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6965A - 운전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운전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6965A
KR20130086965A KR1020130004234A KR20130004234A KR20130086965A KR 20130086965 A KR20130086965 A KR 20130086965A KR 1020130004234 A KR1020130004234 A KR 1020130004234A KR 20130004234 A KR20130004234 A KR 20130004234A KR 20130086965 A KR20130086965 A KR 20130086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driver
vehicle
state
drowsi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나가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130086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69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9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using optical or photograph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8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for vehicle drivers or machine op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60K28/06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6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indicating a condition of sleep, e.g. anti-dozing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3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2Psychological state; Stress level or work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29Attention level, e.g. attentive to driving, reading or sleep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운전 보조 장치(10)는 차량 운전자의 졸음을 검출하면서,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이 졸고 있는 운전자를 깨우게 한다. 졸음 운전의 잘못된 검출이 빈번하게 발행하는 경우, 운전자는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을 오프 상태로 불활성화시킨다. 운전 보조 장치는 차량 주변의 교통, 주행중인 도로의 폭 및 형상, 교통 신호의 설치 상태, 및 차량의 속도와 스티어링 각도와 같은 네비게이션 장치로부터 획득한 차량의 주행 상태에 기초하여 운전으로 인한 운전자의 스트레스를 판정한다(S110). 운전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높은 상태에서 낮은 상태로 변경되면(S115: 예), 운전자는 쉽게 졸릴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간주된다. 그에 의해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이 활성화되고 강제로 온 상태로 전환된다.

Description

운전 보조 장치{DRIVING ASSISTANCE APPARATUS}
본 발명은 운전자에 의한 졸음 운전을 방지하기 위한 운전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서1]: JP 2010-67137A(US 2011/0205350A)
예를 들어, 특허 문서1은 운전자의 안면 이미지와 운전 조작에 기초하여 졸음 운전을 검출하고, 졸음 운전 검출시 운전자를 깨우기 위해 운전자에게 경고하는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을 제공한다.
그러한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이 졸음 운전을 방지할 수는 있지만, 졸음 운전의 검출에 있어서 에러가 발생할 수도 있다. 졸음 운전의 잘못된 검출이 빈번하게 발생할 경우, 깨어있는 운전자는 불필요하게 반복적으로 경고를 받게 된다. 이것은 운전자에게 불편한 감을 주게 되고, 그에 따라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을 의도적으로 불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확실하게 졸음 운전 방지를 달성할 수 있는 운전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에 따르면, 결정부 및 활성부를 포함하는 차량에 대한 운전 보조 장치가 제공된다. 결정부는 졸음을 불러일으키기 쉬운 상황(drowsy-tending state)이 발생하는지를 판정한다. 졸음을 불러일으키기 쉬운 상황이란 차량의 운전자가 쉽게 졸릴 수 있는 상태이다. 활성부는 졸음을 불러일으키기 쉬운 상황이 발생한 걸로 판정되면,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은 운전자의 졸음을 검출하고, 졸고 있는 운전자를 깨우기 위한 것이다.
그러한 구성하에서는, 호스트 차량에 제공된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이 의도적으로 정지되는 경우에도, 운전자가 쉽게 졸릴 수 있는 상태가 되면, 강제로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및 다른 목적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면에서,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활성 프로세스를 도시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활성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하의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내에서 여러 방식으로 수정될 수 있다.
[구성 설명]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차량에 실장된 운전 보조 장치(10)는 차량 운전자의 졸음을 검출하고, 졸고 있는 운전자를 깨우기 위해 경고음을 출력하는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을 포함한다. 운전 보조 장치(10)는 차량내 LAN(Local Area Network)(40)에 연결되며, 그 LAN(40)에는 네비게이션 장치(20) 또는 에어컨(air-conditioner)(30)과 같은 ECU(Electronic Control Unit)가 또한 연결된다.
도 1b를 참조하면, 운전 보조 장치(10)는 운전자 좌석에 자리한 운전자의 안면에 조사하여 운전자 안면 이미지를 포착하는 카메라(11)와; 여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12)와; 플레시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는 저장부(13)와; CPU, ROM, RAM, I/O 및 ROM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하도록 상기 부품들을 연결시키는 버스 라인을 가진 알려진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는 제어 회로(14)와; 졸음 운전 장치 기능의 온(ON)/오프(OFF)의 다양한 조작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button)을 포함하는 조작부(15); 차량내 LAN(40)을 통해 다른 ECU와 통신하는 차량내 LAN 통신부(16); 및 스피커(17)를 포함한다.
