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415B1 - 포트 물넘침 차단이 가능한 주전자 정수기 - Google Patents

포트 물넘침 차단이 가능한 주전자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415B1
KR101338415B1 KR1020120011495A KR20120011495A KR101338415B1 KR 101338415 B1 KR101338415 B1 KR 101338415B1 KR 1020120011495 A KR1020120011495 A KR 1020120011495A KR 20120011495 A KR20120011495 A KR 20120011495A KR 101338415 B1 KR101338415 B1 KR 101338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urified water
sensor
unit
pur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0289A (ko
Inventor
장평순
정인철
임주영
이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교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to KR1020120011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415B1/ko
Publication of KR20130090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주전자 정수기는 본체, 정수 출수부, 포트 및 바닥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수납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정수 출수부는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에 형성되어 정수를 출수한다. 상기 포트는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정수 출수부로부터 정수를 제공받는다. 상기 바닥부는 상기 수납공간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포트에서 넘치는 정수를 감지하는 정수 감지센서가 형성된다.

Description

포트 물넘침 차단이 가능한 주전자 정수기{WATER PURIFIER HAVING POT OVERFLOW CONTROL}
본 발명은 주전자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트 겸용으로 사용되는 주전자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는 냉수 또는 온수를 제공하는 정수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얼음을 제공하는 정수기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정수기가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기존의 정수기에 전기포트가 결합되는 형태의 정수기도 개발되고 있으며, 온수와는 별도로 끓인 물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나아가, 최근에는 사용자가 정수기 제어부를 통해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전기포트에 정수를 공급할 수 있는 형태의 주전자 정수기도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형태의 주전자 정수기에서는, 전기포트로 정수를 제공하는 경우, 연속적으로 정수가 제공되어 상기 포트에 정수가 넘치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또는 정량으로 정수가 제공되더라도 상기 포트에 이미 일정량의 정수가 채워진 상태인 경우에 상기 포트에 정수가 넘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포트의 정수가 넘치면 바로 바닥으로 흐르게 되고, 바닥에는 상기 포트의 가열을 위한 전원 공급 장치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기적으로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량의 자동 제어가 가능한 주전자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주전자 정수기에서, 상기 주전자 정수기는 본체, 정수 출수부, 포트 및 바닥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수납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정수 출수부는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에 형성되어 정수를 출수한다. 상기 포트는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정수 출수부로부터 정수를 제공받는다. 상기 바닥부는 상기 수납공간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포트에서 넘치는 정수를 감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수 감지센서는 정전 용량 센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수 출수부의 정수 출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수 감지센서가 상기 바닥부에 물이 고인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정수 출수부의 정수 출수를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닥부의 전체 면적과 상기 정수 감지센서에 물이 고인 것으로 판단된 부분의 면적을 비교하여 상기 정수 출수의 차단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홈들을 포함하고, 상기 정수 감지센서는 상기 홈들 각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수 출수부의 정수 출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수 감지센서가 상기 홈들의 일부에 물이 고인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정수 출수부의 정수 출수를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수 출수입력과 동시에 정수 감지 센서를 동작하여 포트의 외부로 정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하여 정수의 낭비를 방지하고 및 전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바닥부 전체 면적과 정수가 고인 부분의 면적을 비교하여, 정수가 고인 부분의 비율이 일정 비율 이상일 때 정수 출수를 차단함으로써, 소량의 물 튀김 등으로 인한 잦은 정수 출수의 차단으로 인한 전력낭비 및 사용자의 편의성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닥부에 넘친 정수가 고일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구조에 정수 감지 센서를 형성함으로써, 정수가 넘치는 경우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넘친 정수를 제거하지 않는 경우 정수 출수입력이 불가능하도록 제어하여 추가적인 정수의 낭비를 방지하고 및 전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전자 정수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전자 정수기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a는 도 2의 I-II'을 따라 절단한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2의 I-II'을 따라 절단한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주전자 정수기의 정수 출수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전자 정수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주전자 정수기(1)는 본체(10) 및 포트(2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전체적으로 사각 기둥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부에 수납공간(15)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공간(15)에는 상기 포트(20)가 수납된다. 상기 수납공간(15)은 상기 포트(20)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포트(20)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수납 공간(15)도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본체(10)는 정수부(11), 상단부(12), 측부(13), 물받침부(14), 정수 제공부(15), 제어부(16), 전원 공급부(17) 및 정수 출수부(18)를 포함한다.
