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4487A -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4487A
KR20130084487A KR1020120005307A KR20120005307A KR20130084487A KR 20130084487 A KR20130084487 A KR 20130084487A KR 1020120005307 A KR1020120005307 A KR 1020120005307A KR 20120005307 A KR20120005307 A KR 20120005307A KR 20130084487 A KR20130084487 A KR 20130084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mage
unit
dangerous situation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9304B1 (ko
Inventor
최병인
조건욱
최유진
Original Assignee
최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유진 filed Critical 최유진
Priority to KR1020120005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304B1/ko
Publication of KR20130084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 B60Q1/53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to prevent rear-end collisions, e.g. by indicating safety distance at the rear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002Advertising means including image processing to create a special effect when viewed from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차량(예: 승용차, 버스, 트럭, 특수차량 등...)에 구비되며, 고장차량이나 사고차량 또는 긴급 상황이 발생할 시 차량의 후방에 위험신호 영상을 비춰주면 뒤에서 오는 차량이 영상신호를 보고 위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영상표시부(1);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각종 차량(예: 승용차, 버스, 트럭, 특수차량 등...)에 영상표시장치를 구비하여 고장차량, 사고차량 등이 발생할 시 차량의 후방에 위험신호 영상을 비춰주면 뒤에서 오는 차량이 영상신호를 보고 위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 및 그 운용방법{A system for image indicate of vehicle danger situation and its operationa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종 차량(예: 승용차, 버스, 트럭, 특수차량 등...)에 영상표시장치를 구비하여 고장차량, 사고차량 등이 발생할 시 차량의 후방에 위험신호 영상을 비춰주면 뒤에서 오는 차량이 영상신호를 보고 위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차량의 운전중에는 엔진계열의 고장이나 타이어펑크 등과 같은 예기치 않은 비상상황이 발생하여 도로상에 비상주차를 요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이러한 비상주차시에는 후방에서 주행하는 다른 차량 들에 의한 충돌사고를 피하기 위하여는 비상주차중인 사실을 후방차량 운전자들에게 신속하게 알려주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도 색상 및 발광수단을 갖는 3개의 표지판을 절첩가능케 연결하여 비상 상황시 삼각형상으로 펼쳐서 조립고정한 다음 하부표지판이 갖는 받침편을 이용하여 도로면 상에 경사지게 설치해 줄 수 있도록 한 비상주차 차량용 안전표지대가 제공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의 비상주차 차량용 안전표지대는 보관시 부피의 최소화를 위하여 3개의 표지판을 절첩 가능케 연결형성하여 사용시 삼각형상으로 펼쳐서 고정하고 또 하부표지판으로부터 받침편을 펼쳐서 도로면 상에 설치해 주도록 함으로서, 비상주차차량으로부터 안전표지대를 끄집어내 도로면 상에 설치해 주기까지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비상상황 발생시 즉각적인 안전조치가 어려워 그 사이에 안전사고 위험이 따르게 된다.
