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9886A -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9886A
KR20130089886A KR1020120002872A KR20120002872A KR20130089886A KR 20130089886 A KR20130089886 A KR 20130089886A KR 1020120002872 A KR1020120002872 A KR 1020120002872A KR 20120002872 A KR20120002872 A KR 20120002872A KR 20130089886 A KR20130089886 A KR 20130089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ance
electronic payment
deposit
payment mean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2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6376B1 (ko
Inventor
김영중
김경수
오병문
유병철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2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376B1/ko
Publication of KR20130089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25Lateral movement of patients, e.g. horizontal transfer
    • A61G7/103Transfer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9Vertical extending columns or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잔액 예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잔액 예치를 위한 전자지급수단을 개설하고, 상기 잔액 예치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 경우 개설된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인식하고, 상품 현금 구매 후 남은 잔액에 대한 잔액 예치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 및 잔액을 포함하는 잔액 예치 요청 신호를 잔액 예치 장치로 전송하는 매장 장치, 상기 매장장치로부터 잔액 예치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전자지급수단에 상기 잔액을 예치하여 예치금을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예치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잔액 예치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장에서 상품구매 후 발생되는 잔액에 대해 매장에 설치된 매장장치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전자지급수단으로 예치하고, 필요 시 매장에서 매장 장치를 통해 예치금을 확인하고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잔돈관리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잔돈 유실로 인해 해마다 발생되는 국가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balance deposit service using electric payment means}
본 발명은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장 장치가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인식한 경우,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 예치금, 잔액 예치 명령, 결제 명령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전자지급수단 정보 인식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전자지급수단 정보 인식 화면에서 잔액 예치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품 현금 구매 후 남은 잔액 및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잔액 예치 요청 신호를 잔액 예치 장치로 전송하면, 상기 잔액 예치 장치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전자지급수단에 상기 잔액을 예치하여 예치금을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예치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기기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사용자들의 다양한 취향을 만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모델의 스마트 기기들이 출시되고 있다.
사용자는 매장을 방문하여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여 모바일 카드로 결제 또는 가상현금으로 결제를 할 수 있다.
또한, 증가하는 상품 가격들에 기인하여, 어떤 경우에는 동전을 생산하는 비용 및 동전의 금속 가격이 그 동전의 액면가를 초과한다.
동전들이 많은 경우에는 무겁고 부피가 크게 되기 때문에, 동전들을 휴대하고 다루는 것은 상인들 및 소비자들에게 부담이 된다.
그래서 동전 사용을 경감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구매 트랜잭션을 완료하기 위해 소비자에게 다시 거스름돈을 되돌려 주기 위한 동전 사용을 없애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현금 결제 시 발생되는 잔금에 대한 가상 처리를 해주지 못하고 있었다.
국내공개특허 제2010-0084813호(2009.08.05), 발명의 명칭: 소비자 및 상인 간의 구매 트랜잭션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매장에서 상품구매 후 발생되는 잔액에 대해 매장에 설치된 매장 장치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전자지급수단으로 예치하고, 필요 시 매장에서 매장 장치를 통해 예치금을 확인하고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현금 결제 시 발생되는 잔액에 대한 처리 방법을 개선할 수 있는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잔액 예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잔액 예치를 위한 전자지급수단을 개설하고, 상기 잔액 예치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 경우 개설된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인식하고, 상품 현금 구매 후 남은 잔액에 대한 잔액 예치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 및 잔액을 포함하는 잔액 예치 요청 신호를 잔액 예치 장치로 전송하는 매장 장치, 상기 매장장치로부터 잔액 예치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전자지급수단에 상기 잔액을 예치하여 예치금을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예치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잔액 예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매장 장치 또는 잔액 예치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잔액 예치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부,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잔액 예치 장치에 잔액 예치를 위한 전자지급수단 개설을 요청하고, 상기 잔액 예치 장치로부터 개설된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전자지급수단 개설 요청 처리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잔액 예치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 경우, 개설된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하고, 상기 잔액 예치 장치로부터 갱신된 예치금 정보가 수신된 경우, 해당 전자지급수단의 예치금 정보를 갱신하는 전자지급수단 구동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된다.
