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2409A - 착용 물품 - Google Patents

착용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2409A
KR20130092409A KR1020127029695A KR20127029695A KR20130092409A KR 20130092409 A KR20130092409 A KR 20130092409A KR 1020127029695 A KR1020127029695 A KR 1020127029695A KR 20127029695 A KR20127029695 A KR 20127029695A KR 20130092409 A KR20130092409 A KR 20130092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absorber
region
stress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9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0973B1 (ko
Inventor
히로토모 무카이
다카야 아라야마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2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located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placed longitudinally, transversely or diagonally over the art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61F2013/49025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having multiple elastic str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61F2013/49025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having multiple elastic strands
    • A61F2013/49026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having multiple elastic strands with variable spac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61F2013/49034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being elastic in both the transversal and longitudinal dir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착용 물품(1)은 섀시(100) 및 흡수체 본체(200)를 갖는다. 착용 물품(1)은, 가랑이 영역(120)에 있어서 흡수체의 비피부면에 겹쳐 있고 폭 방향(W)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된 중앙 탄성 부재(41C)와, 뒤 몸통 둘레 영역(110R)의 측단(111R)으로부터 가랑이 영역(120) 내에 만곡되어, 폭 방향(W)을 따라 흡수체를 횡단하는 신축 응력선(310)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뒤 다리 탄성 부재(24R)를 갖는다. 신축 응력선(310) 중, 흡수체를 횡단하는 부분의 신축 응력은, 중앙 탄성 부재(41C)의 신축 응력보다 작다.

Description

착용 물품{WORN ARTICLE}
본 개시는, 섀시 및 흡수체 본체를 갖는 착용 물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착용 물품은, 예컨대, 유아 또는 성인용의 팬츠형 기저귀이며, 특히 성인의 요실금용 팬츠형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팬츠형 기저귀 등의 착용 물품은 섀시 및 흡수체 본체를 갖는다. 섀시는, 앞 몸통 둘레 영역과, 뒤 몸통 둘레 영역과, 가랑이 영역을 갖는다. 여기서, 섀시는, 착용자의 피부에 착용 물품을 밀착시키기 위해 고무 등의 탄성 부재를 갖는다.
탄성 부재는, 예컨대,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착용 물품을 밀착시키기 위한 다리 둘레 탄성체, 착용자의 가랑이에 착용 물품을 밀착시키기 위한 가랑이 탄성체 등이다(예컨대,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67166호 공보
그런데, 요실금용의 착용 물품에서는, 뇨속이 느린 케이스 및 뇨량이 많은 케이스의 쌍방이 상정된다. 뇨속이 느린 케이스에서는, 착용자의 피부를 타고 착용 물품의 외부로 새어 나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배설구(배설 영역)와 흡수체의 밀착성이 높은 것이 중요하다. 한편, 뇨량이 많은 케이스에서는, 흡수체에 의해 뇨를 일시에 흡수할 수 없어, 착용 물품의 외부로 새어 나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뇨속이 느린 케이스 및 뇨량이 많은 케이스의 쌍방에 있어서, 착용 물품의 외부로 뇨가 새어 나오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착용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특징에 따른 착용 물품은, 몸통 둘레 영역 및 가랑이 영역을 갖는 섀시와, 적어도 상기 가랑이 영역에 설치된 흡수체를 갖는 흡수체 본체를 구비한다. 착용 물품은, 상기 가랑이 영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비피부면에 겹쳐 있고, 상기 착용 물품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 상기 착용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된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착용 물품의 폭 방향에서의 상기 몸통 둘레 영역의 양측단으로부터 상기 가랑이 영역 내에 만곡되어, 상기 착용 물품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흡수체를 횡단하는 신축 응력선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제2 탄성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신축 응력선 중, 상기 흡수체를 횡단하는 부분의 신축 응력은,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신축 응력보다 작다.
제2 특징에 따른 착용 물품은, 몸통 둘레 영역 및 가랑이 영역을 갖는 섀시와, 적어도 상기 가랑이 영역에 설치된 흡수체를 갖는 흡수체 본체를 구비한다. 착용 물품은, 상기 가랑이 영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비피부면에 겹쳐 있고, 상기 착용 물품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 상기 착용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된 제1 탄성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상기 착용 물품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착용 물품의 대략 중앙 부분에 설치된 가랑이 직하 부분과, 상기 착용 물품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가랑이 직하 부분에 연속하는 연장 설치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연장 설치 부분의 신축 응력은, 상기 가랑이 직하 부분의 신축 응력보다 작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 물품(1)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 물품(1)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 물품(1)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 물품(1)을 나타내는 단면도(도 2에 나타내는 A-A 단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 물품(1)을 나타내는 단면도(도 2에 나타내는 B-B 단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패턴 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패턴 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패턴 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패턴 4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변경예 1에 따른 패턴 5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변경예 1에 따른 패턴 6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변경예 1에 따른 패턴 7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 물품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실제의 것과는 상이한 것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한다. 또한, 물론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의 관계나 비율이 상이한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실시형태의 개요]
제1로,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 물품은, 몸통 둘레 영역 및 가랑이 영역을 갖는 섀시와, 적어도 가랑이 영역에 설치된 흡수체를 갖는 흡수체 본체를 구비한다. 착용 물품은, 가랑이 영역에 있어서 흡수체에 겹쳐 있고 착용 물품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 착용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된 제1 탄성 부재와, 착용 물품의 폭 방향에서의 몸통 둘레 영역의 양측단으로부터 가랑이 영역 내에 만곡되어, 착용 물품의 폭 방향을 따라 흡수체를 횡단하는 신축 응력선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제2 탄성 부재를 구비한다. 신축 응력선 중, 흡수체를 횡단하는 부분의 신축 응력은, 제1 탄성 부재의 신축 응력보다 작다.
또한, 제1 탄성 부재와 신축 응력선은, 서로 거의 직교하도록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탄성 부재는, 이하와 같이, 신축 응력선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몇 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탄성 부재는, 신축 응력선의 전부를 따르고 있고, 착용 물품의 폭 방향으로 흡수체를 횡단하고 있다. 따라서, 제2 탄성 부재는 신축 응력선의 전부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탄성 부재는 흡수체를 횡단하는 부분에 있어서 불연속이며, 이 경우, 제2 탄성 부재에는 흡수체를 횡단하는 부분이 없거나, 또는, 흡수체를 횡단하는 부분의 제2 탄성 부재가 단속적이다. 제2 탄성 부재가 흡수체를 횡단하지 않는 경우라 하더라도 신축 응력선은 존재한다. 이 경우, 신축 응력선은, 제2 탄성 부재의, 흡수체 중의 어느 하나의 측면에서의 부분으로부터 이루어진 효과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실시형태에는, 흡수체의 측면 부분에 제2 탄성 부재가 부분적으로 존재하지만, 흡수체의 폭 전체를 완전히 또는 단속적으로도 횡단하지 않는 경우도 포함된다.
제1 탄성 부재와 제2 탄성 부재는, 동일해도 좋고 상이한 것이어도 좋다. 어떤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탄성 부재와 제2 탄성 부재는 각각, 서로 평행하지만 상이한 방향을 향해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실 형태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실 형태 탄성 부재의 존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탄성 부재 및 제2 탄성 부재는, 예컨대 띠 형태의 탄성 시트여도 좋다.
제1 탄성 부재는 3개 내지 8개의 실 형태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제2 탄성 부재는 1개 내지 4개의 실 형태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를 횡단하는 부분의 탄성 응력이 제1 탄성 부재의 탄성 응력보다 작아지도록, 제1 탄성 부재는 제2 탄성 부재보다 적은 실 형태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제1 탄성 부재는 모든 측면에 있어서 흡수체에 둘러싸이도록, 흡수체보다 작은 치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탄성 부재는, 착용 물품의 폭 방향에 있어서 거의 중앙에 배치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의 제1 탄성 부재의 길이는, 흡수체 본체의 길이의 6분의 1 내지 3분의 1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탄성 부재는, 흡수체 본체의 세로 방향의 중심에 겹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몇 개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탄성 부재는 흡수체 본체의 세로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흡수체 본체의 정면 또는 배면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특징에 의하면, 제1 탄성 부재는, 가랑이 영역에 있어서 흡수체에 겹쳐 있고 착용 물품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 착용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즉, 제1 탄성 부재에 의해 배설 영역과 흡수체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뇨속이 느린 케이스라 하더라도, 착용 물품의 외부로 뇨가 새어 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신축 응력선 중, 흡수체를 횡단하는 부분의 신축 응력은, 제1 탄성 부재의 신축 응력보다 작다. 즉, 흡수체를 횡단하는 부분에 있어서, 신축 응력이 상대적으로 작은 뇨체류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뇨량이 많은 케이스라 하더라도, 착용 물품의 외부로 뇨가 새어 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뇨체류부란, 뇨를 일시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간극이다. 뇨체류부에 의해, 흡수체에 의해 뇨를 흡수하기까지의 시간이 확보된다.