특히 안전표지대는 비상주차차량과는 별도로 도로면 상에 설치됨에 따라 후방차량 운전자들의 시각분산으로 식별력이 떨어지게 되고 또 설치위치나 크기 등으로 볼 때에도 식별하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자연풍이나 또는 지나다니는 차량 들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의 영향 등으로 쉽게 쓰러지게 되므로 안전표지대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가 없어 비상주차시 안전표지대의 설치에도 불구하고 비상주차 차량 및 안전표지대의 식별력 부족으로 인하여 뒤따르는 차량 들에 의한 치명적인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선행기술문헌 1, 2, 3 이 제시되었다. 즉, 선행기술문헌 1은 실용신안등록 제20-0145935호(출원번호 제1996-0007131호)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전면에 주차금지표지문구가 기재된 세움판체와; 상기 세움판체의 하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앵커볼트가 관통고정되는 다수개의 앵커공이 천공된 받침판체와; 상기 세움판체를 받침판체에 대하여 세워진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세움판체의 배면과 받침판체의 상면사이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버팀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안전표지 겸용 주차금지판을 제공한다. 또한 선행기술문헌 2는 특허공개 제2005-0008118호(출원번호 제2003-0047961호)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차량의 후방을 개폐하는 후방도어의 상단에 장착되는 한 쌍의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과 결합하여 안전표시부를 감아 저장하거나 배출하는 알림부재와; 상기 안전표시부의 끝단에 형성되는 배출고리와; 상기 배출고리와 결합하는 끈의 끝단이 감겨지도록 후방도어의 하방에 형성되는 고정고리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주차 알림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선행기술문헌 3은 특허공개 제2011-0017312호(출원번호 제2009-0074912호)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부착수단을 갖는 받침대와; 받침대 일측에 축핀으로 절첩가능케 연결설치되는 조출식 지지봉 및; 지지봉 상부에 연결형성되는 표시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주차차량용 안전표지대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들은 모두 다음과 같은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상기 종래의 기술은 안전표지판을 후방 50미터 지점에 설치하러 가거나 또는 오다가 불의의 사고가 발생할 소지가 있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은 안전표시부가 차량에 설치됨으로 인해 고속으로 달려오는 차량에 추돌할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량(예: 승용차, 버스, 트럭, 특수차량 등...)에 구비되며, 고장차량이나 사고차량 또는 긴급 상황이 발생할 시 차량의 후방에 위험신호 영상을 비춰주면 뒤에서 오는 차량이 영상신호를 보고 위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영상표시부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차량의 후방에 위험표시 영상을 표시하므로 종래와 같이 후방에 안전표지판을 설치하러 가거나 또는 오다가 불의의 사고를 당하는 문제점을 일거에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3목적은 종래와 같이 안전표시부가 차량에 설치되지 않으므로 인해 차량과 추돌할 염려가 없도록 한 것이고, 특히 제4목적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고장차량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5목적은 영상표시를 그림이나 동영상 또는 문자, 기호, 숫자, 도형 등으로 다양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6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예: 승용차, 버스, 트럭, 특수차량 등...)에 구비되며, 고장차량이나 사고차량 또는 긴급 상황이 발생할 시 차량의 후방에 위험신호 영상을 비춰주면 뒤에서 오는 차량이 영상신호를 보고 위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영상표시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그림이나 동영상 또는 문자, 기호, 숫자, 도형 등을 사용자입력부에 입력하는 단계; 및 차량(예: 승용차, 버스, 트럭, 특수차량 등...)에 영상표시부가 구비된 상태에서 고장차량이나 사고차량 또는 긴급 상황이 발생할 시 제어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상출력부를 통해 차량의 후방에 위험신호 영상을 비춰주는 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의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예: 승용차, 버스, 트럭, 특수차량 등...)에 구비되며, 고장차량이나 사고차량 또는 긴급 상황이 발생할 시 차량의 후방에 위험신호 영상을 비춰주면 뒤에서 오는 차량이 영상신호를 보고 위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영상표시부가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에 위험표시 영상을 표시하므로 종래와 같이 후방에 안전표지판을 설치하러 가거나 또는 오다가 불의의 사고를 당하는 문제점을 일거에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안전표시부가 차량에 설치되지 않으므로 인해 차량과 추돌할 염려가 없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고장차량 표시를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영상표시를 그림이나 동영상 또는 문자, 기호, 숫자, 도형 등으로 다양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의
블럭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의
제1실시예 사용상태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적용된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의
제2실시예 사용상태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의
제2실시예 사용상태 사시도.
본 발명에 적용된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 및 그 운용방법은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차량(예: 승용차, 버스, 트럭, 특수차량 등...)에 구비되며, 고장차량이나 사고차량 또는 긴급 상황이 발생할 시 차량의 후방에 위험신호 영상을 비춰주면 뒤에서 오는 차량이 영상신호를 보고 위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영상표시부(1)가 구비된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상 영상표시부(1)를 자동차에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상 도시한 것일 뿐, 영상표시부(1)를 다양한 차량(예: 버스, 트럭, 특수차량 등...)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영상표시부(1)는 도 1 과 같이 구성된다.