상기 정수부(11)는 내부에 필터부(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원수를 정수로 필터링 하고, 상기 상단부(12) 및 상기 측부(13)는 상기 수납공간(15)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물받침부(14)는 누설되는 물을 받치거나 물컵을 받치며, 상기 정수 제공부(15)를 통해 정수가 제공되고, 상기 제어부(16)는 정수의 공급, 상기 포트의 가열 등을 제어하는 입력 버튼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17)는 상기 수납공간(15)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납공간(15)에 수납된 상기 포트(20)에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포트(20)로 공급된 전원은 상기 포트(20)의 바닥에 형성된 가열부(미도시)로 전달되어 상기 포트(20) 내부의 정수가 가열된다.
상기 정수 출수부(18)는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배치된 정수 공급배관을 통해 전달된 정수를 상기 수납공간(15)에 수납된 상기 포트(20)로 출수한다. 이 경우, 출수되는 정수는 상온의 정수 또는 온수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주전자 정수기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수납공간(15)의 내부에 상기 포트(20)가 수납되며, 상기 포트(20)의 하면은 상기 전원 공급부(17)에 접촉하여, 상기 전원 공급부(17)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한편, 상기 수납공간(15)의 하면에는 상기 포트(20)가 접촉하는 면에 형성된 상기 전원 공급부(17)를 제외하고 바닥부(21)가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17)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정수 감지센서(22)가 형성된다.
상기 정수 감지센서(22)는 상기 포트(20)에서 넘치는 정수를 감지하며, 구체적인 정수 감지 방법에 대하여는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정수 감지센서(22)는 예를 들어, 정전 용량 센서일 수 있으며, 넘친 정수가 상기 정수 감지센서(22)에 위치하는 경우, 정전용량의 변화를 인식하여 정수의 넘침 내지 누수를 감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정수 감지센서(22)에 의해 정수가 상기 바닥부(21)로 넘치거나 누수된 것으로 감지되면, 후술할 제어부(24)에서는 상기 정수 출수부(18)와 피드백하며 상기 정수 출수부(18)의 정수 출수를 차단한다. 그리하여, 상기 포트(20)로의 정수 출수가 차단되어, 추가적인 정수의 넘침 또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정수 감지센서(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일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 감지센서(22)는 일정한 너비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a는 도 2의 I-II'을 따라 절단한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정수 감지센서(22)는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바닥부(21)에 형성되며, 상기 정수 감지센서(22)의 상면이 상기 바닥부(21)의 상면과 동일한 면에 형성된다. 즉, 상기 정수 감지센서(22)가 형성된 상기 바닥부(21)의 상면은 평평하게 형성된다.
본 예에서는, 상기 정수가 넘치거나 누수되어 상기 바닥부(21)에 고이는 경우, 상기 정수 감지센서(22)와 연결된 상기 제어부(24)에서는, 상기 바닥부(21) 전체의 면적(A)과 상기 정수 감지센서(22)에서 정수가 고인 것으로 판단된 부분의 면적(a)을 비교한다. 그리하여, 상기 제어부(24)에서 미리 설정된 a/A의 면적비율을 기초로, a/A의 면적비율이 상기 미리 설정된 비율보다 큰 경우라면 상기 제어부(24)는 상기 정수 출수부(18)의 정수 출수를 차단한다. 이 경우, 정수 출수의 차단여부를 판단하는 a/A의 면적비율 기준은 전기적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1일 수 있다. 즉, 상기 정수 감지센서(22)에서 정수가 고인 것으로 판단된 부분의 면적이 전체 바닥부(21) 면적의 10%인 경우, 상기 제어부(24)는 상기 정수 출수부(18)의 정수 출수를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상기 제어부(24)는 상기 정수 출수부(18)를 제어하여, 상기 바닥부(21)에 고인 물이 제거될 때까지는 사용자가 정수 출수 버튼을 입력하더라도, 정수 출수를 계속 차단하여, 추가적인 안전사고 등을 방지한다.
