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171B1 - 전기포트 정수기 및 그 자동 출수 및 가열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전기포트 정수기 및 그 자동 출수 및 가열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171B1
KR101638171B1 KR1020140193094A KR20140193094A KR101638171B1 KR 101638171 B1 KR101638171 B1 KR 101638171B1 KR 1020140193094 A KR1020140193094 A KR 1020140193094A KR 20140193094 A KR20140193094 A KR 20140193094A KR 101638171 B1 KR101638171 B1 KR 101638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flow
automatic
water
hea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3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교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to KR1020140193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8Heating or cooling the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출수 및 가열이 가능한 전기포트 정수기 는, 적어도 1 이상의 필터를 갖는 정수기 본체와, 상기 정수기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전기포트와, 상기 전기포트가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면, 상기 본체의 출수부로부터 설정유량의 정수를 자동으로 출수하여 상기 수납공간의 히터에 의해서 설정 온도로 가열되도록 자동 제어하는 자동출수가열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출수가열제어모듈은 상기 전기포트의 손잡이에 설치되는 정전용량센서에서 감지되는 정전용량에 따라 상기 출수부 및 상기 히터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포트 정수기 및 그 자동 출수 및 가열 제어방법{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포트 정수기 및 그 자동 출수 및 가열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출수에 연이어 가열까지도 자동화할 수 있는 전기포트 정수기 및 그 자동 출수 및 가열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는 냉수 또는 온수를 제공하는 정수기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얼음을 제공하는 정수기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정수기가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기존의 정수기에 포트가 결합되는 형태의 포트타입 정수기도 개발되고 있으며, 정수와는 별도로 정수를 소정온도로 가열시켜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소정 온도의 물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런데, 이들 정수기는 일단 사용자가 가열시킬 물의 양을 판단하여 정수기의 출수구를 통해서 출수시켜서 용기 내에 넣은 후 가열버튼을 눌러 가열시키는 것으로 물의 적정량을 사용자가 스스로 판단하여야 하며, 적정량의 물을 용기에 받는 동안 기다리고 서 있다가 가열버튼을 눌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유량제어밸브를 제어하여 물을 받을 수 있을 지라도, 원하는 양의 물을 받았는지 확인할 수 없었고, 원하는 양의 물을 받았더라도 출수를 정지시키고 바로 원하는 온도, 예컨대 100℃, 50℃, 70℃로 선택적으로 가열할 수 없었다.
또한, 물을 자동으로 받기 위해서 전자포트에 뚜껑을 없앨 경우 공기중의 오염물질이 정수에 들어가 원하는 정수효과를 떨어트릴 뿐만 아니라, 원하는 온도로 가열하였다 하더라도 뚜껑이 없기 때문에 바로 온도가 떨어져, 원하는 온도의 원하는 양의 정수를 얻을 수 없고, 계속 가열을 하기 때문에 전력을 낭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전기포트 손잡이를 잡고 정수기에 안착시키기만 하면, 전기포트 손잡이 내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가 손잡이를 잡았다 놓는 것을 감지하는 정전용량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근처에 접근하거나 손잡이 터치하는 것만으로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정수기로부터 원하는 양의 정수가 자동으로 출수되고 대기시간없이 이어서 대기시간없이 원하는 설정온도로 가열이 진행되는 전기포트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사용자가 전기포트 손잡이를 잡고 정수기에 안착시키기만 하면, 정수기로부터 원하는 양의 출수와 원하는 온도로의 가열이 자동으로 진행되는 전기포트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을 자동으로 받기 위해서 전자포트에 뚜껑을 없앨 경우에도 오염물질이 정수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원하는 온도와 원하는 양을 어느 정도 유지할 수 있으며, 전력을 낭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출수 및 가열이 자동으로 진행되는 전기포트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출수 및 가열이 가능한 전기포트 정수기 는, 적어도 1 이상의 필터를 갖는 정수기 본체와,
상기 정수기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전기포트와,
