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7994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뷰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뷰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7994A
KR20130087994A KR1020120128187A KR20120128187A KR20130087994A KR 20130087994 A KR20130087994 A KR 20130087994A KR 1020120128187 A KR1020120128187 A KR 1020120128187A KR 20120128187 A KR20120128187 A KR 20120128187A KR 20130087994 A KR20130087994 A KR 20130087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creen
displayed
display
view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0940B1 (ko
Inventor
이다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2195494.5A priority Critical patent/EP2621179A1/en
Priority to FR1261771A priority patent/FR2986394B3/fr
Priority to DE202012104797U priority patent/DE202012104797U1/de
Priority to US13/709,728 priority patent/US20130194296A1/en
Priority to BR112014018838A priority patent/BR112014018838A8/pt
Priority to PCT/KR2012/011846 priority patent/WO2013115491A1/en
Priority to HU1400425A priority patent/HUP1400425A2/hu
Priority to CN201310009181XA priority patent/CN103227949A/zh
Priority to JP2013009721A priority patent/JP2013157979A/ja
Publication of KR20130087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05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enabling multiple viewpoints, e.g.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 및 멀티 뷰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신호 처리부, 영상 프레임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멀티 뷰 모드 개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명령 입력부 및 멀티 뷰 모드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화면에 서브 화면을 생성하여 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서브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타 컨텐츠가 선택되면,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 및 선택된 타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조합하여 복수의 컨텐츠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도록 신호 처리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복수의 사용자는 자신들이 선택하고자 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고, 현재 시청하고 있는 영상을 끊김 없이 시청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뷰 제공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view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뷰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컨텐츠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멀티 뷰(multi-view) 모드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뷰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제품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TV, 휴대폰, PC, 노트북 PC, PDA 등과 같은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대부분의 일반 가정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사용이 늘면서 좀 더 다양한 기능에 대한 사용자 요구도 증대되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요구에 부합하기 위한 각 제조사들의 노력도 커져서, 3D 컨텐츠의 제공 등 종래에 없던 새로운 기능을 갖춘 제품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하여 복수의 사용자가 서로 다른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는 멀티 뷰 모드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개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으로 사용자가 복수의 컨텐츠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가 동시에 복수의 컨텐츠를 확인할 수 없는 불편함이 존재하고,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영상이 끊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 뷰 모드 개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에 서브 화면을 생성하여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영상을 끊김 없이 시청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뷰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영상 프레임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멀티 뷰 모드 개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명령 입력부부; 및 상기 멀티 뷰 모드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화면에 서브 화면을 생성하여 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서브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타 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 및 상기 선택된 타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조합하여 복수의 컨텐츠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신호 처리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화면에 상기 타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 화면에 대한 컨텐츠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서브 화면에 표시되는 타 컨텐츠를 변경하도록 상기 신호 처리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 및 상기 선택된 타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따라 안경 장치를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안경 장치로 전송하는 동기화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 및 상기 선택된 타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상기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도록 프레임 단위로 교번적으로 조합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신호 처리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멀티 뷰 모드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멀티 뷰 모드를 종료하고, 상기 컨텐츠가 메인 화면에 표시되고 상기 타 컨텐츠가 상기 서브 화면에 표시되는 화면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신호 처리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된 화면 상태에서 상기 메인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서브 화면을 제거하고, 상기 서브 화면에 표시된 타 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타 컨텐츠를 상기 메인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서브 화면을 제거하도록 상기 신호 처리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화면의 개수는 상기 멀티 뷰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화면은 PIP(Picture in Picture) 화면 및 PBP(Picture by Picture) 화면 중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뷰 제공 방법은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멀티 뷰 모드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화면에 서브 화면을 생성하여 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타 