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2906A -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92906A KR20130092906A KR1020120014490A KR20120014490A KR20130092906A KR 20130092906 A KR20130092906 A KR 20130092906A KR 1020120014490 A KR1020120014490 A KR 1020120014490A KR 20120014490 A KR20120014490 A KR 20120014490A KR 20130092906 A KR20130092906 A KR 201300929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s
- data
- backlight
- display device
- data volt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41—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temporal multiplex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09—Crosstalk reduction, i.e. to reduce direct or indirect influences of signals directed to a certain pixel of the displayed image on other pixels of said image, inclusive of influences affecting pixels in different frames or fields or sub-images which constitute a same image, e.g. left and right images of a stereoscopic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제1블록을 포함하는 표시판, 상기 복수의 제1블록의 화소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 그리고 상기 표시판에 빛을 제공하며 상기 표시판의 상기 복수의 제1블록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제2블록을 포함하는 백라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한 프레임 동안 상기 복수의 제1블록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데이터 입력 구간에서 상기 데이터 전압을 상기 복수의 제1블록의 화소에 인가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 입력 구간 사이에는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수직 블랭크 구간이 위치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화소와 화소가 포함하는 스위칭 소자와 연결된 복수의 표시 신호선을 구비하는 표시판, 표시 신호선 중 게이트선에 게이트 온 전압과 게이트 오프 전압을 내보내어 화소의 스위칭 소자를 턴온/오프시키는 게이트 구동부, 그리고 표시 신호선 중 데이터선에 데이터 전압을 내보내어 턴온된 스위칭 소자를 통하여 화소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표시 장치에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display)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등이 있다.
표시 장치의 각 화소는 스위칭 소자를 통해 데이터 전압을 인가받는 화소 전극 및 데이터 전압을 광학 신호로 변환하여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전기 광학 활성층을 더 포함한다. 액정 표시 장치는 전기 광학 활성층으로 액정층을 포함하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전기 광학 활성층으로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고,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전하를 띤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 표시 장치 기술의 발전에 따라서 3차원(3 dimensional, 3D)의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가 관심을 끌고 있으며, 다양한 3차원 영상 표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3차원 영상 표시 기술에서는 근거리에서 입체감을 인식하는 가장 큰 요인인 양안 시차(binocular parallax)를 이용하여 물체의 입체감을 표현한다. 즉, 왼쪽 눈(좌안)과 오른쪽 눈(우안)에는 각각 서로 다른 2차원 영상이 비춰지고, 좌안에 비춰지는 영상(이하, "좌안 영상(left eye image) "이라 함)과 우안에 비춰지는 영상(이하, "우안 영상(right eye image) "이라 함)이 뇌로 전달되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은 뇌에서 융합되어 깊이감(depth perception) 또는 입체감을 갖는 3차원 영상으로 인식된다.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는 양안 시차를 이용하는 것으로, 셔터 안경(shutter glasses), 편광 안경(polarized glasses) 등의 안경을 이용하는 안경식 방법과, 안경을 이용하지 않고 표시 장치에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 패럴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등을 배치하는 비안경식 방법이 있다.
2차원 또는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의 각 화소는 프레임에 따라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데, 이웃한 프레임의 영상이 다를 때 전기 광학 활성층의 응답 속도가 충분히 빠르지 않으면, 이웃한 프레임의 영상이 한꺼번에 보여 영상이 선명하지 못하고 흐릿해질(blurring) 수 있다. 이를 크로스토크(crosstalk)라 한다.
특히,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의 각 화소는 이웃한 프레임에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번갈아 표시하거나, 이웃한 두 프레임에서 좌안 영상 또는 우안 영상 중 어느 한 쪽의 영상을 동일하게 표시할 수도 있는데, 어느 경우에 의하든 이웃한 프레임의 영상이 다를 때 표시 장치의 전기 광학 활성층의 응답 속도가 충분히 빠르지 않은 경우 이웃한 프레임의 영상이 한꺼번에 보여 크로스토크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시 장치의 크로스토크를 줄여 표시 품질을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표시 장치의 휘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제1블록을 포함하는 표시판, 상기 복수의 제1블록의 화소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 그리고 상기 표시판에 빛을 제공하며 상기 표시판의 상기 복수의 제1블록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제2블록을 포함하는 백라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한 프레임 동안 상기 복수의 제1블록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데이터 입력 구간에서 상기 데이터 전압을 상기 복수의 제1블록의 화소에 인가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 입력 구간 사이에는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수직 블랭크 구간이 위치한다.
상기 백라이트의 상기 복수의 제2블록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2블록 각각이 대응하는 상기 제1블록에 상기 데이터 전압이 인가된 후 소정 시간이 지난 후에 발광하기 시작하고, 상기 소정 시간은 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의 이웃하는 제2블록의 발광 구간은 중첩할 수 있다.
한 프레임의 상기 복수의 데이터 입력 구간 중 제1 데이터 입력 구간의 시간 폭과 제2 데이터 입력 구간의 시간 폭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입력 구간 직후의 상기 수직 공백 구간의 시간 폭과 상기 제2 데이터 입력 구간 직후의 상기 수직 공백 구간의 시간 폭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의 이웃하는 제2블록의 발광 구간의 시작점 사이의 간격은 일정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전압은 좌안 데이터 전압과 우안 데이터 전압을 포함하고, 상기 화소는 상기 좌안 데이터 전압과 상기 우안 데이터 전압을 프레임마다 번갈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복수의 제1블록을 포함하는 표시판, 상기 복수의 제1블록의 화소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 그리고 상기 표시판에 빛을 제공하며 상기 표시판의 상기 복수의 제1블록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제2블록을 포함하는 백라이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통해 한 프레임 동안 상기 복수의 제1블록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데이터 입력 구간에서 상기 데이터 전압을 상기 복수의 제1블록의 화소에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 입력 구간 사이에는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수직 블랭크 구간이 위치한다.
상기 백라이트의 상기 복수의 제2블록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2블록 각각이 대응하는 상기 제1블록에 상기 데이터 전압이 인가된 후 소정 시간이 지난 후에 발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 시간은 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의 이웃하는 제2블록의 발광 구간은 중첩할 수 있다.