[동작 설명]
[제 1 실시 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하겠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운전 보조 장치(10)는 졸고 있는 운전자를 깨우는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을 포함한다.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은 카메라(11)에 의해 이미지가 포착된 운전자의 안면 이미지에 기초하여 알려진 방법으로 운전자의 졸음 레벨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운전자의 안면 이미지는 입의 좌측 코너와 우측 코너간의 거리; 눈의 내측 코너와 외측 코너의 중심(ⅰ)과 눈썹의 중심 (ⅱ)간의 거리; 및 머리 전면 또는 후면의 경사를 검출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측정 결과는 운전자가 깨어있을 때의 기준값과 비교된다. 그 비교 결과는 운전자의 졸음 레벨을 검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운전자의 졸음 레벨은, 운전자의 운전 조작 및 호스트 차량의 동작에 기초한 알려진 기술을 이용하여 검출될 수 있다.
운전 보조 장치(10)는, 운전자의 졸음 레벨이 사전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운전자를 깨우기 위해 스피커(17)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한다. 경고음에 국한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차량 내부에 실장된 발광 장치(luminescence apparatus)가 빛을 방출하게 하거나 진동 생성기가 운전자의 좌석을 진동시키도록 함에 의해 운전자를 깨울 수도 있다. 또한, 차량내 LAN(40)을 통해 에어컨(30)과 통신하여 차량 내부 온도를 감소시킴에 의해 운전자를 깨울 수도 있다. 또한, 차량내 LAN(40)을 통해 자동 윈도우(automatic window)(도시되지 않음)를 제어함으로써 자동 윈도우를 넓게 개방함에 의해 운전자를 깨울 수도 있다.
또한, 운전 보조 장치(10)는, 운전자의 졸음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운전자의 운전을 관리하는 관리자 또는 운전자의 가족과 같이 이전에 등록한 연락 가능 사람(contact person)에게 졸음 운전의 위험성을 보고하도록 이메일(E-mail)을 전달할 수도 있다. 그러한 보고는 차량내 LAN(40)에 접속된 DCM(Data Communication Module)과 같은 무선 통신 장치(도시되지 않음) 또는 운전 보조 장치(10)에 연결된 셀룰러폰(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할 수 있다.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은 운전자의 졸음 레벨을 잘못 검출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운전자가 깨어있음에도 불구하고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러한 잘못된 검출은 빈번하게 발생되며, 그 결과 운전자가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을 오프 상태(off state)로 불활성화(즉, 턴 오프)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운전 보조 장치(10)는, 운전자가 쉽게 졸릴 수 있는 상태가 되면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을 강제로 온 상태(on state)로 활성화하기 위한 기능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을 온 상태로 강제로 활성화시키는 활성 프로세스를 설명하겠다. 이 프로세스는, 예를 들어, 차량 운전중에 0.5초당 1싸이클 간격으로 반복 실행된다. 본 발명의 흐름도는, 예를 들어, S105로 표시된 섹션(section)(단계라고도 함)을 포함함을 알아야 한다. 또한 각 섹션은 여러개의 섹션으로 분할될 수 있고, 여러개의 섹션은 하나의 섹션으로 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각 섹션들을 모듈(module), 디바이스(device) 또는 수단(means)으로 지칭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 유닛(예를 들어 컴퓨터)과 조합된 소프트웨어 섹션(ⅰ) 및 관련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거나 그렇지 않은 하드웨어 섹션(ⅱ)으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 섹션은 마이크로컴퓨터 내부에 있을 수 있다.
S105에서, 운전 보조 장치(10)의 제어 회로(14)는 주행 상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차량내 LAN(40)을 통해 네비게이션 장치(20)와 같은 ECU와 통신한다. 주행 상태 정보는 VICS(Vehicle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등록 상표)로부터 획득한 호스트 차량의 주변의 교통, 주행중인 도로의 도로폭 및 형상과, 도로의 교통 신호의 설치 상태와 같은 호스트-차량-주변 상태(ⅰ)와, 차량 속도 및 스티어링 각도(스티어링 휠의 각도)와 같은 호스트-차량 상태(ⅱ)를 포함한다.