상기 전기포트가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면, 자동으로 상기 본체의 출수부로부터 설정유량의 정수를 출수하여 상기 수납공간의 히터에 의해서 설정온도로 가열되도록 제어하는 자동출수가열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출수가열제어모듈은 상기 전기포트의 손잡이 내측에 설치된 정전용량센서가 상기 손잡이의 파지를 감지하여 상기 출수부 및 상기 히터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전기포트가 상기 본체의 수납공간에 배치된 안착부에 안착되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는 상기 본체와 상기 전기포트의 전기적 접속단자와, 상기 동심원상에 설치된 히터 및 무게센서와, 상기 출수부 근처에 상기 전기포트로부터의 수증기에 직접 접촉하도록 설치된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동출수가열제어모듈은 상기 정전용량센서, 상기 무게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와 연동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최근 설정온도 및 설정유량을 기준설정값으로 하여 상기 출수부 및 상기 히터의 작동여부를 자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기포트 정수기의 자동 출수 및 가열 제어방법은, 정수기 본체의 입력부를 통해서 출수량 또는 가열 온도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출수량 또는 가열온도로 기준설정부에 의해서 기준설정값을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정수기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납공간에 전기포트가 안착되고, 상기 전기포트 손잡이 내측에 설치되는 정전용량센서에서 사용자의 상기 손잡이 파지를 감지하는 제 1 정전용량의 감지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정전용량이 감지되면, 자동출수유량제어부는 상기 본체 내 급수제어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설정유량의 정수를 출수부를 통해 출수시키는 단계와,
상기 수납공간 하부에 설치된 무게센서에 기반하여 상기 출수부를 통해 출수되는 출수량이 설정유량이면 상기 급수제어밸브를 폐쇄시켜 출수 중단시키는 단계와,
상기 출수부의 출수가 중단되면, 자동포트전원제어부가 상기 수납공간의 히터를 작동시켜 상기 설정유량의 정수를 설정 온도값까지 가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설정부는 상기 수납공간에 상기 전기포트가 안착된 후 소정 대기시간 후에도 상기 입력부를 통한 입력신호가 없는 경우에, 저장부에 저장된 최근 설정유랑과 설정온도를 기준설정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기포트 손잡이를 잡고 정수기에 안착시키기만 하면, 전기포트 손잡이에 설치된 정전용량센서에서 감지되는 정전용량에 따라 정수기로부터 원하는 양의 정수가 자동으로 출수되고 이어서 대기시간없이 원하는 설정온도로 가열이 진행되는 전기포트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을 자동으로 받기 위해서 전자포트에 뚜껑을 없앨 경우에도 오염물질이 정수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원하는 온도와 원하는 양을 어느 정도 유지할 수 있으며, 전력을 낭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포트 정수기용 본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포트 정수기용 전기포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포트 정수기용 전기포트 뚜껑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포트 정수기의 자동 출수 및 가열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포트 정수기의 자동 출수 및 가열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포트 정수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포트 정수기(1)는 본체(100), 전기포트(200), 무게센서(400), 정전용량센서(500), 온도센서(600), 및 자동출수및가열모듈(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물을 여과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에서 여과된 물이 저장되는 정수탱크에 연결관을 통해서 연결되는 제 1 출수부(175)와 전기포트 가열온도 또는 자동 출수될 유량을 설정하기 위한 입력부(180)을 상부 케이스(110) 적당한 위치, 예를 들어 정면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80)는 버튼식 또는 터치식 입력부일 수 있다.
상기 전기포트 정수기(1)는 정수탱크가 없는 '직수형 정수기'일 수도 있으며, 정수탱크를 더 구비한 '탱크형 정수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수필터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부피를 줄이기 위해서 외부에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100)의 상부케이스(110)는 예를 들어 위에서 본 단면이 ㄱ자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기포트(200)가 수용될 수납공간(130)을 일 모서리에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는 하부에 상기 자동출수 및 가열모듈(700)을 수용하는 하부케이스(150)를 가지며, 상기 하부케이스(150)는 상기 자동출수 및 가열모듈(700)과 상기 전기포트(200)를 기계적으로, 전기적으로 또는 열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서, 제 1 안착부(151), 제 1 전기적 접속부(153), 히터(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안착부(151)는 상기 수납공간(130)에 전기포트(200)의 상부개구(211) 중심이 상기 수납공간(130)에 형성되어 자동 출수가 이루어지는 제 2 출수부(171)와 일직선이 되게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전기적 접속부(153)는 상기 전기포트(200)가 상기 안착부(151)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전기포트(200)에 대해 열원을 공급하도록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제 1전원접속단자(153a), 상기 전기포트(200)내 물의 온도를 직접 측정하도록 상기 전기포트(200)의 상부개구(211) 상방에 설치되는 제 1 온도센서(600; 610)와 연결되는 제1온도센서접속단자(153b), 및 상기 전기포트(200)의 손잡이(230)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230)를 잡았다 놓는 것을 감지하는 정전용량센서(500)의 제 1 정전용량센서접속단자(153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안착부(151)와 상기 제 1 전기적 접속부(153)는 동심원상으로 순차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중심에 로드셀(load cell; 400)을 포함하여, 상기 전기포트(200)의 무게에 관한 정보를 상기 자동출수가열모듈(700)로 전달한다.
