventor
이근창
김한성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30095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5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8Auxiliary means for directing the radiation beam to a particular spot, e.g. using light be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6Diaphrag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를 구비한 엑스선(X-ray) 화상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X선 조사야의 중심부에 초점을 맞춘 카메라를 더 구비하여, 촬영할 환자의 신체부위를 X선 조사야 내에 위치시키는 등의, 진료나 시술 이외의 경우의 영상을 위해서, 상기 카메라를 사용하도록 이루어진,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를 구비한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X선 촬영실에서, X선 튜브로부터의 X선을, X선 방출 조리개부를 통해, X선촬영대 위의 누운 피험자 위의 X선 조사야로 방출하면, 피험자를 투시한 X선이 X선촬영대에 입사되어, X선촬영대내에 설치된 영상처리 장치에 의해, 피험자의 X선투과상에 대응하는 비디오신호가 생성되어, 원격 조정실의 모니터부로 전송되어 표시되는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X선 방출 조리개부는, 상기 X선 방출 조리개부의 상단에 설치되되, X선 튜브의 방사구에 부착되어 X선 조사 범위를 조정하는 조리개; 상기 X선 방출 조리개부의 하단에 설치되는 투명판; 상기 조리개와 상기 투명판 사이의 일측에 위치되는 램프; 상기 램프의 전방에 사선으로 위치되되, 상기 램프의 광이 반사되어 생성된 광조사야가, 상기 X선 조사야와 일치하도록 이루어진 반사경; 상기 램프와 상기 투명판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램프의 밑에 위치되어, 상기 광조사야를 촬상하도록 이루어진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부는 상기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의 출력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한다.

Description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를 구비한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X-ray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with checking the radiating part by camera}
본 발명은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를 구비한 엑스선(X-ray) 화상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X선 조사야의 중심부에 초점을 맞춘 카메라를 더 구비하여, 촬영할 환자의 신체부위를 X선 조사야 내에 위치시키는 등의, 진료나 시술 이외의 경우의 영상을 위해서, 상기 카메라를 사용하도록 이루어진,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를 구비한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단용 X선 화상 촬영장치는 인체의 장기에 대한 조영촬영이나 투시하의 도수정복 등의 방사선 투시촬영을 이용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장비이다.
종래의 X선투시촬영장치로서, 국내 특허공보 특1996-0010979호에 기재된 종래의 X선투시촬영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X선조사장치(1)로부터 X선촬영대(2)를 향해 X선이 조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X선촬영대(2)에는 침대와 같은 형태로, 피험자가 누워서 소정 부위를 촬영할 수 있게 한다. X선촬영대(2)에는 이미지 인텐시파이어(image intensifier)(3)가 설치되어 있고, 피험자를 투시한 X선이 이미지 인텐시파이어(3)에 입사되어 X선투과상이 가시광상으로 변환되게 된다
