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3325A - 신생혈관생성 촉진제의 탈모치료 용도 - Google Patents

신생혈관생성 촉진제의 탈모치료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3325A
KR20130093325A KR1020120014822A KR20120014822A KR20130093325A KR 20130093325 A KR20130093325 A KR 20130093325A KR 1020120014822 A KR1020120014822 A KR 1020120014822A KR 20120014822 A KR20120014822 A KR 20120014822A KR 20130093325 A KR20130093325 A KR 20130093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formula
acid
hair loss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토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토스
Priority to KR1020120014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3325A/ko
Publication of KR20130093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33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이소포스파티딕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용 화장료 조성물 및 탈모의 예방, 치료, 또는 육모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볼 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용 화장료 조성물 및 탈모의 예방, 치료, 또는 육모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신생혈관생성 촉진제의 탈모치료 용도{Use of an angiogenisis-inducing agent for treating hair loss}
본 발명은 탈모의 예방, 치료, 또는 육모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새롭게 탈모의 예방, 치료, 또는 육모 효과가 밝혀진 화합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용 화장료 조성물, 및 탈모의 예방, 치료, 또는 육모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남성의 신체적 특징에 있어서 정상적인 측면에 해당하는 골격근 증가, 생식기 발달, 정자 형성, 성적 욕구 등은 테스토스테론이 관여하고, 부정적인 측면에 해당하는 여드름, 피지 증가, 탈모, 및 전립선 비대증은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이 해당 조직에 관여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중에서도 남성에게 많이 발생되는 탈모에 대해서는 오래 기간 연구가 이루어져왔으나 아직까지 탈모 및 발모의 기전에 대해서 정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나, 외모를 중시하는 현대 사회에서는 점점 그 예방 및 치료의 필요성이 절실해지고 있다.
모발은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의 주기적인 변화를 규칙적으로 반복하는 하나의 생명체로 모발 하나 하나가 독립적인 생성과 소멸을 반복하기에, 항상 일정한 모발 수를 유지하게 된다. 모발의 숫자는 출생에서부터 결정되지만 사춘기 이후 성호르몬의 영향으로 인한 모발의 성모화 과정을 수의 증가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성장기는 모낭의 활동과 세포분열이 활발해 모발이 성장하는 시기로 약 2-6년 정도의 기간을 유지하게 되며 전체 머리카락의 약 85%가 이에 해당된다. 성장기에 모구 세포는 기질 세포로 된 모유두에 둘러싸여 원형 형태를 띠고 있으며, 새로운 모발의 생성을 위한 세포 분열이 활발한 시기이다. 퇴행기는 모낭의 성장활동이 정지되고 급속도로 위축되는 시기이며 이때의 털의 모양은 곤봉과 유사한 모습이다. 약 2-3주 정도 진행되며 전체 모발의 약 5%가 이에 해당된다. 휴지기는 모낭의 세포 활동이 완전히 소멸된 시기로 2-3개월의 기간을 거치는 동안 휴지기 모발의 기저부에서 새로이 자라게 되는 성장기 모발에 의해 밀려나 빠지게 되거나 빗질이나 머리를 감는 등의 기계적 작용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빠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탈모증이라 함은 이러한 주기 중에 성장기의 모발 비율이 짧아지고 퇴행기 또는 휴지기의 모발이 많아져 비정상적으로 모발이 탈락되는 숫자가 많아지는 것을 일컫는다.
