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1215A - 시력교정용 3d 안경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한 3d 안경 - Google Patents

시력교정용 3d 안경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한 3d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1215A
KR20130091215A KR1020120012559A KR20120012559A KR20130091215A KR 20130091215 A KR20130091215 A KR 20130091215A KR 1020120012559 A KR1020120012559 A KR 1020120012559A KR 20120012559 A KR20120012559 A KR 20120012559A KR 20130091215 A KR20130091215 A KR 20130091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glasses
film
vision
vision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승종
Original Assignee
(주)소모옵티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소모옵티칼 filed Critical (주)소모옵티칼
Priority to KR1020120012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1215A/ko
Priority to PCT/KR2013/000989 priority patent/WO2013119051A1/ko
Publication of KR20130091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2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4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involving temporal multiplexing, e.g. using sequentially activated left and right shut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34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 G02B30/37Collapsible stereoscop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3Measuring during assembly or fitting of spectacles
    • G02C13/005Measuring geometric parameters required to locate ophtalmic lenses in spectacles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6Shades; shields; Obturators, e.g. with pinhole, with slo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027/0178Eyeglass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력교정용 3D 안경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한 3D 안경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곡면 형태의 3D필름; 및 상기 3D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되는 곡면 형태의 시력교정용 렌즈;를 구비하는 3D 안경용 렌즈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3D 안경용 렌즈는 시력교정용 렌즈를 사용하므로, 3D 렌즈의 기능을 가지면서 동시에 시력교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3D 안경용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력교정을 위해서 시력교정용 안경을 착용할 필요가 있는 사용자는 3D 콘텐츠의 소비를 위해서 추가로 3D 안경을 착용할 필요가 없다.