이미지 인텐사이어(3)에는 CCD카메라장치(4)가 접속되고, 또 CCD카메라장치(4)에 모니터부(5)가 접속되어, 이미지 인텐시파이어(3)에 의해 변환된 가시광상이 CCD카메라장치(4)에 의해 비디오신호로 변환되고, 그 비디오신호에 대응하는 피험자의 X선투과상이 모니터부(5)에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X선조사장치(1)에는 거기에서 조사하는 X선광량을 발생전압의 변경에 의해 투시상태와 촬영상태로 변경하는 X선고전압장치(6)가 접속되어, 저전압을 공급하여 피험자의 X선투과상을 모니터부(5)에 표시하기 위하여 광량이 적은 X선을 X선조사장치(1)에서 조사시키는 투시상태와, 고전압을 공급하여 피험자의 X선투과상을 필름에 촬영하기 위하여 광량이 많은 X선을 X선조사장치(1)에서 조사시키는 촬영상태가 얻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X선촬영대(2)에는 카세트수용부(7)와 거기에서 필름을 빼내어 필름촬영위치로 반송함과 동시에 촬영이 끝난 필름을 카세트수용부(7)까지 반송하여 되돌리는 필름반송기구(8)로 된 필름촬영기구(9)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X선조사장치(1)와 X선촬영대(2), CCD카메라장치(4), X선고전압장치(6) 및 필름촬영기구(9)각각에 콘트롤러(15)가 접속되어 각각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촬영시, 우선 풋 스위치(16)를 온함에 따라 투시에 적합한 적은 광량의 투시상태의 X선(투시 X선)을 조사하여, X선투시상(관통상)을 모니터부(5)에 표시하며, 의사 등이 X선투시상에 의해 촬영부위를 확인한 후, 스탠바이 스위치(17)를 온하며, 이에 따라 X선조사장치(1)로부터의 조사가 정지함과 동시에 X선조사장치(1)의 필라멘트에 대전류가 흐르게 되어 다량의 열전자를 발생시키는 상태로 절환되고, 또 그와 동시에 필름촬영기구(9)가 작동하여 카세트수용부(7)에서 필름촬영위치까지 필름이 반송된다. 그 후에 촬영 스위치(18)를 온하여 X선고전압장치(6)에 고전압을 공급하고 X선조사장치(1)가 작동하며, 투시상태에서 촬영상태로 절환되어 광량이 증대한 촬영상태의 X선(촬영 X선)을 조사함과 동시에 셔터 콘트롤신호를 출력하여 전자셔터회로로부터 동기신호에 응답하여 펄스폭이 짧은(예를 들면 1/10000초) 펄스신호를 출력하고 이 펄신신호의 상승상태에서만 필름을 투과한 조사 X선에 의한 전하를 CCD촬영소자에 축적하여 그 X선투시상(관통상)을 모니터부(5)에 표시하게 된다.
도 2는 종래 진단용 X선 화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X선 화상 촬영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X선 촬영실 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X선 촬영실 내부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진단용 X선 화상 촬영장치는 피검을 위한 X선 촬영실, 제어를 위한 원격 조정실로 구분되어 설비되며, X선 촬영실 내부에는 X선을 생성 및 방출하는 X선 튜브(10), X선 튜브(10)에서 방출된 X선의 조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X선 방출 조리개부(20), 피검자를 정위치시키기 위한 베드를 구비한 X선촬영대(30)가 설치되고, 원격 조정실에는 테이블(1)과, X선 화상 촬영장치의 전체적인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모니터부(4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X선 촬영기사는 원격 조정실과 X선 촬영실 사이의 벽에 설치된 창문(3)을 통해 육안으로 환자 상태를 1차 대략 확인하고, 다시 모니터부(40)를 통해 출력되는 X선 조사야(31)를 체크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환자의 신체 부위에 X선 조사야(31)가 위치되는지의 여부를 정확히 확인하면서 X선 방출 조리개부(20)를 조절하여, X선 조사야(31)가 환자의 원하는 신체 부위에 위치하게 될 때 X선 화상 촬영을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종래 X선 화상 촬영장치에서는 원격 조정실의 촬영기사가 X선 조사야(31)를 촬영하고자 하는 환자의 신체부위를 위치시키는 과정에서, 정확한 촬영 위치로의 이동을 위해 실질적으로 X선 튜브(10)를 구동시켜 환자의 신체 부위에 X선을 투시하게 되며, 이러한 X선 투시 상태에서 모니터부(40)로 출력되는 X선에 의한 해부학적 영상을 이용하여 X선 조사야를 확인하면서 X선 방출 조리개부(20)를 조절하게 되므로, 실질적으로는 X선 피폭을 전혀 필요로 않는 시작단계부터 정확한 촬영위치로의 이동이 완료되는 단계까지는 진료나 시술의 근본 목적 외에 불필요하게 피검자가 방사선에 피폭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X선 조사야의 중심부에 초점을 맞춘 카메라를 더 구비하여, 촬영할 환자의 신체부위를 X선 조사야 내에 위치시키는 등의, 진료나 시술 이외의 경우의 영상을 위해서, 상기 카메라를 사용하도록 이루어진,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를 구비한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이, X선 촬영에 사용되는 모니터에 출력되도록 이루어진,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를 구비한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진료나 시술 등의 근본 목적 이외의 X선 사용에 의한 방사선 피폭량을 줄일 수 있는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광조사야와, X선의 조사야가 일치하는 지를 검사하게 하며,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는 X선 방출 조리개부 내부에서 램프의 밑에 설치되거나, 또는, 투명판 외측면의 일측에 설치되거나, 또는, X선 튜브 아래면의 