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1384A - 가열과 냉각 기능을 갖는 라미네이터 가압 롤러 - Google Patents

가열과 냉각 기능을 갖는 라미네이터 가압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1384A
KR20130091384A KR1020120012596A KR20120012596A KR20130091384A KR 20130091384 A KR20130091384 A KR 20130091384A KR 1020120012596 A KR1020120012596 A KR 1020120012596A KR 20120012596 A KR20120012596 A KR 20120012596A KR 20130091384 A KR20130091384 A KR 20130091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fruit
pressure roller
roller
lamin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금용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안
Priority to KR1020120012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1384A/ko
Publication of KR20130091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3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8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cool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미네이터(laminator) 가압 롤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압 롤러의 몸체 내부에 열매(熱媒)인 절연유 또는 냉매(冷媒)인 냉각수의 공급을 위한 열매(熱媒) 또는 냉매(冷媒) 공급배관과, 열매 또는 냉매의 배출을 위한 열매 또는 냉매 배출배관 및 가압 롤러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구비하여 라미네이팅(laminating) 작업시 가열 가압 롤러 또는 냉각 가압 롤러로 선택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가압 롤러로 얇은 라미네이트필름의 라미네이팅과, 두꺼운 라미네이트필름의 라미네이팅을 모두 가능하도록 하는 가열과 냉각 기능을 갖는 라미네이터 가압 롤러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라미네이터 가압 롤러로서, 상기 가압 롤러의 몸체 내부에 축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고정설치되고, 일단으로는 절연유 또는 냉각수와 같은 열매 또는 냉매의 주입을 위한 주입구가 형성되며, 타 일단으로는 열매 또는 냉매를 롤러의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열매 또는 냉매 배출구가 형성된 열매 또는 냉매 공급배관과; 상기 열매 또는 냉매 공급배관의 일 측 부분 외주를 감싸도록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압 롤러의 일 단 중앙부에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열매 또는 냉매 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된 열매 또는 냉매를 필요에 따라 가두거나 배출하도록 개폐가능한 출구를 일 측으로 갖는 개폐커버와 접하도록 설치되는 열매 또는 냉매 배출배관과; 상기 가압 롤러의 몸체 내부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어 열을 제공하는 히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열과 냉각 기능을 갖는 라미네이터 가압 롤러{A Heating and cooling Function with pressurized roller laminator}
본 발명은 라미네이터(laminator) 가압 롤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압 롤러의 몸체 내부에 열매(熱媒)인 절연유 또는 냉매(冷媒)인 냉각수의 공급을 위한 열매(熱媒) 또는 냉매(冷媒) 공급배관과, 열매 또는 냉매의 배출을 위한 열매 또는 냉매 배출배관 및 가압 롤러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구비하여 라미네이팅(laminating) 작업시 가열 가압 롤러 또는 냉각 가압 롤러로 선택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가압 롤러로 얇은 라미네이트필름의 라미네이팅과, 두꺼운 라미네이트필름의 라미네이팅을 모두 가능하도록 하는 가열과 냉각 기능을 갖는 라미네이터 가압 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미네이터(Laminator)는 지지 롤러와 가압 롤러 즉, 2개의 롤러 사이로 라미네이팅(laminating) 하고자 하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폴리에틸렌(PE : polyethylene)과 같은 라미네이트필름(laminate film : 합성수지필름 수 종류, 또는 합성수지필름과 다른 재질과를 laminate(엷은 판을 합함)한 것.)을 통과시켜 접착을 이루도록 하는 장치이다.
한편, 가압 롤러는 접착하고자 하는 라미네이트필름의 두께에 따라 가열(히팅) 가압 롤러를 사용하거나, 냉각 가압 롤러를 사용해야 한다. 즉, 얇은 라미네이트필름을 접착하기 위해서는 가열된 패널을 통과하여 이송되는 얇은 라미네이트필름을 냉각 가압 롤러가 설치된 라미네이터로 가공하여야 하고, 두꺼운 라미네이트필름을 접합하거나, 두꺼운 라미네이트필름의 표면에 엠보싱(embossing : 열과 압력에 의하여 오목 볼록한 모양을 나타내는 가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가열 가압 롤러가 설치된 라미네이터로 가공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냉각 가압 롤러를 장착한 라미네이터와 가열 가압 롤러를 장착한 라미네이터를 각각 설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라미네이터의 크기는 개략 3m ∼8m 정도이므로 공간이 협소한 곳에서는 2대를 설치하여 작업을 이루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당히 넓은 설치 공간이 필요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주원인이 된다.