Description

시력교정용 3D 안경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한 3D 안경{3D LENS FOR CORRECTING DEFECTIVE VISION OF AN EYE AND 3D GLASSE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3D 안경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한 3D 안경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시력교정용 렌즈를 사용한 3D 안경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한 3D 안경에 대한 것이다.
차세대 3D 정보단말 기술의 총아로 불리는 3D 입체영상 기술은 직접적으로 방송뿐만 아니라, 오락, 우주항공, 군사, 의료, 영화 등 거의 모든 산업 분야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그 부가가치 또한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되는 분야이다. 3D 입체영상 기술은 1838년 영국의 찰스 위트스톤(Charles Wheatstone)이 스테레오스코프(Stereoscoph)를 발표한 이후 국내외 연구소 및 교육기관 등에서 활발히 연구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3D 입체영상 기술은 크게 좌, 우 두 개의 2차원 영상을 이용한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입체영상 방식과, 물체의 산란 정보를 이용한 홀로그래픽(holographic) 3차원 방식으로 분류된다. 홀로그래픽 방식은 물체에서 산란된 빛을 이용해 자연스러운 입체영상을 재현하는 궁극적인 3차원 입출력 방식이지만 방대한 양의 3차원 정보 및 관련 소자의 한계로 현재의 전송시스템으로는 실시간적 구현이 불가능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지각하는 입체감은 관찰하고자 하는 물체의 위치에 따른 수정체의 두께 변화 정도, 양쪽 눈과 대상물과의 각도 차이, 그리고 좌우 눈에 보이는 대상물의 위치 및 형태의 차이, 대상물의 운동에 따라 생기는 시차, 그 밖에 각종 심리 및 기억에 의한 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생긴다. 그 중에서도 사람의 두 눈이 가로 방향으로 약 6~7㎝가량 떨어져 위치함으로써 나타나게 되는 양안 시차는 입체감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양안 시차에 의해 대상물에 대한 각도 차이를 가지고 바라보게 되고, 이 차이로 인해 각각의 눈에 들어오는 이미지가 서로 다른 상을 갖게 되며 이 두 영상이 망막을 통해 뇌로 전달되면 뇌는 이 두 개의 정보를 정확히 서로 융합하여 본래의 3D 입체 영상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을 이용한 것이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입체영상 방식이다.
상기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입체영상 방식은 주로 특수 제작된 안경을 사용하며, 이러한 안경식은 상호 보색 관계에 있는 색 필터를 이용해 영상을 분리 선택하는 색필터 방식, 편광 소자의 조합에 의한 차광 효과를 이용해서 좌안과 우안의 영상을 분리하는 편광필터 방식 및 좌안 영상신호와 우안 영상신호를 스크린에 투사하는 동기신호에 대응하여 좌안과 우안을 교번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셔터 글래스 방식이 존재한다.
특히, 상기 편광필터 방식은 일반 3D 영화관에서 채택한 방식으로, 셔터 글래스 방식에 비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3D 안경을 제공할 수 있고, 깜박거림이 발생하기 않는 등의 사용상의 이점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편광필터 방식의 3D 안경도 시력교정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에게는 시력교정용 안경을 이중으로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시력교정이 가능한 편광필터 방식의 3D 안경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한 3D 안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곡면 형태의 3D필름; 및 상기 3D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되는 곡면 형태의 시력교정용 렌즈;를 구비하는 3D 안경용 렌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3D필름은 편광필름, 편광보호필름 및 보상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필름들이 적층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편광필름으로는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비닐알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광보호필름으로는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보상필름은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노보넨 코폴리머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3D 안경용 렌즈를 사용하며, 상기 렌즈를 감싸는 림, 안경을 코에 지지해 주는 노우즈 패드 및 안경다리를 구비하는 3D 안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3D 안경용 렌즈는 시력교정용 렌즈를 사용하므로, 3D 렌즈의 기능을 가지면서 동시에 시력교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3D 안경용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력교정을 위해서 시력교정용 안경을 착용할 필요가 있는 사용자는 3D 콘텐츠의 소비를 위해서 추가로 3D 안경을 착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3D 안경용 렌즈는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햇빛의 차단을 위한 시력교정이 가능한 선글라스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시력교정용 렌즈의 일면에 곡면 형태의 3D필름이 부착된 3D 안경용 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형태의 3D필름 양면에 시력교정용 렌즈가 상하로 부착된 3D 안경용 렌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3D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3D 안경용 렌즈를 구비한 안경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시력교정용 렌즈를 도입한 3D렌즈의 일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3D 안경용 렌즈는 곡면 형태의 3D필름; 및 상기 3D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되는 곡면 형태의 시력교정용 렌즈;를 구비한다.
3D 입체영상 기술은 크게 좌, 우 두 개의 2차원 영상을 이용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방식과, 물체의 산란 정보를 이용한 홀로그래픽 3차원 방식으로 분류되며,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방식은 일반적으로 양안 시차를 발생시킬 수 있는 3D 안경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 방식은 편광필터 방식과 셔터 글래스 방식이 존재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3D 안경을 제공할 수 있고, 깜박거림이 발생하기 않는 등의 사용상의 이점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편광방식의 3D 안경도 시력교정을 필요로 하는 사용자에게는 시력교정용 안경을 이중으로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3D 안경용 렌즈는 시력교정용 렌즈를 사용하므로, 3D 렌즈의 기능을 가지면서 동시에 시력교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3D 안경용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시력교정을 위해서 시력교정용 안경을 착용할 필요가 있는 사용자는 3D 콘텐츠의 소비를 위해서 추가로 3D 안경을 착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3D 안경용 렌즈는 빛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햇빛의 차단을 위한 시력교정이 가능한 선글라스의 기능도 부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3D 안경용 렌즈(100)는 곡면 형태의 3D필름(20); 및 상기 3D필름(20)의 일면에 부착되는 곡면 형태의 시력교정용 렌즈(1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3D 안경용 렌즈(100)는 도 1에 도시된 상기 3D필름(20)이 상기 시력교정용 렌즈(10)의 전면에 부착된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3D필름(20)이 상기 시력교정용 렌즈(10)의 후면에 부착된 경우도 포함한다. 