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0064A - 회전식 청소도구 - Google Patents

회전식 청소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0064A
KR20130090064A KR1020120011112A KR20120011112A KR20130090064A KR 20130090064 A KR20130090064 A KR 20130090064A KR 1020120011112 A KR1020120011112 A KR 1020120011112A KR 20120011112 A KR20120011112 A KR 20120011112A KR 20130090064 A KR20130090064 A KR 20130090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nodes
spiral
ba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플라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플라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플라자
Priority to KR1020120011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90064A/ko
Publication of KR20130090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0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50Auxiliary implements
    • A47L13/58Wringers for scouring pads, mops, or the like, combined with bucket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루 및 상기 자루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청소부재를 포함하는 청소도구에 있어서, 상기 자루는, 복수의 마디가 서로 연결된 관체로서, 파지를 위한 제1마디; 상기 제1마디와 체결되고, 내부에 상기 청소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체가 고정 설치된 제2마디; 및 상기 제2마디와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상호 중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구동체와 맞물리는 나선부가 고정 설치된 제3마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2마디와 제3마디가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호 중첩될 때, 상기 나선부가 상기 구동체에 안내되어 상기 제3마디와 함께 상기 청소부재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청소도구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자루가 서로 분리 가능한 복수의 마디로 이루어져, 포장, 운반 및 보관 시, 부피의 최소화를 통해 종래에 비해 포장재를 줄이고, 더 많은 량의 운송이 가능하여 경제적 부담을 줄여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 슬라이드 되는 마디 중 어느 하나에 탄성체가 구비되어, 탄성체의 반발력을 통해 적어도 상방으로의 이동이 가능하여, 적은 힘으로도 청소부재의 회전과 이를 통한 세척 및 탈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회전식 청소도구{Rotary cleaning things}
본 발명은 회전식 청소도구에 관한 것으로, 자루가 분리 가능한 복수의 마디로 이루어져, 운반 및 판매는 물론, 보관 시, 부피의 최소화가 가능하며, 제2마디와 제3마디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청소부재의 회전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특히, 절첩된 영역이 탄력적 복원이 가능하여 최소의 힘으로 청소부재의 회전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회전식 청소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식 청소도구는 자루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청소부재가 회전되도록 하여, 전용의 수조에서 청소부재의 탈수는 물론, 세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회전식 청소도구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43호 "회전탈수 청소도구 및 이를 위한 자루잠금기구"가 있는데, 이는 자루(102)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한 청소부재(112)의 회전을 물론 자루(102)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는 잠금구(160)가 더 구비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회전식 청소도구(100)는 자루(102)의 길이가 길어 포장을 하거나, 보관시 부피를 다소 많이 차지하므로, 포장재의 낭비와, 차량 등을 통해 물품을 운송할 경우에도 과도한 부피에 의해 수량이 제한될 수밖에 없으므로, 운송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청소도구를 사용하지 않거나 장기 보관할 경우에도 그 과도한 부피로 인해 보관이 용이하지 못할 뿐더러, 사용에 있어서 청소부재(112)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자루(112)의 슬라이드를 사용자가 직접 상/하로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과, 또한, 사용자에 따라서는 자루의 상/하 이동이 용이하지 못하여 사용에 제한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루가 서로 분리 가능한 복수의 마디로 이루어져, 포장, 운반 및 보관 시,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회전식 청소도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하 슬라이드 되는 마디 중 어느 하나에 탄성체가 구비되어, 탄성체의 반발력을 통해 적어도 상방으로의 이동이 용이한 회전식 청소도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루 및 상기 자루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청소부재를 포함하는 청소도구에 있어서, 상기 자루는, 복수의 마디가 서로 연결된 관체로서, 파지를 위한 제1마디; 상기 제1마디와 체결되고, 내부에 상기 청소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체가 고정 설치된 제2마디; 및 상기 제2마디와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상호 중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구동체와 맞물리는 나선부가 고정 설치된 제3마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2마디와 제3마디가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호 중첩될 때, 상기 나선부가 상기 구동체에 안내되어 상기 제3마디와 함께 상기 청소부재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청소도구를 개시한다.