이에 따라 냉각 가압 롤러를 구비한 라미네이터와 가열 가압 롤러를 구비한 라미네이터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함은 물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라미네이터가 요구되었고, 이에 부합하여 다양한 구성의 라미네이터가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라미네이터는 하나의 가압 롤러로 얇은 라미네이트필름과 두꺼운 라미네이트필름의 라미네이팅(laminating) 작업을 할 수 없기 때문에 1대의 라미네이터로 얇은 라미네이트필름과 두꺼운 라미네이트필름의 라미네이팅 작업을 이루고자 할 경우, 얇은 라미네이트필름의 라미네이팅 작업시에는 냉각 가압 롤러를 장착하고, 두꺼운 라미네이트필름의 라미네이팅 작업시에는 가열 가압 롤러로 교체장착하여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또 무거운 가압 롤러의 교체로 인해 안전사고 등의 발생을 억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냉각 가압 롤러와 가열 가압 롤러를 각각으로 항상 구비하여야 하므로 이에 대한 비용상승은 여전히 해소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교체를 위한 가압 롤러의 보관에도 어려움이 있으며, 가압 롤러의 교체로 인해 작업자에게 쉽게 피로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가압 롤러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면만 열을 가하게 되면 무늬가 선명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고, 또 폴리에틸렌(PE) 티다이 층을 가스불 등으로 가열하여 그 열로 필름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합지하는 방식으로 하면 필름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열에 의하여 녹으면서 두께의 변화를 주어 전체의 면에 일정한 무늬가 형성되지 않아 양호한 제품을 만들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과 냉각을 모두 용이하게 이루기 위한 가압 롤러를 구성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가열 가압 롤러 또는 냉각 가압 롤러로 전환을 통해 얇은 라미네이트필름 또는 두꺼운 라미네이트필름의 라미네이팅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라미네이터 가압 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라미네이터 가압 롤러로서, 상기 가압 롤러의 몸체 내부에 축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고정설치되고, 일단으로는 절연유 또는 냉각수와 같은 열매 또는 냉매의 주입을 위한 주입구가 형성되며, 타 일단으로는 열매 또는 냉매를 가압 롤러의 몸체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열매 또는 냉매 공급배관과; 상기 열매 또는 냉매 공급배관의 일 측 부분 외주를 감싸도록 원통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단은 상기 몸체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결합 되고, 타 일단은 상기 열매 또는 냉매 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된 열매 또는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출구를 형성한 열매 또는 냉매 배출배관과; 상기 가압 롤러의 몸체 내부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어 열을 제공하는 히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 롤러는 냉각 가압 롤러 또는 가열 가압 롤러로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 롤러를 냉각 가압 롤러로 형성할 경우에는 냉매의 공급 및 배출은 순환되도록 이루어지고, 가열 가압 롤러로 형성할 경우에는 열매의 충전 후 배출이 방지되도록 개폐커버의 개폐구멍을 개폐마개로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 롤러와 열매 또는 냉매 배출배관은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열매 또는 냉매 공급배관과 개폐커버는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커버의 개폐구멍은 채용하는 열매 또는 냉매의 배출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개폐마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압 