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2370A - 슬래브 구축재 - Google Patents

슬래브 구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2370A
KR20130092370A KR1020120149354A KR20120149354A KR20130092370A KR 20130092370 A KR20130092370 A KR 20130092370A KR 1020120149354 A KR1020120149354 A KR 1020120149354A KR 20120149354 A KR20120149354 A KR 20120149354A KR 20130092370 A KR20130092370 A KR 20130092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verse
lattice
roots
metal deck
conv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루 야구치
Original Assignee
켄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켄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켄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2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23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2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hollow fill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27Three-dimensional reinforcements composed of a prefabricated reinforcing mat combined with reinforcing elements protruding out of the plane of the mat
    • E04C5/0631Reinforcing mats combined with separate prefabricated reinforcement cages or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과제> 철근 트러스를 금속 데크의 상면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가 있고,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슬래브를 구축할 수가 있는 슬래브 구축재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슬래브 구축재(10A)는, 소정 면적의 금속 데크(11)와, 금속 데크(11)의 상면(16)에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뻗은 복수의 철근 트러스(12)와, 금속 데크(11)의 상면(16)에 위치하여 횡방향으로 뻗어 있어 전후 방향으로 소정 치수 이간하여 늘어서는 복수의 횡근(13)을 구비하고 있다. 슬래브 구축재(10A)에서는 철근 트러스(12)의 격자근(26A, 26B)의 상단 볼록부(27)가 상단근(24)에 용접되고, 격자근(26A, 26B)의 중간부(28)가 하단근(25A, 25B)에 용접되고, 이들 횡근(13)이 이들 격자근(26A, 26B)의 하단 오목부(29)의 바닥 부분(30)에 배치되어 금속 데크(11)에 만들어진 볼록부(18)에 용접되고, 이들 격자근(26A, 26B)의 하단 오목부(29)가 금속 데크(11)의 상면(16)과 이들 횡근(13)에 끼워져 있다.

Description

슬래브 구축재{MATERIAL FOR BUILDING SLAB}
본 발명은 철골 건축물이나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slab)을 구축하기 위한 슬래브 구축재에 관한 것이다.
도금 처리가 된 소정 면적의 철판과, 철판의 상면에 설치된 복수의 철근 트러스(truss)로 형성되고, 가로 들보의 사이에 걸쳐 놓고, 보통 콘크리트나 경량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철골 건축물이나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의 슬래브를 구축하는 슬래브 구축재가 개시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철근 트러스(truss)는 철판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간하여 종방향으로 뻗은 상단근과, 철판과 상단근의 사이에 위치하여 종방향으로 뻗은 하단근(下端筋)과, 철판과 상단근(上端筋)의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파상으로 절곡을 반복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뻗은 격자근(格子筋)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슬래브 구축재에서는 격자근의 상단부가 상단근에 맞닿은 상태로 상단근에 스폿 용접되고, 격자근의 중간부가 하단근에 맞닿은 상태로 하단근에 스폿 용접되어 있다. 격자근의 하단부는 철판의 상면과 병행하도록 횡방향 외방으로 굴곡하면서 철판에 스폿 용접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07-170161호 공보
상기 공보에 명시된 슬래브 구축재에 있어서, 격자근의 하단부를 철판에 스폿 용접하는데는 전극과 이동 기구를 구비한 자동 용접기가 사용된다. 자동 용접기에 의한 용접의 일례로서는, 격자근의 하단부의 상을 향해 전극이 위치함과 아울러, 철판의 하면의 하방에 전극이 위치하고, 격자근의 하단부의 상을 향해 전극이 하강하고, 철판의 하면을 향해 전극이 상승하고, 이들 전극에 의해 격자근의 하단부와 철판을 압압하면서 하단부와 철판을 끼워 넣음과 동시에, 이들 전극에 소정의 전류가 흐른다. 전극으로부터 흐른 전류에 의해 격자근의 하단부와 철판이 순간적으로 용융하여 이들이 용착한다.
이 슬래브 구축재에서는 격자근의 하단부와 철판의 용접이 슬래브 구축재의 전후 방향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수시 진행하지만, 격자근 및 철판이 전극에 의해 압압되면서 용접되기 때문에, 용접후의 격자근이 철판의 상면을 향해 비뚤어져 들어가고, 이에 의해 용접후의 격자근의 후방에 위치하는 용접전의 격자근의 하단부가 철판의 상면으로부터 부상하는 경우가 있고, 후에 용접되는 격자근의 하단부가 철판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간하고, 격자근의 하단부를 철판에 충분히 용착하지 못하고, 미용접 또는 용접 부족에 의해 철근 트러스와 철판의 고정이 생각지 않게 해제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철근 트러스(격자(lattice)근의 하단부)와 철판의 고정이 해제되면, 슬래브 구축재에 콘크리트를 타설했다고 해도, 콘크리트와 철판 및 철근 트러스가 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형성하지 못하고, 콘크리트에 휨 인장력이나 휨 압축력, 전단력이 작용했을 때에 이들 힘에 의해 콘크리트가 용이하게 파손되고, 강도가 부족한 슬래브가 구축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 격자근의 하단부를 철판의 상면에 직접 용접하면, 용접시의 열의 작용으로 철판의 상면뿐만 아니라 철판의 하면에도 용접에 의한 자국이 생겨 버린다. 철판의 하면에 생긴 용접 자국은 슬래브 구축재의 미관을 해칠뿐만 아니라, 방식을 위해서 이루어진 도금을 소실시켜 철근을 노출시키기 때문에, 습기나 결로에 의해 용접 자국에 녹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철근 트러스를 형성하는 격자근을 금속 데크(deck)의 상면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가 있고,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슬래브를 구축할 수가 있는 슬래브 구축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속 데크의 하면에 용접 자국이 생기는 일이 없어 금속 데크의 하면에 있어서의 녹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는 슬래브 구축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제는, 소정 면적의 슬래브를 구축하기 위한 슬래브 구축재이다.
