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4621A - Apparatus and method of inspecting appearance of work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of inspecting appearance of 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4621A
KR20130084621A KR1020130004357A KR20130004357A KR20130084621A KR 20130084621 A KR20130084621 A KR 20130084621A KR 1020130004357 A KR1020130004357 A KR 1020130004357A KR 20130004357 A KR20130004357 A KR 20130004357A KR 20130084621 A KR20130084621 A KR 20130084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workpiece
conveyance
linear feeder
alignmen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3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36449B1 (en
Inventor
가츠요시 고데라
히로유키 모치즈키
다스쿠 고토
히로후미 미즈카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웰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쿄 웰드
Publication of KR20130084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6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4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7/00Arrangements for using waste heat; Arrangements for using, or disposing of, waste gases
    • F27D17/001Extraction of waste gases, collection of fumes and hoods used therefor
    • F27D17/002Details of the installations, e.g. fume conduits or se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52Manufacture of steel in electric furn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2100/00Exhaust gas
    • C21C2100/02Treatment of the exhaust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2099/0085Accessories
    • F27D2099/0093Means to collect ashes or dust, e.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PURPOSE: An exterior inspection device of a work and an exterior inspection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accurately determine the position of a work on a returning table and to prevent electrostatic destruction about a work or degradation of the property of the work. CONSTITUTION: An exterior inspection device (30) of a work comprises a linear feeder (1), a circular returning table (2), a transferred material alignment unit (21), an electrifying unit, and an imaging device. The linear feeder returns a work with a hexahedron shape. The circular returning table returns the work, which is transferred from the linear feeder to a transferring point (4x), to the upper side of the work returning circular arc. The transferring material alignment unit aligns the work on the returning table by transferring the work from the linear feeder. The electrifying unit is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turn table, and charges the lower side of the returning table to maintain the work which is loaded on the returning table. The imaging unit takes pictures of six sides of the work on the returning table.

Description

워크의 외관 검사 장치 및 워크의 외관 검사 방법{APPARATUS AND METHOD OF INSPECTING APPEARANCE OF WORK}[0001] APPARATUS AND METHOD OF INSPECTING APPEARANCE OF WORK [0002]

본 발명은 6면체의 워크를 반송하면서, 이 워크의 6면체를 촬상하는 워크의 외관 검사 장치 및 워크의 외관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inspecting the appearance of a work for picking up a six-sided body of the work while conveying a work of a hexahedron, and a method for inspecting the appearance of the work.

종래부터 6면체 형상의 저항이나 콘덴서 등의 칩형 전자 부품(이하 「워크」)의 외관 검사 장치로서, 글래스 등의 투명체로 이루어지는 반송 테이블 상에 워크를 재치(載置)하고, 반송 테이블을 회전시켜서 워크를 반송하면서 카메라 등의 촬상 수단에 의해 각 면을 촬상해서 외관 검사를 행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Conventionally, as a visual inspection device for a chip-type electronic compon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 workpiece ") such as a resistor or capacitor having a hexahedron shape, a workpiece is mounted on a transport table made of a transparent body such as glass,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There is known a device for picking up images of each surface by an image pickup means such as a camera while carrying a work to perform a visual inspection.

이 경우, 외관 검사 장치의 워크 반송 테이블은, 정전기에 의해 워크를 정전 흡착해서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work carrying table of the visual inspection apparatus electrostatically attracts and transports the work by electrostatic force.

즉, 우선 진동에 의해 워크를 정렬 반송하는 리니어 피더 상에서 워크를 대전시키고, 그 워크를 반송 테이블 상에 재치해서 소정의 작업 위치까지 반송함과 함께, 반송 테이블의 워크 재치면을 워크와 역극성으로 대전시켜서, 거기에 워크를 정전 흡착시키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That is, first, the work is charged on a linear feeder that aligns and conveys the work by vibration, and the work is placed on a transport table and transported to a predetermined work position, and the workpiece surface of the transport table is moved And the work is electrostatically adsorbed thereon (see Patent Document 1).

일본국 특개2008-260594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8-260594

그러나 종래의 워크의 외관 검사 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appearance inspection apparatus for work has the following problems.

제 1 문제는, 워크를 리니어 피더로부터 반송 테이블에 이재(移載)할 때의 위치 결정이 곤란하다는 것이다. 반송 테이블 상의 워크는, 반송 방향에 2면, 상하 방향에 2면, 반송 방향의 좌우에 2면, 합계 6면을 갖는다. 이들 6면을 촬상하기 위해서는, 고정된 촬상 수단을 이용하여 이들 6면을 정밀도 좋게 촬상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데, 리니어 피더 상의 워크를 반송 테이블에 이재할 때에 워크가 일정한 방향으로 이재되는 것에 상관없이, 이재 후는 정전 흡착에 의해 워크의 자세가 고정되기 때문에, 촬상 시에 개개의 워크의 자세에 미묘한 차이가 발생해서 촬상 정밀도가 저하할 가능성이 있다.The first problem is that it is difficult to position the work when the work is transferred from the linear feeder to the transport table. The work on the transport table has two surfaces in the transport direction, two surface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two surfaces on the left and right in the transport direction, in total six surfaces. In order to capture these six faces, it is necessary to capture these six faces with high precision using fixed imaging means. However, regardless of whether the workpiece is transferr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when the workpiece on the linear feeder is transferred to the transfer table, since the posture of the workpiece is fixed by electrostatic adsorption after transferring, a subtle differenc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imaging accuracy is lowered.

또한, 리니어 피더 내에서 워크를 반송하면서 대전시키고 있기 때문에, 반송 중에 정전기의 흡착 작용에 의해 리니어 피더에 워크가 흡착되어서, 반송 속도가 저하할 가능성이 있고, 최악의 경우에는 워크가 정지해버린다. In addition, since the workpiece is charged while the workpiece is being conveyed in the linear feeder, the workpiece is attracted to the linear feeder by the action of adsorption of static electricity during transportation, and the conveying speed may decrease. In the worst case, the workpiece stops.

제 2 문제는, 워크 이재 후의 정전 흡착력이 저하하는 것이다. 반송 테이블의 워크 재치면과 워크가 역극성으로 대전하고 있기 때문에, 워크 이재 직전에는 충분한 흡인력이 확보되어 있어도, 워크 이재에 의해 워크 재치면과 워크가 접촉하면, 접촉점에 있어서 전하가 중화해서 그 총량이 감소한다. 따라서, 반송 테이블 상에 재치된 워크에 작용하는 정전 흡착력이 저하한다.The second problem is that the electrostatic attraction force after the workpiece is deteriorated. Even if sufficient suction force is secured immediately before the workpiece is transferred, the workpiec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workpiece surface and the charge is neutralized at the contact point, . Therefore, the electrostatic attraction force acting on the work placed on the transport table is lowered.

또한, 반송 테이블의 워크 재치면을 대전시킬 경우, 반송 테이블 상면에 설치된 이오나이저로부터 워크를 대전시키는 전하와 역극성의 전하를 워크를 향해서 분사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반송 테이블에 이재되기 직전의 워크의 전하의 일부가 중화되기도 하며, 이 경우는 반송 테이블 상에 재치된 워크에 작용하는 정전 흡착력이 저하한다.Further, when charging the workpiece surface of the transport table, the ionizer provided on the top surface of the transport table emits charge of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charging the workpiece toward the workpiece. Therefore, a part of the charge of the workpiece immediately before being transferred to the transfer table is neutralized. In this case, the electrostatic attraction force acting on the workpiece placed on the transfer table is lowered.

제 3 문제는, 정전기에 의한 워크로의 영향이다. 상술한 워크 이재에 의해 워크 재치면과 워크가 접촉할 때, 전하의 이동을 수반하는 전하의 중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워크의 정전 파괴 혹은 특성 열화 등의 우려가 있다.The third problem is the influence of the static electricity on the work. When the workpiece surfac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workpiece surface by the above-mentioned workpiece surface, the charge accompanied with the movement of the charge is neutralized, which may cause electrostatic breakdown or deterioration of characteristics of the workpiece.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워크를 리니어 피더로부터 반송 테이블에 이재할 때에 정밀도 좋게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고, 워크 이재 후의 정전 흡착력이 저하하지 않으며, 워크에 대한 정전기의 영향이 없는 워크의 외관 검사 장치 및 워크의 외관 검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oint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near feeder which can precisely position a work when transferred from a linear feeder to a transport table, And a method for inspecting the appearance of a work.

본 발명은, 6면체 형상의 워크를 반송하는 리니어 피더와, 리니어 피더로부터 워크가 이재점에서 이재되고, 이 워크를 재치한 상태에서 워크 반송 원호 상에서 반송하는 투명체로 이루어지는 회전 가능한 원형 반송 테이블과, 리니어 피더와 반송 테이블 사이에 배설(配設)되고, 리니어 피더로부터의 워크를 반송 테이블 상에 이재해서 정렬시키는 이재 정렬 수단과, 반송 테이블 하방에 배치되고 반송 테이블에 재치된 워크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반송 테이블 상의 워크의 6면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을 구비하고, 이재 정렬 수단은 리니어 피더와 반송 테이블 사이에 설치된 무진동부와, 무진동부의 하류 측에 설치되고, 워크를 정렬하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직선 형상의 가이드면을 갖는 정렬 가이드를 갖고, 정렬 가이드의 가이드면은, 평면상, 이재점과 반송 테이블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며, 또한 이재점의 하류에서 워크 반송 원호의 접선을 형성하고, 정렬 가이드는 반송 테이블 상에 위치함과 함께, 정렬 가이드에 정렬 가이드와 반송 테이블 사이의 극간을 진공 흡인하는 진공 흡인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의 외관 검사 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ry feeder comprising a linear feeder for feeding a work having a hexahedron shape, a rotatable circular transport table formed of a transparent body, which is transferred from the linear feeder at a workpiece transfer point, A separation member disposed between the linear feeder and the conveyance table and configured to allow the workpiece from the linear feeder to be arranged on the conveyance table and aligned with the conveyance table and a holding means disposed below the conveyance table for holding the workpiece placed on the conveyance table, And an image pickup means for picking up images of six surfaces of the work on the conveyance table. The deviation sorting means includes a non-oscillation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linear feeder and the conveyance table, and a non-oscillation portion provid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non- , The guide surface of the alignment guide has an alignment guide having a straight guide surface, And a tangent line of the workpiece conveying arc is formed downstream of the transfer point. The aligning guide is positioned on the conveying table, and the aligning guide and the conveying table And a vacuum suction means for vacuum suctioning a gap between the workpiece and the workpiece.

본 발명은, 진공 흡인 수단은 진공원과, 정렬 가이드에 설치되고, 일단이 반송 테이블과 정렬 가이드 사이의 극간에 개구하고, 타단이 진공원에 연통하는 흡인 통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의 외관 검사 장치이다.The vacuum s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acuum suction means comprises a vacuum source and a suction passage provided in the alignment guide and having one end opened in a gap between the transfer table and the alignment guide and the other end communicating with the vacuum source Insp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원형 반송 테이블은 투명한 글래스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의 외관 검사 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for inspecting the appearance of a workpie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ircular transport table is made of a transparent glass body.

본 발명은, 유지 수단은 반송 테이블의 하면을 향해서 대전 이온을 분출해서 반송 테이블 하면을 대전하는 대전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의 외관 검사 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pparatus for inspecting the appearance of a workpie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ding means comprises a charging means for charging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port table by ejecting charged ions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port table.

본 발명은, 유지 수단은 반송 테이블의 하방에 배치된 도체로 이루어지고, 이 도체에 직류 전압을 인가해서 전장(電場)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의 외관 검사 장치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ing means is made of a conductor disposed below the transfer table, and a DC voltage is applied to the conductor to generate an electric field.

본 발명은, 반송 테이블에 의한 워크의 반송 속도는, 리니어 피더에 의한 워크의 반송 속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의 외관 검사 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work visual inspec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veying speed of the work by the conveying table is larger than the conveying speed of the work by the linear feeder.

본 발명은, 정렬 가이드의 가이드면은, 평면상, 이재점과 반송 테이블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해서, 75도~88도의 예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의 외관 검사 장치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surface of the alignment guide forms an acute angle of 75 degrees to 88 degrees with respect to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transfer point and the transfer point on a plane.