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 및 상기 선택된 타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조합하여 복수의 컨텐츠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화면에 상기 타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 화면에 대한 컨텐츠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서브 화면에 표시되는 타 컨텐츠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 및 상기 선택된 타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따라 안경 장치를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안경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 및 상기 선택된 타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상기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도록 프레임 단위로 교번적으로 조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멀티 뷰 모드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멀티 뷰 모드를 종료하고, 상기 컨텐츠가 메인 화면에 표시되고 상기 타 컨텐츠가 상기 서브 화면에 표시되는 화면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환하는 단계에서 상기 메인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서브 화면을 제거하고, 상기 서브 화면에 표시된 타 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타 컨텐츠를 상기 메인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서브 화면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화면의 개수는 상기 멀티 뷰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화면은 PIP(Picture in Picture) 화면 및 PBP(Picture by Picture) 화면 중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구성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영상 프레임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멀티 뷰 모드 개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명령 입력부; 및 상기 멀티 뷰 모드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화면의 일 영역에 상기 멀티 뷰 모드 시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컨텐츠 선택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컨텐츠 선택 UI를 통해 복수의 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복수의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조합하여 복수의 컨텐츠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도록 상기 신호 처리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선택 UI는 상기 멀티 뷰 모드 시 디스플레이되는 제1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영역 및 상기 멀티 뷰 모드 시 디스플레이되는 제2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사용자 명령 입력부를 통해 하나의 영역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한 컨텐츠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명령 입력부를 통해 멀티 뷰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멀티 뷰 모드를 종료하고, 상기 멀티 뷰 모드 시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컨텐츠 선택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멀티 뷰 제공 방법은,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멀티 뷰 모드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화면의 일 영역에 상기 멀티 뷰 모드 시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컨텐츠 선택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선택 UI를 통해 복수의 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복수의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조합하여 복수의 컨텐츠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 선택 UI는 상기 멀티 뷰 모드 시 디스플레이되는 제1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영역 및 상기 멀티 뷰 모드 시 디스플레이되는 제2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 중 상기 사용자 명령 입력부를 통해 하나의 영역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영역에 대한 컨텐츠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명령 입력부를 통해 멀티 뷰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멀티 뷰 모드를 종료하고, 상기 멀티 뷰 모드 시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컨텐츠 선택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복수의 사용자는 자신들이 선택하고자 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고, 현재 시청하고 있는 영상을 끊김 없이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뷰 모드를 진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뷰 모드를 진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뷰 모드를 해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멀티 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뷰 모드를 진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컨텐츠 제공 시스템(100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안경 장치(200)를 포함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2D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2D 컨텐츠(컨텐츠 A, B)를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각 컨텐츠에 대응되는 안경 장치 1, 2(200-1, 200-2)를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여 안경 장치(200-1, 200-2)로 전송한다.
이 경우, 안경 장치 1(200-1)은 동기화 신호에 따라 하나의 컨텐츠(A)가 디스플레이될 때, 좌측 셔터 글래스 및 우측 셔터 글래스 모두를 오픈시키고, 다른 컨텐츠(B)가 디스플레이될 때 좌측 셔터 글래스 및 우측 셔터 글래스 모두를 오프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경 장치 1(200-1)을 착용한 시청자 1(viewer 1)는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컨텐츠(A, B) 중 안경 장치 1(200-1)과 동기화된 하나의 컨텐츠(A) 만을 시청할 수 있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안경 장치 2(200-2)를 착용한 시청자 2(viewer 2)는 컨텐츠(B) 만을 시청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3D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3D 컨텐츠(컨텐츠 A, B)가 3D 컨텐츠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3D 컨텐츠(컨텐츠 A, B)를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면서, 각 3D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 또한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D 컨텐츠 A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AL, AR)을 디스플레이하고, 3D 컨텐츠 B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BL, BR)을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안경 장치 1(200-1)는 3D 컨텐츠 A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AL, AR)의 디스플레이 시점에 좌안 및 우안 글래스를 오픈시키고, 안경 장치 2(200-2)는 3D 컨텐츠 B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BL, BR)의 디스플레이 시점에 좌안 및 우안 글래스를 오픈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안경 장치 1(200-1)을 착용한 시청자 1(viewer 1)은 3D 컨텐츠 A만을 시청하게 되고, 안경 장치 2(200-2)는 착용한 시청자 2(viewer 2)은 3D 컨텐츠 B 만을 시청하게 된다.