제2로,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 물품은, 몸통 둘레 영역 및 가랑이 영역을 갖는 섀시와, 적어도 가랑이 영역에 설치된 흡수체를 갖는 흡수체 본체를 구비한다. 착용 물품은, 가랑이 영역에 있어서 흡수체에 겹쳐 있고 착용 물품의 폭 방향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 착용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된 제1 탄성 부재를 구비한다. 제1 탄성 부재는, 착용 물품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착용 물품의 대략 중앙 부분에 설치된 가랑이 직하 부분과, 착용 물품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가랑이 직하 부분에 연속하는 연장 설치 부분을 포함한다. 연장 설치 부분의 신축 응력은, 가랑이 직하 부분의 신축 응력보다 작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로부터 독립해 있어도 좋고, 관련되어 있어도 좋다. 제1 탄성 부재의 해당하는 2개의 부분은, 동일해도 좋고 상이한 것이어도 좋다. 어떤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개의 부분은 각각 평행하게 연장되는 복수의 실 형태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실 형태 탄성 부재의 존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탄성 부재는, 예컨대, 띠 형태의 탄성 시트여도 좋다.
제1 탄성 부재의 착용자의 가랑이 직하 부분은, 예컨대, 3개 내지 8개의 실 형태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연장 설치 부분은 1개 내지 4개의 실 형태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 설치 부분의 탄성 응력이 가랑이 직하 부분의 탄성 응력보다 작아지도록, 연장 설치 부분은 가랑이 직하 부분보다 적은 실 형태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본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탄성 부재는 연장 설치 부분을 가지며, 흡수체 본체의 폭 방향에 관한 제1 탄성 부재의 상기 폭이 들어맞는다. 그러나, 착용중에서의 착용자의 가랑이 직하 부분과 연장 설치 부분을 구비하는 제1 탄성 부재의 길이는, 흡수체 본체의 거의 3분의 1 내지 절반의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탄성 부재는, 흡수체 본체의 세로 방향으로 거의 중심에 겹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는(따라서, 예시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음), 제1 탄성 부재의 가랑이 직하 부분은, 착용 물품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착용 물품의 대략 중앙 부분에 설치된다. 즉, 제1 탄성 부재의 가랑이 직하 부분에 의해 배설 영역과 흡수체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뇨속이 느린 케이스라 하더라도, 착용 물품의 외부로 뇨가 새어 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 부재 중, 연장 설치 부분의 신축 응력은, 가랑이 직하 부분의 신축 응력보다 작다. 즉, 가랑이 직하 부분에 연속하는 연장 설치 부분에 있어서, 신축 응력이 상대적으로 작은 뇨체류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뇨량이 많은 케이스라 하더라도, 착용 물품의 외부로 뇨가 새어 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뇨체류부란, 뇨를 일시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간극이다. 뇨체류부에 의해, 흡수체에 의해 뇨를 흡수하기까지의 시간이 확보된다.
[제1 실시형태]
(착용 물품의 개략 구성)
이하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 물품의 개략 구성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 물품(1)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 물품(1)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착용 물품(1)의 일례로서 팬츠형의 기저귀를 예시한다. 착용 물품(1)은, 예컨대 요실금용 기저귀이다. 착용 물품(1)은, 예컨대, 속도가 작은 뇨를 배설하거나, 양이 많은 뇨를 배설하거나 하는 착용자용의 기저귀이다. 다시 말하면, 착용 물품(1)은 실금의 정도가 진행된 착용자용의 기저귀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용 물품(1)은 섀시(100) 및 흡수체 본체(200)를 갖는다.
섀시(100)는 착용 물품(1)의 골격을 구성한다. 섀시(100)는 몸통 둘레 영역(110) 및 가랑이 영역(120)을 갖는다. 몸통 둘레 영역(110)은 앞 몸통 둘레 영역(110F) 및 뒤 몸통 둘레 영역(110R)을 갖는다. 앞 몸통 둘레 영역(110F)은 착용자의 배에 접촉하는 영역이다. 뒤 몸통 둘레 영역(110R)은 착용자의 등에 접촉하는 영역이다.
또한, 착용 물품(1)의 폭 방향(W)에 있어서, 앞 몸통 둘레 영역(110F)의 한쌍의 측단(111F) 및 뒤 몸통 둘레 영역(110R)의 한쌍의 측단(111R)은 접합된다. 이것에 의해, 팬츠형의 착용 물품(1)이 형성된다.
가랑이 영역(120)은, 앞 몸통 둘레 영역(110F)과 뒤 몸통 둘레 영역(110R) 사이에 개재되는 영역이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몸통 둘레 영역(110)은, 앞 몸통 둘레 영역(110F) 및 뒤 몸통 둘레 영역(110R)의 접합 부분으로부터 폭 방향(W)을 따라 연장되는 띠 형태 영역이다. 따라서, 가랑이 영역(120)은, 착용 물품(1)의 길이 방향(L)에 있어서 섀시(100)의 대략 중앙을 향해서, 폭 방향(W)에서의 섀시(100)의 사이즈(섀시(100)의 폭)가 좁아져 가는 영역을 포함한다.
흡수체 본체(200)는 착용자의 뇨를 흡수하는 흡수체를 갖는다. 흡수체 본체(200)는 섀시(100)의 피부면측에 설치된다.
(착용 물품의 상세 구성)
이하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 물품의 상세 구성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 물품(1)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 물품(1)을 나타내는 단면도(도 2에 나타내는 A-A 단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 물품(1)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도 2에 나타내는 B-B 단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용 물품(1)은, 외장 톱시트(21)와, 앞 외장 백시트(22F)와, 뒤 외장 백시트(22R)와, 앞 허리 탄성 부재(23F)와, 뒤 허리 탄성 부재(23R)와, 앞 다리 탄성 부재(24F)와, 뒤 다리 탄성 부재(24R)를 갖는다. 또한, 이들과 상이한 부재나 상기 부재의 배치를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이용할 수 있다.
외장 톱시트(21)는, 앞 몸통 둘레 영역(110F)으로부터 가랑이 영역(120)을 거쳐 뒤 몸통 둘레 영역(110R)까지 형성된다. 앞 몸통 둘레 영역(110F) 및 뒤 몸통 둘레 영역(110R)에서의 외장 톱시트(21)의 폭(폭 방향(W)의 사이즈)은, 가랑이 영역(120)에서의 외장 톱시트(21)의 폭(폭 방향(W)의 사이즈)의 사이즈보다 크다. 외장 톱시트(21)는, 에어스루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SMS 부직포, 방수 필름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앞 외장 백시트(22F)는, 앞 몸통 둘레 영역(110F)에 있어서, 외장 톱시트(21)보다 비피부면측에 설치된다. 길이 방향(L)에서의 앞 외장 백시트(22F)의 일단은 피부면측으로 접힌다. 앞 외장 백시트(22F)의 접히는 부분은 길이 방향(L)에서의 외장 톱시트(21)의 일단을 감싼다(예컨대, 도 5를 참조).
뒤 외장 백시트(22R)는, 뒤 몸통 둘레 영역(110R)에 있어서, 외장 톱시트(21)보다 비피부면측에 설치된다. 길이 방향(L)에서의 뒤 외장 백시트(22R)의 일단은 피부면측으로 접힌다. 뒤 외장 백시트(22R)의 접히는 부분은 길이 방향(L)에서의 외장 톱시트(21)의 일단을 감싼다(예컨대, 도 5를 참조).
앞 외장 백시트(22F) 및 뒤 외장 백시트(22R)는, 에어스루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SMS 부직포, 방수 필름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앞 허리 탄성 부재(23F)는, 앞 몸통 둘레 영역(110F)에 있어서, 외장 톱시트(21)와 앞 외장 백시트(22F) 사이에 설치된다. 예컨대, 앞 허리 탄성 부재(23F)는 복수 개의 실 형태 탄성체(신축성을 갖는 고무 등)이다. 앞 허리 탄성 부재(23F)는, 폭 방향(W)에서의 앞 몸통 둘레 영역(110F)의 양측단(111F)으로부터 폭 방향(W)을 따라 배치된다. 앞 허리 탄성 부재(23F)는, 폭 방향(W)을 따라 신장된 상태로, 접착제(예컨대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외장 톱시트(21)와 앞 외장 백시트(22F) 사이에 접합된다(예컨대, 도 2, 도 5를 참조).
뒤 허리 탄성 부재(23R)는, 뒤 몸통 둘레 영역(110R)에 있어서, 외장 톱시트(21)와 뒤 외장 백시트(22R) 사이에 설치된다. 예컨대, 뒤 허리 탄성 부재(23R)는 복수 개의 실 형태 탄성체(신축성을 갖는 고무 등)이다. 뒤 허리 탄성 부재(23R)는, 폭 방향(W)에서의 뒤 몸통 둘레 영역(110R)의 양측단(111F)으로부터 폭 방향(W)을 따라 배치된다. 뒤 허리 탄성 부재(23R)는, 폭 방향(W)을 따라 신장된 상태로, 접착제(예컨대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외장 톱시트(21)와 뒤 외장 백시트(22R) 사이에 접합된다(예컨대, 도 2, 도 5를 참조).
