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7320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7320A
KR20130087320A KR1020120008604A KR20120008604A KR20130087320A KR 20130087320 A KR20130087320 A KR 20130087320A KR 1020120008604 A KR1020120008604 A KR 1020120008604A KR 20120008604 A KR20120008604 A KR 20120008604A KR 20130087320 A KR20130087320 A KR 20130087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orage container
roller
main body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8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8306B1 (ko
Inventor
장경진
정문교
김진동
강명주
임지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8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306B1/ko
Priority to EP12168066.4A priority patent/EP2613112B1/en
Priority to US13/473,672 priority patent/US8844983B2/en
Priority to US13/473,668 priority patent/US8857930B2/en
Priority to US13/473,686 priority patent/US8857865B2/en
Priority to US13/473,726 priority patent/US8801124B2/en
Priority to EP12170441.5A priority patent/EP2613113B8/en
Priority to EP19214793.2A priority patent/EP3660428A1/en
Priority to EP12170562.8A priority patent/EP2613115B1/en
Priority to EP12170443.1A priority patent/EP2613114B1/en
Priority to JP2012135384A priority patent/JP5658198B2/ja
Priority to JP2012135414A priority patent/JP5658199B2/ja
Priority to JP2012135352A priority patent/JP5385429B2/ja
Priority to JP2012135349A priority patent/JP5307918B2/ja
Priority to BR102012015111-1A priority patent/BR102012015111B1/pt
Priority to BR102012015110-3A priority patent/BR102012015110B1/pt
Priority to CN201210208992.8A priority patent/CN103185437B/zh
Priority to CN201210212528.6A priority patent/CN103185438B/zh
Priority to CN201210212542.6A priority patent/CN103185433B/zh
Priority to CN201210211906.9A priority patent/CN103185432B/zh
Publication of KR20130087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5Secondary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05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using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3Door in door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2Bas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또는 본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가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저장용기와 상기 도어 내면 및 상기 본체 벽면에 각각 구비된 저장용기 지지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힌지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가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저장용기와 상기 도어 내면 및 상기 본체 벽면에 각각 구비된 저장용기 지지장치와,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용기 지지장치를 선택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또는 본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가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저장용기와 상기 도어 내면 및 상기 본체 벽면에 각각 구비된 저장용기 지지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토출하여 고내의 온도를 저하시켜 음식물 등을 냉동시키거나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음식물 또는 음료를 얼려서 보관하는 냉동실과, 상기 음식물 또는 음료를 저온에서 보관하는 냉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된 탑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과,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된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과, 냉동실과 냉장실이 격벽에 의해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냉장고는 상기 냉동 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 열교환하면서 발생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냉동실 또는 냉장실과 같은 저장실을 냉각시킨다. 따라서, 냉장고의 저장실 내부는 보통 외부보다 낮은 온도로 유지된다.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은 냉장고 본체를 이루는 캐비닛 내부에 마련되어 각각 냉동실도어와 냉장실도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냉동실도어와 냉장실도어는 전면이 개구된 냉동실과 냉장실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각 도어에는 저장실 내부의 밀폐를 위해 개스킷이 마련된다.
최근에는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고 도어를 자주 개폐함에 따른 냉기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장실도어 또는 냉동실도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홈바도어를 상기 냉장실도어 또는 냉동실도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장착하는 구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홈바도어는 도어를 관통하는 공간에 수납공간을 마련하고 상기 홈바도어를 열고 수납된 음식물을 수납하거나 취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1-0067952호에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에서 냉동실도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저장물을 간편하게 취출할 수 있는 홈바가 형성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홈바에는, 저장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실 및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홈바도어가 포함된다. 상기 홈바도어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즉, 개시된 냉장고에는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도어와 이 냉동실도어에 상기 홈바의 저장실을 개폐하는 홈바도어가 구비된다.
상기 냉장실도어 또는 냉동실도어를 "메인도어"라 하고 홈바도어를 "보조도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홈바도어의 경우, 상기 냉장실도어 또는 냉동실도어의 중간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홈바도어가 상하로 회동되도록 구성된 것과, 냉장실도어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진 홈바도어가 냉장실도어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구성된 것이 있다.
