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7531A - 입체화상시스템 - Google Patents

입체화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7531A
KR20110107531A KR1020100026701A KR20100026701A KR20110107531A KR 20110107531 A KR20110107531 A KR 20110107531A KR 1020100026701 A KR1020100026701 A KR 1020100026701A KR 20100026701 A KR20100026701 A KR 20100026701A KR 20110107531 A KR20110107531 A KR 20110107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er
polarized light
liquid crystal
film
retardatio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오형
김봉춘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6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7531A/ko
Publication of KR20110107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5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7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polarisation multiplex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화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표시장치로부터 출사된 빛을 원편광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필터부 및 착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각각 입체화상을 전달하기 위한 셔터 안경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부는 제1 편광자와 제1 λ/4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셔터 안경부는 제2 λ/4 위상차 필름, 액정패널 및 제2 편광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λ/4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은 상기 제1 λ/4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과 서로 수직으로 배치됨으로써, 제2 λ/4 위상차 필름에 의한 파장분산성을 감소시켜 고스트 현상(좌우 화상의 미분할)을 개선시킬 수 있고, 눈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입체화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입체화상시스템 {STEREOSCOPIC IMAGE SYSTEM}
본 발명은 고스트 현상을 개선하여 암(BLACK) 상태의 화상일 때 색상을 띄지 않아 완벽한 흑색의 구현이 가능하고 눈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입체화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두 눈은 약 65㎜ 정도 떨어져 있어 물체를 볼 때 각각의 눈은 물체의 약간 다른 면을 보게 된다. 이를 알아 볼 수 있는 방법으로 한 물체를 손바닥으로 한쪽 눈을 가린 후 보이는 물체의 형태와, 또 다른 한 쪽을 가린 후 보이는 물체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이를 좌우 양안에 의한 차이(Disparity)라고 하는데 이 차이가 뇌에서 합성되어 입체감을 가지는 상으로 지각된다. 이 원리가 입체화상 재현에 응용되는 기본 원리이다.
입체화상을 보는 방식으로는 크게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과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무안경식이 있다. 그 중에서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은 양안에 각각 청색과 적색의 색안경을 쓰는 애너그리프(anaglyph) 방식; 각각 편광 방향이 다른 편광안경을 쓰는 편광방식; 및 시간 분할된 화면을 주기적으로 반복시키고 이 주기에 동기(synchronize)시킨 액정셔터가 설치된 안경을 쓰는 액정셔터 안경식(또는 시분할식) 등이 있다.
종래의 액정셔터 안경식을 이용하는 입체화상시스템은 화상표시장치의 전면에 편광자와 제1 λ/4 위상차 필름이 위치하고, 액정셔터 안경은 상기 제1 λ/4 위상차 필름의 전면으로부터 제2 λ/4 위상차 필름, 액정패널, 편광자가 배치되어 구성된다(도 1).
액정셔터 안경식을 이용하는 입체화상시스템은 화상동기장치(유선 또는 무선)에 의해 액정셔터 안경식의 화상표시장치는 좌안 화상 및 우안 화상을 교대로 빠르게 디스플레이하고, 그것과 동기시켜서 액정셔터 안경을 일정시간 개폐시킴으로써 입체화상을 구현하는 방식이다.
즉, 좌안 화상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때에는 액정셔터 안경의 좌안 셔터가 개방되고, 우안 화상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때에는 액정셔터 안경의 우안 셔터가 개방되는 데 매우 빠르게 동작을 번갈아 가면서 좌우안의 화상이 디스플레이 되기 때문에 인간의 시각으로는 그 시간차이를 거의 감지하지 못하다. 따라서, 좌안과 우안의 각 화상이 거의 동시에 지속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것처럼 느껴지므로 인간의 두뇌에서는 그것을 하나의 입체화상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또한, 액정셔터 안경을 착용한 사용자가 머리를 상하좌우로 움직여도 셔터기능은 유효하게 작동되었다.