즉, 사용자가 그림이나 동영상 또는 문자, 기호, 숫자, 도형 등을 입력하는 사용자입력부(20)가 구비된다.
특히 상기 사용자입력부(20)에는 데이터를 유,무선으로 입력하거나 또는 USB와 같은 저장장치를 연결하여 데이터 내용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2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입력부(20)와 연결되어 하나 또는 두개 이상의 영상출력부(30)로 출력을 콘트롤하는 제어부(10)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제어부(10)에는 2D 또는 3D 홀로그램(hologram) 영상(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이 출력되는 홀로그램장치(11)가 연결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제어부(10)에는 사용자가 비상시 누르면 영상출력부(30)를 통해 영상을 송출하는 비상버튼(12)이 연결 구비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어부(10)에 스크린형성부(13)가 연결 구비되는 것으로, 이 스크린형성부(13)는 영상출력부(30)의 영상이 닿으면 막(스크린 역할)을 형성하도록 연기나 수증기 또는 기체가 뿌려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영상출력부(30)는 도로 여건에 따라 각도, 높낮이, 회전 및 길이를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영상출력력부(30)는 차량의 후방에 위험신호 영상을 비춰주도록 차량 뒷범퍼, 뒷유리, 지붕 뒤쪽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외의 장소에 영상출력부(30)를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하여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제어부(10)에는 주변에 위험상황을 음향으로 알려주는 스피커(14)가 연결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제어부(10)에는 영상출력부(30)와 상호 연동하여 차량의 후방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방카메라(15)가 연결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제어부(10)에는 영상출력부(30)와 상호 연동하여 송수신하는 전파의 방향을 잡아서 차량의 안테나 역할을 하는 안테나(16)가 연결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각종 차량(예: 승용차, 버스, 트럭, 특수차량 등...)에 영상표시장치를 구비하여 고장차량, 사고차량 등이 발생할 시 차량의 후방에 위험신호 영상을 비춰주면 뒤에서 오는 차량이 영상신호를 보고 위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먼저 사용자가 그림이나 동영상 또는 문자, 기호, 숫자, 도형 등을 사용자입력부(20)에 입력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때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20)를 통해 데이터를 직접 입력하거나 또는 포트(21)에 USB와 같은 저장장치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옮겨 저장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유,무선으로 데이터를 사용자입력부(20)에 저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후 본 발명은 차량(예: 승용차, 버스, 트럭, 특수차량)에 영상표시부(1)가 구비된 상태에서 고장차량이나 사고차량 또는 긴급 상황이 발생할 시 제어부(10)와 영상출력부(30)를 통해 차량의 후방에 위험신호 영상을 비춰주는 단계를 거쳐 차량의 후방에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해주게 되어 결국 안전한 도로교통 여건을 마련해주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영상신호는 특히 야간에 운전자에게 경각심을 심어줄 수 있는 다양한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특히 상기 영상표시부(1)가 비상버튼(12)과 연동하여 작동하되, 차량의 비상시 운전자가 비상버튼을 누르면 영상출력부(30)를 통해 영상이 출력되거나 또는 차량의 비상 급정거시 자동으로 영상출력부(30)를 통해 영상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영상출력부(30)를 통해서는 홀로그램장치(11)에 담겨진 2D 또는 3D 홀로그램(hologram) 영상이 출력되도록 하여 사실감 있게 위험상황을 알려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위험 영상이 표시됨은 물론 스피커(14)를 통해서는 사이렌 같은 위험상황을 알려주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여 더욱더 운전자들의 경각심을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영상출력부(3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도 3,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후방으로부터 약 50~100m 후방의 허공에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물론 상기 거리는 사용자가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는 본 발명에 적용된 스크린형성부(13)에 의해 연기나 수증기 또는 기체가 뿌려지면 막(스크린 역할을 함)이 형성되는데, 이 막에 영상을 표시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는 도 2 와 같이 바닥에 비스듬이 영상이 비춰지게 하여 뒤에서 오는 차량 운전자가 위험 영상이 세워진 것처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더 위험차량을 바로 확인하여 안전운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어부(10)에는 영상출력부(30)와 상호 연동하여 차량의 후방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방카메라(15)가 연결 구비되는 것으로, 이는 차량의 후방에서 달려오는 차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만일의 사고시 사고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평상시에는 