롤러 내부에 열매인 절연유를 충전시키고 히터를 가동하여 가압 롤러를 가열 가압 롤러로 구성하거나, 또는 냉매인 냉각수를 공급, 배출이 순환되도록 하여 가압 롤러를 냉각 가압 롤러로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가압 롤러로 얇은 라미네이트필름과 두꺼운 라미네이트필름의 접착을 모두 이룰 수 있어 항상 용이한 작업성을 제공함은 물론 추가의 가압 롤러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가압 롤러의 교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가압 롤러로 얇은 라미네이트필름의 라미네이팅 작업과 두꺼운 라미네이트필름의 라미네이팅 작업을 이룰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얇거나 두꺼운 라미네이트필름의 라미네이팅 작업 변경을 위해 가압 롤러를 교체하지 않아도 되므로, 생산성 향상을 이룸과 동시에 넓은 설치 공간이 필요 없기 때문에 공간 확보의 부담을 덜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압 롤러의 일부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압 롤러의 횡 단면 상태로서 몸체 내부로 주입되는 냉매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 롤러의 종 단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체인과 모터 등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압 롤러의 개략적인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열과 냉각 기능을 갖는 라미네이터 가압 롤러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압 롤러(100)는, 열매 또는 냉매 공급배관(110)과 열매 또는 냉매 배출배관(120) 및 히터(130)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열매 또는 냉매 공급배관(110)은, 일단에 열매 또는 냉매의 주입을 위한 주입구(111)가 형성되고, 타 일단에는 주입된 열매 또는 냉매를 가압 롤러(100)의 몸체(100a)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배출구(112)가 형성된다.
상기 주입구(111)는 냉매인 냉각수의 공급을 위한 별도의 호스와 결합과 분리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예컨대, 일반적으로 배관연결 또는 호스연결에 주로 사용되는 원터치형 결합구조 또는 나사결합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결구조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주입구(111)는 주입되는 열매 또는 냉매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개폐마개(c)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가압 롤러(100)를 가열 가압 롤러로 구성하기 위해 몸체(100a)의 내부로 열매의 하나인 절연유를 주입하여 충전이 완료되고 나면 상기 주입구(111)를 개폐마개(c)로 폐쇄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가압 롤러(100)를 냉각 가압 롤러로 구성하기 위해 냉매인 냉각수를 주입할 경우에는 열교환 된 냉매를 교체 주입하도록 배출구(112)를 통해 지속적으로 배출시키고, 동시에 주입구(111)로는 차가운 냉매가 지속적으로 주입되도록 수전(水栓)과 연결된 호스(hose)를 결합하기 위해 개폐마개(c)를 제거하여 개방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열매 또는 냉매 공급배관(110)은 일 측 즉, 배출구(112)가 형성된 부분은 가압 롤러(100)의 몸체(100a) 일 측에 형성된 상기 열매 또는 냉매 배출배관(12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몸체(100a) 내부에 축 방향(길이방향)으로 위치하도록 고정설치되고, 대향 하는 타 일 측 즉, 주입구(111)가 형성된 부분은 몸체(100a) 외부에 위치하도록 돌출 형성된다.
상기 열매 또는 냉매 배출배관(120)은, 열매 또는 냉매 공급배관(110)을 수용하도록 개략 원통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단은 상기 몸체(100a)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결합 되어 회전축 역할을 하며, 타 일단은 상기 열매 또는 냉매 공급배관(110)을 통해 공급된 열매 또는 냉매를 몸체(100a)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출구(121)가 형성된다.