상기 전자지급수단 정보는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 예치금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되는 전자지급수단 정보는 바코드, 전자태그, NFC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또는 잔액 예치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출력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인식하는 전자지급수단 인식부, 상품 현금 구매 후 남은 잔액에 대한 잔액 예치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 및 잔액을 포함하는 잔액 예치 요청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잔액 예치 장치로 전송하는 잔액 예치 요청부를 포함하는 매장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매장 장치는 상기 전자지급수단 인식부에서 인식된 전자지급수단의 예치금을 이용한 결제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 및 결제 금액을 포함하는 결제 요청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잔액 예치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결제금액의 결제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결제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지급수단 인식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바코드, 전자태그, NFC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인식하는 리더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또는 매장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사용자 단말별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 예치금이 저장된 전자지급수단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통신부를 통해 매장장치로부터 잔액,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및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잔액 예치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및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상기 인증부의 인증결과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전자지급수단에 상기 잔액을 예치하고, 갱신된 예치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잔액 예치 처리부를 포함하는 잔액 예치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잔액 예치 장치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매장 장치로부터 결제 금액,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및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전자지급수단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예치금에서 상기 결제 금액을 차감하고, 결제 결과를 상기 매장장치에 전송함과 동시에 갱신된 예치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결제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잔액 예치 처리부는 상기 전자지급수단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매장 장치에 해당하는 판매자의 계좌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존재하는 경우 상기 판매자의 계좌에서 상기 전자지급수단으로 상기 잔액만큼을 이체시키고,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판매자의 계좌 개설 요청 및 잔액 예치 불가 메시지를 상기 매장 장치로 전송하거나, 상기 전자지급수단에 상기 잔액을 예치시킨 후 상기 잔액을 지불 요청 금액으로 상기 매장장치에 누적하고, 그 누적된 지불 요청 금액 정보를 상기 매장 장치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잔액 예치 장치에 전자지급수단을 개설한 사용자 단말이 잔액 예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경우, 상기 개설된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b) 매장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인식한 경우,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 예치금, 잔액 예치 명령, 결제 명령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전자지급수단 정보 인식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c) 상기 전자지급수단 정보 인식 화면에서 잔액 예치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매장 장치가 상품 현금 구매 후 남은 잔액,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및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잔액 예치 요청 신호를 상기 잔액 예치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잔액 예치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와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전자지급수단에 상기 잔액을 예치하여 예치금을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예치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 저장된 예치금 정보를 상기 수신된 예치금 정보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b) 단계 이후, 상기 전자지급수단 정보 인식 화면에서 결제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매장 장치가 결제 금액,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및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신호를 상기 잔액 예치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잔액 예치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와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전자지급수단의 예치금에서 상기 결제 금액을 차감하여 결제를 처리하고, 상기 결제에 의해 예치금을 갱신하는 단계, 상기 잔액 예치 장치가 결제 결과를 상기 매장장치에 전송함과 동시에 갱신된 예치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이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잔액 예치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 경우, 개설된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전자지급수단 정보가 매장 장치에 의해 인식되어 잔액 예치 또는 결제 처리가 요청된 경우, 잔액 예치 장치로부터 갱신된 예치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기 저장된 예치금 정보를 상기 수신된 예치금 정보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잔액 예치 장치에 전자지급수단 개설을 요청하고, 상기 잔액 예치 장치로부터 개설된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잔액 예치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 경우, 개설된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전자지급수단 정보가 매장 장치에 의해 인식되어 잔액 예치 또는 결제 처리가 요청된 경우, 잔액 예치 장치로부터 갱신된 예치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기 저장된 예치금 정보를 상기 수신된 예치금 정보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매장 장치가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인식한 경우,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 예치금, 잔액 예치 명령, 결제 명령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전자지급수단 정보 인식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전자지급수단 정보 인식 화면에서 잔액 예치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품 현금 구매 후 남은 잔액,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및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잔액 예치 요청 신호를 잔액 예치 장치로 전송하고, 그 결과로 잔액 예치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전자지급수단 정보 인식 화면에서 예치금을 이용한 결제 명령이 입력된 경우, 결제 금액,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및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신호를 