두피로부터 모발이 탈락하는 이러한 탈모증이 발생 원인은 다양하며, 크게 나누어 남성호르몬의 작용, 정신적 스트레스, 두피에서의 과산화지질 축적, 약물 부작용, 백혈병 또는 결핵 등의 만성 질환, 방사선 요법에 의한 부작용, 영양 결핍 등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남성의 고민이라고 알려져왔던 탈모가 여성 탈모, 젊은 층의 탈모에 대한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현재 모발성장 및 양모제로서 사용되는 약물로는 크게 두피에 충분한 혈액을 순환시키기 위한 혈관 확장제, 남성 호르몬의 작용을 억제하기 위한 여성 호르몬제, 테스토스테론을 5-DHT(5-dihydrotesteone)로 변환시키는 5α-리덕타제를 억제하는 남성 호르몬 활성 억제제가 있다. 상기 혈관확장제로는 염화카프로니움, 미녹시딜, 및 각종 식물 추출물 등이 있고, 여성 호르몬제로는 에스트로겐, 에스트라디올, 프로게스테론 등이 있으며, 남성 호르몬 활성 억제제로는 피나스테라이드, 펜타데칸산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탈모 치료제는 충분하지 않은 효과나 부작용 등으로 인해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탈모 치료 또는 육모를 위한 약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국소용 또는 경구용으로 투여되는 미녹시딜의 경우는 두피의 홍반, 염증, 감염, 자극 또는 동통 등 피부에 자극이 있으며, 혈압강하 효과가 있으므로 혈압강하제를 투여 중인 환자를 포함한 고혈압 환자에게는 신중한 투여를 요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피나스테라이드는 남성 호르몬 활성 억제 효과로 인해 발기부전, 성적욕구의 감소 등의 단점이 있다.
한편, 신생혈관형성(angiogenesis)은 기존 혈관의 내피세포가 세포외 기질을 분해하고, 이동, 분열 및 분화하여 새로운 모세혈관을 형성하는 현상으로, 신생혈관형성을 유도 혹은 억제하는 인자를 이용한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고자 하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 신생혈관형성을 활성화시키는 물질들도 미녹시딜과 같이 혈류흐름을 개선할 수 있기 때문에 혈관신생을 촉진시키는 물질(tretinoin)이 탈모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이 제기되었다(비특허문헌 1).
또한, 본 발명자들은 혈소판에서 분비되는 신생혈관형성을 촉진 활성이 있는 파이토스핑고신-1-포스페이트 유도체들이 미녹시딜과 동등 이상의 육모 및 발모 효능이 있음을 인정받아 파이토스핑고신-1-포스페이트 유도체의 탈모의 예방, 치료 또는 육모 용도에 대해 특허등록 받은 바 있다(특허문헌 1).
1. 한국특허등록 1003532
1. Androgenetic Alopecia.com, Male and female pattern hair loss information
이에 본 발명자들은 탈모 치료 또는 육모에 효과가 있는 약물의 개발을 위해 연구 노력한 결과, 특정 화합물이 탈모의 예방, 치료, 및 육모에 효과가 있는 것을 새롭게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치료, 또는 육모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하기 화학식 1의 라이소포스파티딕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하기 화학식 2의 포볼 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하기 화학식 1의 라이소포스파티딕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탈모의 예방, 치료, 또는 육모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하기 화학식 2의 포볼 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탈모의 예방, 치료, 또는 육모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4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전체가 참고로 통합된다.
본 발명자들은 탈모의 예방, 치료, 또는 육모에 효과가 있는 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라이소포스파티딕산(lysophosphatidic acid, LPA) 및 포볼 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phorbol myristate acetate, PMA)가, 미녹시딜과 동등 이상의 육모 및 발모 효과가 있다고 인정된 파이토스핑고신-1-포스페이트에 비해 동등 이상의 육모 및 발모 효과가 있고, 종래의 미녹시딜의 피부에 대한 자극이나 고혈압 환자에게 신중히 투여해야 하는 등의 부작용이 없어 바람직하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개발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라이소포스파티딕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의 포볼 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라이소포스파티딕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탈모의 예방, 치료, 또는 육모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의 포볼 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탈모의 예방, 치료, 또는 육모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을 총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라고 명명한다.
