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5831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5831A
KR20130085831A KR1020120006930A KR20120006930A KR20130085831A KR 20130085831 A KR20130085831 A KR 20130085831A KR 1020120006930 A KR1020120006930 A KR 1020120006930A KR 20120006930 A KR20120006930 A KR 20120006930A KR 20130085831 A KR20130085831 A KR 20130085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t device
content
display
received
synchroniz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6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민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06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5831A/ko
Priority to US13/743,696 priority patent/US20130187832A1/en
Publication of KR20130085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58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0/00Solving problems of bandwidth in display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2Networking aspects
    • G09G2370/022Centralised management of display operation, e.g. in a server instead of lo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타일드(ti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호스트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컨텐츠의 재생 준비가 완료되는 경우, 완료 메시지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호스트 장치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이 수신되면, 호스트 장치로부터 수신된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CRT(Cathode Ray Tube) 모니터에 비해 경박화가 가능하고 보다 작은 소비 전력이 요구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가 각광을 받고 있다.
하지만,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 그 특성상 대형화에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타일드(ti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개발되어서 실용화되고 있다.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여러 대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하나의 화면을 확대시켜 표시하며, 사용자가 화면상에 표시된 영상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다는 점에서 다양한 분야에서 그 이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하나의 스크린을 구현한다는 점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 간의 동기화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기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타일드(ti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호스트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재생 준비가 완료되는 경우, 완료 메시지를 상기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수신된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완료 메시지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를 구성하는 최초 영상에 대한 디코딩이 완료되면, 상기 완료 메시지를 상기 호스트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호스트 장치는, 상기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으로부터 상기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기화 정보는, 상기 호스트 장치의 시스템 클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기화 정보는, 상기 호스트 장치가 상기 동기화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신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신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동기화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컨텐츠의 재생이 지연되면, 상기 지연된 시간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호스트 장치는, 상기 지연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화 정보를 재산출하여 상기 타일드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컨텐츠의 재생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탐색 명령이 입력되고 상기 변경된 재생 위치에서의 영상에 대한 디코딩이 완료되면, 상기 완료 메시지를 상기 호스트 장치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호스트 장치는, 상기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으로부터 상기 탐색 명령에 따른 완료 메시지가 재수신되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탐색 명령은, 기설정된 시간 간격을 갖도록 상기 컨텐츠의 재생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 간격에 반비례하도록 상기 변경된 재생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일드(ti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호스트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재생 준비가 완료되는 경우 완료 메시지를 상기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수신된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상기 수신된 컨텐츠를 구성하는 최초 영상에 대한 디코딩이 완료되면, 상기 완료 메시지를 상기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호스트 장치는, 상기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으로부터 상기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기화 정보는, 상기 호스트 장치의 시스템 클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기화 정보는, 상기 호스트 장치가 상기 동기화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신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기화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컨텐츠의 재생이 지연되면, 상기 지연된 시간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호스트 장치는, 상기 지연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동기화 정보를 재산출하여, 상기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재생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탐색 명령이 입력되고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상기 변경된 재생 위치에서의 영상에 대한 디코딩이 완료되면, 상기 완료 메시지를 상기 호스트 장치로 재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호스트 장치는, 상기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으로부터 상기 탐색 명령에 따른 완료 메시지가 재수신되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탐색 명령은, 기설정된 시간 간격을 갖도록 상기 컨텐츠의 재생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 간격에 반비례하도록 상기 변경된 재생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이 수신되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의 출력 시점을 일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호스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드(ti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는 2x2 형태로 배치된다. 즉, 가로 두 개, 세로 두 개로 배치된다.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일 예를 든 것이며, 타일드 시스템을 구성하는 전체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수 및 배열 형태는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다.
한편,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는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컨텐츠는 압축된 형태로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로 전송되므로,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는 자신이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만을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여러 대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하나의 화면을 확대시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들은 서로 동기화되어 컨텐츠를 출력하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호스트 장치(200)가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현된다. 하지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 중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호스트 장치로서 동작하여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를 하나의 호스트 장치(200)에서 제어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호스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인터페이스부(110), 신호처리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도 1에 도시된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중 하나이며,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2 내지 100-4) 역시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을 함께 참조한다.