상기 전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특징은, 슬래브 구축재가, 전후 방향으로 뻗은 양쪽 측연부 및 횡방향으로 뻗은 양쪽 단연부를 가지는 소정 면적의 금속 데크와, 금속 데크의 상면에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뻗은 복수의 철근 트러스와, 금속 데크의 상면에 위치하여 횡방향으로 뻗어 있어 전후 방향으로 소정 치수 이간하여 늘어서는 복수의 횡근(橫筋)을 구비하고, 금속 데크가, 그 상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하여 전후 방향으로 뻗어 있어 횡방향으로 소정 치수 이간하여 늘어서는 복수의 볼록부를 가지고, 철근 트러스가, 횡방향으로 늘어서는 한 쌍의 볼록부의 사이에 있어서 금속 데크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에 위치하여 전후 방향으로 뻗은 상단근과, 한 쌍의 볼록부의 사이에 있어서 금속 데크와 상단근의 사이에 위치하여 전후 방향으로 뻗은 한 쌍의 하단근과, 한 쌍의 볼록부의 사이에 있어서 금속 데크와 상단근의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파상으로 절곡을 반복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뻗은 한 쌍의 격자근으로 형성되고, 이들 격자근이, 상단근에 맞닿아 볼록한 모양으로 절곡하는 상단 볼록부로부터 금속 데크의 상면에 맞닿아 오목한 모양으로 절곡하는 하단 오목부를 향해 횡방향 외방으로 넓어지게 되고, 이들 격자근의 상단 볼록부가 상단근에 용접되고, 이들 격자근의 중간부가 하단근에 용접되고, 이들 횡근이 이들 격자근의 하단 오목부에 배치되어 금속 데크에 만들어진 볼록부에 용접되고, 이들 격자근의 하단 오목부가 금속 데크의 상면과 이들 횡근에 끼워져 있는 것에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슬래브 구축재의 일례로서는, 격자근이 단면 원형의 금속봉으로 만들어지고, 볼록부의 금속 데크의 상면으로부터의 높이 치수가 격자근의 직경과 대략 동일 또는 조금 크고, 슬래브 구축재에서는 횡근을 격자근의 하단 오목부에 배치했을 때에 횡근이 볼록부의 정상 부분에 맞닿는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슬래브 구축재의 다른 일례로서는, 횡근이 단면 원형의 금속봉으로 만들어지고, 슬래브 구축재에서는 횡근을 격자근의 하단 오목부에 배치했을 때에 횡근이 격자근의 하단 오목부의 바닥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단 오목부가 대략 V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슬래브 구축재의 다른 일례로서는, 이들 하단근이 이들 격자근의 외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한 쌍의 볼록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이들 격자근의 하단 오목부가 한 쌍의 볼록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횡근과 볼록부가 스폿(spot) 용접에 의해 용착되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슬래브 구축재의 다른 일례로서는, 이들 하단근이 이들 격자근의 내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한 쌍의 볼록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이들 격자근의 하단 오목부가 한 쌍의 볼록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횡근과 볼록부가 스폿 용접에 의해 용착되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슬래브 구축재의 다른 일례로서는, 금속 데크의 일방의 측연부(側緣部)가 데크의 하방으로 절곡되어 제1 계합부를 형성하고, 금속 데크의 타방의 측연부가 데크의 상방으로 절곡되어 제1 계합부와 계합하는 제2 계합부를 형성하고, 금속 데크의 타방의 측연부에 있어서 제2 계합부 근방으로 뻗은 횡근의 단부가 볼록부로부터 금속 데크의 상면을 향해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슬래브 구축재의 다른 일례로서 슬래브 구축재에서는 이들 철근 트러스끼리가 횡방향으로 소정 치수 이간하여 늘어서고, 인접하는 철근 트러스의 사이에 전후 방향으로 뻗은 보이드(void)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슬래브 구축재에 의하면, 이들 횡근이 이들 격자근의 하단 오목부에 배치되어 금속 데크에 만들어진 볼록부에 용접되고, 이들 격자근의 하단 오목부가 금속 데크의 상면과 이들 횡근에 끼워지고, 이에 의해 철근 트러스를 형성하는 격자근이 금속 데크의 상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철근 트러스를 금속 데크의 상면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가 있고, 철근 트러스와 금속 데크의 고정이 생각지 않게 해제되는 일은 없고, 콘크리트와 금속 데크 및 철근 트러스가 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형성하고, 슬래브 구축재에 타설한 콘크리트에 휨 인장력이나 휨 압축력, 전단력이 작용했다고 해도, 이들 힘에 의해 콘크리트가 파손되는 일이 없어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슬래브를 구축할 수가 있다. 슬래브 구축재는, 횡근이 금속 데크에 만들어진 볼록부에 용접되고, 격자근의 하단 오목부가 금속 데크의 상면에 맞닿을 뿐이고, 하단 오목부가 금속 데크에 용접되는 일은 없기 때문에, 미관을 해치는 일이 없는 것은 물론, 금속 데크의 하면에 용접 자국이 생기는 일이 없어 금속 데크의 하면에 있어서의 녹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격자근이 단면 원형의 금속봉으로 만들어지고, 금속 데크에 만들어진 볼록부의 데크의 상면으로부터의 높이 치수가 격자근의 직경과 대략 동일 또는 조금 크고, 횡근을 격자근의 하단 오목부에 배치했을 때에 횡근이 볼록부의 정상 부분에 맞닿는 슬래브 구축재는, 횡근이 볼록부의 정상 부분에 반드시 맞닿기 때문에, 횡근을 볼록부의 정상 부분에 확실하게 용접 고정할 수가 있고, 이들 격자근의 하단 오목부가 금속 데크의 상면과 이들 횡근에 끼워짐으로써, 철근 트러스를 형성하는 격자근이 금속 데크의 상면에 고정되어 철근 트러스를 금속 데크의 상면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가 있다. 슬래브 구축재는, 철근 트러스와 금속 데크의 고정이 생각지 않게 해제되는 일은 없고, 슬래브 구축재에 타설한 콘크리트가 상하단근이나 격자근에 의해 확실하게 보강되고, 콘크리트와 금속 데크 및 철근 트러스가 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형성하고, 콘크리트에 휨 인장력이나 휨 압축력, 전단력이 작용했다고 해도, 이들 힘에 의해 콘크리트가 파손되는 일이 없어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슬래브를 구축할 수가 있다.
횡근이 단면 원형의 금속봉으로 만들어지고, 횡근을 격자근의 하단 오목부에 배치했을 때에 횡근이 격자근의 하단 오목부의 바닥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단 오목부가 대략 V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있는 슬래브 구축재는, 격자근의 하단 오목부를 V자 모양으로 절곡함으로써, 횡근을 격자근의 하단 오목부에 배치했을 때에 횡근이 하단 오목부의 바닥 부분에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횡근이 어긋나 움직이는 일이 없어 횡근의 전후 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횡근을 볼록부의 일정 개소에 확실하게 맞닿게 할 수가 있어 격자근에 대한 횡근의 위치 결정을 별도로 행할 필요는 없고, 횡근을 볼록부에 확실하게 충분히 용접 고정할 수가 있다. 슬래브 구축재는, 횡근과 볼록부를 확실하게 충분히 용접 고정할 수가 있기 때문에, 이들 격자근의 하단 오목부가 금속 데크의 상면과 이들 횡근에 끼워짐으로써, 철근 트러스를 형성하는 격자근이 금속 데크의 상면에 고정되어 철근 트러스를 금속 데크의 상면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가 있다.
이들 하단근이 이들 격자근의 외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한 쌍의 볼록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이들 격자근의 하단 오목부가 한 쌍의 볼록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횡근과 볼록부가 스폿 용접에 의해 용착되어 있는 슬래브 구축재는, 횡근과 볼록부의 스폿 용접에 있어서, 횡근의 상방과 볼록부의 하방에 전극을 배치하고, 이들 전극으로 횡근 및 볼록부를 끼워 넣어 용접하지만, 이들 하단근이 볼록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하단근이 전극의 방해로 되는 일은 없어 이들 전극에 의한 횡근과 볼록부의 용접이 용이하고, 이들 전극에 의해 횡근과 볼록부를 확실하게 용접 고정할 수가 있다. 슬래브 구축재는, 횡근과 볼록부를 확실하게 용접 고정할 수가 있기 때문에, 이들 격자근의 하단 오목부가 금속 데크의 상면과 이들 횡근에 끼워짐으로써, 철근 트러스를 형성하는 격자근이 금속 데크의 상면에 고정되어 철근 트러스를 금속 데크의 상면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가 있다.
이들 하단근이 이들 격자근의 내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한 쌍의 볼록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이들 격자근의 하단 오목부가 한 쌍의 볼록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횡근과 볼록부가 스폿 용접에 의해 용착되어 있는 슬래브 구축재는, 횡근과 볼록부의 스폿 용접에 있어서, 횡근의 상방과 볼록부의 하방에 전극을 배치하고, 이들 전극으로 횡근 및 볼록부를 끼워 넣어 용접하지만, 이들 하단근이 볼록부의 내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이들 격자근의 하단 오목부가 볼록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하단근나 격자근의 하단 오목부가 전극의 방해로 되는 일은 없어 이들 전극에 의한 횡근과 볼록부의 용접이 용이하고, 이들 전극에 의해 횡근과 볼록부를 확실하게 용접 고정할 수가 있다. 슬래브 구축재는, 횡근과 볼록부를 확실하게 용접 고정할 수가 있기 때문에, 이들 격자근의 하단 오목부가 금속 데크의 상면과 이들 횡근에 끼워짐으로써, 철근 트러스를 형성하는 격자근이 금속 데크의 상면에 고정되어 철근 트러스를 금속 데크의 상면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가 있다.
금속 데크의 타방의 측연부에 있어서 제2 계합부 근방으로 뻗은 횡근의 단부가 볼록부로부터 금속 데크의 상면을 향해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는 슬래브 구축재는, 제2 계합부 근방으로 뻗은 횡근의 단부가 금속 데크의 상면을 향해 절곡되어 있지 않고, 곧은 모양으로 뻗어 있는 경우, 금속 데크의 제1 계합부를 제2 계합부에 계합시킬 때, 횡근의 단부가 이들 계합부의 계합의 방해로 되어, 이들 계합부를 원활하게 계합시킬 수가 없지만, 제2 계합부 근방으로 뻗은 횡근의 단부가 금속 데크의 상면을 향해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횡근의 단부가 이들 계합부의 계합의 방해로 되는 일이 없어 이들 계합부를 원활하게 계합시킬 수가 있고, 복수의 슬래브 구축재를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소정 면적의 슬래브 구축재의 집합체를 용이하게 만들 수가 있다.