후자의 경우, 냉장실도어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된 홈바도어를 특히 "매직도어"라 부르기도 한다.
상기 두 가지 형태의 홈바도어 모두, 메인도어가 냉장고 본체에 대해 힌지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메인도어에 상기 보조도어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메인도어에는 냉장고 본체의 전면과 접촉되는 내면 가장자리 부위에 냉장실 및 냉동실의 밀폐를 위한 밀폐부재로서 개스킷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보조도어의 내면 가장자리 부위에도 메인도어와의 접촉 부위에 홈바도어 내부의 수납공간을 밀폐하기 위한 개스킷이 구비된다.
그런데, 상기 메인도어와 상기 보조도어에는 별도의 개스킷이 각각 구비되므로, 보조도어가 없어서 개스킷이 하나만 구비되는 경우에 비해 상기 2개의 개스킷을 통한 냉기 손실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개스킷이 접촉하는 부위인 본체의 전면과 메인도어 전면에는 내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이슬이 맺히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두 부위에 히터를 내장하여 가열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이슬 맺힘을 방지하기 위한 히터가 2개가 필요하므로 그만큼 소비전력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냉장실도어에 별도로 보조도어를 구비하지 않고 저장용기가 본체와 도어 사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이루어진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힌지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가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저장용기와 상기 도어 내면 및 상기 본체 벽면에 각각 구비된 저장용기 지지장치와,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용기 지지장치를 선택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용기 지지장치는, 상기 저장용기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저장용기를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에 대해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롤러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장치는, 상기 저장용기에 고정되는 롤러브래킷과, 상기 롤러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장치는, 상기 도어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제1롤러와,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제2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는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롤러는 상기 제2롤러보다 더 높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의 내면 하부에는 내측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롤러를 지지하는 지지턱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턱은 상기 제2롤러가 지지되는 본체 저장실의 바닥면보다 더 높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턱은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장치는 상기 저장용기의 하부에 한 쌍이 대칭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의 내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접촉되어 상기 저장실을 밀폐하는 개스킷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용기는, 상기 저장실의 전면 개구부에 삽입가능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선반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용기는, 상기 프레임과 후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전방공간과 후방공간을 구획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복수의 나사에 의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용기 지지장치는, 상기 저장용기를 상기 본체 또는 도어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래치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 저장용기 프레임의 네 꼭지점 부위 중 상기 도어의 힌지 반대쪽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의 내면 가장자리 부위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용기 지지장치는, 상기 저장용기 프레임의 네 꼭지점 부위 중 상기 도어의 힌지 쪽에 장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장치는 상기 저장용기가 상기 도어에 결합될 때 상기 저장용기를 상하방향으로 지지하고,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 저장용기가 상기 도어에 결합될 때 상기 저장용기를 수평방향으로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냉장고에 의하면, 보조도어 없이 메인도어만 구비하므로 2개의 개스킷을 통한 냉기손실과 2개의 히터에 의한 소비전력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도어 내측에 본체와 도어 사이에서 저장용기가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이루어진 냉장고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저장용기 자체가 본체와 도어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어 간단한 구성으로 냉장고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저장용기가 프레임에 결합되어 저장용기를 이루는 경우 그 후방에 밀폐 칸막이로서 커버를 구비함으로써 저장용기가 본체에 결합되었을 때 도어를 열더라도 저장실의 전면 개구부를 통한 냉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에서 저장용기가 도어에 결합된 상태로 도어가 열린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저장용기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저장용기에 롤러장치가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어와 저장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롤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롤러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롤러장치가 본체 쪽에 결합되어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롤러장치가 도어의 롤러 지지턱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장고에서 저장용기가 도어에 결합된 상태로 도어가 열린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저장용기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저장용기에 롤러장치가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어와 저장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20)이 구비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에 