인터페이스부(110)는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부(110)는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호스트 장치(200)와 연결되어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등과 같은 영상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부(110)는 호스트 장치(200)와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10)는 D-Sub 포트, DVI 포트 및,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포트 등을 구비하거나, BT(BlueTooth), WI-FI(Wireless Fiedlity), 지그비(Zigbee) 등의 무선 방식을 통해 호스트 장치(200)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인터페이스부(1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미도시) 등을 구비하여, 인터넷을 이용하여 호스트 장치(200)에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10)는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동기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동기화 정보는 호스트 장치(200)에서 사용되는 시스템 클럭일 수 있다.
신호처리부(120)는 수신된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압축되어 전송되는 컨텐츠에 대해 디코딩 등의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서 출력가능한 형태로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한다는 점에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에 마련된 신호처리부(120)는 자신이 출력하고자 하는 부분에 대응되는 영상만을 디코딩하고,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서 출력가능한 형태로 스케일링 및 프레임 레이트 변환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CPU 등으로 구현되어 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30)는 수신된 컨텐츠의 재생 준비가 완료되는 경우 완료 메시지를 호스트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하고,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이 수신되면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신호처리부(120)에서 수신된 컨텐츠를 구성하는 최초 영상에 대한 디코딩이 완료되면, 완료 메시지를 호스트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최초 영상이란, 컨텐츠를 구성하는 비디오 영상의 첫 번째 프레임을 의미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출력하고자 하는 부분에 대응되는 첫 번째 프레임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호스트 장치(200)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 각각으로부터 완료 메시지가 모두 수신되면,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로 전송한다.
즉,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는 자신이 출력하고자 하는 영상의 첫 번째 프레임에 대한 디코딩이 완료되면 호스트 장치(200)로 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 호스트 장치(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 모두로부터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로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을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를 구성하는 각 모듈의 성능과 무관하게,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에서 동일한 시점에 첫 번째 프레임을 출력하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재생한다. 여기에서, 동기화 정보란, 호스트 장치(200)에서 사용하는 시스템 클럭을 의미할 수 있다.
즉,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는 자신의 시스템 클럭이 아닌, 호스트 장치(200)의 시스템 클럭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재생한다. 이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영상의 각 프레임에 부여된 타임 스탬프(time stamp)에 따라 동일한 시점에 영상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는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다양한 방식에 따라 동기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화 정보는 호스트 장치(200)가 동기화 정보를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수신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수신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부(130)는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컨텐츠가 수신되면 동기화 정보의 요청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호스트 장치(200)로 전송하여, 동기화 정보를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30)는 신호처리부(120)에서 첫 번째 프레임에 대한 디코딩이 완료되면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요청 메시지를 호스트 장치(200)로 전송하여, 동기화 정보를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동기화 정보를 기준으로 컨텐츠의 재생이 지연되면, 지연된 시간 정보를 산출하여 호스트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컨텐츠의 재생이 지연되는 경우란,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다른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제어부(130)의 많은 리소스가 소모되어 컨텐츠의 재생이 지연되고, 이에 따라, 영상을 출력함에 있어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2 내지 100-4)와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이 경우, 호스트 장치(200)는 지연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동기화 정보를 재산출하여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1)로부터 지연된 시간 정보가 전송되면 호스트 장치(200)는 시스템 클럭에서 지연된 시간 정보를 감산하여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모든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 재생이 지연된 디스플레이 장치(100-1) 외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2 내지 100-4)는 지연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재생하게 되므로 모든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의 컨텐츠 재생 시점이 일치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정상적인 시스템 클럭에 기초한 경우 모든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가 다섯 번째 프레임을 재생한다고 가정하도록 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컨텐츠 재생이 지연되어 세 번째 프레임이 출력된다면,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지연 시간 정보를 호스트 장치(200)로 전송한다. 호스트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1)로부터 수신된 지연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모든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에 재산출된 시스템 클럭을 전송한다. 이에 따라,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2 내지 100-4)는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다섯 번째 프레임을 출력할 때까지 현재 재생 중인 다섯 번째 프레임을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다섯 번째 프레임을 출력하면, 모든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는 동일한 시점에 이후 프레임인, 여섯 번째 프레임을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 내지 100-4)에서 영상의 출력 속도가 늦춰지게 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지연된 이후의 프레임을 출력하는 시점부터 타 디스플레이 장치(100-2 내지 100-4)와 동기화가 될 수 있다.
