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1009A - 터보 냉동기 - Google Patents

터보 냉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1009A
KR20130091009A KR1020120012194A KR20120012194A KR20130091009A KR 20130091009 A KR20130091009 A KR 20130091009A KR 1020120012194 A KR1020120012194 A KR 1020120012194A KR 20120012194 A KR20120012194 A KR 20120012194A KR 20130091009 A KR20130091009 A KR 20130091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refrigerant
oil tank
negative pressure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계환
김철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2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1009A/ko
Priority to CN201210112360.1A priority patent/CN103245118B/zh
Publication of KR20130091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10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2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separating lubricants from the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25B1/04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with compressor of rotary type
    • F25B1/05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with compressor of rotary type of turbin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25B31/002Lubrication
    • F25B31/004Lubrication oil recircul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5/00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6Lubr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보 냉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오일 비산을 방지하고, 오일 회수율이 높으며, 압축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터보 냉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터보 냉동기{Turbo chiller}
본 발명은 터보 냉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오일 비산을 방지하고, 오일 회수율이 높으며, 압축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터보 냉동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장치는 냉매의 압축을 위한 압축기와 실내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기 위한 증발기와 실내공기를 가열시키기 위한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포함한다.
이러한 공기조화장치는 실내공간을 난방(히트펌프 사이클)시키거나 냉방(냉동 사이클)시킬 수 있다.
터보 냉동기는 저압의 유체를 흡입하여 고압의 유체로 압축하는 기기로서, 압축기와 증발기와 응축기 및 팽창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압축기는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Impeller)와 임펠러가 수용되는 쉬라우드와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배출된 유체의 운동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가변 디퓨저(Diffuser)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로는 냉수가 유입 및 토출되며,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냉수는 냉각되고, 상기 응축기로는 냉각수가 유입 및 토출되며, 상기 응축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냉각수는 가열된다.
한편, 상기 압축기 내부에는 회전체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한 오일탱크가 마련된다. 압축기 작동과정에서 오일탱크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터보 냉동기는 상기 오일이 터보 냉동기를 순환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오일 비산이 증가하면, 증발기를 오염시켜 터보 냉동기의 효율이 떠어지고 적정 유면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압축기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종래에는 오일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축기 내부에 배치된 메쉬망이 사용되었으나 상기 메쉬망은 오일탱크의 압력과 오일의 유동조건 등에 따라 분리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오일의 비산을 방지하고, 오일이 회수 구조를 따라 안정적으로 순환될 수 있으며, 냉매와 혼합된 오일을 효과적으로 분리 및 회수해내는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오일 비산을 방지하고, 오일 회수율이 높으며, 압축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터보 냉동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로 동력을 전달하는 복수의 기어가 배치된 오일탱크를 포함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비산된 오일이 유입되는 증발기와 상기 압축기 외부에 위치되며, 냉매와 오일이 유입되는 흡입구와 상기 오일이 토출되는 제1 토출구와 냉매가 토출되는 제2 토출구를 갖는 오일분리기 및 상기 오일탱크의 상단부와 상기 오일분리기의 흡입구를 연결하는 균압관을 포함하는 터보 냉동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오일탱크 상단 내부에 위치되는 균압관의 종단부는 상기 오일탱크의 상단부 측으로 구부러진다.