그러나, λ/4 위상차 필름은 파장분산성을 나타내어 셔터안경을 착용한 사용자의 눈에는 화상이 흑색인 암(BLACK) 상태에서 빛샘의 발생으로 좌우 화상의 분할이 명확하지 않아 고스트 현상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액정셔터 안경을 착용한 사용자의 눈으로 입사되는 빛이 선편광이므로 눈의 감광세포에 대한 자극이 커 눈의 피로감을 가중시키는 단점이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02-082307호
본 발명은 셔터 안경부의 제2 λ/4 위상차 필름을 통과한 빛의 파장분산성을 감소시켜 고스트 현상(좌우 화상의 미분할)을 개선시킬 수 있으므로 암(BLACK) 상태의 화상일 때 색상을 띄지 않아 완벽한 흑색의 화상 구현이 가능한 입체화상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경 착용자의 눈으로 입사되는 빛을 원편광, 타원편광 또는 무편광으로 변환시켜 눈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입체화상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 화상표시장치로부터 출사된 빛을 원편광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필터부 및 착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각각 입체화상을 전달하기 위한 셔터 안경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부는 제1 편광자와 상기 제1 편광자를 통과한 빛을 원편광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1 λ/4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셔터 안경부는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빛을 선편광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2 λ/4 위상차 필름, 시분할된 표시면 주기에 동기화된 액정패널 및 상기 액정패널에서 출사된 빛을 통과시키는 제2 편광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λ/4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은 상기 제1 λ/4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과 서로 수직인 입체화상시스템.
2. 위 1에 있어서, 제2 λ/4 위상차 필름과 액정패널 사이에 상기 제2 λ/4 위상차 필름을 통과한 선편광과 동일한 방향의 투과축을 갖는 제3 편광자를 추가로 포함하는 입체화상시스템.
3. 위 1 또는 2에 있어서, 제1 또는 제2 λ/4 위상차 필름 중 적어도 하나는 경사연신된 낱장의 필름 또는 경사연신된 필름이 롤로부터 귄출되는 연속상의 필름인 입체화상시스템.
4. 위 3에 있어서, 제2 편광자의 착용자 쪽 면에 선편광을 원편광, 타원편광 또는 무편광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편광 변환층이 추가된 입체화상시스템.
5. 위 4에 있어서, 상기 편광 변환층은 λ/4 위상차 필름인 입체화상시스템.
6. 위 4에 있어서, 상기 편광 변환층은 RM 액정층인 입체화상시스템.
7. 위 4에 있어서, 제1 편광자와 제 2편광자는 투과축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 입체화상시스템.
본 발명에 따른 입체화상시스템은 셔터 안경부의 제2 λ/4 위상차 필름을 통과한 빛의 파장분산성을 감소시켜 고스트 현상(좌우 화상의 미분할)을 개선시킬 수 있으므로 암(BLACK) 상태의 화상일 때 색상을 띄지 않아 완벽한 흑색의 화상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화상시스템은 눈의 시각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어 장시간 입체화상 관람이 가능하고, 눈 건강 보호에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화상시스템은 간단한 제조공정으로 대면적의 입체화상 구현에 효과적이다.
도 1은 종래 입체화상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화상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입체화상시스템의 원리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정면방향 시각에서 380nm, 550nm 및 780nm 파장의 편광상태 변화를 푸앙카레구상에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입체화상시스템의 원리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입체화상시스템의 원리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입체화상시스템의 원리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비교예의 정면방향 시각에서 380nm, 550nm 및 780nm 파장의 편광상태 변화를 푸앙카레구상에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고스트 현상을 개선하여 암(BLACK) 상태의 화상일 때 색상을 띄지 않아 완벽한 흑색의 구현이 가능하고 눈의 시각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입체화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도 2의 입체화상시스템을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입체화상시스템은 화상표시장치(10)로부터 출사된 빛을 원편광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필터부(20) 및 착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각각 입체화상을 전달하기 위한 셔터 안경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부(20) 는 제1 편광자(21)와 상기 제1 편광자를 통과한 빛을 원편광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1 λ/4 위상차 필름(23)을 포함한다.
상기 셔터 안경부(30)는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빛을 선편광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2 λ/4 위상차 필름(33), 시분할된 표시면 주기에 동기화된 액정패널(31) 및 상기 액정패널에서 출사된 빛을 통과시키는 제2 편광자(35)를 포함한다.