힌지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30)와,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저장용기(100)와, 상기 저장용기가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저장용기와 상기 도어 내면 및 상기 본체 벽면에 각각 구비된 저장용기 지지장치와, 상기 도어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용기 지지장치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도시된 냉장고는 저장실로서 상부에 냉장실(20)이 마련되고 하부에 냉동실이 마련되어 있으나, 냉장실과 냉동실이 이와 반대로 마련되거나 좌우로 마련된 타입의 냉장고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의 냉장실도어(30)와 냉동실도어(40)는 각각 냉장실(20)과 냉동실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13)를 통해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냉장실도어(30)의 내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본체(10)의 전면과 접촉되는 부위에 밀폐를 위해 개스킷(3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냉장실도어(30)와 냉동실도어(40)는 각각 손잡이(32, 42)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상기 냉장실도어(30)의 손잡이(32)는 냉장실도어의 좌측 하부 모서리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용기(1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와 도어(30) 사이에서 이송 및 착탈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냉장실도어(30)의 손잡이(32)의 상단부에는 상기 저장용기(100)의 결합 위치를 본체(10)로부터 도어(30)로 바꾸도록 하는 버튼(61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도어(30)를 열 때, 사용자가 버튼(610)을 누르면 도 2와 같이 상기 저장용기(100)가 도어(30)에 결합된 상태로 열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버튼(610)은 후술하는 래치스위치장치(600)와 함께 상기 저장용기(100)의 결합 위치를 결정하는 제어장치에 해당한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저장용기 지지장치 중 일부 구성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데, 이 제어장치는 상기 도어(30)에 설치되고 도어의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버튼(610)과 래치스위치장치(600)의 작동관계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용기(100)는 상기 저장용기의 가장자리부를 이루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선반(120)과, 상기 프레임과 후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저장실(20)과 분리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1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11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테두리부를 형성하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에는 하나 이상의 저장용기(100)로서 수납선반(120)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수납선반(120)은 상기 저장용기(100)가 대체로 상하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태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므로,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저장용기(100) 내부의 수납공간을 복수개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수납선반(120)은 2개 이상이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100)는 그 내부 수납공간을 상기 본체 내부의 저장실(20)과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110)의 후측에서 결합되는 커버(130)를 포함한다.
이 커버(130)는 상기 수납선반(120)이 프레임(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프레임의 후방측에서 프레임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나사 등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130)는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용기(100)가 본체에 장착된 상태로 도어(30)가 열린 경우, 사용자는 투명한 커버(130)를 통해 상기 본체의 저장실(20) 내부를 볼 수 있다.
또한, 저장용기(100)가 도어(30)에 장착된 상태로 도어가 열린 경우에, 사용자는 투명한 커버(130)를 통해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 수납공간을 볼 수 있어서, 더욱 편리하게 냉장고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용기(100)는 상기 수납선반(120)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저장용기 지지장치의 일부는 상기 수납선반(12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선반(120)이 하나만 구비되는 경우 수납선반(120)이 본체(10) 쪽에 결합될 때 수납선반(120)의 상부 또는 하부로 냉장실(20) 내부가 보일 수 있고, 상기 수납선반(120)이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수납선반(120) 사이로 냉장실(20) 내부가 보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용기(100)의 하부에는 상기 저장용기 지지장치로서, 상기 저장용기(100)를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에 대해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롤러장치(300)가 구비된다.
상기 롤러장치(300)는 복수의 롤러(310, 320)가 장착되어 각 롤러가 상기 저장용기(100)를 상기 본체(10)의 바닥면 또는 선반 상면, 그리고 선택적으로 도어의 내면 하부에 돌출된 지지턱(35)에 대해 지지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저장용기(100)는 상기 냉장실(20)의 전면 개구부를 모두 막도록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상기 냉장실(20)의 최하부에 마련된 서랍(26)상의 선반(23) 위의 개구부를 막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본체(1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롤러장치(300)의 복수의 롤러(310, 320) 중 하나의 롤러(320)는 상기 최하측 서랍(26) 위에 있는 선반(23)의 전방 상면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냉장실(20) 내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선반(21, 22)과 상기 최하측 서랍(26)의 위에 있는 서랍(25)은, 상기 저장용기(100)가 본체에 장착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로 들어간 위치에 장착될 수 있는 형상과 치수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냉장실(20)의 전면 개구부를 모두 막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상기 저장용기(100)의 상하 길이는 상기 냉장실(20)의 전면 개구부의 높이에 가깝도록 형성되고, 저장용기(100)의 폭도 상기 냉장실(20)의 전면 개구부의 폭에 대응하는 치수로 형성될 것이다.