한 프레임의 상기 복수의 데이터 입력 구간 중 제1 데이터 입력 구간의 시간 폭과 제2 데이터 입력 구간의 시간 폭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입력 구간 직후의 상기 수직 공백 구간의 시간 폭과 상기 제2 데이터 입력 구간 직후의 상기 수직 공백 구간의 시간 폭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의 이웃하는 제2블록의 발광 구간의 시작점 사이의 간격은 일정할 수 있다.
상기 화소가 좌안 데이터 전압과 우안 데이터 전압을 프레임마다 번갈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의 이웃하는 제2블록의 발광 구간은 중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의 크로스토크를 줄여 표시 품질을 향상하고, 휘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신호의 타이밍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구동 신호의 파형도에 따라 표시된 영상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신호의 타이밍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구동 신호의 파형도에 따라 표시된 영상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신호의 타이밍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신호의 타이밍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구동 신호의 파형도에 따라 표시된 영상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신호의 타이밍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구동 신호의 파형도에 따라 표시된 영상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신호의 타이밍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구동 신호의 파형도에 따라 표시된 영상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신호의 타이밍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신호의 타이밍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구동 신호의 파형도에 따라 표시된 영상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기 영동 표시 장치, 전기 습윤 표시 장치(electrowetting display, EWD) 또는 멤스(MEMS)를 이용한 표시 장치 등 다양한 표시 장치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판(300) 및 이에 연결된 게이트 구동부(gate driver)(400)와 데이터 구동부(data driver)(500), 백라이트 제어부(backlight controller)(950), 이들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부(timing controller)(600), 그리고 표시판(300)에 빛을 공급하는 백라이트(backlight)(900) 등을 포함한다.
표시판(300)은 등가 회로로 볼 때 복수의 표시 신호선과 이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화소(PX)를 포함한다. 복수의 화소(PX)는 행렬의 형태로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표시 신호선은 게이트 신호("주사 신호"라고도 함)를 전달하는 복수의 게이트선(GL1-GLn)과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선(DL1-DLm)을 포함한다. 각 화소(PX)는 해당 게이트선(GL1-GLn) 및 데이터선(DL1-DLm)에 연결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스위칭 소자(도시하지 않음)와 이에 연결된 화소 전극(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판(300)은 화소 전극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Vd)을 광학 신호로 변환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전기 광학 활성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는 전기 광학 활성층으로 액정층을 포함하고,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전하를 띤 입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600)는 게이트 구동부(400), 데이터 구동부(500), 백라이트 제어부(950)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타이밍 제어부(600)는 외부로부터 입력 영상 신호(IDAT)와 입력 제어 신호(CONT1)를 입력받는다. 입력 영상 신호(IDAT)는 영상의 휘도(luminance) 정보를 담고 있다. 휘도는 정해진 수효, 예를 들면 1024(=210), 256(=28) 또는 64(=26) 개의 계조(gray)를 가질 수 있다. 입력 제어 신호(CONT1)는 영상 표시와 관련하여 수직 동기 신호(Vsync)와 수평 동기 신호(Hsync), 메인 클록(MCLK),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600)는 입력 영상 신호(IDAT) 및 입력 제어 신호(CONT1)를 기초로 입력 영상 신호(IDAT)를 표시판(300)의 동작 조건에 맞게 적절히 처리하고, 게이트 제어 신호(CONT2), 데이터 제어 신호(CONT3), 그리고 백라이트 제어 신호(CONT4) 등을 생성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600)는 게이트 제어 신호(CONT2)를 게이트 구동부(400)로 내보내고, 데이터 제어 신호(CONT3)와 처리한 영상 신호(DAT)를 데이터 구동부(500)로 내보내며, 백라이트 제어 신호(CONT4)를 백라이트 제어부(950)로 내보낼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500)는 표시판(300)의 데이터선(DL1-DLm)에 연결되어 계조 전압 생성부(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받은 계조 기준 전압을 분압하여 전체 계조에 대한 계조 전압을 생성하거나 복수의 계조 전압을 계조 전압 생성부로부터 입력 받을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500)는 데이터 제어 신호(CONT3)에 따라 한 행의 화소(PX)에 대한 디지털 영상 신호(DAT)를 수신하고 계조 전압으로부터 각 디지털 영상 신호(DAT)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선택함으로써 디지털 영상 신호(DAT)를 데이터 전압(Vd)으로 변환한 다음, 이를 해당 데이터선(DL1-DLm)에 인가한다.
게이트 구동부(400)는 게이트선(GL1-GLn)에 연결되어 게이트 온 전압(Von)과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선(GL1-GLn)에 인가한다. 게이트 구동부(400)는 타이밍 제어부(600)로부터의 게이트 제어 신호(CONT2)에 따라 게이트 온 전압(Von)을 게이트선(GL1-GLn)에 인가하여 이 게이트선(GL1-GLn)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를 턴온시킨다. 그러면 데이터선(DL1-DLm)에 인가된 데이터 전압(Vd)이 턴온된 스위칭 소자를 통하여 해당 화소(PX)에 인가될 수 있다.
백라이트(900)는 표시판(300)의 뒤쪽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의 예로는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과 같은 형광 램프,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900)가 포함하는 광원은 백라이트 제어 신호(CONT4)에 따른 백라이트 제어부(950)의 제어에 따라 소정 시간 켜지거나 꺼질 수 있다. 백라이트(900)는 표시판(300)과 마주하는 적어도 하나의 직진성 도광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판(300)은 1 수평 주기("1H"라고도 쓰며,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의 한 주기와 동일함)를 단위로 하여 모든 게이트선(GL1-GLn)에 대하여 차례로 게이트 온 전압(Von)을 인가하고 모든 화소(PX)에 데이터 전압(Vd)을 인가하여 한 프레임(frame)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표시 장치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포함하고 있으므로,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입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이하, 입체 영상 표시 장치라 함)는 통합 제어부(integration controller)(650), 표시판부(display panel assembly)(1000), 백라이트 제어부(950), 그리고 입체 영상 인식 부재(3D image recognition member)(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650)는 외부로부터 영상 정보(DATA)를 입력 받아 입력 영상 신호(IDAT), 3D 인에이블 신호(3D_EN), 3D 타이밍 신호(3D_TM), 3D 동기 신호(3D_sync), 그리고 입력 영상 신호(IDAT)의 표시를 제어하는 입력 제어 신호(CONT1) 등을 생성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650)는 입력 영상 신호(IDAT), 3D 인에이블 신호(3D_EN), 입력 제어 신호(CONT1) 등을 표시판부(1000)의 타이밍 제어부(600)에 전달할 수 있고, 3D 인에이블 신호(3D_EN) 및 3D 타이밍 신호(3D_TM)를 백라이트 제어부(950)에 전달할 수 있고, 3D 동기 신호(3D_sync)를 입체 영상 인식 부재(60)에 전달할 수 있다.