또한, 상기 균압관의 종단부는 상기 오일탱크의 상단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균압관의 종단부로는 상기 냉매와 오일이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균압관의 종단부는 상기 오일탱크의 상단부의 내주면으로부터 50mm 내지 70mm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보 냉동기는 상기 오일분리기로부터 토출되는 오일을 상기 오일탱크로 전달하기 위한 제1 음압발생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보 냉동기는 상기 증발기로부터 회수된 오일과 상기 오일분리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상기 오일탱크로 전달하기 위한 제2 음압발생장치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보 냉동기는 상기 오일분리기의 제2 토출구와 제2 음압발생장치를 연결하는 제1 냉매회수배관과 상기 증발기와 상기 제2 음압발생장치를 연결하는 제1 오일회수배관 및 상기 제2 음압발생장치와 상기 오일탱크를 연결하는 제2 오일회수배관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음압발생장치는 상기 오일분리기로부터 냉매를 회수하고, 상기 증발기로부터 오일을 회수하며, 상기 냉매와 오일을 상기 오일탱크로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분리기는 상기 오일과 냉매를 분리시키기 위한 메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분리기의 흡입구로 유입된 냉매는 180°이상 선회 후 상기 제2 토출구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로 동력을 전달하는 복수의 기어가 배치된 오일탱크를 포함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비산된 오일이 유입되는 증발기와 상기 압축기 외부에 위치되며, 냉매와 오일이 유입되는 흡입구와 상기 오일가 토출되는 제1 토출구와 냉매가 토출되는 제2 토출구를 갖는 오일분리기와 상기 오일탱크와 상기 오일분리기의 흡입구를 연결하는 균압관과 상기 오일분리기로부터 분리된 오일을 상기 오일탱크로 전달하기 위한 제1 음압발생장치 및 상기 오일분리기의 제2 토출구와 연결되며, 상기 증발기의 오일을 상기 오일탱크로 회수하기 위한 제2 음압발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오일분리기에는 내부에 메쉬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분리기의 제2 토출구와 제2 음압발생장치를 연결하는 제1 냉매회수배관과 상기 증발기와 상기 제2 음압발생장치를 연결하는 제1 오일회수배관 및 상기 제2 음압발생장치와 상기 오일탱크를 연결하는 제2 오일회수배관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음압발생장치는 상기 오일분리기로부터 냉매를 회수하고, 상기 증발기로부터 오일을 회수하며, 상기 냉매와 오일을 상기 오일탱크로 토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균압관의 유입구는 상기 오일탱크 내부의 상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균압관의 유입구는 상기 오일탱크의 상단부와 대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터보 냉동기는 오일 비산을 방지하고, 오일 회수율이 높으며, 압축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터보 냉동기의 일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터보 냉동기의 오일분리기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터보 냉동기의 오일분리기를 나타내는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보 냉동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발명은 오일 비산을 방지하고, 오일 회수율이 높으며, 압축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터보 냉동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하며,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로 동력을 전달하는 복수의 기어가 배치된 오일탱크를 포함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비산된 오일이 유입되는 증발기와 상기 압축기 외부에 위치되며, 냉매와 오일이 유입되는 흡입구와 상기 오일이 토출되는 제1 토출구와 냉매가 토출되는 제2 토출구를 갖는 오일분리기 및 상기 오일탱크의 상단부와 상기 오일분리기의 흡입구를 연결하는 균압관을 포함하는 터보 냉동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로 동력을 전달하는 복수의 기어가 배치된 오일탱크를 포함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비산된 오일이 유입되는 증발기와 상기 압축기 외부에 위치되며, 냉매와 오일이 유입되는 흡입구와 상기 오일가 토출되는 제1 토출구와 냉매가 토출되는 제2 토출구를 갖는 오일분리기와 상기 오일탱크와 상기 오일분리기의 흡입구를 연결하는 균압관과 상기 오일분리기로부터 분리된 오일을 상기 오일탱크로 전달하기 위한 제1 음압발생장치 및 상기 오일분리기의 제2 토출구와 연결되며, 상기 증발기의 오일을 상기 오일탱크로 회수하기 위한 제2 음압발생장치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터보 냉동기의 일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터보 냉동기의 오일분리기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터보 냉동기의 오일분리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터보 냉동기(1)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터보 냉동기(1)는 냉매를 압축시키기 위한 압축기(10)와 냉매를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30)와 냉매를 증발시키기 위한 증발기(20)를 포함한다.
상기 증발기(20)로는 냉수(chilled water)가 유입 및 토출되며, 상기 냉수는 상기 증발기(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매와 열교환되며 냉각되며, 상기 응축기(30)로는 냉각수(condenser water)가 유입 및 토출되며, 상기 냉각수는 상기 응축기(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냉매와 열교환되며 가열된다.
상기 압축기(10)는 모터(13)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기어(12)와 상기 구동력으로 회전되는 임펠러(11)와 상기 임펠러로 유입 및 토출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가변디퓨저(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13)는 로터와 스테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어들(12)은 모터의 회전속도를 변화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기어들(12)은 오일탱크(15)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오일탱크(15)에는 소정 량의 오일(O)이 마련된다. 상기 오일(O)은 회전하는 압축기(10)의 각 구성요소(베어링, 기어 등)들로 공급된다. 상기 오일(O)이 부족하게 되면, 압축기(10)의 회전체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상기 압축기(10) 작동 과정에서 상기 오일탱크(15)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터보 냉동기(1)는 상기 오일(O)이 터보 냉동기(1)를 순환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오일탱크(15)로부터 비산된 오일은 온도와 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증발기(20) 측으로 모이게 된다.