이들 철근 트러스끼리가 횡방향으로 소정 치수 이간하여 늘어서고, 인접하는 철근 트러스의 사이에 전후 방향으로 뻗은 보이드가 설치되어 있는 슬래브 구축재는, 콘크리트의 교체로서 보이드가 이용되어 슬래브 구축재의 전역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필요는 없고, 보이드의 체적만큼의 콘크리트를 생략할 수가 있기 때문에, 그만큼의 수고와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슬래브 구축의 비용을 삭감할 수가 있다. 슬래브 구축재는, 거기에 콘크리트만을 타설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이드의 체적만큼의 콘크리트를 생략할 수가 있기 때문에, 슬래브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가 있어 철골 건축물이나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에 관련되는 하중을 저감할 수가 있다.
도 1은 일례로서 나타내는 슬래브 구축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슬래브 구축재의 상면도이다.
도 3은 슬래브 구축재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슬래브 구축재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5는 횡근과 격자근의 하단 오목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스폿 용접하기 전의 상태로 나타내는 횡근과 볼록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스폿 용접한 후의 상태로 나타내는 횡근과 볼록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1개의 슬래브 구축재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일례로서 나타내는 슬래브 구축재의 상면도이다.
도 10은 슬래브 구축재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슬래브 구축재의 부분 측면도이다.
일례로서 나타내는 슬래브 구축재(10A)의 사시도인 도 1 등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되는 슬래브 구축재의 상세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 도 2는 슬래브 구축재(10A)의 상면도이고, 도 3은 슬래브 구축재(10A)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슬래브 구축재(10A)의 부분 측면도이고, 도 5는 횡근(13)과 격자근(26A, 26B)의 하단 오목부(29)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스폿 용접하기 전의 상태로 나타내는 횡근(13)과 볼록부(18)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7은 스폿 용접한 후의 상태로 나타내는 횡근(13)과 볼록부(18)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1개의 슬래브 구축재(10A)의 정면도이다. 도 1~4에서는 전후 방향을 화살표 A, 횡방향을 화살표 B로 나타내고, 상하 방향을 화살표 C로 나타낸다.
이 슬래브 구축재(10A)는 소정 면적을 가지는 전후 방향으로 긴 금속 데크(11)와, 금속 데크(11)에 배치되어 횡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철근 트러스(truss)(12)와, 금속 데크(11)에 배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횡근(13)(고정근)으로 만들어져 있다. 슬래브 구축재(10A)는 소정 면적의 마루 슬래브나 천장 슬래브, 지붕 슬래브 등의 슬래브(도시하지 않음)을 구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금속 데크(11)는 전후 방향으로 뻗은 양쪽 측연부(14A, 14B)와 횡방향으로 뻗은 양쪽 단연부(15A, 15B)를 가짐과 아울러, 평탄한 상면(16) 및 하면(17)을 가진다. 금속 데크(11)에는 철판이 사용되고 있고 그 상면(16), 하면(17)에 도금 처리가 되어 있다. 또한, 금속 데크(11)로서 프린트 금속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프린트 금속판의 하면에는 마루에 이용되는 각종의 모양이나 천장에 이용되는 각종의 모양 등의 소정의 디자인(도시하지 않음)이 인쇄(프린트)되어 있다.
금속 데크(11)에는 그 상면(16)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여 전후 방향으로 뻗은 복수의 볼록부(18)가 만들어져 있다. 이들 볼록부(18)는 횡방향으로 소정 치수 이간하여 늘어서 있다. 이들 볼록부(18)는 금속 데크(11)의 상면(16)으로부터 상방으로 대략 곧은 모양으로 뻗어 있어 횡방향으로 소정 치수 이간하는 한 쌍의 양측 부분(19)과, 이들 양측 부분(19)의 사이에 있어서 대략 수평으로 뻗은 정상 부분(20)을 가진다. 양측 부분의 사이에는 후기하는 전극이 위치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정상 부분(20)에는 그 중앙에 위치하여 상방으로 볼록하게 되는 돌기(21)가 만들어져 있다.
금속 데크(11)의 일방의 측연부(14A)에는 제1 훅(hook)(22)(제1 계합부)이 만들어지고, 타방의 측연부(14B)에는 제2 훅(23)(제2 계합부)이 만들어져 있다. 제1 훅(22)은 금속 데크(11)의 일방의 측연부(14A)를 데크(11)의 상면(16)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절곡한 후, 또한 측연부(14A)를 데크(11)의 하면(17)으로부터 하방에 있어서 횡방향 내방으로 절곡함으로써 만들어져 있다. 제2 훅(23)은 금속 데크(11)의 타방의 측연부(14B)를 데크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에 있어서 횡방향 내방으로 절곡함으로써 만들어져 있다.
각 금속 데크(11)는 일방의 금속 데크(11)의 제1 훅(22)에 타방의 금속 데크(11)의 제2 훅(23)을 걸고, 이들 훅(22, 23)끼리를 서로 계합시킴으로써 각 금속 데크(11)를 횡방향으로 연결하고, 복수의 금속 데크(11)를 연결한 상태로 횡방향으로 늘어놓을 수가 있다. 또한, 금속 데크(11)의 면적에 특히 한정은 없고 그 면적을 자유롭게 바꿀 수가 있다.
이들 철근 트러스(12)는 금속 데크(11)의 상면(16)에 있어서 데크(11)에 만들어진 볼록부(18)의 사이에 배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뻗어 있다. 또한, 이 슬래브 구축재(10A)에서는 금속 데크(11)에 2개의 철근 트러스(12)가 설치되어 있지만, 금속 데크(11)에 설치하는 철근 트러스(12)의 수에 특히 한정은 없고, 금속 데크(11)의 면적이나 트러스(12)의 크기에 따라 데크(11)에 설치하는 트러스(truss)(12)의 수를 자유롭게 결정할 수가 있다.
이들 철근 트러스(11)는 1개의 상단근(24)과 2개(한 쌍)의 하단근(25A, 25B)과 2개(한 쌍)의 격자근(26A, 26B)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상단근(24)은 굵은 철근을 연신하여 만들어진 단면 원형의 철봉이지만, 그 주면에 마디(리브(rib))를 가지는 이형 철봉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단근(24)은 횡방향으로 늘어서는 한 쌍의 볼록부(18)의 사이에 위치하고, 금속 데크(11)의 상면(16)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치수 이간하여 전후 방향으로 곧은 모양으로 뻗어 있다. 각 철근 트러스(11)에 있어서 횡방향으로 늘어서는 상단근(24)의 전후 방향의 길이 치수는 동일하고, 이들 상단근(24)이 서로 평행하게 뻗어 있다.
이들 하단근(25A, 25B)은 굵은 철근을 연신하여 만들어진 단면 원형의 철봉이지만, 그 주면에 마디(리브)를 가지는 이형 철봉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하단근(25A, 25B)은 횡방향으로 늘어서는 한 쌍의 볼록부(18)의 사이에 위치(이들 볼록부(18)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치수 이간하여 위치)하고, 이들 격자근(26A, 26B)의 외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단근(24)의 하방에 있어서 상단근(24)의 횡방향 양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들 하단근(25A, 25B)은 금속 데크(11)의 상면(16)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치수 이간하여 전후 방향으로 곧은 모양으로 뻗어 있다. 각 철근 트러스(12)에 있어서 횡방향으로 늘어서는 하단근(25A, 25B)의 전후 방향의 길이 치수는 동일하고, 이들 하단근(25A, 25B)이 서로 평행하게 뻗어 있다.
이들 격자근(26A, 26B)은 굵은 철근을 연신하여 만들어진 단면 원형의 철봉이다. 격자근(26A, 26B)은 횡방향으로 늘어서는 한 쌍의 볼록부(18)의 사이에 위치(이들 볼록부(18)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치수 이간하여 위치)함과 아울러, 금속 데크(11)와 상단근(24)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하 방향으로 파상으로 절곡(기복)을 반복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들 격자근(26A, 26B)은 상단근(24)측에 위치하는 상단 볼록부(27)와 금속 데크(11)의 상면(16)측에 위치하는 하단 오목부(29)와, 상단 볼록부(27) 및 하단 오목부(29)의 사이에 뻗은 중간부(28)를 가진다.