S110에서, 제어 회로(14)는 주행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운전으로 인한 운전자의 스트레스 정도를 판정하거나 추정하고, 그에 의해 판정 결과 또는 추정 결과를 이력 정보로서 저장한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좁은 도로폭 및 많은 곡선을 가진 도로 또는 많은 교통 신호를 가진 도로를 운전할 때, 또는 운전자가 교통량이 많은 도로에서 고속으로 운전할 때 운전자의 스트레스 정도는 높은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예를 들어, 운전자가 넓은 도로폭을 가진 직선 도로, 교통 신호가 적은 도로, 교통량이 적은 도로에서 차량을 운전하거나, 또는 운전자가 혼잡 상태의 도로에서 느린 속도로 차량을 운전할 때, 운전자의 스트레스 정도는 낮은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의 스트레스는 교통, 도로 폭, 도로 형상, 교통 신호의 설치, 차량 속도 및 스티어링 각도에 기초하여 종합적으로 추정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스트레스의 정도는 여러 레벨 또는 단계로 분류될 수 있다.
S115에서, 제어 회로(14)는 운전자의 스트레스의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스트레스가 높은 스트레스 상태에서 낮은 스트레스 상태로 변경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115에서의 상술한 판정이 긍정이면(예), 운전자가 쉽게 졸릴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가정된다. 프로세싱은 S120으로 진행한다. S115에서의 판정이 부정이면(아니오), 이 프로세스는 종료한다.
S120에서,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이 오프 상태이면, 제어 회로(14)는 그 기능을 온 상태로 강제로 활성화시키고, 그 다음, 이 프로세스는 종료한다.
[효과]
제 1 실시 예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10)는, 운전자가 쉽게 졸릴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간주되면,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을 온 상태로 강제 활성화시킨다. 졸음을 불러일으키기 쉬운 상태는 운전자의 높은 스트레스 상태가 운전자의 낮은 스트레스 상태로 변경될 때 판정된다. 높은 스트레스 상태는, 높은 스트레스가 사전 설정된 시간 기간보다 더 길게 계속됨으로써 운전자의 피로를 누적시키는 상태이다. 낮은 스트레스 상태는, 운전 스트레스가 감소되는 상태, 즉, 운전자의 긴장 상태가 감소되기 쉬운 상태이다. 따라서,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은, 운전자가 졸릴 가능성이 높은 위험을 가질 때 적절하게 활성화될 수 있다. 따라서, 졸음 운전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제 2 실시 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하겠다. 제 2 실시 예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10)는 제 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을 가지지만, 다음과 같이 제 1 실시 예와 다르다. 즉,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은 제 1 실시 예에서 호스트 차량의 주행 상태의 이력에 기초하여 온 상태로 강제 활성화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은 차량 내부 온도 또는 습도와 같은 호스트 차량의 차량 내부 환경에 기초하여 온 상태로 강제 활성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차량 내부 환경에 기초하여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을 온 상태로 강제 활성화시키는 활성화 프로세스를 설명하겠다. 이 프로세스는 차량의 운전 동안에, 예를 들어, 0.5초마다 1사이클씩 반복적으로 실행된다.
S205에서, 운전 보조 장치(10)의 제어 회로(14)는, 차량내 LAN(40)을 통해 에어컨(30)과 같은 ECU와 통신하고, 차량 내부 온도 및 습도(ⅰ)와, 에어컨(30)으로부터 나오는 공기량(ⅱ)과 같은 차량 내부 환경을 나타내는 차량 내부 환경 정보를 획득한다. 그 다음, 그 프로세싱은 S210으로 진행한다.
S210에서, 제어 회로(14)는 차량 내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내부 환경으로 인한 운전자의 스트레스 정도(즉, 차량 내부에서의 불편함의 정도)를 판정하거나 추정하고, 그 다음 판정 결과 또는 추정 결과를 이력 정보로서 저장한다.
예를 들어, 차량 내부 온도 및 습도와, 에어컨(30)으로부터의 공기량이 사전 설정된 범위 이내이면, 운전자는 운전하는데 있어서 편안할 수 있고, 낮은 스트레스 상태인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차량 내부 온도나 습도, 또는 에어컨(30)으로부터의 공기량이 사전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서 상한보다 커지거나 하한보다 감소하면, 운전자는 운전하는데 있어서 보다 불편할 수 있으며 높은 스트레스 상태인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의 스트레스는 차량 내부 온도나 습도, 또는 에어컨(30)으로부터의 공기량에 기초하여 종합적으로 추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트레스의 정도는 여러 레벨 또는 단계로 분류될 수 있다.
