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7951A - 포트 전원 차단이 가능한 주전자 정수기 - Google Patents

포트 전원 차단이 가능한 주전자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7951A
KR20130087951A KR1020120009235A KR20120009235A KR20130087951A KR 20130087951 A KR20130087951 A KR 20130087951A KR 1020120009235 A KR1020120009235 A KR 1020120009235A KR 20120009235 A KR20120009235 A KR 20120009235A KR 20130087951 A KR20130087951 A KR 20130087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put signal
power
port
he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9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3242B1 (ko
Inventor
장평순
정인철
임주영
이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교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to KR1020120009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242B1/ko
Publication of KR20130087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 A47J27/21058Control devices to avoid overheating, i.e. "dry" boiling, or to detect boiling of the water
    • A47J27/21083Control devices to avoid overheating, i.e. "dry" boiling, or to detect boiling of the water with variable operating parameters, e.g. temperature or boiling perio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47J27/21183Water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Abstract

주전자 정수기는 정수 출수부, 포트 및 전류 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정수 출수부는 출수 입력신호에 따라 정수를 출수한다. 상기 포트는 상기 정수 출수부로부터 정수를 제공받으며, 전원 입력신호에 따라 가열되는 가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류 감지센서는 상기 전원 입력신호에 따른 상기 가열부의 전류의 흐름을 감지한다.