또한, 상기 냉장실(20) 내에 서랍이 2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최하측 서랍(26)은 그 위의 서랍(25)과 마찬가지로 상기 저장용기(100)와 간섭되지 않도록 안쪽으로 인입된 형상 및 치수로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롤러장치(300)는 상기 최하측 서랍(26) 위의 선반(23)이 아니라 상기 냉장실(20)의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것이다.
상기 롤러장치(300)는, 상기 도어(30)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제1롤러(310)와, 상기 본체(10)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제2롤러(320)와,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저장용기(100)에 고정되는 롤러브래킷(33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상기 롤러브래킷(330)은 상기 제1롤러(310)와 제2롤러(320)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하여 상기 저장용기(100)의 하부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 롤러브래킷(33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들(310, 320)을 덮도록 형성된 상부브래킷(340)과 상기 저장용기(100)에 결합되는 부분인 하부브래킷(3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브래킷(340)에는 본체(10)에 지지되는 제2롤러(320)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하부브래킷(350)에는 도어(30)에 지지되는 제1롤러(310)가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브래킷(340)과 하부브래킷(350)에는 제2롤러(320)와 제1롤러(310)가 장착되어 회전될 수 있는 체결공(345, 35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롤러(310)는 도어(30)에 지지되는 것이므로 그 회전축이 제2롤러(320)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30)에서 상기 저장용기(100)를 지지하는 부위는 상기 본체(10)에서 저장용기(100)를 지지하는 바닥면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전방(도어 쪽)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1롤러(310)와 제2롤러(320)는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롤러(310)가 지지되는 도어(30)의 부위와 상기 제2롤러(320)가 지지되는 본체(10)의 바닥면 부위의 높이를 서로 달리 형성함으로써, 상기 저장용기(100)가 본체와 도어 사이에서 이송되어 지지되는 운동 메커니즘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롤러(310)는 상기 제2롤러(320)보다 더 높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롤러(310)와 제2롤러(320)의 상대적인 높이도 제1롤러(310)를 제2롤러(320)보다 높게 장착하는 경우, 상기 롤러브래킷(330)을 포함하는 롤러장치(300)가 더 내구성이 좋고 저장용기(100)의 착탈 동작 신뢰도가 더 높을 것이다.
상기 도어(30)의 내면 하부에는 내측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롤러(310)를 지지하는 지지턱(35)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롤러(310)는 상기 저장용기(100)를 도어(30)에 밀착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지지하므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제1롤러(310)가 안착될 수 있는 면이 필요하다.
그래서, 상기 지지턱(35)은 상기 제1롤러(310)의 상대적인 높이를 고려하여 상기 도어(30)의 내면 하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즉 상기 저장실이 있는 내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 지지턱(35)의 돌출 길이는 상기 저장용기(100)가 도어(30)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지지턱(35)의 상대적인 위치와 다른 부분, 특히 상기 저장용기(100)와의 간섭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계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턱(35)은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턱(35)의 상면을 상기 도어(30)의 내면으로 갈수록 소정 각도로 점점 높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롤러(310)가 상기 지지턱(35)에 접촉하여 지지될 때 상기 저장용기(100)는 상기 본체(10)에 지지될 때보다 약간 들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롤러장치(300)는 상기 저장용기(100)의 하부에 한 쌍이 대칭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장치(300)는 상기 저장용기(100)를 상하방향으로 지지하면서도 저장용기의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해야 한다.
그래서, 상기 롤러장치(300)는 상기 저장용기(100)의 하부 중앙에 하나가 구비되는 경우보다 한 쌍의 롤러장치(300)가 저장용기(100)의 하부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롤러(310)는 한 쌍의 롤러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롤러(310)는 상기 롤러브래킷(330)의 중앙부에 한 쌍의 롤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롤러(320)는 상기 롤러브래킷(330)의 측부에 장착된 하나의 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롤러(320)가 하나의 롤러브래킷(330)의 측부에 장착된 하나의 롤러이고 상기 롤러장치(300)가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 있는 롤러장치(300)와 우측에 있는 롤러장치(300)는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의 분해사시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러장치(300)의 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의 롤러장치(300)는 도 6(b)에 도시된 우측 롤러장치(300)의 분해 사시도에 해당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롤러장치(300)의 롤러브래킷(330)은 상부브래킷(340)과 하부브래킷(35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브래킷(340)은 전체적으로 측면에서 보아 "ㄱ"자 모양의 두 플레이트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로부터 우측부에서 상기 제2롤러(320)가 장착되는 롤러장착부(34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브래킷(340)의 두 플레이트는 롤러장치의 상면을 덮도록 이루어진 커버플레이트(342)와 이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장착플레이트(3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장착플레이트(346)는 도 7의 분해사시도에서 보이지 않고 도 6에서 그 일부가 보이는바, 도면부호 "346"으로 표시하였다.