S215에서, 제어 회로(14)는, 스트레스가 차량 내부 환경으로 인한 운전자의스트레스의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높은 스트레스 상태에서 낮은 스트레스 상태로 변경되는지를 판정한다. S215에서의 상술한 판정이 긍정(예)이면, 운전자가 쉽게 졸릴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가정된다. 프로세싱은 S220으로 진행한다. S215에서의 판정이 부정(아니오)이면, 이 프로세스는 종료한다.
S220에서,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이 오프 상태이면, 제어 회로(14)는 그 기능을 온 상태로 강제 활성화시킨다. 그 다음 이 프로세스는 종료한다.
[효과]
제 2 실시 예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10)는, 차량 내부 환경이 불편한 상태에서 편안한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에 운전자가 졸음을 불러일으키기 쉬운 상태인 것으로 추정되면,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을 온 상태로 강제 활성화시킨다. 따라서, 운전자가 졸게 될 가능성이 높은 위험을 가지면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이 적절하게 활성화된다.
[다른 실시 예]
(1) 제 1 실시 예 및 제 2 실시 예에 있어서, 운전 또는 차량 내부 환경으로 인한 운전자의 스트레스가 이력 정보를 참조하여 높은 스트레스 상태에서 낮은 스트레스 상태로 변경되면, 운전 보조 장치(10)는 졸음을 불러일으키기 쉬운 상태인 것으로 판정한다. 그에 국한될 필요는 없으며, 운전 또는 차량 내부 환경으로 인한 낮은 스트레스 상태가 사전 설정된 기간보다 더 길게 계속되면, 졸음을 불러일으키기 쉬운 상태로 판정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은 유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2) 또한, 운전 지속 시간의 결과 측정으로서 운전이 사전 결정된 기간보다 더 계속되는 것으로 판정되면, 졸음을 불러일으키기 쉬운 상태로 판정될 수 있다. 또한, 운전한 시간대(time zone)가 특정되고, 예를 들어, 특정된 운전이 한밤중에서 새벽까지 실행되면 졸음을 불러일으키기 쉬운 상태로 판정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은 유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3) 또한, 상술한 실시 예는, 운전자가 쉽게 졸릴 수 있는 상태인지를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을 가진 운전 보조 장치(10)가 판정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게 국한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장치(20)와 같은 ECU는, 상술한 실시 예와 유사한 기술을 이용하여 운전자가 쉽게 졸릴 수 있는 상태로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지를 판정한다. 긍정적으로 판정하면, 차량내 LAN(40)을 통해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을 온 상태로 활성화시키는 지시가 차량 보조 장치(10)로 발행된다. 그러한 구성은 유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 회로(14)는 제 1 실시 예에 있어서의 활성화 프로세스의 S115 또는 제 2 실시 예에 있어서의 활성화 프로세스의 S215를 실행함에 의해 판정 섹션으로서 기능한다. 판정 섹션은 졸음을 불러일으키기 쉬운 상태 판정 섹션이라고도 한다. 제어 회로(14)는 제 1 실시 예에 있어서의 활성화 프로세스의 S120 또는 제 2 실시 예에 있어서의 활성화 프로세스의 S220을 실행함에 의해 활성화 섹션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어 회로(14)는 제 1 실시 예에 있어서의 활성화 프로세스의 S105를 실행함에 의해 주행 상태 검출 섹션으로서 기능할 수도 있으며, 제어 회로(14)는 제 2 실시 예에 있어서의 활성화 프로세스의 S205를 실행함에 의해 차량 내부 환경 검출 섹션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제어 회로(14)는 제 1 실시 예에 있어서의 활성화 프로세스의 S110 또는 제 2 실시 예에 있어서의 활성화 프로세스의 S210를 실행함에 의해 스트레스 판정 섹션으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스트레스 판정 섹션은 스트레스 추정 섹션이라고도 한다. 또한, 스트레스 판정 섹션은 상술한 졸음을 불러일으키기 쉬운 상태 판정 섹션에 합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측면들은 이하에 제시된다.