3D 인에이블 신호(3D_EN)는 입체 영상 표시 장치가 3D 모드로 동작하도록 지시하고, 3D 타이밍 신호(3D_TM)는 3D 모드에 따른 여러 구동 신호의 타이밍 정보를 담을 수 있다. 3D 동기 신호(3D_sync)는 3D 모드인 경우 입체 영상 인식 부재(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신호이다.
표시판부(1000)는 액정 표시 장치, 전기 영동 표시 장치, 전기 습윤 표시 장치 또는 멤스를 이용한 표시 장치 등의 다양한 표시 장치들 중 하나일 수 있다.
표시판부(1000)는 표시판(300), 게이트 구동부(400) 및 데이터 구동부(500), 타이밍 제어부(600), 그리고 백라이트(9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에 대한 설명은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과 대부분 동일하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타이밍 제어부(600)는 통합 제어부(650)로부터 입력 받은 3D 인에이블 신호(3D_EN)에 따라 2차원 평면 영상을 표시하는 2D 모드 또는 3차원 입체 영상을 표시하는 3D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3D 모드에서, 데이터 전압(Vd)은 좌안 영상용 데이터 전압("좌안 데이터 전압"이라함)과 우안 영상용 데이터 전압("우안 데이터 전압"이라함)을 포함할 수 있다. 한 화소(PX)는 우안 데이터 전압과 좌안 데이터 전압을 프레임마다 교대로 표시할 수도 있고, 연속한 프레임에서 우안 데이터 전압 또는 좌안 데이터 전압 중 한 쪽의 데이터 전압을 표시할 수도 있다.
좌안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프레임과 우안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프레임 사이에는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수직 공백 구간(vertical blank period)이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수직 공백 구간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구분하여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이 겹쳐 보이는 크로스토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백라이트 제어부(950)는 통합 제어부(650)로부터 3D 타이밍 신호(3D_TM)와 3D 인에이블 신호(3D_EN) 등을 입력 받아 이들을 바탕으로 백라이트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백라이트(900)에 전송한다. 이와 달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제어부(950)는 타이밍 제어부(600)로부터 백라이트 제어 신호를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백라이트(900)는 백라이트 제어 신호의 제어에 따라 소정 시간 켜지거나 꺼질 수 있다.
입체 영상 인식 부재(60)는 입체 영상 표시를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좌안에 좌안 영상이 입사하도록 하고 우안에 우안 영상이 입사하도록 하여 양안 시차가 발생하도록 한다. 즉, 입체 영상 인식 부재(60)는 양쪽 눈에 각각 다른 각도에서 관찰된 영상이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입체 영상 인식 부재(60)는 좌안 셔터 및 우안 셔터를 포함하는 셔터 안경(60a)일 수도 있고, 차광부 및 투광부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패럴랙스 배리어(60b)일 수도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입체 영상 인식 부재(60)가 셔터 안경(60a)일 경우, 표시판(300)이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번갈아 표시하면 셔터 안경(60a)의 좌안 셔터 및 우안 셔터가 이에 동기하여 번갈아 가며 빛을 차단할 수 있다. 관찰자가 셔터 안경(60a)을 통해 표시판(300)의 영상을 입체 영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입체 영상 인식 부재(60)가 패럴랙스 배리어(60b)를 이용하는 경우, 표시판(300) 앞에 패럴랙스 배리어(60b)가 위치하고 표시판(300)은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을 수평 방향으로 교대로 표시할 수 있다. 패럴랙스 배리어(60b)에는 빛이 통과하지 않는 차광부와 빛이 통과하는 투광부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패럴랙스 배리어(60b)의 투광부를 통해 표시판(300)으로부터의 영상을 좌안 영상과 우안 영상으로 나누어 관찰자의 왼쪽 눈과 오른쪽 눈에 각각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입체 영상 인식 부재(60)는 통합 제어부(650)로부터 3D 동기 신호(3D_sync)를 입력 받아 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3D 동기 신호(3D_sync)는 타이밍 제어부(600)에서 생성되어 입체 영상 인식 부재(60)로 전달될 수도 있다.
그러면, 이러한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구동 방법에 대해 앞에서 설명한 도 1 내지 도 3와 함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신호의 타이밍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구동 신호의 파형도에 따라 표시된 영상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펄스는 한 프레임을 주기로 발생되며,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펄스의 출력에 따라 한 프레임(Frame1, Frmae2)이 시작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속한 두 프레임을 제1프레임(Frame1)과 제2프레임(Frame2)으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펄스가 입력되면 타이밍 제어부(600)로부터의 게이트 제어 신호(CONT2)에 따라 게이트 구동부(400)가 게이트선(GL1-GLn)에 차례대로 게이트 온 전압(Von)을 인가한다. 데이터 구동부(500)는 데이터 제어 신호(CONT3)에 따라 데이터선(DL1-DLm)에 데이터 전압(Vd)을 인가한다. 그러면, 표시판(300)의 화소(PX)에 해당 데이터 전압(Vd)이 인가된다.
표시 장치가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인 경우, 각 화소(PX)에 대해 제1프레임(Frame1)에 좌안 데이터 전압이 입력되고 제2프레임(Frame2)에 우안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거나, 그 반대로 입력될 수도 있다. 또는 입체 영상 인식 부재(60)의 종류에 따라서 한 화소(PX)가 연속한 프레임에서 한쪽 눈에 입력될 데이터 전압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화소(PX)에 데이터 전압(Vd)이 인가되면 화소(PX)가 포함하는 전기 광학 활성층은 데이터 전압(Vd)을 광학 신호로 변환하고 이에 맞추어 백라이트(900)가 발광하여 해당 데이터 전압(Vd)에 대응하는 계조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장치가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 데이터 전압(Vd)에 따라 액정층에 전기장이 생성되고, 액정층의 액정 분자는 전기장에 따라 배열되어 백라이트(900) 또는 외부로부터의 입사광의 편광을 제어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가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인 경우, 표시판(300)이 영상을 표시하면 앞에서 설명한 입체 영상 인식 부재(60)를 통해 좌안 영상은 좌안으로 우안 영상은 우안으로 보내어 입체 영상을 인식할 수 있다.