상기 잔액 예치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결제금액의 결제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인식한 경우,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 예치금, 잔액 예치 명령, 결제 명령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전자지급수단 정보 인식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전자지급수단 정보 인식 화면에서 잔액 예치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품 현금 구매 후 남은 잔액,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및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잔액 예치 요청 신호를 잔액 예치 장치로 전송하고, 그 결과로 잔액 예치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잔액 예치 장치가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매장장치로부터 잔액,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및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잔액 예치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와 상기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결과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전자지급수단에 상기 잔액을 예치하여 예치금을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예치금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매장 장치로부터 결제 금액,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및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와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결과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전자지급수단의 예치금에서 상기 결제 금액을 차감하여 결제를 처리하고, 상기 결제에 의해 예치금을 갱신하는 단계, 상기 결제처리 결과를 상기 매장장치에 전송함과 동시에 갱신된 예치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매장장치로부터 잔액,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및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잔액 예치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와 상기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결과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전자지급수단에 상기 잔액을 예치하여 예치금을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예치금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매장에서 상품구매 후 발생되는 잔액에 대해 매장에 설치된 매장장치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전자지급수단으로 예치하고, 필요 시 매장에서 매장 장치를 통해 예치금을 확인하고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잔돈관리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잔돈 유실로 인해 해마다 발생되는 국가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장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잔액 예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지급수단에 저장된 예치금을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지급수단 정보가 표시된 사용자 단말의 화면 예시도.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전자지급수단은 현금으로 상품 구매 후 남은 잔액을 예치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금융기관에서 개설된 금융 계좌, 가상계좌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계좌, 온라인 상에서 충전이 가능한 티머니(T-money)등의 선불전자지급수단 등을 모두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매장 장치(200), 잔액 예치 장치(300)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잔액 예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잔액 예치를 위한 전자지급수단을 개설한다. 상기 전자지급수단을 개설한다는 것은 잔액을 예치할 수 있는 금융 계좌, 가상계좌 등의 사용자 계좌를 개설하거나, 온라인 상에서 충전이 가능한 티머니(T-money)등의 선불전자지급수단을 잔액 예치를 위한 수단으로 개설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개설된 전자지급수단에 대한 정보(예를 들면,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 예치금 등임)를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잔액 예치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 경우 개설된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잔액 예치를 위한 전자지급수단을 하나 이상 개설할 수 있다. 이 경우, 잔액 예치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개설된 전자지급수단의 목록을 출력하고, 사용자가 상기 목록 중에서 잔액 예치를 위한 전자지급수단을 선택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선택된 전자지급수단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폰, PDA 등과 같이 이동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 유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유선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PAN(personal area network)을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등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상기 매장 장치(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표시된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인식하고, 상품 구매 후 남은 잔액의 예치 명령이 입력된 경우 잔액,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및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잔액 예치 요청 신호를 잔액 예치 장치(30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매장 장치(200)는 각 사용자의 전자지급수단에 예치된 금액을 이용한 결제 명령이 입력된 경우, 결제 금액,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및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신호를 상기 잔액 예치 장치(300)로 전송하여 상기 전자지급수단에 예치된 금액을 이용하여 결제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매장 장치(200)는 소비자들에 의해 상인에게 제공되는 현금 지불들을 처리할 수 있는 전자식 금전 등록기와 같은 POS(Point Of Sale) 단말, 상기 POS 단말과 USB 커넥션 또는 RS232C 커넥션을 통해 인터페이스하는 리더기를 포함한다. 상기 매장 장치(200)는 상기 리더기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리더기는 바코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 방식 등을 인식할 수 있는 리더기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매장 장치(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기로 한다.
상기 잔액 예치 장치(300)는 상기 매장장치(200)로부터 잔액,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및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잔액 예치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전자지급수단에 상기 잔액을 예치하여 예치금을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예치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잔액 예치 장치(300)는 상기 매장 장치(200)에 해당하는 판매자의 계좌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잔액 예치 장치(300)는 판매자의 계좌에 입금된 금액을 확인하여 상기 잔액 이상인 경우, 상기 판매자의 계좌에서 상기 사용자의 전자지급수단으로 상기 잔액만큼을 이체시킨다. 상기 판매자의 계좌에 입금된 금액이 상기 잔액 이상이 아닌 경우, 상기 잔액 예치 장치(300)는 상기 매장 장치(200)로 잔액 부족을 알린다.