이 경우, 로드셀(load cell)은 무게센서라고도 불리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기포트(200)의 무게에 관한 출력을 전기적으로 데이터화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포트(200)는 상기 제 2 출수부(171)를 통해 유입되는 정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용기(210)와, 상기 저장용기(210)를 들기에 적합하도록 상기 저장용기(210) 일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자동 출수 및 가열모듈(700)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는 정전용량센서(500)가 설치되는 손잡이(230)와, 상기 전기포트(200)와 상기 본체(100)와 전기적, 기계적, 열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바닥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250)는 상기 제 1 안착부(151)와 상기 제 1 전기적 접속부(153)에 대응하여 상기 전기포트(200)의 저부에는 제 2 안착부(251) 및 제 2 전기적 접속부(253)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전기적 접속부(253)는 상기 제 1 전기적 접속부(153)와 마찬가지로, 제 2 전원접속단자(253a), 제2온도센서접속단자(253b), 및 제 2 정전용량센서접속단자(253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출수 및 가열이 가능한 전기포트 정수기(1)의 뚜껑(300)은 상기 저장용기(210)의 상부개구(211)를 외부 오염으로부터 방지하며 김이 나가는 김 배출구(311)가 있는 외부뚜껑(310)과, 상기 외부뚜껑(310) 아래에서 배치되는 내부뚜껑(320)의 이중 구조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뚜껑(320)은 상기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출수부(171)를 통해 유입되는 정수를 모아서 상기 저장용기(210)로 유입 용이하게 테이퍼진 깔대기(321)와, 상기 깔대기(321) 중앙의 중앙개구(323)와, 상기 중앙개구(323)에 대해서 상기 제 2 출수부(171)를 통해서 정수가 유입될 때만 개방하고 그 나머지의 경우에는 상기 중앙개구(323)를 폐쇄할 수 있도록 판상커버(330)를 구비한다.
상기 판상커버(330)는 직경방향으로 힌지축(331)에 의해서 양단이 상기 중앙개구(323)에 대해 힌지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힌지축(331)을 중심으로 선회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물을 자동으로 받기 위해서 전자포트의 외부뚜껑(310)을 분리하더라도 상기 판상커버(330)에 의해서 공기중의 오염물질이 정수에 들어가 원하는 정수효과를 떨어트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원하는 온도로 가열 후 어느 정도 일정 온도가 유지될 수 있으며,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전용량센서(500)는 사용자가 근처에 접근하거나 상기 손잡이(230)를 터치하는 것만으로 상기 제 2 출수부(171) 또는 상기 히터(157)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230)의 내측, 즉 상기 저장용기(210) 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230)를 손으로 파지하는 경우, 즉 기준설정값 이상으로 정전용량이 감지될 때에만 작동하도록 한다.