상기 제2 λ/4 위상차 필름(33)의 지상축(34)은 상기 제1 λ/4 위상차 필름(23)의 지상축(24)과 서로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입체화상시스템은 도 3과 같이 제2 λ/4 위상차 필름(33)과 액정패널(31) 사이에 상기 제2 λ/4 위상차 필름(33)을 통과한 선편광과 동일한 방향의 투과축(38)을 갖는 제3 편광자(37)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도 2의 입체화상시스템의 원리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필터부(20)의 제1 편광자(21)가 수평 방향으로 선편광된 경우만을 일례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경우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필터부의 제1 편광자가 수직 방향으로 선편광된 경우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도 4에서 화상표시장치에서 좌안 화상이 표시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화상표시장치(10)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필터부의 제1 편광자(21)를 통과하여 선편광 방향이 수평 방향 성분인 것만 투과되고, 제1 λ/4 위상차 필름(23)을 통과하면서 원편광으로 변환된다. 상기 원편광된 빛은 셔터 안경부의 제2 λ/4 위상차 필름(33)을 통과하여 수평 방향 성분의 선편광으로 변환된다. 상기 수평 방향 성분의 선편광은 액정패널(31)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수직 방향 성분으로 선편광이 통과하고, 수직 방향의 선편광은 제2 편광자(35)의 투과축과 동일하므로 좌안 화상을 볼 수 있게 된다. 반면 전압이 인가되면 수평 방향 성분의 선편광이 액정패널(31)에서 제2 편광자의 투과축과 수직인 수평 방향 성분으로 통과되므로 좌안 화상을 볼 수 없게 된다.
우안 화상이 표시되는 경우도 상기와 같은 원리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입체화상시스템은 셔터 안경부의 제2 λ/4 위상차 필름을 통과한 빛이 파장(380nm, 550nm 및 780nm )에 따라 도 5의 3rd 과 같은 편광상태를 나타내어 파장분산성이 현저히 감소되므로 좌우 화상의 미분할로 발생되는 고스트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입체화상시스템은 셔터 안경부의 제1 및 제2 λ/4 위상차 필름을 그 지상축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배치하여 제2 λ/4 위상차 필름을 통과한 빛의 파장분산성 개선하고, 필터부와 셔터 안경부의 편광자는 투과축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배치하여 빛샘을 방지함으로써 암(BLACK) 상태의 화상일 때 색상을 띄지 않아 완벽한 흑색의 화상을 구현할 수 있다.
화상표시장치는 화상신호를 화면에 주기적으로 주사하는 방식의 장치이면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일례로 음극선관(CRT), 액정디스플레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프로젝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중 액정디스플레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가 바람직하다.
필터부는 화상표시장치로부터 출사된 빛을 원편광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필터부는 제1 편광자와 상기 제1 편광자를 통과한 빛을 원편광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1 λ/4 위상차 필름을 포함한다.
화상표시장치의 최외각 표면에 제1 편광자가 내장되어 배치된 경우에는 필터부는 제1 λ/4 위상차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화상표시장치 제조 시 상판 편광자의 시인측에 제1 λ/4 위상차 필름이 접합된 내장형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내장형인 경우 제1 λ/4 위상차 필름이 편광자의 보호필름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박형화 및 공정의 단순화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필터부는 화상표시장치 전면에 위치하여 화면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터부는 테두리 부분 또는 윗부분에 착탈 수단을 지니면 필요에 따라 화상표시장치와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셔터 안경부는 착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각각 입체화상을 전달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셔터 안경부는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빛을 선편광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2 λ/4 위상차 필름, 시분할된 표시면 주기에 동기화된 액정패널 및 상기 액정패널에서 출사된 빛을 통과시키는 제2 편광자를 포함한다.
셔터 안경부는 제2 편광자의 안경 착용자쪽 면에 편광자로부터 출사하는 선편광된 빛을 원편광, 타원편광 또는 무편광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편광변환층(41, 43)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무편광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편광변환층이 좋다.
원편광 또는 타원편광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편광변환층은 제3 λ/4 위상차 필름, 또는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액정층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편광은 λ/4 위상 지연 효과를 갖는 위상차 필름을 사용하여 구현되고, 타원편광은 λ/4에 가까운 위상 지연 효과를 갖는 위상차 필름을 사용하여 구현된다. 일례로 입사광이 589.3nm일 때, 100nm 내지 180nm의 위상지연값을 가지는 위상차 필름을 적용하면 원편광 또는 타원편광으로의 변환이 가능하다.
또한 무편광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편광변환층은 액정 화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무편광은 하기 수학식 1로 표현되는 편광도(DOP, Degree Of Polarization)가 0인 빛이다. 이때 편광도가 1인 빛은 완전편광(원편광, 선편광 또는 타원편광)이라 한다.
Figure pat00001
(이때, S0, S1, S2, S3는 스토크 파라메타(Stokes Parameter)임)
인간은 장기적인 발전 과정에서 눈이 무편광에 적응되어 있으므로 무편광을 나타내도록 편광도(DOP)를 감소시켜 안경 착용자의 눈에 입사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인간의 눈은 편광도(DOP)를 0.5 이하에서는 무편광(편광도 0)과 유사하게 느끼므로 입체화상 디스플레이용 안경을 통과한 빛의 편광도(DOP)가 0.5 이하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편광도(DOP)가 실질적으로 0인 것이 좋다. 편광도(DOP)가 실질적으로 0이라는 것은 인간의 눈에 의해 편광도(DOP)가 0인 것과 유사하게 감지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편광도(DOP)가 0.1 이하의 범위를 의미한다.