상기 출구(121)의 외 측에는 몸체(100a) 내부로 공급된 열매 또는 냉매를 필요에 따라 배출하거나 가두기 위한 개폐구멍(122a)을 갖는 개폐커버(12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열매 또는 냉매 배출배관(120)은 회전 동작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개폐커버(122)는 열매 또는 냉매 배출배관(120)과는 달리 고정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열매 또는 냉매 배출배관(120)의 출구(121) 측 외주와 상기 개폐커버(122) 내주 사이에는 열매 또는 냉매 배출배관(120)의 회전을 돕고 개폐커버(122)는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베어링(미도시)과 틈을 밀폐하여 열매 또는 냉매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예컨대, 오-링(Oring) : 물 따위가 새는 것을 막는 데에 쓰는 원형의 고리. 천연고무, 합성 고무, 합성수지 따위로 형성된 것)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실링 부재는 열매 또는 냉매 공급배관(110)의 주입구(111)에도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열매 또는 냉매 배출배관(120)의 외주에는 가압 롤러(100)의 회전을 돕기 위한 베어링(140)과, 종동 스프로킷(17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종동 스프로킷(170)에는 동력원인 모터(150)의 축에 설치되는 원동 스프로킷(160)과 연결을 위한 체인(180)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 롤러(100)의 타 일 측 즉, 열매 또는 냉매 배출배관(120)이 형성된 반대 측의 회전축 외주에도 가압 롤러(100)의 회전을 돕기 위한 베어링(140)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150)의 회전 동작시 원동 스프로킷(160)이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체인(180)에 의해 연결된 종동 스프로킷(170)을 회전시키면서 양측으로 베어링(140)에 의해 회전이 더욱더 용이하도록 지지 되는 회전축을 갖는 가압 롤러(10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 롤러(100)의 몸체(100a)에 일체로 형성된 회전축인 열매 또는 냉매 배출배관(120)은 회전하지만 상기 열매 또는 냉매 공급배관(110)과 개폐커버(122)는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회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호스의 엉킴을 방지함과 동시에, 냉각수 또는 절연유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히터(130)는 상기 열매 또는 냉매 배출배관(120)의 외 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가압 롤러(100)의 몸체(100a) 내부 원주를 따라 방사 상(radial, 放射狀)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중공형 홀(101)에 설치되어 전원 공급시 발생 되는 열을 몸체(100a) 외주면 전체 부분으로 확산시켜 표면온도를 균일화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히터(130)는 통상의 히터방식이나 오일순환방식 또는 유도가열방식 등의 모든 가열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히터(130)의 수량은 가압 롤러의 몸체(100a) 지름과 두께 및 요구하는 온도정밀도에 따라 적절히 가감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히터(130)에서 형성된 열을 열매(熱媒)로 전하고, 이것을 통해 피가열체를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방식을 채용하도록 구성하였다. 이에 따라 직접가열법에 비해서 국부가열을 피할 수 있고, 온도조절이 용이하며, 화재나 폭발의 위험성도 적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가압 롤러(100)는 일 측에 가열 또는 냉각이 수행되면 몸체(100a)의 외주 면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온도조절기(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온도조절기는 가열 가압 롤러의 온도 또는 열매의 온도를 표시하여 주는 온도게이지(미도시)와, 가열 가압 롤러 또는 열매의 온도를 체크 하는 온도센서(미도시) 및 컨트롤부(미도시)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히터(130)와 온도조절기에 컨트롤부가 연결되어 두꺼운 라미네이트필름의 라미네이팅 작업이 요구하는 이상의 온도 또는 요구하는 이하의 온도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라미네이팅 작업시 열화에 의해 라미네이트필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열 가압 롤러의 과열시 시스템에 대한 오동작을 방지하여 작업성 향상을 이루고, 사용자에게 신뢰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조절기의 구성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 상기 몸체(100a)의 내부는 히터(130)에서 발생된 열을 몸체(100a)의 외주면 전체로 더욱더 고르게 전도하기 위한 절연유와 같은 열매가 충전될 수 있도록 빈 공간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히터(130)에서 발생하는 열은 충전된 열매로 전도되어 몸체(100a)의 전체로 고르게 확산 되므로, 중심부와 표면 및 양단의 온도 차이가 없이 균일한 온도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가압 롤러(100)의 외주 면이 요구하는 얇은 라미네이트필름과 두꺼운 라미네이트필름의 라미네이팅 작업에 필요한 온도를 제공하기 위한 열매 또는 냉매를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라미네이팅 작업을 이룰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압 롤러(100)로 얇은 라미네이트필름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폴리에틸렌(PE : polyethylene)과 같은 발포 원단을 라미네이팅 하고자 할 경우에는 냉각 가압 롤러로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 열매 또는 냉매 공급배관(110)으로는 냉매인 냉각수를 공급하여 열교환 시킨 후, 상기 열매 또는 냉매 배출배관(120)을 통해 개폐커버(122)의 개폐구멍(122a)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동작을 순환하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또, 두꺼운 라미네이트필름과 발포 원단 등을 라미네이팅 하고자 할 경우에는 가압 롤러의 몸체(100a)를 가열 가압 롤러로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 열매 또는 냉매 공급배관(110)을 통해 공급된 냉매는 열매 또는 냉매 배출배관(120)을 통해 모두 완전히 배출시킨 후, 열매인 절연유를 충전하여 상기 열매 또는 냉매 배관(120)까지 모두 채워지도록 한다.