만약, 상기 잔액 예치 장치(300)에 상기 매장 장치(200)에 해당하는 판매자의 계좌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잔액 예치 장치(300)는 상기 전자지급수단에 상기 잔액을 예치시킨 후, 상기 잔액을 지불 요청 금액으로 상기 판매자에게 누적하고, 그 누적된 지불 요청 금액 정보를 상기 매장 장치(200) 또는 판매자 단말(미도시)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매장 장치(200) 또는 판매자 단말에는 지불 요청 금액이 표시되고, 판매자는 해당 금액을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입금시킬 수 있다. 상기 지불 요청 금액 정보는 지불 요청 금액과 이체시킬 계좌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잔액 예치 장치(300)에 상기 매장 장치(200)에 해당하는 판매자의 계좌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잔액 예치 장치(300)는 잔액 예치 불가 메시지를 상기 매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잔액 예치 불가 메시지는 판매자의 계좌 개설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잔액 예치 장치(300)는 상기 매장 장치(200)로부터 결제 금액,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및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전자지급수단의 예치금에서 상기 결제 금액을 차감하고, 결제 결과를 상기 매장장치(200)에 전송함과 동시에 갱신된 예치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잔액 예치 장치(300)는 금융서버 등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매장 장치 또는 잔액 예치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잔액 예치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부(130), 전자지급수단 개설 요청 처리부(140), 전자지급수단 구동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 또는 사용자 명령에 따른 동작 결과를 표시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지급수단 개설 요청 처리부(140)는 상기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잔액 예치 장치에 전자지급수단 개설을 요청하고, 상기 잔액 예치 장치로부터 개설된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상기 전자지급수단 정보는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 예치금 등을 포함한다.
즉, 사용자가 가상계좌, 티머니, 금융 계좌 등의 전자지급수단들 중에서 잔액 예치를 위한 전자지급수단을 선택하면, 상기 전자지급수단 개설 요청 처리부(140)는 상기 잔액 예치 장치에 상기 선택된 전자지급수단의 개설을 요청한다. 그러면, 상기 잔액 예치 장치는 상기 요청된 전자지급수단을 개설하고, 그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상기 전자지급수단 개설 요청 처리부(140)로 전송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개설한 전자지급수단이 가상계좌인 경우 상기 전자지급수단 정보는 가상계좌번호, 예치금 등을 포함하고, 개설한 전자지급수단이 티머니(T-Money)인 경우 상기 전자지급수단 정보는 티머니 식별번호, 예치금(충전금액)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전자지급수단 구동부(150)는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된 잔액 예치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 경우, 개설된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전자지급수단 정보는 바코드, 전자태그 등의 타입으로 예치금과 함께 표시되고, 상기 바코드, 전자태그 등의 인식을 통해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가 인식된다. 상기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는 예를 들면, 계좌번호, 가상계좌번호, 티머니 식별번호 등을 말한다.
또한, 상기 전자지급수단 구동부(150)는 상기 잔액 예치 장치로부터 갱신된 예치금 정보가 수신된 경우, 해당 전자지급수단의 예치금 정보를 상기 수신된 예치금 정보로 갱신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장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매장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또는 잔액 예치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210), 입력부(220), 출력부(230), 전자지급수단 인식부(240), 잔액 예치 요청부(250), 결제 처리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지급수단 인식부(240)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인식한다. 즉, 상기 전자지급수단 인식부(240)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바코드, 전자태크 등의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인식하는 것으로서, 바코드, NFC 등을 인식할 수 있는 리더기일 수 있다.
상기 잔액 예치 요청부(250)는 상품 구매 후 남은 잔액에 대한 잔액 예치 명령이 상기 입력부(220)를 통해 입력된 경우 잔액,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및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잔액 예치 요청 신호를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잔액 예치 장치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잔액 예치 장치는 상기 전자지급수단에 상기 잔액을 예치하여 기 저장된 예치금을 갱신한다.
