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9078A -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것에 사용되는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것에 사용되는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9078A
KR20130079078A KR1020120037460A KR20120037460A KR20130079078A KR 20130079078 A KR20130079078 A KR 20130079078A KR 1020120037460 A KR1020120037460 A KR 1020120037460A KR 20120037460 A KR20120037460 A KR 20120037460A KR 20130079078 A KR20130079078 A KR 201300790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ntrol
view
selection signal
inpu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7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훈
유준영
김봉연
안호준
정재현
김광연
김인범
이재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20120195151 priority Critical patent/EP2611198A3/en
Priority to CN2012105673973A priority patent/CN103188569A/zh
Priority to US13/731,237 priority patent/US20130169763A1/en
Publication of KR20130079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90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26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 H04N21/42227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the keys being reprogrammable, e.g. soft keys
    • H04N21/42228Re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s the keys being reprogrammable, e.g. soft keys the reprogrammable keys being displayed on a display screen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keys on the remote control device itsel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로 다른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복수의 수신부, 복수의 컨텐츠를 각각 처리하여 영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신호 처리부,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각 영상 프레임을 조합하여 복수의 컨텐츠 뷰를 출력하는 출력부, 복수의 컨텐츠 뷰에 매핑되는 복수의 입력 장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복수의 입력 장치 중 하나를 통해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 신호를 전송한 입력 장치에 매핑되는 컨텐츠 뷰에 대하여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것에 사용되는 입력 장치{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TROLLING THE SAME, AND INPUT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및 그것에 사용되는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 뷰 디스플레이 장치를 하나의 입력 장치를 통해서 제어할 수 있고, 복수의 컨텐츠 뷰와 매핑된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 뷰를 제어하며, 그것에 사용되는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제품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TV, 휴대폰, PC, 노트북 PC, PDA 등과 같은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대부분의 일반 가정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사용이 늘면서 좀 더 다양한 기능에 대한 사용자 니즈(needs)도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니즈에 부합하기 위한 각 제조사들의 노력도 커져서, 3D 컨텐츠의 제공 등 종래에 없던 새로운 기능을 갖춘 제품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복수의 컨텐츠 제공자(예를 들어, 인터넷 방송국, 지상파 방송국, 케이블 방송국,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등)가 복수의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하여 복수의 사용자가 서로 다른 컨텐츠를 동시에 시청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개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컨텐츠 뷰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므로, 각각의 컨텐츠 뷰를 제어하기 위해 복수의 입력 장치가 필요하다. 그러나 복수의 입력 장치는 제조 단가가 높아지고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복수의 컨텐츠 중 특정 컨텐츠 뷰와 매핑된 입력 장치를 조작하는 사용자는 해당 컨텐츠 뷰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복수의 컨텐츠 뷰에 매핑되는 복수의 입력 장치가 필요하다.
다만, 복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컨텐츠 뷰를 동시에 제어하게 되면 입력 장치간에 충돌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특정 컨텐츠 뷰에 특정 입력 장치만 매핑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기존에 컨텐츠 뷰와 매핑된 입력 장치를 변경하거나, 복수의 입력 장치에 신규 입력 장치를 추가되어 특정 컨텐츠 뷰에 복수의 입력 장치가 매핑되는 경우를 방지하면서 입력 장치가 손쉽게 특정 컨텐츠 뷰와 매핑되어 각각의 컨텐츠 뷰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하나의 입력 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컨텐츠 모드를 선택하는 버튼 및 컨텐츠 뷰를 전환하는 버튼이 추가적으로 더 필요하다.
따라서, 멀티 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장치는 종래의 입력 장치에 비하여 더 많은 입력 버튼이 요구되므로 이러한 버튼의 추가로 인하여 리모콘의 제조 단가가 상승하고, 리모콘의 입력 버튼이 복잡해져서 사용자가 리모콘을 사용하는데 혼란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복수의 컨텐츠 뷰에 매핑되는 복수의 입력 장치에 의해서 각각의 복수의 컨텐츠 뷰를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복수의 입력 장치 사이의 우선 순위에 따라 컨텐츠 부와 입력 장치를 매핑함으로써 입력 장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복수의 컨텐츠 뷰와 복수의 입력 장치 사이의 매핑 관계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고, 입력 장치의 버튼 중 특정 상황에서는 기능하지 않는 버튼을 이용하여 컨텐츠 모드 전환, 컨텐츠 뷰 전환 또는 멀티 뷰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로 다른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복수의 수신부,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각각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 리모콘으로부터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신호 수신부 및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이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싱글 뷰 모드 및 멀티 뷰 모드 중 선택된 모드로 전환되어 동작 가능하며, 상기 싱글 뷰 모드가 개시되면 하나의 컨텐츠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복수의 수신부, 상기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며, 멀티 뷰 모드가 개시되면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복수의 컨텐츠 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복수의 수신부, 상기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싱글 뷰 모드에서 상기 출력부에 OSD 메뉴가 표시되고 있는 동작 상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OSD 메뉴 중에서 상기 선택 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메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OSD 메뉴가 표시되지 않는 동작 상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멀티 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멀티 뷰 모드는, 듀얼 뷰 모드, 트리플 뷰 모드, 쿼드러플 뷰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싱글 뷰 모드에서 상기 OSD 메뉴가 표시되지 않는 동작상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복수 횟수로 수신되면, 상기 선택 신호의 수신 횟수에 따라 상기 듀얼 뷰 모드, 상기 트리플 뷰 모드, 상기 쿼드러플 뷰 모드로 순차적으로 전환하고, 상기 쿼드러플 뷰 모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싱글 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싱글 뷰 모드에서 상기 출력부에 OSD 메뉴가 표시되고 있는 동작 상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OSD 메뉴 중에서 상기 선택 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메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OSD 메뉴가 표시되지 않는 동작 상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 신호를 무시하며, 상기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동작 상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하나를 제어 대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리모콘 신호 수신부는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 대상으로 선택된 컨텐츠 뷰에 대하여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동작 상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하나를 상기 제어 대상으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 신호가 반복 수신되면 매 수신 시마다 다음 컨텐츠 뷰를 순차적으로 상기 제어 대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동작 상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상기 선택 신호의 종류에 대응되는 컨텐츠 뷰를 상기 제어 대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상기 제어 대상으로 선택된 컨텐츠 뷰의 영상 프레임 내에 상기 제어 대상임을 알리기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를 추가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상기 제어 대상으로 선택된 컨텐츠 뷰에 대해 하이라이트 효과를 부가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각각의 영상 프레임 내에 컨텐츠 뷰 순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상기 제어 대상으로 선택된 컨텐츠 뷰의 영상 프레임에 표시된 인디케이터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도록 상기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에 각각 매핑되는 복수의 리모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리모콘 중 하나를 통해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한 리모콘에 매핑되는 컨텐츠 뷰에 대하여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리모콘들 간의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와의 매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신규 리모콘이 페어링되면서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 뷰에 페어링된 기존 리모콘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기존 입리모콘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 뷰와 상기 신규 리모콘을 매핑시키고, 상기 리모콘이 존재하면 상기 기존 리모콘과 상기 신규 리모콘의 우선 순위를 비교하여 우선권을 가지는 리모콘과 상기 선택된 컨텐츠 뷰를 매핑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존 리모콘과 상기 신규 리모콘 중에서 우선 순위가 낮은 리모콘에 대해서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타 컨텐츠 뷰를 자동으로 매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리모콘 중에서 RF 타입의 리모콘의 우선 순위가 IR 타입의 리모콘의 우선 순위보다 우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리모콘의 페어링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와 순차적으로 매핑시키고, 페어링되지 않은 리모콘은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매핑되지 않은 컨텐츠 뷰와 매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컨텐츠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무선 통신부,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식별 정보 저장부,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페어링을 수행하고, 상기 페어링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입력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리모콘으로부터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동작 상태에 따라 상이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싱글 