주차시에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에는 영상출력부(30)와 상호 연동하여 송수신하는 전파의 방향을 잡아서 차량의 안테나 역할을 하는 안테나(16)가 연결 구비되는 것으로, 이는 별도의 안테나를 설치할 필요가 없도록 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또 다른 실시 예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두 개 이상의 영상출력부(3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상호 겹쳐지게 하는 것으로, 일측의 영상출력부(3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은 스크린역할을 하게 되고, 다른 하나는 영상(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표시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 및 그 운용방법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영상표시부 10: 제어부
11: 홀로그램장치 13: 스크린형성부
20: 사용자입력부 30: 영상출력부

Claims (17)

  1. 차량(예: 승용차, 버스, 트럭, 특수차량)에 구비되며, 고장차량이나 사고차량 또는 긴급 상황이 발생할 시 차량의 후방에 위험신호 영상을 비춰주면 뒤에서 오는 차량이 영상신호를 보고 위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 영상표시부(1);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부(1)는,
    사용자가 그림이나 동영상 또는 문자, 기호, 숫자, 도형 등을 입력하는 사용자입력부(20); 및
    사용자입력부(20)와 연결되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영상출력부(30)로 영상출력을 콘트롤하는 제어부(1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
  3.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에는 2D 또는 3D 홀로그램(hologram) 영상이 출력되도록 한 홀로그램장치(11);가 더 연결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
  4.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에는 사용자가 비상시 누르면 영상출력부(30)를 통해 영상을 송출하는 비상버튼(12);이 더 연결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
  5.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에는 후방을 비춰주는 영상출력부(30)의 영상이 닿으면 막을 형성하도록 연기나 수증기 또는 기체가 뿌려지도록 한 스크린형성부(13);가 더 연결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
  6.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부(30)는 도로 여건에 따라 각도, 높낮이, 회전 및 길이를 조절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
  7.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부(30)는 차량의 후방에 위험신호 영상을 비춰주도록 차량 뒷범퍼, 뒷유리, 지붕 뒤쪽에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
  8.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에는 주변에 위험상황을 음향으로 알려주는 스피커(14);가 더 연결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
  9.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입력부(20)에는 데이터를 유,무선으로 입력하거나 또는 USB와 같은 저장장치를 연결하여 데이터 내용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포트(21)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
  10.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에는 영상출력부(30)와 상호 연동하여 차량의 후방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방카메라(15);가 더 연결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
  11.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에는 영상출력부(30)와 상호 연동하여 송수신하는 전파의 방향을 잡아서 차량의 안테나 역할을 하는 안테나(16);가 더 연결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
  12. 사용자가 그림이나 동영상 또는 문자, 기호, 숫자, 도형을 사용자입력부(20)에 입력하는 단계; 및
    차량(예: 승용차, 버스, 트럭, 특수차량)에 영상표시부(1)가 구비된 상태에서 고장차량이나 사고차량 또는 긴급 상황이 발생할 시 제어부(10)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영상출력부(30)를 통해 차량의 후방에 위험신호 영상을 비춰주는 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의 운용방법.
  13. 청구항 12 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부(1)는 비상버튼(12)과 연동하여 작동하되, 차량의 비상시 비상 버튼을 누르면 영상출력부(30)를 통해 영상이 출력되거나 또는 차량의 비상 급정거시 자동으로 영상출력부(30)를 통해 영상이 출력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의 운용방법.
  14. 청구항 12 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부(30)를 통해서는 2D 또는 3D 홀로그램(hologram)의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이 출력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의 운용방법.
  15. 청구항 12 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부(3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허공에 표시하거나 또는 스크린형성부(13)에 의해 연기나 수증기 또는 기체가 뿌려진 막에 영상을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의 운용방법.