앞 다리 탄성 부재(24F)는, 앞 몸통 둘레 영역(110F)에 있어서, 외장 톱시트(21)와 앞 외장 백시트(22F) 사이에 설치된다. 예컨대, 앞 다리 탄성 부재(24F)는 복수 개의 실 형태 탄성체(신축성을 갖는 고무 등)이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앞 다리 탄성 부재(24F)는, 앞 몸통 둘레 영역(110F) 내에 있어서 폭 방향(W)을 따라 배치된다. 즉, 앞 다리 탄성 부재(24F)는, 폭 방향(W)에서의 앞 몸통 둘레 영역(110F)의 양측단(111F)으로부터 가랑이 영역(120) 내에 만곡되지 않고 대략 직선형으로 배치된다. 앞 다리 탄성 부재(24F)는, 폭 방향(W)을 따라 신장된 상태로, 접착제(예컨대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외장 톱시트(21)와 앞 외장 백시트(22F) 사이에 접합된다(예컨대, 도 2, 도 5를 참조).
뒤 다리 탄성 부재(24R)는, 뒤 몸통 둘레 영역(110R)에 있어서, 외장 톱시트(21)와 뒤 외장 백시트(22R) 사이에 설치된다. 예컨대, 뒤 다리 탄성 부재(24R)는 복수 개의 실 형태 탄성체(신축성을 갖는 고무 등)이다.
여기서, 뒤 다리 탄성 부재(24R)는, 폭 방향(W)에서의 뒤 몸통 둘레 영역(110R)의 양측단으로부터 가랑이 영역(120) 내에 만곡되어, 흡수체 본체(200)에 설치된 흡수체(제1 흡수체층(33) 및 제2 흡수체층(34))를 폭 방향(W)에 있어서 횡단하는 신축 응력선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한다. 단, 뒤 다리 탄성 부재(24R)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 방향(W)에서의 뒤 몸통 둘레 영역(110R)의 양측단으로부터 가랑이 영역(120) 내에 만곡되어, 흡수체 본체(200)에 설치된 흡수체(제1 흡수체층(33) 및 제2 흡수체층(34))를 폭 방향(W)에 있어서 횡단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즉, 뒤 다리 탄성 부재(24R)는 신축 응력선의 전체를 구성해도 좋다.
뒤 다리 탄성 부재(24R)는, 신축 응력선을 따라서 신장된 상태로, 접착제(예컨대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외장 톱시트(21)와 뒤 외장 백시트(22R) 사이에 접합된다(예컨대, 도 5를 참조).
도 3으로 되돌아가, 착용 물품(1)은, 표면 시트(31)와, 흡수체 표면 시트(32)와, 제1 흡수체층(33)과, 제2 흡수체층(34)과, 흡수체 이면 시트(35)를 갖는다. 또한, 착용 물품(1)의 구성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표면 시트(31)는,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할 수 있는 피부 접촉면을 형성하는 시트이다. 표면 시트(31)는, 친수성 부직포나 직물, 개구 플라스틱 필름, 개구 소수성 부직포 등의 액투과성의 시트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흡수체 표면 시트(32)는, 흡수체(제1 흡수체층(33) 및 제2 흡수체층(34))의 피부면측에 설치된다. 즉, 흡수체 표면 시트(32)는, 표면 시트(31)와 흡수체(제1 흡수체층(33) 및 제2 흡수체층(34)) 사이에 설치된다(예컨대, 도 4를 참조). 흡수체 표면 시트(32)는, 친수성 부직포나 직물, 개구 플라스틱 필름, 개구 소수성 부직포, 티슈 등의 액투과성의 시트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길이 방향(L)에 있어서, 흡수체 표면 시트(32)는 표면 시트(31)보다 짧다.
제1 흡수체층(33)은, 흡수체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고, 착용자의 피부면측에 설치된다. 제1 흡수체층(33)은,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슬릿(33A)을 갖는다. 또한, 슬릿(33A)은 필수적인 구성이 아니다.
제2 흡수체층(34)은, 흡수체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고, 착용자의 비피부면측에 설치된다. 제2 흡수체층(34)은, 폭 방향(W)의 대략 중앙에 개구(34A)를 갖는다(예컨대, 도 4를 참조). 개구(34A)는,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세로로 긴 형상을 갖는다. 길이 방향(L)에서의 개구(34A)의 사이즈(길이)는 약 200 mm이고, 폭 방향(W)에서의 개구(34A)의 사이즈(폭)는 약 40 mm이다.
제1 흡수체층(33) 및 제2 흡수체층(34)은, 면형 펄프와 고분자 흡수성 폴리머(SAP)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흡수체층(33)은, 펄프 200 g/㎡와 SAP 90 g/㎡를 혼합하여 형성되어 있고, 두께 방향(T)에서의 두께는 약 2.0 mm이다. 제2 흡수체층(34)은, 펄프 300 g/㎡와 SAP 150 g/㎡를 혼합하여 형성되어 있고, 두께 방향(T)에서의 두께는 약 3.0 mm이다.
흡수체 이면 시트(35)는 흡수체(제1 흡수체층(33) 및 제2 흡수체층(34))의 비피부면측에 설치된다(예컨대, 도 4를 참조). 흡수체 이면 시트(35)는 액불투과성 필름 등(예컨대 폴리에틸렌)의 시트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3으로 되돌아가, 착용 물품(1)은, 샘 방지 탄성 부재(41A)와, 샘 방지 탄성 부재(41B)와, 중앙 탄성 부재(41C)와, 샘 방지 탄성 부재 시트(42A)와, 샘 방지 탄성 부재 시트(42B)와, 중앙 탄성 부재 피복 시트(42C)를 갖는다. 또한, 착용 물품(1)의 구성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샘 방지 탄성 부재(41A)는, 가랑이 영역(120)에 있어서, 폭 방향(W)에서의 흡수체(제1 흡수체층(33) 및 제2 흡수체층(34))의 한쪽의 외측에 설치된다. 샘 방지 탄성 부재(41A)는 길이 방향(L)을 따라 배치된다. 예컨대, 샘 방지 탄성 부재(41A)는 복수 개의 실 형태 탄성체(신축성을 갖는 고무 등)이다. 샘 방지 탄성 부재(41A)는, 길이 방향(L)을 따라 신장된 상태로, 접착제(예컨대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샘 방지 탄성 부재 시트(42A)와 흡수체 이면 시트(35) 사이에 접합된다(예컨대, 도 4를 참조).
샘 방지 탄성 부재(41B)는, 가랑이 영역(120)에 있어서, 폭 방향(W)에서의 흡수체(제1 흡수체층(33) 및 제2 흡수체층(34))의 다른 쪽의 외측에 설치된다. 샘 방지 탄성 부재(41A)는 길이 방향(L)을 따라 배치된다. 예컨대, 샘 방지 탄성 부재(41B)는 복수 개의 실 형태 탄성체(신축성을 갖는 고무 등)이다. 샘 방지 탄성 부재(41B)는, 길이 방향(L)을 따라 신장된 상태로, 접착제(예컨대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샘 방지 탄성 부재 시트(42B)와 흡수체 이면 시트(35) 사이에 접합된다(예컨대, 도 4를 참조).
중앙 탄성 부재(41C)는, 가랑이 영역(120)에 있어서, 흡수체(제1 흡수체층(33) 및 제2 흡수체층(34))에 겹쳐 있다. 또한, 중앙 탄성 부재(41C)는, 폭 방향(W)에서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중앙 탄성 부재(41C)는, 흡수체(제1 흡수체층(33) 및 제2 흡수체층(34))의 비피부면측에 설치된다. 또한, 「비피부면측」은 「피부면측」을 제외한다는 것이 주의미이다. 예컨대, 제1 실시형태와 같이 제2 흡수체층(34)이 개구(34A)를 갖는 경우에는, 중앙 탄성 부재(41C)는 개구(34A) 내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이 흡수체가 제1 흡수체층(33) 및 제2 흡수체층(34)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에는, 중앙 탄성 부재(41C)는 제1 흡수체층(33)과 제2 흡수체층(34) 사이에 배치되어도 좋다.
예컨대, 중앙 탄성 부재(41C)는 복수 개의 실 형태 탄성체(신축성을 갖는 고무 등)이다. 중앙 탄성 부재(41C)는, 길이 방향(L)을 따라 신장된 상태로, 접착제(예컨대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중앙 탄성 부재 피복 시트(42C)와 흡수체 이면 시트(35) 사이에 접합된다(예컨대, 도 4를 참조).
여기서, 중앙 탄성 부재(41C)가 흡수체의 피부면측에 설치되면, 길이 방향(L)에서의 흡수체의 중앙 부분이 중앙 탄성 부재(41C)의 신축 응력에 의해 피부면측으로 굴곡되어, 배설 영역과 흡수체의 밀착성이 저하된다. 이에 대해, 제1 실시형태에서는, 중앙 탄성 부재(41C)가 흡수체의 비피부면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이러한 밀착성의 저하가 억제된다.
샘 방지 탄성 부재 시트(42A)는, 폭 방향(W)에서의 흡수체(제1 흡수체층(33) 및 제2 흡수체층(34))의 일단에 있어서 접힌다. 샘 방지 탄성 부재 시트(42A)의 접히는 부분은, 폭 방향(W)에 있어서, 표면 시트(31), 흡수체 표면 시트(32) 및 흡수체 이면 시트(35)의 일단을 감싼다(예컨대, 도 4를 참조).