상기 활성성분으로 포함되는 화학식 1 및 화학식 2의 화합물은 유기화학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의 지식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상기 화학식 1 또는 2의 화합물이 유리산과 함께 염을 형성하는 산부가염으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 또는 2의 화합물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부가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리산으로는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무기산으로는 염산, 브롬산, 황산, 또는 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유기산으로는 구연산(citric acid), 초산, 젖산, 주석산(tartariac acid), 말레인산, 푸마르산(fumaric acid), 포름산,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옥살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벤조산, 글루콘산, 메탄술폰산, 글리콜산, 숙신산, 4-톨루엔술폰산, 갈룩투론산, 엠본산, 글루탐산 또는 아스파르트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 또는 2의 화합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뿐만 아니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모든 염, 수화물을 포함한 용매화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의 화합물이 탈모 치료, 예방, 및 육모에 효과가 있다는 것은 하기 실시예에서 입증되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화합물들에 대해 C3H 마우스를 이용한 육모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들이 현재 FDA로부터 탈모 치료제로서 허가를 받아 판매 중인 마이녹실 3%(미녹시딜 3% 액제, 현대약품)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육모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 중에서도 화학식 2의 포볼 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가 화학식 1의 라이소포스파티딕산에 비해 더 우수한 육모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들에 대해 신생혈관 형성 활성을 CAM(chorioallantoic membrane) 어세이로 측정하고, 음의 대조군으로서 인산완충용액(PBS), 양의 대조군으로 파이토스핑고신-1-포스페이트와 비교시험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신생혈관형성 촉진에 있어서 현저히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 중에서도 화학식 2의 포볼 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가 화학식 1의 라이소포스파티딕산에 비해 더 우수한 신생혈관형성 촉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화학식 2의 화합물은 신생혈관형성 촉진에 의해 탈모 치료, 예방, 및 육모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다른 탈모의 예방, 치료, 또는 육모용 약물이나 보조제를 더 포함하여 복합 제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약물 또는 보조제로는 레틴산(retinoic acid), 미녹시딜(minoxidil), 피나스테라이드, 아연 펩타이드(zinc peptide), 아연옥사이드(zinc oxide), 비오틴, 제니스테인, 양파추출물, 호박씨오일, 엠유(Emu) 오일, 녹차 추출물, 버드나무피 추출물, 병풀 추출물, 네틀 추출물, 창포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경구투여제제, 주사제, 좌제, 경피투여제제, 및 경비투여제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제형으로 제제화되어 투여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두피 또는 모발로 덮인 피부 부위에 국소 적용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다. 이러한 국소투여용 제제로는 리포좀, 나노에멀젼, 샴푸, 헤어컨디셔너, 또는 헤어로션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경피 흡수의 증가에 의해 효과를 촉진시키기 위해서, 리포좀 또는 나노에멀젼으로 제제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의 제제화 시, 화장품 분야 또는 약제학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각각의 제제의 제조에 적절한 담체, 희석제, 또는 첨가제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조성물 전체에 대해 약 0.001 중량% 내지 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0.1 중량%의 범위로 함유할 수 있으며, 활성성분의 종류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경우, 국소투여시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탈모의 예방, 치료, 또는 육모를 위한 부위에 1일 1 회 내지 2회 정도 도포함으로써 투여할 수 있다. 활성성분이 1 중량% 일 때를 기준으로 일일 도포량으로는 0.5-3 mg 정도이며, 도포 부위의 면적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이러한 투여량 및 횟수는 환자의 나이, 성별, 탈모의 진행 정도에 따라 적절히 증감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 또는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은 탈모의 치료, 예방, 또는 육모에 대한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합성에 의해 쉽게 제조될 수 있어 경제적이고, 리포좀, 나노에멀젼과 같은 지질미립구 제제로 제제화시 모낭에 쉽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종래 사용되고 있는 다른 탈모 치료제인 미녹시딜 및 피나스테라이드에 비해 피부 자극이 없으며 부작용이 없어 매우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모의 치료, 예방, 또는 육모용 조성물은 그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리포좀, 나노에멀젼과 같은 지질미립구 제제로 제제화시 모낭에 쉽게 전달될 수 있고, 종래 사용되고 있는 다른 탈모 치료제인 미녹시딜 및 피나스테라이드에 비해 피부 자극이 없으며 부작용이 없어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화학식 2의 화합물은 합성에 의해 쉽게 제조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도 1은 C3H 마우스의 옆구리를 제모한 다음 0.01% P-1-P, 0.01% LPA, 및 0.01% PMA 용액을 하루에 한번씩 도포하고 14일, 18일, 21일째에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쵤영한 사진이다.