본 발명은, 워크의 외관 검사 장치를 이용한 워크의 외관 검사 방법에 있어서, 6면체 형상의 워크를 리니어 피더에 의해 반송하는 공정과, 리니어 피더로부터의 워크를 무진동부 및 정렬 가이드를 통해서 원형 반송 테이블 상의 이재점에 이재함과 함께, 정렬 가이드의 가이드면에 의해 워크를 정렬시키는 공정과, 유지 수단에 의해 반송 테이블에 재치된 워크를 유지한 상태에서, 워크를 반송 테이블의 워크 반송 원호 상에서 반송하는 공정과, 반송 테이블 상의 워크의 6면을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의 외관 검사 방법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nspecting a workpiece using a visual inspection apparatus for a work, comprising the steps of: transporting a workpiece having a hexahedron shape by a linear feeder; conveying the workpiece from the linear feeder to a circular conveyance table A step of aligning the workpiece with the guide surface of the alignment guide, and a step of holding the workpiece placed on the transfer table by the holding means, and transferring the workpiece on the workpiece transferring arc of the transfer table And a step of picking up images of the six surfaces of the work on the transport table by the image pick-up means.

본 발명에 의하면, 반송 테이블 하면에 배치된 유지 수단에 의해 상면에 재치한 워크를 유지함으로써, 워크를 리니어 피더로부터 반송 테이블에 이재할 때에, 유지 수단에 의한 유지와 정렬 가이드를 이용하여, 워크의 반송 테이블 상에 있어서의 간격을 대략 일정하게 하고, 아울러 반송 방향에 대한 자세를 일정하게 함으로써 워크에 대하여 정밀도 좋은 위치 결정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촬상 수단에 의한 촬상 정밀도가 향상하고, 고정밀도의 외관 검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워크나 반송 테이블의 워크 재치면을 대전시키지 않고, 반송 테이블 하면에 배치된 유지 수단에 의해 워크를 유지하므로, 반송 테이블로의 워크 이재 후에 전하의 중화에 의해 정전 흡착력이 저하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외관 검사 장치의 처리 능력이 향상하고, 또한 워크를 대전시키지 않기 때문에 워크에 대한 정전 파괴나 특성 열화 등의 악영향이 없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ork is placed on the conveying table from the linear feeder by holding the work placed on the upper surface by the holding mean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veying table, The distance on the transfer table is made substantially constant and the posture with respect to the conveying direction is made constant. Therefore, the imaging accuracy by the imaging means is improved, and a high-precision visual inspection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since the workpiece is held by the holding mean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fer table without charging the workpiece surface of the workpiece or the transfer table, the electrostatic attraction force is not lowered by neutralization of charges after transferring the workpiece to the transfer table. Therefore, the processing capability of the visual inspection apparatus is improved, and the work is not charged, so that there is no adverse effect such as electrostatic breakdown and characteristic deterioration of the work.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워크의 외관 검사 장치의 평면도.
도 2는 워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영역(S)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영역(S)을 화살표(Y)의 방향으로부터 본 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워크의 반송 테이블로의 흡착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6의 (a) 및 도 6의 (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 유도의 원리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의 (a) 및 도 7의 (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전 분극의 원리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의 (a) 및 도 8의 (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기력선의 설명도.
도 9의 (a)는 및 도 9의 (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렬 가이드의 작용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워크의 외관 검사 장치의 투시도로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4에 대응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워크의 외관 검사 장치의 확대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워크의 반송 테이블로의 흡착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기력선의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기력선의 설명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기력선의 설명도.
도 16은 정렬 가이드에 설치된 진공 흡인 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의 L선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도 17은 정렬 가이드와 반송 테이블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 16과 마찬가지의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lan view of an apparatus for inspecting the appearance of a wor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ork.
3 is an enlarged plan view showing the area S of Fig. 1;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gion S of Fig. 1 viewed from the direction of the arrow Y.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dsorption of a work to a transport tabl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 and 6 (b) are explanatory views showing the principle of electrostatic induction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A and 7B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the principle of dielectric polarization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a) and 8 (b) are explanatory diagrams of electric lines of for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a) and 9 (b)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alignment guid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visual inspection apparatus for a wor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orresponds to Fig. 4 in the first embodiment. Fig.
11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n apparatus for inspecting the appearance of a wor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adsorption of a work to a transport table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electric lines of for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n electric line of for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n electric line of for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view showing the vacuum suction means provided in the alignment guide, as viewed from the L-line direction in Fig. 3;
FIG. 17 is a view seen from the same direction as FIG. 16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lignment guide and the transport table;

제 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워크의 외관 검사 장치 및 워크의 외관 검사 방법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1 to 9 are views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n apparatus for inspecting the appearance of a work and a method for inspecting the appearance of a 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워크의 외관 검사 장치에 의해 검사되는 워크에 관해서, 도 2에 의해 설명한다.First, the work to be inspected by the visual inspection apparatus of the work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에 있어서, 콘덴서나 저항 등의 칩 부품이 되는 워크(W)는 6면체 형상을 이루고,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본체(Wd)와, 본체(Wd)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된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전극(Wa, Wb)을 갖고 있다. 이 워크(W)의 외관 검사를 행할 경우, 후술하는 반송 테이블(2) 상에 워크(W)를 재치하여, 반송 테이블(2)을 도 2 중의 화살표(Z)의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워크(W)를 반송시킨다. 그리고 촬상 수단(20)에 의해 화살표(A)의 방향으로부터 지면(紙面) 반대 측의 측면을 촬상하고, 화살표(B)의 방향으로부터 지면 앞쪽의 측면을 촬상하며, 화살표(C)의 방향으로부터 상면을 촬상하고, 화살표(D)의 방향으로부터 하면을 촬상하며, 화살표(E)의 방향으로부터 전면(前面)을 촬상하고, 화살표(F)의 방향으로부터 후면을 촬상한다. 이때, 유리제의 투명 반송 테이블(2)을 사용함으로써, 워크(W)를 재치한 상태에서 상기 워크(W)의 6면 전체면을 촬상할 수 있다.2, the work W to be a chip component such as a capacitor and a resistor has a hexahedron shape and includes a main body Wd made of an insulator and an electrode made of a conductor formed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Wd Wa, Wb). The work W is placed on the transport table 2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transport table 2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Z in Fig. ). The side of the side opposite to the paper surface is picked up from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by the image pickup means 20 and picked up from the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paper from the direction of the arrow B, And picks up the lower surface from the direction of the arrow D and picks up the front surface from the direction of the arrow E and picks up the rear surface from the direction of the arrow F. [ At this time, by using the transparent transport table 2 made of glass, the entire six surfaces of the work W can be picked up with the work W placed thereon.

다음으로 워크의 외관 검사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워크의 외관 검사 장치(30)는 워크(W)를 반송하는 리니어 피더(1)와, 리니어 피더(1)로부터 워크(W)가 이재점(4x)에서 이재되고, 이 워크(W)를 재치한 상태에서 워크 반송 원호(5) 상에서 반송하는 투명체로 이루어지는 원형 반송 테이블(2)과, 리니어 피더(1)로부터의 워크(W)를 반송 테이블(2) 상에 이재해서 정렬시키는 이재 정렬 수단(21)과, 반송 테이블(2)의 하방에 배치되고 반송 테이블(2) 하면을 대전해서 반송 테이블(2)에 재치된 워크(W)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대전 수단(6A)과, 반송 테이블(2) 상의 워크(W)의 6면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20)을 구비하고 있다.Next, the appearance inspection apparatus for a workpiece will be described. 1 and 3, a visual inspection apparatus 30 for a workpiece includes a linear feeder 1 for transporting a workpiece W and a linear feeder 2 for transporting the workpiece W from the linear feeder 1 at a transfer point 4x A circular transport table 2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ransported on the workpiece carrier 5 in a state where the workpiece W is mounted on the transport table 2 and a workpiece W from the linear feeder 1, And holding means for holding the work W placed on the conveying table 2 by charg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onveying table 2 and disposed below the conveying table 2, And image pickup means 20 for picking up images of six surfaces of the workpiece W on the transport table 2. The image pickup means 20 is provided with an image pick-

이 중 이재 정렬 수단(21)은 리니어 피더(1)와 반송 테이블(2) 사이에 설치된 무진동부(4)와, 무진동부(4)의 하류 측에 설치된 워크(W)를 정렬하는 정렬 가이드(7)를 갖고, 정렬 가이드(7)는 워크(W)를 정렬하기 위한 가이드면(7a)을 포함한다. 이 가이드면(7a)은 평면에서 볼 때(상방에서 볼 때) 직선 형상을 이루고 있다.The separation sorting means 21 includes a non-oscillation portion 4 provided between the linear feeder 1 and the transport table 2 and a sorting guide (not shown) for aligning the work W provid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non- 7, and the alignment guide 7 includes a guide surface 7a for aligning the work W. As shown in Fig. The guide surface 7a has a linear shape when viewed in a plane (viewed from above).

또한 촬상 수단(20)은, 후술과 같이 측면 카메라부(8)와, 내면 카메라부(9)와, 상면 카메라부(10)와, 하면 카메라부(11)와, 전면 카메라부(12)와, 후면 카메라부(13)를 갖고 있다.The image pickup means 20 includes a side camera portion 8, an inner camera portion 9, an upper face camera portion 10, a lower face camera portion 11, a front camera portion 12, , And a rear camera unit (13).

다음으로 워크의 외관 검사 장치(30)의 각 구성 부분에 관해서, 도 1 내지 도 4에 의해 더 설명한다.Next, the constituent parts of the visual inspection apparatus 30 of the work will be furth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Fig.

여기서 도 1은, 도 2에 나타내는 형상의 워크(W)를 대상으로 한 워크의 외관 검사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파선으로 둘러싼 영역(S)의 확대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있어서 영역(S)을 화살표(Y)의 방향으로부터 본 투시도이다.3 is a magnified plan view of a region S surrounded by a broken line in Fig. 1. Fig. 4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n area S surrounded by a broken line in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gion S viewed from the direction of the arrow Y. Fig.

도 1에 있어서, 직선 형상의 리니어 피더(1)는, 도시되지 않는 구동원에 의해 진동하고, 리니어 피더(1)의 상류 측에 위치하는 도시되지 않는 파트 피더에 투입된 워크(W)를 일렬로 정렬시켜서 진동에 의해 화살표(N) 방향으로 반송한다.1, a linear linear feeder 1 is vibrated by a driving source (not shown), and a workpiece W fed into a part feeder (not shown) locat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linear feeder 1 is aligned And is conveyed in the direction of arrow N by vibration.

리니어 피더(1)의 하방에 설치된 반송 테이블(2)은, 투명한 글래스제로 이루어지고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도시되지 않는 구동원에 의해 회전축(3)을 중심으로 해서 시계 회전 방향(도 1의 화살표(X)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니어 피더(1)는 반송 테이블(2)을 향해서 약간의 경사를 갖고 하강하고, 그 하류단에는 리니어 피더(1)와 동등한 경사를 갖음과 함께 진동하지 않는 무진동부(4)가, 반송 테이블(2)과 약간의 극간을 갖고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워크(W)는 리니어 피더(1)로부터 무진동부(4)를 거쳐서 점차 하강해서 반송 테이블(2)에 이재된다.The conveyance table 2 provided below the linear feeder 1 is made of transparent glass and is installed horizontally and rotates clockwise in the clockwise direction X) direction. 4, the linear feeder 1 is lowered at a slight inclination toward the conveying table 2, and at the downstream end thereof, a non-vibrating portion (not shown) having a slope equivalent to that of the linear feeder 1, 4 are connected to the transport table 2 with a slight gap therebetween. Thus, the work W is gradually lowered from the linear feeder 1 via the non-vibrating portion 4 and is transferred to the transport table 2. [

반송 테이블(2)의 상면의 외연(外緣)부 근방에는, 도 1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3)을 중심으로 한 원호로서 워크 반송 원호(5)가 형성되고, 워크(W)는 무진동부(4)로부터 반송 테이블(2)에 이재된 후에, 후술하는 정렬 가이드(7)의 작용에 의해 워크 반송 원호(5) 상에 정렬된다. 여기서, 워크 반송 원호(5)는 워크(W)를 정렬시키기 위해서 상정된 목표 위치이며, 반송 테이블(2)의 상면에 워크 반송 원호(5)를 눈으로 식별 가능한 어떠한 마크가 붙여져 있는 것은 아니다.1, a workpiece carrier 5 is formed as an arc around the rotary shaft 3, and a workpiece W (a workpiece W)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outer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ort table 2, Is transferred from the noninvasive portion 4 to the transport table 2 and then aligned on the workpiece carrier 5 by the action of the alignment guide 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Here, the workpiece carrier 5 is a target position assumed for aligning the workpiece W, and the mark on the top surface of the carrier table 2 is not a mark that can visually identify the workpiece carrier 5.