백라이트(900)의 각 발광 구간(ON)은 대응하는 데이터 입력 구간(F1D1, F1D2, F2D1, F2D2)이 끝난 후 0 이상의 소정 시간 후에 시작할 수 있다. 이러한 백라이트(900)의 발광 구간(ON)의 위치는 액정층 등의 전기 광학 활성층의 응답 속도에 따라 적절히 정해질 수 있다. 전기 광학 활성층의 응답 속도가 빠른 경우 백라이트(900)의 발광 구간(ON)은 대응하는 데이터 입력 구간(F1D1, F1D2, F2D1, F2D2)에 보다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전기 광학 활성층의 응답 속도가 빠르지 않은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광학 활성층이 반응을 거의 완료한 시점에 백라이트(900)의 발광 구간(ON)이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300)은 복수의 블록으로 나뉠 수 있고, 백라이트(900) 역시 표시판(300)의 복수의 블록과 각각 마주하며 대응하는 복수의 블록으로 나뉠 수 있다. 이때 백라이트(900)의 각 블록은 하나의 직진성 도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실시예는 표시판(300) 및 백라이트(900)가 각각 두 개의 블록(BL1, BL2)으로 나뉘는 예를 보여준다. 여기에서 표시판(300) 및 백라이트(900)의 복수의 블록(BL1, BL2)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한 표시판(300)을 기준으로 데이터선(DL1-DLm)이 뻗은 세로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후, 표시판(300)의 복수의 블록과 이에 대응하는 백라이트(900)의 복수의 블록은 편의상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판(300) 및 백라이트(900)가 복수의 블록으로 나뉘는 경우 한 프레임(Frame1, Frmae2) 동안 각 화소(PX)에 입력되는 데이터 전압(Vd)도 복수의 블록(BL1, BL2)의 개수에 따라 분할되어 복수의 데이터 입력 구간(F1D1, F1D2, F2D1, F2D2) 동안 입력된다. 데이터 입력 구간(F1D1)은 제1프레임(Frame1) 동안 표시판(300)의 제1 블록(BL1)에 데이터 전압이 차례대로 입력되는 구간이고, 데이터 입력 구간(F1D2)은 제1프레임(Frame1) 동안 표시판(300)의 제2 블록(BL2)에 데이터 전압이 차례대로 입력되는 구간이고, 데이터 입력 구간(F2D1)은 제2프레임(Frame2) 동안 표시판(300)의 제1 블록(BL1)에 데이터 전압이 차례대로 입력되는 구간이고, 데이터 입력 구간(F2D2)은 제2프레임(Frame2) 동안 표시판(300)의 제2 블록(BL2)에 데이터 전압이 차례대로 입력되는 구간이다.
이웃한 데이터 입력 구간(F1D1, F1D2, F2D1, F2D2)은 시간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으며, 그 사이에는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수직 공백 구간(F1VB1, F1VB2, F2VB1, F2VB2)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프레임(Frame1, Frmae2)은 복수의 수직 공백 구간(F1VB1, F1VB2, F2VB1, F2VB2)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입체 영상 표시 장치인 경우, 제1프레임(Frame1)의 데이터 입력 구간(F1D1, F1D2) 동안 한 화소(PX)에 좌안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고 제2프레임(Frame2)의 데이터 입력 구간(F2D1, F2D2) 동안에는 우안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거나, 이와 반대로 데이터 전압이 인가될 수도 있다.
각 화소(PX)에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면 전기 광학 활성층은 이에 대해 응답하여 동작한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가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 각 블록(BL1, BL2)에 포함된 액정층의 액정 분자는 각 블록(BL1, BL2)에 인가된 데이터 전압에 따라 생성된 전기장에 따라 그 배열 방향을 바꾸어 응답한다. 따라서 액정 분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가 속한 블록(BL1, BL2)에 따라 다른 시간에 반응을 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제1프레임(Frame1)에서 제1 블록(BL1)의 액정 분자들은 데이터 입력 구간(F1D1)의 데이터 전압의 인가에 따라 차례대로 반응을 시작한다. 도 4에 도시한 액정 응답 그래프는 액정 분자의 반응 정도 또는 응답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의 집합이다. 마찬가지로 제1프레임(Frame1)에서 제2 블록(BL2)의 액정 분자들은 데이터 입력 구간(F1D2)의 데이터 전압의 인가에 따라 차례대로 반응을 시작한다. 다음, 제2프레임(Frame2)에서도 제1 블록(BL1)의 액정 분자들은 데이터 입력 구간(F2D1)의 데이터 전압의 인가에 따라 차례대로 반응을 시작하고, 제2 블록(BL2)의 액정 분자들은 데이터 입력 구간(F2D2)의 데이터 전압의 인가에 따라 차례대로 반응을 시작한다. 액정 분자들의 반응이 거의 끝나는 시간 또는 도 4에 도시한 액정 응답 그래프의 기울기 등의 모양은 액정층의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백라이트(900)의 제1 블록(BL1)은 각 프레임(Frame1, Frame2)에서 표시판(300)의 제1 블록(BL1)이 포함하는 액정 분자가 대부분 반응을 완료한 때에 소정 시간 폭(t1) 동안 발광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백라이트(900)의 제2 블록(BL2)은 각 프레임(Frame1, Frame2)에서 표시판(300)의 제2 블록(BL2)이 포함하는 액정 분자가 대부분 반응을 완료한 때에 소정 시간 폭(t1) 동안 발광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백라이트(900)의 제1 블록(BL1)과 제2 블록(BL2)에 대응하는 발광 구간(ON)이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제1 블록(BL1)과 제2 블록(BL2)의 발광 구간(ON)은 적어도 일부 중첩할 수도 있다. 또한 이웃하는 발광 구간(ON) 사이의 시간 간격은 일정할 수 있고, 발광 구간(ON) 자체의 시간 폭도 일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한 프레임(Frame1, Frame2)에 대한 백라이트(900)의 총 발광 시간은 하나의 발광 구간(ON)의 두 배인 2*t1이다. 