또한, 상기 잔액 예치 요청부(250)는 상기 잔액 예치 장치로부터 잔액 예치에 따른 지불 요청 금액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출력부(230)에 상기 지불 요청 금액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지불 요청 금액 정보는 지불 요청 금액, 이체시킬 계좌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판매자는 상기 지불 요청 금액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금액을 상기 계좌번호로 입금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잔액 예치 요청부(250)는 상기 잔액 예치 장치로부터 잔액 예치에 따른 예치 완료 메시지 또는 잔액이 부족한 경우 잔액 부족 메시지를 상기 출력부(23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처리부(260)는 상기 전자지급수단 인식부(240)에서 인식된 전자지급수단에 예치된 금액을 이용한 결제 명령이 입력된 경우, 결제 금액,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및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신호를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잔액 예치 장치로 전송하여 해당 금액의 결제처리를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결제 처리부(260)는 신용카드, 현금 등에 의한 상품 구매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는 역할도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잔액 예치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잔액 예치 장치(300)는 사용자 단말 또는 매장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310), 전자지급수단 정보 데이터베이스(320), 인증부(330), 잔액 예치 처리부(340), 결제 처리부(350)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지급수단 정보 데이터베이스(320)에는 사용자 단말별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 예치금 등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자지급수단 정보 데이터베이스(320)에는 매장 장치별(즉, 판매자별) 계좌번호, 예치금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인증부(330)는 상기 통신부(310)를 통해 매장장치로부터 잔액,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및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잔액 예치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및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즉, 상기 인증부(330)는 상기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와 상기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가 상기 전자지급수단 정보 데이터베이스(320)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인증부(330)는 상기 통신부(310)를 통해 매장 장치로부터 결제 금액,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및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및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인증부(330)는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가 아니면, 인증된 사용자가 아니라는 메시지를 상기 매장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잔액 예치 처리부(340)는 상기 인증부(330)의 인증결과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전자지급수단에 상기 잔액을 예치하여 예치금을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예치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잔액 예치 처리부(340)는 상기 전자지급수단 정보 데이터베이스(320)에 상기 매장 장치에 해당하는 판매자의 계좌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잔액 예치 처리부(340)는 판매자의 계좌에 입금된 금액을 확인하고, 상기 금액이 상기 잔액 이상인 경우, 상기 판매자의 계좌에서 상기 사용자의 전자지급수단으로 상기 잔액만큼을 이체시키고, 잔액 이상이 아닌 경우, 상기 매장 장치로 잔액 부족을 알린다.
만약, 상기 전자지급수단 정보 데이터베이스(320)에 상기 매장 장치에 해당하는 판매자의 계좌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잔액 예치 처리부(340)는 상기 전자지급수단에 상기 잔액을 예치시킨 후, 상기 잔액을 지불 요청 금액으로 상기 매장장치(판매자)에 누적하고, 그 누적된 지불 요청 금액 정보를 상기 매장 장치 또는 판매자 단말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매장 장치 또는 판매자 단말에는 지불 요청 금액이 표시되고, 판매자는 해당 금액을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입금시킬 수 있다. 상기 지불 요청 금액 정보는 지불 요청 금액과 이체시킬 계좌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처리부(350)는 상기 인증부(330)의 인증결과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전자지급수단 정보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된 예치금에서 상기 결제 금액을 차감하고, 결제 결과를 상기 매장장치에 전송함과 동시에 갱신된 예치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결제 처리부(350)는 상기 전자지급수단에 저장된 예치금과 결제 금액을 비교하여 상기 예치금이 결제금액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예치금이 결제금액 이상인 경우 상기 결제 처리부(350)는 상기 예치금에서 상기 결제금액을 차감하여 결제를 수행한다.
만약, 상기 전자지급수단의 예치금이 결제금액 이상이 아닌 경우, 상기 결제 처리부(350)는 예치금 부족을 알리는 예치금 부족 알림 메시지를 상기 매장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잔액 예치 장치에 전자지급수단을 개설한 사용자 단말이 잔액 예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면(S502), 개설된 전자지급수단 정보가 표시된다(S504).
상기 전자지급수단 정보는 예를 들면 도 7과 같이 바코드 형식으로, 예치금과 함께 표시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기 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은 잔액 예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잔액 예치 장치에 전자지급수단을 개설해야 한다. 상기 전자지급수단이 가상 계좌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계좌인 경우, 상기 전자지급수단은 일반 시중은행과 협업을 통해 일반 계좌와 동일하게 개설될 수 있다.
상기 S504가 수행된 상태에서 매장 직원이 매장 장치에 구비된 리더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인식하면(S506), 상기 매장 장치는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와 예치금을 포함하는 전자지급수단 정보 인식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508). 상기 전자지급수단 정보 인식 화면에는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 예치금은 물론 잔액 예치명령, 결제 명령 등이 표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된 전자지급수단 정보 인식 화면에서 잔액 예치 명령이 입력되면(S510), 상기 매장 장치는 상품 현금 구매 후 남은 잔액,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및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잔액 예치 요청 신호를 상기 잔액 예치 장치로 전송한다(S512).