이때 편광도는 편광변환층의 두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편광변환층은 안경 착용자측의 제2 편광자상에 제3 λ/4 위상차 필름이 접합되거나 편광변환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하여 형성한다.
편광변환층 형성용 조성물은 광학 이방성을 가지고, 광에 의한 가교성을 갖는 액정 화합물이 포함되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응성 액정 화합물(RM)을 사용하여 제2 편광자상에 RM 액정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성 액정 화합물은 액정성을 발현할 수 있는 메조겐(mesogen)과 중합이 가능한 말단기를 포함하여 액정상을 갖게 되는 단량체 분자를 말한다. 반응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하게 되면 액정의 배열된 상을 유지하면서 가교된 고분자 네트워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반응성 액정 화합물 분자는 투명점(clearing point)으로부터 냉각하게 되면 같은 구조의 액정 고분자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액정상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점도에서 보다 잘 배향된 구조를 갖는 대면적의 도메인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편광변환층은 액정이 가지는 광학 이방성이나 유전율 등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고체상의 박막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계적이나 열적으로 안정하다.
반응성 액정 화합물(RM)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기재에 도포한 후 편광된 자외선, 편광된 전자기파 등을 조사하여 광경화시키는 경우에는 λ/4 위상을 갖는 필름(층)의 편광변환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편광변환층을 출사하는 빛은 원편광 또는 타원편광일 수 있다.
또한, 편광변환층은 반응성 액정 화합물(RM)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안경 착용자측의 편광자에 도포한 후 자외선 등의 전자기파를 조사하여 광경화시키거나, 열에 의한 열경화시킴으로써 액정 코팅층의 편광변환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편광변환층을 출사하는 빛은 무편광이 된다.
셔터 안경부의 액정패널은 투명한 두 전극 사이에 투명한 액정물질이 채워져 있는 구조이며, 액정물질은 TN, STN, IPS, VA, PVA, MVA, SMVA 및 OCB 모드의 액정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응답속도의 면에서 STN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두 전극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면 액정물질의 배열 방향이 변화를 일으켜 투과되는 빛은 액정물질의 배열 방향에 따라 편광 방향이 바뀌게 된다. 일례로,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 경우, 선편광의 빛이 액정패널을 통과시에 선편광의 투과축이 수직으로 변하지만, 전압을 인가하는 경우는 선편광의 빛이 액정패널을 통과시에 선편광의 투과축이 변하지 않는다.
제1 편광자, 제2 편광자 및 제3 편광자는 각각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며, 상기 제1 편광자, 제2 편광자 및 제3 편광자는 그 재료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일반적인 제1 편광자, 제2 편광자 및 제3 편광자는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것을 사용한다.
제1 편광자, 제2 편광자 및 제3 편광자를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의 예로는, 아세트산 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 비닐 이외에, 아세트산비닐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아세트산비닐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불포화 카르복시산류, 불포화 술폰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암모늄기를 갖는 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된 것일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 또는 폴리비닐아세탈 등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 내지 100몰%, 바람직하게는 98몰% 이상일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 내지 10,000,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5,000이다.
상기 제1 편광자, 제2 편광자 및 제3 편광자는 각각 적어도 어느 일면에 편광자 보호필름이 적층될 수 있다.
투명보호필름은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폐성, 등방성 등에서 우수한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또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나일론,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황화 폴리페닐렌계 수지; 비닐알콜계 수지; 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비닐부티랄계 수지; 알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옥시메틸렌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필름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블렌드물로 구성된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타)아크릴계, 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된 필름을 이용할 수도 있다.
투명보호필름 중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함량은 50 내지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9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8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7중량%인 것이 좋다. 그 함량이 5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열가소성 수지가 가지고 있는 본래의 고투명성을 충분히 발현하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투명보호필름은 적절한 1종 이상의 첨가제가 함유된 것일 수도 있다.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자외선흡수제, 산화방지제, 윤활제, 가소제, 이형제, 착색방지제, 난연제, 핵제, 대전방지제, 안료, 착색제 등을 들 수 있다.