또한 대전 수단(6A)은, 반송 테이블(2)에 재치된 워크(W)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이 대전 수단(6A)은 무진동부(4)의 위치의 조금 앞쪽에 설치된 이오나이저(6)로 이루어지고, 이 이오나이저(6)는 반송 테이블(2)의 직하(直下)에 설치되어서 반송 테이블(2)의 하면을 향해서 플러스의 이온(이하 「전하」)을 분출해서 반송 테이블(2)의 하면을 플러스로 대전시킨다.The charging means 6A also functions as a holding means for holding the workpiece W placed on the transfer table 2. This charging means 6A is constituted by an ionizer 6 provided at a position slightly ahead of the position of the noninverting portion 4. The ionizer 6 is provided directly under the conveying table 2, (Hereinafter referred to as " charge ")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fer table 2 to positively charge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fer table 2.

한편, 상기 각 구성 부분 중, 무진동부(4)와, 가이드면(7a)을 갖는 가이드(7)에 의해, 이재 정렬 수단(21)이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among these constituent parts, the unmoving portion 4 and the guide 7 having the guide surface 7a constitute the clearance aligning means 21.

또한 도 3에 있어서, 직선 형상의 가이드면(7a)을 갖는 정렬 가이드(7)는, 반송 테이블(2)의 외연부 측의 직상(直上)에, 반송 테이블(2)과 약간의 극간을 가지고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이동점(4x)과 반송 테이블(2)의 회전축(3)을 연결하는 직선을 파선(K)으로서 나타낸다.3, the alignment guide 7 having the linear guide surface 7a has a slight gap with the transport table 2 on the upper side (directly above) the outer edge side of the transport table 2 Is installed. 3 shows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movement point 4x and the rotation axis 3 of the transport table 2 as a broken line K. FIG.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렬 가이드(7)는 가이드면(7a)과 파선(K)이 이루는 각(α)이 75도~88도의 예각이 되도록, 또한 가이드면(7a)이 이재점(4x)보다 워크(W)의 반송 방향 하류에 위치하는 워크 반송 원호(5)의 합류점(7x)에서 워크 반송 원호(5)의 접선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합류점(7x)과 반송 테이블(2)의 회전축(3)을 연결하는 직선을 파선(L)으로 나타냈을 때에, 파선(L)과 가이드면(7a)이 이루는 각(β)이 90°가 된다.3, the alignment guide 7 is formed so that the angle? Formed by the guide surface 7a and the broken line K is an acute angle of 75 degrees to 88 degrees, and the guide surface 7a is the clearance point 4x Of the workpiece W is tangent to the workpiece carrier 5 at the confluence point 7x of the workpiece carrier 5 located downstream of the workpiece W in the conveying direction. That is, when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onfluence point 7x and the rotation axis 3 of the transport table 2 is represented by the broken line L, the angle? Formed by the broken line L and the guide surface 7a is 90 degrees .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진동부(4)의 하류 측에 반송 테이블(2)의 회전 방향을 따라, 촬상 수단(20)을 구성하는 측면 카메라부(8), 내면 카메라부(9), 상면 카메라부(10), 하면 카메라부(11), 전면 카메라부(12), 후면 카메라부(1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촬상 수단(20)에 의해, 워크 반송 원호(5) 상의 워크(W)에 대해서, 각각 도 2에 화살표(A~F)로 나타내는 워크(W)의 각 면을 촬상해서 외관 검사를 행할 수 있다. 이때, 도 2에 화살표(Z)로 나타내는 워크(W)의 반송 방향은, 도 1에 있어서의 반송 테이블(2)의 회전 방향(X)에 일치한다.1,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non-vibration section 4,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nveyance table 2, a side camera section 8, an inner side camera section 9 constituting the image pickup means 20, An upper camera unit 10, a lower camera unit 11, a front camera unit 12, and a rear camera unit 13 are provided. The imaging means 20 can take an image of each surface of the workpiece W indicated by the arrows A to F in Fig. 2 with respect to the workpiece W on the workpiece carrier 5, have. At this time,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work W indicated by the arrow Z in Fig. 2 coincides with the rotation direction X of the conveying table 2 in Fig.

구체적으로는, 워크(W)에 대하여 측면 카메라부(8)가 지면(紙面) 반대 측의 측면(A)을 촬상하고, 내면 카메라부(9)가 지면 앞쪽의 측면(B)을 촬상하며, 상면 카메라부(10)가 상면(C)을 촬상하고, 하면 카메라(11)가 하면(D)을 촬상하며, 전면 카메라부(12)가 전면(E)을 촬상하고, 후면 카메라부(13)가 후면(F)을 촬상한다.More specifically, the side camera portion 8 picks up the side surface A on the side opposite to the paper surface with respect to the work W, the inner surface camera portion 9 picks up the front side B of the paper surface, The upper face camera section 10 picks up the upper face C and the lower face camera 11 picks up the lower face D and the front face camera section 12 picks up the front face E and the rear face camera section 13 picks up, Thereby picking up a rear face F.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 수단(20)으로부터 반송 테이블(2)의 회전 방향의 하류 측에는 배출 수단으로서의 배출부(14)가 설치되어 있다. 외관 검사를 종료한 워크(W)는, 외관 검사의 결과에 대응해서 배출부(14)에 의해 워크 반송 원호 상으로부터 도시되지 않은 수납 박스에 배출된다.As shown in Fig. 1, a discharge unit 14 as discharge means is provided downstream from the image pickup means 20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table 2. The work W that has undergone the appearance inspection is discharged from the workpiece transfer arcuate surface to a storage box (not shown) by the discharge portion 14 in response to the result of the appearance inspection.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워크의 외관 검사 장치를 이용한 워크의 외관 검사 방법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a method for inspecting the appearance of a work using the apparatus for inspecting the appearance of a work having such a constitu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에 있어서, 워크(W)가 리니어 피더(1)의 상류 측에 위치하는 도시되지 않은 파트 피더에 투입되고, 파트 피더에 투입된 워크(W)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원에 의해 진동하는 리니어 피더(1)의 작용에 의해 일렬로 정렬하며, 도 1의 화살표(N) 방향으로 직렬 반송된다. 이때, 워크(W)는 길이 방향이 반송 방향에 일치하도록 정렬하고, 도 2에 있어서의 화살표(Z)가 워크(W)의 반송 방향이 된다. 즉, 도 2에 있어서의 화살표(Z)의 방향이 도 1에 있어서의 화살표(N)의 방향에 일치한다.1, the work W is fed into a part feeder (not shown) locat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linear feeder 1, and the work W fed into the part feeder is fed to a linear feeder 1), and are serially transported in the direction of arrow N in Fig. At this time, the work W is aligned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coincides with the transport direction, and the arrow Z in Fig. 2 becomes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work W. That is, the direction of the arrow Z in Fig. 2 coincides with the direction of the arrow N in Fig.

다음으로 도 4에 의해, 리니어 피더(1)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리니어 피더(1)에 의해 반송되는 워크(W)의 모양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에 있어서 파선으로 둘러싼 영역(S)을 화살표(Y)의 방향으로부터 본 투시도이다. 도 4는 반송 테이블(2) 상의 워크(W)의 모양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정렬 가이드(7)의 위치를 파선으로 나타낸 투시도로 되어 있다. 또한 워크(W)에 관해서는, 개개의 구성 부분 상의 워크를 워크(WO~W6)로서 나타내고, 장소를 불문하고 일반의 워크를 워크(W)로서 나타낸다.Next, the operation of the linear feeder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shows the shape of the work W carried by the linear feeder 1 and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rea S surrounded by the broken line in Fig. 1 viewed from the direction of the arrow Y.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alignment guide 7 in broken lines in order to make the shape of the work W on the transport table 2 easier to see. As addition to the work (W) it is shown as a work to the work (W O ~ W 6) on the individual parts, regardless of the place, and shows the general work as a work (W).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니어 피더(1)는 그 하방에 수평으로 위치하는 반송 테이블(2)을 향해서 약간의 경사를 갖고 있으며, 리니어 피더(1)의 진동에 의해 후속의 워크(W)에 밀려서 전진하는 워크(W)는, W0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속해서 반송 테이블(2)을 향해서 조금씩 하강한다. 리니어 피더(1)가 진동하고 있기 때문에, 워크(W)를 리니어 피더(1)로부터 반송 테이블(2)에 이재할 때에 리니어 피더(1)를 반송 테이블(2)의 직상 위치까지 접근시키면, 리니어 피더(1)와 반송 테이블(2)이 맞닿을 우려가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리니어 피더(1)의 하류단과 반송 테이블(2) 사이에는, 진동하지 않는 무진동부(4)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4, the linear feeder 1 has a slight inclination toward the conveying table 2 positioned horizontally below the linear feeder 1, and the linear feeder 1 vibrates to the succeeding work W pushed to move the work (W), as shown by W 0, in succes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lowered little by little toward the transport table (2). When the linear feeder 1 is moved up to the position directly above the transport table 2 when the work W is transferred from the linear feeder 1 to the transport table 2, There is a risk that the feeder 1 and the conveyance table 2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n order to prevent this, a vibration-free section 4 that does not vibrate is provided between the downstream end of the linear feeder 1 and the transport table 2. [

또한, 리니어 피더(1)의 진동의 편차에 기인해서, 리니어 피더(1)에 있어서 워크(W)의 반송 속도의 편차가 발생하는 것도 생각되지만, 무진동부(4)를 리니어 피더(1)와 반송 테이블(2) 사이에 개재시킴으로써 이 반송 속도를 균일화할 수 있다.It is also conceivable that the deviation of the conveying speed of the workpiece W in the linear feeder 1 may occur due to the deviation of the vibration of the linear feeder 1. However, This conveying speed can be made uniform by intervening between the conveying tables 2.

그런데, 무진동부(4)는 리니어 피더(1)와 동등한 경사를 갖고, 반송 테이블(2)의 상면과의 사이에는 약간의 극간을 갖고 있다. 무진동부(4) 상의 워크(W)는 리니어 피더(1) 상과 마찬가지로 후속의 워크에 밀려서 전진하고, W0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에 연속해서 반송 테이블(2)을 향해서 조금씩 하강한다.The non-oscillatory portion 4 has an inclination equivalent to that of the linear feeder 1, and has a slight gap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ort table 2 and the upper surface. The work W on the non-vibrating section 4 advances by being pushed by a subsequent work in the same manner as on the linear feeder 1, and is gradually lowered toward the transport table 2 continuously before and after, as indicated by W 0 .

그리고, 무진동부(4)의 하류단에 도달한 워크(W1)는, 직후에 위치하는 워크(W0)에 밀려서, 반송 테이블(2) 상의 이재점(4x)에 이재되고, 이후 반송 테이블(2)의 회전에 의해 도 4의 화살표(X)의 방향으로 반송된다. 여기서, 무진동부(4)의 길이가 지나치게 짧으면 반송 속도를 균일화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반대로 이 길이가 지나치게 길면 워크(W)가 도중에 정지해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무진동부(4)의 길이는 워크의 길이 방향의 치수의 8배로 되어 있으므로, 워크(W)를 정지시키지 않고 워크(W)의 반송 속도의 균일화를 도모할 수 있다.And, a work reaches a dust-downstream end of the East (4) (W 1) is pushed onto the work (W 0) which is located immediately after being dissimilar in dissimilar points (4x) on the transport table (2), since the conveying table (X) in Fig. 4 by the rotation of the main body 2 in Fig. If the length of the vibrationless portion 4 is too short, it is difficult to equalize the conveying speed. On the other hand, if the length of the vibrationless portion 4 is too long, the work W may be stopped on the wa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ength of the non-vibration section 4 is eight times the length of the work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onveyance speed of the work W can be made uniform without stopping the work W .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반송 테이블(2)의 하측에는 이오나이저(6)가 설치되어, 반송 테이블(2)의 하면을 향해서 플러스의 전하를 분출해서 반송 테이블(2)의 하면을 플러스로 대전시키고 있다. 도 4에 있어서는, 이 플러스의 전하를 모식적으로 +로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반송 테이블(2)의 하면이 플러스로 대전함으로써, 이재점(4x)에 이재된 워크(W)는 반송 테이블(2)의 상면에 흡착된다.As described above, the ionizer 6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transport table 2 to jet positive charge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port table 2 to positively charge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port table 2 have. In Fig. 4, this positive charge is schematically represented by +. Thus,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port table 2 is positively charged, so that the work W carried on the transfer point 4x is adsorb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ort table 2. [

다음으로 반송 테이블(2) 상에 있어서의 워크(W)의 흡착 작용에 대해서 도 5 내지 도 7에 의해 설명한다.Next, the adsorption action of the workpiece W on the transport table 2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Fig.