도 2는 CAM 어세이 방법을 수행하는 각 단계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음성 대조군, P-1-P 0.01% 함유 리포좀(양의 대조군), LPA 0.01% 함유 리포좀, 및 PMA 0.01% 함유 리포좀에 대해 CAM 어세이 하여 신생혈관형성 억제 효과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파이토스핑고신-1-포스페이트(P-1-P) 함유 리포좀의 제조(1)
파이토스핑고신-1-포스페이트(P-1-P)을 함유하는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우선 75% 대두 포스파티딜콜린(Lipoid사) 3 g과 P-1-P 0.01 g, 비타민 E 아세테이트 0.3 g을 에탄올 20 g과 에톡시디글리콜 2 g에 용해시켰다. 용해를 잘 시키기 위해 5분간 초음파 처리를 해주었다. 멘톨 0.5 g, 니아신아미드 0.5 g, 천연유기유황 3 g, 헤스페리딘 0.1 g을 녹인 증류수 71.59 g을 포스파티딜콜린과 P-1-P를 녹인 에탄올 용액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첨가할 때에 강하게 교반하여 주었다. 증류수를 다 첨가한 후 30 분간 계속 교반한 다음, 배스 타입 소니케이터를 이용하여 30 분간 초음파 처리하여 입자 크기를 100 nm 전후로 만들어 P-1-P 함유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피부투과 촉진제로서 폴록사머+폴리소르베이트 80(Tween 80)을 부가하여 피부투과 촉진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LPA 함유 리포좀의 제조(1)
상기 실시예 1에서 P-1-P 대신 LPA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LPA 0.01% 함유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LPA는 Sigma 에서 구입하였다.
실시예 1-1: 천연허브를 추가한 LPA 함유 리포좀의 제조(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리포좀에 여러 가지 추출물을 첨가하여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버드나무껍질추출물 1 g, 녹차 추출물 1 g, 병풀추출물 3 g, 네틀추출물 0.5 g, 창포추출물 0.5 g, 로즈마리추출물 0.5 g, 캐모마일 추출물 0.5 g, 대두발효물 1 g을 증류수 첨가할 때 함께 부가하고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다만, 각종 추출물이 들어간 양만큼 증류수를 적게 사용하여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PMA 함유 리포좀의 제조(1)
상기 실시예 1에서 P-1-P 대신 PMA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PMA 0.01% 함유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PMA는 씨그마에서 구입하였다.