나아가, 표시판(300) 및 백라이트(900)의 분할된 블록의 수가 n개이고 각 발광 구간(ON)의 시간 폭이 t1인 경우 한 프레임(Frame1, Frame2)에 대한 백라이트(900)의 총 발광 시간은 n*t1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각 블록(BL1, BL2)에서 백라이트(900)가 발광을 시작하는 시점과 해당 블록(BL1, BL2)의 액정 분자가 반응을 실질적으로 완료한 시점 사이의 영역(A1, A3), 그리고 각 블록(BL1, BL2)에서 백라이트(900)가 발광을 끝내는 시점과 해당 블록(BL1, BL2)의 액정 분자가 반응을 시작하는 시점 사이의 영역(A2, A4)에서는 해당 프레임(Frame1)과 이전 또는 이후 프레임(Frame2)의 영상이 섞여 보일 수 있어 해당 프레임의 영상이 흐릿하게 보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크로스토크라 한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표시판(300)의 제1 블록(BL1)의 하단은 도 4에서 발광 구간(ON)의 시작 시점과 액정 분자가 반응을 실질적으로 완료한 시점 사이의 영역(A1)에 해당한다. 영역(A1)에 대응하는 제1 블록(BL1)의 하단에서는 데이터 입력 구간(F1D1)에 대응한 액정 분자의 반응이 완료되지 않아 이전 프레임의 영상의 잔상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표시판(300)의 제1 블록(BL1)의 상단은 도 4에서 발광 구간(ON)이 다음 프레임(Frame2)의 입력 데이터에 따라 반응을 시작하는 액정 분자의 응답 영역이 중첩하는 영역(A2)에 해당한다. 따라서 표시판(300)의 제1 블록(BL1)의 상단에서는 다음 프레임(Frame2)의 데이터 입력 구간(F2D1)에 대응하여 액정 분자가 반응을 시작하고 있으므로 제1프레임(Frame1)의 영상과 제2프레임(Frame2)의 영상이 섞여 보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블록(BL2)의 하단은 도 4에서 발광 구간(ON) 안에서 액정 분자가 반응을 진행하고 있는 영역(A3)에 해당하여, 데이터 입력 구간(F1D2)에 대응한 액정 분자의 반응이 완료되지 않아 이전 프레임의 영상의 잔상이 남을 수 있다. 또한 제2 블록(BL2)의 상단은 도 4에서 발광 구간(ON)이 다음 프레임(Frame2)의 입력 데이터에 따라 반응을 시작하는 액정 분자의 응답 영역이 중첩하는 영역(A4)에 해당하여, 다음 프레임(Frame2)의 데이터 입력 구간(F2D2)에 대한 액정 분자의 반응이 일부 진행되어 제1프레임(Frame1)의 영상과 제2프레임(Frame2)의 영상이 섞여 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백라이트(900)의 발광 구간(ON)의 시간 폭(t1)을 조절하여 도 4에 도시한 각 영역(A1, A2, A3, A4)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웃한 프레임의 영상이 섞여 보이는 크로스토크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표시판(300) 및 백라이트(900)의 블록(BL1, BL2)에 따라 한 프레임(Frame1, Frame2)의 데이터 전압을 분할하여 입력하므로, 표시판(300) 및 백라이트(900)를 복수의 블록으로 나누지 않은 경우에 비해 크로스토크 현상을 상당히 줄일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한 프레임에 대한 백라이트(900)의 총 발광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어 표시 장치의 휘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신호의 타이밍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구동 신호의 파형도에 따라 표시된 영상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판(300) 및 백라이트(900)를 복수의 블록으로 나누지 않고 한 프레임(Frame1, Frame2)에 대한 데이터 전압을 하나의 데이터 입력 구간(F1Dt, F2Dt) 동안에 표시판(300)에 입력한다. 이웃한 프레임(Frame1, Frame2)의 데이터 입력 구간(F1Dt, F2Dt) 사이에는 수직 공백 구간(F1VB, F2VB)이 위치할 수 있다.
백라이트(900)는 각 프레임(Frame1)에 대해 액정 분자가 거의 반응을 완료한 시점에서 발광을 시작하할 수 있고, 다음 프레임(Frame2)의 데이터 전압의 인가에 따라 액정 분자가 반응을 시작할 때 또는 소정 시간 이후에 발광을 완료하여 소정 시간 폭(t2) 동안 발광할 수 있다.
이때 백라이트(900)의 발광 구간(ON)의 시간 폭(t2)이 길어지면 표시 장치의 휘도는 증가할 수 있으나,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영역(B1, B2)과 같이 반응 중인 액정 분자가 존재하는 시간을 많이 포함하게 되어 이웃한 프레임(Frame1, Frame2) 간의 크로스토크가 증가하여 화질이 떨어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발광 구간(ON)의 시간 폭(t2)이 짧아지면 크로스토크는 줄일 수 있으나 휘도가 낮아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표시판(300)의 하단은 도 6에서 백라이트(900)의 발광 구간(ON) 중 해당 프레임(Frame1)의 데이터 입력 구간(F1Dt)에 대응하여 반응하고 있는 액정 분자가 존재하는 영역(B1)에 대응한다. 영역(B1)에서는 데이터 입력 구간(F1Dt)에 대한 액정 분자의 반응이 완료되지 않아 이전 프레임의 영상의 잔상이 남을 수 있다. 또한 표시판(300)의 상단은 도 6에서 발광 구간(ON) 중 다음 프레임(Frame2)의 데이터 입력 구간(F2Dt)에 대응하여 반응을 시작하는 액정 분자가 존재하는 영역(B2)에 해당한다. 영역(B2)에서는 다음 프레임(Frame2)의 데이터 입력 구간(F2Dt)에 대한 액정 분자의 반응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제1프레임(Frame1)의 영상에 제2프레임(Frame2)의 영상이 섞여 보일 수 있다.
크로스토크와 휘도가 최적화될 수 있도록 백라이트(900)의 발광 구간(ON)의 시간 폭(t2)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실시예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실시예를 비교하면, 동일 정도의 크로스토크가 생기도록 백라이트(900)의 발광 구간(ON)의 시간 폭(t1, t2)를 설정하였을 때, 표시판(300) 및 백라이트(900)를 복수의 블록으로 나주어 데이터 전압을 시간적으로 분할하여 입력하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에서의 한 프레임(Frame1, Frame2)에 대한 백라이트(900)의 총 발광 시간(2*t1)은 표시판(300) 및 백라이트(900)를 복수의 블록으로 나누지 않고 데이터 전압을 연속하여 입력하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실시예에서의 한 프레임(Frame1, Frame2)에 대한 백라이트(900)의 총 발광 시간보다 크다. 따라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동일 정도의 크로스토크를 기준으로 표시 장치의 휘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동일 휘도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크로스토크를 훨씬 많이 줄일 수 있다.
