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7231A - 정수기의 전기 주전자 수납 구조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전기 주전자 수납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77231A KR20120077231A KR1020100139120A KR20100139120A KR20120077231A KR 20120077231 A KR20120077231 A KR 20120077231A KR 1020100139120 A KR1020100139120 A KR 1020100139120A KR 20100139120 A KR20100139120 A KR 20100139120A KR 20120077231 A KR20120077231 A KR 201200772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ic kettle
- sensor
- water purifier
- kettle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1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MYMOFIZGZYHOMD-UHFFFAOYSA-N Dioxygen Chemical compound O=O MYMOFIZGZYHOM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122767 The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71 c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882 di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48 ti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47J27/21183—Water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oker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정수기의 전기 주전자 수납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정수기의 주전자 수납 구조는, 정수기에 구비된 전기주전자 수납공간; 및, 상기 전기 주전자;에 각각 제공되면서 서로 협력하여 주전자의 수납상태를 감지토록 제공되되, 비접촉식 감지와 접촉식 감지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 주전자의 정수기 본체 수납(안착)시 그 수납 상태를 감지하게 하여 불안정한 수납시에는 전기 주전자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감전 등의 안전 사고를 예방 가능하게 하면서, 더하여 정상적인 수납의 외부 인식을 가능하게 하고, 이경우 전기 주전자로의 자동 급수로 가능하여, 전체적으로 안정성과 실용성을 제공 가능하게 하는 등의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정수기의 주전자 수납 구조는, 정수기에 구비된 전기주전자 수납공간; 및, 상기 전기 주전자;에 각각 제공되면서 서로 협력하여 주전자의 수납상태를 감지토록 제공되되, 비접촉식 감지와 접촉식 감지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 주전자의 정수기 본체 수납(안착)시 그 수납 상태를 감지하게 하여 불안정한 수납시에는 전기 주전자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감전 등의 안전 사고를 예방 가능하게 하면서, 더하여 정상적인 수납의 외부 인식을 가능하게 하고, 이경우 전기 주전자로의 자동 급수로 가능하여, 전체적으로 안정성과 실용성을 제공 가능하게 하는 등의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정수기의 전기 주전자 수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전기 주전자의 정수기 본체 수납(안착)시 그 수납 상태를 감지하게 하여 불안정한 수납시에는 전기 주전자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감전 등의 안전 사고를 예방 가능하게 하면서, 더하여 정상적인 수납의 외부 인식을 가능하게 하고, 이경우 전기 주전자로의 자동 급수로 가능하여, 전체적으로 안정성과 실용성을 제공 가능하게 한 정수기의 전기 주전자 수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돗물이나 약수와 같은 원수를 정수시키기 위한 장치로, 침전, 여과, 살균 등의 과정을 포함한 정수법을 기초로 원수에 포함된 중금속이나 기타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인체에 유익한 물질만이 포함된 음용수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냉온 정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탄산가스나 산소가스 등과 같은 기능성 가스를 함유한 정수, 즉 탄산수나 산소수 등 음용 가능한 기능수를 제공하는 기능수 정수기도 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물을 급속으로 가열시키는 전기 주전자는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전기 주전자는 하부에 히터코일을 내장시키고, 외부 전원공급을 접속 구조를 통하여 인가되도록 하여, 주전자 몸체를 전원 공급부와 분리시킨 형태로서, 전원 케이블이 없는 무선 작동 형태이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한 것이다.
따라서, 현재 이와 같은 (무선방식)의 전기 주전자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기주전자는 전원 공급부와 분리 및 필요시 접속되기 때문에, 주전자 본체를 전원 공급부의 위치에 상관없이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것이다.
한편, 앞에서 설명한 대부분의 정수기는 온수와 냉수 체계는 기본이다. 그러나, 정수기의 단위 배출수 양은 사실 한정되는데, 예컨대 특히 온수의 경우 가열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무한정 적정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배출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특히 실제 사용 인원이 크지 않은 가정의 경우 온수 배출에 한계가 없지만, 인원이 많은 사무실의 경우, 티 타임을 하기 쉬운 특정 시간대에서는 많은 사람이 일시에 온수를 이용하기 쉽고, 따라서 정수기에서 배출되는 온수 온도가 점점 떨어지게 된다.
즉, 충분히 가열될 시간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계속 온수를 사용하면 정수기에서의 온수 공급 능력을 초과하게 되어 온수의 적정 온도가 유지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근래에는 정수기, 가스 레인지 등의 전자 기기에 전기 주전자를 같이 사용하도록 한 전기 주전자 수납 형태의 기기 들이 제안되고 있다.