일측에 설치되는,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를 구비한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는, X선 촬영실에서, X선 튜브로부터의 X선을, X선 방출 조리개부를 통해, X선촬영대 위의 누운 피험자 위의 X선 조사야로 방출하면, 피험자를 투시한 X선이 X선촬영대에 입사되어, X선촬영대내에 설치된 영상처리 장치에 의해, 피험자의 X선투과상에 대응하는 비디오신호가 생성되어, 원격 조정실의 모니터부로 전송되어 표시되는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X선 방출 조리개부는, 상기 X선 방출 조리개부의 상단에 설치되되, X선 튜브의 방사구에 부착되어 X선 조사 범위를 조정하는 조리개; 상기 X선 방출 조리개부의 하단에 설치되는 투명판; 상기 조리개와 상기 투명판 사이의 일측에 위치되는 램프; 상기 램프의 전방에 사선으로 위치되되, 상기 램프의 광이 반사되어 생성된 광조사야가, 상기 X선 조사야와 일치하도록 이루어진 반사경; 상기 램프와 상기 투명판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램프의 밑에 위치되어, 상기 광조사야를 촬상하도록 이루어진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는, X선 촬영실에서, X선 튜브로부터의 X선을, X선 방출 조리개부를 통해, X선촬영대 위의 누운 피험자 위의 X선 조사야로 방출하면, 피험자를 투시한 X선이 X선촬영대에 입사되어, X선촬영대내에 설치된 영상처리 장치에 의해, 피험자의 X선투과상에 대응하는 비디오신호가 생성되어, 원격 조정실의 모니터부로 전송되어 표시되는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에 있어서, X선 방출 조리개부는, 상기 X선 방출 조리개부의 상단에 설치되되, X선 튜브의 방사구에 부착되어 X선 조사 범위를 조정하는 조리개; 상기 X선 방출 조리개부의 하단에 설치되는 투명판; 상기 조리개와 상기 투명판 사이의 일측에 위치되는 램프;상기 램프의 전방에 사선으로 위치되되, 상기 램프의 광이 반사되어 생성된 광조사야가, 상기 X선 조사야와 일치하도록 이루어진 반사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X선 방출 조리개부의 외측에 위치되되, 상기 투명판 외측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광조사야를 촬상하도록 이루어진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실시 형태는, X선 촬영실에서, X선 튜브로부터의 X선을, X선 방출 조리개부를 통해, X선촬영대 위의 누운 피험자 위의 X선 조사야로 방출하면, 피험자를 투시한 X선이 X선촬영대에 입사되어, X선촬영대내에 설치된 영상처리 장치에 의해, 피험자의 X선투과상에 대응하는 비디오신호가 생성되어, 원격 조정실의 모니터부로 전송되어 표시되는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에 있어서, X선 방출 조리개부는, 상기 X선 방출 조리개부의 상단에 설치되되, X선 튜브의 방사구에 부착되어 X선 조사 범위를 조정하는 조리개; 상기 X선 방출 조리개부의 하단에 설치되는 투명판; 상기 조리개와 상기 투명판 사이의 일측에 위치되는 램프; 상기 램프의 전방에 사선으로 위치되되, 상기 램프의 광이 반사되어 생성된 광조사야가, 상기 X선 조사야와 일치하도록 이루어진 반사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X선 튜브(10) 아래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광조사야를 촬상하도록 이루어진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더 구비한다.
상기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와 상기 램프의 둘중의 하나에 동기되어, 다른 하나를 구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또는 상기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와 상기 램프 중의 하나 이상은, 원격 조정실에 위치된 풋스위치에 동기되어 구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는 X선 조사야의 중심부에 초점을 맞추어지며, 상기 모니터부는 상기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의 출력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한다. 또한,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는 프레임 그레버를 통해 모니터부와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X선 촬영실의 X선 튜브로부터의 X선을, X선 방출 조리개부를 통해, X선촬영대 위의 피험자 위의 X선 조사야로 방출하면, X선촬영대에 설치된 이미지 인텐시파이어에 피험자를 투시한 X선이 입사되어 X선투과상이 가시광상으로 변환되게 되고, 상기 가시광상은 이미지 인텐사이어와 접속된 CCD카메라장치에 의해 비디오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비디오신호가 원격 조정실의 모니터부에 전송된다.