그 다음, 상기 열매 또는 냉매 배관(110)의 주입구(111)와 개폐커버(122)의 개폐구멍(122a)를 개폐마개(c)로 폐쇄하고, 상기 히터(130)를 가동하여 요구하는 온도로 가열시켜 열매인 절연유로 전도되게 하여 요구하는 온도를 유지하게 한다.
즉, 상기 가압 롤러(100)를 냉각 가압 롤러로 사용할 경우에는 냉매(冷媒)인 냉각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열교환 된 냉각수는 계속 배출시켜 냉각수인 냉매가 지속적으로 순환되도록 하여야 하고, 상기 가압 롤러(100)를 가열 가압 롤러로 사용할 경우에는 열매(熱媒)인 절연유를 충전한 후, 두꺼운 라미네이트필름의 라미네이팅 공정이 요구하는 온도를 유지시켜야 하기 때문에 열매인 절연유의 순환이 방지되도록 상기 개폐마개(122)의 개폐구멍(122a)을 폐쇄시켜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가압 롤러(100)가 설치된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예컨대 얇은 라미네이트필름을 라미네이팅 작업을 하고자 할 경우, 가압 롤러의 몸체(100a)를 냉각 가압 롤러로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 열매 또는 냉매 공급배관(110)으로는 냉매인 냉각수를 공급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모터(150)가 회전 동작하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원동 스프로킷(160)과 종동 스프로킷(170)이 체인(180)에 의해 연동하면서 가압 롤러(100)의 양쪽 회전축을 회전시켜 가압 롤러(100)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 롤러(100)의 몸체(100a) 내부로 공급된 냉각수는 공급압력과 가압 롤러(100)의 회전 동작에 의해 몸체(100a)의 내부 전체를 고르게 순환하면서 열교환 된 후, 열매 또는 냉매 배출배관(120)과 출구(121)을 통과한 후, 개폐커버(122)의 개폐구멍(122a)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냉매(冷媒)인 냉각수는 열매 또는 냉매 공급배관(110)으로 주입된 후, 열매 또는 냉매 배출배관(120)과 출구(121)를 거쳐 개폐커버(122)의 개폐구멍(122a)으로 배출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고, 이 순환과정에서 열교환 된 냉각수는 다시 냉각 가압 롤러가 요구하는 온도로 냉각시킨 후 공급하거나 새로운 냉각수를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라미네이터(1000)의 가압 롤러(100)와 지지 롤러(200) 사이로는 이전 공정에서 공급된 열을 수용한 라미네이트필름이 유입되면 가압 롤러(100)와 지지 롤러(200)에 의해 눌려지면서 접착된다.
상기와 같이 접착된 라미네이트필름은 가이드 롤러(300)를 따라 이동하여 수취 롤러(미도시)에 권취되거나 다른 공정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두꺼운 라미네이트필름을 라미네이팅 작업하고자 할 경우, 가압 롤러(100)를 가열 가압 롤러로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기 열매 또는 냉매 배관(110)으로 공급된 냉매인 냉각수와 공기 등을 모두 완전히 배출시킨 후, 열매인 절연유를 공급한다.
이때, 공급된 절연유는 충전되는 압력에 의해 열매 또는 냉매 공급배관(110)의 일단 부분으로 형성된 열매 또는 냉매 배출구(112)를 거쳐 상기 열매 또는 냉매 배출배관(120)과 출구(121)를 통과한 후, 개폐커버(122)까지 충전이 완료되면 개폐구멍(122a)을 개폐마개(c)로 폐쇄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열매 또는 냉매 공급배관(110)의 주입구(111)도 개폐마개(c)로 폐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라미네이터(1000)에 전원을 공급하면 컨트롤부는 히터(130)에 작동명령을 전달하여 열을 생성한다.