뷰 모드에서 OSD 메뉴가 표시되고 있는 동작 상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었으면, 상기 OSD 메뉴 중에서 상기 선택 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메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OSD 메뉴가 표시되지 않는 동작 상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었으면 상기 멀티 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싱글 뷰 모드에서 상기 OSD 메뉴가 표시되지 않는 동작상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복수 횟수로 수신되면, 상기 선택 신호의 수신 횟수에 따라 상기 싱글 뷰 모드를 순차적으로 듀얼 뷰 모드, 트리플 뷰 모드, 쿼드러플 뷰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쿼드러플 뷰 모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싱글 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싱글 뷰 모드에서 OSD 메뉴가 표시되고 있는 동작 상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OSD 메뉴 중에서 상기 선택 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메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OSD 메뉴가 표시되지 않는 동작 상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 신호를 무시하며,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동작 상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하나를 제어 대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 대상으로 선택된 컨텐츠 뷰에 대하여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동작 상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하나를 상기 제어 대상으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 신호가 반복 수신되면 매 수신 시마다 다음 컨텐츠 뷰를 순차적으로 상기 제어 대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동작 상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상기 선택 신호의 종류에 대응되는 컨텐츠 뷰를 상기 제어 대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상기 제어 대상으로 선택된 컨텐츠 뷰의 영상 프레임 내에 상기 제어 대상임을 알리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추가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상기 제어 대상으로 선택된 컨텐츠 뷰에 대해 하이라이트 효과를 부가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은, 상기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각각의 영상 프레임 내에 컨텐츠 뷰 순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상기 제어 대상으로 선택된 컨텐츠 뷰의 영상 프레임에 표시된 인디케이터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서로 다른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각각 처리하여 영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각 영상 프레임을 조합하여 복수의 컨텐츠 뷰를 출력하는 단계, 입력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에 각각 매핑되도록 저장된 복수의 입력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장치에 매핑되는 컨텐츠 뷰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컨텐츠 뷰에 대하여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입력 장치들 간의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와의 매핑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신규 입력 장치가 페어링되면서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 뷰에 페어링된 기존 입력 장치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기존 입력 장치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 뷰와 상기 신규 입력 장치를 매핑시키고, 상기 기존 입력 장치가 존재하면 상기 기존 입력 장치와 상기 신규 입력 장치의 우선 순위를 비교하여 우선권을 가지는 입력 장치와 상기 선택된 컨텐츠 뷰를 매핑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기존 입력 장치와 상기 신규 입력 장치 중에서 우선 순위가 낮은 입력 장치에 대해서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타 컨텐츠 뷰를 자동으로 매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입력 장치 중에서 RF 타입의 입력 장치의 우선 순위가 IR 타입의 입력 장치의 우선 순위보다 우선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입력 장치의 페어링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와 순차적으로 매핑시키고, 페어링되지 않은 입력 장치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매핑되지 않은 컨텐츠 뷰와 매핑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 장치의 버튼 중 특정 상황에서는 기능하지 않는 버튼을 이용하여 컨텐츠 뷰 모드를 전환하거나 멀티 뷰 모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 뷰를 제어함으로써, 간편하고 직관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종래의 입력 장치를 활용할 수 있어서 멀티 뷰 리모콘을 제조하는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복수의 컨텐츠 뷰에 매핑되는 복수의 입력 장치에 의해서 각각의 복수의 컨텐츠 뷰를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복수의 입력 장치 사이의 우선 순위에 따라 컨텐츠 부와 입력 장치를 매핑함으로써 입력 장치 사이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복수의 컨텐츠 뷰와 복수의 입력 장치 사이의 매핑 관계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에게 복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입력 장치와 복수의 컨텐츠 뷰사이의 매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기존 입력 장치와 동일한 우선 순위를 갖는 신규 입력 장치를 추가하는 경우에 복수의 컨텐츠 뷰 사이의 매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기존 입력 장치와 상이한 우선 순위를 갖는 신규 입력 장치를 추가하는 경우에 복수의 컨텐츠 뷰 사이의 매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는 방식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다 구체적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컨텐츠 뷰와 입력 장치의 매핑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사용자에게 복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안경 장치(200) 및 입력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컨텐츠(컨텐츠 1 내지 컨텐츠 4)를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각 컨텐츠에 대응되는 안경 장치(200)를 동기화시키는 동기화 신호를 생성하여 안경 장치(200)로 전송한다.
안경 장치(200)는 동기화 신호에 따라 해당 컨텐츠 뷰가 디스플레이될 때, 좌측 셔터 글래스 및 우측 셔터 글래스 모두를 개방(open)시킨다. 이에 따라, 안경 장치(200)를 착용한 시청자는 하나의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입력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 뷰 중에서 현재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 뷰의 모드 전환, 채널 변경, 음량 변경,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정 변경 등 다양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안경 장치(200)는 컨텐츠 전환 모드가 개시되면 컨텐츠를 순차적으로 전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 1 내지 컨텐츠 4를 영상 프레임 단위로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안경 장치(200)는 컨텐츠 2의 디스플레이 타이밍에 동기화되어 셔터 글래스를 개방하여, 안경 장치(200)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컨텐츠 2를 제공한다.
한편, 사용자는 안경 장치(200)에 구비된 입력 버튼(210) 또는 입력 장치(300)에 구비된 버튼을 눌러서 컨텐츠 뷰를 전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컨텐츠 뷰를 전환하는 것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컨텐츠 뷰를 시청하는 사용자는 안경 장치(200) 또는 입력 장치(300)에 구비된 버튼을 눌러서 컨텐츠 3, 컨텐츠 4, 컨텐츠 1로 순차적으로 컨텐츠 뷰를 전환시킬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서 입력 버튼(210)이 눌러질 때마다 컨텐츠 3, 컨텐츠 4, 컨텐츠 1과 동기화할 수 있는 신호를 순차적으로 안경 장치(200)로 전송하고, 사용자는 안경 장치(200)를 통해서 컨텐츠 3, 컨텐츠 4 및 컨텐츠 1을 순차적으로 볼 수 있다. 또는 입력 장치(300)의 특정 버튼을 눌러서 해당 컨텐츠로 직접 전환할 수도 있다.
이렇게 사용자가 안경 장치(200) 또는 입력 장치(300)에 구비된 버튼을 통해 선택 명령을 입력하면, 안경 장치(200)는 선택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서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컨텐츠 1에 동기화되어 좌측 셔터 글래스 및 우측 셔터 글래스 모두를 온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 2를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는 컨텐츠 1로 컨텐츠 뷰를 전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컨텐츠 2, 컨텐츠 3, 컨텐츠 4, 컨텐츠 1를 영상 프레임 단위로 교번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사용자가 컨텐츠 2를 시청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컨텐츠로 변경하고 싶을 경우, 안경 장치(200)의 입력 버튼(210)이나 입력 장치(300)의 입력 버튼을 1회 누른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현재 시청 중인 컨텐츠 2의 영상 프레임의 다음 프레임인 컨텐츠 3의 영상 프레임을 정지 영상(steel image)으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입력 버튼을 1회 누르면, 사용자는 입력 버튼이 눌려진 컨텐츠 2가 포함되는 제1 주기에 속하는 컨텐츠 2의 다음 영상 프레임인 컨텐츠 3의 정지 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입력 버튼을 다시 1회 누르면, 컨텐츠 3이 포함되는 제2 주기에 속하는 컨텐츠 3의 다음 영상 프레임인 컨텐츠 4의 정지 영상을 볼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정지 영상을 확인하여 변경하고자 하는 컨텐츠 뷰를 확인하고 디스플레이된 정지영상을 선택하면 해당 컨텐츠 뷰로 전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입력 장치(300)는 현재 입력 장치에 의해서 제어가능한 컨텐츠 뷰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창(310), OSD(On-Screen Display) 메뉴에서 사용가능한 방향키(320), OSD 메뉴에서 사용가능한 기능키(330) 및 컨텐츠 모드 선택키(34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창(310)은 현재 입력 장치와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 뷰를 표시한다. 표시창(310)은 숫자, 문자, 도형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입력 장치(300)에 의해서 제어 가능한 컨텐츠 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방향키(320)는 OSD 메뉴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된 경우, OSD 메뉴에서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버튼이다. 방향키(320)는 윗쪽 방향키(320-1), 아래쪽 방향키(320-2), 좌측 방향키(320-3), 우측 방향키(320-4), 선택키(320-5)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싱글 뷰 모드로 동작 중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 OSD 메뉴가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러한 방향키(320)를 눌러도 원래의 방향 이동 기능이 수행되지 않는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멀티 뷰 모드로 동작 중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 OSD 메뉴가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러한 방향키(320)를 누르면 첫번째 방향키 입력으로 컨텐츠 뷰 전환이 활성화된다. 이렇게 컨텐츠 뷰 전환이 활성화되는 것은 입력 장치의 표시창(310)에 현재 제어 가능한 컨텐츠 뷰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거나 표시가 깜빡거리는 것을 의미한다. 컨텐츠 뷰 전환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방향키(320)를 순차적으로 누르게 되면 눌러지는 횟수만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컨텐츠 뷰가 순차적으로 전환된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300)가 제어 가능한 컨텐츠 뷰는 제2 컨텐츠 뷰(컨텐츠 2)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방향키를 1회 눌러서 컨텐츠 뷰 전환이 활성화되면, 입력 장치(300)의 표시창(310)에는 숫자 2가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방향키를 1회 누르면 인접한 컨텐츠 뷰인 제3 컨텐츠 뷰(컨텐츠 3)로 컨텐츠 뷰가 전환된다. 또다시 사용자가 방향키를 1회 누르면 제4 컨텐츠 뷰(컨텐츠 4)로 전환될 수 있다.