램프는 X선 튜브로부터 피검체로 투사되는 X선의 진행경로에 대하여 수직하게 빛을 방출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에 따르면, X선 조사야의 중심부에 초점을 맞춘 카메라를 더 구비하여, 촬영할 환자의 신체부위를 X선 조사야 내에 위치시키는 등의, 진료나 시술 이외의 경우의 영상을 위해서, 상기 카메라를 사용하도록 이루어져, 진료나 시술 등의 근본 목적 이외의 X선 사용에 의한 방사선 피폭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는,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이, X선 촬영에 사용되는 모니터에 출력되도록 이루어져, 시스템을 보다 간단하게 구성가능하며, 경제적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X선 화상 촬영장치에 의하면, 실제 X선 화상 촬영을 위해 필요로 하는 환자의 신체부위를 X선 조사야에 일치시키는 과정에서 X선 투시에 의한 해부학적 영상을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진료나 시술 등의 근본 목적 이외의 불필요한 X선 사용 제한에 의한 방사선 피폭량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X선투시촬영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종래 진단용 X선 화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X선 화상 촬영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X선 촬영실 내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X선 촬영실 내부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를 구비한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를 구비한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를 구비한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를 구비한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를 구비한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선 촬영실 내부에는 X선 튜브(10), 방출 조리개부(20), X선촬영대(30)를 포함하고, 원격 조정실에는 모니터부(40)를 구비한다.
X선 튜브(10)는 X선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공관으로, 그 음극은 텅스텐 필라멘트로, 전류에 의해 가열하여 열전자를 방출시키며, 이에 대하여 양극에 수만 볼트 이상의 +고전압을 가하면 전자류는 고속으로 양극을 향해서 운동하고, 텅스텐, 몰리브덴 등으로 만든 대향극(對向極)에 충돌했을 때 그가 가지고 있는 에너지를 X선으로서 방출하는 장치이다. 즉, X선 튜브(10)는 X선촬영대(30)를 향하여 X선을 방출한다.
X선 방출 조리개부(20)는 X선 튜브(10)의 밑에 위치하며, X선 튜브(10)로부터 X선촬영대(30)로 방출되는 X선의 조사야(31)를 조절하는 수단이다. X선 방출 조리개부(20)는 조리개(21), 램프(23), 반사경(24), 투명판(22)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조리개(21)는 X선 튜브(10)의 방사구에 부착하여 필요한 조사 범위만큼만 X선이 방사되도록 하는 수단이다.
조사야(31)는 반사경(24)에 반사되어진 램프(23)의 광과 실제 X선이 조사된 부분이 합치도록 조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조리개(21)에 의해서, 조사야 이외에의 X선을 큰폭으로 감소시킨다. 노후되어서 얻어진 변화나, 조리개(21)에서의 강한 외력등에 의해, 내부의 차폐물이 벗겨지거나 어긋나거나 하여, 유효한 차폐 효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광조사야와 X선조사야가 맞는지 여부를 정기적으로 확인이 필요하다. 또는 매 X선촬영시마다 확인할 수 있다.
램프(23)는 조사야(31)를 검사 및 조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광원으로, 조리개(21)의 밑에 위치되되, 램프(23)의 전방에 반사경(24)이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램프(23)는 후술되는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25)로 조사야를 확인할때에도 광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진다. 램프(23)는 X선 방출 조리개부(20) 내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25)로 공급되는 동작전원에 의해 구동되고 X선 튜브(10)에서 피검체로 투사되는 X선의 진행경로에 대하여 수직하게 빛을 방출하도록 설치된다.