다만, 이는 셔터 글래스 방식을 상정한 경우에 대한 설명이며, 편광 방식의 경우에는 복수의 컨텐츠 영상 각각의 편광 방향과 안경 장치 1, 2의 편광 방향이 일치되도록 구현하여 멀티 뷰 모드를 지원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인식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부(110), 신호 처리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저장부(140), 사용자 명령 입력부(150), 동기화 신호 생성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 휴대폰, PDA, 노트북 PC, 모니터, 태블릿 PC, 전자 책, 전자 액자, 키오스크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비한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수신부(110)는 다양한 소스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신부(11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수신부(110-1,110-2,110-3)는 멀티 뷰 모드에 따라 다양한 소스로부터 영상 컨텐츠 각각을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각 수신부(110-1, 110-2,110-3)는 방송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방송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송국 또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영상 컨텐츠를 전송하는 웹 서버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마련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각종 기록 매체 재생 장치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기록 매체 재생 장치란 CD, DVD, 하드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방송국으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실시 예의 경우에는, 복수의 수신부(110-1,110-2,110-3)는 튜너(미도시), 복조기(미도시), 등화기(미도시) 등과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반면, 웹 서버와 같은 소스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실시 예의 경우에는, 복수의 수신부(110-1,110-2,110-3)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각종 기록 매체 재생 장치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는 실시 예의 경우에는, 복수의 수신부(110-1,110-2,110-3)는 기록 매체 재생 장치와 연결된 인터페이스부(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수신부(110-1,110-2,110-3)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수신부(110-1,110-2,110-3)는 반드시 동일한 유형의 소스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할 필요는 없으며, 복수의 수신부(110-1,110-2,110-3)는 서로 다른 유형의 소스로부터 영상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신부(110-1) 및 제2 수신부(110-2)는 튜너, 복조기, 등화기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되고, 제3 수신부(110-3)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수신부(110)가 3개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3개를 제외한 복수 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신호 처리부(120)는 수신부(110)에서 수신된 영상 컨텐츠의 영상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신호 처리부(120) 역시 수신부(110)와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신호 처리부(120)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신호 처리부(120-1,120-2,120-3)는 복수의 수신부(110-1,110-2,110-3)에서 수신된 영상 컨텐츠들을 각각 처리하여 영상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신호 처리부(120-1,120-2,120-3)는 대응되는 복수의 수신부(110-1,110-2,110-3)로부터 수신된 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신호 처리부(120-1,120-2,120-3)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는 디코더(미도시),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 사이즈에 맞추어 업 또는 다운 스케일링을 수행하는 스케일러(미도시)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신호 처리부(120-1,120-2,120-3)는 영상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출력 레이트를 참조하여 멀티 컨텐츠 디스플레이 레이트에 맞게 변환한다. 예를 들어,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표시가능한 프레임 레이트는 초당 60 프레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신호 처리부(120-1,120-2,120-3)는 각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를 60Hz로 변환한다.
한편, 도 2에서는 신호 처리부(120)가 3개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3개를 제외한 복수 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복수의 신호 처리부(120-1,120-2,120-3)에서 구성된 각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교번적으로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부(130)는 복수의 신호 처리부(120-1,120-2,120-3)에서 제공되는 각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이 적어도 하나씩 교번적으로 배치되도록 멀티플렉싱하여 디스플레이한다. 경우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30)는 각 컨텐츠에 대한 영상 프레임을 화면 사이즈에 맞추어 업 또는 다운 스케일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영상 컨텐츠를 저장하여 사용자 명령에 따라 신호 처리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명령 입력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이때, 사용자 명령 입력부(150)는 리모컨,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입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사용자 명령 입력부(150)는 멀티 뷰 개시 명령, 컨텐츠 선택 명령, 멀티 뷰 종료 명령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동기화 신호 생성부(160)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영상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따라 안경 장치를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의 안경 장치(200-1,200-2)로 전송한다.