기능키(330)는 OSD 메뉴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된 경우, OSD 메뉴에서 제공하는 특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버튼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키(330)는 4개가 도시되어 있으나, 입력 장치의 종류에 따라 그 개수 및 기능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능키(330)가 제1 기능키(330-1), 제2 기능키(330-2), 제3 기능키(330-3) 및 제4 기능키(330-4)를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러한 기능키(330)는 디스플레이 화면에 OSD 메뉴가 표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기능을 하지 않지만, 싱글 뷰 모드에서 기능키(330)가 눌러지면 각 기능키(330-1 내지 330-4)에 할당된 컨텐츠 뷰로 바로 전환될 수 있는 컨텐츠 뷰 선택 버튼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
컨텐츠 모드 선택키(340)는 OSD 메뉴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 표시된 경우, OSD 메뉴에 표시된 목록을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버튼이다. 이러한 선택키(340)는 OSD 메뉴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는 기능을 하지 않지만, 싱글 뷰 모드에서 선택키(340)가 눌러지면 눌러지는 횟수만큼 순차적으로 멀티 뷰 모드로 전환되거나 멀티 뷰 모드에서 선택키(340)가 눌러지면 싱글 뷰 모드로 전환되는 컨텐츠 모드를 전환하는 키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싱글 뷰 모드로 동작 중에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에 OSD 메뉴가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선택키(340)가 눌러지면, 싱글 뷰 모드에서 듀얼 뷰 모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선택키(340)가 눌러지면, 듀얼 뷰 모드에서 트리플 뷰 모드로 전환된다. 다시 이 상태에서 선택키(340)가 눌러지면, 트리플 뷰 모드에서 쿼드러플 뷰 모드로 전환된다. 다시 이상 태에서 선택키(340)가 눌러지면 쿼드러플 뷰 모드에서 싱글 뷰 모드로 전환된다. 본 발명에서는 쿼드러플 뷰 이상의 멀티 뷰 모드를 지원할 수 있으나, 쿼드러플 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입력 장치와 복수의 컨텐츠 뷰 사이의 매칭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컨텐츠 뷰(컨텐츠 1 내지 컨텐츠 4)를 디스플레이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입력 장치(300-1 내지 300-3)는 복수의 컨텐츠 뷰(컨텐츠 1 내지 컨텐츠 3)와 각각 매핑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입력 장치(300-1)는 제1 컨텐츠 뷰(컨텐츠 1)와 매핑되어 있고, 제2 입력 장치(300-2)는 제3 컨텐츠 뷰(컨텐츠 3)와 매핑되어 있으며, 제3 입력 장치(300-3)는 제2 컨텐츠 뷰(컨텐츠 2)와 매핑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된 복수의 입력 장치 중에서는 제1 입력 장치(300-1)와 제2 입력 장치(300-2)는 RF(radio frequency)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와 페어링을 하는 입력 장치이다. RF 방식의 입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정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반면에, 제3 입력 장치(300-3)은 적외선(Infra-Red) 방식의 입력 장치이다. IR 방식의 입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단방향의 통신을 수행하고, 양방향 정보 데이터 교환을 할 수 없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컨텐츠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입력 장치(300-1 내지 300-2)와 순차적으로 페어링하면서 복수의 입력 장치를 복수의 컨텐츠 뷰에 각각 매핑시킨다. 이러한 매핑 과정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별도로 설명한다.
사용자는 각각의 컨텐츠 뷰에 매핑된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각각의 컨텐츠 뷰의 공통 설정값 변경, 채널 변경, 음량 조절, 밝기 조절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입력 장치(300-1 내지 300-3)는 이러한 각종의 변경이나 조절 동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현재 매핑된 컨텐츠 뷰를 식별하기 위해서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입력 장치(300-1 내지 300-3)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서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 뷰와 각각 매핑되어 있다. 이와는 별도로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복수의 안경 장치(200)가 복수의 컨텐츠 뷰와 서로 매핑되어 있다. 즉, 하나의 컨텐츠 뷰에는 하나 이상의 안경 장치(200)와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300)가 서로 동기화되어 있다.
본원 발명에서는 안경 장치(200)와 입력 장치(300)가 별개로 구성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지만 이들 장치는 하나의 통합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원 발명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복수의 입력 장치(300)와 복수의 컨텐츠 뷰를 서로 매핑하고 있는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다만, 실시 예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나의 컨텐츠 뷰에 하나 이상의 안경 장치(200)와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300)를 매핑시킬 수도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기존 입력 장치와 동일한 우선 순위를 갖는 신규 입력 장치를 추가하는 경우에 복수의 컨텐츠 뷰 사이의 매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컨텐츠 뷰(컨텐츠 1 내지 3)를 각각 복수의 입력 장치(300-1 내지 300-3)와 매핑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신규 입력 장치(300-4)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페어링을 하고, 신규 입력 장치(300-4)를 통해서 제어 동작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신규 입력 장치의 제어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이때, 신규 입력 장치(300-4)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컨텐츠 3과의 매핑을 요청한다. 입력 장치를 통한 특정 컨텐츠와의 매핑 요청은 입력 장치를 통해서 특정 버튼을 누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매핑되지 않은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선택 버튼을 눌러서 매핑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숫자 버튼을 눌러서 해당 컨텐츠를 고르고, 선택 버튼을 눌러서 매핑 요청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특정 컨텐츠과의 매핑을 요청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컨텐츠 뷰(컨텐츠 3)은 RF 방식의 제2 입력 장치(300-2)와 매핑되어 있는 상태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신규 입력 장치(300-4)와 제2 입력 장치(300-2)의 우선 순위를 비교하고, 양 장치의 우선 순위는 동일하다고 판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존 입력 장치(300-2)와 제3 컨텐츠 뷰(컨텐츠 3)의 매핑 관계가 선행 체결된 매핑 관계이므로, 신규 입력 장치(300-4)의 제3 컨텐츠에 대한 매핑 요청을 허용하지 않는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규 입력 장치(300-4)를 어떠한 입력 장치와도 매핑되어 있지 않은 제4 컨텐츠 뷰(컨텐츠 4)에 자동으로 매핑시킬 수 있다. 또는 도 5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신규 입력 장치(300-4)의 우선 순위를 나머지 입력 장치의 우선 순위와 순차적으로 비교하여, 신규 입력 장치(300-4)의 우선 순위보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입력 장치(3000-3)와 매핑된 컨텐츠 뷰에 신규 입력 장치(300-4)를 매핑시킬 수도 있다.
도 6는 도 4에 도시된 기존 입력 장치와 상이한 우선 순위를 갖는 신규 입력 장치를 추가하는 경우에 복수의 컨텐츠 뷰 사이의 매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컨텐츠 뷰(컨텐츠 1 내지 3)를 각각 복수의 입력 장치(300-1 내지 300-3)와 매핑시키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신규 입력 장치(300-4)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페어링을 하고, 신규 입력 장치(300-4)를 통해서 제어 동작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신규 입력 장치(300-4)의 제어 동작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신규 입력 장치(300-4)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신규 입력 장치(300-4)와 상이한 우선 순위를 갖는 제3 입력 장치(300-3)와 매핑되어 있는 제2 컨텐츠 뷰(컨텐츠 2)에 대한 매핑을 요청한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신규 입력 장치(300-4)와 제3 입력 장치(300-3)의 우선 순위를 비교하고, 신규 입력 장치(300-4)의 우선 순위가 제3 입력 장치(300-3)의 우선 순위보다 높으므로, 신규 입력 장치(300-4)를 제2 컨텐츠 뷰(컨텐츠 2)와 매핑시킨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3 입력 장치(300-3)를 어떠한 입력 장치와도 매핑되어 있지 않은 제4 컨텐츠와 자동으로 매핑시킬 수 있다.