제1 λ/4 위상차 필름, 제2 λ/4 위상차 필름 및 제3 λ/4 위상차 필름은 입사광(λ)을 지상축 방향으로 진동하는 성분에 대해 1/4만큼 위상을 지연시켜 출사하는 필름이다. 구체적으로 가시광선 영역의 입사광(λ) 중 어떤 기준 파장에 대해 1/4만큼 위상을 지연시키는 필름을 λ/4 위상차 필름이라고 할 수 있으며 통상 기준파장 589.3nm의 입사광을 기준으로 110 내지 170nm의 위상지연값을 가지는 필름을 λ/4 위상차 필름이라 한다.
상기 제1 λ/4 위상차 필름, 제2 λ/4 위상차 필름 및 제3 λ/4 위상차 필름은 그 재료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제1 λ/4 위상차 필름, 제2 λ/4 위상차 필름 및 제3 λ/4 위상차 필름의 각 지상축은 접합되는 편광자의 투과축과 45° 또는 -45°가 되도록 배치된다.
각 λ/4 위상차 필름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구체적으로 고유 복굴절치가 양, 음 또는 이들의 혼합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유 복굴절치가 양인 재료」라는 것은, 분자가 일축성의 질서를 가지고 배향된 경우에, 광학적으로 양의 일축성을 나타내는 특성을 보유하는 재료를 말한다. 예를 들어 양의 재료가 수지인 경우에는 분자가 일축성의 배향을 가지고 형성된 층에 빛이 입사될 때 상기 배향 방향의 빛의 굴절율이 상기 배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빛의 굴절율 보다도 크게 되는 수지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고유 복굴절치가 음인 재료」라는 것은 분자가 일축성의 질서를 가지고 배향된 경우에 광학적으로 음의 일축성을 나타내는 특성을 보유하는 재료를 말한다. 예를 들어 음의 재료가 수지인 경우 분자가 일축성의 배향을 가지고 형성된 층에 빛이 입사될 때, 상기 배향 방향의 빛의 굴절율이 상기 배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빛의 굴절율 보다도 작아지는 수지를 말한다.
양 또는 음인 재료는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양의 수지로는 구체적으로 올레핀계 중합체(예컨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노르보넨계 중합체, 시클로올레핀계 중합체 등),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예컨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 폴리아릴렌술파이드계 중합체(예컨데, 폴리페닐렌술파이드 등), 폴리비닐알콜계 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계 중합체, 폴리알릴레이트계 중합체,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중합체(상기 고유 복굴절치가 음인 것도 있음), 폴리에테르술폰계 중합체, 폴리술폰계 중합체, 폴리알릴술폰계 중합체, 폴리염화비닐계 중합체, 또는 이들의 다원(이원, 삼원 등) 공중합 중합체 등이 있다. 이들은 1종의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음의 수지로는 구체적으로 폴리스티렌, 폴리스티렌계 중합체(스티렌 또는 스티렌 유도체와 기타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중합체(상기 고유 복굴절치가 양인 것도 있음), 또는 이들의 다원(이원, 삼원 등)공중합체 중합체 등이 있다. 이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지만,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상기 폴리스티렌계 중합체로는 스티렌 또는 스티렌 유도체와, 아크릴로니트릴, 무수말레인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부타디엔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과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폴리스티렌, 폴리스티렌계 중합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중합체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계 중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며, 이 중에서도 복굴절치 발현성이 높다는 측면에서 폴리스티렌 및 폴리스티렌계 중합체가 보다 바람직하며, 내열성이 높다는 측면에서 스티렌 및/또는 스티렌 유도체와 무수말레인산과의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λ/4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컨데 λ/4 위상차 필름은 용액제막법 또는 압출성형법으로 필름을 제조하고, 이를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은 기계적 흐름방향으로 연신하는 종일축 연신; 기계적 흐름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신하는 횡일축 연신(예, 텐터연신); 종 및 횡을 동시에 수행하는 이축연신 등으로 제조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경사연신된 필름을 적용하는 것이 좋다.