그러면, 상기 잔액 예치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와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S514),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전자지급수단에 상기 잔액을 예치하여 예치금을 갱신하고(S516), 상기 갱신된 예치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S518).
이때,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가 아니면, 상기 잔액 예치 장치는 인증된 사용자가 아니라는 메시지를 상기 매장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잔액 예치 장치는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매장 장치에 해당하는 판매자의 계좌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존재하는 경우, 상기 잔액 예치 장치는 판매자의 계좌에 입금된 금액을 확인하고, 상기 금액이 상기 잔액 이상인 경우 상기 판매자의 계좌에서 상기 사용자의 전자지급수단으로 상기 잔액만큼을 이체시키고, 상기 잔액 이상이 아닌 경우 상기 매장 장치로 잔액 부족을 알린다.
만약, 상기 잔액 예치 장치에 상기 매장 장치에 해당하는 판매자의 계좌가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잔액 예치 장치는 상기 전자지급수단에 상기 잔액을 예치시킨 후, 상기 잔액을 지불 요청 금액으로 상기 판매자에게 누적하고, 그 누적된 지불 요청 금액 정보를 상기 매장 장치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매장 장치에는 지불 요청 금액이 표시되고, 판매자는 해당 금액을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입금시킬 수 있다.
상기 S518이 수행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기 저장된 예치금 정보를 상기 수신된 예치금 정보로 갱신한다(S520).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지급수단에 저장된 예치금을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잔액 예치 장치에 전자지급수단을 개설한 사용자 단말이 잔액 예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면(S602), 개설된 전자지급수단 정보가 표시된다(S604).
상기 S604가 수행된 상태에서 매장 직원이 매장 장치에 구비된 리더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인식하면(S606), 상기 매장 장치는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와 예치금을 포함하는 전자지급수단 정보 인식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608). 상기 전자지급수단 정보 인식 화면에는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 예치금은 물론 잔액 예치명령, 결제 명령 등이 표시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된 전자지급수단 정보 인식 화면에서 결제 명령이 입력되면(S610), 상기 매장 장치는 결제 금액,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및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신호를 상기 잔액 예치 장치로 전송한다(S612).
그러면, 상기 잔액 예치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와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S614),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전자지급수단의 예치금에서 상기 결제 금액을 차감하여 결제를 처리하고(S616), 상기 결제에 따라 예치금을 갱신한다(S618).
이때,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가 아니면, 상기 잔액 예치 장치는 인증된 사용자가 아니라는 메시지를 상기 매장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잔액 예치 장치는 상기 전자지급수단의 예치금과 결제 금액을 비교하여 상기 예치금이 결제금액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예치금이 결제금액 이상인 경우 상기 잔액 예치 장치는 상기 예치금에서 상기 결제금액을 차감하여 결제를 수행한다.
만약, 상기 전자지급수단의 예치금이 결제금액 이상이 아닌 경우, 상기 잔액 예치 장치는 예치금 부족을 알리는 예치금 부족 알림 메시지를 상기 매장 장치 또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S618의 수행 후 상기 잔액 예치 장치는 결제 결과를 상기 매장장치에 전송함(S620)과 동시에 갱신된 예치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S622).