철근 트러스(12)를 형성하는 한 쌍의 격자근(26A, 26B)은 상단근(24)을 끼워 횡방향으로 대칭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횡방향으로 늘어서는 한 쌍의 격자근(26A, 26B)의 상단 볼록부(27)끼리의 위치가 일치하고, 중간부(28)끼리의 위치가 일치함과 아울러, 하단 오목부(29)끼리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다. 각 격자근(26A, 26B)은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는 상단 볼록부(27)끼리의 이간 치수가 동일하고, 상단 볼록부(27)가 종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늘어서고, 전후 방향으로 인접하는 하단 오목부(29)끼리의 이간 치수가 동일하고, 하단 오목부(29)가 전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늘어서 있다.
격자근(26A, 26B)은, 도 3에 나타내듯이, 금속 데크(11)에 대해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고, 그 상단 볼록부(27)로부터 하단 오목부(29)를 향해 횡방향 외방으로 넓어지게 되어 있다. 또한, 격자근(26A, 26B)의 경사 각도에 대해서 특히 한정은 없고, 한 쌍의 볼록부(18)의 사이에 위치(이들 볼록부(18)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치수 이간하여 위치)하면, 그 경사 각도를 자유롭게 바꿀 수가 있다. 격자근(26A, 26B)의 상단 볼록부(27)는 볼록한 모양으로 절곡되고, 상하 방향 상방을 향해 볼록하게 되도록 절곡되어 있다. 상단 볼록부(27)는 대략 역V자 모양을 나타낸다. 상단 볼록부(27)는 상단근(24)의 주면(周面)에 맞닿아, 상단 볼록부(27) 중의 상단근(24)과 교차하는 부분(교차 개소)이 상단근(24)에 스폿 용접에 의해 용착(고정)되어 있다.
격자근(26A, 26B)의 중간부(28)는 하단근(25A, 25B)의 내측에 위치하고, 중간부(28) 중의 하단근(25A, 25B)과 교차하는 부분(교차 개소)이 하단근(25A, 25B)에 스폿 용접에 의해 용착(고정)되어 있다. 격자근(26A, 26B)의 하단 오목부(29)는 오목한 모양으로 절곡되어 상하 방향 하방을 향해 오목하도록 절곡되어 있다. 하단 오목부(29)는 대략 V자 모양을 나타내고, 그 바닥 부분(30)이 이들 볼록부(18)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치수 이간하여 위치함과 아울러, 그 바닥 부분(30)이 금속 데크(11)의 상면(16)에 맞닿아 있다. 또한, 하단 오목부(29)의 바닥 부분(30)은 정점(바닥 부분(30)을 거꾸로 했을 때의 정점)을 가질 뿐만 아니라, 후기하는 횡근(13)의 곡률과 대략 동일한 곡률을 가지거나, 또는 횡근(13)의 곡률보다 조금 큰 곡률을 가진다.
상단근(24)과 격자근(26A, 26B)의 상단 볼록부(27)의 스폿 용접에서는,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전극과 이동 기구를 구비한 자동 용접기가 사용된다. 자동 용접기에 의한 용접의 일례에서는, 상단근(24) 및 상단 볼록부(27)를 각 전극으로 압압하면서 이들 전극으로 상단근(24)과 상단 볼록부(27)를 끼워 넣는다. 전극으로 상단근(24)과 상단 볼록부(27)를 끼워 넣음과 동시에, 이들 전극에 소정의 전류를 흘린다(소정의 전압을 인가한다). 이들 전극으로부터 흐른 전류는 상단근(24)과 상단 볼록부(27)에 흘러 상단근(24) 및 상단 볼록부(27)를 가열 용융한다. 다음에, 이들 전극이 상단근(24) 및 상단 볼록부(27)로부터 이간하고, 상단근(24) 및 상단 볼록부(27)가 자연스럽게 냉각되고, 상단근(24)과 상단 볼록부(27)가 용착한다.
하단근(25A, 25B)과 격자근(26A, 26B)의 중간부(28)의 스폿 용접에서는 하단근(25A, 25B) 및 중간부(28)를 각 전극으로 압압하고, 이들 전극으로 하단근(25A, 25B)과 중간부(28)를 끼워 넣는다. 전극으로 하단근(25A, 25B)과 중간부(28)를 끼워 넣음과 동시에, 이들 전극에 소정의 전류를 흘린다(소정의 전압을 인가한다). 이들 전극으로부터 흐른 전류는 하단근(25A, 25B)과 중간부(28)에 흘러 하단근(25A, 25B) 및 중간부(28)를 가열 용융한다. 다음에, 이들 전극이 하단근(25A, 25B) 및 중간부(28)로부터 이간하고, 하단근(25A, 25B) 및 중간부(28)가 자연스럽게 냉각되고, 하단근(25A, 25B)과 중간부(28)가 용착한다.
각 격자근(26A, 26B)의 상하 방향으로 파상으로 절곡을 반복하는 각도는 일정하고, 단위 길이(예를 들어 1m)당의 격자근(26A, 26B)의 절곡을 반복하는 횟수는 동일하다. 또한, 격자근(26A, 26B)의 상하 방향으로 파상으로 절곡을 반복하는 각도는 자유롭게 바꿀 수가 있고, 그 각도를 조절(단위 길이당의 격자근(26A, 26B)의 절곡을 반복하는 횟수를 조절)함으로써, 격자근(26A, 26B)의 상단 볼록부(27)끼리의 종방향의 이간 치수를 조절할 수가 있고, 격자근(26A, 26B)의 하단 오목부(29)끼리의 종방향의 이간 치수를 조절할 수가 있다.
이들 횡근(13)은 굵은 철근을 연신하여 만들어진 단면 원형의 철봉이고, 횡방향으로 곧은 모양으로 뻗어 있다. 이들 횡근(13)의 횡방향의 길이 치수는 동일하다. 횡근(13)은 금속 데크(11)의 상면(16)에 있어서 이들 격자근(26A, 26B)의 하단 오목부(29)의 바닥 부분(30)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횡근(13)에서는 금속 데크(11)의 타방의 측연부(14B)에 있어서 제2 훅(23) 근방으로 뻗은 단부(31)가 볼록부(18)로부터 금속 데크(11)의 상면(16)을 향해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들 횡근(13)은 하단 오목부(29)의 바닥 부분(30)의 곡률과 대략 동일한 곡률을 가지거나, 또는 하단 오목부(29)의 바닥 부분(30)의 곡률보다 조금 작은 곡률을 가진다.
횡근(13)과 볼록부(18)를 스폿 용접하기 전에 있어서, 이들 횡근(13)을 하단 오목부(29)의 바닥 부분(30) 상에 배치하면, 횡근(13)이 하단 오목부(29)의 바닥 부분(30)의 정점(바닥 부분(30)을 거꾸로 했을 때의 정점)으로 낙하하고, 횡근(13)이 바닥 부분(30)에 위치 결정됨과 아울러, 도 6에 나타내듯이, 횡근(13)의 주면이 금속 데크(11)에 만들어진 볼록부(18)의 정상 부분(20)의 돌기(21)에 재치된다. 이들 횡근(13)은, 도 7에 나타내듯이, 볼록부(18)의 정상 부분(20)에 스폿 용접에 의해 용착(고정)되어 있다. 슬래브 구축재(10A)에서는 이들 격자근(26A, 26B)의 하단 오목부(29)가 금속 데크(11)의 상면(16)과 이들 횡근(13)에 끼워져 데크(11)의 상면(16)에 고정되어 있다.
횡근(13)과 볼록부(18)의 스폿 용접에서는,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횡근(13)의 상방에 일방의 전극을 배치하고, 금속 데크(11)에 만들어진 볼록부(18)의 양측 부분(19)의 사이에 타방의 전극을 배치한다. 타방의 전극은 볼록부(18)의 정상 부분(20)에 맞닿아 있다. 일방의 전극을 강하시키고 그 전극으로 횡근(13)의 주면을 하방으로 압압하고, 이들 전극으로 횡근(13)과 볼록부(18)의 정상 부분(20)을 끼워 넣는다. 이들 전극으로 횡근(13)과 볼록부(18)의 정상 부분(20)을 끼워 넣음과 동시에, 이들 전극에 소정의 전류를 흘린다(소정의 전압을 인가한다).
이들 전극으로부터 흐른 전류는 횡근(13)과 볼록부(18)에 흘러 횡근(13)과 볼록부(18)의 정상 부분(20)을 가열 용융한다. 다음에, 일방의 전극이 상승하고, 일방의 전극이 횡근(13)으로부터 이간하고, 횡근(13) 및 볼록부(18)가 자연스럽게 냉각되고, 횡근(13)과 볼록부(18)의 정상 부분(20)이 용착한다. 횡근(13)과 볼록부(18)의 용접시에는 볼록부(18)의 정상 부분(20)에 만들어진 돌기(21)가 눌려 찌부러짐과 아울러, 볼록부(18)의 정상 부분(20)의 전체가 횡근(13)의 주면에 용착하고, 횡근(13)과 볼록부(18)가 강고하게 고정된다.