실시예 2-1: 천연허브를 추가한 PMA 함유 리포좀의 제조(2)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리포좀에 여러 가지 추출물을 첨가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버드나무껍질추출물 1 g, 녹차 추출물 1 g, 병풀추출물 3 g, 네틀추출물 0.5 g, 창포추출물 0.5 g, 로즈마리추출물 0.5 g, 캐모마일 추출물 0.5 g, 대두발효물 1 g을 증류수 첨가할 때 함께 부가하고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다만, 각종 추출물이 들어간 양만큼 증류수를 적게 사용하여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비교예 1, 실시예 1 및 2의 리폼좀의 조성을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P-1-P, LPA 및 PMA를 함유한 리포좀의 조성(중량%)
실시 예
조성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1-1 실시예 2 실시예 2-1
P-1-P 0.01 0 0 0 0
LPA 0 0.01 0.01 0 0
PMA 0 0 0 0.01 0.01
레시틴 1 1 1 1 1
에탄올 20 20 20 20 20
에톡시디글리콜 2 2 2 2 2
폴록사머 0.5 0.5 0.5 0.5 0.5
트윈80 0.5 0.5 0.5 0.5 0.5
니아신아미드 0.5 0.5 0.5 0.5 0.5
멘톨 0.5 0.5 0.5 0.5 0.5
천연유기유황 3 3 3 3 3
헤스페리딘 0.1 0.1 0.1 0.1 0.1
녹차추출물 0 0 1 0 1
대두발효물 0 0 1 0 1
버드나무껍질추출물 0 0 1 0 1
병풀추출물 0 0 3 0 3
네틀추출물 0 0 0.5 0 0.5
창포추출물 0 0 0.5 0 0.5
로즈마리추출물 0 0 0.5 0 0.5
캐모마일추출물 0 0 0.5 0 0.5
증류수(잔여) 71.89 71.89 63.89 71.89 63.89
실험예 1
C3H 마우스를 이용한 육모 시험
6 주령의 C3H 마우스를 구입하여 등 부분의 털을 일부 제거한 후 제모크림을 도포하여 기존의 털을 완전히 제거하였다. 완전히 제모가 되지 않은 마우스는 실험에서 제외하였으며, 제모한 후 무작위로 마우스 케이지 당 5 마리씩 사육하였으며, 총 다섯 케이지를 이용하였다.
제모한 후 하루 정도 방치한 후에 시험 화합물로서 LPA 또는 PMA를 에탄올과 에톡시디글리콜의 혼합액(9:1, v/v)에 0.01 중량%로 녹여서 제모한 부위에 하루에 한번씩 도포해 주었다. 상기 시험 화합물 없이 에탄올과 에톡시디글리콜의 혼합액만을 도포한 군을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양의 대조군으로서 파이토스핑고신-1-포스페이트를 에톡시디글리콜의 혼합액(9:1, v/v)에 0.01 중량%로 녹인 용액을 사용하였다. 시료를 도포한 후 14 일과 18 일째에 제모한 부위를 촬영한 사진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의 결과에 따르면, 비처리군(음성 대조군)에서는 털이 거의 자라지 않아 피부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데 반해, P-1-P, LPA, PMA 처리군에서는 매우 빠르게 모발의 성장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P-1-P, LPA, PMA 군에서 음성대조군보다 더 빠르게 육모 효과가 나타나는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PMA 처리군에서는 초창기에는 피부가 거칠어지는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모발의 성장 속도는 매우 빠르게 나타났으며, P-1-P 및 LPA보다 더 빠르게 육모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PMA 도포 후에 피부 장벽이 손상을 입어 피부투과를 다른 처리군보다 높여서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된다. LPA는 PMA에 비해서는 육모효과가 낮았지만, P-1-P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육모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신생혈관형성 능력 비교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각각 제조된 LPA 0.1% 함유 리포좀, PMA 0.1% 함유 리포좀을 대상으로 신생혈관 형성능을 측정하였다. 음의 대조군으로서 인산완충용액(PBS)을 사용하였고, 양의 대조군으로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파이토스핑고신-1-포스페이트(P-1-P) 0.1% 함유 리포좀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신생혈관 형성능 측정은 CAM(chorioallantoic membrane) 어세이로 수행하였으며, 이 시험법은 신생혈관의 형성능을 보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닭이 낳은 지 1 일내의 유정란을 구입하여 3 일 후에 도 2의 i)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란 흰자를 주사기로 6 mL 제거하여, ii)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란 윗부분을 열 수 있게 하였다. 3 일 후에는 닭의 배아가 발달하는데 배아를 둘러싸고 있는 부분을 CAM이라고 한다. 그런 다음, 도 4의 ⅲ)과 같인 CAM 위에 시험 약물을 점적하여 말린 커버슬립을 올리고 3 일 후 약물에 의한 혈관신생이 일어났는지 여부를 도 1의 iv)와 같이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리하여 인산완충액, P-1-P 0.1% 함유 리포좀, LPA 0.1% 함유 리포좀, 및 PMA 0.1% 함유 리포좀의 신생혈관형성 억제 효과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신생혈관 형성능 결과
그룹 -- - 0 +/- + ++
PBS 2 8
P-1-P 8 2 1 5 4
LPA 1 5 4
PMA 3 7
--: 강하게 신생혈관형성 억제, -: 약하게 억제, 0: 효과 없음
+/-: 미미한 신생혈관형성 활성
+: 약하게 신생혈관형성 촉진
++: 강하게 신생혈관형성 촉진