이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출수 및 가열가능한 전기포트의 제어모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포트 정수기의 자동 출수 및 가열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포트 정수기의 자동 출수 및 가열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상기 자동출수가열제어모듈(700)은 상기 본체(110)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기준설정부(710), 자동출수유량제어부(730), 자동포트전원제어부(750), 및 저장부(7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설정부(710)는 상기 버튼식 또는 터치식 입력부(180)에 의해서 출수량, 가열 온도, 정전용량 감지 레벨 등의 기준이 입력되면, 새로운 설정값으로 기준을 설정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기준설정부(710)는 상기 전기포트(200)가 상기 제 1 안착부(151)에 안착된 후 소정시간 상기 입력부(180)를 통한 입력이 없는 경우에 후술하는 저장부(770)를 통해서 출수 유량 또는 가열 온도에 대한 최근 정보값을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자동출수유량제어부(730)는 상기 전기포트(200) 손잡이(230)에 설치된 상기 정전용량센서(500)가 손잡이(230) 파지에 의한 소정의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는 경우에 상기 기준설정부(710)의 기준 정전용량여부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상기 기준설정부(710)에 저장된 유량만큼 상기 제 2 출수부(171)를 통해 정수가 출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자동출수유량제어부(730)는 상기 무게센서(400)로부터 입력되는 무게를 설정하는 상기 저장부(770)와 연동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양만큼 자동출수 가능하다.
상기 자동포트전원제어부(750)는 상기 기준설정부(710)에서 설정된 무게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히터(157)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동포트전원제어부(750)는 상기 저장부(770)와의 피드백(feedback)을 통해 상기 전기포트(200)의 현재의 무게가 상기 기준설정부(710)에 의하여 설정된 무게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기준설정부(710)에 의하여 설정된 무게이면, 상기 자동출수유량제어부(730)을 통해서 자동출수를 중단하도록 하고 자동으로 히터(157)를 작동하도록 하며, 상기 온도센서(600)에 입력되는 현재 온도값이 기준설정온도이면 상기 히터(157)를 작동 중지시킨다.
또한, 상기 수납공간(130)으로부터 상기 전기포트(200)가 이탈되기 전이라도 상기 정전용량센서(500)에 의하여 정전용량 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히터(157)의 동작을 중단하게 한다.
상기 전기포트(200)가 이탈되기 전에 미리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별도의 입력부(180)를 통한 정지신호 없이도 상기 히터(157)의 가동을 중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열원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전기포트(200)의 정수를 사용한 후 다시 상기 수납공간(130)에 안착시킨 경우에도 별도의 가열 버튼을 통한 입력신호 없이도 상기 저장부(770)와의 피드백을 통해서 상기 온도센서(600)의 측정값이 기준설정온도에 도달할 때가지 다시 상기 히터(157)를 가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770)는 상기 기준설정부(710), 상기 자동출수유량제어부(730), 및 상기 자동포트전원제어부(750)과 피드백 제어를 위해서 상기 전기포트(200)의 손잡이(230)에 설치되는 정전용량센서(500)에서 감지되는 정전용량의 변화에 대하여 오작동 방지하기 위한 기준 값, 상기 안착부(151)에 상기 전기포트(200)가 빈상태로 안착되는 경우의 기준 무게, 상기 안착부(151)로부터 상기 전기포트(200)가 이탈된 경우의 무게, 및 상기 안착부(151)에 수납된 상기 전기포트(200)에 최대 용량의 정수가 수용된 경우의 무게 등, 가열부의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설정온도 및 시간, 상기 무게센서(400), 상기 정전용량센서(500), 및 상기 온도센서(600)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포트 정수기의 자동출수 및 가열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버튼식 또는 터치식 입력부(180)에 의해서 출수량 또는 가열 온도를 설정하면(S10), 상기 기준설정부(710)에 의해서 입력된 출수량 또는 가열온도로 설정 값이 변경된다(S20).