반사경(24)은 조리개(21)와 투명판(22)의 사이에 사선으로 설치되되, 램프(23)의 전방에 설치되어, 램프(23)로부터의 광을 조사야(31) 부분에 조사한다. 즉, 반사경(24)은 X선 방출 조리개부(20) 내부의 전방의 조리개(21)와 후방의 투명판(22) 사이에 이격되어 사선으로 설치된다. 반사경(24)은 X선의 진행경로에 대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램프(23)에서 방출되는 빛을 후방의 투명판(22)을 통해 X선 조사야(31) 내의 피검체의 X선 검사 영역으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25)는 광조사야와 X선의 조사야(31)가 일치하는 지를 검사하기 위한 수단으로, X선 조사야의 중심부에 초점을 맞춘다. 도 4에서,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25)는 X선 방출 조리개부(20) 내부에서 램프(23)의 밑에 설치될 수 있다.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25)는 광조사야와 X선의 조사야(31)의 그 중심부가 일치되도록 설치되며, X선 조사야(31) 내의 피검체의 X선 검사 영역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여 원격 조정실의 모니터부(40)로 출력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성한다. 특히 이러한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25)는 X선 방출 조리개부(20)의 내부 측면에 램프(23)와 나란하게 설치되거나, X선 방출 조리개부(20)의 X선 방출구 측 후방에 설치되거나, X선 튜브(10)의 X선 방출구 측 후방에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X선 방출 조리개부(20)의 내부 측면에 램프(23)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25)의 출력은 모니터부(40)의 컴퓨터와 직접적으로 연결될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프레임 그레버(Frame Grabber)를 통해 모니터부(40)의 컴퓨터와 연결될 수도 있다.
특히 이때 반사경(24)은 그 각도를 90°의 범위 내에서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 가능하며, 이 경우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25)를 램프(23) 반대편에 위치시키고 반사경(24)을 선택적으로 90o 변환시켜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25)의 영상이 X선 조사야(31)와 같은 크기와 모양으로 보이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X선촬영대(30)은, 침대와 같은 형태로, 피험자가 누워서 소정 부위를 촬영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X선 방출 조리개부(20)의 밑에 위치되어있다. X선촬영대(30)에 설치된 이미지 인텐시파이어(3)에 피험자를 투시한 X선이 입사되어 X선투과상이 가시광상으로 변환되게 되고, 상기 가시광상은 이미지 인텐사이어(3)와 접속된 CCD카메라장치(4)에 의해 비디오신호로 변환되고, 그 비디오신호에 대응하는 피험자의 X선투과상이 모니터부(40)에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모니터부(40)는 X선투과상에 대응하는 비디오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으로 출력하며, 또한,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모니터부(40)는 일반 컴퓨터 본체, 모니터, 키입력장치 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X선 화상 촬영장치는, X선 튜브(10)에서 발생하는 X선이 X선 방출 조리개부(20:Collimator)를 통하여 환자의 표적 장기를 투과하면서 발생하는 감약의 차로 영상을 구성하여 모니터부(40)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종래 기술의 경우 모니터부(40)에 영상이 보이는 동안은 유해한 방사선에 노출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환자 표적 장기를 X선 조사야(31) 내로 유도하는 영상을 방사선 투시에 의하지 않고 이 X선 방출 조리개부(20)에 X선 조사야(31)와 그 중심부가 일치되는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25)(CCD Camera etc.)를 부착하고, 이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모니터부(40)로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X선 촬영 기사로 하여금 모니터부(CC TV Monitor)를 통해 표적을 확인하면서 촬영 목적 부위를 X선 조사야까지 위치 이동시키고, 이후에 목적 부위가 조사야의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실질적으로 X선을 이용하는 투시영상으로 전환함으로서 표적에 대한 조사야 유도 및 이동 시간동안에는 X선의 조사를 멈출 수가 있어서 방사선 피폭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를 구비한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를 구비한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의 위치를 제외하고는 도 4와 동일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서는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25)는 X선 방출 조리개부(20) 외부에서 투명판(22) 외측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투명판(22) 외측의 일측에 설치되되, 램프(23)의 밑에 설치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25)는 X선 튜브(10) 아래면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X선 튜브(10) 아래면의 일측에 설치되되, 램프(23)의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25) 및 램프(23)은 풋 스위치(16)가 온(on)됨에 의해 구동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와 상기 램프의 둘중의 하나에 동기되어, 다른 하나를 구동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X선조사장치 2, 30: X선촬영대