샘 방지 탄성 부재 시트(42B)는, 폭 방향(W)에서의 흡수체(제1 흡수체층(33) 및 제2 흡수체층(34))의 타단에 있어서 접힌다. 샘 방지 탄성 부재 시트(42B)의 접히는 부분은, 폭 방향(W)에 있어서, 표면 시트(31), 흡수체 표면 시트(32) 및 흡수체 이면 시트(35)의 타단을 감싼다(예컨대, 도 4를 참조).
샘 방지 탄성 부재 시트(42A) 및 샘 방지 탄성 부재 시트(42B)는, 액불투과성의 부직포 등의 시트에 의해 형성된다. 샘 방지 탄성 부재 시트(42A), 샘 방지 탄성 부재 시트(42B), 샘 방지 탄성 부재(41A) 및 샘 방지 탄성 부재(41B)는, 뇨가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샘 방지벽을 구성한다.
중앙 탄성 부재 피복 시트(42C)는, 외장 톱시트(21)와 흡수체 이면 시트(35) 사이에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 탄성 부재 피복 시트(42C)와 흡수체 이면 시트(35) 사이에는 중앙 탄성 부재(41C)가 배치된다.
여기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중앙 탄성 부재(41C)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실 형태 탄성 부재의 간격(P)(도 4를 참조)은, 뒤 다리 탄성 부재(24R) 중, 흡수체를 횡단하는 부분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실 형태 탄성 부재의 간격(Q)(도 5를 참조)보다 작다. 또한, 뒤 다리 탄성 부재(24R)를 구성하는 1개의 실 형태 탄성 부재의 신축 응력은, 중앙 탄성 부재(41C)를 구성하는 1개의 실 형태 탄성 부재의 신축 응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케이스에서는, 간격(P)이 간격(Q)보다 작기 때문에, 중앙 탄성 부재(41C)에 의해, 배설 영역에 대한 흡수체의 밀착성이 높다. 한편, 간격(Q)이 간격(P)보다 크기 때문에, 착용자의 다리 둘레 부분의 피부에 대한 착용 물품(1)의 접촉이 약하여, 착용 물품(1)이 부분적으로 착용자의 다리 둘레 부분의 피부에 밀착되지 않기 때문에, 착용시의 탄성 부재에 의한 조이는 느낌을 완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뒤 다리 탄성 부재(24R)는 중앙 탄성 부재(41C)보다 비피부면측에 배치된다(도 5를 참조). 즉, 뒤 다리 탄성 부재(24R)는 중앙 탄성 부재(41C)보다 흡수체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뒤 다리 탄성 부재(24R) 중, 흡수체를 횡단하는 부분이 흡수체의 폭(폭 방향(W)에서의 흡수체의 사이즈)이 줄어들기 어려워, 배설 영역과 흡수체의 밀착성의 저하가 억제된다. 한편, 중앙 탄성 부재(41C)는, 뒤 다리 탄성 부재(24R)보다 흡수체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흡수체가 배설 영역에 밀착되도록 변형되기 쉽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흡수체 본체(200)는, 표면 시트(31), 흡수체 표면 시트(32), 제1 흡수체층(33), 제2 흡수체층(34) 및 흡수체 이면 시트(35)에 의해 구성된다. 또는, 흡수체 본체(200)는, 이들에 더하여, 샘 방지 탄성 부재(41A), 샘 방지 탄성 부재(41B), 중앙 탄성 부재(41C), 샘 방지 탄성 부재 시트(42A), 샘 방지 탄성 부재 시트(42B) 및 중앙 탄성 부재 피복 시트(42C)에 의해 구성된다.
(신축 응력의 관계)
이하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신축 응력의 관계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도 6∼도 9를 참조하면서 패턴 1∼패턴 4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도 6∼도 9에서는, 길이 방향(L)에서의 착용 물품(1)의 전체가 나타나 있다.
도 6∼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턴 1∼패턴 4의 공통 구성으로서, 착용 물품(1)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착용 물품(1)은 뒤 몸통 둘레 영역(110R) 및 가랑이 영역(120)을 갖는다. 가랑이 영역(120)은 가랑이 직하 영역(120M) 및 중간 영역(120R)을 갖는다.
가랑이 직하 영역(120M)은, 착용자가 양 다리를 붙이고 있을 때 양 다리 사이의 폭이 가장 좁아지는 착용자의 가랑이 사이(배설 영역)에 접촉하는 영역이다. 중간 영역(120R)은, 가랑이 직하 영역(120M)과 뒤 몸통 둘레 영역(110R) 사이에 개재되는 영역이다.
전술한 중앙 탄성 부재(41C)는, 가랑이 직하 영역(120M)에 있어서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단, 중앙 탄성 부재(41C)는 중간 영역(120R)에 이르지 않는다.
전술한 신축 응력선(310)은, 폭 방향(W)에서의 뒤 몸통 둘레 영역(110R)의 양측단으로부터 가랑이 영역(120) 내에 만곡되어, 흡수체 본체(200)에 설치된 흡수체(제1 흡수체층(33) 및 제2 흡수체층(34))를 폭 방향(W)에 있어서 횡단한다.
여기서, 신축 응력선(310) 중 흡수체를 횡단하는 부분의 신축 응력은, 패턴 1∼패턴 4에서 공통적으로, 중앙 탄성 부재(41C)의 신축 응력보다 작다. 이것에 의해, 중간 영역(120R)에 있어서, 신축 응력선(310) 중 흡수체를 횡단하는 부분에는, 신축 응력이 상대적으로 작은 뇨체류부(320)가 형성된다. 또한, 뇨체류부(320)는 뇨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간극이다. 뇨체류부에 의해, 흡수체에 의해 뇨를 흡수하기까지의 시간이 확보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중앙 탄성 부재(41C)와 뒤 다리 탄성 부재(24R)의 응력 범위 및 응력 비율은, 다음과 같은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 탄성 부재(41C)의 응력 범위는 0.05∼1.0 N/cm, 뒤 다리 탄성 부재(24R)(흡수체 횡단 부분)의 응력 범위는 0∼0.4 N/cm, 뒤 다리 탄성 부재(24R)(흡수체 비횡단 부분)의 응력 범위는 0.2∼3.0 N/c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뒤 다리 탄성 부재(24R)(흡수체 횡단 부분)/중앙 탄성 부재(41C)의 응력 비율은 1.0 미만, 뒤 다리 탄성 부재(24R)(흡수체 횡단 부분)/뒤 다리 탄성 부재(24R)(흡수체 비횡단 부분)는 0.9 이하, 중앙 탄성 부재(41C)/뒤 다리 탄성 부재(24R)(흡수체 비횡단부 부분)는 0.9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패턴 1)
이하에 있어서, 패턴 1에 관해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뒤 다리 탄성 부재(24R)는 신축 응력선(310)의 일부를 구성한다. 뒤 다리 탄성 부재(24R)는, 신축 응력선(310) 상에 있어서, 흡수체를 횡단하는 부분에서 불연속이다. 즉, 신축 응력선(310) 상에 있어서, 흡수체를 횡단하는 부분에는 뒤 다리 탄성 부재(24R)가 설치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신축 응력선(310) 중, 흡수체를 횡단하는 부분의 신축 응력은, 중앙 탄성 부재(41C)의 신축 응력보다 작아진다.
또한, 패턴 1에 있어서, 뒤 다리 탄성 부재(24R)의 신축 응력은, 중앙 탄성 부재(41C)의 신축 응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패턴 2)
이하에 있어서, 패턴 2에 관해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뒤 다리 탄성 부재(24R)는 신축 응력선(310)의 전체를 구성한다.
뒤 다리 탄성 부재(24R)는 횡단 부분(24R1) 및 비횡단 부분(24R2)을 갖는다. 횡단 부분(24R1)은, 신축 응력선(310) 중 흡수체를 횡단하는 부분을 구성한다. 비횡단 부분(24R2)은, 신축 응력선(310) 중 흡수체를 횡단하는 부분 이외를 구성한다.
패턴 2에서는, 횡단 부분(24R1)은 단속적으로 절단되어 있다. 예컨대, 횡단 부분(24R1)에는, 커터 등에 의해 단속적인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다. 즉, 신축 응력선(310) 상에 있어서, 흡수체를 횡단하는 부분에는 뒤 다리 탄성 부재(24R)가 점선형으로 남아 있다. 이것에 의해, 횡단 부분(24R1)의 신축 응력은, 중앙 탄성 부재(41C)의 신축 응력보다 작아진다.
또한, 패턴 2에 있어서, 비횡단 부분(24R2)의 신축 응력은, 횡단 부분(24R1)의 신축 응력보다 크고, 중앙 탄성 부재(41C)의 신축 응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패턴 3)
이하에 있어서, 패턴 3에 관해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뒤 다리 탄성 부재(24R)는 신축 응력선(310)의 전체를 구성한다.
뒤 다리 탄성 부재(24R)는 횡단 부분(24R1) 및 비횡단 부분(24R2)을 갖는다. 횡단 부분(24R1)은, 신축 응력선(310) 중 흡수체를 횡단하는 부분을 구성한다. 비횡단 부분(24R2)은, 신축 응력선(310) 중 흡수체를 횡단하는 부분 이외를 구성한다.