Description

포트 전원 차단이 가능한 주전자 정수기{WATER PURIFIER HAVING POT POWER CONTROL}
본 발명은 주전자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트 겸용으로 사용되는 주전자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는 냉수 또는 온수를 제공하는 정수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얼음을 제공하는 정수기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정수기가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기존의 정수기에 전기포트가 결합되는 형태의 정수기도 개발되고 있으며, 온수와는 별도로 끓인 물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나아가, 최근에는 사용자가 정수기 제어부를 통해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전기포트에 정수를 공급할 수 있는 형태의 주전자 정수기도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형태의 주전자 정수기에서는, 전기포트로 정수를 제공하는 경우, 전기포트가 전원 공급장치에 수납되었는지와 무관하게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정수가 제공되므로, 물이 낭비되는 것은 물론, 전원 공급장치에 누전이 발생하거나 오염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량 및 전원의 자동 제어가 가능한 주전자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전자 정수기에서, 상기 주전자 정수기는 정수 출수부, 포트 및 전류 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정수 출수부는 출수 입력신호에 따라 정수를 출수한다. 상기 포트는 상기 정수 출수부로부터 정수를 제공받으며, 전원 입력신호에 따라 가열되는 가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류 감지센서는 상기 전원 입력신호에 따른 상기 가열부의 전류의 흐름을 감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류 감지센서는 상기 가열부에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원 입력신호를 유지하고, 상기 가열부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원 입력신호를 중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수 입력신호가 입력된 후 정수를 출수하기 전에, 상기 전원 입력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전류 감지센서는 상기 가열부의 전류의 흐름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열부에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출수 입력신호에 따라 정수가 출수되고, 상기 가열부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출수 입력신호가 입력되지 않아 정수가 출수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포트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정수 출수부는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 입력신호의 입력과 동시에 전류 감지센서를 통해 포트의 가열부의 전류의 흐름을 감지함으로써, 포트가 수납공간에 없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의 낭비를 방지하고 및 전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출수 입력신호의 입력과 동시에 상기 전류 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포트의 가열부의 전류의 흐름을 출수 전에 미리 감지함으로써, 상기 포트가 수납공간에 없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출수를 차단하여 정수의 낭비를 방지하고 및 전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전자 정수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전자 정수기에서 전원차단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원차단 시스템을 통한 유량 및 전원제어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전원차단 시스템을 통한 전원제어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전자 정수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주전자 정수기(1)는 본체(10) 및 포트(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전체적으로 사각 기둥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부에 수납공간(15)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15)에는 상기 포트(20)가 수납된다. 상기 수납공간(15)은 상기 포트(20)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포트(20)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수납 공간(15)도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본체(10)는 정수부(11), 상단부(12), 측부(13), 물받침부(14), 정수 제공부(15), 제어부(16), 전원 공급부(17) 및 정수 출수부(18)를 포함한다.
상기 정수부(11)는 내부에 필터부(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원수를 정수로 필터링 하고, 상기 상단부(12) 및 상기 측부(13)는 상기 수납공간(15)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물받침부(14)는 누설되는 물을 받치거나 물컵을 받치며, 상기 정수 제공부(15)를 통해 정수가 제공되고, 상기 제어부(16)는 정수의 공급, 상기 포트의 가열 등을 제어하는 입력 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17)는 상기 수납공간(15)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납공간(15)에 수납된 상기 포트(20)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포트(20)로 공급된 전원은 상기 포트(20)의 바닥에 형성된 가열부(21)로 전달되어 상기 포트(20) 내부의 정수가 가열된다. 이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17) 및 가열부(21)는 일반적인 전기포트의 전원 공급부 및 가열부와 후술할 전류 감지센서(19)를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구체적인 동작 및 제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 정수 출수부(18)는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배치된 정수 공급배관을 통해 전달된 정수를 상기 수납공간(15)에 수납된 상기 포트(20)로 출수한다. 이 경우, 출수되는 정수는 상온의 정수 또는 온수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주전자 정수기에서 전원차단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원차단 시스템을 통한 유량 및 전원제어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주전자 정수기(1)의 전원차단 시스템에서, 외부로부터의 출수 입력신호(입력1)가 입력되면(단계 S10), 상기 출수 입력신호에 의해 상기 정수 출수부(18)를 통해 정수가 상기 포트(20)의 내부로 출수되기 전에, 전원 입력신호(입력2)가 상기 전원 공급부(17)에 입력된다(단계 S20). 그리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17)를 통해 상기 포트(20) 내부의 가열부(21)에 전원이 공급된다(단계 S30).
이와 동시에 상기 전류 감지센서(19)는 상기 가열부(21)로 흐르는 전류를 감지한다(단계 S40). 구체적으로, 상기 포트(20)가 상기 수납공간(15)에 수납된 경우라면, 상기 가열부(21)로 공급되는 전원은 그대로 흘러 상기 포트(20)가 가열될 것이므로, 상기 전원 공급부(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류 감지센서(19)에서는 전류가 지속적으로 흐르는 것을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전류 감지센서(19)에서 전류의 흐름이 감지되면, 상기 전원 공급부(17)는 상기 가열부(21)로 계속해서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출수 입력신호도 상기 정수 출수부(18)로 입력되어 상기 정수 출수부(18)는 상기 포트(20)로 정수를 출수한다(단계 S50).
이와 달리, 상기 포트(20)가 상기 수납공간(15)에 수납되지 않은 경우라면, 상기 가열부(21)로 공급되는 전원은 흐르지 않으므로, 상기 전원 공급부(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류 감지센서(19)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을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전류 감지센서(19)에서 전류의 흐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전원 공급부(17)는 상기 가열부(21)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며, 상기 출수 입력신호도 상기 정수 출수부(18)로 입력되지 않아 상기 정수 출수부(18)는 상기 포트(20)로 정수를 출수하지 않는다(단계 S60).
이와 같이, 상기 전류 감지센서(19)는 상기 전원 공급부(17)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상기 가열부(21)를 통해 흐르는지의 여부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전원 입력신호(입력2) 및 상기 출수 입력신호(입력1)와 피드백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17) 및 상기 정수 출수부(18)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하여, 상기 수납공간(15)에 상기 포트(20)가 수납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전원 공급부(17) 및 상기 정수 출수부(18)의 동작을 차단하여, 불필요한 전원 및 정수의 낭비를 방지하고, 전원 공급부(17)에 정수가 출수되어 발생할 수 있는 전기적 문제를 방지하여 전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전원차단 시스템을 통한 전원제어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주전자 정수기(1)의 전원차단 시스템에서는, 전원제어 시스템(30)이 가능하여, 외부로부터 출수 입력신호(입력 1)가 입력되지 않고, 전원 입력신호만 입력된 경우라도(단계 S31), 상기 전류 감지센서(19)는 전류를 감지하고(단계 S41)한다. 그리하여, 상기 전류 감지센서(19)에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공급부(17)에서 상기 가열부(21)로 전류가 흐르는 것을 감지하면 상기 전원 입력신호의 입력은 유지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17)로부터 상기 가열부(21)로의 전원 공급은 유지된다(단계 S51). 그러나, 상기 전원 공급부(17)에서 상기 가열부(21)로 전류가 흐르는 것을 감지하지 못하면, 상기 전원 입력신호의 입력은 중단되어 상기 전원 공급부(17)로부터 상기 가열부(21)로의 전원 공급은 중단된다(단계 S61).
이와 같이, 외부의 출수 입력신호와 무관하게, 전원 입력신호도 상기 전류 감지센서(19)와 피드백 되어, 전원 차단이 가능하므로, 전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정수 출수 입력버튼(미도시)을 통한 출수 입력만으로도 자동으로 포트(20)가 수납용기에 올바르게 수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정수를 출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도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전원 입력신호의 입력과 동시에 전류 감지센서를 통해 포트의 가열부의 전류의 흐름을 감지함으로써, 포트가 수납공간에 없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여 전력의 낭비를 방지하고 및 전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출수 입력신호의 입력과 동시에 상기 전류 감지센서를 통해 상기 포트의 가열부의 전류의 흐름을 출수 전에 미리 감지함으로써, 상기 포트가 수납공간에 없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출수를 차단하여 정수의 낭비를 방지하고 및 전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전자 정수기는 가정용 및 업소용으로 사용되는 정수기에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정수기 17 : 전원 공급부
18 : 정수 출수부 19 : 전류 감지센서
20 : 포트 21 : 가열부