상기와 같이 히터(130)가 가열되면 온도가 상승함과 동시에 가압 롤러(100)의 몸체(100a) 내부에 충전된 절연유로 열이 전도되면서 몸체(100a) 전체로 온도가 균일하게 확산된다. 이때 상기 몸체(100a)의 온도를 온도게이지가 표시하여 주게 되고, 동시에 온도센서가 온도를 체크하여 컨트롤부에 전달하여 두꺼운 라미네이트필름의 라미네이팅 작업이 요구하는 적정 온도로 유지되도록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라미네이터(1000)의 가압 롤러(100)와 지지 롤러(200) 사이로는 접합하고자 하는 두꺼운 라미네이트필름을 유입시키면 가압 롤러(100)와 지지롤러(200)에 의해 눌려지면서 상호 접착된다.
상기와 같이 접착된 두꺼운 라미네이트필름은 가이드 롤러(300)를 따라 이동하여 수취 롤러에 권취되거나 다른 공정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터 가압 롤러(100)는 이와 같은 작용을 지속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얇은 라미네이트필름 및 두꺼운 라미네이트필름 등을 1대의 라미네이터로 접착할 수 있어 항상 용이한 작업성을 제공함은 물론 추가의 가압 롤러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가압 롤러의 교체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넓은 설치 공간이 필요 없기 때문에 공간 확보의 부담을 덜어줘 비용 절감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가압 롤러 100a : 몸체
101 : 중공형 홀 110 : 열매 또는 냉매 공급배관
111 : 주입구 112 : 배출구
120 : 열매 또는 냉매 배출배관 121 : 출구
122 : 개폐커버 122a : 개폐구멍
130 : 히터 140 : 베어링
150 : 모터 160 : 원동 스프로킷
170 : 종동 스프로킷 180 : 체인
200 : 지지 롤러 300 : 가이드 롤러
c : 개폐마개 1000 : 라미네이터

Claims (5)

  1. 라미네이터 가압 롤러로서,
    상기 가압 롤러의 몸체 내부에 축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고정설치되고, 일단으로는 절연유 또는 냉각수와 같은 열매 또는 냉매의 주입을 위한 주입구가 형성되며, 타 일단으로는 열매 또는 냉매를 가압 롤러의 몸체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된 열매 또는 냉매 공급배관과;
    상기 열매 또는 냉매 공급배관의 일 측 부분 외주를 감싸도록 원통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단은 상기 몸체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결합 되고, 타 일단은 상기 열매 또는 냉매 공급배관을 통해 공급된 열매 또는 냉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출구를 형성한 열매 또는 냉매 배출배관과;
    상기 가압 롤러의 몸체 내부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고, 원주 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어 열을 제공하는 히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과 냉각 기능을 갖는 라미네이터 가압 롤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 롤러는 냉각 가압 롤러 또는 가열 가압 롤러로 선택하여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과 냉각 기능을 갖는 라미네이터 가압 롤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압 롤러를 냉각 가압 롤러로 형성할 경우에는 냉매의 공급 및 배출은 순환되도록 이루어지고, 가열 가압 롤러로 형성할 경우에는 열매의 충전 후 배출이 방지되도록 개폐커버의 개폐구멍을 개폐마개로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과 냉각 기능을 갖는 라미네이터 가압 롤러.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압 롤러와 열매 또는 냉매 배출배관은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열매 또는 냉매 공급배관과 개폐커버는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과 가열 기능을 갖는 라미네이터 가압 롤러.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개폐커버의 개폐구멍은 채용하는 열매 또는 냉매의 배출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개폐마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과 가열 기능을 갖는 라미네이터 가압 롤러.