그러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기 저장된 예치금정보를 상기 수신된 예치금 정보로 갱신한다(S624).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매장에서 상품구매 후 발생되는 잔액에 대해 매장에 설치된 매장장치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전자지급수단으로 예치하고, 필요 시 매장에서 매장 장치를 통해 예치금을 확인하고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현금 결제 시 발생되는 잔액에 대한 처리 방법을 개선할 수 있는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100 : 사용자 단말 110, 210, 310 : 통신부
12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30 : 저장부
140 : 전자지급수단 개설요청 처리부 150 : 전자지급수단 구동부
200 : 매장 장치 220 : 입력부
230 : 출력부 240 : 전자지급수단 인식부
250 : 잔액 예치 요청부 260 : 결제 처리부
300 : 잔액 예치 장치 320 : 전자지급수단정보 데이터베이스
330 : 인증부 340 : 잔액 예치 처리부
350 : 결제 처리부

Claims (20)

  1. 잔액 예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잔액 예치를 위한 전자지급수단을 개설하고, 상기 잔액 예치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 경우 개설된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인식하고, 상품 현금 구매 후 남은 잔액에 대한 잔액 예치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 및 잔액을 포함하는 잔액 예치 요청 신호를 잔액 예치 장치로 전송하는 매장 장치; 및
    상기 매장장치로부터 잔액 예치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전자지급수단에 상기 잔액을 예치하여 예치금을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예치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잔액 예치 장치;
    를 포함하는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매장장치 또는 잔액 예치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잔액 예치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저장부;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잔액 예치 장치에 잔액 예치를 위한 전자지급수단 개설을 요청하고, 상기 잔액 예치 장치로부터 개설된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전자지급수단 개설 요청 처리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잔액 예치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 경우, 개설된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하고, 상기 잔액 예치 장치로부터 갱신된 예치금 정보가 수신된 경우, 해당 전자지급수단의 예치금 정보를 갱신하는 전자지급수단 구동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지급수단 정보는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 예치금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표시되는 전자지급수단 정보는 바코드, 전자태그,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4. 사용자 단말 또는 잔액 예치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출력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인식하는 전자지급수단 인식부; 및
    상품 현금 구매 후 남은 잔액에 대한 잔액 예치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 및 잔액을 포함하는 잔액 예치 요청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잔액 예치 장치로 전송하는 잔액 예치 요청부;
    를 포함하는 매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지급수단 인식부에서 인식된 전자지급수단의 예치금을 이용한 결제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 및 결제 금액을 포함하는 결제 요청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잔액 예치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결제금액의 결제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결제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지급수단 인식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바코드, 전자태그, NFC 중 적어도 하나의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인식하는 리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장 장치.
  7. 사용자 단말 또는 매장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
    사용자 단말별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 예치금이 저장된 전자지급수단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통신부를 통해 매장장치로부터 잔액,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및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잔액 예치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및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및
    상기 인증부의 인증결과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전자지급수단에 상기 잔액을 예치하고, 갱신된 예치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잔액 예치 처리부;
    를 포함하는 잔액 예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를 통해 매장 장치로부터 결제 금액,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및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전자지급수단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예치금에서 상기 결제 금액을 차감하고, 결제 결과를 상기 매장장치에 전송함과 동시에 갱신된 예치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결제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액 예치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잔액 예치 처리부는 상기 전자지급수단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매장 장치에 해당하는 판매자의 계좌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존재하는 경우 상기 판매자의 계좌에서 상기 전자지급수단으로 상기 잔액만큼을 이체시키고,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판매자의 계좌 개설 요청 및 잔액 예치 불가 메시지를 상기 매장 장치로 전송하거나, 상기 전자지급수단에 상기 잔액을 예치시킨 후 상기 잔액을 지불 요청 금액으로 상기 매장장치에 누적하고, 그 누적된 지불 요청 금액 정보를 상기 매장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액 예치 장치.
  10. (a) 잔액 예치 장치에 전자지급수단을 개설한 사용자 단말이 잔액 예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경우, 상기 개설된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b) 매장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인식한 경우,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 예치금, 잔액 예치 명령, 결제 명령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전자지급수단 정보 인식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c) 상기 전자지급수단 정보 인식 화면에서 잔액 예치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매장 장치가 상품 현금 구매 후 남은 잔액,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및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잔액 예치 요청 신호를 상기 잔액 예치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잔액 예치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와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전자지급수단에 상기 잔액을 예치하여 예치금을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예치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상기 사용자 단말이 기 저장된 예치금 정보를 상기 수신된 예치금 정보로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
    상기 전자지급수단 정보 인식 화면에서 결제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매장 장치가 결제 금액,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및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신호를 상기 잔액 예치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잔액 예치 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와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전자지급수단의 예치금에서 상기 결제 금액을 차감하여 결제를 처리하고, 상기 결제에 의해 예치금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잔액 예치 장치가 결제 결과를 상기 매장장치에 전송함과 동시에 갱신된 예치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방법.
  12. 사용자 단말이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잔액 예치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 경우, 개설된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전자지급수단 정보가 매장 장치에 의해 인식되어 잔액 예치 또는 결제 처리가 요청된 경우, 잔액 예치 장치로부터 갱신된 예치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기 저장된 예치금 정보를 상기 수신된 예치금 정보로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잔액 예치 장치에 전자지급수단 개설을 요청하고, 상기 잔액 예치 장치로부터 개설된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방법.