특히, 정수기의 경우 전기 주전자 사용시 물을 그 자리에서 바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정수기에 전기 주전자의 수납을 가능하게 하는 경우 실용성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이와 같은 전기 주전자를 수납하는 정수기의 경우, 단순하게 전기 주전자를 수납하는 공간 만을 정수기 본체에 제공하는 단순한 형태가 대부분이고, 간단한 전원 공급을 가능하게는 정도였다.
따라서, 전기 주전자의 특성상 전원 공급 소켓이나 접속 부품이 전기 주전자를 이동 사용하는 경우에도 계속 전원이 인가되는 상태로 방지되는 것이고, 결국 사용자의 안전사고 특히, 정수기의 특성상 물이 접촉될 가능성이 많은 경우에는 감전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높은 것이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정수기의 일측에 전기 주전자의 수납을 가능하게 하면서, 특히 전기 주전자의 수납 유무를 감지하도록 하여, 전기 주전자가 이탈되는 경우 정수기 본체 측의 전원 공급 제어수단을 통하여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 가능하게 하고, 특히 다중의 안전 감지 수단들을 구비하도록 한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전기 주전자의 정수기 본체 수납(안착)시 그 수납 상태를 감지하게 하여 불안정한 수납시에는 전기 주전자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감전 등의 안전 사고를 예방 가능하게 하면서, 더하여 정상적인 수납의 외부 인식을 가능하게 하고, 이 경우 전기 주전자로의 자동 급수로 가능하여, 전체적으로 안정성과 실용성을 제공 가능하게 한 정수기의 전기 주전자 수납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정수기의 전기 주전자 수납 구조로서, 상기 정수기에 구비된 전기주전자 수납공간; 및,
상기 전기 주전자;
에 각각 제공되면서 서로 협력하여 주전자의 수납상태를 감지토록 제공되되, 비접촉식 감지와 접촉식 감지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정수기의 전기 주전자 수납구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수단은, 상기 전기 주전자에 제공된 제1 센서 작동체와 상기 정수기의 수납공간에 제공되고 센서 작동체로부터 발생된 신호인가로 작동되는 제1 센서를 포함하는 비접촉식 센서수단;
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수단은, 상기 전기 주전자에 제공된 제2 센서 작동체와 상기 정수기 수납공간에 제공되고 상기 제2 센서 작동체의 접촉시 작동되는 제2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접촉식 센서수단;
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접촉식 센서수단의 제1 센서구동체는 자석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1 센서는 자력 감지센서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접촉식 센서수단의 제2 센서 작동체는 주전자에 구비된 누름돌부로 제공되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주전자의 수납공간 수납시 상기 제2 센서 작동체의 접촉돌부로 마이크로 센서 또는 근접 센서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접촉식 센서수단에 구비된 제1 센서와 접촉식 센서수단에 구비된 제2 센서는 정수기내 콘트롤러와 연계되고, 상기 콘트롤러는 전기 주전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유닛과 연계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수기의 전기 주전자 수납공간에는 상기 전기 주전자의 정위치 수납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정수기 전면에 상기 콘트롤러와 연계되어 제어 작동되는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납공간에는 주전자 물 주입구가 인입되는 주입구 공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입구 공간에는 상기 콘트롤러로서 정수 공급이 제어되는 정수 공급구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 주전자의 정수기 본체 수납(안착)시 그 수납 상태를 감지하게 하여 불안정한 수납시에는 전기 주전자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감전 등의 안전 사고를 예방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정상적인 수납의 외부 인식을 가능하게 하고, 정상 수납시 전기 주전자로의 자동 급수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은 정수기에 수납되는 전기 주전자의 사용시의 전체적인 기기 안정성과 실용성을 제공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주전자의 정수기 수납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주전자의 정수기 수압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주전자의 정수기 수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주전자의 정수기 수압 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주전자의 정수기 수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의 전기 주전자 수납구조(1)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정수기의 전기 주전자 수납구조(1)는, 상기 정수기(100)에 구비된 전기주전자 수납공간(110) 및, 상기 전기 주전자(10)에 각각 제공되면서 서로 협력하여 주전자의 수납상태를 감지토록 제공되되, 비접촉식 감지와 접촉식 감지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전기 주전자(10)를 정수기(100)의 일측으로 개방된 공간이 주전자 수납공간(110)에 수납되는 경우, 비접촉식 감지와 접촉식 감지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이들 모두를 기반으로 작동되는 센서수단을 포함한다.