패턴 3에서는, 뒤 다리 탄성 부재(24R)는, 복수 개의 실 형태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횡단 부분(24R1)을 구성하는 실 형태 탄성 부재의 갯수는, 비횡단 부분(24R2)을 구성하는 실 형태 탄성 부재의 갯수보다 적다. 이것에 의해, 횡단 부분(24R1)의 신축 응력은, 중앙 탄성 부재(41C)의 신축 응력보다 작아진다.
또한, 패턴 3에 있어서, 비횡단 부분(24R2)의 신축 응력은, 횡단 부분(24R1)의 신축 응력보다 크고, 중앙 탄성 부재(41C)의 신축 응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패턴 4)
이하에 있어서, 패턴 4에 관해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뒤 다리 탄성 부재(24R)는 신축 응력선(310)의 전체를 구성한다.
뒤 다리 탄성 부재(24R)는 횡단 부분(24R1) 및 비횡단 부분(24R2)을 갖는다. 횡단 부분(24R1)은, 신축 응력선(310) 중 흡수체를 횡단하는 부분을 구성한다. 비횡단 부분(24R2)은, 신축 응력선(310) 중 흡수체를 횡단하는 부분 이외를 구성한다.
패턴 4에서는, 횡단 부분(24R1)의 신축 응력은, 비횡단 부분(24R2)의 신축 응력보다 작다.
예컨대, 외장 톱시트(21)와 뒤 외장 백시트(22R) 사이에 뒤 다리 탄성 부재(24R)를 배치할 때, 뒤 다리 탄성 부재(24R)의 신장 정도를 변경함으로써, 횡단 부분(24R1) 및 비횡단 부분(24R2)의 신축 응력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횡단 부분(24R1) 및 비횡단 부분(24R2)은, 상이한 종류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패턴 4에 있어서, 비횡단 부분(24R2)의 신축 응력은, 횡단 부분(24R1)의 신축 응력보다 크고, 중앙 탄성 부재(41C)의 신축 응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실 형태 탄성 부재가 동일한 탄성 부재라면, 실 형태 탄성 부재의 갯수가 많은 편이, 실 형태 탄성 부재가 배치되는 부분의 신축 응력이 크다. 실 형태 탄성 부재가 동일한 탄성 부재이고, 실 형태 탄성 부재의 갯수가 동일하다면, 실 형태 탄성 부재가 굵은 편이, 실 형태 탄성 부재가 배치되는 부분의 신축 응력이 크다.
여기서, 횡단 부분(24R1)의 신장률은, 예컨대 80% 미만이다. 즉, 횡단 부분(24R1)의 신장 배율은, 예컨대 1.8배 미만이다. 비횡단 부분(24R2)의 신장률은, 예컨대 50%∼300%이다. 즉, 비횡단 부분(24R2)의 신장 배율은, 예컨대 1.5배∼4.0배이다. 중앙 탄성 부재(41C)의 신장률은, 예컨대 20%∼200%이다. 즉, 중앙 탄성 부재(41C)의 신장 배율은, 예컨대 1.2배∼3.0배이다.
또한, 실 형태 탄성 부재가 배치되는 부분의 신축 응력에 관해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순서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실 형태 탄성 부재가 배치되는 부분에서는, 예컨대, 부직포 등의 한쌍의 클로스 사이에 실 형태 탄성 부재가 끼워져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1) 이완 상태(비신장 상태)에 있어서, 실 형태 탄성 부재가 배치되는 부분(측정 대상 부분)을 잘라낸다. 예컨대, 실 형태 탄성 부재가 연장되는 방향(이하, 신장 방향)에서의 측정 대상 부분의 길이는 150 mm이고, 신장 방향으로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측정 대상 부분의 폭은 25 mm이다.
(2) 측정 대상 부분이 자연 길이가 될 때까지, 측정 대상 부분을 신장 방향을 따라 신장한다. 계속해서, 신장 방향에 있어서 소정 마킹 간격(자연 길이)으로 한쌍의 마커를 측정 대상 부분에 붙인다. 예컨대, 한쌍의 마커의 소정 마킹 간격(자연 길이)은 100 mm이다.
(3) 이완 상태에 있어서, 측정 대상 부분을 방치한다. 예컨대, 항온(20∼23℃), 항습(60∼65% RH)의 환경하에서 24시간에 걸쳐 측정 대상 부분을 방치한다. 항온, 항습의 환경하에서 측정 대상 부분을 방치하는 이유는, 응력 회복이 안정될 때까지 일정 조건하에서 방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다음에 나타내는 인장 시험에 있어서도 탄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상기 항온 항습의 동일한 환경하에서 행한다.
(4) 인장 시험기는, 이완 상태에 있어서, 신장 방향에 있어서, 한쌍의 마커에 맞춰, 측정 대상 부분의 양측을 척한다. 계속해서, 인장 시험기는, 마커의 간격이 소정 마킹 간격(측정)이 될 때까지 측정 대상 부분을 신장한다. 소정 마킹 간격(측정)은 소정 마킹 간격(자연 길이)보다 좁다. 예컨대, 소정 마킹 간격(측정)은 소정 마킹 간격(자연 길이)의 70%이다. 또한, 측정 대상 부분의 신장 속도는 100 mm/분이다. 또한, 소정 마킹 간격(측정)이 소정 마킹 간격(자연 길이)보다 좁은 이유는, 실 형태 탄성 부재를 사이에 끼우는 부직포 등의 클로스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인장 시험기로는, 예컨대, 주식회사 시마즈제작소 제조 오토그래프형 인장 시험기(모델명: AG-I)를 이용할 수 있다.
(5) 마커의 간격이 소정 마킹 간격(측정)이 될 때까지 신장된 상태로, 측정 대상 부분에 작용하는 응력(신축 응력)을 측정한다. 또한, 신축 응력의 단위는, 예컨대 N이다.
단, 신축 응력을 비교할 때에는, 측정 대상 부분에 포함되는 실 형태 탄성 부재의 갯수가 상이한 경우가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전술한 패턴 3에서는, 횡단 부분(24R1)으로부터 잘라낸 측정 대상 부분에 포함되는 실 형태 탄성 부재의 갯수는, 비횡단 부분(24R2)으로부터 잘라낸 측정 대상 부분에 포함되는 실 형태 탄성 부재의 갯수보다 적다.
구체적으로는, 응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개더를 개더폭(예컨대, 4개의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개더)의 가장자리에서 잘라내고, 잘라낸 개더에 관해 전체 응력을 측정한다. 측정한 전체 응력을 잘라낸 개더폭에 따라서, 10 mm(1 cm)당의 응력으로 환산하고, 환산한 값을 개더의 응력으로 한다. 이와 같이 환산된 신축 응력을 비교한다.
예컨대, 예컨대, 25 mm 폭으로 잘라낸 것 중에 4개의 탄성 부재가 포함되고 있고, 그 4개의 탄성 부재의 외외간(外外間)(4개 중의 1번째 폭 방향의 외측단부∼4번째 폭 방향의 외측단부)의 거리가 15 mm이고, 측정치가 A이면, 단위폭당의 응력치 X1은, X1=A×10/15(N/cm)가 된다. 탄성 부재의 간격(외외간의 거리)이 잘라낸 측정 대상 부분 중에서 부분적으로 상이한 경우는, 측정 대상 부분에서의 간격의 대략의 평균치를 구하여, 계산에 이용한다.
또한, 탄성 부재가 실 형태이 아니라 시트 형태인 경우라면, 채취폭 중에 포함되는 탄성 부재의 폭을 구하고(Cmm), 측정치를 그 폭으로 다시 나눔으로써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치가 A'이면, 단위폭당의 응력치 X2는, X2=A'÷C×10(N/cm)이 된다. 측정 샘플을 채취할 때에는, 대상이 되는 탄성 부재 이외의 탄성 부재가 포함되지 않도록 고려할 필요가 있다.
실시형태에 의하면, 중앙 탄성 부재(41C)는, 가랑이 영역(120)에 있어서 흡수체에 겹쳐 있고 폭 방향(W)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즉, 중앙 탄성 부재(41C)에 의해 배설 영역과 흡수체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뇨속이 느린 케이스라 하더라도, 착용 물품(1)의 외부로 뇨가 새어 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신축 응력선 중, 흡수체를 횡단하는 부분(예컨대, 횡단 부분(24R1))의 신축 응력은, 중앙 탄성 부재(41C)의 신축 응력보다 작다. 즉, 흡수체를 횡단하는 부분(예컨대, 중간 영역(120R))에 있어서, 신축 응력이 상대적으로 작은 뇨체류부(320)가 형성된다. 따라서, 뇨량이 많은 케이스라 하더라도, 착용 물품(1)의 외부로 뇨가 새어 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의하면, 뒤 다리 탄성 부재(24R)(예컨대, 비횡단 부분(24R2))의 신축 응력은, 중앙 탄성 부재(41C)의 신축 응력보다 크다. 따라서, 뇨체류부(320)에 뇨가 체류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뒤 다리 탄성 부재(24R)(예컨대, 비횡단 부분(24R2))의 인상 효과에 의해, 뇨의 중량에 기인하는 착용 물품(1)의 흘러내림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의하면, 중앙 탄성 부재(41C)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실 형태 탄성 부재의 간격(P)이 뒤 다리 탄성 부재(24R)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실 형태 탄성 부재의 간격(Q)보다 작기 때문에, 중앙 탄성 부재(41C)에 의해, 배설 영역에 대한 흡수체의 밀착성이 높다. 한편, 간격(Q)이 간격(P)보다 크기 때문에, 착용자의 다리 둘레 부분의 피부에 대한 착용 물품(1)의 접촉이 약하여, 착용 물품(1)이 부분적으로 착용자의 다리 둘레 부분의 피부에 밀착되지 않기 때문에, 착용시의 탄성 부재에 의한 조이는 느낌을 완화할 수 있다.