3: 인텐시파이어 4: CCD카메라장치
5, 40: 모니터부 6:X선고전압장치
7: 카세트수용부 8: 필름반송기구
9: 필름촬영기구 10: X선 튜브
15:콘트롤러 16: 푸트 스위치
17: 스탠바이 스위치 18: 촬영 스위치
20: X선 방출 조리개부 21: 조리개
22: 투명판 23: 램프
24: 반사경 25: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
31: X선 조사야

Claims (10)

  1. X선 촬영실에서, X선 튜브로부터의 X선을, X선 방출 조리개부를 통해, X선촬영대 위의 누운 피험자 위의 X선 조사야로 방출하면, 피험자를 투시한 X선이 X선촬영대에 입사되어, X선촬영대내에 설치된 영상처리 장치에 의해, 피험자의 X선투과상에 대응하는 비디오신호가 생성되어, 원격 조정실의 모니터부로 전송되어 표시되는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X선 방출 조리개부는,
    상기 X선 방출 조리개부의 상단에 설치되되, X선 튜브의 방사구에 부착되어 X선 조사 범위를 조정하는 조리개;
    상기 X선 방출 조리개부의 하단에 설치되는 투명판;
    상기 조리개와 상기 투명판 사이의 일측에 위치되는 램프;
    상기 램프의 전방에 사선으로 위치되되, 상기 램프의 광이 반사되어 생성된 광조사야가, 상기 X선 조사야와 일치하도록 이루어진 반사경;
    상기 램프와 상기 투명판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램프의 밑에 위치되어, 상기 광조사야를 촬상하도록 이루어진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
  2. X선 촬영실에서, X선 튜브로부터의 X선을, X선 방출 조리개부를 통해, X선촬영대 위의 누운 피험자 위의 X선 조사야로 방출하면, 피험자를 투시한 X선이 X선촬영대에 입사되어, X선촬영대내에 설치된 영상처리 장치에 의해, 피험자의 X선투과상에 대응하는 비디오신호가 생성되어, 원격 조정실의 모니터부로 전송되어 표시되는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에 있어서,
    X선 방출 조리개부는,
    상기 X선 방출 조리개부의 상단에 설치되되, X선 튜브의 방사구에 부착되어 X선 조사 범위를 조정하는 조리개;
    상기 X선 방출 조리개부의 하단에 설치되는 투명판;
    상기 조리개와 상기 투명판 사이의 일측에 위치되는 램프;
    상기 램프의 전방에 사선으로 위치되되, 상기 램프의 광이 반사되어 생성된 광조사야가, 상기 X선 조사야와 일치하도록 이루어진 반사경;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X선 방출 조리개부의 외측에 위치되되, 상기 투명판 외측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광조사야를 촬상하도록 이루어진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
  3. X선 촬영실에서, X선 튜브로부터의 X선을, X선 방출 조리개부를 통해, X선촬영대 위의 누운 피험자 위의 X선 조사야로 방출하면, 피험자를 투시한 X선이 X선촬영대에 입사되어, X선촬영대내에 설치된 영상처리 장치에 의해, 피험자의 X선투과상에 대응하는 비디오신호가 생성되어, 원격 조정실의 모니터부로 전송되어 표시되는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에 있어서,
    X선 방출 조리개부는,
    상기 X선 방출 조리개부의 상단에 설치되되, X선 튜브의 방사구에 부착되어 X선 조사 범위를 조정하는 조리개;
    상기 X선 방출 조리개부의 하단에 설치되는 투명판;
    상기 조리개와 상기 투명판 사이의 일측에 위치되는 램프;
    상기 램프의 전방에 사선으로 위치되되, 상기 램프의 광이 반사되어 생성된 광조사야가, 상기 X선 조사야와 일치하도록 이루어진 반사경;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X선 튜브(10) 아래면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광조사야를 촬상하도록 이루어진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와 상기 램프의 둘중의 하나에 동기되어, 다른 하나를 구동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와 상기 램프 중의 하나 이상은, 원격 조정실에 위치된 풋스위치에 동기되어 구동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는 X선 조사야의 중심부에 초점을 맞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부는 상기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의 출력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는 프레임 그레버를 통해 모니터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선 촬영실에서 X선 튜브로부터의 X선을, X선 방출 조리개부를 통해, X선촬영대 위의 피험자 위의 X선 조사야로 방출하면, X선촬영대에 설치된 이미지 인텐시파이어에 피험자를 투시한 X선이 입사되어 X선투과상이 가시광상으로 변환되게 되고, 상기 가시광상은 이미지 인텐사이어와 접속된 CCD카메라장치에 의해 비디오신호로 변환되고, 상기 비디오신호가 원격 조정실의 모니터부에 전송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램프는 X선 튜브로부터 피검체로 투사되는 X선의 진행경로에 대하여 수직하게 빛을 방출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
KR1020130001910A 2012-02-20 2013-01-08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를 구비한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 KR1014278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6731 2012-02-20
KR20120016731 2012-0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663A true KR20130095663A (ko) 2013-08-28
KR101427828B1 KR101427828B1 (ko) 2014-08-07

Family

