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9414A - 바이칼린의 자가미세유화시스템 제제화 방법 - Google Patents

바이칼린의 자가미세유화시스템 제제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9414A
KR20130089414A KR1020120010748A KR20120010748A KR20130089414A KR 20130089414 A KR20130089414 A KR 20130089414A KR 1020120010748 A KR1020120010748 A KR 1020120010748A KR 20120010748 A KR20120010748 A KR 20120010748A KR 20130089414 A KR20130089414 A KR 20130089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baicalin
cosurfactant
bicalin
surf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0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호연
이병의
김영희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10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9414A/ko
Publication of KR20130089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94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바이칼린의 자가미세유화시스템 방법을 이용한 제제화는 항염 및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는 바이칼린을 용해도를 높여 가글, 치약 및 손세정제 등에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바이칼린에 대한 용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먼저 oil, surfactant, cosurfactant 각각에 대한 용해도를 측정하고 혼용성 실험을 실시하여 침전되지 않고 투명하게 용해되는 배합을 확인하여 oil은 Miglyol 812, surfactant로는 Tween 40, Tween 80, PluonicL 81과 cosurfactant로는 Cabitol, Plurol oleique, Lauroglycol 90을 선정하였다.
위의 결과 조건에서 surfactant간과, cosurfactant간 과의 혼용성을 관찰한 결과 surfactant는 Tween 40, Tween 80 모두 Pluonic L81과는 혼용성이 좋았으며, Cabitol은 Plurol oleique와 Lauroglycol90과 혼용성이 좋았으며 Plurol oleique와 Lauroglycol 90과도 혼용성이 양호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최적의 자가유화시스템이 될 수 있도록 바이칼린에 대해 oil은 Miglyol 20중량%, surfactant 40중량%(Tween 80 : Pluonic L81 = 1:1) 그리고 cosurfactant 40중량%(Cabitol : Plurol oleiqur = 1:1)이 바이칼린을 제제화 시켜 소재로 사용하기에 가장 최적으로 적합한 배합비이다.
상기와 같은 바이칼린의 자가미세유화시스템 방법은 항염 및 항균활성이 뛰어난 바이칼린의 용해도를 높여 가글, 치약 및 손세정제 등에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바이칼린의 자가미세유화시스템 제제화 방법{Self-microemulsifying drug delivery system formulation methods of utility baicalin}
본 발명은 항균 및 항염활성이 우수한 바이칼린을 용해도를 높여 다양한 소재로 사용하고자 바이칼린의 자가미세유화시스템에 의한 제제화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이칼린(Baicalin)은 다년생 초본인 꿀풀과(Lamiaceae)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의 주요 성분인 플라보노이드(flavonoid) 계열의 플라본(flavone)류 화합물이다. 보고된 주요 생리활성은 항균 및 항염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뿌리는 약용뿐 아니라 식용도 가능하다. 동아시아대륙 중국 북부지방 원산으로, 우리나라 각처의 산지에 나고, 지리적으로는 동시베리아, 몽고, 중국, 만주에 분포한다. 약용식물로 들여와 각처의 약초농가에서 재배하는 귀화식물이며 흔히 밭에 재배한다.
황금에 함유되어 있는 바이칼레인은 플라보노이드 계열의 화합물로서 항염, 항바이러스, 항산화, 항암작용 등의 효과를 나타내며, 항불안 효과 등 중추신경계를 조절하는 효과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참조: Gao Z. etal., Biochim. Biophy. Acta, 1472:643-650, 1999; Kitamura K. et al., Antiviral Res.. 37:131-140, 1998; Wu J. A. et al., Amer. J. Chin. Med., 29:69-81, 2001; Jyh-Fei liao et al., Euro. J. Pharmacol., 464:141-146, 2003).
황금의 구성 성분 중의 하나인 바이칼레인(baicalein)의 용해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히드록시프로필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Hydroxypropyl-β-cyclodextrin)을 이용한 예로(J. Liu, et al., Int. J. Pharm., 312, pp.137-143, 2006), 히드록시프로필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포접 복합체를 형성하여 동결건조하는 방법으로 바이칼레인(Baicalein)의 용해도를 증가시켰지만, 이는 히드록시프로필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이 다른 약제학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보다 고가이며, 동결건조를 위해 고가의 장비 또한 사용해야 하는 단점으로 인하여 제조 단가가 매우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Figure pat00001