다음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신호의 타이밍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앞에서 설명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하나, 표시판(300) 및 백라이트(900)의 분할된 블록의 수 및 각 블록에 대응하는 한 프레임(Frame1, Frame2)에 대한 데이터 입력 구간의 수가 다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300)은 복수의 블록(BL1, BL2,···, BLn)으로 나뉠 수 있다. 여기서 n은 2 이상의 자연수이며, n이 2인 경우는 앞에서 설명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백라이트(900)도 표시판(300)의 복수의 블록(BL1, BL2,···, BLn)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블록(BL1, BL2,···, BLn)으로 나뉜다.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블록(BL1, BL2,···, BLn)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한 표시판(300)을 기준으로 데이터선(DL1-DLm)이 뻗은 세로 방향을 따라 분할될 수 있다.
한 프레임(Frame1, Frame2) 동안 입력되는 영상 신호(DAT) 및 이에 따른 데이터 전압(Vd)도 복수의 블록(BL1, BL2,···, BLn)에 따라 n개의 데이터 입력 구간(F1D1, F1D2,···, F1Dn)(F2D1, F2D2,···, .F2Dn)으로 분할된다. 이웃한 데이터 입력 구간(F1D1, F1D2,···, F1Dn)(F2D1, F2D2,···,.F2Dn)은 시간적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는 수직 공백 구간(F1VB1, F1VB2,···, F1VBn)(F2VB1, F2VB2,···, .F2VBn)이 위치할 수 있다.
각 프레임(Frame1, Frame2)에서 각 블록(BL1, BL2,···, BLn)에 대응하는 액정 분자들은 데이터 입력 구간(F1D1, F1D2,···, F1Dn)(F2D1, F2D2,···, .F2Dn)에서의 데이터 전압의 인가에 응답하여 각각 반응을 시작한다.
각 프레임(Frame1, Frame2)에서 백라이트(900)의 각 블록(BL1, BL2,···, BLn)은 대응하는 표시판(300)의 각 블록(BL1, BL2,···, BLn)에 포함된 액정 분자가 대부분 반응을 완료한 시점부터 소정 시간 발광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백라이트(900)의 이웃한 블록(BL1, BL2,···, BLn)의 발광 구간(ON)이 중첩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이웃한 블록(BL1, BL2,···, BLn)의 발광 구간(ON)은 시간적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한 프레임(Frame1, Frame2)에서 백라이트(900)의 발광 구간(ON)의 시간 폭은 일정할 수 있으나, 일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한 프레임(Frame1, Frame2)에서 각 데이터 입력 구간(F1D1, F1D2,···, F1Dn)(F2D1, F2D2,···, F2Dn)의 시간 폭이 다를 경우 이에 대응하여 발광 구간(ON)의 시간 폭도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직 공백 구간(F1VB1, F1VB2,···, F1VBn)(F2VB1, F2VB2,···, .F2VBn)의 시간 폭도 한 프레임(Frame1, Frame2)에서 일정할 수 있으나, 데이터 입력 구간(F1D1, F1D2,···, F1Dn)(F2D1, F2D2,···, F2Dn)의 시간 폭에 따라 일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밖에 앞에서 설명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의 여러 특징이 본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여기서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신호의 타이밍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구동 신호의 파형도에 따라 표시된 영상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앞에서 설명한 도 1 내지 도 5, 또는 도 8에 도시한 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판(300) 및 백라이트(900)의 분할된 블록은 크기가 서로 다른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프레임(Frame1, Frame2)이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 구간은 길이가 서로 다른 데이터 입력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한 프레임(Frame1, Frame2)의 영상 신호(DAT) 또는 데이터 전압(Vd)을 세 개로 분할한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 표시판(300) 및 백라이트(900) 역시 세 개의 블록(BL1, BL2, BL3)으로 나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프레임(Frame1, Frmae2)에 대해 데이터 입력 구간(F1D1, F1D2, F1D3)(F2D1, F2D2, F2D3)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와 다른 시간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프레임(Frame1)에서 데이터 입력 구간(F1D1)의 시간 폭(t3)은 데이터 입력 구간(F1D2)의 시간 폭(t4)과 다를 수 있다.
각 수직 공백 구간(F1VB1, F1VB2, F1VB3)(F2VB1, F2VB2, F2VB3)의 시간 폭은 바로 앞에 위치하는 데이터 입력 구간(F1D1, F1D2, F1D3)(F2D1, F2D2, F2D3)의 시간 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 폭(t4)이 상대적으로 긴 데이터 입력 구간(F1D2) 뒤에 위치하는 수직 공백 구간(F1VB2)의 시간 폭은 보다 짧은 시간 폭(t3)을 가지는 데이터 입력 구간(F1D1) 뒤에 위치하는 수직 공백 구간(F1VB1)의 시간 폭보다 길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각 수직 공백 구간(F1VB1, F1VB2, F1VB3)(F2VB1, F2VB2, F2VB3)의 시간 폭은 바로 앞에 위치하는 데이터 입력 구간(F1D1, F1D2, F1D3)(F2D1, F2D2, F2D3)의 시간 폭에 비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한 프레임(Frame1, Frame2)에 위치하는 수직 공백 구간(F1VB1, F1VB2, F1VB3)(F2VB1, F2VB2, F2VB3)의 시간 폭은 데이터 입력 구간(F1D1, F1D2, F1D3)(F2D1, F2D2, F2D3)의 시간 폭과 무관할 수도 잇으며, 일정할 수도 있다.