결국, 본 발명의 전기 주전자의 정수기 수납시 안정적으로 센서수단들이 모두 작동되는 경우에만,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전기 주전자(10)로의 전원공급이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비정상적인 전기 주전자의 수납이 이루어 지거나, 전기 주전자 자체가 수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전기 주전자(1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수기(100)는 전기 주전자 사용 유무에 따른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정수기(100)는 일측으로 정수의 온수와 냉수를 취수 가능하게 하는 취수부(콕크) 등이 구비되어 있고, 본 발명의 전기 주전자가 수납되는수납공간(110)은 정수기 본체의 일부가 적절하게 개방된 상태로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전기 주전자 수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 진 것을 감지하는 본 발명의 상기 센서수단은, 전기 주전자(10)에 제공된 제1 센서 작동체(52)와 상기 정수기의 수납공간(110)에 제공되고 센서 작동체로부터 발생된 신호인가로 작동되는 제1 센서(54)를 포함하는 비접촉식 센서수단(50)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센서 작동체(52)는 도 2와 같이, 전기 주전자(10)의 바닥 내측 공간에 제공되는 자석으로 제공될 수 있고, 제1 센서(54)는 상기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여 작동되는 자력 감지센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 주전자(10)를 수납공간(110)에 수납하면, 전기 주전자(10)의 바닥 내부공간의 비접촉식 센서수단(50)의 제1 센서 작동체(52)인 자석에서 발생된 자력은 상기 수납공간(110)의 하부 공간에 제공된 제1 센서(54)인 자력 감지센서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자력 감지센서인 제1 센서(54)는 자석의 자력을 감지하면 전기 주전자가 수납됨을 인식토록 정수기 본체내에 제공되고 전기적으로 연계된 콘트롤러(C)에 신호를 보내게 된다.
다음,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센서수단은, 상기 전기 주전자(10)에 제공된 제2 센서 작동체(72)와 상기 정수기 수납공간(110)에 제공되고 상기 제2 센서 작동체의 접촉시 작동되는 제2 센서(74)를 포함하여 구성된 접촉식 센서수단(70)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센서 구동체(72)는 전기 주전자(10)의 외면 일측에 제공된 좁촉돌부일수 있고, 상기 제2 센서(74)는 상기 접촉돌부가 접촉하면 작동되는 마이크로 센서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 센서가 근접센서와 같이 접촉돌부의 근접시 작동되는 다른 센서도 가능하다.
따라서, 전기 주전자(10)가 정상적으로 수납공간 내에 수납되면, 전기 주전자의 일측 외면 바람직하게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전면부에 제공된 제2 센서 작동체(72)인 센서 작동돌부가 수납공간(110)측의 제2 센서(74)인 마이크로 센서 또는 근접센서를 작동시키게 된다.
결국, 전기 주전자(10)가 정상적으로 수납공간(110)에 수납되어 정상적인 위치까지 진입되면, 전기 주전자의 제2 센서 작동체(72)는 제2 센서(74)를 작동시키고, 이때 제2 센서는 연계된 콘트롤러(C)에 신호를 보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수기의 전기 주전자 수납 방식에서, 바람직하게는 비접촉식 센서수단(50)과 접촉식 센서수단(70)을 모두 사용하여 전기 주전자가 수납되지 않거나 정상적인 수납이 아닌 경우에는 어느 하나라도 제대로 작동되지 않고, 따라서 콘트롤서(C)는, 전기주전자(10)에 바닥 공간에 구비된 전원인가부품(30)이 접촉하는 전원공급부품(소켓)(32)과 연계된 파워 유닛(PU)을 통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경우 전기 주전자가 정상적으로 원하는 위치까지 수납공간내에 깊숙하게 삽입되는 경우에만, 비접촉식 감지와 접촉식 감지가 동시에 이루어 지는 경우에만 전원이 전기 주전자측에 공급될 수 있다.
물론, 콘트롤러(C)의 제어를 통하여 비접촉 감지와 접촉 감지 중 하나를 선택하여 전기주전자의 수납 상태를 감지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경우 전기 주전자가 수납 공간에 사실상 슬라이딩되면서 수납되기 쉽기 때문에, 전원인가부품(30)과 전원공급부품(32)은 각각 전기 주전자 하부 바닥측과 수납 공간의 정수기 본체측에, 수납시 서로 일치되는 위치로 배열되는 것이다.
예컨대, 정원공급부품(32)이 링 형태로 수납공간에 놓이는 형태이면, 전기 주전자를 들어서 놓기 때문에, 이경우 접촉식 센서수단(70)은 필요없을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비접촉식 센서수단(50)을 이용하기 때문에, 적어도 수납 유무를 안정적으로 감지하는 것은 가능하다.