  14. 잔액 예치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된 경우, 개설된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전자지급수단 정보가 매장 장치에 의해 인식되어 잔액 예치 또는 결제 처리가 요청된 경우, 잔액 예치 장치로부터 갱신된 예치금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기 저장된 예치금 정보를 상기 수신된 예치금 정보로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5. 매장 장치가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인식한 경우,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 예치금, 잔액 예치 명령, 결제 명령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전자지급수단 정보 인식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지급수단 정보 인식 화면에서 잔액 예치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품 현금 구매 후 남은 잔액,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및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잔액 예치 요청 신호를 잔액 예치 장치로 전송하고, 그 결과로 잔액 예치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지급수단 정보 인식 화면에서 예치금을 이용한 결제 명령이 입력된 경우, 결제 금액,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및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신호를 상기 잔액 예치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결제금액의 결제처리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방법.
  17.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전자지급수단 정보를 인식한 경우,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 예치금, 잔액 예치 명령, 결제 명령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전자지급수단 정보 인식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지급수단 정보 인식 화면에서 잔액 예치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품 현금 구매 후 남은 잔액,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및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잔액 예치 요청 신호를 잔액 예치 장치로 전송하고, 그 결과로 잔액 예치 결과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8. 잔액 예치 장치가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매장장치로부터 잔액,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및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잔액 예치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와 상기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결과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전자지급수단에 상기 잔액을 예치하여 예치금을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예치금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매장 장치로부터 결제 금액,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및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결제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와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결과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전자지급수단의 예치금에서 상기 결제 금액을 차감하여 결제를 처리하고, 상기 결제에 의해 예치금을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처리 결과를 상기 매장장치에 전송함과 동시에 갱신된 예치금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방법.
  20. 매장장치로부터 잔액,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 및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잔액 예치 요청 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식별정보와 상기 전자지급수단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결과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 상기 전자지급수단에 상기 잔액을 예치하여 예치금을 갱신하고, 상기 갱신된 예치금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02872A 2012-01-10 2012-01-10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06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872A KR101906376B1 (ko) 2012-01-10 2012-01-10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2872A KR101906376B1 (ko) 2012-01-10 2012-01-10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886A true KR20130089886A (ko) 2013-08-13
KR101906376B1 KR101906376B1 (ko) 2018-12-04

Family

ID=49215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2872A KR101906376B1 (ko) 2012-01-10 2012-01-10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3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681B1 (ko) 2023-05-24 2023-11-29 주식회사 페이네스트 선불전자지급수단 관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6376B1 (ko) 201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14154B2 (en) Intelligent application of reserves to transactions
US10885515B1 (en) System and method for canceling a payment after initiating the payment using a proxy card
US201503247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refundable taxes
US20220237602A1 (en) Authorizing a purchase transaction using a mobile device
US11238426B1 (en) Associating an account with a card
CN107004190A (zh) 用于处理电子交易的系统
US7950576B2 (en) Portable consumer device for use in currency conversion process
US20120239474A1 (en) Prepaid card rewards
KR101781408B1 (ko) 택스 리펀드 통합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60019517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allowing consumer access to detailed financial transactional data
WO2019139127A1 (ja) 取引管理システム及び取引管理方法
CN104704520B (zh) 基于云的支付方法
KR101244766B1 (ko) 포인트 카드를 이용한 결제 방법 및 포인트 관리 서버
KR20090129385A (ko) 신용카드 결제 기능과 선불카드 결제 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카드의 결제 방법
CN113781026A (zh) 钱包服务器、钱包系统和非暂时性存储介质
WO2019139124A1 (ja) 取引管理システム及び取引管理方法
US20150186956A1 (en) Method of Promoting Customer Loyalty and Charitable Donations by Adjusting a Sale Transaction Subtotal by Executing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Stored On 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KR101906376B1 (ko) 전자지급수단을 이용한 잔액 예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1250455B2 (en) Entity resource deployment and conversion system
JP2015132932A (ja) 通貨管理装置、通貨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8225875A1 (ja) 商品購入代金支払いの損得の通知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90088193A (ko) 암호화 화폐를 이용한 잔돈 적립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KR20150137344A (ko) 택스 리펀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130046453A (ko) 계좌 이체 단말기, 계좌 이체 중계 서버 및 계좌 이체 방법
KR20110029257A (ko) 구매잔액 이머니 충전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