또한, 상기 롤러장치(300)의 좌측부에는 제1롤러(310)를 좌측에서 덮도록 상기 상부브래킷(340)으로부터 일체로 측벽부(34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브래킷(340)의 롤러장착부(344)에는 상기 제2롤러(320)가 장착될 수 있는 나사체결공(34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롤러(320)는 이 나사체결공(345)에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도록 나사(325)에 의해 장착된다.
상기 하부브래킷(350)은 상기 제1롤러(310)가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상면에서 보면 전체적으로 "T"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하부브래킷(350)은 상기 저장용기에 장착되는 장착플레이트(356)와 상기 제1롤러(310)가 장착되는 롤러장착부(344)가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플레이트(356)에는 상기 저장용기(100)에 나사로 체결할 수 있도록 복수의 나사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롤러장착부(344)는 상기 장착플레이트(356)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그 전방 단부 하측에 상기 제1롤러(310)가 장착될 수 있는 나사체결공(355)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체결공(355)은 양쪽에서 한 쌍의 롤러(310)가 나사(315)에 의해 대칭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상부브래킷(340)의 롤러장착부(344)에 형성된 나사체결공(345)은 하부브래킷(350)의 롤러장착부(352)에 형성된 나사체결공(355)보다 상대적으로 더 후방에 그리고 더 아래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나사체결공(345, 355)의 정확한 위치는 상기 제1롤러(310)와 제2롤러(320)가 저장실(20)의 하면과 도어의 지지턱(35)에 지지되는 것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상부브래킷(340)의 장착플레이트(346)에도 상기 하부브래킷(350)의 나사체결공을 관통하는 나사들(370)이 관통될 수 있도록 나사체결공이 형성됨이 이해될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롤러에셈블리가 한 쌍으로 구비된 경우를 설명한 것이지만, 하나의 롤러장치만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하나의 롤러장치만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롤러(320)가 브래킷(330) 또는 상부브래킷(340)의 일측에 하나만 구비되는 경우보다 그 양측에 한 쌍이 대칭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롤러장치(300)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도 8은 저장용기(100)가 본체(10) 쪽에 결합되어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롤러장치(300)가 도어(30)의 내면에 형성된 지지턱(35)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측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용기(100)가 본체(10) 쪽에 결합되면 상기 롤러장치(300)의 제2롤러(320)가 본체(10)의 냉장실(20)에서 최하측 서랍(26)을 덮는 선반(23)의 상면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이때, 상기 제1롤러(310)는 제2롤러(320)보다 우측에 더 높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선반(23)의 상면에 접촉되지 않고 공중에 떠 있는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8은 상기 도어(30)가 열린 상태여서 도어가 도시되어 있지 않은데, 도어가 닫힌 경우에는, 상기 롤러장치(300)의 제1롤러(310)가 도어(30)의 내면에 형성된 지지턱(35)에 접촉되어, 결국 두 롤러(310, 320)가 모두 지지되는 상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용기(100)가 도어(30) 쪽에 결합되면 상기 롤러장치(300)의 제1롤러(310)가 도어(30)의 내면에 형성된 지지턱(35)에 접촉되어 지지된다.
이때, 상기 제2롤러(320)는 제1롤러(310)보다 좌측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지지턱(35)에 접촉되지 않고 공중에 떠 있는 상태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도어(30)의 좌하측 모서리에 장착되는 손잡이(32)와 저장용기(100)의 네 꼭지점 부근에 결합되는 래치장치(520)의 잠김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하는 래치스위치장치(600)가 도어(30)로부터 분해되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32)는 상기 도어(30)의 일측면에 나사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손잡이에는 손잡이(32)를 이루는 수직의 봉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어의 일측면에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연장부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는 상기 도어(30)의 손잡이(32)가 체결되는 부위 근처에서 상기 도어 내부에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30)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상기 각 래치장치(52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고정부재(550)가 상기 도어(30)의 내면에서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체결되어 있다.