제 1 측면에 따르면, 판정 섹션과 활성화 섹션을 포함하는 차량에 대한 운전 보조 장치가 제공된다. 판정 섹션은, 졸음을 불러일으키기 쉬운 상태가 발생하는지를 판정한다. 졸음을 불러일으키기 쉬운 상태란 차량 운전자가 쉽게 졸릴 수 있는 상태이다. 졸음을 불러일으키기 쉬운 상태로 판정되면, 활성 섹션은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은 운전자의 졸음을 검출하고 졸고 있는 운전자를 깨우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인 제 2 측면에 따르면,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이 강제로 불활성화되는 경우에, 졸음을 불러일으키기 쉬운 상태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 섹션이 판정하면, 활성 섹션은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을 재 활성화시킨다.
그러한 구성은, 호스트 차량에 제공된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이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강제로 중지될 때에도 보다 확실하게 졸음 운전을 방지할 수 있다. 긴 직선로를 운전하는 것과 같은 단조로운 운전의 연속성은 운전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교통 혼잡으로 인해 장시간 및 저속 운전이 억지로 유발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운전자의 긴장감이 줄어들며, 그에 따라 운전자의 졸음을 쉽게 유발한다.
이를 위해, 선택적인 제 3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의 주행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주행 상태 검출 섹션이 추가로 포함된다. 판정 섹션은 주행 상태 검출 섹션에 의해 검출된 주행 상태에 기초하여 졸음을 불러일으키기 쉬운 상태가 발생하는지를 판정한다.
연속하는 단조로운 운전 또는 교통 혼잡에 빠지면 운전자의 긴장감을 줄이는 주행 상태가 제공된다. 그 경우, 상술한 구성하에서는, 운전자가 졸리기 쉬운 상태인 것으로 간주되고, 그에 의해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이 활성화된다. 따라서, 졸음 운전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연속하는 단조로운 운전이 항상 운전자에게 졸음을 유도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은 운전자의 졸음을 잘못 검출할 수 있다. 단조로운 운전시에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이 항상 활성화되면, 운전자를 깨우는 프로세스는 필요한 것보다 더 반복적으로 실행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운전자에게 불편한 감을 제공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연속적으로 곡선을 가진 도로를 주행하게 되면 높은 스트레스를 제공하여, 운전자가 긴장감을 가지고 운전할 수 있다. 그러한 주행 상태의 연속성은 운전자의 피로를 누적시킨다. 운전자의 피로가 누적된 상태에서는, 긴장감을 줄일려고 하는 주행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운전자가 졸리게 될 위험성이 훨씬 높아진다.
이를 위하여, 선택적인 제 4 측면에 따르면, 주행 상태 검출 섹션에 의해 검출된 주행 상태의 이력에 기초하여 차량 운전으로 인한 스트레스에 변경이 일어나는지를 판정 섹션이 판정한다. 그 판정 섹션은, 운전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감소되도록 하는 변경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졸음을 불러일으키기 쉬운 상태인 것으로 판정한다.
운전으로 인해 높은 스트레스를 제공하는 주행 상태가 계속적으로 운전자의 피로를 누적시키는 상황하에서는, 운전으로 인한 스트레스나 운전자의 긴장감을 줄이는 상태로 주행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그러한 운전 상태의 변경은 운전자에게 졸림을 쉽게 유발하는 상태로서 간주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졸릴 가능성이 높은 위험을 가진 경우에만,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이 활성화된다. 졸음 운전 방지 기능에 의해 잘못된 검출이 발생하기 쉬운 경우에도, 불편한 감이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졸음 운전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예를 들어, 차량 내부 또는 객실이 안락한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하는 경우, 운전자는 보다 쉽게 졸릴 수 있다.
이를 위해, 선택적인 제 5 측면에 따르면, 차량 내부의 환경을 검출하기 위해 차량 내부 환경 검출 섹션이 추가 제공될 수 있다. 판정 섹션은, 차량 내부 환경 검출 섹션에 의해 검출된 환경에 기초하여 졸음을 불러일으키기 쉬운 상태가 발생하는지를 판정한다.
그러한 구성은 안락한 차량 내부 환경을 운전자가 쉽게 졸릴 수 있는 상태로 간주하여,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따라서, 졸음 운전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다.