또한, 오일탱크(15) 내부에 수용된 오일의 적정 유면을 유지시키고, 오일은 순환시키기 위하여 상기 압축기(10)에는 오일펌프(41)와 오일필터(42)가 마련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오일탱크(15)로부터 비산되는 오일이 안정적으로 균압관(110)으로 유입될 수 있는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터보 냉동기(1)는 냉매를 압축시키기 위한 임펠러(11)와 상기 임펠러(11)로 동력을 전달하는 복수의 기어(12)가 배치된 오일탱크(15)를 포함하는 압축기(10)와 상기 압축기(10)로부터 비산된 오일이 유입되는 증발기(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터보 냉동기(1)는 상기 압축기(10) 외부에 위치되며, 냉매와 오일이 유입되는 흡입구(102)와 상기 오일이 토출되는 제1 토출구(103)와 냉매가 토출되는 제2 토출구(104)를 갖는 오일분리기(100) 및 상기 오일탱크(15)의 상단부와 상기 오일분리기(100)의 흡입구(102)를 연결하는 균압관(110)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오일탱크(15) 상단 내부에 위치되는 균압관(110)의 종단부(111)는 상기 오일탱크(15)의 상단부 측으로 구부러진다. 또한, 상기 균압관(110)의 종단부(111)는 상기 오일탱크(15)의 상단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균압관(110)의 종단부로(111)는 상기 냉매와 오일이 유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균압관(110)의 유입구(112)는 상기 오일탱크(15) 내부의 상단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균압관(110)의 유입구(112)는 상기 오일탱크(15)의 상단부와 대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상기 오일탱크(15)에 수용된 냉매와 오일은 상기 오일탱크(15)의 상단부를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균압관의 유입구(112)로 유입된다.
한편, 상기 균압관(110)의 종단부(111)는 상기 오일탱크(15)의 상단부의 내주면으로부터 50mm 내지 70mm 이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간격은 유량에 따라 실험적으로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균압관(110)의 유입구(112)가 마련된 종단부(111)가 상기 오일탱크(15)의 상단부를 향하여 구부러진 곡관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오일탱크(15) 내부의 냉매와 오일은 상기 유입구(112) 및 곡관영역(111)을 따라 안정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오일탱크(15)의 냉매와 오일은 상기 균압관(110)을 통해 상기 오일분리기(100)로 전달된다. 상기 오일분리기(100)는 상기 냉매와 오일이 유입되는 흡입구(102)와 오일이 토출되는 제1 토출구(103)와 냉매가 토출되는 제2 토출구(104)를 갖는다.
또한, 상기 오일분리기(100)는 상기 오일과 냉매를 분리시키기 위한 메쉬부재(10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오일분리기(100)의 흡입구(102)로 유입된 냉매는 180°이상 선회 후 상기 제2 토출구(104)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오일분리기(100)를 통해 분리된 오일과 증발기(20)에 수집된 오일을 상기 오일탱크(15)로 회수하는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터보 냉동기(1)는 상기 오일분리기(100)로부터 토출되는 오일을 상기 오일탱크(15)로 전달하기 위한 제1 음압발생장치(14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터보 냉동기(1)는 상기 증발기(20)로부터 회수된 오일과 상기 오일분리기(100)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상기 오일탱크(15)로 전달하기 위한 제2 음압발생장치(1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음압발생장치(140, 150)는 음압을 발생시켜 작동 유체를 흡입(suction)하는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하며, 제2 음압발생장치(15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2 음압발생장치(150)는 상기 오일분리기(100)의 제2 토출구(104)와 연결되며, 상기 증발기(20)의 오일을 상기 오일탱크(15)로 회수한다.
제2 음압발생장치(150) 주변의 배관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터보 냉동기(1)는 상기 오일분리기(100)의 제2 토출구(104)와 제2 음압발생장치(150)를 연결하는 제1 냉매회수배관(121)과 상기 증발기(20)와 상기 제2 음압발생장치를 연결하는 제1 오일회수배관(122) 및 상기 제2 음압발생장치(150)와 상기 오일탱크(15)를 연결하는 제2 오일회수배관(12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회수배관(121 내지 123)에는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 또는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각종 밸브가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2 음압발생장치(150)는 내부에 노즐과 디퓨져가 마련되며, 상대적으로 고압의 제1 유체가 제2 음압발생장치(150)를 통과할 경우 상대적으로 저압의 제2 유체가 제2 음압발생장치(150)로 흡입(음압)되며, 제1 유체와 제2 유체는 제1 유체의 진행방향을 따라 함께 유동한다. 한편, 상기 노즐과 디퓨져는 상기 제1 유체가 유입되는 방향에서 토출되는 방향을 따라 차례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일분리기(100)의 제2 토출구(104) 측의 냉매는 증발기(20) 측에 수집된 오일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을 가지며, 상기 냉매는 전술한 제1 유체에 대응되고,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증발기(20)의 오일은 전술한 제2 유체에 대응된다.