상기 구동체는, 상기 제2마디의 내주에 대응하는 직경의 고정부;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돌출되거나, 고정부로부터 연장된 바의 형태로서, 상기 고정부보다 직경이 작으며, 단부에 이탈방지체가 구비된 로드; 상기 고정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이탈 방지체와 근접된 단부에 편향된 제1돌기가 형성된 회전 제어부; 및 상기 제1돌기와 이탈 방지체 사이에 유동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돌기와 마주하는 일면에 대응하는 제2돌기가 구비되며, 외주에는 상기 나선부와 맞물리도록 적어도 하나의 체결돌기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체는, 상기 나선부와 맞물려 적어도 일 방향으로의 탄력적 복원이 가능하도록 탄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는, 외주가 상기 고정부보다 직경이 작고, 내주는 상기 회전 제어부보다 크거나 같으며, 상기 회전 제어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체결돌기에 지지되어 상기 구동체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지지체; 및 코일 형태로서,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체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체의 이동을 탄력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탄성체;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탈 방지체는, 상기 로드의 단부 외주에 형성된 체결홈과 탄력적 탈착이 가능한 체결링; 및 상기 체결링과 가이드부 사이에 마련된 와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제2돌기와 맞물릴 때, 일방향에 대해서는 서로에 대해 회전을 구속하고 다른 방향에 대해서는 회전을 허용하는 기어의 맞물림 형태인 래칫(ratchet)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선부는, 관체로서, 내주에 나선형의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나선돌기; 및 상기 구동부와 맞물리는 일단에 마련되고, 상기 제3마디의 내주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루는, 상기 제1마디와 제2마디 및 상기 제2마디와 제3마디 사이에 각각 마련된 관체의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1마디와 제2마디 사이에 구비된 제1커버; 및 상기 제2마디와 제3마디 사이에 마련된 제2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제2마디와 제3마디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는 레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와 대응하는 상기 제2마디와 제3마디의 외측을 가압하여, 상기 구동체와 나선부가 관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펀칭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루가 서로 분리 가능한 복수의 마디로 이루어져, 포장, 운반 및 보관 시, 부피의 최소화를 통해 종래에 비해 포장재를 줄이고, 더 많은 량의 운송이 가능하여 경제적 부담을 줄여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하 슬라이드 되는 마디 중 어느 하나에 탄성체가 구비되어, 탄성체의 반발력을 통해 적어도 상방으로의 이동이 가능하여, 적은 힘으로도 청소부재의 회전과 이를 통한 세척 및 탈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청소도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루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체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나선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나선돌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다른 회전식 청소도구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제1작동상태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다른 청소도구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제2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청소도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청소도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식 청소도구(100)는 복수의 마디로 이루어진 자루(110)와, 자루(110)의 단부에서 회전과 절첩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청소부재(200)로 크게 구성된다.
여기서, 청소부재(200)는 자루(110)의 단부에서 회전 내지는 절첩 가능하게 체결되는데, 이는 종래의 청소부재(200)와 대응하는 통상적 구조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자루(110)는 복수의 마디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품 출하를 위한 포장 및 운송은 물론, 보관시 부피가 최소화되도록 적어도 3개의 마디로 구성되며, 각 마디 사이에는 커버부재(190)가 더 마련된다.
이러한 커버부재(190)는 제1마디(120)와 제2마디(130) 사이에 구비된 제1커버(191)와 제2마디(130)와 제3마디(170)에 마련된 제2커버(193)로 구성되어, 각 마디의 연결부위가 외부로 노출을 단순 커버 내지는 연결을 보강하거나, 또는 디자인적 요소로서 제품의 심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커버부재(190) 중, 적어도 제2커버(193)는 연결부위의 노출을 커버할 뿐만 아니라, 도시하지 않았으나, 종래와 같이, 제2마디(130)와 제3마디(170)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구성적 요소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종래의 잠금구(160)와 동일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 자루(110)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루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루(110)는 복수의 마디가 서로 연결된 관체로서, 파지를 위한 제1마디(120), 제1마디(120)와 체결되고, 내부에 청소부재(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체(140)가 설치된 제2마디(130) 및 제2마디(130)와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상호 중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구동체(140)와 맞물리는 나선부(180)가 설치된 제3마디(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마디(120)는 일단에 제2마디(13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나사(123)가 마련되고, 그 타단에는 사용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파지부(121)가 구비된다.