한편, 상기 기준설정부(710)는 상기 수납공간(130)내 상기 전기포트(200)가 안착된 후 소정시간 동안 상기 입력부(180)를 통한 입력이 없는 경우에 상기 저장부(770)에 저장된 통해서 출수 유량 또는 가열 온도에 대한 최근 정보값을 기준설정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무게센서(400)를 통해서 상기 전기포트(300)가 상기 안착부(210)에 안착됨을 감지하고, 상기 손잡이(230)에 설치되는 정전용량센서(500)에서 정전용량이 감지되고, 감지되는 정전용량값이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30), 상기 자동출수유량제어부(730)는 상기 본체(100) 내부 연결관에 설치된 급수제어밸브(117)를 동작시켜(S40) 상기 기준 설정부(710)에서 설정된 무게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 2 출수부(230)를 통해서 자동으로 설정 량이 출수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자동출수유량제어부(730)는 상기 저장부(770)에 입력되는 상기 무게센서(400)의 측정값을 바탕으로 상기 전기포트(200)의 저장용기(210)에 정수가 설정유량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
만약, 상기 제 2 출수부(230)를 통해서 소정 유량의 정수가 출수되는 동안에 상기 정전용량센서(400)를 통해서 기준값 이상의 정전용량 변화가 다시 감지된 경우에는 상기 전기포트(200)의 저장용기(210)에 정수가 설정유량에 도달하지 않았더라도 상기 급수제어밸브(117)를 동작시켜(S40), 상기 정수의 출수를 정지시키고, 다시 소정의 정전용량센서(400)를 통해서 기준값 이상의 정전용량 변화가 다시 감지되면 상기 저장부(770)에 입력된 상기 무게센서(400)의 측정값을 바탕으로 이어서 상기 제 2 출수부(230)를 통해서 출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기포트(200)의 저장용기(210)에 유입되는 정수가 설정유량에 도달한 경우에 상기 급수제어밸브(117)를 폐쇄시키고, 상기 자동포트전원제어부(750)로 하여금 자동으로 히터(157)를 작동시켜 저장된 정수를 설정 온도값까지 가열한다(S60).
상기 히터(157)의 가열 중에 상기 정전용량이 감지되면 상기 본체(200) 손잡이(210)를 들어 상기 정전용량 변화량이 기준 정전용량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70).
상기 본체(100) 손잡이(210)를 파지하여 상기 정전용량 변화량이 제 2 기준 정전용량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히터(257)의 가열을 중지한다(S80).
따라서, 종래와 달리 상기 전기포트(200)가 상기 본체(100)의 수납공간(230)으로부터 이탈하기 전부터 상기 히터(257)의 가열을 중지할 수 있어서 전력낭비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본체(100) 손잡이(210)를 파지하여 상기 정전용량 변화량이 제 2 기준 정전용량 미만으로 판단되면, 상기 자동포트전원제어부(750)는 상기 온도센서(600)로부터 측정되는 측정온도값이 설정온도값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90).
상기 측정온도값이 설정온도값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히터(157) 가열을 계속하고, 상기 측정온도값이 설정온도값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히터(157)의 가열을 중지한다(S80).
즉, 상기 히터(157)를 통해서 설정 유량의 정수가 가열되는 동안에, 상기 정전용량센서(400)를 통해서 기준 값 이상의 정전용량 변화가 다시 감지된 경우에 상기 히터(157)의 가열을 중지하고, 다시 소정의 정전용량센서(400)를 통해서 기준값 이상의 정전용량 변화가 다시 감지되면, 상기 저장부(770)에 입력된 상기 무게센서(400)의 측정값과 상기 온도센서(600)에 의해서 입력된 측정온도값을 바탕으로 이어서 상기 제 2 출수부(230)를 통해서 출수 및 상기 히터(157)를 통하여 설정 온도값 까지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자동출수유량제어부(730)는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입력부(180)의 입력 신호에 의해, 상기 전기포트(200) 내부로 원하는 설정 량만큼 자동으로 출수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자동출수유량제어부(730)는 상기 기준설정부(710)의 기준 설정값 까지 출수되도록 제어하되, 상기 저장부(750)와의 피드백(feedback)을 통해 최근 많이 사용한 출수량에 대응하여 가변하여 출수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하지 않는 많은 양의 정수를 출수 및 에너지를 낭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출수유량제어부(730)는 출수 중에 상기 전기포트(200)의 손잡이(230)를 잡은 경우에는 출수를 중단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중단시의 유량의 무게를 상기 저장부(750)에 저장하여 상기 전기포트(200) 안착상태에서 손잡이(230))를 놓은 경우에 이어서 상기 설정 출수량만큼 이어서 출수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출수유량제어부(730)는 상기 전기포트(200)에 담긴 유량이 상기 설정 출수량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추후 추가로 입력버튼을 통해 입력 신호를 다시 입력하더라도, 정수 출수를 막아서 물 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기포트200) 손잡이(230)를 잡고 정수기 본체(100)에 안착시키면, 이를 정전용량으로 감지하여 정수기로부터 출수 및 가열이 자동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수를 자동으로 받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수 넘침이나, 원하는 양의 정수를 받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원하는 온도의 원하는 양을 물을 출수 또는 가열 중간에 제 3자의 방해, 예를 들어 접촉이나 사용이 있더라도 이어서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을 자동으로 받기 위해서 전자포트에 뚜껑을 없앨 경우에도 오염물질이 정수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원하는 온도와 원하는 양을 어느 정도 유지할 수 있으며, 전력을 낭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포트정수기는 가정용 및 업소용으로 사용되는 정수기에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정수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정수기 본체 200 : 전기포트