한편, 호스트 장치(200)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2 내지 100-4)로부터 지연된 시간에 대한 정보가 수신한 경우, 호스트 장치(200)는 가장 큰 지연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동기화 정보를 재산출할 수 있다. 이는, 컨텐츠 재생이 가장 지연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타 디스플레이 장치의 컨텐츠 재생 시점을 일치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제어부(130)는 컨텐츠의 재생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탐색 명령이 입력되고, 신호처리부(120)에서 변경된 재생 위치에서의 영상에 대한 디코딩이 완료되면, 완료 메시지를 호스트 장치(200)로 재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컨텐츠의 재생 위치를 변경하기 탐색 명령이란, 현재 재생되는 시점과는 다른 시점에서 컨텐츠를 재생시키고자 하는 탐색 명령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신호처리부(120)를 제어하여 탐색 명령에 따른 재생 시점에 대응되는 영상 프레임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하고, 해당 프레임에 대한 디코딩이 완료되면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탐색 명령에 따른 재생 시점에 대응되는 영상 프레임에 대한 디코딩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완료 메시지를 호스트 장치(200)로 재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재생 명령이 수신되기 전까지 컨텐츠에 대한 재생을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200)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 각각으로부터 탐색 명령에 따른 완료 메시지가 재수신되면,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로 전송할 수 있다.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는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재생 명령이 입력되면 컨텐츠를 재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탐색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도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를 구성하는 각 모듈의 성능과 무관하게, 탐색 명령에 대응되는 시점에서의 영상 프레임을 동일한 시점에 출력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 탐색 명령은 기설정된 시간 간격을 갖도록 컨텐츠의 재생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탐색 명령은 2분 간격 또는 4분 간격과 같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컨텐츠의 재생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시간 간격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가능하다.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을 갖도록 컨텐츠의 재생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탐색 명령이 입력되면, 시간 간격에 반비례하도록 변경된 재생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컨텐츠의 재생 위치가 이동되는 시간 간격이 클수록 변경된 재생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을 작은 시간 동안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현재 재생 시간이 4분 00초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하며, 2분 간격으로 설정된 제1 시간 간격과 4분 간격으로 설정된 제2 시간 간격인 탐색 명령이 각각 입력된 경우를 상정한다.
제1 시간 간격을 갖는 탐색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30)는 영상의 현재 출력 시점부터 2분 간격으로 컨텐츠의 재생 위치를 변경시켜 6분, 8분, 10분,...에서의 영상을 출력한다. 여기에서, 제어부(130)는 6분, 8분, 10분,...에서의 영상을 4초 동안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2 시간 간격을 갖는 탐색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30)는 영상의 현재 출력 시점부터 4분 간격으로 컨텐츠의 재생 위치를 변경시켜 8분, 12분, 16분,...에서의 영상을 출력한다.
여기에서, 제어부(130)는 제1 시간 간격보다 제2 시간 간격이 2배 길다는 점에서, 제1 시간 간격을 갖는 탐색 명령이 입력된 경우보다 2배 짧은 시간 동안 변경된 재생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8분, 12분, 16분,...에서의 영상을 2초 동안 출력한다.