여기서, 파지부(121)는 합성수지, 고무, 우레탄 및 실리콘 중 어느 하나로서, 사용자가 파지할 때, 손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파지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2마디(130)는 내부에 구동체(140)가 고정 설치되는 관체인 것으로, 결합나사(123)가 체결되도록 이에 대응하는 결합방식의 결합홈(131)이 마련되며, 이때, 결합홈(131)은 스크루 방식의 암나사인 것이 바람직한다.
구동체(140)는 제2마디(130) 내부에 제1펀칭부(133)를 통해 고정 설치되며, 이는 제2마디(130)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구동체(140)는 제2마디(130)와 제3마디(170)가 상호 슬라이드 이동할 경우, 나선부(180)와 맞물려 제3마디(170)의 회전 및 공회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구동체(140)는 제2마디(130)의 내부에 고정되는 직경의 제1고정부(141), 제1고정부(141)를 관통하여 돌출되거나, 제1고정부(141)로부터 연장되고 단부에 이탈 방지체(157)가 구비된 로드(143), 제1고정부(141)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단부에 제1돌기(149) 형성된 회전 제어부(147), 및 로드(143) 단부에 유동적으로 마련되어 제1돌기(149)와 마주하는 일면에 제2돌기(153)가 마련되고, 외주에는 체결돌기(155)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가이드부(1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고정부(141)는 제2마디(130)의 내주와 대응하는 직경인 것이며, 제2마디(130)의 외측으로부터 가해진 압력 즉, 제1펀칭부(133)를 통해 제2마디(130)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로드(14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부(141)를 관통하는 바(bar) 형태로서, 단부에 이탈 방지체(157)가 구비되며, 직경은 제1고정부(141)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재질은 경질의 금속재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회전 제어부(147)는 로드(143)의 외측을 감싸듯 제1고정부(141)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이탈 방지체(157)와 근접된 단부에 편향된 제1돌기(149)가 형성되며, 제1고정부(141)와는 사출 등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 제어부(147)는 그 직경이 제1고정부(141)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제1돌기(149)는 이탈 방지체(157)와 소정 이격된 위치에 형성됨이 매우 바람직하다.
가이드부(151)는 도넛(donut)의 형태로서, 제1돌기(149)와 이탈 방지체(157) 사이에 유동적으로 결합되며, 제1돌기(149)와 마주하는 일면에는 제2돌기(153)가 마련되고, 외주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돌기(155)가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체결돌기(155)는 제2마디(130)와 제3마디(170)가 상호 슬라이드 이동할 때, 나선부(180)의 회전을 가이드하거나, 공회전상태일 경우, 나선부(180)에 가이드되어 어느 일방으로 회전한다.
한편, 제1돌기(149)와 제2돌기(153)는 편향된 톱니형태로서, 서로 맞물릴 때, 일방향에 대해서는 서로에 대해 회전을 구속하고 다른 방향에 대해서는 회전을 허용하는 래칫(ratchet)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정된 제1돌기(149)와 제2돌기(153)가 서로 맞물릴 때, 제2돌기(153)가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대해 그 회전을 구속하고, 다른 방향일 때는 회전을 허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탈 방지체(157)는 로드(143)의 단부에 마련된 체결홈(145)과 탄력적으로 결합하여 적어도 가이드부(151)가 로드(14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링(161) 및 체결링(161)과 가이드부(151) 사이에 마련된 와셔(15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체결링(161)은 일면이 개방된 링 형태인 것으로, 통상 스냅링(snap ring)이라 하며, 그 형상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C형 내지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E형 및 U형 등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와셔(159)는 가이드부(151)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체결링(161)과의 직접적 마찰을 방지함으로써, 그 마찰에 의한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와셔이거나, 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베어링 등과 같이 마찰에 대한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구동체(140)는 도 1과 같이 제2마디(130)가 제3마디(170)와 슬라이드 이동 때, 적어도 일 방향으로의 탄력적 복원이 가능하도록 탄성부(16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탄성부(163)는 외주가 제1고정부(141)와 대응하거나, 소폭 직경이 작고, 내주는 회전 제어부(147)보다 크거나 같으며, 회전 제어부(147)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되, 체결돌기(155)에 지지되어 구동체(140)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지지체(167)와, 코일 형태로서, 일단이 제1고정부(141)에 지지되고, 타단은 지지체(167)의 이동을 탄력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탄성체(165)를 포함한다.