이 중 도 6의 (a), (b)는 정전 유도의 원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의 (a)에 있어서 워크(W)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의 전극(Wa)이 나타나 있다. 전극(Wa)은 도전체로 이루어지고, 통상 상태에 있어서는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내부에는 +로 나타내는 플러스의 전하와 -로 나타내는 마이너스의 전하가 임의의 위치에 존재한다. 이 전극(Wa)에 좌방으로부터 플러스의 전하를 접근시켰을 때의 모양을 도 6의 (b)에 나타낸다.6 (a) and 6 (b) are explanatory views showing the principle of electrostatic induction. In Fig. 6 (a), the electrode Wa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ork W is shown. The electrode Wa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In the normal state, as shown in FIG. 6A, a plus charge indicated by + and a minus charge indicated by - are present in an arbitrary position. Fig. 6 (b) shows the shape of the electrode Wa when a positive charge is approached from the left side.

여기서는, 플러스의 전하를 대전시킨 대전체(T)를 접근시키고 있다. 이때, 전극(Wa) 내의 마이너스의 전하는 대전체(T) 내의 플러스의 전하에 끌어 당겨져, 마이너스의 전하가 대전체(T)에 가까운 전극(Wa)의 좌면(WaL) 측에 모인다. 또한, 전극(Wa) 내의 플러스의 전하는 대전체(T) 내의 플러스의 전하에 반발해서, 대전체(T)에서 먼 전극(Wa)의 우면(WaR) 측에 모인다. 이때, 좌면(WaL) 측에는 마이너스의 전하가 나타나고, 우면(WaR) 측에는 플러스의 전하가 나타난다. 한편, 전극(Wa)은 도전체로 이루어지므로, 내부의 전하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이 때문에 도 6의 (b)에 있어서, 전극(Wa)의 좌면(WaL)과 우면(WaR) 사이의 부분에는 전하는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 현상을 정전 유도라고 부른다.In this case, the whole large battery (T) charged with a positive charge is approached. At this time, the negative charge in the electrode Wa is attracted to the positive charge in the large-capacity whole T, and the negative charge is gathered on the seat-side WaL side of the electrode Wa close to the large- The plus charge in the electrode Wa responds to the positive charge in the large whole T and collects on the side of the right side WaR of the electrode Wa far from the large whole T. At this time, a negative charge appears on the seat surface WaL side, and a positive charge appears on the right surface WaR side. On the other hand, since the electrode Wa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the internal electric charge can move freely. Therefore, in Fig. 6B, electric charges are applied to the portion between the seat surface WaL and the right surface WaR of the electrode Wa It does not exist. This phenomenon is called electrostatic induction.

또한 정전 유도에 의해, 전극(Wa)의 좌면(WaL) 측에 모인 마이너스의 전하와 대전체(T) 내의 플러스의 전하 사이에는, 도 6의 (b)에 화살표(G)로 나타낸 인력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전극(Wa)은 대전체(T)에 끌어 당겨진다. 대전체(T)가 전극(Wa)으로부터 멀어지면, 전극(Wa) 내의 전하는, 재차 도 6의 (a)의 상태로 돌아간다. 전극(Wb)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An attractive force indicated by an arrow G in Fig. 6 (b) acts between the negative charge accumulated on the seat surface WaL side of the electrode Wa and the positive charge in the large- do. For this reason, the electrode Wa is attracted to the large-sized main body T. When the entire body T is away from the electrode Wa, the electric charge in the electrode Wa returns to the state of Fig. 6 (a) again. The same applies to the electrode Wb.

도 7의 (a), (b)는 유전 분극의 원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중 도 7의 (a)는 워크(W)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있는 본체(Wd)를 나타낸다. 본체(Wd)는 절연체이며, 통상 상태에 있어서는 도 7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내부에는 +로 나타내는 플러스의 전하와 -로 나타내는 마이너스의 전하를 1 세트로 한 분자(파선의 타원)가, 임의의 위치에 존재한다.7 (a) and 7 (b) are explanatory diagrams showing the principle of dielectric polarization. 7 (a) shows the main body Wd at the center of the work 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main body Wd is an insulator. In the normal state, as shown in Fig. 7A, a molecule (an ellipse of broken line) in which positive charge indicated by + and negative charge represented by - Is present at an arbitrary position.

이 본체(Wd)에 좌방으로부터 플러스의 전하를 접근시켰을 때의 모양을 도 7의 (b)에 나타낸다. 여기서는, 플러스의 전하를 대전시킨 대전체(T)를 접근시키고 있다. 이때, 본체(Wd) 내의 마이너스의 전하는 대전체(T) 내의 플러스의 전하에 끌어 당겨짐과 함께, 본체(Wd) 내의 플러스의 전하는 대전체(T) 내의 플러스의 전하에 반발한다. 이 때문에, 본체(Wd) 내의 분자의 방향은, 대전체(T)에 가까운 본체(Wd)의 좌면(WdL) 측이 마이너스의 전하가 되고, 대전체(T)로부터 먼 본체(Wd)의 우면(WdR) 측이 플러스의 전하가 되도록 정렬한다.Fig. 7 (b) shows a state in which a positive charge is approached from the left side to the main body Wd. In this case, the whole large battery (T) charged with a positive charge is approached. At this time, the negative charge in the main body Wd is attracted to the positive charge in the main body T and the positive charge in the main body Wd repels the positive charge in the main body T. The direction of the molecules in the main body Wd is set such that the side of the body Wd close to the large body T becomes a negative charge and the side of the body Wd far from the large body T (WdR) side is a positive charge.

도 7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Wd)의 좌면(WdL) 측에는 마이너스의 전하가 나타나고, 우면(WdR)측에는 플러스의 전하가 나타난다. 한편, 본체(Wd)는 절연체이므로 내부의 전하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으며, 좌면(WdL)과 우면(WdR) 사이에는 분자가 일정 방향으로 정렬하고 있다. 이 현상을 유전 분극이라고 부른다. 또한, 유전 분극에 의해, 본체(Wd)의 좌면(WaL) 측에 나타난 마이너스의 전하와 대전체(T) 내의 플러스의 전하 사이에는, 도 7의 (b)에 화살표(G)로 나타낸 인력이 작용한다. 이 때문에, 본체(Wd)는 대전체(T)에 끌어 당겨진다. 대전체(T)가 본체(Wd)로부터 멀어지면, 본체(Wd) 내의 분자는 다시 도 7의 (a)의 상태로 돌아간다.A negative charge appears on the seat surface WdL side of the main body Wd and a positive charge appears on the right side surface WdR side as shown in Fig. 7 (b). On the other hand, since the main body Wd is an insulator, the internal charge can not move freely, and molecules are aligned in a certain direction between the seat surface WdL and the right side surface WdR. This phenomenon is called dielectric polarization. An attraction force indicated by an arrow G in Fig. 7B is formed between the negative charge appearing on the seat surface WaL side of the main body Wd and the positive charge in the large-size main body T by dielectric polarization, . For this reason, the main body Wd is attracted to the large-size main body T. When the large body T is moved away from the main body Wd, the molecules in the main body Wd return to the state of Fig. 7 (a) again.

다음으로, 도 5에 의해 이재점(4x)에 이재된 워크(W)가 정전 유도 및 유전 분극에 의해 반송 테이블(2)의 상면에 흡착되는 모양을 나타낸다. 도 5에 있어서, 반송 테이블(2)의 하면은 이오나이저(6)의 작용에 의해 플러스로 대전하고 있다. 반송 테이블(2)의 재질인 글래스는 절연체이므로, 반송 테이블(2)의 하면에 존재하는 플러스의 전하에 의해 상술한 유전 분극이 일어나고, 반송 테이블(2)의 내부 중 하면 측에 마이너스의 전하가 나타나며, 상면 측에 플러스의 전하가 나타난다. 또한 마찬가지로, 무진동부(4)로부터 반송 테이블(2) 상의 이재점(4x)에 이재된 워크(W2)에 관해서는, 전극(Wa 및 Wb)에는 정전 유도에 의해, 또한 본체(Wd)에는 유전 분극에 의해, 각각의 하면 측에 마이너스의 전하가 나타나고, 상면 측에 플러스의 전하가 나타난다.Next,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work W transferred to the transfer point 4x is attra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table 2 by electrostatic induction and dielectric polarization. In Fig. 5,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port table 2 is positively charged by the action of the ionizer 6. Since the glass as the material of the conveyance table 2 is an insulator, the above-described dielectric polarization occurs due to the positive charge existing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veyance table 2 and negative charge is gener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conveyance table 2 And a positive charge appears on the upper surface side. Likewise, with respect to the workpiece (W 2) of different materials from the dust-Eastern 4 to the dissimilar points (4x) on the transport table (2), electrodes (Wa and Wb) it is by the electrostatic induction, and the main body (Wd) is By the dielectric polarization, negative charges appear on the respective lower surface side, and positive charges appear on the upper surface side.

도 5에 있어서, 전극(Wa, Wb) 및 본체(Wd)의 하면 측에 나타난 마이너스의 전하와 반송 테이블(2)의 하면에 존재하는 플러스의 전하의 사이에는, 화살표로 나타낸 정전 흡착력(G)이 작용해서, 이에 의해 워크(W2)는 반송 테이블(2)의 상면에 흡착된다. 이때, 워크(W2)의 하면 및 반송 테이블(2)의 상면에는 정전 유도 혹은 유전 분극에 의해 전하가 나타나고 있을 뿐, 전하의 이동에 의한 대전은 일어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흡착시에 전하의 중화는 발생하지 않고, 흡착 후도 흡착력이 저하하지 않는다. 이렇게 워크(W2)는 반송 테이블(2)의 상면에 흡착된 상태에서 반송 테이블(2)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X)의 방향으로 반송된다.5, an electrostatic attraction force G shown by an arrow is formed between the negative charges appearing on the lower surfaces of the electrodes Wa and Wb and the main body Wd and the positive charges presen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port table 2, by the action, so the workpiece (W 2) is by adsorption on an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table (2). At this tim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ork W 2 an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ort table 2, electric charges appear due to electrostatic induction or dielectric polarization, and no charging is caused by the movement of electric charges. Therefore, neutralization of charges does not occur at the time of adsorption, and the adsorption force does not decrease even after adsorption. So the work (W 2) is conveyed in the direction of an arrow (X) by the rotation of the conveying table in the state (2) adsorb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table (2).

다음으로, 무진동부(4)로부터 반송 테이블(2) 상의 이재점(4x)에 이재된 워크(W)는, 워크(W2)로서 나타내고, 반송 테이블(2)에 흡착된 상태에서 반송 테이블(2)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X)의 방향으로 반송된다.Next, the workpiece (W) of different materials from the dust-Eastern 4 to the dissimilar points (4x) on the transport table (2) shows a workpiece (W 2), the conveying table in the adsorbed state to the transport table (2) ( 2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X.

이 경우, 반송 테이블(2)의 회전에 의한 반송 속도를 리니어 피더(1) 및 무진동부(4)에 의한 반송 속도보다도 크게 해서, 반송 테이블(2) 상의 워크 사이(예를 들면, W2과 W3 사이)에 간격을 갖게 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반송 테이블(2) 상의 워크 사이에 간격을 갖게 함으로써, 도 1의 전면 카메라부(12)가 도 2에 나타내는 워크(W)의 전면(E)을 촬상하고, 또한 도 1의 후면 카메라부(13)가 도 2에 나타내는 워크(W)의 후면(F)을 촬상할 때에, 면 전체를 확실히 촬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is case, the transport table (2) to the conveying speed by the rotation greater than the conveying speed by the linear feeder 1 and the dust-ET (4), g (for example, between on the workpiece transport table (2), and W 2 W 3 )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1 allows the front face E of the work W shown in Fig. 2 to be picked up and the rear face camera unit 1 of Fig. 1 13 can reliably pick up the entire surface when picking up the rear face F of the work W shown in Fig.

즉, 워크(W)가 이재점(4x)으로부터 반송 테이블(2)에 이재되어서 반송되면, 도 3에 있어서의 구간(P)에 있어서 워크(W)는 정전 흡착된 상태에서, W2→W3→W4와 같이 반송 테이블(2)의 반송 속도까지 재빠르게 가속되어, 구간(Q)에 있어서 워크의 간격은 예를 들면 W4와 W5 사이와 같이 넓어진다.That is, when the work W is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point 4x to the transport table 2 and transported, in the section P in Fig. 3, the work W is transported from W 2 to W 3 → W 4. The interval of the work in the section Q is widened, for example, between W 4 and W 5 .