도 6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만약 나머지 복수의 컨텐츠 뷰가 모두 복수의 입력 장치와 각각 매핑되어 있는 상태라면, 제3 입력 장치(300-3)는 복수의 컨텐츠 뷰와의 매핑에서 제외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컨텐츠에 대해서 복수의 입력 장치가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우선 순위가 높은 입력 장치는 페어링 순서에 상관없이 해당 컨텐츠 뷰에 대한 우선권을 부여하고, 우선 순위가 동일한 입력 장치 사이에는 페어링 순서에 따라 컨텐츠 뷰에 대한 우선권을 부여하여 해당 컨텐츠 뷰와 매핑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수신부(110-1, 110-2,..., 110-n), 복수의 신호 처리부(120-1, 120-2,..., 120-n), 출력부(130), 리모콘 신호 수신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 휴대폰, PDA, 노트북 PC, 모니터, 태블릿 PC, 전자 책, 전자 액자, 키오스크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비한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먼저, 복수의 수신부(110-1, 110-2,..., 110-n)는 서로 다른 컨텐츠를 각각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수신부(110-1, 110-2,..., 110-n)는 방송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송국 또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컨텐츠 파일을 전송하는 웹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마련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각종 기록 매체 재생 장치(미도시)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기록 매체 재생 장치란 CD, DVD, 하드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이다.
방송국으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실시 예의 경우에는, 복수의 수신부(110-1, 110-2,..., 110-n)는 튜너(미도시), 복조기(미도시), 등화기(미도시) 등과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반면, 웹 서버와 같은 소스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실시 예의 경우에는, 복수의 수신부(110-1, 110-2,..., 110-n)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각종 기록 매체 재생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실시 예의 경우에는, 복수의 수신부(110-1, 110-2,..., 110-n)는 기록 매체 재생 장치와 연결된 인터페이스부(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수신부(110-1, 110-2,..., 110-n)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복수의 수신부(110-1, 110-2,..., 110-n)는 반드시 동일한 유형의 소스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필요는 없으며, 복수의 수신부(110-1, 110-2,..., 110-n)는 서로 다른 유형의 소스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신부(110-1)는 튜너, 복조기, 등화기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되고, 제2 수신부(110-2)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복수의 신호 처리부(120-1, 120-2,..., 120-n)는 복수의 수신부(110-1, 110-2,..., 110-n)에서 수신된 컨텐츠들을 각각 처리하여 영상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이하에서 도 9를 참조하여 별도로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수신부(110-1, 110-2,..., 110-n), 복수의 신호 처리부(120-1, 120-2,..., 120-n), 출력부(130), 제어부(150) 및 동기화 신호 생성부(160), 인터페이스부(170) 및 저장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수신부(110-1, 110-2,..., 110-n), 복수의 신호처리부(120-1, 120-2 ..., 120-n), 출력부(130) 및 제어부(150)는 도 7과 함께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동기화 신호 생성부(160)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복수의 입력 장치를 각각 매칭시키는 동기화 신호를 생성한다. 동기화 신호는 디스플레이장치(100)와 페어링되는 입력 장치에 각각 전송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RF 방식의 입력 장치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즉, 동기화 신호 생성부(160)에 의해서 생성된 동기화 신호를 입력 장치로 전송하고, 입력 장치로부터는 페어링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외에도 인터페이스부(170)는 입력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의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커뮤니케이션 동작을 담당한다.
저장부(180)는 입력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표시되는 컨텐츠 뷰와의 매핑 관계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는 저장부(180)는 페어링되는 입력 장치에 대한 장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처리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신호 처리부 1(120-1)는 제1 디멀티플렉서 1(121-1), 제1 부가데이터 처리부(121-1), 제1 비디오 처리부(123-1), 제1 오디오 처리부 1(124-1) 및 제1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125-1)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도 9에는 하나의 제1 신호 처리부(120-1)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지만, 다른 신호 처리부(120-2,..., 120-n)는 모두 도 9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디멀티 플렉서(121-1)는 멀티 뷰(Multi view) 모드 하에서 동작할 때 각 컨텐츠에 포함된 부가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각각의 처리부로 할당할 수 있다. 즉, 각 수신부(110-1, 110-2,..., 110-n)에서 수신된 컨텐츠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부가데이터를 분리하여 이를 해당하는 부가데이터 처리부, 비디오 처리부 및 오디오 처리부로 분리하여 할당할 수 있다.
제1 부가데이터 처리부(122-1)는 컨텐츠에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및 자막과 같은 부가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제1 디멀티 플레서에 의해서 분리된 부가 데이터를 처리하여 출력부(130)를 통해 표시가능하도록 처리된 자막 등을 대응되는 영상 프레임에 부가할 수도 있다.
제1 비디오 처리부(123-1)는 디멀티 플렉서 1(121-1)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1 비디오 처리부 (123-1)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는 디코더(미도시), 비디오 출력부(131)의 디스플레이 사이즈에 맞추어 업 또는 다운 스케일링을 수행하는 스케일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제1 비디오 처리부(123-1)는 제1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125-1)에 대응되는 데이터 포맷으로 비디오 데이터를 변환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된 비디오 데이터가 탑-투-바텀(top-to-bottom) 포맷인데 반해 제1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122-1)에서 사이드-바이-사이드(side-by-side) 포맷으로 프레임을 처리하는 경우라면, 제1 비디오 처리부(123-1)는 각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가로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결하여 사이드-바이-사이드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제1 오디오 처리부(124-1)는 제1 디멀티 플렉서(121-1)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1 오디오 처리부(124-1)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는 디코더(미도시), 디코딩된 각 오디오 데이터를 서로 다른 주파수 신호로 변조하는 변조부(미도시), 변조된 각 오디오 데이터를 안경 장치로 전송하는 오디오 출력부(132)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125-1)는 제1 비디오 처리부(123-1)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출력 레이트를 참조하여 멀티 컨텐츠 디스플레이 레이트에 맞게 변환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60Hz로 동작하는 경우라면, 제1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125-1)는 각 컨텐츠의 프레임 레이트를 n×60Hz로 변환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비디오 출력부(131)와 오디오 출력부(132)로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130) 중 비디오 출력부(131)는 복수의 신호 처리부(120-1, 120-2,..., 120-n)에서 구성된 각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교번적으로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는, 비디오 출력부(131)는 복수의 신호 처리부(120-1, 120-2,..., 120-n)에서 제공되는 각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이 적어도 하나씩 교번적으로 배치되도록 멀티플렉싱하여 디스플레이한다. 경우에 따라, 비디오 출력부(131)는 각 컨텐츠에 대한 영상 프레임을 화면 사이즈에 맞추어 업 또는 다운 스케일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셔터 글래스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 비디오 출력부(131)는 제1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 제2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 제n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이 적어도 하나씩 교번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비디오 출력부(131)에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타이밍에 연동하는 안경 장치(200)를 착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시청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안경 장치(200)에는 좌안 셔터 글래스 및 우안 셔터 글래스가 구비된다. 좌안 셔터 글래스 및 우안 셔터 글래스는 3D 컨텐츠를 시청할 때는 교번적으로 온/오프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영상 프레임이 적어도 하나씩 교번적으로 배치된 프레임을 시청할 때는, 안경 장치와 동기화된 컨텐츠의 출력 타이밍에 따라 일괄적으로 온/오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타 사용자와 별개로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각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교번적으로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모드를 멀티 뷰 모드(또는, 듀얼 뷰 모드) 등으로 명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2D 컨텐츠 또는 3D 컨텐츠 하나만을 디스플레이하는 일반 모드(또는 싱글 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수신부(110-1, 110-2,..., 110-n) 중 하나만을 활성화시켜 컨텐츠를 처리할 수 있다. 일반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사용자가 멀티 뷰 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나머지 수신부도 활성화시켜 상술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컨텐츠는 2D 컨텐츠가 될 수도 있고, 3D 컨텐츠가 될 수도 있다. 3D 컨텐츠란 동일한 객체(object)를 서로 다른 관점에서 표현한 다시점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를 의미한다.
복수의 3D 컨텐츠를 이용하는 경우, 비디오 출력부(131)는 복수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125-1, 125-2,..., 125-n)에서 제공되는 각 3D 컨텐츠에 포함된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들을 기설정된 배치 형태로 멀티플렉싱하고, 타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과 교번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컨텐츠의 좌안 영상, 우안 영상, 제2 컨텐츠의 좌안 영상, 우안 영상,.. 제n 컨텐츠의 좌안 영상, 우안 영상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는 안경 장치(200)를 통해서 하나의 컨텐츠의 좌안 영상 및 우안 영상을 인식하게 된다.