특히, 상기 3D필름(20)이 상기 시력교정용 렌즈(10)의 후면에 부착된 경우에는 외부의 스크래치에 의한 손상을 좀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3D 안경용 렌즈(200)는 곡면 형태의 3D필름(20); 및 상기 3D필름(20)의 양면에 부착되는 곡면 형태의 시력교정용 렌즈(11,1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3D 안경용 렌즈(200)는 3D필름(20)이 시력교정용 렌즈(11,12)들 사이에 위치하는 샌드위치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3D필름(20)의 일면에만 렌즈(20)가 위치하는 3D 안경용 렌즈(100)의 경우보다 3D필름(20)의 외부 스크래치 등의 손상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3D필름은 편광필름, 편광보호필름 및 보상필름을 포함하며 이들이 적층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편광필름, 편광보호필름 및 보상필름의 적층 순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예상가능한 적층 순서의 경우의 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3D필름(20)은 편광보호필름(21), 편광필름(22) 및 보상필름(23)의 순서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편광필름(22)은 좌안과 우안의 영상이 편광되어 디스플레이되는 3D 콘텐츠로부터 빛의 편광특성에 의한 차광효과를 이용해서 좌안과 우안의 영상을 분리하는 필터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비닐알콜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콜 필름(Poly Vinyl Alcohol, PVA)은 일축 연신시켜 고분자 사슬을 연신 방향으로 배양시키고, 이색성을 가지는 요오드 분자 또는 이색성 염료분자를 연신된 폴리비닐알콜 필름에 염착시켜 연신방향으로 나란히 배열시킴으로써 그 기능이 얻어진다. 이색성을 가지는 요오드 분자와 염료분자는 연신방향과 평행하게 배열됨으로서 연신방향으로 진동하는 빛은 투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편광보호필름(21)은 편광필름(22) 보호체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ate cellulose, TAC)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편광보호필름(21)은 상기 편광필름(22)의 단면 또는 양면에 접착된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편광보호필름(21)의 표면에는 요구특성에 따라 산란, 경도강화, 무반사, 저반사 등의 특성을 가지는 표면코팅 처리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보상필름(23)은 좌안과 우안의 영상이 편광되어 디스플레이되는 3D 콘텐츠로부터 편광되는 빛의 위상차를 변경하여 편광특성으로 보정 또는 수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노보넨 코폴리머 수지 등을 포함하는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보상필름(23)은 원편광된 빛을 선편광된 빛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시력교정용 렌즈(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시력교정용 렌즈 중에서 본 발명에 적합한 시력교정용 렌즈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시력교정용 렌즈(10)로는 유리 렌즈 및 플라스틱 렌즈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플라스틱 렌즈로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아릴-디글리률-카보네이트 등을 사용하여 제조된 렌즈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존의 평면 렌즈를 사용하는 3D 안경용 렌즈와 달리 본 발명의 3D 안경용 렌즈는 곡면 형태를 가지므로, 사용자에게 보다 안정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눈과의 이격되는 거리가 균일하여 좀더 향상된 3D 입체영상의 제공이 가능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3D 안경(300)은 3D 안경용 렌즈(100)와 상기 렌즈를 감싸는 림, 안경을 코에 지지해 주는 노우즈 패드 및 안경다리로 이루어진 안경프레임(30)을 구비하는 3D 안경에 있어서, 상기 3D 안경용 렌즈(100)는 곡면 형태의 3D필름; 및 상기 3D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되는 곡면 형태의 시력교정용 렌즈를 포함하는 3D 안경용 렌즈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3D 안경용 렌즈를 사용한 3D 안경은 시력교정과 3D안경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3D 콘텐츠의 소비를 위해서 추가로 3D 안경을 착용할 필요가 없으며, 햇빛의 차단을 위한 시력교정이 가능한 선글라스의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안경용 렌즈의 제조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살펴본다.
먼저, 편광보호필름(21), 편광필름(22) 및 보상필름(23)의 순서로 적층하여 3D필름(20)을 준비한다. 상기 필름들을 적층시에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열을 가하거나 압력을 가하여 접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3D필름(20)을 열이나 압력을 가하여 곡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곡면은 상기 필름들의 적층과정에서 동시에 곡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후에, 시력교정용 렌즈(10)를 제조하여 준비한다. 이러한 시력교정용 렌즈(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렌즈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특별히 그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몰드를 사용하여 수지를 주입하고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또는 유리를 가공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준비된 곡면 형태의 3D필름(20)과 시력교정용 렌즈(10)를 접합하여 3D 안경용 렌즈를 제조한다. 이러한 접합시에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열이나 압력을 가하여 접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3D 안경용 렌즈의 제조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살펴본다.
먼저, 편광보호필름(21), 편광필름(22) 및 보상필름(23)의 순서로 적층하여 3D필름(20)을 준비한다. 상기 필름들을 적층 시에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열을 가하거나 압력을 가하여 접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3D필름(20)을 열이나 압력을 가하여 곡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곡면은 상기 필름들의 적층과정에서 동시에 곡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후에, 시력교정용 렌즈(10)를 구성하는 제1 렌즈(11)와 제2 렌즈(12)를 제조하여 준비한다. 이러한 제1 렌즈(11)와 제2 렌즈(12)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렌즈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특별히 그 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몰드를 사용하여 수지를 주입하고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또는 유리를 가공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상기 준비된 곡면 형태의 3D필름(20)의 양면에 시력교정용 렌즈(10)를 구성하는 제1 렌즈(11)와 제2 렌즈(12)를 접합하여 3D 안경용 렌즈를 제조한다. 이러한 접합시에는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열이나 압력을 가하여 접합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준비된 3D필름(20)을 렌즈 제조용 몰드에 삽입하고, 수지를 주입하고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10: 시력교정용 렌즈 11: 제1 렌즈
12: 제2 렌즈 20: 3D필름
21: 편광보호필름 22: 편광필름
23: 보상필름 30: 안경프레임
100: 3D 안경용 렌즈 200: 3D 안경용 렌즈
300: 3D 안경