슬래브 구축재(10A)는 이들 하단근(25A, 25B)이 볼록부(18)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하단근(25A, 25B)이 전극의 하강 및 상승의 방해로 되는 일은 없어 이들 전극에 의해 횡근(13)과 볼록부(18)의 정상 부분(20)을 확실하게 용접 고정할 수가 있다. 또한, 볼록부(18)의 정상 부분(20)에 돌기(21)를 만듦으로써, 횡근(13)과 볼록부(18)를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가 있고, 볼록부(18)의 돌기(21)를 통해 볼록부(18)의 정상 부분(20)과 횡근(13)을 확실하게 도통 상태로 할 수 있어 스폿 용접에 의해 횡근(13)과 볼록부(18)의 정상 부분(20)을 확실하게 용착할 수가 있다.
상단근(24)이나 하단근(25A, 25B), 격자근(26A, 26B), 횡근(13)은 굵기에 대해서 특히 한정은 없고, 구축하는 마루 슬래브나 천장 슬래브, 지붕 슬래브 등의 슬래브의 크기나 슬래브에 필요한 강도에 맞추어 상단근(24)이나 하단근(25A, 25B), 격자근(26A, 26B), 횡근(13)의 굵기를 자유롭게 바꿀 수가 있다. 상단근(24)이나 하단근(25A, 25B), 격자근(26A, 26B), 횡근(13)은 철로 만들어져 있지만, 철 이외의 금속으로 만들 수도 있다. 또, 상단근(24)이나 하단근(25A, 25B), 격자근(26A, 26B), 횡근(13)에 철근을 이용하는 경우는 이들에 도금 등의 방수 처리가 되어 있어도 좋다.
이 슬래브 구축재(10A)를 사용하여 슬래브를 구축하는 일례로서는, 금속 데크(11)의 상면(16)에 철근 트러스(12)와 횡근(13)을 설치하여 복수의 슬래브 구축재(10A)를 만든 후, 각 슬래브 구축재(10A)의 제1 훅(22)과 제2 훅(23)을 계합시키고, 이들 슬래브 구축재(10A)를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슬래브 구축재(10A)의 집합체를 만든다. 다음에, 연결한 슬래브 구축재(10A)의 집합체를 건축물의 가로 들보의 사이에 배치 고정한다. 슬래브 구축재(10A)의 집합체를 건축물의 가로 들보의 사이에 고정한 후, 금속 데크(11)의 상방으로부터 거푸집(도시하지 않음) 내에 콘크리트(도시하지 않음)를 타설하여 콘크리트를 소정 기간 양생한다. 콘크리트의 양생 기간이 경과한 후, 거푸집을 제거하여 마루 슬래브나 천장 슬래브, 지붕 슬래브 등의 슬래브를 완성한다.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원료 시멘트로는 프리믹스 시멘트, 포틀랜드 시멘트, 고로 시멘트, 플라이애쉬 시멘트, 실리카 시멘트 등의 기존의 것들을 사용할 수가 있다. 물에는 수돗물, 하천수, 호수와 늪의 물, 우물물, 지하수 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골재에는 조골재(粗骨材)나 세골재(細骨材)를 사용할 수가 있다.
슬래브 구축재(10A)에서는 볼록부(18)의 금속 데크(11)의 상면(16)으로부터의 높이 치수 L1(양측 부분(19)의 데크(11)의 상면(16)으로부터의 높이 치수 L1)이 격자근(26A, 26B)의 직경 L2와 대략 동일 또는 조금 크다. 따라서, 각 횡근(13)을 이들 격자근(26A, 26B)의 하단 오목부(29)의 바닥 부분(30) 상에 배치했을 때에 이들 횡근(13)이 볼록부(18)의 정상 부분(20)(돌기(21))에 반드시 맞닿는다. 슬래브 구축재(10A)에서는 각 횡근(13)이 볼록부(18)의 정상 부분(20)에 맞닿기 때문에, 횡근(13)을 볼록부(18)의 정상 부분(20)에 확실하게 용접 고정할 수가 있고, 이들 격자근(26A, 26B)의 하단 오목부(29)를 금속 데크(11)의 상면(16)과 이들 횡근(13)으로 끼움으로써, 격자근(26A, 26B)를 금속 데크(11)의 상면(16)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가 있다.
슬래브 구축재(10A)는 이들 횡근(13)이 이들 격자근(26A, 26B)의 하단 오목부(29)의 바닥 부분(30)에 배치되어 금속 데크(11)에 만들어진 볼록부(18)의 정상 부분(20)에 용접되고, 이들 격자근(26A, 26B)의 하단 오목부(29)가 금속 데크(11)의 상면(16)과 이들 횡근(13)에 끼워지고, 이에 의해 철근 트러스(12)를 형성하는 격자근(26A, 26B)이 금속 데크(11)의 상면(16)에 고정되기 때문에, 철근 트러스(12)를 금속 데크(11)의 상면(16)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가 있고, 금속 데크(11)와 철근 트러스(12)의 고정이 생각지 않게 해제되는 일은 없고, 콘크리트와 금속 데크(11) 및 철근 트러스(12)가 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형성하고, 슬래브 구축재(10A)에 타설한 콘크리트에 휨 인장력이나 휨 압축력, 전단력이 작용했다고 해도, 이들 힘에 의해 콘크리트가 파손되는 일이 없어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슬래브를 구축할 수가 있다.
슬래브 구축재(10A)에서는 격자근(26A, 26B)의 하단 오목부(29)가 대략 V자 모양으로 절곡되고, 바닥 부분(30)이 정점(바닥 부분(30)을 거꾸로 했을 때의 정점)을 가질 뿐만 아니라, 바닥 부분(30)이 횡근(13)의 곡률과 대략 동일한 곡률을 가지거나, 또는 횡근(13)의 곡률보다 조금 큰 곡률(횡근(13)이 바닥 부분(30)의 곡률보다 조금 작은 곡률)을 가지기 때문에, 횡근(13)을 격자근(26A, 26B)의 하단 오목부(29)의 바닥 부분(30) 상에 배치했을 때에 횡근(13)이 하단 오목부(29)의 바닥 부분(30)의 정점으로 낙하하고, 횡근(13)이 하단 오목부(29)의 바닥 부분(30)에 위치 결정되고, 횡근(13)이 어긋나 움직이는 일이 없어 횡근(13)의 전후 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횡근(13)을 볼록부(18)의 일정 개소에 확실하게 맞닿게 할 수가 있어 격자근(26A, 26B)에 대한 횡근(13)의 위치 결정을 별도로 행할 필요는 없고, 횡근(13)을 볼록부(18)의 정상 부분(20)에 확실하게 용접 고정할 수가 있다.
슬래브 구축재(10A)는 횡근(13)이 금속 데크(11)에 만들어진 볼록부(18)의 정상 부분(20)에 용접되고, 격자근(26A, 26B)의 하단 오목부(29)가 금속 데크의 상면에 맞닿을 뿐이고, 하단 오목부(29)가 금속 데크(11)에 용접되는 일은 없기 때문에, 미관을 해치는 일이 없는 것은 물론, 금속 데크(11)의 하면(17)에 용접 자국이 생기는 일이 없어 금속 데크(11)의 하면(17)에 있어서의 녹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제2 훅(23) 근방으로 뻗은 횡근(13)의 단부(31)가 볼록부(18)로부터 금속 데크(11)의 상면(16)을 향해 절곡되어 있지 않고, 곧은 모양으로 뻗어 있는 경우, 금속 데크(11)의 제1 훅(22)을 제2 훅(23)에 계합시킬 때, 횡근(13)의 단부(31)가 이들 훅(22, 23)의 계합의 방해로 되어, 이들 훅(22, 23)을 원활하게 계합시킬 수가 없지만, 슬래브 구축재(10A)는 제2 훅(23) 근방으로 뻗은 횡근(13)의 단부(31)가 볼록부(18)로부터 금속 데크(11)의 상면(16)을 향해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횡근(13)의 단부(31)가 이들 훅(22, 23)의 계합의 방해로 되는 일이 없어 이들 훅(22, 23)을 원활하게 계합시킬 수가 있고, 복수의 슬래브 구축재(10A)를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소정 면적의 슬래브 구축재(10A)의 집합체를 만들 수가 있다.