상기 표 2 및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활성성분에 해당하는 LPA 및 PMA는 모두 음성 대조군에 비해 신생혈관 형성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성 대조군인 P-1-P 0.1% 함유 리포좀에 비해서서 동등 이상의 신생혈관 형성능을 나타내었으며, LPA에 비해 PMA가 현저히 더 높은 신생혈관 형성능을 나타내었다.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의 라이소포스파티딕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5
  2. 하기 화학식 2의 포볼 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at00006
  3. 하기 화학식 1의 라이소포스파티딕산,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탈모의 예방, 치료, 또는 육모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7
  4. 하기 화학식 2의 포볼 미리스테이트 아세테이트,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의 염, 또는 그의 용매화물을 포함하는, 탈모의 예방, 치료, 또는 육모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2]
    Figure pat00008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두피 또는 모발로 덮인 피부 부위에 국소 적용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리포좀, 나노에멀젼, 샴푸, 헤어컨디셔너, 또는 헤어로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20014822A 2012-02-14 2012-02-14 신생혈관생성 촉진제의 탈모치료 용도 KR201300933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822A KR20130093325A (ko) 2012-02-14 2012-02-14 신생혈관생성 촉진제의 탈모치료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4822A KR20130093325A (ko) 2012-02-14 2012-02-14 신생혈관생성 촉진제의 탈모치료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3325A true KR20130093325A (ko) 2013-08-22

Family

ID=49217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822A KR20130093325A (ko) 2012-02-14 2012-02-14 신생혈관생성 촉진제의 탈모치료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332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3532B1 (ko) 탈모의 예방, 치료, 또는 육모용 조성물
EP2640350B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hair growth
US20100247428A1 (en) Uses of rare earth elements for hair improvement
US20100172865A1 (en) Methods of enhancing hair growth
CN109528725A (zh) 一种含二氨基嘧啶氧化物和吡咯烷基二氨基嘧啶氧化物的纳米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443180B1 (ko) 신규한 경피흡수용 약물전달체, 그를 이용한 탈모방지 외용제 조성물 및 화장료
US20190110969A1 (en) Hair growth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KR20190013575A (ko)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733065B1 (ko) 데칸알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00071840A (ko) 발모 및 육모 촉진용 나노에멀젼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05363A (ko) 탈모 예방 및 양모 효과를 갖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
KR101472466B1 (ko) 순간 증모 및 탈모 치료 효능이 있는 약학 조성물 및 헤어 메이크업 조성물
KR101551891B1 (ko) 섬오가피 및 문주란의 혼합 생약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갖는 외용 조성물
KR20210065968A (ko) 심미적 피부 상태를 치료하기 위한 철 킬레이팅 화합물
US20160354293A1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or preventing hair loss
KR20100060754A (ko) 경피 흡수를 통한 모발 성장 촉진용 외용제 조성물
KR20130093325A (ko) 신생혈관생성 촉진제의 탈모치료 용도
TW201014614A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hemotherapeutic agent-induced alopecia
EP2730270B1 (en)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preventing eyebrow hair loss
BR112021004550A2 (pt) usos de inibidores de inibidor de ativador de plasminogênio 1 (pai-1)
KR102244368B1 (ko) 비타민과 덱스판테놀이 봉입된 에토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035146A1 (ko)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외용제 조성물
KR101910595B1 (ko) 터티오펜 유도체를 함유하는 탈모치료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0651023B1 (ko) 반묘의 비극성 용매 가용 추출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1577053B1 (ko) 트리아졸 유도체를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과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