그러나, 안락한 차량 내부 환경의 경우에도, 운전자가 항상 쉽게 졸리는 것은 아니다. 또한,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이 운전자의 졸음을 잘못 검출하게 할 수 있다. 안락한 차량내 환경하에서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이 항상 활성화될 경우, 운전자를 깨우는 프로세스는 필요한 것 보다도 더 반복적으로 실행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운전자에게 불편함을 제공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높은 온도 및 습도와 같은 운전자에게 안락하지 않은 차량 내부 환경하에서, 운전자가 쉽게 졸리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차량 내부 환경이 불편한 상태에서 편안한 상태로 변경되면, 운전자에게는 졸리기 쉬운 훨씬 높은 위험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선택적인 제 6 측면에 따르면, 판정 섹션은 차량 내부 환경 검출 섹션에 의해 검출된 환경 이력에 기초하여 차량 내부 환경에 변경이 일어나는지를 판정한다. 그 변경은 운전자의 불편한 상태에서 편안한 상태로의 변경이다. 판정 섹션은, 내부 환경에 있어서 불편한 상태에서 편안한 상태로 변경이 일어났다고 판정하는 경우 졸음을 불러일으키기 쉬운 상태가 발생했다고 판정한다.
그러한 구성은 불편한 상태에서 편안한 상태로의 차량 내부 환경의 변경을, 운전자가 쉽게 졸릴 수 있게 되는 상태로서 간주한다. 따라서,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은, 운전자가 졸릴 가능성이 높은 위험을 가질때 에만 활성화된다. 졸음 운전 방지 기능에 의한 잘못된 검출이 쉽게 이루어지더라도, 불편한 감이 운전자에게 제공되지 않게 한다. 따라서, 졸음 운전이 보다 확실히 방지된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 및 구성에 국한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은 여러 수정 및 등가 구성을 포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여러 조합 및 구성과, 보다 더 많거나 적은 소자 또는 단지 단일 소자만을 포함하는 다른 조합 및 구성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내에 있다.
10: 운전 보조 장치
11: 카메라
12: 디스플레이부
13: 저장부
14: 제어 회로
15: 조작부
16: LAN 통신부
17: 스피커
20: 네비게이션 장치
30: 에어컨

Claims (6)

  1. 차량에 대한 운전 보조 장치로서,
    차량 운전자가 졸리기 쉬운 상태인, 졸음을 불러일으키기 쉬운 상태가 발생하는지를 판정하는 판정 섹션과;
    졸음을 불러일으키기 쉬운 상태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되면,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을 활성화하는 활성 섹션을 포함하되,
    상기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은 운전자의 졸음을 검출하고 졸고 있는 운전자를 깨우는
    차량에 대한 운전 보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이 강제로 불활성화되는 경우에, 졸음을 불러일으키기 쉬운 상태가 발생했다고 상기 판정 섹션이 판정하면, 상기 활성 섹션은 상기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을 재 활성화시키는
    차량에 대한 운전 보조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 상태를 검출하는 주행 상태 검출 섹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판정 섹션은, 상기 주행 상태 검출 섹션에 의해 검출된 주행 상태에 기초하여 졸음을 불러일으키기 쉬운 상태가 발생하는지를 판정하는
    차량에 대한 운전 보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장치는, 상기 주행 상태 검출 섹션에 의해 검출된 주행 상태의 이력에 기초하여 차량의 운전으로 인한 운전자의 스트레스에 변경이 있는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 섹션은, 운전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감소되도록 하는 변경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하면, 졸음을 불러일으키기 쉬운 상태가 발생했다고 판정하는
    차량에 대한 운전 보조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차량 내부의 환경을 검출하는 차량 내부 환경 검출 섹션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판정 섹션은, 차량 내부 환경 검출 섹션에 의해 검출된 환경에 기초하여 졸음을 불러일으키기 쉬운 상태가 발생하는지를 판정하는
    차량에 대한 운전 보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장치는, 상기 차량 내부 환경 검출 섹션에 의해 검출된 환경의 이력에 기초하여, 차량 내부의 환경에 변경 - 상기 변경은 운전자의 불편한 상태에서 운전자의 편안한 상태로의 변경임 - 이 있는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 섹션은 내부 환경에 있어서 불편한 상태에서 편안한 상태로의 변경이 일어났다고 판정하면, 졸음을 불러일으키기 쉬운 상태가 발생했다고 판정하는
    차량에 대한 운전 보조 장치.