이때, 무진동부(4)와 반송 테이블(2) 사이에 약간의 극간이 있고, 또한 반송 테이블(2)의 회전에 의한 반송 속도가 무진동부(4)에 의한 반송 속도보다 크기 때문에, 워크(W2)가 반송 테이블(2)에 충분히 흡착되지 않는 경우는, 무진동부(4)로부터 반송 테이블(2) 상의 이재점(4x)에 이재된 시점에서 워크(W2)가 미묘한 도약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워크(W)에 발생하는 도약은 워크(W)마다 불규칙해지기 때문에, 가속 후의 반송 테이블(2) 상의 워크(W)의 간격에 편차를 발생시킨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워크(W2)가 반송 테이블(2)에 충분하게 흡착되기 때문에, 무진동부(4)로부터 반송 테이블(2) 상의 이재점(4x)에 이재된 시점에서 워크(W2)가 도약하지 않고, 반송 테이블(2) 상에 고정된다. 이 때문에 가속 후의 워크(W)의 간격을 대략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re is a slight gap between the vibrationless portion 4 and the conveyance table 2 and the conveyance speed by the rotation of the conveyance table 2 is larger than the conveyance speed by the non-vibration portion 4, 2 is not sufficiently attracted to the conveyance table 2 , there is a case where the work W 2 makes a slight leap at the time when it is transferred from the non-vibration section 4 to the transfer point 4x on the transfer table 2 have. In this case, the jumping that occurs in the workpiece W becomes irregular for each workpiece W, which causes a deviation in the interval of the workpiece W on the transport table 2 after acceleration.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ork W2 is sucked sufficiently on the transport table 2 , when the work W is transferred from the non-vibration section 4 to the transfer point 4x on the transport table 2, 2 are not jumping, and are fixed on the transport table 2. Therefore, the interval of the work W after the acceleration can be kept substantially constant.

그런데 반송 테이블(2)의 외연부의 이재점(4x) 직상에는, 직선 형상의 가이드면(7a)을 갖는 정렬 가이드(7)가 반송 테이블(2)과 약간의 극간을 갖고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있어서 이재점(4x)과 회전축(3)을 연결하는 직선을 파선(K)으로 했을 때, 정렬 가이드(7)는 가이드면(7a)과 파선(K)이 이루는 각(α)이 예각이 되도록, 또한 가이드면(7a)이 이재점(4x)의 하류 방향에 위치하는 합류점(7x)에 있어서 워크 반송 원호(5)의 접선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합류점(7x)과 회전축(3)을 연결하는 직선을 파선(L)으로 나타냈을 때에, 파선(L)과 가이드면(7a)이 이루는 각(β)이 90°가 된다. 이 때문에, 이재점(4x)은 워크 반송 원호(5)에 대해서 반송 테이블(2)의 외연부 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재점(4x)에 이재된 워크(W)의 반송 방향(화살표(X))은 가이드면(7a)을 향하는 방향이 되고, 이재점(4x)에 있어서의 워크(W)의 자세의 미묘한 차이를 수정해서 동일하게 할 수 있다.An alignment guide 7 having a linear guide surface 7a is provided with a slight gap from the transport table 2 on the transport point 4x of the outer edge of the transport table 2. 3, when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margin point 4x and the rotation axis 3 is a broken line K, the alignment guide 7 is arranged so that the line connecting the guide surface 7a and the broken line K The guide surface 7a is provided so as to be tangent to the workpiece carrier 5 at the confluence point 7x located in the downstream direction of the release point 4x so that the angle alpha is an acute angle. That is, when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confluence point 7x and the rotary shaft 3 is represented by the broken line L, the angle? Formed by the broken line L and the guide surface 7a is 90 °. Therefore, the transfer point 4x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outer edge of the transfer table 2 with respect to the workpiece carrier 5. Therefore, the carrying direction (arrow X) of the work W transferred to the transfer point 4x is the direction toward the guide surface 7a, and the transfer direction (arrow X) of the work W transferred to the transfer point 4x You can fix the subtle differences and do the same.

다음으로 정렬 가이드(7)에 의한 정렬 작용에 대해서, 도 9의 (a), (b)에 의해 설명한다.Next, the alignment operation by the alignment guide 7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 and 9 (b).

여기서 도 9의 (a)는, 이재점(4x)에 이재된 워크(W2E1)의 자세가, 올바른 방향에 대해서 약간 좌향으로 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재점(4x)의 위치는 워크 반송 원호(5)에 대하여 반송 테이블(2)의 외연부 측이며, 도 9의 (a)에 있어서 화살표(X)로 나타내는 반송 테이블(2)의 회전 방향은 워크 반송 원호(5)의 궤적과 동일 방향이 되어, 워크(W2E1)의 반송 방향은 가이드면(7a)을 향하는 방향이 된다. 이 때문에, 워크(W2E1)는 워크(W2E2)와 같이 가이드면(7a)에 맞닿은 후, 가이드면(7a)에 밀어 붙여진다. 이때, 워크(W2E1)는 가이드면(7a)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보다도 강한 힘으로 글래스 테이블(2)에 흡착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면(7a)에 밀어 붙여진 상태에서도 감속하지 않고 가이드면(7a)을 따르는 형태로 반송된다.9A shows a case in which the posture of the work W2E1 transferred to the transfer point 4x is slightly leftward in the right direction. The position of the transfer point 4x is on the outer edge side of the transfer table 2 with respect to the workpiece carrier 5 and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table 2 indicated by the arrow X in Fig. The work W2E1 i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locus of the workpiece carrier 5 and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work W2E1 is the direction toward the guide surface 7a. Therefore, the work W2E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uide surface 7a like the work W2E2 , and then pressed against the guide surface 7a. At this time, since the work W2E1 is attracted to the glass table 2 with a force stronger than the frictional force acting between the guide surface 7a and the guide surface 7a, the work W2E1 does not decelerate in the state of being pressed against the guide surface 7a, (7a).

도 9의 (b)는, 이재점(4x)에 이재된 워크(W2E3)의 자세가, 올바른 방향에 대하여 약간 우향으로 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도, 워크(W2E3)의 반송 방향은 가이드면(7a)을 향하는 방향이 되고, 워크(W2E3)는 워크(W2E4)와 같이 가이드면(7a)에 맞닿은 후, 가이드면(7a)에 밀어 붙여져, W2와 같이 가이드면(7a)을 따르는 형태로 반송된다. 이렇게 해서, 반송 테이블(2)의 하면에 존재하는 전하에 의한 흡착과 가이드면(7a)의 작용에 의해, 워크(W)의 반송 테이블(2) 상에 있어서의 간격을 대략 일정하게 하고, 아울러 반송 방향에 대한 자세를 일정하게 하도록 하는 정밀도 좋은 위치 결정을 할 수 있다.Fig. 9B shows a case where the posture of the work W2E3 carried on the transfer point 4x is slightly rightward with respect to the correct direction. In this case also,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work W2E3 is the direction toward the guide surface 7a. After the work W2E3 abuts on the guide surface 7a like the work W2E4 , ) attached to the slide and is conveyed in the form along the guide surface (7a), such as W 2. In this way, the gap between the workpiece W on the transfer table 2 is made substantially constant by the attraction by the charge existing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fer table 2 and the action of the guide surface 7a, It is possible to perform positioning with high accuracy so as to make the posture with respect to the carrying direction constant.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반송 테이블(2)의 회전에 의한 반송 속도가 리니어 피더(1) 및 무진동부(4)에 의한 반송 속도보다도 크기 때문에, 위치 결정된 워크(W)는 도 3에 있어서의 구간(P)에 있어서 정전 흡착된 상태에서, W2→W3→W4와 같이 반송 테이블(2)의 회전에 의한 반송 속도까지 재빠르게 가속되고, 구간(Q)에 있어서 워크의 간격은 예를 들면 W4와 W5 사이와 같이 넓어진다. 그리고 워크(W5)는 구간(P)과 마찬가지로 가이드면(7a)에 밀어붙여지면서 반송되어, 점차 워크 반송 원호(5)에 근접해 간다. 그리고, 가이드면(7a)이 워크 반송 원호(5)에 접하는 합류점(7x)에 도달한 워크(W6)의 반송 방향은, 구간(R)에 있어서 워크 반송 원호(5)의 방향에 일치하고, 워크(W6)는, 가이드면(7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반송된다. 즉, 반송 테이블(2) 상의 워크(W)에 대하여 반송 테이블(2)의 하면에 존재하는 플러스의 전하로부터 정전 흡착력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워크(W6)는 반송 테이블(2)에 흡착된 채로 가이드면(7a)으로부터 떨어져, 이후 워크 반송 원호(5) 상에 재치 정렬된 상태로 반송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nveying speed by the rotation of the conveying table 2 is larger than the conveying speed by the linear feeder 1 and the non-vibrating section 4, the positioned workpiece W is conveyed to the section In the state of electrostatically attracted by the transporting table P, the transport speed by the rotation of the transport table 2 is rapidly accelerated like W 2 ? W 3 ? W 4, and the interval of the work in the section Q is Widen as W 4 and W 5 . And the workpiece (W 5) is conveyed As pushed to the guide surface section (7a), like (P), become gradually close to the workpiece transport arc (5). Then, the conveying direction of a workpiece (W 6) reach confluence (7x), the guide surface (7a) is in contact with the workpiece transport arc 5 is coincident with the direction of workpiece transport arc (5) in the region (R) , The workpiece W 6 is transport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guide surface 7a. That is, since the electrostatic attraction force acts on the work W on the transport table 2 from the positive charge existing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port table 2, the work W 6 is attracted to the transport table 2 Away from the guide surface 7a, and then conveyed in a state of being placed on the workpiece carrier 5 in a retracted position.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있어서 반송 테이블(2)의 외연부의 이재점(4x) 직상에는, 정렬 가이드(7)가 반송 테이블(2)과 약간의 극간을 갖고 설치되어 있다. 이 이재점(4x) 근방의 정렬 가이드(7)와 반송 테이블(2)을, 도 3에 있어서의 L선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으로서 도 16에 나타낸다.3, the alignment guide 7 is provided with a slight gap from the transport table 2 on the transporting point 2 immediately above the transfer point 4x of the outer edge of the transporting table 2. As shown in Fig. Fig. 16 shows the alignment guide 7 and the transport table 2 in the vicinity of the transfer point 4x as viewed from the L-line direction in Fig.

도 16에 있어서, 워크(W2)는 무진동부(4)로부터 반송 테이블(2) 상의 이재점(4x)에 이재된 후, 반송 테이블(2)의 회전에 의해 반송을 개시한 직후의 워크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워크(W2)는 반송 테이블(2)의 상면에 정전 흡착된 상태에서, 정렬 가이드(7)의 정렬 작용에 의해서 가이드면(7a)을 따르는 형태로 반송되고 있다. 이 경우, 반송 테이블(2)은 글래스에 의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성형 가공시의 공작 정밀도에 기인해서, 반송 테이블(2)은 외연부 근방에 있어서 미소한 휘어짐을 갖는다. 이러한 휘어짐을 갖는 반송 테이블(2)이 정렬 가이드(7)의 하측에서 약간의 극간을 갖는 상태로 회전하면, 도 16의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렬 가이드(7)의 하면(7z)과 반송 테이블(2)의 상면(2s)의 극간(γ)의 치수가 변동한다. 이 극간(γ)의 치수가 변동하면, 특히 극간(γ)이 작아질 때, 정렬 가이드(7)의 하면(7z)과 반송 테이블(2)의 상면(2s) 사이의 극간(γ)으로부터 반송 테이블(2)의 상면(2s)에 재치된 워크(W2)를 향해서 극간으로부터 공기가 분사되어, 워크(W2)에 닿는다. 여기서, 워크(W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반송 테이블(2)의 하면을 플러스로 대전시킴으로써, 반송 테이블(2)의 하면에 발생한 플러스의 전하의 작용에 의해 반송 테이블(2)의 상면(2s)에 흡착되어 있다.16, the work W 2 is a work immediately after it is transferred from the non-vibration section 4 to the transfer point 4x on the transfer table 2 and then started to be conveyed by the rotation of the transfer table 2 . As described above, the workpiece (W 2) is being conveyed to follow a guide surface (7a) by the action of the alignment in the electrostatic su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table (2) state, the alignment guide (7) form. In this case, the conveying table 2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by glass, and the conveying table 2 has a slight warp near the outer edge portion due to the working precision at the time of molding. When the conveying table 2 having such a warp is rotated in a state where there is a slight gap between the lower side of the alignment guide 7 and the lower surface 7z of the alignment guide 7, The dimension of the gap g on the upper surface 2s of the substrate 2 varies. The gap g between the lower surface 7z of the alignment guide 7 and the upper surface 2s of the transport table 2 is transported from the gap g between the alignment guide 7 and the transport table 2 when the gap g varies, toward the workpiece (W 2)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2s) of the table (2) is an air jet from the gap, it could still reach the workpiece (W 2). Here, the workpiece (W 2) is, as described above, by charging the lower face of the transfer table (2) to the positiv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table (2) by the action of an electric charge of a positive occurr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veying table (2) (2s).