제어부(170)는 사용자 명령 입력부(15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70)는 멀티 뷰 모드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에 서브 화면을 생성하여 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서브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타 컨텐츠가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 및 선택된 타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조합하여 복수의 컨텐츠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도록 신호 처리부(120-1,120-2,120-3) 및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복수의 수신부(110-1,110-2,110-3) 중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130)의 메인 화면(30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사용자 명령 입력부(150)를 통해 멀티 뷰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 뷰 모드의 종류를 선택하는 UI(310)를 디스플레이부(13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UI(310)에는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개수에 따라 멀티 뷰 모드의 종류를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UI(310)에는 두 개의 컨텐츠가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듀얼 뷰 모드에 대응되는 아이콘(311), 세 개의 컨텐츠가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트리플 뷰 모드에 대응되는 아이콘(312) 및 네 개의 컨텐츠가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쿼드 뷰 모드에 대응되는 아이콘(31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UI(310)에는 5 개 이상의 컨텐츠가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멀티 뷰 모드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멀티 뷰 모드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해 UI(310)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리모컨 버튼과 다른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멀티 뷰 모드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멀티 뷰 모드가 디폴트된 경우, 멀티 뷰 모드의 종류를 선택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멀티 뷰 모드로 듀얼 뷰 모드가 디폴트된 경우, 멀티 뷰 모드의 종류를 선택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선택된 멀티 뷰 모드의 종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서브 화면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로, UI(310)에서 트리플 뷰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30)의 메인 화면(300)에 PIP(Picture in Picture) 화면 형태로 두 개의 서브 화면(320,330)을 생성한다. 이때, 메인 화면(300)은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첫 번째 컨텐츠(이하에서는 "제1 컨텐츠"라고 함.)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이고, 제1 서브 화면(320)은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두 번째 컨텐츠(이하에서는 "제2 컨텐츠"라고 함.)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이고, 제2 서브 화면(330)은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세 번째 컨텐츠(이하에서는 "제3 컨텐츠"라고 함)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이다.
이때, 제1 서브 화면(320)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1 서브 화면(320)에 대한 컨텐츠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제1 서브 화면(320)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다른 컨텐츠로 변경하도록 수신부(110), 신호 처리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브 화면(320)에 채널 번호 11번의 방송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제1 서브 화면(320)에 대한 컨텐츠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제1 서브 화면(320)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채널 번호 10번의 방송 컨텐츠로 변경하도록 수신부(110), 신호 처리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70)는 제1 컨텐츠 내지 제3 컨텐츠 중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컨텐츠에 대응되는 화면에는 하이라이트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제2 컨텐츠를 선택할 때, 제1 서브 화면(320) 화면을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명령에 따라 하이라이트 표시를 이동시킴으로써,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화면에 하이라이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다른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하여 메인 화면(300), 제1 서브 화면(320) 및 제2 서브 화면(330)의 이동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메인 화면(300)을 제2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으로 전환하고, 제1 서브 화면(320)을 제3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으로 전환하고, 제2 서브 화면(330)을 제1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복수의 컨텐츠가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선택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영상 프레임을 동기화 신호 생성부(160)에서 생성된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도록 프레임 단위로 교번적으로 조합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어, 제1 컨텐츠로 A 컨텐츠가 선택되고, 제2 컨텐츠로 B 컨텐츠가 선택되고, 제3 컨텐츠로 C 컨텐츠가 선택된 상태에서 멀티 뷰 선택 완료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컨텐츠, B 컨텐츠 및 C 컨텐츠를 교번적으로 조합하여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컨텐츠 및 제3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서브 화면으로 PIP 화면을 이용하는 것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서브 화면이 PBP(Picture by Picture) 화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복수의 수신부(110-1,110-2,110-3) 중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130)의 메인 화면(400)에 디스플레이한다.