[바이칼린]
바이칼린이 가지고 있는 생리활성인 항균 및 항염 효능을 이용한 가글, 치약, 손세정제 등에 적용이 용이한 다양한 소재를 개발하고자 바이칼린을 자가미세유화시스템으로 제제화를 위하여 바이칼린에 최적으로 용해되는 oil을 선정하고 oil에 대해 혼용성을 갖는 surfactant와 cosurfactant도 선정하여 이들의 최적의 혼용성을 실험하여 최종적으로 바이칼린의 자가미세유화시스템 제제화 방법을 확립하여 소재로 사용 시 용해도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는 생약 추출물들이 가글제품, 치약, 손세정제 같은 위생용품에서 과자, 검 등 일반식품에도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생활환경과 소득의 증가에 따른 삶의 질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합성 화합물보다 천연소재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바이칼린은 항균, 항염의 효능을 가지고 있어 가글, 치약, 검 등에 적용시키기에 매우 적당한 물질로 이와 같이 특성에 맞는 제품의 개발에는 바이칼린 유효농도를 충분히 적용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는 단순 추출물을 이용한 형식보다는 바이칼린에 대한 자가미세유화시스템 제제화를 이용한 용해도 해결이 중요하므로 이를 해결하여 바이칼린에 대한 이용도를 높이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oil, surfactant, cosurfactant로 되어 있는 분산계를 이용하여 표면적을 증가시켜 난용성인 바이칼린의 용해도를 증대시키고 흡수를 향상시켜 생체 내 이용률을 증대시키는 자가미세유화시스템을 적용하였다. 바이칼린의 자가미세유화시스템 제제는 바이칼린, oil, surfactant, cosurfactant를 물을 포함하지 않은 상태에서 균일하게 혼합하고, 용해 또는 분산하여 조제한 제제이다.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으로 상용화된 oil, surfactant, cosurfactant에 대한 용해도와 색변화 등을 측정하여 최적의 물질을 선정하고 바이칼린에 대한 용해도를 측정한다. 또한 선정된 각각의 oil, surfactant, cosurfactant에 대해서는 혼용성 실험을 통하여 최적의 배합비를 선정하여 최종적으로는 바이칼린의 자가미세유화시스템 제제화 방법을 확립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칼린의 자가미세유화시스템 제제화 방법은 항염 및 항균 효과를 가지고 있는 바이칼린의 용해도를 높여 가글, 치약 또는 다양한 위생용품에 적용하기가 용이해진다. 또한 새로운 소재로서 가정용품 등 신규 제품을 개발하는데 매우 효과적으로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발명에 따른 oil, surfactant, cosurfactant의 혼용성 시험에 대한 투명하게 용해된 배합 도면.
도 2는 발명에 따른 surfactant간과 cosurfactant간과의 혼용성 시험에 대한 투명하게 용해된 배합 도면.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개념에 대해 설명한다.
바이칼린에 대한 용해도를 측정하기 위해 먼저 oil, surfactant, cosurfactant 각각에 대한 용해도를 측정한다. 농도는 각각 5 g에 바이칼린 10 mg에 대한 용해도를 측정한 결과 oil은 Peceol(글리세릴올레이트, Gattefossㅹ Canada Inc, 몬트리올, 카나다)과 Miglyol 812(Caprylic/Capric/Glycerin Triglyceride, Sasol Germany GmbH, 비텐, 독일)이 가장 우수하고, sufactant와 cosurfactant는 Labrasol(caprylo caproyl macrogol-8-glyceride), PEG 400(폴리에틸렌글리콜 400), PEG 600(폴리에틸렌글리콜 600) 그리고 carbito(Diethylene glycol monoethylether)l에 잘 용해되었다. 이어서 oil 5 g에 대한 바이칼린의 농도를 높이며 Labrasol, PEG 400, PEG 600, carbitol (Diethylene glycol monoethylether)에 대한 측정결과 carbitol이 가장 우수하며 최대 바이칼린 100 mg/oil 5 g 이었다.
Oil, surfactant, cosurfactant에 대한 54개 시료에 대한 혼용성 실험을 실시하여 침전되지 않고 투명하게 용해되는 23개의 배합을 확인하여 surfactant로는 Tween 40(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Tween 80(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e), Pluonic L81(Ethylene Oxide/Propylene Oxide Block Copolymer)과 cosurfactant로는 Cabitol, Plurol oleique(Polyglyceryl-6-dioleate), Lauroglycol 90 (Propylene glycol monolaurate)의 혼용성이 우수하였다.
위의 결과 조건에서 Tween 40, Pluonic L81, Tween 80과 Cabitol, Plurol oleique, Lauroglycol 90에 대한 surfactant간과, cosurfactant간과의 혼용성을 관찰한 결과 surfactant는 Tween 40, Tween 80 모두 Pluonic L81과는 혼용성이 좋았으며, Cabitol은 Plurol oleique와 Lauroglycol90과 혼용성이 좋았으며 Plurol oleique와 Lauroglycol 90과도 혼용성이 양호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자가유화시스템이 될 수 있도록 바이칼린에 대한 oil, surfactant, cosurfactant와의 배합은 oil은 Miglyol 812, surfactant는 Tween 80과 Pluonic L81, cossurfactant는 Cabitol과 Plurol oleique 이었으며 최적의 비율은 oil인 Miglyol 20중량%, surfactant 40중량%(Tween 80 : Pluonic L81 = 1:1) 그리고 cosurfactant 40중량%(Cabitol : Plurol oleiqur = 1:1)가 바이칼린을 제제화 시켜 소재로 사용하기에 가장 최적으로 적합한 배합비이다.