이와 같이, 시간 간격이 클수록 짧은 시간 동안 변경된 재생 위치에서의 영상을 출력한다는 점에서 배속 재생의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도,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는 호스트 장치(200)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이 수신되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변경되는 재생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에 대한 디코딩이 완료되면, 완료 메시지를 각 재생 위치마다 호스트 장치(200)로 재전송한다. 그리고, 호스트 장치(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 모두로부터 완료 메시지가 재수신되면, 각 재생 위치마다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로 전송한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별도의 호스트 장치(200)가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내지 100-4)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호스트 장치로서 동작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제어부(130)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2 내지 100-4)로 컨텐츠 및 동기화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동기화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서 사용하는 시스템 클럭일 수 있다.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2 내지 100-4) 모두로부터 재생 준비에 대한 완료 메시지가 전송되면, 제어부(130)는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하여,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2 내지 100-4)로 전송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 장치(100-2)에서 컨텐츠 재생이 지연되어 지연된 시간에 대한 정보가 수신된 경우, 제어부(130)는 지연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동기화 정보를 재산출하여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2 내지 100-4)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탐색 명령이 수행되고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2 내지 100-4)로부터 탐색 명령에 따른 완료 메시지가 재수신된 경우, 제어부(130)는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을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2 내지 100-4)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호스트 장치로서 동작하여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특히, 도 3은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의 호스트 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호스트 장치로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호스트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한다(S310). 여기에서, 컨텐츠는 정지 영상 및 동영상 등과 같은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수신된 컨텐츠의 재생 준비가 완료되는 경우, 완료 메시지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한다(S320). 구체적으로, 수신된 컨텐츠를 구성하는 최초 영상에 대한 디코딩이 완료되면, 완료 메시지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호스트 장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으로부터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첫 번째 프레임의 출력 시점이 일치될 수 있다.
그리고, 호스트 장치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이 수신되면, 호스트 장치로부터 수신된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재생한다(S330). 여기에서, 동기화 정보는 호스트 장치의 시스템 클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동일한 클럭을 기준으로 컨텐츠를 재생한다는 점에서, 영상의 각 프레임에 부여된 타임 스탬프(time stamp)에 따라 동일한 시점에 영상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동기화 정보는 호스트 장치가 동기화 정보를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신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신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 동기화 정보를 기준으로 컨텐츠의 재생이 지연되면, 지연된 시간을 산출하여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호스트 장치는 지연된 시간에 기초하여 동기화 정보를 재산출하여 타일드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타 디스플레이 장치의 재생 속도를 늦추어 재생이 지연된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출력 시점을 일치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컨텐츠의 재생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탐색 명령이 입력되고 변경된 재생 위치에서의 영상에 대한 디코딩이 완료되면, 완료 메시지를 상기 호스트 장치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호스트 장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으로부터 탐색 명령에 따른 완료 메시지가 재수신되면,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을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이는, 탐색 명령에 따라 이동된 재생 위치에서 복수 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동일한 시점에서 영상을 하기 위함이다.
여기에서, 탐색 명령은 기설정된 시간 간격을 갖도록 컨텐츠의 재생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S330 단계는 시간 간격에 반비례하도록 변경된 재생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들 각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CD-ROM 등과 같이, 단말기에서 판독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1 내지 100-4 : 디스플레이 장치 110 : 인터페이스부
120 : 신호처리부 130 : 제어부
200 : 호스트 장치

Claims (20)

  1. 타일드(ti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호스트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재생 준비가 완료되는 경우, 완료 메시지를 상기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수신된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료 메시지를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를 구성하는 최초 영상에 대한 디코딩이 완료되면, 상기 완료 메시지를 상기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장치는,
    상기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으로부터 상기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정보는,
    상기 호스트 장치의 시스템 클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정보는,
    상기 호스트 장치가 상기 동기화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신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컨텐츠의 재생이 지연되면, 상기 지연된 시간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호스트 장치는,
    상기 지연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동기화 정보를 재산출하여 상기 타일드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재생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탐색 명령이 입력되고 상기 변경된 재생 위치에서의 영상에 대한 디코딩이 완료되면, 상기 완료 메시지를 상기 호스트 장치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장치는,
    상기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으로부터 상기 탐색 명령에 따른 완료 메시지가 재수신되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 명령은,