[변경예 1]
이하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의 변경예 1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와의 상이점에 관해 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실시형태에서는, 중앙 탄성 부재(41C)는 중간 영역(120R)에 이르지 않는다. 이에 대해, 변경예 1에서는, 중앙 탄성 부재(41C)는 중간 영역(120R)에 이르고 있다.
(신축 응력의 관계)
이하에 있어서, 변경예 1에 따른 신축 응력의 관계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도 10∼도 12를 참조하면서 패턴 5∼패턴 7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도 10∼도 12에서는, 길이 방향(L)에서의 착용 물품(1)의 전체가 나타나 있다.
도 10∼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턴 5∼패턴 7의 공통 구성으로서, 착용 물품(1)은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착용 물품(1)은 뒤 몸통 둘레 영역(110R) 및 가랑이 영역(120)을 갖는다. 가랑이 영역(120)은 가랑이 직하 영역(120M) 및 중간 영역(120R)을 갖는다.
가랑이 직하 영역(120M)은, 착용자가 양 다리를 붙이고 있을 때 양 다리 사이의 폭이 가장 좁아지는 착용자의 가랑이 사이(예컨대, 여성의 배설구 근방)에 접촉하는 영역이다. 중간 영역(120R)은, 가랑이 직하 영역(120M)과 뒤 몸통 둘레 영역(110R) 사이에 개재되는 영역이다.
전술한 중앙 탄성 부재(41C)는, 가랑이 직하 영역(120M)에 있어서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단, 중앙 탄성 부재(41C)는 중간 영역(120R)에 이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앙 탄성 부재(41C)는, 가랑이 직하 부분(41C1) 및 연접 부분(41C2)을 갖는다. 가랑이 직하 부분(41C1)은, 길이 방향(L)에 있어서 착용 물품(1)의 대략 중앙 부분에 설치된다. 다시 말하면, 가랑이 직하 부분(41C1)은 가랑이 직하 영역(120M)에 설치된다. 연접 부분(41C2)은, 길이 방향(L)에 있어서 가랑이 직하 부분(41C1)에 연속하는 부분이다. 다시 말하면, 연접 부분(41C2)은 중간 영역(120R)에 설치된다.
뒤 다리 탄성 부재(24R)는 신축 응력선(310)의 일부를 구성한다. 뒤 다리 탄성 부재(24R)는, 신축 응력선(310) 상에 있어서, 흡수체를 횡단하는 부분에서 불연속이다. 즉, 신축 응력선(310) 상에 있어서, 흡수체를 횡단하는 부분에는 뒤 다리 탄성 부재(24R)가 설치되지 않는다.
여기서, 연접 부분(41C2)의 신축 응력은, 패턴 5∼패턴 7에서 공통적으로, 가랑이 직하 부분(41C1)의 신축 응력보다 작다. 따라서, 연접 부분(41C2)이 설치되는 부분(중간 영역(120R))에는, 신축 응력이 상대적으로 작은 뇨체류부(320)가 형성된다.
(패턴 5)
이하에 있어서, 패턴 5에 관해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탄성 부재(41C)는, 가랑이 직하 부분(41C1) 및 연접 부분(41C2)을 갖는다.
패턴 5에서는, 연접 부분(41C2)은 단속적으로 절단되어 있다. 예컨대, 연접 부분(41C2)에는, 커터 등에 의해 단속적인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연접 부분(41C2)의 신축 응력은, 가랑이 직하 부분(41C1)의 신축 응력보다 작아진다.
또한, 패턴 5에 있어서, 뒤 다리 탄성 부재(24R)의 신축 응력은, 연접 부분(41C2)의 신축 응력보다 크고, 가랑이 직하 부분(41C1)의 신축 응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패턴 6)
이하에 있어서, 패턴 6에 관해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탄성 부재(41C)는, 가랑이 직하 부분(41C1) 및 연접 부분(41C2)을 갖는다.
패턴 6에서는, 중앙 탄성 부재(41C)는 복수 개의 실 형태 탄성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연접 부분(41C2)을 구성하는 실 형태 탄성 부재의 갯수는, 가랑이 직하 부분(41C1)을 구성하는 실 형태 탄성 부재의 갯수보다 적다. 이것에 의해, 연접 부분(41C2)의 신축 응력은, 가랑이 직하 부분(41C1)의 신축 응력보다 작아진다.
또한, 패턴 6에 있어서, 뒤 다리 탄성 부재(24R)의 신축 응력은, 연접 부분(41C2)의 신축 응력보다 크고, 가랑이 직하 부분(41C1)의 신축 응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패턴 7)
이하에 있어서, 패턴 7에 관해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탄성 부재(41C)는, 가랑이 직하 부분(41C1) 및 연접 부분(41C2)을 갖는다.
패턴 7에서는, 연접 부분(41C2)의 신축 응력은, 가랑이 직하 부분(41C1)의 신축 응력보다 작다.
예컨대, 흡수체 이면 시트(35)와 중앙 탄성 부재 피복 시트(42C) 사이에 중앙 탄성 부재(41C)를 배치할 때, 중앙 탄성 부재(41C)의 신장 정도를 변경함으로써, 가랑이 직하 부분(41C1) 및 연접 부분(41C2)의 신축 응력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가랑이 직하 부분(41C1) 및 연접 부분(41C2)은, 상이한 종류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패턴 7에 있어서, 뒤 다리 탄성 부재(24R)의 신축 응력은, 연접 부분(41C2)의 신축 응력보다 크고, 가랑이 직하 부분(41C1)의 신축 응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변경예 1에 의하면, 중앙 탄성 부재(41C)의 가랑이 직하 부분(41C1)은, 길이 방향(L)에 있어서 착용 물품(1)의 대략 중앙 부분에 설치된다. 즉, 중앙 탄성 부재(41C)의 가랑이 직하 부분(41C1)에 의해 배설 영역과 흡수체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뇨속이 느린 케이스라 하더라도, 착용 물품(1)의 외부로 뇨가 새어 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중앙 탄성 부재(41C) 중, 연접 부분(41C2)의 신축 응력은, 가랑이 직하 부분(41C1)의 신축 응력보다 작다. 즉, 가랑이 직하 부분(41C1)에 연속하는 연접 부분(41C2)(예컨대, 중간 영역(120R))에 있어서, 신축 응력이 상대적으로 작은 뇨체류부(320)가 형성된다. 따라서, 뇨량이 많은 케이스라 하더라도, 착용 물품(1)의 외부로 뇨가 새어 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패턴 5∼7에서는, 흡수체 표면 시트(32)의 비피부면측에 연접 부분(41C2)이 겹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흡수체 표면 시트(32)의 강성에 의해, 연접 부분(41C2)의 신축 응력이 억제되기 때문에, 뇨체류부(320)가 형성되기 쉽다.
또한, 가랑이 직하 부분(41C1)에 연속하는 연접 부분(41C2)이 설치되어 있으면, 연접 부분(41C2)에 겹치는 흡수체에 뇨가 흡수되어 흡수체가 무거워지더라도, 착용 물품(1)이 지나치게 아래로 늘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조 방법]
이하에 있어서,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 물품(1)의 제조 방법의 일부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예시한다. 도 13은, 실시형태에 따른 착용 물품(1)의 제조 방법의 일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 13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방법에 관해서는, 기존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계 S101에 있어서, 외장 톱시트(21)를 구성하기 위한 시트 부재와 앞 외장 백시트(22F)를 구성하기 위한 시트 부재 사이에, 앞 허리 탄성 부재(23F) 및 앞 다리 탄성 부재(24F)를 구성하기 위한 탄성 부재를 배치한다. 또한, 외장 톱시트(21)를 구성하기 위한 시트 부재와 뒤 외장 백시트(22R)를 구성하기 위한 시트 부재 사이에, 뒤 허리 탄성 부재(23R) 및 뒤 다리 탄성 부재(24R)를 구성하기 위한 탄성 부재를 배치한다.
단계 S102에 있어서, 외장 톱시트(21), 앞 외장 백시트(22F) 및 뒤 외장 백시트(22R)의 형상에 맞춰, 시트 부재 사이에 탄성 부재가 배치된 중간 부재를 컷트한다.
단계 S103에 있어서, 단계 S102에서 컷트된 중간 부재의 소정 위치에 흡수체 본체(200)를 배치한다.
단계 S104에 있어서, 단계 S103에서 흡수체 본체(200)가 배치된 중간 부재를 접어서 갠다.
단계 S105에 있어서, 단계 S104에서 접어서 갠 중간 부재를 접합한다. 구체적으로는, 앞 몸통 둘레 영역(110F)의 양측단(111F)과 대응하는 부분과 뒤 몸통 둘레 영역(110R)의 양측단(111R)과 대응하는 부분을 접합한다.