백라이트(900)의 각 블록(BL1, BL2, BL3)의 발광 구간(ON)은 각 데이터 입력 구간(F1D1, F1D2, F1D3)(F2D1, F2D2, F2D3)의 데이터 전압(Vd)의 입력에 응답하여 반응하는 액정 분자가 반응을 거의 완료한 시점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900)의 이웃한 블록(BL1, BL2, BL3)의 발광 구간(ON)의 시작점 사이의 시간 간격(t5, t6)은 대응하는 수직 공백 구간(F1VB1, F1VB2, F1VB3)(F2VB1, F2VB2, F2VB3)의 시간 폭 및 그 뒤에 위치하는 데이터 입력 구간(F1D1, F1D2, F1D3)(F2D1, F2D2, F2D3)의 시간 폭의 합에 따라 결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수직 공백 구간(F1VB1, F1VB2, F1VB3)(F2VB1, F2VB2, F2VB3)의 시간 폭이 바로 앞에 위치하는 데이터 입력 구간(F1D1, F1D2, F1D3)(F2D1, F2D2, F2D3)의 시간 폭에 대략 비례할 경우, 백라이트(900)의 이웃한 블록(BL1, BL2, BL3)의 발광 구간(ON)의 시작점 사이의 시간 간격(t5, t6)은 대략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백라이트(900)의 이웃한 블록(BL1, BL2, BL3)의 발광 구간(ON)의 시작점 사이의 시간 간격(t5, t6)은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백라이트(900)의 이웃한 발광 구간(ON)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중첩하지 않을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중첩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 블록(BL1, BL2, BL3)으로 나뉜 표시판(300)에서 이웃한 블록(BL1, BL2, BL3) 사이 또는 표시판(300)의 상단 또는 하단에는 연속한 두 프레임의 영상이 섞여 인식될 수 있다. 이러한 크로스토크는 백라이트(900)의 발광 구간(ON)의 시간 폭을 적절히 조절하여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한 프레임(Frame1, Frame2)에서 데이터 입력 구간(F1D1, F1D2, F1D3)(F2D1, F2D2, F2D3) 및 발광 구간(ON)이 복수 개 존재하므로 크로스토크를 줄이면서 표시 장치의 휘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프레임(Frame1, Frame2)에 대한 데이터 입력 구간(F1D1, F1D2, F1D3)(F2D1, F2D2, F2D3)의 길이를 다르게 하면, 표시판(300)의 블록(BL1, BL2, BL3) 간 경계의 위치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프레임(Frame1, Frame2)에서 대략 가운데에 위치하는 데이터 입력 구간(F1D2, F2D2)의 시간 폭을 상대적으로 길게 하면, 즉 표시판(300)의 대략 가운데에 위치하는 블록(BL2)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하면, 크로스토크가 생기는 블록(BL1, BL2, BL3) 간 경계의 위치를 관찰자가 주의를 덜 기울일 수 있는 화면의 가장자리 쪽으로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표시 불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시인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여러 실시예에서는 표시 장치의 전기 광학 활성층으로서 액정층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액정 표시 장치가 아닌 다른 표시 장치의 경우에는 액정 분자 대신 해당하는 전기 광학 활성층으로 바꾸어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60: 입체 영상 인식 부재 300: 표시판
400: 게이트 구동부 500: 데이터 구동부
600: 타이밍 제어부 650: 통합 제어부
900: 백라이트 950: 백라이트 제어부
1000: 표시판부 BL1, BL2,···, BLn: 블록
400: 게이트 구동부 500: 데이터 구동부
600: 타이밍 제어부 650: 통합 제어부
900: 백라이트 950: 백라이트 제어부
1000: 표시판부 BL1, BL2,···, BLn: 블록
Claims (20)
- 복수의 제1블록을 포함하는 표시판,
상기 복수의 제1블록의 화소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 그리고
상기 표시판에 빛을 제공하며 상기 표시판의 상기 복수의 제1블록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제2블록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한 프레임 동안 상기 복수의 제1블록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데이터 입력 구간에서 상기 데이터 전압을 상기 복수의 제1블록의 화소에 인가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 입력 구간 사이에는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수직 블랭크 구간이 위치하는
표시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백라이트의 상기 복수의 제2블록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2블록 각각이 대응하는 상기 제1블록에 상기 데이터 전압이 인가된 후 소정 시간이 지난 후에 발광하기 시작하고,
상기 소정 시간은 0 이상인
표시 장치. - 제2항에서,
상기 백라이트의 이웃하는 제2블록의 발광 구간은 중첩하는 표시 장치. - 제3항에서,
한 프레임의 상기 복수의 데이터 입력 구간 중 제1 데이터 입력 구간의 시간 폭과 제2 데이터 입력 구간의 시간 폭은 서로 다른 표시 장치. - 제4항에서,
상기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입력 구간 직후의 상기 수직 공백 구간의 시간 폭과 상기 제2 데이터 입력 구간 직후의 상기 수직 공백 구간의 시간 폭은 서로 다른 표시 장치. - 제5항에서,
상기 백라이트의 이웃하는 제2블록의 발광 구간의 시작점 사이의 간격은 일정한 표시 장치. - 제6항에서,
상기 데이터 전압은 좌안 데이터 전압과 우안 데이터 전압을 포함하고,
상기 화소는 상기 좌안 데이터 전압과 상기 우안 데이터 전압을 프레임마다 번갈아 표시하는
표시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백라이트의 이웃하는 제2블록의 발광 구간은 중첩하는 표시 장치. - 제1항에서,
한 프레임의 상기 복수의 데이터 입력 구간 중 제1 데이터 입력 구간의 시간 폭과 제2 데이터 입력 구간의 시간 폭은 서로 다른 표시 장치. - 제9항에서,
상기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입력 구간 직후의 상기 수직 공백 구간의 시간 폭과 상기 제2 데이터 입력 구간 직후의 상기 수직 공백 구간의 시간 폭은 서로 다른 표시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백라이트의 이웃하는 제2블록의 발광 구간의 시작점 사이의 간격은 일정한 표시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데이터 전압은 좌안 데이터 전압과 우안 데이터 전압을 포함하고,
상기 화소는 상기 좌안 데이터 전압과 상기 우안 데이터 전압을 프레임마다 번갈아 표시하는
표시 장치. - 복수의 제1블록을 포함하는 표시판, 상기 복수의 제1블록의 화소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 그리고 상기 표시판에 빛을 제공하며 상기 표시판의 상기 복수의 제1블록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제2블록을 포함하는 백라이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서,
상기 데이터 구동부를 통해 한 프레임 동안 상기 복수의 제1블록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데이터 입력 구간에서 상기 데이터 전압을 상기 복수의 제1블록의 화소에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데이터 입력 구간 사이에는 데이터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수직 블랭크 구간이 위치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 제13항에서,
상기 백라이트의 상기 복수의 제2블록 각각은 상기 복수의 제2블록 각각이 대응하는 상기 제1블록에 상기 데이터 전압이 인가된 후 소정 시간이 지난 후에 발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정 시간은 0 이상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 제14항에서,
상기 백라이트의 이웃하는 제2블록의 발광 구간은 중첩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 제15항에서,
한 프레임의 상기 복수의 데이터 입력 구간 중 제1 데이터 입력 구간의 시간 폭과 제2 데이터 입력 구간의 시간 폭은 서로 다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 제16항에서,
상기 복수의 상기 제1 데이터 입력 구간 직후의 상기 수직 공백 구간의 시간 폭과 상기 제2 데이터 입력 구간 직후의 상기 수직 공백 구간의 시간 폭은 서로 다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 제17항에서,
상기 백라이트의 이웃하는 제2블록의 발광 구간의 시작점 사이의 간격은 일정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 제18항에서,
상기 화소가 좌안 데이터 전압과 우안 데이터 전압을 프레임마다 번갈아 표시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 제13항에서,
상기 백라이트의 이웃하는 제2블록의 발광 구간은 중첩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4490A KR101987243B1 (ko) | 2012-02-13 | 2012-02-13 |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US13/537,821 US8988412B2 (en) | 2012-02-13 | 2012-06-29 | Driving method of a disp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4490A KR101987243B1 (ko) | 2012-02-13 | 2012-02-13 |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2906A true KR20130092906A (ko) | 2013-08-21 |
KR101987243B1 KR101987243B1 (ko) | 2019-06-11 |
Family