  16. 청구항 12 에 있어서,
    상기 영상출력부(3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바닥에 비스듬이 비춰지게 하여 뒤에서 오는 차량 운전자가 영상이 세워진 것처럼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의 운용방법.
  17. 청구항 12 에 있어서,
    상기 두 개 이상의 영상출력부(3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상호 겹쳐지게 하여 하나는 스크린역할을 하고, 다른 하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함은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의 운용방법.
KR1020120005307A 2012-01-17 2012-01-17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1389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307A KR101389304B1 (ko) 2012-01-17 2012-01-17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307A KR101389304B1 (ko) 2012-01-17 2012-01-17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487A true KR20130084487A (ko) 2013-07-25
KR101389304B1 KR101389304B1 (ko) 2014-04-30

Family

ID=48995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307A KR101389304B1 (ko) 2012-01-17 2012-01-17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30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662B1 (ko) * 2013-08-08 2014-10-1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차 비상상태 표시시스템
KR20150130722A (ko) * 2014-05-14 2015-11-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영상 표시 장치
KR20210005757A (ko) * 2019-07-04 2021-01-15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자율주행차량의 응급상황 처리 시스템, 그리고 자율주행차량 장치
KR20220112310A (ko) * 2021-02-01 2022-08-1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자율주행 차량의 응급 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0404A1 (de) * 1996-09-30 1998-04-09 Ldt Gmbh & Co Vorrichtung zur Darstellung von Bildern
KR20100022157A (ko) * 2008-08-19 2010-03-02 조병관 자동차의 후방 표시장치
KR20100090334A (ko) * 2009-02-06 2010-08-16 대 욱 강 입체 안전 삼각대
KR20110089979A (ko) * 2010-02-02 2011-08-10 최광두 홀로그램을 이용한 비상삼각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9662B1 (ko) * 2013-08-08 2014-10-1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차 비상상태 표시시스템
KR20150130722A (ko) * 2014-05-14 2015-11-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차량용 영상 표시 장치
KR20210005757A (ko) * 2019-07-04 2021-01-15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자율주행차량의 응급상황 처리 시스템, 그리고 자율주행차량 장치
KR20220112310A (ko) * 2021-02-01 2022-08-1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자율주행 차량의 응급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9304B1 (ko) 2014-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3358Y1 (ko) 스쿨존의 속도 감지 및 표시장치
KR101389304B1 (ko) 차량의 위험한 상황을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 및 그 운용방법
JP5696712B2 (ja) 情報表示システム
KR100608974B1 (ko) 지하주차장 진출입구의 안전시설 시스템
JP6330382B2 (ja) 車両用故障通報装置
KR101682061B1 (ko) 도로경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30093890A1 (en) Vehicle data communication and display system
CN202102544U (zh) 一种汽车故障预警装置
KR20160092963A (ko) 과속 및 신호위반에 의한 교차로 교통사고 예방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036451A (ko) 이중 주차 문제 해소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40636A (ko) 역주행방지시스템
CN108297786B (zh) 汽车激光警告装置
KR102006627B1 (ko) 후방 안전 표시장치
WO2018198868A1 (ja) スクリーンシステム、表示システム、スクリーンシステム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及び表示システムを備える移動体
US11783704B2 (en) Warning device and signal lamp
CN103310636A (zh) 限高警示装置
US20110156889A1 (en) Vehicle warning system and method
KR20200000391A (ko) 트렁크에 부착하는 롤식 고장표지판
CN206426927U (zh) 一种基于视频测距的车辆防碰撞系统
WO2014013641A1 (ja) 車載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車載映像投影装置
CN112440864A (zh) 车辆转弯时的投影显示系统、方法和车辆
CN112440867A (zh) 车辆处于混合交通环境时的投影显示系统、方法和车辆
CN216268697U (zh) 一种重型汽车红外夜视控制系统
CN210502468U (zh) 车辆处于混合交通环境时的投影显示系统和车辆
JP3138836U (ja) 左右確認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