더하여,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 주전자 수납공간의 하측으로 전기 주전자의 수압이 정상적인 경우와 이를 통하여 전기 주전자에 전원이 인가된 것을 사용자가 쉽게 인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인식수단 즉, 램프(90)가 콘트롤러(C)와 연계되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사용자는 자신이 전기 주전자를 올바르게 정수기의 수납 공간(110)에 수납하였으며, 전원이 전기 주전자에 인가됨을 쉽게 인식 가능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정수기의 전기 주전자 수납구조에 의하면, 바람직하게는 자력 감지를 매개로 한 비접촉식 센서수단(50)을 이용한 비접촉식 감지와 전기주전자의 수납시 접촉에 의한 접촉식 센서수단(70)을 통한 접촉식 감지를 기반으로 전기 주전자의 안정적인 수납을 유도하고, 이경우에만 정상적인 전기 주전자로의 전원 인가가 이루어 지는 것이다.
한편,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주전자(10)의 바닥 내부 공간에는 전원공급부품(30)과 연계된 열선 히터(34)가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전원공급부품(30)과 연계된 전원인가 컨넥터부품(32)은 정수기 본체내의 파워유닛(PU)과 연계되고, 파워유닛(PU)은 정수기 콘트롤러(C)와 연계된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센서수단들의 제1,2 센서와 연계된 콘트롤러(C)는 센서들로부터의 정상적인 수납시 보내지는 신호에 따라 전기 주전자로의 전원공급이 이루어 진다.
다음,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정수기의 전기 주전자 수납공간(110)에는 전기 주전자의 수납시 전기 주전자(10)를 접촉식 센서수단(70)측으로 유도하여 제2 센서 작동체(72)인 접촉돌부가 제2 센서(74)인 마이크로 센서 또는 근접센서와의 접촉이나 근접 위치가 일정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 지도록 하는 가이드부(120)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가이드부(120)는 만곡된 부재를 수납공간에 볼팅 작업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음,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정수기의 전기 주전자 수납공간(110)의 후방으로 일부분이 개구되어 주전자 물 주입구(12)가 인입 가능하게 하는 주입구 공간(11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그 내부에는 정수기 본체에 설치되고 제어밸브(132)가 구비된 정수라인(130)과 연계된 물 공급구(134)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밸브(132)는, 정수기 내부의 콘트롤러(C)와 연계되어 있다.
따라서, 정수기의 수납공간(110)에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 주전자(10)가 정상적으로 수납되면, 주전자 물 유입구(12)는 자동적으로 물 공급구 (134)의 직하부에 위치되고, 콘트롤러(C)는 센서들의 신호를 받으면 전기 주전자로의 전원 공급 직전에, 먼저 물 공급구를 통하여 정수를 전기 주전자에 설정된 시간동안 공급하고, 그 다음 전원을 전기 주전자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의 정수기의 전기 주전자 수납공간(110)에 정상적인 수납이 이루어 지는 경우, 비접촉식 감지와 접촉식 감지의 다단의 감지를 통하여, 전기 주전자로의 물 공급과 전원 공급이 자동적으로 이루어 지기 때문에, 감전 등의 안전사고 예방은 물론, 자동적인 전원 공급과 물 공급의 편리함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 전기 주전자 12.... 물 주입구
30.... 전원 공급부품 50,70.... 센서수단
100.... 정수기 110.... 전기주전자 수납공간
120.... 취수부 134.... 물 공급구(코크)
140.... 가이드부 C.... 콘트롤러(정수기 제어부)
30.... 전원 공급부품 50,70.... 센서수단
100.... 정수기 110.... 전기주전자 수납공간
120.... 취수부 134.... 물 공급구(코크)
140.... 가이드부 C.... 콘트롤러(정수기 제어부)
Claims (8)
- 정수기의 전기 주전자 수납 구조로서,
상기 정수기에 구비된 전기주전자 수납공간; 및,
상기 전기 주전자;
에 각각 제공되면서, 서로 협력하여 주전자의 수납상태를 감지토록 제공되되, 비접촉식 감지와 접촉식 감지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센서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정수기의 전기 주전자 수납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수단은, 상기 전기 주전자에 제공된 제1 센서 작동체와 상기 정수기의 수납공간에 제공되고 센서 작동체로부터 발생된 신호인가로 작동되는 제1 센서를 포함하는 비접촉식 센서수단;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전기 주전자 수납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수단은, 상기 전기 주전자에 제공된 제2 센서 작동체와 상기 정수기 수납공간에 제공되고 상기 제2 센서 작동체의 접촉시 작동되는 제2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접촉식 센서수단;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전기 주전자 수납구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식 센서수단의 제1 센서구동체는 자석으로 제공되고, 상기 제1 센서는 자력 감지센서로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전기 주전자 수납구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식 센서수단의 제2 센서 작동체는 주전자에 구비된 누름돌부로 제공되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주전자의 수납공간 수납시 상기 제2 센서 작동체의 접촉돌부로 작동되는 마이크로 센서 또는 근접 센서로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전기 주전자 수납구조.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식 센서수단에 구비된 제1 센서와 접촉식 센서수단에 구비된 제2 센서는 정수기내 콘트롤러와 연계되고,