경사연신은 장척필름의 연신과정에서 양끝단의 이동속도를 다르게 하여 지상축의 방향이 MD(Machine Direction)방향에 대해서 평행 혹은 수직이 아닌 대각 방향으로 형성되게 하는 연신법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히 경사연신된 λ/4 위상차 필름은 편광자 상, 또는 보호필름을 갖는 편광자의 보호필름 상에 롤 투 롤(roll to roll) 접합이 가능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 또는 제2 λ/4 위상차 필름 중 적어도 하나는 경사연신된 낱장의 필름 또는 경사연신된 필름이 롤로부터 귄출되는 연속상의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λ/4 위상차 필름은 배향막을 이용한 액정코팅법 등으로 제조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λ/4 위상차 필름의 비 접합쪽; 제2 편광자의 안경 착용자쪽; 및 편광변환층의 안경 착용자쪽에 표면 보호 및 번들거리는 형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현성 적층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하드코팅층, 반사방지층, 점착방지층, 확산방지층, 눈부심방지층 등의 표면처리층이 추가로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편광자, 편광자 보호필름 및 위상차 필름 등의 접착에 사용되는 점착제 또는 접착제는 당 업계에서 공지된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하기 도 2, 4 및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입체화상물이 상영되는 42” 화상표시장치(액정패널) 화면을 준비하였다. 42” 화상표시장치(10) 전(前)면에 제1 편광자(21)와 상기 제1 편광자를 통과한 빛을 원편광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경사연신된 제1 λ/4 위상차 필름(23)을 포함하는 필터부(20)를 배치하였다. 이때 제1 편광자의 투과축(22)은 수평방향이고, 제1 λ/4 위상차 필름(23)의 지상축(24)이 편광자(21)의 투과축(22)과 45°가 되도록 하였다.
상기 필터부(20)를 통과한 빛을 선편광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2 λ/4 위상차 필름(33), 시분할된 표시면 주기에 동기화된 액정패널(31) 및 상기 액정패널에서 출사된 빛을 통과시키는 제2 편광자(35)를 포함하는 셔터 안경부(30)를 배치하였다. 이때 액정패널(31) 은 STN 모드를 사용하고 제2 λ/4 위상차 필름(33)의 지상축(34)이 편광자(35)의 투과축(36)과 45°가 되도록 하였다. 셔터 안경부의 좌/우는 동일하게 배치하였다.
제1 λ/4 위상차 필름(23)과 제2 λ/4 위상차 필름(33)은 각 지상축(24, 34)이 서로 직교하도록 하였다. 또한 제1 편광자(21)와 제2 편광자(35)는 각 투과축(22, 36)이 서로 직교하도록 하였다(도 2).
도 4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입체화상시스템의 입체화상을 확인할 수 있는 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화상표시장치로부터 출사된 빛은 필터부의 제1 편광자(21)에서 선편광 방향이 수평 방향 성분인 것만 투과되고, 제1 λ/4 위상차 필름(23)을 통과하면서 원편광으로 변환된다.
상기 원편광된 빛은 셔터 안경부의 제2 λ/4 위상차 필름(33)을 통과하여 수평 방향 성분의 선편광으로 변환된다. 상기 수평 방향 성분의 선편광은 액정패널(31)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수직 방향 성분으로 선편광이 통과되고, 수직 방향의 선편광은 제2 편광자(35)의 투과축과 동일하므로 좌안 화상을 볼 수 있게 된다. 반면 전압이 인가되면 수평 방향 성분의 선편광이 액정패널(31)에서 제2 편광자(35)의 투과축(36)과 수직인 수평 방향 성분으로 통과되므로 좌안 화상을 볼 수 없게 된다. 또한, 우안 화상이 표시되는 경우도 상기와 같은 원리이다.
또한, 도 5는 상기 실시예 1의 정면방향 시각에서 380nm, 550nm 및 780nm 파장의 편광상태 변화를 푸앙카레구상에 나타낸 것이다.
도 5에서 1st는 제1 편광자(21)를 통과하여 선편광된 빛의 편광상태이고, 2nd는 제1 λ/4 위상차 필름(23)을 통과하여 원편광된 빛의 편광상태이며, 3rd는 셔터 안경부의 제2 λ/4 위상차 필름(33)을 통과하여 선편광된 빛의 편광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원편광된 빛은 380nm, 550nm 및 780nm 파장에 따라 분산된 편광상태를 보이나(2nd), 제2 λ/4 위상차 필름을 통과하면 380nm, 550nm 및 780nm 파장의 빛이 거의 동일 지점으로 모이는 편광상태(3rd)를 나타낸다. 이때, 3rd에서 380nm와 780nm의 분산각은 0.00041°로 파장에 따른 분산성이 거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파장에 따른 분산성이 감소로 좌우 화상의 미분할로 발생되는 고스트 현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입체화상시스템은 제1 및 제2 λ/4 위상차 필름을 그 지상축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배치하여 제2 λ/4 위상차 필름을 통과한 빛의 파장분산성 개선하고, 제1 및 제2 편광자는 그 투과축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배치하여 빛샘을 방지함으로써 암(BLACK) 상태의 화상일 때 색상을 띄지 않아 완벽한 흑색의 화상 구현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셔터 안경부의 제2 편광자의 안경 착용자 쪽에 반응성 액정 화합물 용액(Merck사, RMS03-013)을 도포하여 안경을 통과한 빛의 편광도(DOP, Degree of Polarization)가 0이 되도록 하였다. 이때, 코팅층의 두께는 3㎛이었다.