또한, 기체 상태의 냉매가 제2 음압발생장치(15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증발기(20)에 수집된 오일은 제1 오일회수배관(122)을 따라 제2 음압발생장치(150)로 흡입되며, 상기 냉매와 오일은 상기 제2 음압발생장치(150)와 상기 오일탱크(15)를 연결하는 제2 오일회수배관(123)을 따라 상기 오일탱크(15)로 유입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20)에 수집된 오일은 상기 오일탱크(15)로부터 토출된 냉매와 함께 제1 오일회수배관(122)과 제2 음압발생장치(150) 및 제2 오일회수배관(123)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오일탱크(15)로 회수된다.
한편, 상기 제1 음압발생장치(140)는 상기 오일분리기(100)의 제1 토출구(103)와 연결되며, 메쉬부재(101)에 의하여 제1 토출구(103) 측으로 유동된 오일을 오일탱크(15)로 회수한다. 상기 제1 음압발생장치(140)는 상기 오일분리기(100)의 제1 토출구(103)와 상기 오일탱크(15)를 연결하는 오일회수배관(130)에 마련된다.
즉 상기 제1 음압발생장치(140)는 오일분리기(100)를 통해 분리된 오일을 상기 오일탱크(15)로 회수하고, 제2 음압발생장치(150)는 상기 증발기(20)에 수집된 오일을 상기 오일탱크(15)로 회수한다.
또한, 상기 균압관(110)의 유입구(112) 측이 곡관으로 형성되므로, 오일탱크(15)의 냉매와 오일이 안정적으로 상기 오일분리기(100) 측으로 흐르며, 상기 냉매와 오일이 상기 균압관(110)의 유입구(112) 이외의 곳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터보 냉동기는 오일 비산을 방지하고, 오일 회수율이 높으며, 압축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터보 냉동기
10: 압축기
15: 오일탱크
20: 증발기
30: 응축기
100: 오일분리기
110: 균압관
121: 제1 냉매회수배관
122: 제1 오일회수배관
123: 제2 오일회수배관
130: 오일회수배관
140: 제1 음압발생장치
150: 제2 음압발생장치

Claims (15)

  1.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로 동력을 전달하는 복수의 기어가 배치된 오일탱크를 포함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 비산된 오일이 유입되는 증발기;
    상기 압축기 외부에 위치되며, 냉매와 오일이 유입되는 흡입구와 상기 오일가 토출되는 제1 토출구와 냉매가 토출되는 제2 토출구를 갖는 오일분리기; 및
    상기 오일탱크의 상단부와 상기 오일분리기의 흡입구를 연결하는 균압관을 포함하며,
    상기 오일탱크 상단 내부에 위치되는 균압관의 종단부는 상기 오일탱크의 상단부 측으로 구부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냉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균압관의 종단부는 상기 오일탱크의 상단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균압관의 종단부로는 상기 냉매와 오일이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냉동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균압관의 종단부는 상기 오일탱크의 상단부의 내주면으로부터 50mm 내지 70mm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냉동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분리기로부터 토출되는 오일을 상기 오일탱크로 전달하기 위한 제1 음압발생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터보 냉동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로부터 회수된 오일과 상기 오일분리기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를 상기 오일탱크로 전달하기 위한 제2 음압발생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냉동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분리기의 제2 토출구와 제2 음압발생장치를 연결하는 제1 냉매회수배관;
    상기 증발기와 상기 제2 음압발생장치를 연결하는 제1 오일회수배관; 및
    상기 제2 음압발생장치와 상기 오일탱크를 연결하는 제2 오일회수배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냉동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음압발생장치는 상기 오일분리기로부터 냉매를 회수하고, 상기 증발기로부터 오일을 회수하며, 상기 냉매와 오일을 상기 오일탱크로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냉동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분리기는 상기 오일과 냉매를 분리시키기 위한 메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냉동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분리기의 흡입구로 유입된 냉매는 180°이상 선회 후 상기 제2 토출구로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냉동기.