도 9는 다른 일례로서 나타내는 슬래브 구축재(10B)의 상면도이고, 도 10은 슬래브 구축재(10B)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슬래브 구축재(10B)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9~도 11에서는 전후 방향을 화살표 A, 횡방향을 화살표 B로 나타내고, 상하 방향을 화살표 C로 나타낸다. 이 슬래브 구축재(10B)가 도 1의 그것과 다른 점은 이들 하단근(25A, 25B)이 이들 격자근(26A, 26B)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점, 인접하는 철근 트러스(12)의 사이에 전후 방향으로 뻗은 보이드(32)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고, 그 외의 구성은 도 1의 슬래브 구축재(10A)와 동일하기 때문에 도 1과 동일한 부호를 붙임과 아울러 도 1의 설명을 원용하여 이 슬래브 구축재(10B)에 있어서의 그 외의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슬래브 구축재(10B)는 소정 면적을 가지는 전후 방향으로 긴 금속 데크(11)와, 금속 데크(11)의 상면(16)에 배치되어 횡방향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철근 트러스(12)와, 금속 데크(11)의 상면(16)에 배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횡근(13)과, 복수의 보이드(void)(32)로 만들어져 있다. 슬래브 구축재(10B)는 소정 면적의 마루 슬래브나 천장 슬래브, 지붕 슬래브 등의 슬래브(도시하지 않음)을 구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금속 데크(11)는 전후 방향으로 뻗은 양쪽 측연부(14A, 14B)와 횡방향으로 뻗은 양쪽 단연부(15A, 15B)를 가짐과 아울러, 평탄한 상면(16) 및 하면(17)을 가진다. 금속 데크(11)에는 그 상면(16)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여 전후 방향으로 뻗은 복수의 볼록부(18)가 만들어져 있다. 이들 볼록부(18)는 금속 데크(11)의 상면(16)으로부터 상방으로 대략 곧은 모양으로 뻗은 한 쌍의 양측 부분(19)과, 이들 양측 부분(19)의 사이에 있어서 대략 수평으로 뻗은 정상 부분(20)을 가진다(도 6, 7 원용). 정상 부분(20)에는 그 중앙에 위치하여 상방으로 볼록하게 되는 돌기(21)가 만들어져 있다. 금속 데크(11)의 일방의 측연부(14A)에는 도 1의 금속 데크(11)와 마찬가지의 제1 훅(22)(제1 계합부)이 만들어지고, 타방의 측연부(14B)에는 제2 훅(23)(제2 계합부)이 만들어져 있다.
이들 철근 트러스(12)는 금속 데크(11)의 상면(16)에 있어서 데크(11)의 볼록부(18)의 사이에 배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평행하게 뻗어 있다. 이들 철근 트러스(12)는 1개의 상단근(24)과 2개(한 쌍)의 하단근(25A, 25B)과 2개(한 쌍)의 격자근(26A, 26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단근(24)은 횡방향으로 늘어서는 한 쌍의 볼록부(18)의 사이에 위치하고, 금속 데크(11)의 상면(16)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치수 이간하여 전후 방향으로 곧은 모양으로 뻗어 있다.
이들 하단근(25A, 25B)은 횡방향으로 늘어서는 한 쌍의 볼록부(18)의 사이에 위치(이들 볼록부(18)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치수 이간하여 위치)하고, 이들 격자근(26A, 26B)의 내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단근(24)의 하방에 있어서 상단근(24)의 횡방향 양측에 위치하고 있다. 하단근(25A, 25B)은 금속 데크(11)의 상면(16)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치수 이간하여 전후 방향으로 곧은 모양으로 뻗어 있다.
이들 격자근(26A, 26B)은 횡방향으로 늘어서는 한 쌍의 볼록부(18)의 사이(이들 볼록부(18)로부터 내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금속 데크(11)와 상단근(24)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하 방향으로 파상으로 절곡(기복)을 반복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들 격자근(26A, 26B)은 상단근(24)측에 위치하는 상단 볼록부(27)와 금속 데크(11)의 상면(16)측에 위치하는 하단 오목부(29)와 상단 볼록부(27) 및 하단 오목부(29)의 사이로 뻗은 중간부(28)를 가진다.
철근 트러스(12)를 형성하는 한 쌍의 격자근(26A, 26B)은 상단근(24)을 끼워 횡방향으로 대칭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격자근(26A, 26B)은 금속 데크(11)에 대해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고, 그 상단 볼록부(27)로부터 하단 오목부(29)를 향해 횡방향 외방으로 넓어지게 되어 있다. 격자근(26A, 26B)의 상단 볼록부(27)는 볼록한 모양으로 절곡되고, 상하 방향 상방을 향해 볼록하게 되도록 절곡되어 대략 역V자 모양을 나타낸다. 상단 볼록부(27)는 상단근(24)의 주면에 맞닿고 상단 볼록부(27) 중의 상단근(24)과 교차하는 부분이 상단근(24)에 스폿 용접에 의해 용착(고정)되어 있다.
격자근(26A, 26B)의 중간부(28)는 하단근(25A, 25B)의 외측에 위치하고, 중간부(28) 중의 하단근(25A, 25B)과 교차하는 부분이 하단근(25A, 25B)에 스폿 용접에 의해 용착(고정)되어 있다. 격자근(26A, 26B)의 하단 오목부(29)는 오목한 모양으로 절곡되어 상하 방향 하방을 향해 오목하게 되도록 절곡되어 대략 V자 모양을 나타낸다. 하단 오목부(29)는 그 바닥 부분(30)이 이들 볼록부(18) 측부분(19)의 하단에 맞닿음과 아울러, 바닥 부분(30)이 금속 데크(11)의 상면(16)에 맞닿아 있다.
또한, 하단 오목부(29)의 바닥 부분(30)은 정점(바닥 부분(30)을 거꾸로 했을 때의 정점)을 가질 뿐만 아니라, 횡근(13)의 곡률과 대략 동일한 곡률을 가지거나, 또는 횡근(13)의 곡률보다 조금 큰 곡률을 가진다. 상단근(24)과 격자근(26A, 26B)의 상단 볼록부(27)의 스폿 용접이나 하단근(25A, 25B)과 격자근(26A, 26B)의 중간부(28)의 스폿 용접은 도 1의 철근 트러스(11)의 그것들과 동일하다.
철근 트러스(12)를 한 쌍의 볼록부(18)의 사이에 배치하면, 격자근(26A, 26B)의 하단 오목부(29)의 바닥 부분(30)이 이들 볼록부(18) 측부분(19)의 하단에 맞닿기 때문에, 철근 트러스(12)의 횡방향의 위치 결정이 용이하고, 횡방향의 이간 치수를 재면서 철근 트러스(12)를 금속 데크(11)의 상면(16)에 배치할 필요는 없고, 금속 데크(11)의 상면(16)에 있어서 철근 트러스(12)를 횡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간 평행하게 할 수가 있고, 철근 트러스(12)가 횡방향으로 정연하게 늘어서는 슬래브 구축재(10A)를 간단하게 조립할 수가 있다.
이들 횡근(13)은 그 횡방향의 길이 치수가 동일하고, 횡방향으로 곧은 모양으로 뻗어 있다. 횡근(13)은 이들 격자근(26A, 26B)의 하단 오목부(29)의 바닥 부분(30)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횡근(13)에서는 금속 데크(11)의 타방의 측연부(14B)에 있어서 제2 훅(23) 근방으로 뻗은 단부(31)가 볼록부(18)로부터 금속 데크(11)의 상면(16)을 향해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들 횡근(13)은 하단 오목부(29)의 바닥 부분(30)의 곡률과 대략 동일한 곡률을 가지거나, 또는 하단 오목부(29)의 바닥 부분(30)의 곡률보다 조금 작은 곡률을 가진다.