    기설정된 시간 간격을 갖도록 상기 컨텐츠의 재생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 간격에 반비례하도록 상기 변경된 재생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11. 타일드(tiled)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호스트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재생을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재생 준비가 완료되는 경우 완료 메시지를 상기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고,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수신된 동기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상기 수신된 컨텐츠를 구성하는 최초 영상에 대한 디코딩이 완료되면, 상기 완료 메시지를 상기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장치는,
    상기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으로부터 상기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정보는,
    상기 호스트 장치의 시스템 클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화 정보는,
    상기 호스트 장치가 상기 동기화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신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기화 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컨텐츠의 재생이 지연되면, 상기 지연된 시간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호스트 장치는,
    상기 지연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동기화 정보를 재산출하여, 상기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재생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탐색 명령이 입력되고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상기 변경된 재생 위치에서의 영상에 대한 디코딩이 완료되면, 상기 완료 메시지를 상기 호스트 장치로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장치는,
    상기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으로부터 상기 탐색 명령에 따른 완료 메시지가 재수신되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탐색 명령은,
    기설정된 시간 간격을 갖도록 상기 컨텐츠의 재생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 간격에 반비례하도록 상기 변경된 재생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20006930A 2012-01-20 2012-01-20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3008583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930A KR20130085831A (ko) 2012-01-20 2012-01-20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13/743,696 US20130187832A1 (en) 2012-01-20 2013-01-17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6930A KR20130085831A (ko) 2012-01-20 2012-01-20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5831A true KR20130085831A (ko) 2013-07-30

Family

ID=48796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6930A KR20130085831A (ko) 2012-01-20 2012-01-20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30187832A1 (ko)
KR (1) KR2013008583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766B1 (ko) * 2013-11-14 2014-06-16 주식회사 실리콘큐브 차량용 방송 데이터의 전송 지연시간 자동 측정시스템
KR20170025953A (ko) * 2015-08-31 2017-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비디오 월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60541B1 (ko) * 2018-11-16 2019-03-21 주식회사 이노벡스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798B1 (ko) * 2014-09-11 2020-10-13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7533449B (zh) * 2015-05-08 2022-04-29 瑞典爱立信有限公司 使用移动定位信息来控制体育场布置中的超宽视频显示器
CN109062529A (zh) * 2018-08-07 2018-12-21 广州登云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云端部署的三屏互动会议平板软件实现方法
CN113424551B (zh) * 2019-12-31 2024-02-06 西安诺瓦星云科技股份有限公司 播放方法、装置和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263230B (zh) * 2020-02-19 2022-04-26 北京仁光科技有限公司 一种分布式拼接显示画面同步方法和系统
CN114005374B (zh) * 2021-11-10 2022-12-06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拼接屏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6767A (ja) * 2000-06-16 2001-12-26 Yamaha Corp 同期再生装置、同期再生方法および同期再生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10226238A (ja) * 2009-03-19 2010-10-07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766B1 (ko) * 2013-11-14 2014-06-16 주식회사 실리콘큐브 차량용 방송 데이터의 전송 지연시간 자동 측정시스템
KR20170025953A (ko) * 2015-08-31 2017-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비디오 월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60541B1 (ko) * 2018-11-16 2019-03-21 주식회사 이노벡스 멀티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87832A1 (en) 201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583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202301477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ed streaming of a video-wall
US9674568B2 (en) Audio/video signal synchronization method and apparatus
US928101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ssion of media content
KR101987756B1 (ko) 미디어 재생 방법 및 미디어 장치
US10734032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of synchronously playing media file
JP2018186484A (ja) 分散型ビデオ表示用のシステム、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100902013B1 (ko)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에서의 동기화방법
US9973795B2 (en) Method for video synchronization in video distribution systems
US20190184284A1 (en) Method of transmitting video frames from a video stream to a display and corresponding apparatus
US10203924B2 (en)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thereof and controlling method of display system
WO2018113318A1 (zh) 一种多通道ddr交织控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
US20110285917A1 (e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daptor apparatus for video apparatus, video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N203691512U (zh) 一种带视频存储功能的拼接器
KR20150022532A (ko) 컨텐츠 재생 방법 및 그에 따른 단말, 그에 따른 시스템
WO2013182011A1 (zh) 在线视频实时变速播放方法及系统
CN109525559B (zh) 一种画面共享方法及系统
KR20130111072A (ko)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것의 디스플레이 장치
TW202002664A (zh) 視頻處理方法及其裝置
KR101048301B1 (ko) 휴대용 미디어 재생 장치들로 구현되는 멀티비전 시스템 및그 구현 방법
TW201601543A (zh) 視頻顯示方法和裝置
EP2849433A1 (en) Relay device
JP6327809B2 (ja) 受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52632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컨텐츠 전송 방법
JP6635381B2 (ja) 再生装置、再生指示装置、再生システム、再生装置の制御方法、再生指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再生システム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