ID=49218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910A KR101427828B1 (ko) 2012-02-20 2013-01-08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를 구비한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82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7546A (ko) * 2014-05-07 2015-11-17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환자 테이블의 비접촉 제어를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US9924914B2 (en) 2015-01-22 2018-03-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X-ray recording system
KR20180072357A (ko) * 2016-12-21 2018-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 및 제어방법
CN108209949A (zh) * 2017-12-26 2018-06-29 南京巨鲨显示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医用x射线摄影系统的监测装置及监测方法
JP2018185275A (ja) * 2017-04-27 2018-11-22 富士電機株式会社 X線検査システム及びx線照射装置
CN111166366A (zh) * 2019-12-31 2020-05-19 杭州美诺瓦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束光器光野的屏蔽装置、屏蔽方法及x光检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4282A (ja) * 1998-02-27 1999-09-14 Shimadzu Corp X線可動絞り
US6379041B1 (en) 1998-11-02 2002-04-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X-ray apparatus for producing a 3D image from a set of 2D projections
KR100702148B1 (ko) * 2004-12-30 2007-03-30 한국전기연구원 단층영상과 입체 표면영상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엑스선단층 촬영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7546A (ko) * 2014-05-07 2015-11-17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환자 테이블의 비접촉 제어를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US9785131B2 (en) 2014-05-07 2017-10-10 Siemens Aktiengesellschaft Device and method for contactless control of a patient table
US9924914B2 (en) 2015-01-22 2018-03-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X-ray recording system
KR20180072357A (ko) * 2016-12-21 2018-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 및 제어방법
JP2018185275A (ja) * 2017-04-27 2018-11-22 富士電機株式会社 X線検査システム及びx線照射装置
CN108209949A (zh) * 2017-12-26 2018-06-29 南京巨鲨显示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医用x射线摄影系统的监测装置及监测方法
CN111166366A (zh) * 2019-12-31 2020-05-19 杭州美诺瓦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束光器光野的屏蔽装置、屏蔽方法及x光检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7828B1 (ko) 2014-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828B1 (ko) 조사야 확인용 카메라를 구비한 엑스선 화상 촬영장치
US7490986B2 (en) Radiation image projection apparatus and radiation image projection method
US7344305B2 (en) Remote visual feedback of collimated area and snapshot of exposed patient area
JP5023122B2 (ja) 粒子線ビーム照射装置
US20090180590A1 (en) X-ray image apparatus and method of imaging an object under examination
KR20150001216A (ko) 엑스선 촬영 장치의 조사영역 제어 장치 및 방법
US8948346B2 (en) Collim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20038794A (ko) X선 피폭을 감소시킨 복합디지털x선 촬영장치 및 그 촬영방법
KR20130059489A (ko) 디지털 방사선 촬영 시스템의 콜리메이터
JP5792569B2 (ja) 放射線撮影システムおよび放射線撮影システムの長尺撮影方法
KR101306339B1 (ko) 방사선 조사야 조절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21191401A (ja) 画像処理装置、放射線透視撮影システム、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20120087464A1 (en) Multi-source low dose x-ray ct imaging aparatus
JP2019000460A (ja) 放射線撮影装置、放射線撮影システム、放射線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90111200A (ko) 방사선 세기 변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단층 영상 합성 시스템
KR20150001214A (ko) 엑스선 촬영장치 및 방법
JP2021191389A (ja) 処理装置、処理装置の作動方法、処理装置の作動プログラム
JP7189108B2 (ja) 放射線撮影装置
KR102531300B1 (ko) 엑스선을 이용한 골밀도 및 성장판 검사장치
JP2006255216A (ja) X線画像診断装置
JP2001176692A (ja) X線撮影装置
KR102107593B1 (ko) 씨암용 엑스선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씨암
KR20180120867A (ko) 환자의 피폭선량 변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단층 영상 합성 시스템
US20080292051A1 (en) Imaging device
KR102163226B1 (ko) 치과용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촬영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