이러한 탄성부(163)는 도 4에 도시된 제3마디(170)의 나선부(180)와 슬라이드 이동할 때, 적어도 구동체(140)가 수직으로의 복원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될 경우, 수직으로의 복원이 더욱 용이하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나선부(180)에 대해서는 제3마디(170)의 분리상태인 도 4와 나선부(180)의 단면을 나타낸 도 5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마디(170)는 관체로서, 내부에 나선부(180)가 고정 설치되고, 단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부재(200)가 결합된다.
이러한 제3마디(170)는 제2마디(130)의 내경을 통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외경이 제2마디(13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소폭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나선부(180)는 관체로서, 외주에는 제3마디(170)에 고정 되도록 제2고정부(181)가 마련되고, 내주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돌기(183)가 구비된다.
제2고정부(181)는 나선부(180)가 제3마디(170)의 내주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영역으로, 제3마디(170)의 내주와 대응하는 직경인 것이며, 제3마디(170)의 외측으로부터 가해진 압력 즉, 제2펀칭부(171)를 통해 제3마디(17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2고정부(181)는 나선부(180) 양단 중 적어도 일단에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 구동체(140)와 마주하는 적어도 일단에 형성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나선돌기(183)는 나선부(180) 내주에 돌기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구동체(140)의 체결돌기(155)를 따라 제3마디(170)의 상/하 슬라이드 이동이 안내되도록 한 것이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구동체(140)와 나선부(18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 6 내지 7을 참조하되, 미도시된 설명 및 부호는 도 1 내지 도 5의 설명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다른 청소도구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a는 최초 제2마디(130)와 제3마디(170)가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체결돌기(155)와 나선돌기(183)가 서로 맞물린 상태인 것이다.
이때, 제2마디(130) 이상에서 지시된 하방으로 힘이 가해질 경우, 나선돌기(183)에 밀려 가이드부(151)가 회전 제어부(147)에 압착되면서, 제1돌기(149)와 제2돌기(153)가 서로 맞물려 가이드부(151)의 회전을 제한한다.
이후, 제2마디(130) 이상에서 하방으로 가해지는 힘이 지속 되면, 도 6b와 같이 제1돌기(149)에 맞물려 회전이 제한된 가이드부(151)가 수직 하강하고, 나선부(180)는 하강 하는 체결돌기(155)에 가이드되어 나선돌기(183)의 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3마디(170)에 연결된 청소부재(200)가 회전되는 것이다.
따라서, 자루(110)를 파지한 상태에서 하방으로 힘을 가할 경우, 제2마디(130)가 제3마디(170)로 중첩되는 하강 작용을 통해, 제3마디(170)가 회전하면서, 이와 연결된 청소부재(200)가 함께 회전되는 것이다.
이때, 탄성부(163)는 도 6b와 같이 제1고정부(141)와 제2고정부(181)의 좁혀진 간격에 대응되게 수축되면서, 소정의 저항력이 발생하나, 자루(110)의 자중과, 특히, 자루(110)에 가하는 힘이 중력방향이므로, 적은 힘으로도 충분히 탄성체(165)의 저항력을 극복할 수 있다.
그리고 청소부재(200)의 지속적 회전을 위해서는 구동체(140)의 상/하 이동이 반복되도록 도 7과 같이 구동체(140)를 다시 상승시켜야하는데, 이는 구동체(140)와 나선부(180)의 신장 상태를 나타낸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된 제2마디(130)와 제3마디(170)를 다시 신장시킬 때, 적어도 파지부(121)를 잡고 끌어올리면, 맞물린 제2돌기(153)와 제1돌기(149)로부터 이격되고, 가이드부(151)는 자중에 의해 이탈 방지체(157)에 지지되면서 공회전 상태가 유지된다.