  10.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로 동력을 전달하는 복수의 기어가 배치된 오일탱크를 포함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 비산된 오일이 유입되는 증발기;
    상기 압축기 외부에 위치되며, 냉매와 오일이 유입되는 흡입구와 상기 오일가 토출되는 제1 토출구와 냉매가 토출되는 제2 토출구를 갖는 오일분리기;
    상기 오일탱크와 상기 오일분리기의 흡입구를 연결하는 균압관;
    상기 오일분리기로부터 분리된 오일을 상기 오일탱크로 전달하기 위한 제1 음압발생장치; 및
    상기 오일분리기의 제2 토출구와 연결되며, 상기 증발기의 오일을 상기 오일탱크로 회수하기 위한 제2 음압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터보 냉동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분리기에는 내부에 메쉬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냉동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분리기의 제2 토출구와 제2 음압발생장치를 연결하는 제1 냉매회수배관;
    상기 증발기와 상기 제2 음압발생장치를 연결하는 제1 오일회수배관; 및
    상기 제2 음압발생장치와 상기 오일탱크를 연결하는 제2 오일회수배관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냉동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음압발생장치는 상기 오일분리기로부터 냉매를 회수하고, 상기 증발기로부터 오일을 회수하며, 상기 냉매와 오일을 상기 오일탱크로 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냉동기.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균압관의 유입구는 상기 오일탱크 내부의 상단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냉동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균압관의 유입구는 상기 오일탱크의 상단부와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냉동기.
KR1020120012194A 2012-02-07 2012-02-07 터보 냉동기 KR2013009100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194A KR20130091009A (ko) 2012-02-07 2012-02-07 터보 냉동기
CN201210112360.1A CN103245118B (zh) 2012-02-07 2012-04-13 涡轮冷冻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194A KR20130091009A (ko) 2012-02-07 2012-02-07 터보 냉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1009A true KR20130091009A (ko) 2013-08-16

Family

ID=48924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194A KR20130091009A (ko) 2012-02-07 2012-02-07 터보 냉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091009A (ko)
CN (1) CN10324511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1874A (ko) * 2013-12-19 2015-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보 냉동기
WO2024014028A1 (ja) * 2022-07-13 2024-01-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冷凍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9964A (ja) * 1991-08-01 1993-02-19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クリユー冷凍機の油戻し回路
KR100613505B1 (ko) * 2004-02-25 2006-08-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동 사이클 장치
KR20080083445A (ko) * 2007-03-12 2008-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일분리기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JP5262155B2 (ja) * 2008-02-06 2013-08-14 株式会社Ihi ターボ圧縮機及び冷凍機
JP5326900B2 (ja) * 2009-07-21 2013-10-30 株式会社Ihi ターボ圧縮機及び冷凍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1874A (ko) * 2013-12-19 2015-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보 냉동기
WO2024014028A1 (ja) * 2022-07-13 2024-01-1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冷凍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45118B (zh) 2015-09-16
CN103245118A (zh) 201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17300B2 (ja) 動力装置冷却システム
JP6448936B2 (ja) ターボ冷凍機の油回収装置
ES2886603T3 (es) Sistema enfriador
JP6056270B2 (ja) ターボ圧縮機及びターボ冷凍機
KR20110100905A (ko) 칠러
CN104823360B (zh) 电动机转子和气隙冷却
CN101487470A (zh) 双机双级螺杆式低温压缩机组
TW201727170A (zh) 蒸汽壓縮系統
KR102163917B1 (ko) 터보 냉동기
KR20110097367A (ko) 칠러
CN111750609A (zh) 两相油冷却系统
KR20130091009A (ko) 터보 냉동기
CN105829716A (zh) 提高压缩机轴承可靠性的方法
TWI681152B (zh) 兩級油動力噴射器系統
KR20130091839A (ko) 터보 냉동기
US10626754B2 (en) Compression device
CN110017631B (zh) 一种用于压缩机电机的冷却装置及其制冷系统
CN105143790B (zh) 用于冷却马达的方法和设备
CN113994150A (zh) 具有多个压缩机的冷却器系统
CN111356892A (zh) 用于冷却器组件的冷凝器入口压力回收特征
KR101256583B1 (ko) 터보냉동기의 오일회수장치
KR102037239B1 (ko) 칠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칠러시스템
CN111102757B (zh) 空调系统
KR101328652B1 (ko) 터보냉동기의 압축기용 기어케이싱
JP2019184114A (ja) 冷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