이 고정부재(550)는 상기 저장용기(100)의 래치장치(520)와 결합하여 저장용기가 도어(30)에 결합했을 때 저장용기를 도어(3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고정하여 지지한다.
상기 손잡이(32)에는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를 작동시키는 버튼(610)이 마련되어 상기 래치스위치장치의 내부에 마련되는 링크기구에 의해 상기 2개의 래치장치(520) 중 냉장고의 정면에서 보아 좌하측 래치장치(520)를 눌러주어 그 잠김 상태를 해제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래서, 사용자가 도어(30)의 손잡이(32)에 있는 버튼(610)을 눌러서 래치스위치장치(600)를 통해 상기 래치장치(520)의 잠김상태를 해제한 다음 도어 손잡이(32)를 당기면, 상기 저장용기(100)는 본체(1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도어(30)만 회동되어 열리게 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저장용기(100) 또는 상기 저장용기(100)의 지지장치로서 상기한 롤러장치 이외에, 상기 저장용기(100)를 상기 본체(10) 또는 도어(3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고정하는 래치장치(5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래치장치(520)는 상기 저장용기 프레임(110)의 네 꼭지점 부위 중 상기 도어(30)의 힌지(13) 반대쪽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의 내면 가장자리 부위에 고정되는 고정부재(550)와 선택적으로 결합한다.
상기 저장용기 지지장치는, 상기 저장용기 프레임(110)의 네 꼭지점 부위 중 상기 도어(30)의 힌지(13) 쪽에 장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지지부(51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지지부(510)는 상기 저장용기(100)의 네 꼭지점 부위 중 상기 도어의 힌지 쪽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30)의 힌지(13) 쪽에 장착된 한 쌍의 고정부재(550)가 회동하면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가이드지지부(510)의 브래킷에는 상기 도어(30)가 회동하여 닫힐 때 상기 고정부재(550)가 회동하는 궤적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550)가 상기 가이드지지부(510)에 삽입되면 고정부재(550)는 가이드지지부(510)로부터 회동되어 나올수는 있을지라도 전면 방향으로는 상기 홈의 일측에 고정부재(550)가 걸리기 때문에 빠져나올 수 없게 된다.
상기 한 쌍의 래치장치(520)는 정면에서 보아 상기 저장용기(100)의 좌측 상부 및 하부 꼭지점 부위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30)의 힌지(13) 반대쪽에 장착된 한 쌍의 고정부재(550)가 회동하면서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래치장치(520)의 브래킷에는 상기 도어(30)가 회동하여 닫힐 때 상기 고정부재(550)가 회동하는 궤적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래치장치(520)의 브래킷에는 상기 고정부재(550)가 상기 홈에 삽입될 때 이 고정부재(550)를 선택적으로 홀딩하는 래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래치장치(520) 중 하부 래치장치(520)는 상기 래치스위치장치(600)가 작동하여 래치장치의 작동핀을 누를 때에만, 상기 고정부재(550)가 상기 래치장치(520)의 홈에서 빠져나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반면에, 상기 한 쌍의 래치장치(520) 중 상부 래치장치(520)는 상기 래치스위치장치의 작동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고정부재(550)가 상기 상부 래치장치(520)의 홈에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냉장고에서, 상기 롤러장치(300)는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본체(10) 또는 도어(30)에 결합될 때 상기 저장용기를 상하방향으로 지지하고, 상기 래치장치(520)는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도어(30)에 결합될 때 상기 저장용기를 수평방향으로 지지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저장용기(100)의 상부와 도어(30) 내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도어(30)에 결합되어 도어가 개방될 때 저장용기(100)가 도어(30)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연결지지장치(2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연결지지장치(200)는 본 발명에서 상술한 롤러장치 및 래치장치와 함께 저장용기 지지장치에 해당한다.