그러나, 상기의 극간(γ)으로부터 분사되는 공기가 워크(W2)에 닿으면, 그 때에 워크(W2)에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워크(W2)가 가이드면(7a)으로부터 이간하거나, 워크(W2)의 자세가 불안정해질 우려가 있다.However, the air that is injected from the gap (γ) of the the work face touching the (W 2), at the time the work the work b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W 2) (W 2) is spaced apart from the guide surface (7a), or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position of the workpiece (W 2) unstable.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정렬 가이드(7)에 정렬 가이드(7)의 하면(7z)과 반송 테이블(2)의 상면(2s) 사이에 형성된 극간(γ)을 진공 흡인하는 진공 흡인 수단(17, 18)이 설치되어 있다. 즉 진공 흡인 수단(17, 18)은 진공원(17)과, 정렬 가이드(7) 내에 설치된 흡인 통로(18)를 갖고, 이 중 흡인 통로(18)는 일단(18a)이 극간(γ)에 개구하고, 타단(18b)이 연결 라인(17a)을 통해서 진공원(17)에 연결되어 있다.Vacuum suction means 17 and 18 for vacuum suctioning the gap g formed between the lower surface 7z of the alignment guide 7 and the upper surface 2s of the transfer table 2 are provided in the alignment guide 7 ) Is installed. That is, the vacuum suction means 17 and 18 have a vacuum source 17 and a suction passage 18 provided in the alignment guide 7. One of the suction passage 18 and the suction passage 18 is connected to the gap g And the other end 18b is connected to the vacuum source 17 through the connection line 17a.

도 16에 있어서, 진공원(17) 및 흡인 통로(18)에 의해, 정렬 가이드(7)의 하면(7z)과 반송 테이블(2)의 상면(2s)의 극간(γ)은, 화살표(δ1, δ2, δ3)의 방향으로 항상 진공 흡인되어 있다. 이 진공 흡인에 의해, 반송 테이블(2)의 회전시에 상기 극간(γ)의 치수가 변동해도, 워크(W2)를 향해서 극간으로부터 공기가 분출해서 워크(W2)에 닿지 않는다. 이 때문에, 워크(W2)는 반송 테이블(2)의 상면(2s)에 안정하게 정전 흡착된 상태로 반송된다.The gap between the lower surface 7z of the alignment guide 7 and the upper surface 2s of the transport table 2 is defined by the vacuum source 17 and the suction passage 18 as indicated by arrows? , delta 2, delta 3). By this vacuum attraction, do not touch the transport table (2), the work (W2) to air is ejected from the gap even at the time of rotation so that the required dimension of the gap (γ) changes, towards the workpiece (W 2) of the. Therefore, the work W 2 is transported stably on the top surface 2s of the transport table 2 in a state of being attracted electrostatically.

여기서 도 16에 대한 비교도로서, 진공 흡인 수단(17, 18)을 갖지 않는 정렬 가이드(70)가 반송 테이블(2)과 약간의 극간을 갖고 설치되어 있을 경우를 도 17에 나타낸다. 도 17에 있어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렬 가이드(70)의 하면(70z)과 반송 테이블(2)의 상면(2s)의 극간(γ)의 치수가 변동하면, 특히 극간(7)의 치수가 작아지면, 극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압축되기 때문에, 회전하는 반송 테이블(2)의 상면(2s)에 재치된 워크(W2)를 향해서, 극간으로부터 화살표(ε)의 방향으로 공기가 분사되어서 워크(W2)에 닿는다. 이 공기의 압력에 의해, 워크(W2)는 가이드면(70a)으로부터 이간하므로, 반송 테이블(2)이 회전해서 워크(W2)가 도 3에 있어서의 합류점(7x)에 도달해도, 워크(W2)는 도 3에 나타내는 워크 반송 원호(5) 상에 재치 정렬할 수 없고, 본 발명의 목적인 정밀도 좋은 워크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공기의 압력이 워크(W2)를 가이드면(70a)으로부터 이간시킬 만큼 크지 않은 경우에도, 가이드면(70a) 근방에서 워크(W2)의 자세가 불안정해지는 등에 의해, 역시 본 발명의 목적인 정밀도 좋은 워크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없게 된다.16 is a comparative diagram of Fig. 16, in which the alignment guide 70 having no vacuum suction means 17, 18 is provided with a slight gap from the transport table 2 as shown in Fig. The dimension of the gap 7 between the lower surface 70z of the alignment guide 70 and the upper surface 2s of the transport table 2 fluctuates as shown by the broken line in Fig. The air in the gap is compressed so that air is jet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epsilon from the gap toward the work W 2 placed on the upper surface 2s of the rotating transport table 2, (W 2 ). The pressure of the air, the work (W 2) are so remote from the guide surface (70a), transport table (2) is rotated while the workpiece (W 2) is even reached confluence (7x) of 3, the workpiece (W 2) can not be arranged mounted on the workpiece transport arc 5 shown in Figure 3, it is impossible to work the purpose good precision positio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due to the pressure of the air workpiece (W 2) the guide surface even if they are large enough to be remote from (70a), the guide face (70a) becomes near the attitude of the workpiece (W 2) unstable in,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mpossible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a work having a high precision.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정렬 가이드(7)의 하면(7z)과 반송 테이블(2)의 상면(2s)의 극간(γ)이 항상 진공 흡인되어 있기 때문에, 극간(γ)으로부터 공기가 분출해서 워크(W2)에 닿지 않고, 워크(W2)를 반송 테이블 (2) 상에서 안정하게 정렬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ap 7z between the lower surface 7z of the alignment guide 7 and the upper surface 2s of the transport table 2 is always evacuated, air is ejected from the gap g work without touching the (W 2), the workpiece (W 2) can be arranged stably on the transport table (2).

워크(W)가 도 3에 있어서 워크 반송 원호(5) 상에 재치 정렬된 상태에서 반송되면, 그 후 워크(W)는 촬상 수단(20)까지 도달하고, 촬상 수단(20)의 측면 카메라부(8), 내면 카메라부(9), 상면 카메라부(10), 하면 카메라부(11), 전면 카메라부(12), 후면 카메라부(13)에 의해, 도 2에 화살표(A~F)로 나타내는 방향으로부터 각 면이 촬상되어서 외관 검사가 행하여진다. 이 경우, 반송 테이블(2)의 하면에 존재하는 전하에 의한 흡착과 가이드면(7)의 작용에 의하여 워크(W)의 위치 결정이 정밀도 좋게 행해지고 있기 때문에, 촬상 수단(20)에 의한 촬상 정밀도가 향상한다. 외관 검사를 종료한 워크(W)는 배출부(14)에 도달하고, 외관 검사의 결과에 따라 도시되지 않은 수납 상자를 향해서 배출된다.3, the workpiece W reaches the image pickup means 20, and the side surface of the workpiece W is transferred to the side surface camera portion 20 of the image pickup means 20. Then, (A to F) in Fig. 2 by the inner camera section 8, the inner camera section 9, the upper camera section 10, the lower camera section 11, the front camera section 12 and the rear camera section 13, The respective surfaces are picked up from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s, and the visual inspection is performed. In this case, since the positioning of the workpiece W is performed with high accuracy by the attraction by the charge existing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fer table 2 and the action of the guide surface 7, . The work W that has undergone the appearance inspection reaches the discharge portion 14 and is discharged toward a storage box (not show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ppearance inspection.

배출부(14)에서 워크(W)를 배출할 경우, 예를 들면 도 2에 있어서의 지면 앞쪽의 측면(B)에 대하여 반송 테이블(2)의 내주 측으로부터 압축 에어를 분출하고, 워크(W)를 반송 테이블(2)의 외주 측에 띄어서 수납 상자로 유도할 수 있다. 수납 상자 내의 워크(W)는, 반송 테이블(2) 상에서는 그 하면에 존재하는 플러스의 전하 때문에 도 6의 (b), 도 7의 (b)에 나타내는 상태를 갖고 있었지만, 플러스 전하로부터 멀어짐으로써 도 6의 (a), 도 7의 (a)의 상태로 돌아간다. 그 사이에, 워크(W) 자체에는 정전기에 의한 대전은 발생하지 않는다.When the work W is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 14, for example, compressed air is jetted from the inner peripheral side of the transport table 2 with respect to the front side B of the paper in Fig. 2, Can be guided to the storage box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transport table 2. The work W in the storage box has the state shown in Figs. 6 (b) and 7 (b) due to the positive electric charge existing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on the transport table 2, 6 (a) and 7 (a). In the meantime, the work W itself does not generate static electricit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정전기를 이용하여 워크(W)를 반송 테이블(2)에 흡착하고 있지만, 정전기에 의해 워크(W)가 정전 파괴를 일으키거나 특성 열화 등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을, 도 8의 (a), (b)에 의해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although the workpiece W is attracted to the transfer table 2 by using the static electricit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orkpiece W from causing electrostatic breakdown or deteriorating characteristics , And Figs. 8 (a) and 8 (b).

도 8의 (a)는, 워크(W)를 반송 테이블(2)의 상면에 재치해서 반송 테이블(2)의 하면을 플러스로 대전시킴과 함께, 반송 테이블(2)의 하면에 존재하는 플러스의 전하에 의해 발생한 전기력선의 모양을 나타낸다.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력선은 플러스의 전하로부터 출발해서 마이너스의 전하에서 종단된다. 이 경우에는 마이너스의 전하는 무한원방에 존재한다고 생각되므로, 전기력선(E1)은 반송 테이블(2)의 하면에 존재하는 플러스의 전하로부터 출발해서, 반송 테이블(2)과 워크(W)를 관통해서 상방을 향한다. 그 외에 당해 플러스의 전하로부터 출발해서 하방 혹은 좌우를 향하는 전기력선도 존재하지만, 본 발명에 무관계하므로 도시하고 있지 않다. 이때, 워크(W)의 전극(Wa 및 Wb)에는 정전 유도에 의해, 또한 본체(Wd)에는 유전 분극에 의해, 각각의 하면에 마이너스의 전하가 나타나고, 동시에 각각의 상면에 플러스의 전하가 나타난다. 이때, 전극(Wa 및 Wb)은 도전체이기 때문에, 그 상면에 플러스의 전하가 모이고, 하면에 마이너스의 전하가 모여 있다. 따라서, 이들 전하에 의해 전극(Wa 및 Wb)의 내부에는 전기력선(E2)이 발생한다. 그 방향은 상면에 존재하는 플러스의 전하로부터 출발해서 하면에 존재하는 마이너스의 전하에서 종단된다.8A shows a state in which the work W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ort table 2 to positively charge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port table 2 and a positive Shows the shape of the electric force line generated by the charge. As shown in Fig. 8 (a), the electric lines of force start from a positive charge and are terminated at a negative charge. In this case, since the negative electric charge is considered to be present in the infinite distance, the electric force line E1 starts from the positive electric charge existing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port table 2, passes through the transport table 2 and the work W, . In addition to that, there exist electric force lines starting from the positive charge toward the lower side or the left and right side, but they are not shown because they are irrelevant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negative charges appear on the lower surface of each of the electrodes Wa and Wb of the work W by electrostatic induction and by a dielectric polarization of the main body Wd, and positive charges appear on the respective upper surfaces at the same time . At this time, since the electrodes Wa and Wb are conductors, positive charges are gather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negative charges are gathered on the lower surface. Therefore, the electric lines of force E2 are generated in the electrodes Wa and Wb by these charges. The direction starts from the positive charge existing on the upper surface and terminates at the negative charge existing on the lower surface.

따라서, 전극(Wa 및 Wb) 내에서는 전기력선(E1)과 전기력선(E2)이 서로 역방향으로 존재하므로 서로 소거되고,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극(Wa 및 Wb) 내에는 전기력선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전극(Wa 및 Wb)에서 분단된 전기력선을 도 8의 (b)에 있어서 E1'으로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전극(Wa 및 Wb) 내에 전기력선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전극(Wa)과 전극(Wb)은 동(同)전위이다. 즉, 전극(Wa)과 전극(Wb) 사이에 전압이 걸리지 않아, 워크의 정전 파괴 혹은 특성 열화 등은 일어나지 않는다.Therefore, in the electrodes Wa and Wb, the electric force lines E1 and E2 are opposite to each other and thus cancel each other. As shown in Fig. 8B, It is in a non-existent state. The electric lines of force divided by the electrodes Wa and Wb are denoted by E1 'in Fig. 8 (b). In this state, since there is no electric force line in the electrodes Wa and Wb, the electrode Wa and the electrode Wb are at the same potential. That is, no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electrode Wa and the electrode Wb, so that electrostatic breakdown or characteristic deterioration of the work does not occur.