상기 콘트롤러는 전기 주전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파워유닛과 연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전기주전자 수납구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기의 전기 주전자 수납공간에는 상기 전기 주전자의 정위치 수납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정수기 전면에 상기 콘트롤러와 연계되어 제어 작동되는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전기주전자 수납구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에는 주전자 물 주입구가 인입되는 주입구 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주입구 공간에는 상기 콘트롤러로서 정수 공급이 제어되는 정수 공급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전기주전자 수납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9120A KR20120077231A (ko) | 2010-12-30 | 2010-12-30 | 정수기의 전기 주전자 수납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9120A KR20120077231A (ko) | 2010-12-30 | 2010-12-30 | 정수기의 전기 주전자 수납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7231A true KR20120077231A (ko) | 2012-07-10 |
Family
ID=46710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39120A KR20120077231A (ko) | 2010-12-30 | 2010-12-30 | 정수기의 전기 주전자 수납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77231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3242B1 (ko) * | 2012-01-30 | 2013-11-26 | 주식회사 교원 | 포트 전원 차단이 가능한 주전자 정수기 |
KR101333241B1 (ko) * | 2012-01-20 | 2013-11-26 | 주식회사 교원 | 로드셀을 이용한 전기포트 제어시스템 |
KR20220109574A (ko) * | 2021-01-29 | 2022-08-05 |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 반려동물용 스마트 돌봄장치 |
-
2010
- 2010-12-30 KR KR1020100139120A patent/KR2012007723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3241B1 (ko) * | 2012-01-20 | 2013-11-26 | 주식회사 교원 | 로드셀을 이용한 전기포트 제어시스템 |
KR101333242B1 (ko) * | 2012-01-30 | 2013-11-26 | 주식회사 교원 | 포트 전원 차단이 가능한 주전자 정수기 |
KR20220109574A (ko) * | 2021-01-29 | 2022-08-05 | 경남정보대학교 산학협력단 | 반려동물용 스마트 돌봄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15526B1 (ko) | 필터 장치 | |
AU2011273676B2 (en) | Capsule sensing system | |
KR101678973B1 (ko) | 음료 공급 장치 | |
JP6321659B2 (ja) | 水処理システム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選択的水温構成部品 | |
KR20120077231A (ko) | 정수기의 전기 주전자 수납 구조 | |
EP2730543A1 (en) | Controlling device for reverse osmosis water purifier | |
JP2015535730A5 (ko) | ||
US20150143830A1 (en) | A refrigerator appliance and a method for monitoring a water filter assembly within the same | |
MXPA02003334A (es) | Sistema de tratamiento de agua en instalacion con liberacion de agua de control de temperatura y metodo. | |
US9096446B2 (en) | Water purifying apparatus having cleaning system | |
JP4964847B2 (ja) | 水処理装置 | |
KR20220151141A (ko) | 사용자 의도를 인지하여 자동 원수 차단 기능을 가지는 직수형 정수기 | |
US20130270256A1 (en) | Instantaneous water heater | |
KR20220105180A (ko) | 테이블용 미니 정수기 | |
KR100927149B1 (ko) | 정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 |
CN102772143A (zh) | 一种智能饮水机 | |
KR20180066155A (ko) | 열쇠 부착 워터 서버 | |
KR102370231B1 (ko) | 정수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987470B1 (ko) | 정수기 | |
CN116323469A (zh) | 排水单元以及包括该排水单元的净水器 | |
KR101399015B1 (ko) | 포트 가열수단이 구비된 정수기 | |
KR102450216B1 (ko) | 급수장치 | |
JP3931795B2 (ja) | 給湯装置 | |
CN214510759U (zh) | 一种气压式的开水供应装置 | |
KR101496057B1 (ko) | 열수공급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