상기 연결지지장치(200)는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본체(10)에 장착될 때에만 그 잠김 상태가 해제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연결지지장치(200)는 상기 도어(30)의 내면 상부에 고정된 고정고리(210)와, 상기 저장용기(100)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고리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저장용기(100)가 본체의 냉장실(20) 전방에 장착될 때 저장실의 상부 경사면에 의해 상방으로 돌출된 슬라이딩링크가 밀려서 회동하고, 회동되는 슬라이딩링크가 잠금고리를 회동시키면서 잠금고리가 상기 고정고리(210)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저장용기(100)가 도어(3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그래서, 상기 저장용기(100)가 도어(30)에 결합된 상태로 도어가 열렸을 때, 주로 상기 래치장치(520)가 저장용기(100)의 도어(30)로부터의 분리를 방지하는데, 상기 연결지지장치(200)가 보조적으로 저장용기(100)가 도어(3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도어(30)가 열렸을 때 저장용기(100)가 도어(3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저장용기를 본체와 도어 사이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가 냉장고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 본체
13: 힌지
20: 저장실(냉장실)
30: 냉장실도어
31: 개스킷
32: 손잡이
40: 냉동실도어
42: 손잡이
100: 저장용기
110: 프레임
120: 수납선반
130: 커버
200: 연결지지장치
300: 롤러장치
310: 제1롤러
320: 제2롤러
330: 롤러브래킷
340: 상부브래킷
342: 커버플레이트
344: 롤러장착부
345: 나사체결공
346: 장착플레이트
348: 측벽부
350: 하부브래킷
352: 롤러장착부
355: 나사체결공
356: 장착플레이트
510: 가이드지지부
520: 래치장치
550: 고정부재
600: 래치스위치장치
610: 버튼

Claims (18)

  1. 저장실이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힌지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가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저장용기와 상기 도어 내면 및 상기 본체 벽면에 각각 구비된 저장용기 지지장치와,
    상기 도어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용기 지지장치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 지지장치는, 상기 저장용기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저장용기를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에 대해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롤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장치는,
    상기 저장용기에 고정되는 롤러브래킷과,
    상기 롤러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장치는,
    상기 도어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제1롤러와,
    상기 본체에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제2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는 서로 다른 높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는 상기 제2롤러보다 더 높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면 하부에는 내측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롤러를 지지하는 지지턱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턱은 상기 제2롤러가 지지되는 본체 저장실의 바닥면보다 더 높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턱은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장치는 상기 저장용기의 하부에 한 쌍이 대칭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접촉되어 상기 저장실을 밀폐하는 개스킷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는,
    상기 저장실의 전면 개구부에 삽입가능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선반을 포함하고,
    상기 롤러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는,
    상기 프레임과 후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의 전방공간과 후방공간을 구획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장치는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복수의 나사에 의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 지지장치는, 상기 저장용기를 상기 본체 또는 도어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래치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 저장용기 프레임의 네 꼭지점 부위 중 상기 도어의 힌지 반대쪽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의 내면 가장자리 부위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 지지장치는,
    상기 저장용기 프레임의 네 꼭지점 부위 중 상기 도어의 힌지 쪽에 장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장치는 상기 저장용기가 상기 도어에 결합될 때 상기 저장용기를 상하방향으로 지지하고,
    상기 래치장치는 상기 저장용기가 상기 도어에 결합될 때 상기 저장용기를 수평방향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20008604A 2012-01-03 2012-01-27 냉장고 KR101988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604A KR101988306B1 (ko) 2012-01-27 2012-01-27 냉장고
EP12168066.4A EP2613112B1 (en) 2012-01-03 2012-05-15 Refrigerator having storage container
US13/473,672 US8844983B2 (en) 2012-01-03 2012-05-17 Connection support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13/473,668 US8857930B2 (en) 2012-01-03 2012-05-17 Refrigerator having storage container