횡근(13)과 볼록부(18)를 스폿 용접하기 전에 있어서, 이들 횡근(13)을 하단 오목부(29)의 바닥 부분(30) 상에 배치하면, 횡근(13)이 하단 오목부(29)의 바닥 부분(30)의 정점(바닥 부분(30)을 거꾸로 했을 때의 정점)으로 낙하하고, 횡근(13)이 하단 오목부(29)의 바닥 부분(30)에 위치 결정됨과 아울러, 횡근(13)의 주면이 금속 데크(11)에 만들어진 볼록부(18)의 정상 부분(20)의 돌기(21)에 재치된다(도 6 원용). 이들 횡근(13)은 이들 볼록부(18)의 정상 부분(20)에 스폿 용접에 의해 용착(고정)되어 있다(도 7 원용). 슬래브 구축재(10A)에서는 이들 격자근(26A, 26B)의 하단 오목부(29)가 금속 데크(11)의 상면(16)과 이들 횡근(13)에 끼워져 데크(11)의 상면(16)에 고정되어 있다. 횡근(13)과 볼록부(18)의 스폿 용접은 도 1의 철근 트러스(12)의 그것과 동일하다.
슬래브 구축재(10B)는 이들 하단근(25A, 25B)이 볼록부(18)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하단근(25A, 25B)이 전극의 방해로 되는 일은 없어 이들 전극에 의해 횡근(13)과 볼록부(18)를 확실하게 용접 고정할 수가 있다. 또한, 볼록부(18)의 정상 부분(20)에 돌기(21)를 만듦으로써, 횡근(13)과 볼록부(18)를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가 있고, 볼록부(18)의 돌기(21)를 통해 볼록부(18)과 횡근(13)을 확실하게 도통 상태로 할 수 있어 스폿 용접에 의해 횡근(13)과 볼록부(18)의 정상 부분(20)을 확실하게 용착할 수가 있다.
이들 보이드(32)는 인접하는 철근 트러스(12)의 사이에 배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뻗어 있다. 보이드(32)는 금속판으로부터 만들어진 중공 통모양의 관재이다. 이들 보이드(32)는 철근 트러스(12) 중의 횡근(13) 상에 재치된 상태로 소정의 고정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슬래브 구축재(10B)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보이드(32)로서 관재 이외에 발포체(경질 발포 합성고무, 페놀폼, 비즈법 폴리스티렌폼)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슬래브 구축재(10B)를 사용하여 슬래브를 구축하는 일례로서는, 금속 데크(11)의 상면(16)에 철근 트러스(12)와 횡근(13)을 설치하여 복수의 슬래브 구축재(10B)를 만든 후, 각 슬래브 구축재(10B)의 제1 훅(22)과 제2 훅(23)을 계합시키고, 이들 슬래브 구축재(10A)를 횡방향으로 연결하고, 슬래브 구축재(10A)의 집합체를 만든다. 다음에, 철근 트러스(12)의 사이에 보이드(32)를 배치하고, 이들 보이드(32)를 슬래브 구축재(10B)에 고정한 후, 슬래브 구축재(10B)의 집합체를 건축물의 가로 들보의 사이에 배치 고정한다. 슬래브 구축재(10B)의 집합체를 건축물의 가로 들보의 사이에 고정한 후, 금속 데크(11)의 상방으로부터 거푸집(도시하지 않음) 내에 콘크리트(도시하지 않음)를 타설하여 콘크리트를 소정 기간 양생한다. 콘크리트의 양생 기간이 경과한 후, 거푸집을 제거하여 마루 슬래브나 천장 슬래브, 지붕 슬래브 등의 슬래브를 완성한다.
슬래브 구축재(10B)에서는 볼록부(18)의 금속 데크(11)의 상면(16)으로부터의 높이 치수 L1(양측 부분(19)의 데크(11)의 상면(16)으로부터의 높이 치수 L1)이 격자근(26A, 26B)의 직경 L2와 대략 동일 또는 조금 크다(도 5 원용). 따라서, 각 횡근(13)을 이들 격자근(26A, 26B)의 하단 오목부(29)의 바닥 부분(30) 상에 배치했을 때에 이들 횡근(13)이 볼록부(18)의 정상 부분(20)(돌기(21))에 반드시 맞닿는다. 슬래브 구축재(10B)에서는 각 횡근(13)이 볼록부(18)의 정상 부분(20)에 맞닿기 때문에, 횡근(13)을 볼록부(18)의 정상 부분(20)에 확실하게 용접 고정할 수가 있고, 이들 격자근(26A, 26B)의 하단 오목부(29)를 금속 데크(11)의 상면(16)과 이들 횡근(13)으로 끼움으로써, 격자근(26A, 26B)을 금속 데크(11)의 상면(16)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가 있다.
슬래브 구축재(10B)는 이들 횡근(13)이 이들 격자근(26A, 26B)의 하단 오목부(29)의 바닥 부분(30)에 배치되어 금속 데크(11)에 만들어진 볼록부(18)의 정상 부분(20)에 용접되고, 이들 격자근(26A, 26B)의 하단 오목부(29)가 금속 데크(11)의 상면(16)과 이들 횡근(13)에 끼워지고, 이에 의해 철근 트러스(12)를 형성하는 격자근(26A, 26B)이 금속 데크(11)의 상면(16)에 고정되기 때문에, 철근 트러스(12)를 금속 데크(11)의 상면(16)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가 있고, 금속 데크(11)와 철근 트러스(12)의 고정이 생각지 않게 해제되는 일은 없고, 콘크리트와 금속 데크(11) 및 철근 트러스(12)가 철근 콘크리트 구조를 형성하고, 슬래브 구축재(10B)에 타설한 콘크리트에 휨 인장력이나 휨 압축력, 전단력이 작용했다고 해도, 이들 힘에 의해 콘크리트가 파손되는 일이 없어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슬래브를 구축할 수가 있다.
슬래브 구축재(10B)에서는 격자근(26A, 26B)의 하단 오목부(29)가 대략 V자 모양으로 절곡되고, 바닥 부분(30)이 정점(바닥 부분(30)을 거꾸로 했을 때의 정점)을 가질 뿐만 아니라 바닥 부분(30)이 횡근(13)의 곡률과 대략 동일한 곡률을 가지거나, 또는 횡근(13)의 곡률보다 조금 큰 곡률(횡근(13)이 바닥 부분(30)의 곡률보다 조금 작은 곡률)을 가지기 때문에, 횡근(13)을 격자근(26A, 26B)의 하단 오목부(29)의 바닥 부분(30) 상에 배치했을 때에 횡근(13)이 하단 오목부(29)의 바닥 부분(30)의 정점으로 낙하하고, 횡근(13)이 하단 오목부(29)의 바닥 부분(30)에 위치 결정되고, 횡근(13)이 어긋나 움직이는 일이 없어 횡근(13)의 전후 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횡근(13)을 볼록부(18)의 일정 개소에 확실하게 맞닿게 할 수가 있어 격자근(26A, 26B)에 대한 횡근(13)의 위치 결정을 별도로 행할 필요는 없고, 횡근(13)을 볼록부(18)의 정상 부분(20)에 확실하게 용접 고정할 수가 있다.
슬래브 구축재(10B)는 횡근(13)이 금속 데크(11)에 만들어진 볼록부(18)의 정상 부분(20)에 용접되고, 격자근(26A, 26B)의 하단 오목부(29)가 금속 데크(11)의 상면(16)에 맞닿을 뿐이고, 하단 오목부(29)가 금속 데크(11)에 용접되는 일은 없기 때문에, 미관을 해치는 일이 없는 것은 물론, 금속 데크(11)의 하면(17)에 용접 자국이 생기는 일이 없어 금속 데크(11)의 하면(17)에 있어서의 녹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슬래브 구축재(10B)는 제2 훅(23) 근방으로 뻗은 횡근(13)의 단부(31)가 볼록부(18)로부터 금속 데크(11)의 상면(16)을 향해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횡근(13)의 단부(31)가 이들 훅(22, 23)의 계합의 방해로 되는 일이 없어 이들 훅(22, 23)을 원활하게 계합시킬 수가 있고, 복수의 슬래브 구축재(10B)를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소정 면적의 슬래브 구축재(10B)의 집합체를 만들 수가 있다.
슬래브 구축재(10B)는 콘크리트의 교체로서 보이드(32)가 이용되고, 슬래브 구축재(10B)의 전역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필요는 없고, 보이드(32)의 체적만큼의 콘크리트를 생략할 수가 있기 때문에, 그만큼의 수고와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슬래브 구축의 비용을 삭감할 수가 있다. 슬래브 구축재(10B)는 거기에 콘크리트만을 타설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이드(32)의 체적만큼의 콘크리트를 생략할 수가 있기 때문에, 슬래브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가 있어 철골 건축물이나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에 관련되는 하중을 저감할 수가 있다.