300 : 이중뚜껑 400 : 무게센서
500 : 정전용량센서 600 : 온도센서
700 : 자동출수가열제어모듈

Claims (11)

  1. 적어도 1 이상의 필터를 갖는 정수기 본체와,
    상기 정수기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수납공간에 수납되는 전기포트와,
    상기 전기포트가 상기 수납공간에 수납되면, 자동으로 상기 본체의 출수부로부터 설정유량의 정수를 출수하여 상기 수납공간의 히터에 의해서 설정온도로 가열되도록 제어하는 자동출수가열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자동출수가열제어모듈은 상기 전기포트의 손잡이 내측에 설치된 정전용량센서가 상기 손잡이의 파지를 감지하여 상기 출수부 및 상기 히터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전기포트가 상기 본체의 수납공간에 배치된 안착부에 안착되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는 상기 본체와 상기 전기포트의 전기적 접속단자와, 상기 동심원상에 설치된 히터 및 무게센서와, 상기 출수부 근처에 상기 전기포트로부터의 수증기에 직접 접촉하도록 설치된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자동출수가열제어모듈은 상기 정전용량센서, 상기 무게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와 연동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최근 설정온도 및 설정유량을 기준설정값으로 하여 상기 출수부 및 상기 히터의 작동여부를 자동 제어하는 자동 출수 및 가열이 가능한 전기포트 정수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포트는 상기 출수부와 일직선상에 중앙개구를 갖는 깔데기와, 상기 중앙개구에 대해 힌지결합된 판상커버를 포함하는 내부뚜껑을 포함하는 자동 출수 및 가열이 가능한 전기포트 정수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출수가열제어모듈은 입력부에 의해서 입력되는 출수량 또는 가열온도로 기준설정값을 변경하는 기준설정부와,
    상기 정전용량센서에 의해서 정전용량변화가 감지되면 상기 출수부를 통해서 상기 설정유량의 정수가 출수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자동출수유량제어부와,
    상기 설정유량의 정수가 출수되면, 상기 히터로 하여금 설정온도로 가열시키도록 제어하기 위한 자동포트전원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출수 및 가열이 가능한 전기포트 정수기.
  6. 삭제
  7. 정수기 본체의 입력부를 통해서 출수량 또는 가열온도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출수량 또는 상기 가열온도로 기준설정부에 의해서 기준설정값을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정수기 본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납공간에 전기포트가 안착되고, 상기 전기포트 손잡이 내측에 설치되는 정전용량센서에서 사용자의 상기 손잡이 파지를 감지하는 제 1 정전용량의 감지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정전용량이 감지되면, 자동출수유량제어부는 상기 본체 내 급수제어밸브를 개방시켜 상기 기준설정값에 따른 설정유량의 정수를 출수부를 통해 자동으로 출수시키는 단계와,
    상기 수납공간 하부에 설치된 무게센서에 기반하여 상기 출수부를 통해 출수되는 출수량이 상기 설정유량이면 상기 급수제어밸브를 자동으로 폐쇄시켜 출수 중단시키는 단계와,
    상기 출수부의 출수가 중단되면, 자동포트전원제어부가 상기 수납공간의 히터를 작동시켜 상기 설정유량의 정수를 상기 기준설정값에 따른 설정온도까지 가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설정부는 상기 수납공간에 상기 전기포트가 안착된 후 소정 대기시간 후에도 상기 입력부를 통한 입력신호가 없는 경우에, 저장부에 저장된 최근 설정유랑과 설정온도를 기준설정값으로 하는 전기포트 정수기의 자동 출수 및 가열 제어방법.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부를 통해서 소정 유량의 정수가 출수되는 동안에 상기 정전용량센서가 제 2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자동출수유량제어부는 상기 출수부의 출수를 중단시키는 단계와, 상기 정전용량센서가 제 3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자동출수유량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와 연동하여 상기 출수부가 이어서 상기 설정유량을 출수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포트 정수기의 자동 출수 및 가열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가 상기 설정유량의 정수를 설정온도값까지 가열하는 중에 상기 정전용량센서가 제 2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자동포트전원제어부는 상기 히터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단계와, 상기 정전용량센서가 제 3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자동포트전원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와 연동하여 상기 히터가 이어서 상기 설정온도값까지 가열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포트 정수기의 자동 출수 및 가열 제어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가 상기 설정유량의 정수를 설정온도값까지 가열하는 중에 상기 정전용량센서가 제 2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자동포트전원제어부는 상기 히터의 작동을 중단시키는 단계와, 상기 정전용량센서가 제 3 정전용량 보다 큰 제 4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자동출수유량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와 연동하여 상기 출수부가 이어서 상기 설정유량을 출수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설정유량에 도달하면, 상기 자동포트전원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와 연동하여 상기 히터가 이어서 상기 설정온도값까지 가열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포트 정수기의 자동 출수 및 가열 제어방법.