US13/473,686 US8857865B2 (en) 2012-01-03 2012-05-17 Latch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13/473,726 US8801124B2 (en) 2012-01-03 2012-05-17 Refrigerator having storage container
EP19214793.2A EP3660428A1 (en) 2012-01-03 2012-06-01 Refrigerator with a connection support device
EP12170562.8A EP2613115B1 (en) 2012-01-03 2012-06-01 Latch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12170443.1A EP2613114B1 (en) 2012-01-03 2012-06-01 Refrigerator having storage container
EP12170441.5A EP2613113B8 (en) 2012-01-03 2012-06-01 Connection support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JP2012135384A JP5658198B2 (ja) 2012-01-03 2012-06-15 貯蔵容器を備える冷蔵庫
JP2012135414A JP5658199B2 (ja) 2012-01-03 2012-06-15 支持装置
JP2012135352A JP5385429B2 (ja) 2012-01-03 2012-06-15 冷蔵庫
JP2012135349A JP5307918B2 (ja) 2012-01-03 2012-06-15 ラッチ装置
BR102012015111-1A BR102012015111B1 (pt) 2012-01-03 2012-06-19 refrigerador
BR102012015110-3A BR102012015110B1 (pt) 2012-01-03 2012-06-19 refrigerador
CN201210208992.8A CN103185437B (zh) 2012-01-03 2012-06-20 连接支撑装置以及具有该连接支撑装置的冰箱
CN201210212528.6A CN103185438B (zh) 2012-01-03 2012-06-21 闭锁件及具有该闭锁件的冰箱
CN201210212542.6A CN103185433B (zh) 2012-01-03 2012-06-21 具有储藏容器的冰箱
CN201210211906.9A CN103185432B (zh) 2012-01-03 2012-06-21 具有储藏容器的冰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604A KR101988306B1 (ko) 2012-01-27 2012-01-27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320A true KR20130087320A (ko) 2013-08-06
KR101988306B1 KR101988306B1 (ko) 2019-09-30

Family

ID=49214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8604A KR101988306B1 (ko) 2012-01-03 2012-01-27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3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3530A (ko) * 2016-02-05 2017-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4495U (ko) * 1980-05-10 1981-12-05
KR950031107U (ko) * 1994-04-19 1995-11-22 냉장고 도어 처짐 방지구조
JP2000139641A (ja) * 1998-11-13 2000-05-23 Sanden Corp ショーケースの棚構造
KR20080069434A (ko) * 2007-01-23 2008-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방향 개폐 가능한 도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JP4269094B2 (ja) * 2000-06-08 2009-05-27 三洋昭和パネルシステム株式会社 保管庫
WO2011081279A1 (en) * 2010-01-04 2011-07-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including multiple storage compartment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4495U (ko) * 1980-05-10 1981-12-05
KR950031107U (ko) * 1994-04-19 1995-11-22 냉장고 도어 처짐 방지구조
JP2000139641A (ja) * 1998-11-13 2000-05-23 Sanden Corp ショーケースの棚構造
JP4269094B2 (ja) * 2000-06-08 2009-05-27 三洋昭和パネルシステム株式会社 保管庫
KR20080069434A (ko) * 2007-01-23 2008-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방향 개폐 가능한 도어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WO2011081279A1 (en) * 2010-01-04 2011-07-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including multiple storage compartmen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3530A (ko) * 2016-02-05 2017-08-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8306B1 (ko)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02514B2 (en) Refrigerator
KR102245373B1 (ko) 냉장고
KR101203424B1 (ko) 냉장고
KR20210046859A (ko)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0459216Y1 (ko) 냉장고
AU2018380286B2 (en) Modular flipper mullion receiver
EP3008409B1 (en) Refrigerator
KR101988306B1 (ko) 냉장고
KR101929776B1 (ko) 래치장치 및 래치장치와 보조저장실을 구비하는 냉장고
KR101668707B1 (ko) 냉장고 도어
KR101952679B1 (ko)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952681B1 (ko) 냉장고
KR20130087323A (ko) 냉장고
KR101952680B1 (ko) 냉장고
KR101988307B1 (ko) 냉장고
KR102007838B1 (ko) 래치장치, 래치장치로 구성되는 저장용기 지지장치와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1952678B1 (ko) 래치장치, 래치장치로 구성되는 저장용기 지지장치와 저장용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50066195A (ko)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10156142A (ko) 냉장고 및 가전기기
KR200290940Y1 (ko) 반찬 냉장고의 도어
KR200290943Y1 (ko) 반찬 냉장고의 도어
KR20140051601A (ko) 냉장고
KR20090040948A (ko) 냉장고
KR101925023B1 (ko) 냉장고
KR20090133013A (ko) 양문형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