듀얼 뷰 모드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0)에 제1 분할 화면(410) 및 제2 분할 화면(420)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제1 분할 화면(410)은 제1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이고, 제2 분할 화면(420)은 제2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이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3개 이상의 컨텐츠를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멀티 뷰 모드가 선택되면, 분할 화면은 컨텐츠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생성될 수 있다. 3 개 이상의 분할 화면이 생성될 때, 분할 화면들의 크기는 다를 수도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분할 화면(410)에 하이라이트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컨텐츠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제1 분할 화면(320)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다른 컨텐츠로 변경하도록 수신부(110), 신호 처리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이라이트 표시의 이동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컨텐츠를 선택하고자 하는 제2 분할 화면(420)에 하이라이트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 화면 또는 분할 화면을 이용하여 멀티 뷰 모드에서 시청하고자 하는 영상 컨텐츠를 선택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는 자신들이 선택하고자 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고, 현재 시청하고 있는 영상을 끊김 없이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멀티 뷰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멀티 뷰 모드를 종료하고, 컨텐츠가 메인 화면에 표시되고, 다른 컨텐츠가 서브 화면에 표시되는 화면상태로 전환하도록 신호 처리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전환된 화면 상태에서 메인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가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서브 화면을 제거하도록 신호 처리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그러나, 서브 화면에 표시된 다른 컨텐츠가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다른 컨텐츠를 메인 화면에 디스플레이하고 서브 화면을 제거하도록 신호 처리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컨텐츠, B 컨텐츠 및 C 컨텐츠가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멀티 뷰 모드 상태에서 멀티 뷰 모드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복수의 컨텐츠가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멀티 뷰 모드를 종료하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컨텐츠가 메인 화면(500)에 표시되고, B 컨텐츠가 제1 서브 화면(510)에 표시되면, C 컨텐츠가 제2 서브 화면(520)에 표시되도록 화면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그리고, 특정 화면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화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메인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화면(500)에 하이라이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하이라이트 이동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브 화면(510)에 하이라이트를 표시한다. 그리고, 선택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브 화면(510)에 대응되는 B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멀티 뷰 모드를 종료하고, 멀티 뷰 모드를 구성하는 복수의 영상 컨텐츠 중 시청하고자 하는 영상 컨텐츠를 선택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는 자신들이 선택하고자 하는 복수의 영상 컨텐츠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고, 시청하고자 하는 영상 컨텐츠를 끊김 없이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멀티 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S610).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소스 중 하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멀티 뷰 개시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20).
멀티 뷰 개시 명령이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S620-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서브 화면을 생성하여 타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한다(S630). 이때, 생성되는 서브 화면의 개수는 멀티 뷰 모드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듀얼 뷰 모드인 경우, 서브 화면은 한 개 생성될 수 있으며, 트리플 뷰 모드인 경우, 서브 화면은 두 개 생성될 수 있으며, 쿼드 뷰 모드인 경우, 서브 화면은 세 개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인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컨텐츠 및 서브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타 컨텐츠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40).
컨텐츠 및 타 컨텐츠가 선택되면(S640-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한다(S65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선택된 컨텐츠 및 타 컨텐츠를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선택된 컨텐츠 및 타 컨텐츠는 동기화 신호에 따라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멀티 뷰 모드 동작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멀티 뷰 종료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60).
멀티 뷰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S660-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멀티 뷰 모드를 종료하고(S670), 메인 화면에 컨텐츠를 표시하며, 서브 화면에 타 컨텐츠를 표시한다(S680).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 및 타 컨텐츠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를 메인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S690).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 화면을 이용하여 멀티 뷰 모드를 제공 또는 종료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는 자신들이 선택하고자 하는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고, 시청하고자 하는 영상을 끊김 없이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명령 입력부(150)를 통해 멀티 뷰 모드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영역에 멀티 뷰 모드 시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컨텐츠 선택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그리고, 컨텐츠 선택 UI를 통해 복수의 컨텐츠가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선택된 복수의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조합하여 복수의 컨텐츠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도록 신호 처리부(110) 및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복수의 수신부(110-1,110-2,110-3) 중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13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사용자 명령 입력부(150)를 통해 멀티 뷰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0)의 중앙 영역에 멀티 뷰 시청 또는 멀티 뷰 게임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멀티 뷰 모드 선택 UI(71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한다.