여기서, 뒤 다리 탄성 부재(24R)의 신축 응력을 변경하는 방법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즉, 단계 S101의 처리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로, 제1 방법에 관해,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뒤 다리 탄성 부재(24R)를 구성하기 위한 탄성 부재(401)는, 각종 롤러에 의해, 신장률 변경 장치(410)의 아암(411)의 선단에 설치된 롤러에 걸려서 고정된다. 또한, 탄성 부재(401)는, 트래버스 장치(430)에 의해 소정 위치로 조정된 다음, 반송 롤러(440)로 유도된다. 한편, 뒤 외장 백시트(22R)를 구성하기 위한 시트 부재(402)는, 각종 롤러에 의해, 도포 장치(420)에 의해 접착제(예컨대 핫멜트 접착제)가 도포되고, 반송 롤러(440)로 유도된다. 또한, 외장 톱시트(21)를 구성하기 위한 시트 부재(403)도 반송 롤러(440)로 유도된다. 탄성 부재(401), 시트 부재(402) 및 시트 부재(403)는, 반송 롤러(440)와 압박 롤러(450) 사이를 통과하도록 유도되고, 탄성 부재(401)가 시트 부재(402)와 시트 부재(403) 사이에 접착된다.
여기서, 신장률 변경 장치(410)는 아암(411)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고, 아암(411)의 회동에 의해 탄성 부재(401)의 신장률을 변경한다. 또한, 앞 허리 탄성 부재(23F), 뒤 허리 탄성 부재(23R) 및 앞 다리 탄성 부재(24F)를 구성하기 위한 탄성 부재(401)도 시트 부재(402)와 시트 부재(403) 사이에 접착된다.
제2로, 제2 방법에 관해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15에서는, 도 14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부재(401) 및 시트 부재(402)는, 제1 방법과 마찬가지로, 각종 롤러에 의해, 반송 롤러(440)와 압박 롤러(450) 사이를 통과하도록 유도되고, 탄성 부재(401)가 시트 부재(402)에 접착된다.
여기서, 제2 방법에서는, 롤러(460) 또는 롤러(470)의 반송 속도 탄성 부재(401)의 반송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탄성 부재(401)의 신장률이 변경된다.
또한, 중앙 탄성 부재(41C)에 관해, 신축 응력을 변경하는 방법은 상기 다리 탄성 부재(24R)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장치를 사용하고, 트래버스 장치를 제거하여, 직선적으로 배치시켜 갈 수 있다. 중앙 탄성 부재(41C)를, 흡수체 이면 시트(35)와 중앙 탄성 부재 피복 시트(42C) 사이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중앙 탄성 부재(41C)를 상기 방법으로 신축 응력을 조정한 다음, 슬릿 노즐 방식에 의한 도공 방식에 의해 직접 HMA 접착제를 도포하여, 중앙 탄성 부재 피복 시트에 접착하고, 흡수체 이면 시트에 합류시켜 끼워 넣어 압착 고정함으로써, 중앙 탄성 부재(41C)는, 중앙 탄성 부재 피복 시트(42C)와 흡수체 이면 시트의 사이에 접착된다. 이 때, HMA를 간헐적으로 도포함으로써, 소정의 길이로 중앙 탄성 부재가 셋트, 고정되고, 흡수체 본체가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었을 때, 중앙 탄성 부재(41C)는 스냅백되고, 상기 소정의 길이까지 HMA 비도공부가 되돌아가, 소정의 길이로 중앙 탄성 부재 피복 시트와 흡수체 이면 시트의 사이에 고정된다.
[그 밖의 실시형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의해 설명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안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는 여러 가지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백해질 것이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섀시(100)는, 주로 외장 톱시트(21), 앞 외장 백시트(22F) 및 뒤 외장 백시트(22R)에 의해 구성된다. 그러나, 섀시(100)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섀시(100)는, 모든 부분이 한쌍의 시트로 구성되는 타입(올인 타입)이어도 좋다. 또는, 섀시(100)는, 흡수체의 비피부면측에 외장체가 존재하지 않는 타입이어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체 본체(200)에 설치되는 흡수체는, 제1 흡수체층(33) 및 제2 흡수체층(34)에 의해 구성된다. 그러나, 실시형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흡수체는 하나의 흡수체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패턴 1∼패턴 4와 패턴 5∼패턴 7을 따로따로 설명했다. 그러나, 실시형태는 패턴 1∼패턴 7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패턴 2∼패턴 4 중 어느 것과 패턴 5∼패턴 7 중 어느 것을 조합해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신축 응력선(310)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제2 탄성 부재로서, 뒤 다리 탄성 부재(24R)를 예시했다. 그러나, 실시형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2 탄성 부재는 뒤 허리 탄성 부재(23R)여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2 탄성 부재로서, 뒤 몸통 둘레 영역(110R)에 설치된 뒤 다리 탄성 부재(24R)를 예시했다. 그러나, 실시형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2 탄성 부재는, 앞 몸통 둘레 영역(110F)에 설치된 앞 다리 탄성 부재(24F)여도 좋다. 또는, 제2 탄성 부재는, 앞 몸통 둘레 영역(110F)에 설치된 앞 허리 탄성 부재(23F)여도 좋다.
예컨대, 제2 탄성 부재가 앞 몸통 둘레 영역(110F)에 설치되는 케이스에서는, 착용자가 엎드려 누워 있는 경우에 뇨체류부(320)가 하측에 형성된다. 또한, 착용자가 남성인 경우에는 배설 영역의 근방에 뇨체류부(320)가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이러한 경우에 뇨체류부(320)가 적절한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제2 탄성 부재가 뒤 몸통 둘레 영역(110R)에 설치되는 케이스에서는, 착용자가 위를 향해 누워 있는 경우에 뇨체류부(320)가 하측에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뇨체류부(320)가 적절한 위치에 형성된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폭 방향(W)에서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제1 탄성 부재로서, 중앙 탄성 부재(41C)를 예시했다. 그러나, 실시형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탄성 부재는, 폭 방향(W)에 있어서 흡수체의 전체에 있어서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띠 형태의 탄성 부재여도 좋다.
각 탄성 부재에 관해, 스판덱스를 이용시, 전후의 허리 탄성 부재의 신장 배율은, 통상이라면 1.4배∼4배이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품 길이 방향 단부에 있어서 전후의 허리 탄성 부재는 940 DTEX*3.5배*6개로 배치되어 있고, 그 밖의 몸통 둘레 탄성 부재는, 가랑이 영역에 관한 곳을 제외하고 780 DTEX*3.0배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분마다 배율이 상이하지만, 레그 탄성 부재는 780 DTEX*3개로 배치되어 있고, 흡수체를 횡단하지 않는 부분에 있어서 평균 3.0배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탄성 부재의 간격은, 가랑이 사이 영역에서 직선적으로 배치되는 부분에 있어서 약 4 mm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중앙 탄성 부재는 약 3 mm의 간격으로 배치되고, 620 DTEX*1.8배*7개로 배치되어 있고, 중앙 탄성 부재의 길이는 120 mm이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제2010-096538호(2010년 4월 19일 출원)의 모든 내용이, 참조로서 본원 명세서에 삽입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뇨속이 느린 케이스 및 뇨량이 많은 케이스의 쌍방에 있어서, 착용 물품의 외부로 뇨가 새어 나오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착용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1: 착용 물품 21: 외장 톱시트
22F: 앞 외장 백시트 22R: 뒤 외장 백시트
23F: 앞 허리 탄성 부재 23R: 뒤 허리 탄성 부재
24F: 앞 다리 탄성 부재 24R: 뒤 다리 탄성 부재
24R1: 횡단 부분 24R2: 비횡단 부분
31: 표면 시트 32: 흡수체 표면 시트
33: 제1 흡수체층 33A: 슬릿
34: 제2 흡수체층 34A: 개구
35: 흡수체 이면 시트 41A: 샘 방지 탄성 부재
41B: 샘 방지 탄성 부재 41C: 중앙 탄성 부재
41C1: 가랑이 직하 부분 41C2: 연접 부분
42A: 샘 방지 탄성 부재 시트 42B: 샘 방지 탄성 부재 시트
42C: 중앙 탄성 부재 피복 시트 100: 섀시
110: 몸통 둘레 영역 110F: 앞 몸통 둘레 영역
110R: 뒤 몸통 둘레 영역 111F: 측단
111R: 측단 120: 가랑이 영역
120M: 가랑이 직하 영역 120R: 중간 영역
200: 흡수체 본체 310: 신축 응력선
320: 뇨체류부 401: 탄성 부재
402: 시트 부재 403: 시트 부재
410: 신장률 변경 장치 411: 아암
420: 도포 장치 430: 트래버스 장치
440: 반송 롤러 450: 압박 롤러
460: 롤러 470: 롤러

Claims (11)

  1. 몸통 둘레 영역 및 가랑이 영역을 갖는 섀시와, 적어도 상기 가랑이 영역에 설치된 흡수체를 갖는 흡수체 본체를 구비하는 착용 물품으로서,
    상기 가랑이 영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비피부면에 겹쳐 있고, 상기 착용 물품의 폭 방향의 중앙에 있어서 상기 착용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된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착용 물품의 폭 방향에서의 상기 몸통 둘레 영역의 양측단으로부터 상기 가랑이 영역 내에 만곡되어, 상기 착용 물품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흡수체를 횡단하는 신축 응력선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는 제2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신축 응력선 중, 상기 흡수체를 횡단하는 부분의 신축 응력은,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신축 응력보다 작은 착용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착용 물품의 폭 방향에서의 상기 몸통 둘레 영역의 양측단으로부터 상기 가랑이 영역 내에 만곡되어, 상기 착용 물품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흡수체를 횡단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탄성 부재 중, 상기 흡수체를 횡단하는 부분의 신축 응력은,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신축 응력보다 작은 착용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 부재 중, 상기 흡수체를 횡단하는 부분 이외의 신축 응력은, 상기 흡수체를 횡단하는 부분의 신축 응력보다 크고,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신축 응력보다 큰 착용 물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부재 및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교차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착용 물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흡수체를 횡단하는 부분에 있어서 불연속인 착용 물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 둘레 영역은, 앞 몸통 둘레 영역 및 뒤 몸통 둘레 영역을 갖고 있고,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착용 물품의 폭 방향에서의 상기 뒤 몸통 둘레 영역의 양측단으로부터 상기 가랑이 영역 내에 만곡되어, 상기 착용 물품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흡수체를 횡단하는 신축 응력선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는 착용 물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 부재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제1 실 형태 탄성 부재의 간격은, 상기 제2 탄성 부재 중, 상기 흡수체를 횡단하는 부분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제2 실 형태 탄성 부재의 간격보다 작은 착용 물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제1 탄성 부재보다 비피부면측에 설치되는 착용 물품.