KR1020120012596A 2012-02-08 2012-02-08 가열과 냉각 기능을 갖는 라미네이터 가압 롤러 KR201300913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596A KR20130091384A (ko) 2012-02-08 2012-02-08 가열과 냉각 기능을 갖는 라미네이터 가압 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596A KR20130091384A (ko) 2012-02-08 2012-02-08 가열과 냉각 기능을 갖는 라미네이터 가압 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384A true KR20130091384A (ko) 2013-08-19

Family

ID=49216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596A KR20130091384A (ko) 2012-02-08 2012-02-08 가열과 냉각 기능을 갖는 라미네이터 가압 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1384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601B1 (ko) * 2014-02-17 2015-07-14 강의모 가열 롤러
JP2016186628A (ja) * 2015-01-13 2016-10-27 株式会社リコー 光沢付与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6555797A (zh) * 2015-09-30 2017-04-05 三星显示有限公司 层压装置及层压方法
KR20180014265A (ko) * 2016-07-28 2018-02-08 (주)이앤드에스 판재를 가압가공하는 엠보싱 장치
CN109927967A (zh) * 2018-02-01 2019-06-25 宋怡 一种贴附组件以及用于电力标牌的贴附机
CN114274589A (zh) * 2022-01-04 2022-04-05 山东鼎润锻压机床有限公司 一种pp蜂窝板围板箱在线同步压痕机的加热温控组件
KR20230126331A (ko) * 2022-02-23 2023-08-30 주식회사 일진엠앤씨 열매체유 순환방식의 히팅롤러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601B1 (ko) * 2014-02-17 2015-07-14 강의모 가열 롤러
JP2016186628A (ja) * 2015-01-13 2016-10-27 株式会社リコー 光沢付与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6555797A (zh) * 2015-09-30 2017-04-05 三星显示有限公司 层压装置及层压方法
KR20180014265A (ko) * 2016-07-28 2018-02-08 (주)이앤드에스 판재를 가압가공하는 엠보싱 장치
CN109927967A (zh) * 2018-02-01 2019-06-25 宋怡 一种贴附组件以及用于电力标牌的贴附机
CN114274589A (zh) * 2022-01-04 2022-04-05 山东鼎润锻压机床有限公司 一种pp蜂窝板围板箱在线同步压痕机的加热温控组件
KR20230126331A (ko) * 2022-02-23 2023-08-30 주식회사 일진엠앤씨 열매체유 순환방식의 히팅롤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1384A (ko) 가열과 냉각 기능을 갖는 라미네이터 가압 롤러
US3009072A (en) Fluid cooled motors
CN106573405B (zh) 被供与颗粒和/或液体的3d打印机头的颗粒和/或液体流量调节装置
KR101344950B1 (ko) 모터 일체형 공랭식 마그네틱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오토클레이브
US3068133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einforced plastic product
US20100230037A1 (en) Hybrid composite journal bear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ITBS20100190A1 (it) Sistema integrato di preriscaldo e di raffreddamento per stampi
CN104114350A (zh) 热塑性树脂件的焊接装置、焊接方法及焊接装置用的按压单元
EP0396396B1 (en) Tub apparatus and method of forming same
JP2011099532A (ja) 攪拌機用ダブルメカニカルシールのシール流体循環装置
CN103292627A (zh) 用于冷却检测器的冷却压敷装置
CN113579788B (zh) 一种薄壁圆柱形舱段快速装夹工装
US20100060006A1 (en) Generator
EA022131B9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ереноса теплоты
CN201014748Y (zh) 血浆融化仪
US7547207B2 (en) Cooling arrangement for centering device and spline shaft
CN204036998U (zh) 一种新型tac膜复合机
US8807171B1 (en) Method and system for lining pipes
CN103357290A (zh) 一种具有加热和冷却功能的混料机装置与混料方法
CN203955471U (zh) 热熔胶机出胶装置
CN106712391A (zh) 自循环冷却油泵电机
KR101229252B1 (ko) 물탱크 패널 제조장치
US20160069590A1 (en) Water heating and distribution system and system control device
CN101628474B (zh) 一种包括增压温控流体回路的吹塑中空体的装置
CN106311082B (zh) 一种用于反应釜上的机械密封平衡罐辅助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