그리고, 멀티 뷰 시청을 위한 아이콘(713)이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30)의 중앙 영역에 멀티 뷰 모드 시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컨텐츠 선택 UI(72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선택 UI(720)는 멀티 뷰 모드 시 디스플레이되는 제1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제1 영역(723) 및 멀티 뷰 모드 시 디스플레이되는 제2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제2 영역(725)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컨텐츠 선택 UI(720)가 디스플레이 화면의 중앙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영역(예를 들어, 상단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컨텐츠 선택 UI(720)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3개의 이상의 컨텐츠를 선택하기 위하여 3개 이상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컨텐츠 선택 UI(7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멀티 뷰 모드 시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명령 입력부(150)를 통해 제1 영역(723) 및 제2 영역(725) 중 하나가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선택된 영역에 하이라이트 표시가 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명령 입력부(150)를 통해 제2 영역(725)이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제2 영역에 하이라이트 표시를 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영역에 대한 컨텐츠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선택된 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이 선택된 후, 컨텐츠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제2 영역에 표시되는 컨텐츠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를 변경하는 것은 채널을 변경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연결된 외부단자(예를 들어, 셋탑박스, DVD, PC 등)를 변경하는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될 수 있다.
컨텐츠 선택 UI(720)를 통해 복수의 컨텐츠가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선택된 복수의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조합하여 복수의 컨텐츠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도록 신호 처리부(120) 및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컨텐츠 선택 UI(720)에 포함된 시작 버튼(727)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70)는 선택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영상 프레임을 동기화 신호 생성부(160)에서 생성된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도록 프레임 단위로 교번적으로 조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컨텐츠로 A 컨텐츠가 선택되고, 제2 컨텐츠로 B 컨텐츠가 선택된 상태에서 멀티 뷰 선택 완료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A 컨텐츠 및 B 컨텐츠를 교번적으로 조합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는 도중 사용자 명령 입력부(150)를 통해 멀티 뷰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멀티 뷰 모드를 종료하고, 멀티 뷰 모드 시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컨텐츠 선택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멀티 뷰 종료 명령을 입력한 경우 생성되는 컨텐츠 선택 UI를 통해 하나의 컨텐츠가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선택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CD-ROM 등과 같이, 단말기에서 판독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수신부 120: 신호 처리부
130: 디스플레이부 140: 저장부
150: 사용자 명령 입력부 160: 동기화 신호 생성부
170: 제어부

Claims (21)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컨텐츠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멀티 뷰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동작하기 위하여 멀티 뷰 모드 개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명령 입력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서브 화면에서 선택될 수 있는 다른 컨텐츠를 조작하며, 상기 서브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다른 컨텐츠가 선택된 후, 복수의 컨텐츠 뷰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다른 컨텐츠는 외부 미디어 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소스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화면은 PIP(Picture in Picture) 화면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뷰 모드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컨텐츠 및 상기 다른 컨텐츠를 각각 선택하기 위한 두 개의 서브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화면은 PBP(Picture by Picture) 화면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뷰 모드에서, 상기 컨텐츠 및 상기 다른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들을 조합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가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 화면에 상기 다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서브 화면을 통해 컨텐츠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서브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다른 컨텐츠의 채널을 변경하도록 상기 신호 처리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 및 상기 다른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따라 안경 장치를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안경 장치로 전송하는 동기화 신호 생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 및 상기 다른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상기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도록 프레임 단위로 교번적으로 조합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신호 처리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멀티 뷰 모드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멀티 뷰 모드를 종료하고, 상기 컨텐츠가 메인 화면에 표시되고 상기 다른 컨텐츠가 상기 서브 화면에 표시되는 화면상태로 전환하도록 상기 신호 처리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된 화면 상태에서 상기 메인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서브 화면을 제거하고, 상기 서브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다른 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다른 컨텐츠를 상기 메인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서브 화면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화면의 수는 멀티 뷰 모드의 유형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
  12. 디스플레이 장치의 멀티 뷰 제공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화면에 컨텐츠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멀티 뷰 모드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서브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복수의 소스로부터 선택될 수 있도록 상기 서브 화면의 다른 컨텐츠를 조작하는 단계;
    상기 서브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상기 다른 컨텐츠가 선택된 후, 복수의 컨텐츠 뷰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 뷰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다른 컨텐츠는 외부 미디어 장치를 포함하는 복수의 소스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뷰 제공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화면은 PIP(Picture in Picture) 화면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뷰 제공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화면은 PBP(Picture by Picture) 화면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뷰 제공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뷰 모드에서, 상기 컨텐츠 및 상기 다른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들을 조합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가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뷰 제공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하는 단계는,
    상기 서브 화면에 다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서브 화면을 통해 컨텐츠 변경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서브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다른 컨텐츠의 채널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뷰 제공 방법.