오디오 출력부(132)는 오디오 신호를 단채널 스피커, 또는 다채널 스피커로 전송하여 오디오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오디오 출력부(132)는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서 안경 장치(200)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오디오 출력부(132)에서 출력된 각 오디오 데이터는 안경 장치(200)에 구비된 이어폰과 같은 출력 수단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단채널 또는 다채널 스피커를 통해서 출력될 수 있다.
리모콘 신호수신부(140)는 입력 장치(300), 예를 들어 리모콘(Remote Conttoller)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콘은 IR(Intra Red) 방식의 일방향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RF(Radio Frequency)방식의 양방향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수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리모콘 신호수신부(140)는 입력 장치(300)로부터 제어 신호 또는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제어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신호이다. 선택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50)가 이를 상이하게 처리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의해서 디스플레이 되는 복수의 컨텐츠 뷰를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리모콘 신호수신부(140)로부터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선택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이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싱글 뷰 모드 또는 멀티 뷰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싱글 뷰 모드로 동작할 경우, 하나의 컨텐츠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디스플레이하도록 복수의 수신부(110-1 내지 110-n), 복수의 신호 처리부(120-1 내지 120-n) 및 출력부(130)를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할 경우,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복수의 컨텐츠 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복수의 수신부(110-1 내지 110-n), 복수의 신호 처리부(120-1 내지 120-n) 및 출력부(130)를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싱글 뷰 모드로 동작 중에 출력부(130)의 비디오 출력부(131)에 OSD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리모콘 신호수신부(140)로부터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OSD 메뉴 중에서 수신된 선택 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메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반면에, OSD 메뉴가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리모콘 신호수신부(140)로부터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싱글 뷰 모드에서 멀티 뷰 모드로 전환하도록 복수의 수신부(110-1 내지 110-n), 복수의 신호 처리부(120-1 내지 120-n) 및 출력부를 제어한다. 이때, 멀티 뷰 모드는, 듀얼 뷰(Dual-view) 모드, 트리플 뷰(tripple-view) 모드 또는 쿼드러플 뷰(Quadrupple) 모드를 포함한다. 멀티 뷰 모드는 5개 이상의 컨텐츠 뷰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있고, 쿼드러플 뷰 모드 이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싱글 뷰 모드로 동작 중에 출력부(130)의 비디오 출력부(131)에 OSD 메뉴가 표시되지 않는 상태에서, 리모콘 신호수신부(140)로부터 선택 신호를 복수 횟수로 수신하면, 선택 신호의 수신 횟수에 따라 듀얼 뷰 모드, 트리플 뷰 모드, 쿼드러플 뷰 모드로 순차적으로 컨텐트 모드를 전환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쿼드러플 뷰 모드로 동작 중에 출력부(130)의 비디오 출력부(131)에 OSD 메뉴가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리모콘 신호수신부(140)로부터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싱글 뷰 모드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컨텐츠 모드를 전환한다.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싱글 뷰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출력부(130)의 비디오 출력부(131)에 OSD 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 리모콘 신호수신부(140)로부터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OSD 메뉴 중에서 수신된 선택 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메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만약 비디오 출력부(131)에 OSD 메뉴가 표시되지 않은 상태에서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선택 신호를 무시한다. 또는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리모콘 신호수신부(140)로부터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하나를 제어 대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리모콘 신호 수신부(140)를 통해서 입력장치(300)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대상으로 선택된 컨텐츠 뷰에 대하여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 장치(300)를 통해서 제1 컨텐츠의 밝기를 조절하는 제어 신호를 입력하였다면, 제어부(150)는 리모콘 신호 수신부(140)를 통해서 입력장치(300)으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예를 들어, 밝기 증가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신호 처리부(제120-2)를 제어하여 제2 컨텐츠 뷰(컨텐츠 2)의 밝기를 조절해서 이를 출력부(130)의 비디오 출력부(131)를 통해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리모콘 신호 수신부(140)로부터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하나를 상기 제어 대상으로 선택한다. 만약. 리모콘 신호수신부(140)를 통해서 선택 신호가 반복적으로 수신되면, 매 수신 시마다 다음 컨텐츠 뷰를 순차적으로 제어 대상으로 선택하도록 전환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리모콘 신호 수신부(140)로부터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수신된 선택 신호의 종류에 대응되는 컨텐츠 뷰를 제어 대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제어 대상으로 선택된 컨텐츠 뷰의 영상 프레임 내에 현재 제어 대상임을 알리기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를 추가하여 표시하도록 복수의 신호 처리부(120-1 내지 120-n) 및 출력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제어 대상으로 선택된 컨텐츠 뷰에 대해 하이라이트 효과를 부가하여 표시하도록 복수의 신호 처리부(120-1 내지 120-n) 및 출력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리모콘 신호수신부(140)로부터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 복수의 컨텐츠 뷰 각각의 영상 프레임 내에 컨텐츠 뷰 순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고,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제어 대상으로 선택된 컨텐츠 뷰의 영상 프레임에 표시된 인디케이터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도록 복수의 신호 처리부(120-1 내지 120-n) 및 출력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컨텐츠 뷰의 영상 프레임에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는 방식의 다양한 예를 도 6과 함께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에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는 방식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서로 다른 비디오 이미지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컨텐츠 뷰(컨텐츠 1) 내지 제4 컨텐츠 뷰(컨텐츠 4)에 사각형의 도형에 숫자가 표시되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정지 영상이 도시되어 있다. 인디케이터가 사각형의 도형에 숫자가 표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사각형은 원형이나 그 밖의 다각형으로 구현될 수 있고, 숫자는 각 컨텐츠 뷰를 식별하기 위한 것이므로 숫자 외에도 문자, 도형, 이들의 조합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10의 (b)에는 4개의 컨텐츠 뷰(컨텐츠 1 내지 컨텐츠 4)에 모두 사각형 박스로 표시되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정치 영상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인디케이터가 사각형의 도형으로 표시되어 있고, 현재 선택된 컨텐츠 뷰에는 사각형의 인디케이터가 더 높은 채도 또는 명도로 표현되고 있다. 이외에도 인디케이터는 반짝이거나 색상이 변경되거나 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현재 입력 장치와 매핑된 컨텐츠 뷰임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의 (c)에는 4개의 컨텐츠 뷰(컨텐츠 1 내지 컨텐츠 4) 중에서 하나의 컨텐츠 뷰에만 인디케이터가 표시되고 있다. 인디케이터가 표시된 컨텐츠 뷰는 해당 입력 장치와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 뷰를 의미한다. 특정 컨텐츠 뷰에만 인디케이터가 표시되므로 특정 컨텐츠 뷰를 시청하는 사용자만 해당 인디케이터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특정 입력 장치의 입력 버튼을 눌렀으나, 컨텐츠 뷰의 영상 프레임 상에 인디케이터가 표시되지 않는다면, 사용자가 현재 시청하는 컨텐츠 뷰와 해당 입력 장치는 서로 매핑되어 있지 않은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0의 (a) 내지 (c)에 표시된 인디케이터는 입력 장치와 컨텐츠 뷰와의 매핑 관계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러한 인디케이터는 일정 시간주기로 밝기가 변화하거나, 인디케이터가 일정 시간 주기로 표시되거나 표시되지 않는 변화를 하여 사용자가 현재 선택한 컨텐츠 뷰가 해당 입력 장치와 매핑되어 있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하이라이트 효과는 이외에도 해당 비디오 영상 전체를 깜빡거리거나, 비디오 영상의 프레임의 특정 영역에 다양한 형태의 도형을 표시하면서 반짝거리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0의 (a) 내지 (c)는 인디케이터가 영상 프레임의 우측 상단에 표시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사용자는 인디케이터의 표시 위치나 표시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입력 장치(300)를 통해서 싱글 뷰 모드를 선택하면, 복수의 컨텐츠 중 하나의 컨텐츠만을 수신하도록 복수의 수신부(110-1 내지 110-n)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복수의 수신부(110-1 내지 110-n) 중 하나의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 데이터를 분리하도록 디멀티 플렉서(121)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분리된 오디오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출력부(130)를 통해서 출력하도록 오디오 출력부(132)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해서 멀티뷰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제어부(150)는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하도록 복수의 수신부(110-1 내지 110-n)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복수의 수신부(110-1 내지 110-n)에서 수신된 각 컨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오디오 신호 데이터를 분리하도록 디멀티 플렉서(121)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분리된 오디오 신호를 스테레오 오디오에서 모노 오디오로 변환하도록 복수의 신호 처리부(120-1 내지 120-n)를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복수의 오디오 신호를 동일한 채널로 출력하도록 오디오 출력부(132)를 제어한다. 이때, 복수의 오디오 신호는 2개 이상의 모노 오디오 신호이고,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채널로 2개의 모노 오디오 신호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안경 장치(200)와 연결되어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32)는, 복수의 신호 처리부(120-1 내지 120-n)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를 조합하여 하나의 오디오 스트림(stream)을 구성하고, 이렇게 구성된 오디오 스트림을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각각의 안경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오디오 출력부(132)는, 복수의 신호 처리부(120-1 내지 120-n)으로부터 제공되는 복수의 오디오 신호를 각각의 안경 장치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무선 주파수 채널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채널은 통신 인터페이스가 서로 다른 채널일 수도 있고, 통신 인터페이스가 동일하더라도 물리적 채널이 상이한 경우를 모두 의미한다.