도 3b는 도 2의 I-II'을 따라 절단한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본 예에서 상기 정수 감지센서(22)는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바닥부(21)에 형성되며, 상기 정수 감지센서(22)가 형성된 부분에서는 상기 바닥부(21)에는 홈(23)이 형성된다. 즉, 상기 바닥부(21)는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홈들(23)을 포함하며, 상기 홈들(23) 각각에는 상기 정수 감지센서(22)가 형성된다.
그리하여, 넘치거나 누수된 정수는 상기 홈들(23)에 고이게 되고, 상기 정수 감지센서(22)가 상기 홈들(23)에 고인 정수를 인식하면, 상기 제어부(24)는 상기 정수 출수부(18)의 정수 출수를 차단한다. 이 경우, 도 3a에서 설명한 예와 같이 상기 제어부(24)는 상기 정수 감지센서(22)에 의해서 정수가 고인 것으로 판단된 부분의 홈들의 수가 전체 홈들의 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바탕으로, 미리 설정된 비율보다 높는 경우 정수의 출수를 차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어부(24)는 상기 정수 감지센서(22)에 의해서 정수가 고인 것으로 판단되는 부분의 홈이 하나라도 발생하면 바로 정수의 출수를 차단할 수도 있다. 이는, 전기적인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본 예에서도, 상기 제어부(24)는 상기 정수 출수부(18)를 제어하여, 상기 바닥부(21)에 고인 물이 제거될 때까지는 사용자가 정수 출수 버튼을 입력하더라도, 정수 출수를 계속 차단하여, 추가적인 안전사고 등을 방지한다.
도 4는 도 1의 주전자 정수기의 정수 출수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정수 출수 버튼을 입력하면(단계 S10), 상기 정수 출수부(18)를 통해 상기 포트(20)로 정수가 출수된다. 이 후, 상기 정수 감지센서(22)는 상기 포트(20)로부터 정수가 넘치거나 누수 되는가의 여부를 감지하며(단계 S20), 정수의 넘침 또는 누수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계속해서 정수가 출수된다(단계 S30). 이 후, 출수된 정수의 량이 최대 출수량에 도달하지 않는 경우(단계 S40),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연속해서 최대 출수량에 도달할 때까지 정수를 출수하거나, 일정량을 추가로 출수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정수 감지센서(22)가 정수의 넘침 또는 누수를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24)는 정수의 출수를 차단하고(단계 S50), 정수의 출수는 중단된다. 또한, 상기 출수된 정수의 량이 최대 출수량에 도달하는 경우에도 상기 정수의 출수는 중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정수 출수입력과 동시에 정수 감지 센서를 동작하여 포트의 외부로 정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하여 정수의 낭비를 방지하고 및 전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바닥부 전체 면적과 정수가 고인 부분의 면적을 비교하여, 정수가 고인 부분의 비율이 일정 비율 이상일 때 정수 출수를 차단함으로써, 소량의 물 튀김 등으로 인한 잦은 정수 출수의 차단으로 인한 전력낭비 및 사용자의 편의성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닥부에 넘친 정수가 고일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구조에 정수 감지 센서를 형성함으로써, 정수가 넘치는 경우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넘친 정수를 제거하지 않는 경우 정수 출수입력이 불가능하도록 제어하여 추가적인 정수의 낭비를 방지하고 및 전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전자 정수기는 가정용 및 업소용으로 사용되는 정수기에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정수기 17 : 전원 공급부
18 : 정수 출수부 21 : 바닥부
22 : 정수 감지센서 23 : 홈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수납공간의 상부에 형성되어 정수를 출수하는 정수 출수부;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고, 상기 정수 출수부로부터 정수를 제공받는 포트; 및
    상기 수납공간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포트에서 넘치는 정수를 감지하는 정전 용량 센서인 정수 감지센서가 형성된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 출수부의 정수 출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수 감지센서가 상기 바닥부에 물이 고인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정수 출수부의 정수 출수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 정수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닥부의 전체 면적과 상기 정수 감지센서에 물이 고인 것으로 판단된 부분의 면적을 비교하여 상기 정수 출수의 차단 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 정수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홈들을 포함하고, 상기 정수 감지센서는 상기 홈들 각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 정수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출수부의 정수 출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수 감지센서가 상기 홈들의 일부에 물이 고인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정수 출수부의 정수 출수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 정수기.