ID=48945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4490A KR101987243B1 (ko) | 2012-02-13 | 2012-02-13 |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8988412B2 (ko) |
KR (1) | KR10198724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201209479A (en) * | 2010-08-18 | 2012-03-01 | Chunghwa Picture Tubes Ltd | 3D image display device and signal controlling method therefor |
JP5481463B2 (ja) * | 2011-11-29 | 2014-04-23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液晶表示装置 |
US9509970B2 (en) * | 2012-07-18 | 2016-11-29 | Qualcomm Incorporated | Crosstalk reduction with location-based adjustment in multiview video processing |
US9083948B2 (en) | 2012-07-18 | 2015-07-14 | Qualcomm Incorporated | Crosstalk reduction in multiview video processing |
KR102263319B1 (ko) * | 2015-01-30 | 2021-06-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잡음을 개선하는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및 상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시스템 |
JP6731059B2 (ja) * | 2016-09-23 | 2020-07-29 | シャープ株式会社 |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52426A (ko) * | 2006-12-05 | 2008-06-11 |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
KR20110125371A (ko) * | 2010-05-13 | 2011-11-2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영상표시장치 |
US20120033060A1 (en) * | 2010-08-06 | 2012-02-09 | Chueh-Pin Ko | Shutter glass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air of shutter glasses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317710A (en) | 1996-09-27 | 1998-04-01 | Sharp Kk | Spatial light modulator and directional display |
EP1271965A1 (en) | 2001-06-23 | 2003-01-02 | Deutsche Thomson-Brandt Gmbh |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video frames for stereoscopic display |
TWI330270B (en) * | 2005-03-29 | 2010-09-11 | Chi Mei Optoelectronics Corp | Region-based displayer and display method thereof |
US7724211B2 (en) | 2006-03-29 | 2010-05-25 | Nvidia Corporation |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stereo glasses shutters |
KR20080059937A (ko) | 2006-12-26 | 2008-07-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3d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3d영상신호 처리방법과3d영상 처리시스템 |
JP2009152897A (ja) | 2007-12-20 | 2009-07-09 | Toshiba Corp | 立体映像表示装置、立体映像表示方法及び液晶ディスプレイ |
KR20110024642A (ko) | 2009-09-02 | 2011-03-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US8487981B2 (en) | 2009-09-04 | 2013-07-16 | Broadcom Corporation |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2D/3D video |
JP5372687B2 (ja) | 2009-09-30 | 2013-12-18 | ソニー株式会社 |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
KR20110041736A (ko) | 2009-10-16 | 2011-04-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
KR101660971B1 (ko) * | 2009-11-06 | 2016-09-2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입체 영상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
KR20110056837A (ko) | 2009-11-23 | 2011-05-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
KR20110080773A (ko) | 2010-01-07 | 2011-07-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입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
JP2011216998A (ja) * | 2010-03-31 | 2011-10-27 | Sony Corp | 映像表示装置、映像表示システム、映像提示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
US20120038624A1 (en) * | 2010-08-10 | 2012-02-16 | Nvidia Corporation |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ctivating a backlight of a display device displaying stereoscopic display content |
-
2012
- 2012-02-13 KR KR1020120014490A patent/KR10198724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06-29 US US13/537,821 patent/US8988412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52426A (ko) * | 2006-12-05 | 2008-06-11 |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
KR20110125371A (ko) * | 2010-05-13 | 2011-11-2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영상표시장치 |
US20120033060A1 (en) * | 2010-08-06 | 2012-02-09 | Chueh-Pin Ko | Shutter glass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air of shutter glass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8988412B2 (en) | 2015-03-24 |
US20130207955A1 (en) | 2013-08-15 |
KR101987243B1 (ko) | 2019-06-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40307B2 (en) | 2D/3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 |
US8743111B2 (en) | Stereoscopic image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 |
US8441585B2 (en) |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 |
KR20110009504A (ko) | 입체 영상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 |
KR20100032284A (ko) | 입체 영상 표시 방법 및 장치 | |
KR20150069413A (ko) |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
US8970570B2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display device | |
CN103813157B (zh) | 自动立体图像显示器及其驱动方法 | |
KR101987243B1 (ko) |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
US8854440B2 (en) | Three 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 |
US8872816B2 (en) |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EP2456211A2 (en) | 3D display device and 3D display method | |
US9202402B2 (en) |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20150080354A (ko) |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 |
KR20120029602A (ko) | 입체영상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 |
KR20120114022A (ko) | 입체 영상 표시 장치 | |
US20150221263A1 (en) |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20110126944A (ko) | 3d 액정 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 |
KR101798236B1 (ko) | 입체 영상 표시장치와 그 휘도 조절 방법 | |
KR20130021602A (ko) | 3차원 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 |
JP2013205462A (ja) | 液晶表示装置 | |
KR101720338B1 (ko) | 입체영상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 |
KR101829461B1 (ko) | 입체영상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 |
KR101681777B1 (ko) | 스캐닝 백라이트 구동방법과 이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 |
JP2013205459A (ja) | 液晶表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