서로 다른 채널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오디오 출력부(132)는 각 컨텐츠에 포함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오디오 처리부(124)와 대응하는 개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복수의 수신기(110-1 내지 110-3)를 통해서 제1 내지 제3 컨텐츠를 수신하면, 제1 내지 제3 신호 처리부(120-1,2,3)는 복수의 오디오 처리부(124-1,2,3)를 통해 제1 내지 제3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를 서로 다른 주파수 채널을 가지는 오디오 신호로 변조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3 오디오 처리부(124-1,2,3)를 통해 변조된 서로 다른 주파수 채널을 가지는 오디오 신호가 출력되면, 제1 내지 제3 오디오 출력부(132-1,2,3)는 제1 내지 제3 컨텐츠에 대한 각각의 오디오 신호를 제1 내지 제3 컨텐츠와 대응하는 안경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내지 제3 오디오 출력부(132-1,2,3)는 무선 통신 방식인 블루투스 통신 방식으로 각각의 안경 장치에 제1 내지 제3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3 오디오 출력부(132-1,2,3)는 제1 내지 제3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블루투스 통신 규격에 따른 오디오 신호 스트림을 생성한다. 이후, 제1 내지 제3 오디오 출력부(132-1,2,3)는 생성한 각각의 오디오 신호 스트림을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페어링된 복수의 안경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안경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안경 장치는 제1 내지 제3 오디오 출력부(132-1,2,3)를 통해 출력된 오디오 신호 스트림 중 하나의 오디오 신호 스트림을 수신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안경 장치를 착용한 각각의 사용자는 현재 보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비디오 영상과 함께, 안경 장치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해당 컨텐츠의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1 내지 제3 오디오 출력부(132-1,2,3)는 RF 통신 방식으로 각각의 안경 장치에 제1 내지 제3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신호는 서로 다른 주파수 채널을 가지는 신호로 변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오디오 출력부(132-1,2,3)는 제1 내지 제3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신호와 대응하는 주파수 채널로 각각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안경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는 안경 장치에 구비된 버튼을 이용하여 주파수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주파수 채널 선택에 따라, 안경 장치는 그 선택된 주파수 채널을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현재 보고 있는 컨텐츠와 관련된 오디오를 청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에 혹은 RF 통신 방식으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또 다른 통신 방식으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선택 신호 수신 단계(S1110), 디스플레이 동작 상태 확인 단계(S1130) 및 제어 동작 수행 단계(S1150)를 포함한다.
선택 신호 수신 단계(S1110)는, 사용자가 입력 장치(300)에 구비된 버튼을 선택하면, 해당하는 버튼의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입력된다.
디스플레이 동작 상태 확인 단계(S1130)는, 선택 신호가 입력된 시점에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싱글 뷰 모드 또는 멀티 뷰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는 지 여부를 확인한다.
제어 동작 수행 단계(S1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비디오 출력부(131)에 OSD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 장치(300)의 버튼 중 방향키(320), 기능키(330) 및 선택키(340)가 선택되면, 제어 동작으로 방향 이동, 특수 기능, 선택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비디오 출력부(131)에 OSD 메뉴가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입력 장치(300)의 버튼 중 방향키(320), 기능키(330) 및 선택키(340)가 선택되면, 제어 동작으로 컨텐츠 모드 전환, 특정 컨텐츠 뷰 선택, 인디케이터 표시, 하이라이트 표시 등의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다 구체적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보다 구체적인 제어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복수의 컨텐츠 공급원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컨텐츠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뷰로 디스플레이 한다(S1210).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 뷰가 싱글 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20). 하나의 컨텐츠 뷰만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S1220-Y)에서,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S1230).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OSD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40).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OSD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경우(S1240-Y), 선택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S1250).
선택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 수행(S1250)은, 해당 선택 키의 고유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300)의 방향키(320) 중 하나가 선택되면, 방향키(320) 중 하나의 고유 기능인 방향 이동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는 입력 장치(300)의 기능키(330)가 선택되면, 이는 OSD 메뉴에서 제공하는 해당 기능키에 대응하는 특수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입력 장치(300)의 선택키(340)가 선택되면, OSD 메뉴에 표시된 해당 특수 기능을 실행하거나 특수 기능의 실행을 취소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OSD 메뉴가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상태(S1240-N)에서, 선택 신호가 반복 수신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42). 반복 수신된 경우(S1242-Y)에는, 복수의 컨텐츠 뷰를 순차적으로 전환하게 된다(S1243). 컨텐츠 뷰를 순차적으로 전환하는 단계(S124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컨텐츠 뷰 사이에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싱글 뷰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S1230),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OSD 메뉴가 표시되지 않는 상태로 판단되면(S1240-N),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싱글 뷰 모드에서 멀티 뷰 모드로 전환한다.
선택 신호가 반복적으로 수신되는 여부를 판단하고(S1242), 선택 신호가 반복적으로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S1242-Y), 복수의 컨텐츠 뷰를 순차적으로 전환하게 된다(S1243). 즉, 선택 신호가 수신된 횟수에 따라서, 싱글 뷰 모드에서 듀얼 뷰 모드로 전환되고, 듀얼 뷰 모드에서 트리플 뷰 모드로 전환되며, 트리플 뷰 모드에서 쿼드러플 뷰 모드로 전환되고, 쿼드러플 뷰 모드에서 싱글 뷰 모드로 전환된다.
만약, 선택 신호가 반복적으로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S1242-N),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S1242-1). 예를 들어, 반복적으로 수신되지 않는 경우는 사용자가 입력 장치(300)의 기능키(330) 중 어느 하나의 키를 선택하는 경우이다. 해당 기능키(330)에 기 설정되어 있는 컨텐츠 뷰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의해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해당 기능키를 선택하여 해당 컨텐츠 뷰를 선택한다.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된 후에, 인디케이터 표시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인디케이터를 표시한다(S1244). 인디케이터 표시는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컨텐츠 뷰에 표시할 수 있고, 특정 컨텐츠 뷰에만 표시할 수도 있다.
영상 프레임에 인디케이터가 표시된 상태에서 하이라이트 효과 제어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45). 하이라이트 효과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S1245-Y), 하이라이트 효과를 적용한다(S1246). 하이라이트 효과는 해당 인디케이터의 밝기를 더 밝게 하거나 밝기를 가변적으로 변경하거나 주변의 이미지보다 사용자가 보다 잘 식별할 수 있도록 색체를 부가하거나 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인디케이터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제어 신호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247), 인디케이터 표시 상태 변경 제어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S1247-N), 제어 동작이 종료한다.