그런데, 워크(W)가 무진동부(4)로부터 반송 테이블(2)에 이재되는 과도 상태에 있어서는, 반송 테이블(2)의 하면에 존재하는 전하에 의거하는 정전 유도에 의해 워크(W)의 전극(Wa, Wb) 내의 전하가 각 전극 내를 이동하면서, 전극(Wa, Wb)이 무진동부(4) 및 반송 테이블(2)과 접촉이나 이간을 반복하는 것도 생각된다. 이러한 전극(Wa, Wb)의 접촉이나 이간 시에 전극(Wa, Wb) 내의 전하가 외부와의 사이에서 이동하면, 방전에 의한 정전 파괴를 일으키는 것도 생각된다. 이 경우, 무진동부(4)는 반송 테이블(2)과 마찬가지로 절연체 등의 고저항값을 갖는 재료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극(Wa, Wb) 사이에 전하의 이동을 발생시키지 않는다.In the transient state in which the work W is transferred from the noninverting portion 4 to the transfer table 2, the electrostatic induction based on the charge existing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fer table 2 causes the electrode It is also conceivable that the electrodes Wa and Wb repeatedly come into contact with or separated from the non-oscillation portion 4 and the transport table 2 while the charges in the wafers Wa and Wb move within the respective electrodes. It is also conceivable that when the charges in the electrodes Wa and Wb move between the electrodes when the electrodes Wa and Wb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or apart from each other, electrostatic destruction due to discharge is caused. In this case, since the non-vibration section 4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resistance value such as an insulator in the same manner as the transport table 2, no movement of charges is caused between the electrodes Wa and Wb.

한편,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반송 테이블(2)의 하면을 플러스로 대전시키는 예를 나타냈지만, 필요에 따라서 마이너스로 대전시켜도 된다. 또한, 반송 테이블(2)이 글래스제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예를 나타냈지만, 반송 테이블(2)의 재료는 투명체이면, 글래스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port table 2 is positively charged. However,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port table 2 may be negatively charged as required. Further, although the example in which the transport table 2 is made of a glass material is shown, if the material of the transport table 2 is a transparent material, it is not limited to glass.

제 2 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이하, 도 10 내지 도 15에 의해,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5. Fig.

도 10 내지 도 15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는, 반송 테이블(2)의 하방에 대전 수단(6A)을 배치하는 대신에, 반송 테이블(2)의 하방에 도전판(도체)(15)을 배치한 점이 상이할 뿐이며, 다른 구성은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와 대략 동일하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0 to 15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charging means 6A is disposed below the transport table 2 and the conductive plate (conductor) 15 ), And the other configura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9. Fig.

도 10 내지 도 15에 나타내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s. 10 to 15, the same part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9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여기서, 도 10은 도 1에 있어서 파선으로 둘러싼 영역(S)을 화살표(Y)의 방향으로부터 본 투시도이며, 도 4에 대응하고 있다. 도 10에 있어서 반송 테이블(2)의 하측에는, 도 4에 있어서의 이오나이저(6)로 이루어지는 대전 수단(6A) 대신에, 도체로 이루어지는 도전판(15)이 반송 테이블(2)의 하면과 약간의 극간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전판(15)은 평면 형상을 이루고,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표면(15a)은 반송 테이블(2)에 대략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전판(15)에는 직류 전원(16)이 접속되어 직류 전압이 인가되고, 전장 발생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도 11에 의해 도전판(15)의 배치 개소를 나타낸다. 도 11은 도 1의 파선으로 둘러싼 영역(S)의 확대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3에 대응하는 것이다. 도 11에 있어서, 도전판(15)은 수평 방향에 가늘고 긴 형상으로 뻗고, 이재점(4x)으로부터 워크(W)의 반송 테이블(2) 상에 있어서의 워크 반송 원호(5) 및 정렬 가이드(7)의 가이드면(7a)에 대응하는 반송 테이블(2)의 하측에, 길이 방향이 워크(W)의 워크 반송 원호(5)를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Here,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gion S surrounded by the broken line in FIG. 1 viewed from the direction of the arrow Y, and corresponds to FIG. A conductive plate 15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transport table 2 in place of the charging means 6A made of the ionizer 6 shown in Fig. With a slight gap between them. The conductive plate 15 has a planar shape and its surface 15a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transport table 2 as shown in Fig. A DC power supply 16 is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late 15 and a DC voltage is applied thereto to constitute an electric field generating means. Fig. 11 shows the location of the conductive plate 15. Fig. Fig. 11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area S surrounded by the broken line in Fig. 1, and corresponds to Fig. 11, the conductive plate 15 extends in an elongated shap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extends from the transfer point 4x to the work transfer arm 5 on the transfer table 2 of the work W and to the alignment guide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disposed along the workpiece carrier arcs 5 of the workpiece W on the lower side of the transport table 2 corresponding to the guide surface 7a of the workpiece W.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5에 의해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5. Fig.

도 11에 있어서, 리니어 피더(1)의 진동에 의해 일렬로 반송된 워크(W)는, 반송 테이블(2) 상의 이재점(4x)에 이재되고, 직류 전원(16)에 접속된 도전판(15)에 발생한 전하의 작용에 의한 정전 유도 및 유전 분극에 의해 반송 테이블(2)의 상면에 흡착된다.11, the work W conveyed in line by the vibration of the linear feeder 1 is transferred to the transfer point 2x on the conveyance table 2, 15 and is attra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ort table 2 by induction of electrostatic induction and dielectric polarization due to the action of electric charges generated in the transport table 2.

이 흡착 작용의 형태를 도 12에 나타낸다. 도 12에 있어서, 도전판(15)이 반송 테이블(2)의 하면과 약간의 극간을 두고 배치되고, 도전판(15)에는 직류 전원(16)이 접속되어서 플러스의 직류 전압이 인가되고 있다. 이 때문에, 도전판(15)에는 플러스의 전하가 나타난다.This type of adsorption action is shown in Fig. 12, the conductive plate 15 is disposed with a slight gap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port table 2, and the DC power supply 16 is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late 15 to apply a positive DC voltage. For this reason, a positive charge appears on the conductive plate 15.

이 플러스의 전하의 작용에 의해 도 5와 마찬가지로 유전 분극이 일어나고, 도전판(15)에 대향하는 반송 테이블(2)의 내부 중 하면 측에 마이너스의 전하가 나타나며, 상면 측에 플러스의 전하가 나타난다. 또한 마찬가지로, 무진동부(4)로부터 반송 테이블(2) 상의 이재점(4x)에 이재된 워크(W2)에 있어서 전극(Wa 및 Wb)에는 정전 유도에 의해, 또한 본체(Wd)에는 유전 분극에 의해, 각각 하면 측에 마이너스의 전하가 나타나고, 상면 측에 플러스의 전하가 나타난다.As a result of the positive charge, dielectric polarization takes place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5, negative charge appears on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transfer table 2 opposite to the conductive plate 15, and positive charge appears on the upper surface side . Likewise, according to the workpiece (W 2) of different materials from the dust-Eastern 4 to the dissimilar points (4x) on the transport table (2) by, the electrostatic induction electrode (Wa and Wb), also has dielectric polarization unit (Wd) A negative charge appears on the lower surface side and a positive charge appears on the upper surface side, respectively.

그리고, 전극(Wa, Wb) 및 본체(Wd)의 하면 측에 나타난 마이너스의 전하와 도전판(15)의 플러스의 전하 사이에는, 화살표로 나타낸 정전 흡착력(G)이 작용하고, 이에 따라 워크(W2)는 반송 테이블(2)의 상면에 흡착된 상태로 반송 테이블(2)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X)의 방향으로 반송된다.An electrostatic attraction force G indicated by an arrow acts between the negative charges appearing on the lower surfaces of the electrodes Wa and Wb and the body Wd and the positive charges on the conductive plate 15, W 2 are transpor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X by the rotation of the transport table 2 while being adsorb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ort table 2.

이 경우, 도 8의 (a), (b)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워크(W) 자체에는 정전기에 의한 대전은 발생하지 않으므로, 워크(W)가 정전 파괴를 일으키거나 특성 열화를 발생시키지 않는다.In this case, as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8A and 8B, static electricity is not charged in the work W itself, so that the work W causes electrostatic breakdown or deteriorates characteristics .

한편,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도전판(15)의 면이 반송 테이블(2)의 면에 대략 평행하다고 설명했지만, 도전판(15)의 면과 반송 테이블(2)의 면의 위치 관계는,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1에 있어서의 L 방향으로부터 본 확대도를 도 13에 나타내고, 도 13 중에 도전판(15)의 플러스의 전하로부터 출발하는 전기력선의 모양을 나타낸다.Although the plane of the conductive plate 15 is described as bein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plane of the transport table 2 in the description of the above embodiment,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plane of the conductive plate 15 and the plane of the transport table 2 Are not limited to these. Fig. 13 is an enlarged view of Fig. 11 viewed from the L direction, and Fig. 13 shows the shape of an electric line of force starting from the positive charge of the conductive plate 15. Fig.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력선이 반송 테이블(2) 및 워크(W)를 관통함으로써 정전 유도 및 유전 분극이 일어나고, 워크(W)의 하면에 마이너스의 전하가 발생하고, 워크(W)의 상면에 플러스의 전하를 발생시키고 있다. 여기서, 간략화를 위해, 유전 분극에 의해 반송 테이블(2) 내에 발생하는 전하는 도시하고 있지 않다.As shown in Fig. 13, electrostatic induction and dielectric polarization occur due to the electric force line passing through the transport table 2 and the work W, negative charge is gener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ork W, Thereby generating a positive charge. Here, for the sake of simplicity, the electric charge generated in the transfer table 2 by the dielectric polarization is not shown.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전판(15) 상의 플러스의 전하로부터 출발하는 전기력선 중, 도전판(15)의 단면(15x)의 근방에 존재하는 플러스의 전하로부터 출발하는 것(도면 중의 Ex)은, 전하가 존재하지 않는 측, 즉 도전판(15)의 외측을 향해서 구부러진다는 성질을 갖는다. 이 때문에, 도 13에 나타내는 구성 대신에, 도 14와 같이 도전판(15)을 그 표면(15a)이 반송 테이블(2)과 대략 직각이 되도록 해서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 도전판(15)은 수평 방향으로 가늘고 긴 형상으로 뻗으며, 정렬 가이드(7)의 가이드면(7a)에 대응하는 반송 테이블(2)의 하측에 있어서, 길이 방향이 워크(W)의 워크 반송 원호(5)에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된다.(Ex in the figure) starting from a positive charge existing in the vicinity of the end face 15x of the conductive plate 15 out of the electric lines of force starting from the positive charge on the conductive plate 15 , And is bent toward the side where no charge is present, that is, toward the outside of the conductive plate 15. Therefore, instead of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13, the conductive plate 15 may be arranged such that its surface 15a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transport table 2,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conductive plate 15 extends in a horizontally elongated shape, and is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transport table 2 corresponding to the guide surface 7a of the alignment guide 7, And i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workpiece carrier 5 of the workpiece W.

도 14에 있어서, 도전판(15)의 플러스의 전하로부터 출발한 전기력선 중 단면(15x) 근방의 플러스의 전하로부터 출발한 전기력선은 반송 테이블(2) 및 워크(W)를 관통한다. 이 때문에, 도 13에 나타내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정전 유도 및 유전 분극에 의해 워크(W)의 하면에 마이너스 전하가 발생하고, 워크(W)의 상면에 플러스의 전하를 발생시킨다.14, an electric line of force originating from a positive electric charge in the vicinity of the end face 15x of the electric line of force starting from the positive electric charge of the conductive plate 15 passes through the transport table 2 and the work W. 13, negative electric charges are gener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ork W by electrostatic induction and dielectric polarization, and a positive charge is gener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 W. As shown in Fig.

또한, 도 15와 같이, L자 형상의 단면을 가진 도전판(15)을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도전판(15)의 교차하는 2표면(15b, 15c) 중, 표면(15b)을 반송 테이블(2)에 대략 직각이 되도록 배치하고, 표면(15c)을 반송 테이블(2)에 대략 평행하게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 도전체(15)는 수평 방향으로 가늘고 긴 형상으로 뻗고, 정렬 가이드(7)의 가이드면(7a)에 대응하는 반송 테이블(2)의 하측에 있어서, 길이 방향이 워크(W)의 워크 반송 원호(5)에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5, a conductive plate 15 having an L-shaped cross section may be provided. In this case, of the two intersecting surfaces 15b and 15c of the conductive plate 15, the surface 15b is arranged at a substantially right angle to the transport table 2, and the surface 15c is roughly placed on the transport table 2 It may be arranged in parallel. In this case, the conductor 15 extends in a horizontally elongated shape and is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transport table 2 corresponding to the guide surface 7a of the alignment guide 7, And i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workpiece carrier 5.