  18. 제17에 있어서,
    제1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 및 제2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따라 안경 장치를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안경 장치로 상기 생성된 동기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 및 상기 다른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상기 동기화 신호에 대응되도록 프레임 단위로 교번적으로 조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뷰 제공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멀티 뷰 모드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멀티 뷰 모드를 종료하고, 상기 컨텐츠를 메인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다른 컨텐츠를 상기 서브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뷰 제공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된 화면 상태에서 상기 메인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컨텐츠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서브 화면을 제거하고, 상기 서브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다른 컨텐츠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다른 컨텐츠를 상기 메인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서브 화면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뷰 제공 방법.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화면의 수는 멀티 뷰 모드의 유형에 따라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멀티 뷰 제공 방법.
KR1020120128187A 2012-01-30 2012-11-13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뷰 제공 방법 KR101310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95494.5A EP2621179A1 (en) 2012-01-30 2012-12-04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view thereof
FR1261771A FR2986394B3 (fr) 2012-01-30 2012-12-07 Dispositif d'affichage et fonction permettant sa visualisation multi-ecrans
US13/709,728 US20130194296A1 (en) 2012-01-30 2012-12-10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view thereof
DE202012104797U DE202012104797U1 (de) 2012-01-30 2012-12-10 Anzeigevorrichtung und Funktion zum Vorsehen einer Mehrfachansicht auf derselben
BR112014018838A BR112014018838A8 (pt) 2012-01-30 2012-12-31 Aparelho de exibição e método para a provisão de vista múltipla para ele
PCT/KR2012/011846 WO2013115491A1 (en) 2012-01-30 2012-12-31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view thereof
HU1400425A HUP1400425A2 (hu) 2012-01-30 2012-12-31 Kijelzõ berendezés és eljárás osztott nézet biztosítására a kijelzõhöz
CN201310009181XA CN103227949A (zh) 2012-01-30 2013-01-10 显示设备及其提供多视图的方法
JP2013009721A JP2013157979A (ja) 2012-01-30 2013-01-23 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マルチビュー提供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9269 2012-01-30
KR1020120009269 2012-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994A true KR20130087994A (ko) 2013-08-07
KR101310940B1 KR101310940B1 (ko) 2013-09-23

Family

ID=49214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187A KR101310940B1 (ko) 2012-01-30 2012-11-13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뷰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10940B1 (ko)
HU (1) HUP1400425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0625A1 (ko) * 2015-07-13 2017-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2080866A1 (ko) * 2020-10-13 2022-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8548B1 (ko) 2014-10-15 2022-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를 이용한 화면 처리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16805A1 (en) 2004-10-04 2007-09-20 Sharp Kabushiki Kaisha Multi-image display apparatus
US8330866B2 (en) 2006-02-21 2012-12-11 Qualcomm Incorporated Multi-program viewing in a wireless apparatus
CN100508569C (zh) 2007-02-08 2009-07-01 北京中星微电子有限公司 一种画面显示方法、系统及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0625A1 (ko) * 2015-07-13 2017-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WO2022080866A1 (ko) * 2020-10-13 2022-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0940B1 (ko) 2013-09-23
HUP1400425A2 (hu) 2014-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3073B2 (en)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EP2621179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view thereof
EP261116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US9191656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US20100091091A1 (en) Broadcast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two-dimensional image thereof
US2008026359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US9230504B2 (en) Display apparatus indicating control authority in content views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KR20140038799A (ko) 영상표시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
US20130169763A1 (en)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input apparatus used in the same
KR10131094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뷰 제공 방법
KR20140007708A (ko)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안경장치
KR20120065689A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KR10188521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20130026236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30125200A (ko) 영상표시장치, 서버 및 그 동작방법
JP2012039589A (ja) 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KR20140047427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30078480A (ko) 안경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30030603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13115767A (ja) 表示制御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110072987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0246028A (ja) テレビジョン装置
KR2013007907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것에 사용되는 입력 장치
KR20130016986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3008857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