Claims (6)

  1. 곡면 형태의 3D필름; 및
    상기 3D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부착되는 곡면 형태의 시력교정용 렌즈;를 구비하는 3D 안경용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필름은 편광필름, 편광보호필름 및 보상필름을 포함하며 이들이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안경용 렌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필름은 폴리비닐알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안경용 렌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보호필름은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안경용 렌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필름은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노보넨 코폴리머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안경용 렌즈.
  6. 3D 안경용 렌즈, 상기 렌즈를 감싸는 림, 안경을 코에 지지해 주는 노우즈 패드 및 안경다리를 구비하는 3D 안경에 있어서,
    상기 3D 안경용 렌즈는 상기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3D 안경용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안경.
KR1020120012559A 2012-02-07 2012-02-07 시력교정용 3d 안경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한 3d 안경 KR2013009121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559A KR20130091215A (ko) 2012-02-07 2012-02-07 시력교정용 3d 안경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한 3d 안경
PCT/KR2013/000989 WO2013119051A1 (ko) 2012-02-07 2013-02-07 시력교정용 3d 안경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한 3d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559A KR20130091215A (ko) 2012-02-07 2012-02-07 시력교정용 3d 안경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한 3d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215A true KR20130091215A (ko) 2013-08-16

Family

ID=49216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559A KR20130091215A (ko) 2012-02-07 2012-02-07 시력교정용 3d 안경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한 3d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12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23674B (zh) 显示系统
JP2010151954A (ja) 偏光眼鏡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67656B1 (ko) 3차원 안경렌즈와 이를 이용한 안경
KR101045500B1 (ko) 돗수렌즈가 결합된 입체(쓰리디)화상 시청용 렌즈 조립체
KR20100054120A (ko) 사용자 맞춤형 입체영상용 안경
KR101007884B1 (ko) 입체(쓰리디) 화상 시청용 시력 교정 렌즈조립체
KR20120139020A (ko) 입체 영상 시청용 콘택트 렌즈
TWI526717B (zh) 裸視立體顯示裝置及排列裸視立體顯示裝置之像素的方法
KR101207849B1 (ko) 탈부착이 편리한 기능성 돗수렌즈를 구비한 입체(3d)화상 시청용 렌즈조합체
KR20060002398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30110105A (ko) 2d 영상 또는 사물 이미지를 3d 영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입체안경
KR20130091215A (ko) 시력교정용 3d 안경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한 3d 안경
TW201232043A (en) Single-piece liquid crystal 3D glasses
US20110261316A1 (en) Lens assembly for viewing three-dimensional (3d) images
CN202393977U (zh) 复合功能3d眼镜
WO2013119051A1 (ko) 시력교정용 3d 안경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한 3d 안경
CN202149979U (zh) 一种新型立体眼镜
KR20110107531A (ko) 입체화상시스템
KR101153205B1 (ko) 입체(쓰리디)화상 시청용 렌즈조립체
KR20100098980A (ko) 위상차 필름을 이용한 편광필름 및 그 필름이 적용된 편광안경
KR101214138B1 (ko) 액정 디스플레이 모듈 제작 방법
CN201859257U (zh) 小孔三维立体眼镜
KR101114620B1 (ko) 3차원 표시시스템
JP3165271U (ja) 立体画像鑑賞用眼鏡
CN201917676U (zh) 一种可提高立体偏光眼镜观影亮度的偏光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