즉, 가이드부(151)는 그 자중과, 나선돌기(183)와의 마찰에 밀려, 제2돌기(153)는 제1돌기(149)로부터 이격되어 맞물림이 해제되고, 따라서, 이탈 방지체(157)와 회전 제어부(147) 사이에서 공회전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이때, 나선부(180)는 도 6에서의 회전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일정 유지되면서, 공회전 상태의 가이드부(151)는 나선부(180)의 회전에 상대적 회전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구동체(140)와 함께 상승하는 것이다.
한편, 제2돌기(153)가 제1돌기(149)와 맞물림 상태가 되더라도, 회전의 방향이 허용 가능한 범위이므로, 제2돌기(153)와 제1돌기(149)가 이격되지 않더라도 작동에 지정이 없음은 당연하다.
또한, 구동체(140)를 상승시킬 때, 수축된 탄성체(165)가 팽창하면서 구동체(140)를 상방으로 밀어주어 구동체(140)의 상승이 더욱 용이하게 끌어올릴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가이드부(151)가 회전 시, 체결링(161)과 마찰로 인한 훼손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최소화되록 그 사이에 와셔(159)를 더 배치하여, 체결링(161)과의 직접적 마찰을 차단함이 바람직하다.
즉, 회전체인 가이드부(151)와 고정체인 체결링(161)이 서로 마찰할 경우, 비교적 강도가 낮은 어느 하나의 훼손이 우려됨으로, 그 사이에 공회전 상태의 와셔(159)를 더 배치함으로써, 서로 직접적으로 마찰하는 것을 방지하고, 따라서, 마찰에 의한 훼손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훼손을 최소화시킴으로, 제품의 수명을 연장함과 동시에 사용의 편의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와셔(159)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재질은 금속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청소도구 110 : 자루
120 : 제1마디 121 : 파지부
123 : 결합나사 130 : 제2마디
131 : 결합홈 133 : 제1펀칭부
140 : 구동체 141 : 제1고정부
143 : 로드 145 : 체결홈
147 : 회전 제어부 149 : 제1돌기
151 : 가이드부 153 : 제2돌기
155 : 체결돌기 157 : 이탈방지체
159 : 와셔 161 : 체결링
163 : 탄성부 165 : 탄성체
167 : 지지체 170 : 제3마디
171 : 제2펀칭부 180 : 나선부
181 : 제2고정부 183 : 나선돌기
190 : 커버부재 191 : 제1커버
193 : 제2커버 200 : 청소부재

Claims (9)

  1. 자루 및 상기 자루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청소부재를 포함하는 청소도구에 있어서,
    상기 자루는,
    복수의 마디가 서로 연결된 관체로서, 파지를 위한 제1마디;
    상기 제1마디와 체결되고, 내부에 상기 청소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체가 고정 설치된 제2마디; 및
    상기 제2마디와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상호 중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구동체와 맞물리는 나선부가 고정 설치된 제3마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2마디와 제3마디가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호 중첩될 때, 상기 나선부가 상기 구동체에 안내되어 상기 제3마디와 함께 상기 청소부재가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청소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는,
    상기 제2마디의 내주에 대응하는 직경의 고정부;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돌출되거나, 고정부로부터 연장된 바의 형태로서, 상기 고정부보다 직경이 작으며, 단부에 이탈방지체가 구비된 로드;
    상기 고정부로부터 일체로 연장되고, 상기 이탈 방지체와 근접된 단부에 편향된 제1돌기가 형성된 회전 제어부; 및
    상기 제1돌기와 이탈 방지체 사이에 유동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돌기와 마주하는 일면에 대응하는 제2돌기가 구비되며, 외주에는 상기 나선부와 맞물리도록 적어도 하나의 체결돌기가 방사상으로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청소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는,
    상기 나선부와 맞물려 적어도 일 방향으로의 탄력적 복원이 가능하도록 탄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는,
    외주가 상기 고정부보다 직경이 작고, 내주는 상기 회전 제어부보다 크거나 같으며, 상기 회전 제어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되, 상기 체결돌기에 지지되어 상기 구동체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지지체; 및
    코일 형태로서, 일단이 상기 고정부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체에 지지되어, 상기 지지체의 이동을 탄력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탄성체;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청소도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체는,
    상기 로드의 단부 외주에 형성된 체결홈과 탄력적 탈착이 가능한 체결링; 및
    상기 체결링과 가이드부 사이에 마련된 와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청소도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는,