KR1020140193094A 2014-12-30 2014-12-30 전기포트 정수기 및 그 자동 출수 및 가열 제어방법 KR101638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094A KR101638171B1 (ko) 2014-12-30 2014-12-30 전기포트 정수기 및 그 자동 출수 및 가열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094A KR101638171B1 (ko) 2014-12-30 2014-12-30 전기포트 정수기 및 그 자동 출수 및 가열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8171B1 true KR101638171B1 (ko) 2016-07-08

Family

ID=56504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3094A KR101638171B1 (ko) 2014-12-30 2014-12-30 전기포트 정수기 및 그 자동 출수 및 가열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1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2219A (ko) * 2006-11-15 2009-07-29 라이카 에스.피.에이. 액체 필터링을 위한 용기
KR20110000880U (ko) * 2009-07-20 2011-01-2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
KR101333242B1 (ko) * 2012-01-30 2013-11-26 주식회사 교원 포트 전원 차단이 가능한 주전자 정수기
KR101433206B1 (ko) * 2014-03-31 2014-08-26 주식회사 교원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포트타입 정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2219A (ko) * 2006-11-15 2009-07-29 라이카 에스.피.에이. 액체 필터링을 위한 용기
KR20110000880U (ko) * 2009-07-20 2011-01-2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
KR101333242B1 (ko) * 2012-01-30 2013-11-26 주식회사 교원 포트 전원 차단이 가능한 주전자 정수기
KR101433206B1 (ko) * 2014-03-31 2014-08-26 주식회사 교원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포트타입 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125903U (zh) 全自动食材加热装置
EP2554232A1 (en) Water storage and discharge apparatus
US20150143830A1 (en) A refrigerator appliance and a method for monitoring a water filter assembly within the same
CN104807194A (zh) 电热水器内胆的清洗方法及电热水器
KR101638171B1 (ko) 전기포트 정수기 및 그 자동 출수 및 가열 제어방법
JP2000233175A (ja) 沸騰ジャグを有する水濾過装置
KR20120088318A (ko) 정수기의 정수 온도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0446705C (zh) 带移动式加热杯的饮水机
US9216894B2 (en) Drinking water server
KR101164157B1 (ko) 정수기의 온수 배출 장치
KR101433206B1 (ko) 전원 차단 기능을 갖는 포트타입 정수기
CN204670933U (zh) 无线操控智能消毒茶具
KR100623671B1 (ko) 정수기 및 정수기 제어방법
CN110754939A (zh) 一种节能直饮机
CN216513154U (zh) 一种台式净水机
US20230250003A1 (en) Water Filtra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CN216693071U (zh) 管线机和具有其的饮水设备
KR20130087951A (ko) 포트 전원 차단이 가능한 주전자 정수기
KR200405503Y1 (ko) 착탈가능한 전기온수기를 구비한 정수기
KR101211784B1 (ko) 냉온수기
US11213145B2 (en) Carafe for dispensing hot and cold liquid
CN218267570U (zh) 加热龙头和净水机
JP6276938B2 (ja) 箱に入った袋のユニットを有するウォーターディスペンサ
KR20230122943A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30122945A (ko)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