Claims (5)

  1. 자가유화시스템이 될 수 있도록 바이칼린에 대한 oil, surfactant, cosurfactant와의 배합로서, oil은 Miglyol 812, surfactant는 Tween 80과 Pluonic L81, cosurfactant는 Cabitol과 Plurol oleiqu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바이칼린의 자가미세유화시스템 제제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바이칼린에 대한 oil, surfactant, cosurfactant와의 배합비율로서 oil인 Miglyol 20중량%, surfactant 40중량%(Tween 80 : Pluonic L81 = 1:1) 그리고 cosurfactant 40중량%(Cabitol : Plurol oleiqur = 1:1)로 조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바이칼린의 자가미세유화시스템 제제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으로부터 얻어진 바이칼린의 자가미세유화시스템 제제.
  4.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으로부터 얻어진 바이칼린의 자가미세유화시스템 제제를 포함하는 위생용품.
  5. 제4항에 있어서, 위생용품이 가글, 치약, 손세정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용품.
KR1020120010748A 2012-02-02 2012-02-02 바이칼린의 자가미세유화시스템 제제화 방법 KR201300894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748A KR20130089414A (ko) 2012-02-02 2012-02-02 바이칼린의 자가미세유화시스템 제제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748A KR20130089414A (ko) 2012-02-02 2012-02-02 바이칼린의 자가미세유화시스템 제제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9414A true KR20130089414A (ko) 2013-08-12

Family

ID=49215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0748A KR20130089414A (ko) 2012-02-02 2012-02-02 바이칼린의 자가미세유화시스템 제제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94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68237A1 (en) * 2019-04-09 2022-06-02 Beijing Wehand-Bio Pharmaceutical Co., Ltd. Flavonoid polyphenol drug self-emulsifying composition, preparation method theref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reof and application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68237A1 (en) * 2019-04-09 2022-06-02 Beijing Wehand-Bio Pharmaceutical Co., Ltd. Flavonoid polyphenol drug self-emulsifying composition, preparation method theref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reof and application thereof
AU2020256609B2 (en) * 2019-04-09 2023-09-28 Beijing Wehand-Bio Pharmaceutical Co., Ltd. Flavonoid polyphenol drug self-emulsifying composition, preparation method theref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reof and application thereof
US11771660B2 (en) * 2019-04-09 2023-10-03 Beijing Wehand-Bio Pharmaceutical Co., Ltd. Flavonoid polyphenol drug self-emulsifying composition, preparation method theref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reof and application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49865B (zh) 护肤化妆品组合物
Xavier-Junior et al. Microemulsion systems containing bioactive natural oils: an overview on the state of the art
JP2021152066A (ja) 育毛組成物
JP6054700B2 (ja) 脱糖化剤及び皮膚外用剤
JP6026429B2 (ja) 育毛剤の調製方法とその組成物
WO2009010305A3 (en) Tablettable formulations of lipophilic health ingredients
JP2007119432A (ja) ペルオキシソーム増殖剤応答性受容体活性化剤
KR101704874B1 (ko) 노근, 함초 및, 매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CN104135999A (zh) 具有经时稳定性的w/o/w型乳液及其制造方法
Pandey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timicrobial herbal cosmetic preparation
KR101806800B1 (ko)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52823A (ko) 천연 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및 물티슈 용액
TW200826924A (en) Composition containing reduced coenzyme Q10 and lysolecithin
JP2004051627A5 (ko)
CN103548898A (zh) 苦参碱单剂及农药组合物
ITMI20101119A1 (it) Composizioni farmaceutiche e/o nutraceutiche contenenti principi attivi insolubili in acqua e procedimento per ottenerle.
ES2945058T3 (es) Composición a base de ácido espiculispórico
EP3265177B1 (en) Formulations of hydrophilic compounds
KR20130089414A (ko) 바이칼린의 자가미세유화시스템 제제화 방법
TW201438598A (zh) 食品組成物以及含有其的軟膠囊
KR20190081545A (ko) 산수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성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2443214A2 (en) Combinations of herb extracts having synergistic antioxidant effect,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JP2004159563A (ja) プロポリス組成物
WO2018185780A1 (en) Bioavailable composition for turmeric oleoresin
JP2011207819A (ja) 皮脂溶解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