인디케이터 표시 상태 변경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S1247-Y), 인디케이터 상태를 변경하고(S1248), 제어 동작이 종료한다. 인디케이터 표시 상태 변경은 인디케이터의 표시 방법을 변경하는 것을 의미한다. 인디케이터를 컨텐츠 뷰의 영상 프레임의 특정 위치에 표시하거나 표시된 위치를 변경하거나 인디케이터를 기 설정된 시간만큼 표시하고 사라지게 하는 등의 표시 상태 변경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흐름도에서는 컨텐츠 모드 선택, 컨텐츠 모드 전환, 인디케이터 표시, 하이라이트 효과 적용 및 인디케이터 상태 변경 등의 제어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다른 실시 예에서는 선택된 컨텐트 뷰에서 채널 변경, 음량 변경, 밝기 변경 등의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행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력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력 장치(300)는, 무선 통신부(301), 식별 정보 저장부(303), 입력부(305) 및 입력 제어부(307)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30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301)는, RF 방식 또는 IR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 또는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장치(300)의 무선 통신 방식이 IR 방식의 경우에는 입력 장치(30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단방향의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고, 반면에 입력 장치(300)의 무선 통신 방식이 RF 방식의 경우에는 입력 장치(3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의 양방향 무선 통신이 이루어진다. RF 방식은 무선랜, 블루투스 등의 양방향 무선 통신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식별 정보 저장부(303)는 입력 장치(300) 고유의 식별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고유의 식별 정보는 장치의 ID(Identification)을 의미하고, 이는 RF 방식의 입력 장치의 경우에는 해당 장치를 타 장치와 구별할 수 있는 각종의 식별 정보를 의미한다. 만약 입력 장치가 IR 방식일 경우에는 식별 정보 저장부(303)가 생략될 수도 있다.
입력부(305)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이다. 즉, 입력부(305)는 복수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버튼은 개별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값을 갖는 기능키이다. 입력부(305)는 전자식 버튼이나, 기계식 버튼, 또는 정전기식 버튼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이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 제어부(307)는 식별 정보 저장부(303)에 저장된 고유 식별 정보를 무선 통신부(301)를 통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여 페어링을 수행하도록 식별 정보 저장부(303) 및 무선 통신부(301)를 제어한다. 입력 제어부(307)는 입력 장치(300)가 디스플레이 장치와 페어링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입력부(305)를 통해서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무선 통신부(301)를 통해서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301)를 제어한다. 즉, 입력 제어부(307)는 입력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원격으로 복수의 컨텐츠 뷰 중 하나의 출력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단계는 복수의 컨텐츠 수신 단계(S1410), 영상 프레임 생성 단계(S1420), 복수의 컨텐츠 뷰 출력 단계(S1430), 입력 장치에 매핑된 컨텐츠 뷰 선택 단계(S1430), 입력 장치에 매핑된 컨텐츠 뷰 선택 단계(S1440), 및 제어 동작 수행 단계(S1450)를 포함한다.
복수의 컨텐츠 수신 단계(S1410)는 복수의 컨텐츠 공급원으로부터 각각 다른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방송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송국 또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컨텐츠 파일을 전송하는 웹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마련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기록 매체 재생 장치, 예를 들어 CD, DVD, 하드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로부터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한다.
영상 프레임 생성 단계(S1420)는 수신된 복수의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영상 프레임으로 변환한다. 즉, 수신된 컨텐츠에 포함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고, 출력부(130)의 화면 사이즈에 맞추어 업 또는 다운 스케일링을 수행하며, 이를 교번적으로 결합하여 복수의 컨텐츠 뷰를 포함하는 영상 프레임을 생성한다.
복수의 컨텐츠 뷰 출력 단계(S1430)는 각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을 교번적으로 배치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즉, 복수의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이 적어도 하나씩 교번적으로 배치되도록 멀티플렉싱하여 디스플레이한다. 경우에 따라, 각 컨텐츠에 대한 영상 프레임을 화면 사이즈에 맞추어 업 또는 다운 스케일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셔터 글래스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 제1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 제2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 제n 컨텐츠의 영상 프레임이 적어도 하나씩 교번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복수의 컨텐츠 뷰를 출력한다.
입력 장치에 매핑된 컨텐츠 뷰 선택 단계(S1440)는 복수의 입력 장치와 복수의 컨텐츠 뷰가 각각 매핑되어 있는 경우에, 입력 장치와 매핑된 컨텐츠 뷰를 입력 장치를 통해서 선택한다. 복수의 입력 장치와 복수의 컨텐츠 뷰의 매핑 관계는 디폴트값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저장부(180)에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입력 장치는 제1 컨텐츠 뷰와 매핑된 정보가 저장부(180)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 제1 입력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페어링되면, 제1 입력 장치는 제1 컨텐츠 뷰와 자동으로 매핑된다.
제어 동작 수행 단계(S1450)는 입력 장치를 통해서 해당 입력 장치와 매핑되어 있는 컨텐츠 뷰를 제어한다. 구체적인 제어 동작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공통 설정 변경, 해당 컨텐츠 뷰의 채널 변경, 밝기 변경, 음량 변경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동작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해당 컨텐츠 뷰에 대한 다양한 설정값을 변경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컨텐츠 뷰와 입력 장치의 매핑을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고하면, 복수의 컨텐츠 뷰와 입력 장치의 매칭 관계를 변경하는 동작은 복수의 컨텐츠 뷰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S1510), 선택된 컨텐츠 뷰에 매핑된 입력 장치 존재 여부 판단 단계(S1520), 해당 입력 장치를 선택된 컨텐츠 뷰와 매핑하는 단계(S1530), 매핑 요청 입력 장치의 우선 순위와 기 매핑된 입력 장치 우선 순위를 비교하는 단계(S1540) 및 다른 컨텐츠 뷰를 선택하는 단계(S1550)를 포함한다.
복수의 컨텐츠 뷰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S1510)는 특정 컨텐츠 뷰에 매핑된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컨텐츠 뷰 중 하나의 컨텐츠 뷰를 선택한다. 입력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와 페어링되면, 자동적으로 해당 입력 장치가 특정 컨텐츠 뷰와 무작위로 매핑될 수 있다. 또는 입력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와 페어링되면 해당 입력 장치는 저장부에 저장된 매핑 관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컨텐츠 뷰와 매핑될 수 있다. 특정 컨텐츠 뷰와 매핑된 입력 장치는 다른 컨텐츠 뷰를 선택하기 위해서 컨텐츠 뷰 전환을 한다. 입력 장치를 통해서 컨텐츠 뷰 전환 동작이 완료되면, 선택된 컨텐츠 뷰와의 매핑을 요청한다.
선택된 컨텐츠 뷰에 매핑된 입력 장치 존재 여부 판단 단계(S1520)는 특정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특정 컨텐츠 뷰가 선택된 후에, 선택된 컨텐츠 뷰와 매핑되어 있는 다른 입력 장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선택된 컨텐츠 뷰와 매핑되어 있는 입력 장치가 존재하지 않는다면(S1520-N), 해당 입력 장치를 선택된 컨텐츠 뷰와 매핑시킨다(S1530). 이때 해당 입력 장치와 매핑되어 있던 종전 컨텐츠 뷰는 입력 장치와 매핑되지 않은 컨텐츠 뷰가 된다. 이렇게 새로운 매핑 관계에 대한 정보는 매핑 관계 변경이 발생할 경우에 저장부(180)에 저장될 수 있다.