KR1020130004234A 2012-01-26 2013-01-15 운전 보조 장치 KR201300869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14102 2012-01-26
JP2012014102A JP2013152679A (ja) 2012-01-26 2012-01-26 運転支援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965A true KR20130086965A (ko) 2013-08-05

Family

ID=48869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234A KR20130086965A (ko) 2012-01-26 2013-01-15 운전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30194099A1 (ko)
JP (1) JP2013152679A (ko)
KR (1) KR2013008696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5051B1 (ko) * 2014-06-13 2015-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방법
EP3002557B1 (en) * 2014-10-03 2019-09-25 Volvo Car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a situation with a potentially inalert driver
DE102015210661A1 (de) * 2015-06-11 2016-12-1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einflussung eines Klimas im Innenraum eines Kraftfahrzeugs
US9739627B1 (en) 2016-10-18 2017-08-22 Allstate Insurance Company Road frustration index risk mapping and mitigation
US10830605B1 (en) 2016-10-18 2020-11-10 Allstate Insurance Company Personalized driving risk modeling and estimation system and methods
US9925872B1 (en) 2016-11-14 2018-03-27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ystem for monitoring driver alertness and adapting vehicle settings thereto
CN110431610B (zh) * 2017-03-31 2021-12-21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载装置、信息管理系统及方法
JP7108885B2 (ja) * 2017-05-30 2022-07-2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覚醒誘導制御装置、および、覚醒誘導システム
CN110809749A (zh) * 2017-06-16 2020-02-18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互动装置、互动方法及程序
JP6888542B2 (ja) * 2017-12-22 2021-06-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眠気推定装置及び眠気推定方法
WO2020008547A1 (ja) * 2018-07-04 2020-01-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疲労抑制方法及び乗員支援装置
DE102018128550B4 (de) * 2018-11-14 2022-03-17 B-Horizon GmbH Verfahren zum Überwachen eines Fahrers eines Fahrzeugs mittels eines Mess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9655A (ja) * 1995-09-13 1997-03-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GB9700090D0 (en) * 1997-01-04 1997-02-19 Horne James A Sleepiness detection for vehicle driver
JPH10315800A (ja) * 1997-05-15 1998-12-02 Toyota Motor Corp 車両の走行補助装置
US6128947A (en) * 1999-01-12 2000-10-10 Anderson, Sr.; Stephen B. Leak indicating apron for a toilet
JP4328434B2 (ja) * 1999-12-08 2009-09-09 クラリオン株式会社 車両運転時の居眠り防止装置
JP2004090724A (ja) * 2002-08-30 2004-03-25 Pioneer Electronic Corp 移動体用再生制御システム、移動体用再生制御方法並びに移動体用再生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8023086A (ja) * 2006-07-21 2008-02-07 Hino Motors Ltd 覚醒度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52679A (ja) 2013-08-08
US20130194099A1 (en) 201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6965A (ko) 운전 보조 장치
JP4400624B2 (ja) 居眠り防止装置及び方法
JP4307833B2 (ja) ドライバ能力向上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200216095A1 (en) Vehicle driving assistance apparatus
JP2005062911A (ja) 車両制御装置
CN109649407B (zh) 使用传感器数据的车辆安全系统
US20090167516A1 (en) Look-away detect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US20170355379A1 (en) Driving support device
JP6730096B2 (ja) 乗員状態監視装置
US20190265699A1 (en) Concentration degree determination device, concentration degree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for determining concentration degree
US20190248374A1 (en) Concentration degree determination device, concentration degree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for determining concentration degree
JP2009213768A (ja) 運転者状態判定装置
CN111492420B (zh) 瞌睡报警装置
CN105438063A (zh) 一种警示系统及方法
JP4534789B2 (ja) 車両用警報装置
CN111688577A (zh) 车辆避障告警方法及系统
JPH0911773A (ja) 車両走行状態検出装置及び居眠り運転警報装置
JP3473109B2 (ja) 自動車の走行状態判定装置
JP6977589B2 (ja) 車両用警報装置
JP2009120013A (ja) 車両用機器制御装置
CN110562182A (zh) 一种防止车内儿童遗漏的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20200198652A1 (en) Noise adaptive warning displays and audio alert for vehicle
JP2005227965A (ja) 車両監視装置および携帯端末
JP6357939B2 (ja) 車両用制御装置
JP2020013554A (ja) 覚醒度判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