    상기 제2돌기와 맞물릴 때, 일방향에 대해서는 서로에 대해 회전을 구속하고 다른 방향에 대해서는 회전을 허용하는 기어의 맞물림 형태인 래칫(ratche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청소도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부는,
    관체로서, 내주에 나선형의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나선돌기; 및
    상기 구동부와 맞물리는 일단에 마련되고, 상기 제3마디의 내주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청소도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는,
    상기 제1마디와 제2마디 및 상기 제2마디와 제3마디 사이에 각각 마련된 관체의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청소도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1마디와 제2마디 사이에 구비된 제1커버; 및
    상기 제2마디와 제3마디 사이에 마련된 제2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제2마디와 제3마디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는 레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청소도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대응하는 상기 제2마디와 제3마디의 외측을 가압하여, 상기 구동체와 나선부가 관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펀칭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청소도구.
KR1020120011112A 2012-02-03 2012-02-03 회전식 청소도구 KR201300900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112A KR20130090064A (ko) 2012-02-03 2012-02-03 회전식 청소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112A KR20130090064A (ko) 2012-02-03 2012-02-03 회전식 청소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064A true KR20130090064A (ko) 2013-08-13

Family

ID=49215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112A KR20130090064A (ko) 2012-02-03 2012-02-03 회전식 청소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900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881U (ko) * 2015-04-30 2016-11-09 자싱 잭슨 트레블 프로덕츠 코., 엘티디 자체-탈수식 평탄형 대걸레
KR200487745Y1 (ko) * 2018-01-04 2018-10-29 구본승 트위스트형 청소 밀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881U (ko) * 2015-04-30 2016-11-09 자싱 잭슨 트레블 프로덕츠 코., 엘티디 자체-탈수식 평탄형 대걸레
KR200487745Y1 (ko) * 2018-01-04 2018-10-29 구본승 트위스트형 청소 밀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290828A1 (en) Container for receiving multiple flexible bag assemblies
CN106437470B (zh) 用于窗户遮盖物的偏斜调整机构
ITTO20070845A1 (it) Dispensatore di agenti di lavaggio per una macchina di lavaggio domestica, in particolare una lavastoviglie
KR20130090064A (ko) 회전식 청소도구
EP3292794B1 (en) Folding bed
KR102089142B1 (ko) 윈도우 쉐이드
ES2968408T3 (es) Dispositivo de dispensación y dispensador
CN110366403A (zh) 用于将物体可拆卸地紧固到交通工具底板的紧固装置
JP2004001675A (ja) 自動車用ボディカバー
JP5590478B1 (ja) ウイング型コンテナの開閉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6216912B2 (ja) 傘カバー装置及び傘
US9745125B2 (en) Disposable bag and the method of using the same
US8176601B2 (en) Device for releasably securing a flexible bag about the rim of a supporting receptacle
EP3194304B1 (en) A device for placing and holding soiled items therein
KR101535672B1 (ko) 발판을 구비한 클램핑 장치
AU2018246883B2 (en) Reeling apparatus for spooling a flexible member therefrom
CA2805798A1 (en) Window blind
JP2004315092A (ja) ユーザーが再充填可能な真空作動ピストンを備えた液体分配容器
KR101865370B1 (ko) 이중 블라인드 시트의 각도조절 개폐장치
CA3162776C (en) Cord retractor and window covering having same
KR102090853B1 (ko) 트위스트록
JP4904079B2 (ja) コンテナ容器用内袋とその使用方法
ES2673019T3 (es) Cabezal de descarga
CN104886952B (zh) 具有阻尼机构的自闭合滑轨总成
KR101701615B1 (ko) 링 행거를 구비하는 스탠드 옷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