도 15에 있어서, 전기력선끼리는 교차하지 않는다는 성질을 갖기 때문에, 도전판(15)의 플러스의 전하로부터 출발한 전기력선 중 단면(15x)의 근방에 존재하는 플러스의 전하로부터 출발한 전기력선은 반송 테이블(2) 및 워크(W)를 관통한다. 이 때문에, 도 13과 마찬가지로, 정전 유도 및 유전 분극에 의해 워크(W)의 하면에 마이너스의 전하를 발생시키고, 워크(W)의 상면에 플러스의 전하를 발생시킨다.15, the electric lines of force starting from the positive electric charge existing in the vicinity of the end face 15x of the electric lines of force starting from the positive electric charges of the conductive plate 15 do not intersect with each other, And the work W. 13, negative charge is gener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work W by electrostatic induction and dielectric polarization, and positive charge is gener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 W.

한편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도전판(15)을 플러스로 대전시키는 예를 나타냈지만, 필요에 따라 마이너스로 대전시켜도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conductive plate 15 is positively electrified, but it may be negatively charged if necessary.

1 리니어 피더
2 반송 테이블
3 반송 테이블의 중심축
4 무진동부
4x 이재점
5 워크 반송 원호
6 이오나이저
6A 대전 수단
7 정렬 가이드
7a 가이드면
7x 합류점
8 측면 카메라부
9 내면 카메라부
10 상면 카메라부
11 하면 카메라부
12 전면 카메라부
13 후면 카메라부
14 배출부
15 도전판
17 진공원
17a 연결 라인
18 흡인 통로
18a 흡인 통로의 일단
18b 흡인 통로의 타단
20 촬영 수단
21 이재 정렬 수단
30 워크의 외관 검사 장치
W 워크
Wa, Wb 워크의 전극
Wd 워크의 본체
1 Linear Feeder
2 conveyance table
3 The center axis of the transport table
4 non-vibrating eastern
4x leverage point
5 Workpiece return arc
6 Ionizers
6A fighting means
7 alignment guide
7a guide surface
7x junction
8 side camera part
9 Internal camera part
10 Top camera part
11,
12 Front camera part
13 Rear camera unit
14 outlet
15 conductive plate
17 vacuum source
17a connecting line
18 suction passage
18a One end of the suction passage
18b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passage
20 Means of shooting
21 spacer alignment means
30 Appearance inspection system of work
W work
Wa, Wb electrode of work
Body of Wd work

Claims (8)

6면체 형상의 워크를 반송하는 리니어 피더와,
리니어 피더로부터 워크가 이재(移載)점에서 이재되고, 이 워크를 재치(載置)한 상태에서 워크 반송 원호 상에서 반송하는 투명체로 이루어지는 회전 가능한 원형 반송 테이블과,
리니어 피더와 반송 테이블 사이에 배설(配設)되고, 리니어 피더로부터의 워크를 반송 테이블 상에 이재해서 정렬시키는 이재 정렬 수단과,
반송 테이블 하방에 배치되고, 반송 테이블에 재치된 워크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반송 테이블 상의 워크의 6면을 촬상하는 촬상 수단을 구비하고,
이재 정렬 수단은 리니어 피더와 반송 테이블 사이에 설치된 무진동부와, 무진동부의 하류 측에 설치되고, 워크를 정렬하는 평면으로부터 볼 때 직선 형상의 가이드면을 갖는 정렬 가이드를 갖고,
정렬 가이드의 가이드면은, 평면상, 이재점과 반송 테이블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며, 또한 이재점의 하류에서 워크 반송 원호의 접선을 형성하고,
정렬 가이드는 반송 테이블 상에 위치함과 함께, 정렬 가이드에 정렬 가이드와 반송 테이블 사이의 극간을 진공 흡인하는 진공 흡인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의 외관 검사 장치.
Linear feeder which conveys the work of hexagonal shape,
Rotatable circular conveyance table which consists of a transparent body which a workpiece transfers from a linear feeder at a transfer point, and conveys on a workpiece conveyance arc in the state which mounted this workpiece,
Transfer material alignment means disposed between the linear feeder and the transfer table, and moving the workpieces from the linear feeder onto the transfer table and aligned;
A holding means disposed below the conveying table and holding the workpiece placed on the conveying table;
It is provided with the imaging means which image | photographs 6 surfaces of the workpiece | work on a conveyance table,
The dissimilar material aligning means has a vibration-free part provided between the linear feeder and the conveying table, and an alignment guide having a guide face of a linear shape when viewed from a plane aligning the work, which is provided downstream of the vibration-free part,
The guide surface of the alignment guide forms an acute angle with respect to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transfer point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transfer table on a plane, and forms a tangent of the workpiece conveyance arc downstream of the transfer point,
The alignment guide is located on the conveyance table and is provided with a vacuum suction means for vacuum sucking the gap between the alignment guide and the conveyance table in the alignment guide.
제 1 항에 있어서,
진공 흡인 수단은 진공원과, 정렬 가이드에 설치되고, 일단이 반송 테이블과 정열 가이드 사이의 극간에 개구하고, 타단이 진공원에 연통하는 흡인 통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의 외관 검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vacuum suction means is provided in the vacuum source and the alignment guide, and has a suction passage, one end of which is opened between the gap between the conveying table and the alignment guide, and the other end of which communicates with the vacuum source.
제 1 항에 있어서,
원형 반송 테이블은 투명한 글래스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의 외관 검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ircular conveyance table consists of a transparent glass body, The appearance inspection apparatus of the workpiece | work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에 있어서,
유지 수단은 반송 테이블의 하면을 향해서 대전 이온을 분출해서 반송 테이블 하면을 대전하는 대전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의 외관 검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olding means consists of charging means which blows out charged ions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conveyance table, and charges the lower surface of the conveyance table.
제 1 항에 있어서,
유지 수단은 반송 테이블의 하방에 배치된 도체로 이루어지고, 이 도체에 직류 전압을 인가해서 전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의 외관 검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olding means consists of a conductor arrange | positioned under the conveyance table, and applies the direct current voltage to this conductor, and produces an electric field, The external appearance inspection apparatus of the workpiece | work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에 있어서,
반송 테이블에 의한 워크의 반송 속도는, 리니어 피더에 의한 워크의 반송 속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의 외관 검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veyance speed of the workpiece | work by a conveyance table is larger than the conveyance speed of the workpiece | work by a linear feeder, The external appearance inspection apparatus of the workpiece | work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제 1 항에 있어서,
정렬 가이드의 가이드면은, 평면상, 이재점과 반송 테이블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해서, 75도~88도의 예각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의 외관 검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guide surface of the alignment guide forms an acute angle of 75 degrees to 88 degrees with respect to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transfer point and the conveyance table on a plane.
제 1 항에 기재된 워크의 외관 검사 장치를 이용한 워크의 외관 검사 방법에 있어서,
6면체 형상의 워크를 리니어 피더에 의해 반송하는 공정과,
리니어 피더로부터의 워크를 무진동부 및 정렬 가이드를 통해서 원형 반송 테이블 상의 이재점에 이재함과 함께, 정렬 가이드의 가이드면에 의해 워크를 정렬시키는 공정과,
유지 수단에 의해 반송 테이블에 재치된 워크를 유지한 상태에서, 워크를 반송 테이블의 워크 반송 원호 상에서 반송하는 공정과,
반송 테이블 상의 워크의 6면을 촬상 수단에 의해 촬상하는 공정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의 외관 검사 방법.
A method for inspecting the appearance of a workpiece using the apparatus for inspecting a workpiece according to claim 1,
A process of conveying a hexagonal work piece by a linear feeder,
The process of aligning the workpiece by the guide surface of the alignment guide while transferring the workpiece from the linear feeder to the transfer point on the circular conveyance table through the vibration-free part and the alignment guide;
A step of conveying the workpiece on the workpiece conveyance arc of the conveying table while holding the workpiece placed on the conveying table by the holding means;
Process of imaging 6 surfaces of the workpiece | work on a conveyance table by an imaging means
And a step of inspecting the appearance of the work.
KR1020130004357A 2012-01-17 2013-01-15 Apparatus and method of inspecting appearance of work KR10143644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06918A JP6009167B2 (en) 2012-01-17 2012-01-17 Work appearance inspection apparatus and work appearance inspection method
JPJP-P-2012-006918 2012-0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621A true KR20130084621A (en) 2013-07-25
KR101436449B1 KR101436449B1 (en) 2014-09-02

Family

ID=48751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357A KR101436449B1 (en) 2012-01-17 2013-01-15 Apparatus and method of inspecting appearance of work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009167B2 (en)
KR (1) KR101436449B1 (en)
CN (1) CN103204375B (en)
MY (1) MY167683A (en)
TW (1) TWI480540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44031B2 (en) * 2014-04-21 2018-06-20 シンフォニア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parts feeder and parts feeder
CN104007124B (en) * 2014-04-29 2017-01-25 雄华机械(苏州)有限公司 Appearance inspection apparatus with check assembly
JP6529170B2 (en) * 2015-08-26 2019-06-12 株式会社 東京ウエルズ Work appearance inspection apparatus and work appearance inspection method
CN106018422B (en) * 2016-07-13 2018-09-18 河北工业大学 Based on matched special-shaped stamping parts profile defects vision detection system and method
CN107777298A (en) * 2017-08-09 2018-03-09 珠海市奥德维科技有限公司 Minor items guiding mechanism and use its apparent visual detection device
JP7205846B2 (en) * 2017-11-07 2023-01-17 株式会社 東京ウエルズ CONVEYING DEVICE, CONVEYING METHOD, AND APPEARANCE INSPECTION DEVICE
CN108015016A (en) * 2017-12-22 2018-05-11 珠海市奥德维科技有限公司 Six face sorting device of NR magnetic cores appearance
CN107838056A (en) * 2017-12-22 2018-03-27 珠海市奥德维科技有限公司 Electric capacity hexahedron check machine
JP7244823B2 (en) * 2019-01-15 2023-03-23 株式会社ダイシン Transport management system and transport device
JPWO2023127315A1 (en) * 2021-12-27 2023-07-06
TWI814542B (en) * 2022-08-17 2023-09-01 產台股份有限公司 Alignment device for workpiece appearance inspection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0257B2 (en) * 2000-08-28 2005-08-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Chip parts transfer device
WO2005100215A1 (en) * 2004-04-13 2005-10-27 Tdk Corporation Chip component carrying method and system, and visual inspection method and system
JP2008105811A (en) * 2006-10-26 2008-05-08 Ishikawa Seisakusho Ltd Visual inspection device of workpiece
CN102079448B (en) * 2009-11-27 2013-09-04 东京威尔斯股份有限公司 Inspection apparatus for appearance of workpiece and inspection method thereof
JP5598912B2 (en) * 2009-11-27 2014-10-01 株式会社 東京ウエルズ Work appearance inspection apparatus and work appearance inspe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148362A (en) 2013-08-01
CN103204375B (en) 2015-07-15
CN103204375A (en) 2013-07-17
MY167683A (en) 2018-09-21
KR101436449B1 (en) 2014-09-02
TW201339571A (en) 2013-10-01
TWI480540B (en) 2015-04-11
JP6009167B2 (en) 201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6449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inspecting appearance of work
KR10127172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appearance of work
KR10185197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appearance of work
CN102079448B (en) Inspection apparatus for appearance of workpiece and inspection method thereof
TWI604518B (en) Substrate separation apparatus
TW201641393A (en) Article supply device
JP7208733B2 (en) Conveyor system
KR101551784B1 (en) Work transporting device
JP2017105606A (en) Part feeder
JP7205846B2 (en) CONVEYING DEVICE, CONVEYING METHOD, AND APPEARANCE INSPECTION DEVICE
JP7347386B2 (en) Electrostatic induction adsorption conveyor and electrostatic induction adsorption transfer device
JP2016102024A (en) Method and device for aligning semiconductor chips
CN113443386B (en) Conveying device and conveying method
CN116964932A (en) Piezoelectric vibration devic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piezoelectric vibration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W201737787A (en) Article supplying device
JP2020056636A (en) Electronic component inspection system for burn-in test
JP2018058662A (en) Vibration type component conveying apparatus
JP2014007177A (en)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manufacturing apparatus
JP2014060353A (en) Transport device and transpor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