Claims (5)

  1. 출수 입력신호에 따라 정수를 출수하는 정수 출수부;
    상기 정수 출수부로부터 정수를 제공받으며, 전원 입력신호에 따라 가열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포트; 및
    상기 전원 입력신호에 따른 상기 가열부의 전류의 흐름을 감지하는 전류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주전자 정수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감지센서는 상기 가열부에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원 입력신호를 유지하고, 상기 가열부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원 입력신호를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 정수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 입력신호가 입력된 후 정수를 출수하기 전에, 상기 전원 입력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전류 감지센서는 상기 가열부의 전류의 흐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 정수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에 전류가 흐르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출수 입력신호에 따라 정수가 출수되고, 상기 가열부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출수 입력신호가 입력되지 않아 정수가 출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 정수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정수 출수부는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 정수기.
KR1020120009235A 2012-01-30 2012-01-30 포트 전원 차단이 가능한 주전자 정수기 KR101333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235A KR101333242B1 (ko) 2012-01-30 2012-01-30 포트 전원 차단이 가능한 주전자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9235A KR101333242B1 (ko) 2012-01-30 2012-01-30 포트 전원 차단이 가능한 주전자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951A true KR20130087951A (ko) 2013-08-07
KR101333242B1 KR101333242B1 (ko) 2013-11-26

Family

ID=49214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9235A KR101333242B1 (ko) 2012-01-30 2012-01-30 포트 전원 차단이 가능한 주전자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32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8171B1 (ko) * 2014-12-30 2016-07-08 주식회사 교원 전기포트 정수기 및 그 자동 출수 및 가열 제어방법
CN108245007B (zh) * 2016-12-28 2020-07-10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液体加热容器及其加热控制方法和加热控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813Y1 (ko) * 2004-05-06 2004-07-30 신광석 전기주전자의 경보장치
KR20110000880U (ko) * 2009-07-20 2011-01-2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
KR20120077231A (ko) * 2010-12-30 2012-07-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의 전기 주전자 수납 구조
KR101110673B1 (ko) 2011-07-19 2012-02-24 주식회사캐로스 냉온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3242B1 (ko) 201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12740B (zh) 直饮水机及其加热/保温控制方法
CN104840101A (zh) 调温即热式饮水机
CN104214960A (zh) 供水系统的高温杀菌方法
KR101333242B1 (ko) 포트 전원 차단이 가능한 주전자 정수기
CN105757996A (zh) 热泵热水器的杀菌控制方法
CN204654638U (zh) 调温即热式饮水机
KR20120088318A (ko) 정수기의 정수 온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338415B1 (ko) 포트 물넘침 차단이 가능한 주전자 정수기
CN204555293U (zh) 电热水器
KR101433206B1 (ko)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포트타입 정수기
GB201210356D0 (en) Improvements to system of water conservation
KR20120075994A (ko) 냉온수기의 온수 공급장치 및 방법
CN106264101A (zh) 电热水杯
CN106510461A (zh) 一种冷热即饮型净水饮水机
CN104791993A (zh) 电热水器
CN205181092U (zh) 新型电动出水煮水器
KR101333241B1 (ko) 로드셀을 이용한 전기포트 제어시스템
KR101433202B1 (ko)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포트타입 정수기
KR101211784B1 (ko) 냉온수기
CN104110819A (zh) 热水器
CN104976417A (zh) 一种可检测细菌含量的直饮式水龙头
CN215311523U (zh) 液体混合设备
CN204091719U (zh) 直饮水机
CN205493375U (zh) 一种嵌入式养生茶壶和煮茶锅一体装置
CN106264117A (zh) 电热水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