도 6은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입체화상시스템의 입체화상을 확인할 수 있는 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실시예 1의 원리와 동일하며, 다만 셔터 안경부의 안경 착용자 쪽에 편광변환층(RM 액정층, 41)을 배치하여 선편광된 빛을 무편광으로 변화시킨 것이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셔터 안경부의 편광자의 안경 착용자 쪽에 제3 λ/4 위상차 필름을 배치하였다.
도 7은 실시예 3에서 제조된 입체화상시스템의 입체화상을 확인할 수 있는 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실시예 1의 원리와 동일하며, 다만 액정셔터 안경부의 안경 착용자 쪽에 편광변환층(제3 λ/4 위상차 필름, 43)을 배치하여 선편광된 빛을 원편광으로 변화시킨 것이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셔터 안경부의 제2 λ/4 위상차 필름(33)과 시분할된 표시면 주기에 동기화된 액정패널(31)사이에 제3 편광자(37)를 배치하였다(도 3). 이때 제3 편광자의 투과축은 제2 λ/4 위상차 필름(33)을 통과한 선편광과 동일한 방향의 투과축을 갖도록 하였다.
그 결과, STN모드 패널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 빛샘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고스트 발생이 현저히 줄어들었다.
비교예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필터부의 제1 λ/4 위상차 필름과 셔터 안경부의 제2 λ/4 위상차 필름은 지상축이 서로 평행하도록 하였다. 또한 필터부 제1 편광자와 셔터 안경부의 제2 편광자는 투과축이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하였다.
도 8은 비교예에서 제조된 입체화상시스템의 입체화상을 확인할 수 있는 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에서 화상표시장치로부터 출사된 빛은 필터부의 제1 편광자(21)에서 선편광 방향이 수평 방향 성분인 것만 투과되고, 제2 λ/4 위상차 필름(23)을 통과하면서 원편광으로 변환된다.
상기 원편광된 빛은 셔터 안경부의 제2 λ/4 위상차 필름(33)을 통과하여 수직 방향 성분의 선편광으로 변환된다. 상기 수직 방향 성분의 선편광은 액정패널(31)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수평 방향 성분으로 선편광이 통과되고, 수평 방향의 선편광은 편광자(35)의 투과축과 동일하므로 화상을 볼 수 있게 된다. 반면 전압이 인가되면 수직 방향 성분의 선편광이 액정패널에서 편광자의 투과축과 수직인 수직 방향 성분으로 통과되어 화상을 볼 수 없게 된다.
또한, 도 9는 상기 비교예의 정면방향 시각에서 380nm, 550nm 및 780nm 파장의 편광상태 변화를 푸앙카레구상에 나타낸 것이다.
도 9에서 1st는 제1 편광자(21)를 통과하여 선편광된 빛의 편광상태이고, 2nd는 제1 λ/4 위상차 필름(23)를 통과하여 원편광된 빛의 편광상태이며, 3rd는 셔터 안경부의 제2 λ/4 위상차 필름(33)을 통과하여 선편광된 빛의 편광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원편광된 빛은 380nm, 550nm 및 780nm 파장에 따라 분산된 편광상태를 보이며(2nd), 제2 λ/4 위상차 필름을 통과하면 빛은 380nm, 550nm 및 780nm 파장에 따라 더욱 크게 분산된 편광상태(3rd)를 나타낸다. 이때, 3rd에서 380nm와 780nm의 분산각은 179.7°로 파장에 따른 분산성이 매우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파장에 따른 분산성이 매우 커 좌우 화상의 미분할되는 고스트 현상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플리커 방지와 동시에 고스트 현상을 개선하여 우수한 입체화상의 구현이 가능하고, 눈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입체화상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대면적의 입체화상시스템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입체화상의 대중화에 효과적이다.