  9. 몸통 둘레 영역 및 가랑이 영역을 갖는 섀시와, 적어도 상기 가랑이 영역에 설치된 흡수체를 갖는 흡수체 본체를 구비하는 착용 물품으로서,
    상기 가랑이 영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에 겹쳐 있고, 상기 착용 물품의 폭 방향의 중앙에 있어서 상기 착용 물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된 제1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상기 착용 물품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착용 물품의 중앙 부분에 설치된 가랑이 직하 부분과, 상기 착용 물품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가랑이 직하 부분에 연속하는 연장 설치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연장 설치 부분의 신축 응력은, 상기 가랑이 직하 부분의 신축 응력보다 작은 착용 물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물품의 폭 방향에서의 상기 몸통 둘레 영역의 양측단으로부터 상기 가랑이 영역 내에 만곡되어, 상기 착용 물품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흡수체를 횡단하도록 배치된 제2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탄성 부재 중, 상기 흡수체를 횡단하는 부분의 신축 응력은,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신축 응력보다 작은 착용 물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 물품의 폭 방향에서의 상기 몸통 둘레 영역의 양측단으로부터 상기 가랑이 영역 내에 만곡되어, 상기 착용 물품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흡수체를 횡단하는 신축 응력선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성하는 제2 탄성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탄성 부재는, 상기 흡수체를 횡단하는 부분에 있어서 불연속인 착용 물품.
KR1020127029695A 2010-04-19 2011-04-19 착용 물품 KR1017609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96538 2010-04-19
JPJP-P-2010-096538 2010-04-19
PCT/JP2011/059666 WO2011132688A1 (ja) 2010-04-19 2011-04-19 着用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409A true KR20130092409A (ko) 2013-08-20
KR101760973B1 KR101760973B1 (ko) 2017-07-24

Family

ID=44834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9695A KR101760973B1 (ko) 2010-04-19 2011-04-19 착용 물품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939956B2 (ko)
EP (1) EP2561848B1 (ko)
JP (1) JP5756093B2 (ko)
KR (1) KR101760973B1 (ko)
CN (1) CN102858297A (ko)
AU (1) AU2011243573B2 (ko)
BR (1) BR112012026620A2 (ko)
DE (1) DE202011000820U1 (ko)
MY (1) MY154865A (ko)
WO (1) WO2011132688A1 (ko)
ZA (1) ZA2012082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1998B2 (en) 2011-06-03 2019-04-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ensor systems comprising anti-choking features
US9289331B2 (en) * 2011-12-23 2016-03-22 Sca Hygiene Products Ab Disposable absorbent product with elastic leg opening regions and related methods
JP5291212B2 (ja) * 2012-02-07 2013-09-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開放型使い捨ておむつ
WO2013122939A1 (en) * 2012-02-13 2013-08-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pull-on garment
JP5243638B1 (ja) * 2012-03-30 2013-07-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200179B1 (ja) * 2012-03-30 2013-05-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945446B2 (ja) 2012-04-23 2016-07-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947610B2 (ja) * 2012-04-23 2016-07-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996256B2 (ja) * 2012-04-27 2016-09-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977590B2 (ja) * 2012-06-18 2016-08-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6316917B2 (ja) * 2012-06-18 2018-04-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231763B2 (ja) * 2013-04-10 2017-11-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980262B2 (ja) * 2014-04-02 2016-08-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WO2016029372A1 (en) * 2014-08-27 2016-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WO2016029371A1 (en) * 2014-08-27 2016-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WO2016029375A1 (en) * 2014-08-27 2016-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WO2016029370A1 (en) * 2014-08-27 2016-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WO2016029377A1 (en) * 2014-08-27 2016-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WO2016029374A1 (en) * 2014-08-27 2016-03-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arable article having elastic belt
WO2016093035A1 (ja) 2014-12-12 2016-06-16 山田 菊夫 使い捨て衣類
JP2017159011A (ja) * 2015-12-31 2017-09-14 エスジェイ サークル スンディリアン ブルハドSj Circle Sdn. Bhd. おむつ
JP6396369B2 (ja) * 2016-06-30 2018-09-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9213336A1 (en) 2018-05-04 2019-11-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ensor devices and systems for monitoring the basic needs of an infant
CN112243369B (zh) * 2018-05-31 2022-11-08 王子控股株式会社 吸收性物品
US11051996B2 (en) 2018-08-27 2021-07-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ensor devices and systems for monitoring the basic needs of an infant
JP7366597B2 (ja) * 2019-06-19 2023-10-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7473307B2 (ja) 2019-08-21 2024-04-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
CN115151226A (zh) * 2020-02-28 2022-10-04 宝洁公司 裤型吸收制品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5021A (en) * 1988-10-27 1990-06-19 Mcneil-Ppc, Inc. Disposal diaper with center gathers
US5593400A (en) * 1994-02-09 1997-01-14 Paragon Trade Brands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suspended absorbent structure
TW299633U (en) * 1994-07-14 1997-03-01 Uni Charm Corp Disposable absorbent undergarment
US6132409A (en) * 1996-08-29 2000-10-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ersonal care article with aperture aligned for receiving fecal material
JP3557141B2 (ja) * 2000-01-06 2004-08-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DE60114289T2 (de) * 2000-05-15 2006-04-20 Kao Corp. Absorbierender Artikel
JP3957047B2 (ja) * 2001-08-23 2007-08-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WO2004037145A1 (ja) * 2002-10-23 2006-02-23 株式会社瑞光 使い捨て着用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329590A (ja) 2003-05-08 2004-11-25 Livedo Corporation パンツ型おむつ
JP4731894B2 (ja) * 2004-11-30 2011-07-27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4338619B2 (ja) 2004-10-29 2009-10-0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1818030B1 (en) 2004-11-30 2012-03-28 Daio Paper Corporation Shorts type disposable diaper
EP1875819B1 (en) * 2005-04-28 2010-08-11 Zuiko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 wearing article
JP4688669B2 (ja) 2005-12-20 2011-05-25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吸収性パンツ
JP4986461B2 (ja) * 2006-01-26 2012-07-25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1243573B2 (en) 2015-07-02
CN102858297A (zh) 2013-01-02
WO2011132688A1 (ja) 2011-10-27
EP2561848B1 (en) 2016-07-13
EP2561848A1 (en) 2013-02-27
DE202011000820U1 (de) 2011-09-27
KR101760973B1 (ko) 2017-07-24
BR112012026620A2 (pt) 2016-07-12
JP5756093B2 (ja) 2015-07-29
JPWO2011132688A1 (ja) 2013-07-18
AU2011243573A1 (en) 2012-12-06
MY154865A (en) 2015-08-03
US20130110075A1 (en) 2013-05-02
EP2561848A4 (en) 2014-02-19
US8939956B2 (en) 2015-01-27
ZA201208206B (en) 201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2409A (ko) 착용 물품
US11759375B2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US9610203B2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WO2013005423A1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US9375363B2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EP2832328B1 (en) Disposable undergarment
KR101919649B1 (ko) 일회용 기저귀 및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방법
AU2013353131A1 (en) Disposable diaper
WO2013161717A1 (ja) 吸収性物品
WO2014136572A1 (ja) 着用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270377B2 (ja) 裾口を伴う使い捨てパンツ式吸収性物品
TWI573579B (zh) Absorbent articles and methods for producing absorbent articles
US9220643B2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with elastic bands
AU2014276039B2 (en) Disposable diaper
EP3658095A1 (en) Pant-type wearable article
US10687989B2 (en) Disposable wearing article
JP6478443B2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EP3658094A1 (en) Pant-type wearable article
CN219983218U (zh) 可穿着制品和包装件
CN115023206B (zh) 裤型可穿着制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