10A  슬래브 구축재 10B  슬래브 구축재
11  금속 데크 12  철근 트러스
13  횡근
14A, 14B  양쪽 측연부 15A, 15B  양쪽 단연부
16  상면 17  하면
18  볼록부
19  양측 부분 20  정상 부분
21  돌기
22  제1 훅(제1 계합부) 23  제2 훅(제2 계합부)
24  상단근
25A, 25B  하단근 26A, 26B  격자근
27  상단 볼록부 28  중간부
29  하단 오목부
30  바닥 부분 31  단부
32  보이드(void)
L1  높이 치수 L2  직경

Claims (7)

  1. 소정 면적의 슬래브를 구축하기 위한 슬래브 구축재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 구축재가, 전후 방향으로 뻗은 양쪽 측연부 및 횡방향으로 뻗은 양쪽 단연부를 가지는 소정 면적의 금속 데크와, 상기 금속 데크의 상면에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뻗은 복수의 철근 트러스와, 상기 금속 데크의 상면에 위치하여 횡방향으로 뻗어 있어 전후 방향으로 소정 치수 이간하여 늘어서는 복수의 횡근을 구비하고,
    상기 금속 데크가, 그 상면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하여 전후 방향으로 뻗어 있어 횡방향으로 소정 치수 이간하여 늘어서는 복수의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철근 트러스가, 횡방향으로 늘어서는 한 쌍의 상기 볼록부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금속 데크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에 위치하여 전후 방향으로 뻗은 상단근과, 상기 한 쌍의 볼록부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금속 데크와 상기 상단근의 사이에 위치하여 전후 방향으로 뻗은 한 쌍의 하단근과, 상기 한 쌍의 볼록부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금속 데크와 상기 상단근의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파상으로 절곡을 반복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뻗은 한 쌍의 격자근으로 형성되고,
    이들 격자근이, 상기 상단근에 맞닿아 볼록한 모양으로 절곡하는 상단 볼록부로부터 상기 금속 데크의 상면에 맞닿아 오목한 모양으로 절곡하는 하단 오목부를 향해 횡방향 외방으로 넓어지게 되고, 이들 격자근의 상단 볼록부가, 상기 상단근에 용접되고, 이들 격자근의 중간부가, 상기 하단근에 용접되고, 이들 횡근이, 이들 격자근의 하단 오목부에 배치되어 상기 금속 데크에 만들어진 볼록부에 용접되고, 이들 격자근의 하단 오목부가, 상기 금속 데크의 상면과 이들 횡근에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 구축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근이, 단면 원형의 금속봉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볼록부의 상기 금속 데크의 상면으로부터의 높이 치수가, 상기 격자근의 직경과 대략 동일 또는 조금 크고, 상기 슬래브 구축재에서는 상기 횡근을 상기 격자근의 하단 오목부에 배치했을 때에 상기 횡근이 상기 볼록부의 정상 부분에 맞닿는 슬래브 구축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근이, 단면 원형의 금속봉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슬래브 구축재에서는 상기 횡근을 상기 격자근의 하단 오목부에 배치했을 때에 상기 횡근이 상기 격자근의 하단 오목부의 바닥 부분에 위치하도록 이 하단 오목부가 대략 V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있는 슬래브 구축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들 하단근이, 이들 격자근의 외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볼록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이들 격자근의 하단 오목부가, 상기 한 쌍의 볼록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횡근과 상기 볼록부가, 스폿 용접에 의해 용착되어 있는 슬래브 구축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들 하단근이, 이들 격자근의 내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볼록부의 내측에 위치하고, 이들 격자근의 하단 오목부가, 상기 한 쌍의 볼록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횡근과 상기 볼록부가, 스폿 용접에 의해 용착되어 있는 슬래브 구축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데크의 일방의 측연부가, 이 데크의 하방으로 절곡되어 제1 계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금속 데크의 타방의 측연부가, 이 데크의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계합부와 계합하는 제2 계합부를 형성하고, 상기 금속 데크의 일방의 측연부에 있어서 상기 제2 계합부 근방으로 뻗은 상기 횡근의 단부가, 상기 볼록부로부터 상기 금속 데크의 상면을 향해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는 슬래브 구축재.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래브 구축재에서는 이들 철근 트러스끼리가 횡방향으로 소정 치수 이간하여 늘어서고, 인접하는 철근 트러스의 사이에 전후 방향으로 뻗은 보이드가 설치되어 있는 슬래브 구축재.
KR1020120149354A 2012-02-10 2012-12-20 슬래브 구축재 KR201300923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27351 2012-02-10
JP2012027351A JP2013163914A (ja) 2012-02-10 2012-02-10 スラブ構築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2370A true KR20130092370A (ko) 2013-08-20

Family

ID=48923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354A KR20130092370A (ko) 2012-02-10 2012-12-20 슬래브 구축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3163914A (ko)
KR (1) KR20130092370A (ko)
CN (1) CN1032438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13550A1 (it) * 2021-05-25 2022-11-25 Tecnostrutture S R L Trave per strutture autoportanti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71154B2 (ja) * 2014-07-23 2018-08-08 ケンテック株式会社 鉄筋構造材
CN104695605B (zh) * 2015-03-19 2017-03-08 昆山生态屋建筑技术有限公司 一种密肋楼板组装式模具
CN105649249B (zh) * 2015-12-31 2018-09-04 扬州大学 内置空心圆钢管的压型钢板混凝土双向组合楼板
CN105888139B (zh) * 2016-04-29 2018-05-22 陆庆祥 一种楼房建筑的钢筋布置方法
AU2018265763A1 (en) * 2017-05-12 2019-09-19 Csr Building Products Limited Panel having curved reinforcement
JP7079434B2 (ja) * 2020-05-11 2022-06-02 株式会社クギン 連結金具、連結金具付き鉄筋ト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デッキプレ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AU2022310942A1 (en) 2021-07-14 2024-02-29 Mitsubishi Estate Co., Ltd. Composite deck plate
CN115045436B (zh) * 2022-06-21 2023-12-05 山东万斯达科技股份有限公司 钢管架组合板及其制作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2100013550A1 (it) * 2021-05-25 2022-11-25 Tecnostrutture S R L Trave per strutture autoportanti
EP4095315A1 (en) * 2021-05-25 2022-11-30 Tecnostrutture SRL Beam for self-supporting struc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63914A (ja) 2013-08-22
CN103243851A (zh) 201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2370A (ko) 슬래브 구축재
KR101144586B1 (ko) 장스팬 적용 및 층고 절감을 위한 폐단면 강재 보 및 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 합성보 시스템
KR102056406B1 (ko) 역삼각래티스형 압축부를 강화한 하프 pc 슬래브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255464B1 (ko) 캡 플레이트를 활용한 단부 연속화 데크 플레이트 시스템
KR20170035128A (ko) 형고를 유지하면서 단면강성이 향상된 강상자형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586390B1 (ko) 강성 보강 데크플레이트
KR101260863B1 (ko) 아치형 피에스씨빔을 이용한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531626B1 (ko) 피씨(Precast concrete) 합성슬래브용 전단 보강 부재
KR100838409B1 (ko) 데크형 복공판
KR101202377B1 (ko) 트러스거더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JP2010275739A (ja) 鉄筋構造物および鉄筋施工方法
KR20130111862A (ko) 상부 돌출 보강보를 가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KR101854160B1 (ko) 횡단면 압축 좌굴이 보강된 프리캐스트 바닥판
KR101783326B1 (ko) 단부 구속을 통한 초고강도 콘크리트 라멘교 및 이의 시공방법
JP2015031137A (ja) デッキプレート構造物
JP7021763B2 (ja) スラブ施工方法
KR102170635B1 (ko) 비용절감형 중공pc 바닥판넬
KR101721603B1 (ko) 콘크리트 슬래브 타설용 데크
JP2007262859A (ja) デッキプレート
KR102247070B1 (ko) 중공 슬래브의 설치 구조
KR101010109B1 (ko) 조립형 콘크리트 충전 강합성 복공판
KR101244906B1 (ko) 개선된 구조의 신축이음장치용 앵커 및 이의 시공방법
JP6553855B2 (ja) 建物の基礎構造、および、建物の基礎の施工方法
JP5729566B2 (ja) コンクリート平版のせん断補強の形成方法と、道路床版及びフラットスラブ
KR20100022703A (ko) Gfrp 소재의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합성슬래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