10 : 화상표시장치 11 : 편광된 화상표시영역
12 : 주위환경 13 : 화상
20 : 필터부
21 : 제1 편광자 22 : 제1 편광자 투과축
23 : 제1 λ/4 위상차 필름 24 : 제1 λ/4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30 : 셔터 안경부
31 : 액정패널
33 : 제2 λ/4 위상차 필름 34 : 제2 λ/4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35 : 제2 편광자 36 : 제2 편광자의 투과축
37 : 제3 편광자 38 : 제3 편광자의 투과축
41 : 편광변환층(RM 액정층)
43 : 편광변환층(제3 λ/4 위상차 필름)
44 : 편광변환층(제3 λ/4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

Claims (7)

  1. 화상표시장치로부터 출사된 빛을 원편광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필터부 및 착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각각 입체화상을 전달하기 위한 셔터 안경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부는 제1 편광자와 상기 제1 편광자를 통과한 빛을 원편광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1 λ/4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셔터 안경부는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빛을 선편광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제2 λ/4 위상차 필름, 시분할된 표시면 주기에 동기화된 액정패널 및 상기 액정패널에서 출사된 빛을 통과시키는 제2 편광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λ/4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은 상기 제1 λ/4 위상차 필름의 지상축과 서로 수직인 입체화상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λ/4 위상차 필름과 액정패널 사이에 상기 제2 λ/4 위상차 필름을 통과한 선편광과 동일한 방향의 투과축을 갖는 제3 편광자를 추가로 포함하는 입체화상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제1 또는 제2 λ/4 위상차 필름 중 적어도 하나는 경사연신된 낱장의 필름 또는 경사연신된 필름이 롤로부터 귄출되는 연속상의 필름인 입체화상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제2 편광자의 착용자 쪽 면에 선편광을 원편광, 타원편광 또는 무편광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편광 변환층이 추가된 입체화상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편광 변환층은 λ/4 위상차 필름인 입체화상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편광 변환층은 RM 액정층인 입체화상시스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제1 편광자와 제 2편광자는 투과축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 입체화상시스템.
KR1020100026701A 2010-03-25 2010-03-25 입체화상시스템 KR201101075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701A KR20110107531A (ko) 2010-03-25 2010-03-25 입체화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701A KR20110107531A (ko) 2010-03-25 2010-03-25 입체화상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531A true KR20110107531A (ko) 2011-10-04

Family

ID=45025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701A KR20110107531A (ko) 2010-03-25 2010-03-25 입체화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753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5620A1 (en) * 2012-02-03 2013-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Glass apparatus for watching polarized image
US9696559B2 (en) 2014-09-25 2017-07-04 Samsung Display Co., Ltd. Multiview image display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5620A1 (en) * 2012-02-03 2013-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Glass apparatus for watching polarized image
US8964138B2 (en) 2012-02-03 2015-02-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Glass apparatus for watching polarized image
US9696559B2 (en) 2014-09-25 2017-07-04 Samsung Display Co., Ltd. Multiview image display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2724B2 (en) Active shutter glasses and three-dimensional image recognition unit
KR102079135B1 (ko) 투과율 가변 장치
CN102792212B (zh) 主动快门眼镜和立体视频识别系统
KR101328109B1 (ko) 광학필름, 그의 제조방법, 그를 포함하는 입체안경 및 입체표시장치
JP2010151954A (ja) 偏光眼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022148A (ja) 立体映像表示用位相差板、立体映像表示用偏光素子、および立体映像表示装置
CN102096203B (zh) 一种使立体偏光眼镜可自由角度观影的方法及偏光片
KR20120006951A (ko) 편광 안경
KR101565010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면상 스위칭 모드 액정표시장치
US8964136B2 (en) Active shutter glasses comprising a half-wave plate disposed at an outer side of a linear polarizing element and a stereoscopic image projection system
WO2015008850A1 (ja) 光学フィルム、円偏光フィルム、3d画像表示装置
KR102311830B1 (ko) 차량용 영상 표시 미러
KR101861616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07531A (ko) 입체화상시스템
US20140055854A1 (en) Optical sheet and display device
KR20120005711A (ko) 편광안경
KR101694871B1 (ko) 입체화상시스템
KR20160039101A (ko) 스위처블 편광렌즈 및 그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2d/3d 영상 표시장치
KR20150145732A (ko) 표시 장치
KR20110125857A (ko) 입체화상시스템
JP6047993B2 (ja) 光学シートおよび表示装置
WO2011111267A1 (ja) アクティブシャッターメガネ、パッシブメガネ及び立体映像認識システム
JP5994544B2 (ja) 光学シート、表示装置および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
KR20130124779A (ko) 영상 표시 장치용 기판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 표시 장치
WO2012073736A1 (ja) 立体映像認識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