선택된 컨텐츠 뷰와 매핑되어 있는 입력 장치가 존재한다면(S1520-Y), 매핑 요청을 한 입력 장치의 우선 순위와 선택된 컨텐츠 뷰와 매핑되어 있는 입력 장치의 우선 순위를 비교한다(S1540). 만약 신규 매핑을 요청한 입력 장치의 우선 순위가 기 매핑된 입력 장치의 우선 순위보다 우선권이 있다면(S1540-Y), 매핑 요청 입력 장치와 매핑 요청된 컨텐츠 뷰를 서로 매핑시킨다(S1530). 만약, 신규 매핑을 요청한 입력 장치의 우선 순위가 기 매핑된 입력 장치의 우선 순위보다 우선권이 없다면(S1540-N), 매핑 요청 입력 장치는 다른 컨텐츠 뷰를 선택하게 된다. 이후의 단계는 선택된 컨텐츠 뷰에 매핑된 입력 장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520) 이하와 동일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컨텐츠 뷰에 매핑되는 복수의 입력 장치에 의해서 각각의 복수의 컨텐츠 뷰를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입력 장치 사이의 우선 순위에 따라 우선권이 있는 입력 장치에만 해당 컨텐츠 뷰를 매핑함으로써 입력 장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컨텐츠 뷰와 복수의 입력 장치 사이의 매핑 관계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행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 수신부
120 : 신호처리부 130 : 출력부
140 : 리모콘 신호수신부 150 : 제어부
160 : 동기화 신호생성부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저장부 200 : 안경 장치
210 : 입력 버튼 300 : 입력 장치
301 : 무선 통신부 303 : 식별 정보 저장부
305 : 입력부 307 : 입력 제어부
310 : 표시창 320 : 방향키
330 : 기능키 340 : 컨텐츠 모드 선택키

Claims (34)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복수의 수신부;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각각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
    리모콘으로부터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신호 수신부; 및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이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싱글 뷰 모드 및 멀티 뷰 모드 중 선택된 모드로 전환되어 동작 가능하며,
    상기 싱글 뷰 모드가 개시되면 하나의 컨텐츠를 수신하여 처리하고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복수의 수신부, 상기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며,
    멀티 뷰 모드가 개시되면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하고 처리하여 복수의 컨텐츠 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복수의 수신부, 상기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싱글 뷰 모드에서 상기 출력부에 OSD 메뉴가 표시되고 있는 동작 상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OSD 메뉴 중에서 상기 선택 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메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OSD 메뉴가 표시되지 않는 동작 상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멀티 뷰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뷰 모드는, 듀얼 뷰 모드, 트리플 뷰 모드, 쿼드러플 뷰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싱글 뷰 모드에서 상기 OSD 메뉴가 표시되지 않는 동작상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복수 횟수로 수신되면, 상기 선택 신호의 수신 횟수에 따라 상기 듀얼 뷰 모드, 상기 트리플 뷰 모드, 상기 쿼드러플 뷰 모드로 순차적으로 전환하고, 상기 쿼드러플 뷰 모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싱글 뷰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싱글 뷰 모드에서 상기 출력부에 OSD 메뉴가 표시되고 있는 동작 상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OSD 메뉴 중에서 상기 선택 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메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OSD 메뉴가 표시되지 않는 동작 상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 신호를 무시하며,
    상기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동작 상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하나를 제어 대상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 신호 수신부는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 대상으로 선택된 컨텐츠 뷰에 대하여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동작 상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하나를 상기 제어 대상으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 신호가 반복 수신되면 매 수신 시마다 다음 컨텐츠 뷰를 순차적으로 상기 제어 대상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동작 상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상기 선택 신호의 종류에 대응되는 컨텐츠 뷰를 상기 제어 대상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상기 제어 대상으로 선택된 컨텐츠 뷰의 영상 프레임 내에 상기 제어 대상임을 알리기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를 추가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상기 제어 대상으로 선택된 컨텐츠 뷰에 대해 하이라이트 효과를 부가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각각의 영상 프레임 내에 컨텐츠 뷰 순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상기 제어 대상으로 선택된 컨텐츠 뷰의 영상 프레임에 표시된 인디케이터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도록 상기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에 각각 매핑되는 복수의 리모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리모콘 중 하나를 통해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한 리모콘에 매핑되는 컨텐츠 뷰에 대하여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리모콘들 간의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와의 매핑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신규 리모콘이 페어링되면서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 뷰에 페어링된 기존 리모콘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기존 입리모콘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 뷰와 상기 신규 리모콘을 매핑시키고,
    상기 리모콘이 존재하면 상기 기존 리모콘과 상기 신규 리모콘의 우선 순위를 비교하여 우선권을 가지는 리모콘과 상기 선택된 컨텐츠 뷰를 매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존 리모콘과 상기 신규 리모콘 중에서 우선 순위가 낮은 리모콘에 대해서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타 컨텐츠 뷰를 자동으로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모콘 중에서 RF 타입의 리모콘의 우선 순위가 IR 타입의 리모콘의 우선 순위보다 우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리모콘의 페어링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와 순차적으로 매핑시키고, 페어링되지 않은 리모콘은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매핑되지 않은 컨텐츠 뷰와 매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복수의 컨텐츠 뷰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무선 통신부;
    고유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식별 정보 저장부;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고유 식별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페어링을 수행하고, 상기 페어링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 명령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입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
  19.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리모콘으로부터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동작 상태에 따라 상이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싱글 뷰 모드에서 OSD 메뉴가 표시되고 있는 동작 상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었으면, 상기 OSD 메뉴 중에서 상기 선택 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메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OSD 메뉴가 표시되지 않는 동작 상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었으면 상기 멀티 뷰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싱글 뷰 모드에서 상기 OSD 메뉴가 표시되지 않는 동작상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복수 횟수로 수신되면, 상기 선택 신호의 수신 횟수에 따라 상기 싱글 뷰 모드를 순차적으로 듀얼 뷰 모드, 트리플 뷰 모드, 쿼드러플 뷰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쿼드러플 뷰 모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싱글 뷰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싱글 뷰 모드에서 OSD 메뉴가 표시되고 있는 동작 상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OSD 메뉴 중에서 상기 선택 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메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OSD 메뉴가 표시되지 않는 동작 상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 신호를 무시하며,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동작 상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하나를 제어 대상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 대상으로 선택된 컨텐츠 뷰에 대하여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동작 상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하나를 상기 제어 대상으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 신호가 반복 수신되면 매 수신 시마다 다음 컨텐츠 뷰를 순차적으로 상기 제어 대상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동작 상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상기 선택 신호의 종류에 대응되는 컨텐츠 뷰를 상기 제어 대상으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26. 제19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상기 제어 대상으로 선택된 컨텐츠 뷰의 영상 프레임 내에 상기 제어 대상임을 알리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추가하여 표시하는 다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27. 제19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상기 제어 대상으로 선택된 컨텐츠 뷰에 대해 하이라이트 효과를 부가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28. 제19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뷰 모드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상기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각각의 영상 프레임 내에 컨텐츠 뷰 순서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상기 제어 대상으로 선택된 컨텐츠 뷰의 영상 프레임에 표시된 인디케이터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
  29. 서로 다른 복수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각각 처리하여 영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각 영상 프레임을 조합하여 복수의 컨텐츠 뷰를 출력하는 단계;
    입력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에 각각 매핑되도록 저장된 복수의 입력 장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장치에 매핑되는 컨텐츠 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컨텐츠 뷰에 대하여 상기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입력 장치들 간의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와의 매핑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신규 입력 장치가 페어링되면서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 뷰에 페어링된 기존 입력 장치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기존 입력 장치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 뷰와 상기 신규 입력 장치를 매핑시키고,
    상기 기존 입력 장치가 존재하면 상기 기존 입력 장치와 상기 신규 입력 장치의 우선 순위를 비교하여 우선권을 가지는 입력 장치와 상기 선택된 컨텐츠 뷰를 매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기존 입력 장치와 상기 신규 입력 장치 중에서 우선 순위가 낮은 입력 장치에 대해서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타 컨텐츠 뷰를 자동으로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33. 제29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입력 장치 중에서 RF 타입의 입력 장치의 우선 순위가 IR 타입의 입력 장치의 우선 순위보다 우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34.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입력 장치의 페어링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와 순차적으로 매핑시키고, 페어링되지 않은 입력 장치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뷰 중에서 매핑되지 않은 컨텐츠 뷰와 매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1020120037460A 2011-12-30 2012-04-10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것에 사용되는 입력 장치 KR2013007907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20195151 EP2611198A3 (en) 2011-12-30 2012-11-30 Display apparatus,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to provide a single-view or multi-view mode
CN2012105673973A CN103188569A (zh) 2011-12-30 2012-12-24 显示装置、其控制方法及其使用的输入装置
US13/731,237 US20130169763A1 (en) 2011-12-30 2012-12-31 Display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input apparatus used in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147319 2011-12-30
KR1020110147319 2011-12-30
KR20110147315 2011-12-30
KR1020110147315 2011-12-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9078A true KR20130079078A (ko) 2013-07-10

Family

ID=48991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460A KR20130079078A (ko) 2011-12-30 2012-04-10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것에 사용되는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90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3822B2 (en) Multiuser audiovisual control
US9277159B2 (en) Display apparatus, and remote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KR10130978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9191656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US9230504B2 (en) Display apparatus indicating control authority in content views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EP2611198A2 (en) Display apparatus,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to provide a single-view or multi-view mode
KR20140007703A (ko)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메뉴 디스플레이 방법
US20140036044A1 (en) Display apparatus which displays a plurality of content views, glasses apparatus which synchronizes with one of the content views, and methods thereof
EP2611177A2 (en) Display apparatus, glasses apparatus linked with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40015941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displaying image and glasses apparatus
KR10131094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멀티 뷰 제공 방법
KR20130077750A (ko) 안경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그들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모드 전환 방법
KR2013007907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것에 사용되는 입력 장치
US20180063476A1 (en)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menu with multiple instantiations for a multi-stream display
KR10132224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AU2012360491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KR2014006654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MX2014007989A (es) Aparato de visualizacion y metodos de control del mism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