KR1020120011495A 2012-02-03 2012-02-03 포트 물넘침 차단이 가능한 주전자 정수기 KR101338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495A KR101338415B1 (ko) 2012-02-03 2012-02-03 포트 물넘침 차단이 가능한 주전자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495A KR101338415B1 (ko) 2012-02-03 2012-02-03 포트 물넘침 차단이 가능한 주전자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289A KR20130090289A (ko) 2013-08-13
KR101338415B1 true KR101338415B1 (ko) 2013-12-10

Family

ID=49215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495A KR101338415B1 (ko) 2012-02-03 2012-02-03 포트 물넘침 차단이 가능한 주전자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4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8833A1 (ko) * 2015-07-28 2017-02-02 조성로 정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209B1 (ko) * 2020-12-23 2022-03-03 윤응식 무선 충전식 가열 및 보온 용기
KR102378842B1 (ko) * 2021-02-10 2022-03-24 안재용 방수기능이 있는 무선 충전식 야외 취사 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796Y1 (ko) * 2003-07-14 2003-10-0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전용량방식을 이용한 정수기의 수위감지장치
KR100808138B1 (ko) * 2006-12-29 2008-02-29 엠에스웨이 주식회사 물넘침 방지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
KR20100111852A (ko) * 2009-04-08 2010-10-18 이시형 정수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8796Y1 (ko) * 2003-07-14 2003-10-0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전용량방식을 이용한 정수기의 수위감지장치
KR100808138B1 (ko) * 2006-12-29 2008-02-29 엠에스웨이 주식회사 물넘침 방지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
KR20100111852A (ko) * 2009-04-08 2010-10-18 이시형 정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8833A1 (ko) * 2015-07-28 2017-02-02 조성로 정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289A (ko) 2013-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27587B (zh) 具有加热罐的多水温净化系统以及净水机
CN203399964U (zh) 蒸汽烹饪装置
KR101338415B1 (ko) 포트 물넘침 차단이 가능한 주전자 정수기
CN104840101A (zh) 调温即热式饮水机
CN104848521A (zh) 电热水器及其加热方法
KR20130141200A (ko) 냉온정수기 또는 냉온수기의 온수탱크 구조
KR20120020190A (ko) 소형화된 진공 전기 온수 보일러
KR101333242B1 (ko) 포트 전원 차단이 가능한 주전자 정수기
CN105214500A (zh) 净水机、净水机滴漏保护装置和控制方法
CN202814160U (zh) 淋浴水余热回收装置
CN205164510U (zh) 净水机、净水机滴漏保护装置
JP5300673B2 (ja) 浴槽給湯機能付き給湯機
KR101433206B1 (ko)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포트타입 정수기
KR20140078248A (ko) 정수기
CN202581794U (zh) 一种废水余热回收热水器
CN202187398U (zh) 循环节水装置
JP2011163693A (ja) 風呂自動機能付き給湯機
JP2016148576A (ja) 漏水検知装置および給湯機
CN111074979A (zh) 一种集成水槽及其控制方法
KR102450216B1 (ko) 급수장치
CN213910105U (zh) 用于餐具清洗的装置
KR102042565B1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33241B1 (ko) 로드셀을 이용한 전기포트 제어시스템
CN209782772U (zh) 一种带软水功能的清洗装置及具有其的吸油烟机
KR101433202B1 (ko)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포트타입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