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4128A - 핸드헬드 전자기기용 거치 장치를 구비한 가방 - Google Patents

핸드헬드 전자기기용 거치 장치를 구비한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4128A
KR20130084128A KR1020120004919A KR20120004919A KR20130084128A KR 20130084128 A KR20130084128 A KR 20130084128A KR 1020120004919 A KR1020120004919 A KR 1020120004919A KR 20120004919 A KR20120004919 A KR 20120004919A KR 20130084128 A KR20130084128 A KR 20130084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arm
bag
handheld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0362B1 (ko
Inventor
한보림
Original Assignee
한보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보림 filed Critical 한보림
Priority to KR1020120004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0362B1/ko
Publication of KR20130084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0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0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02High-jumping pos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헬드 전자기기를 고정하는 거치 장치를 구비한 가방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방은 상기 가방의 일측면에 제공되는 핸드헬드 전자기기용 거치 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핸드헬드 전자기기용 거치 장치는 상기 일측면에 고정되며, 힌지부재를 구비하는 베이스부; 일단이 상기 힌지부재와 회동식으로 결합되며, 신축 연장이 가능한 지지암부; 및 상기 지지암부의 타단에 회동식으로 결합되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에는 핸드헬드 전자기기가 탈착식으로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핸드헬드 전자기기용 거치 장치를 구비한 가방 {Bag Having Holding Apparatus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본 발명은 핸드헬드 전자기기를 고정하는 거치 장치를 구비한 가방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높이에서 소정의 각도에 맞추어 핸드헬드 전자기기를 고정시키는 거치 장치를 구비한 가방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술과 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핸드헬드 전자기기(handheld electronic devices)가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 핸드헬드 전자기기는 한 손 또는 양손으로 들어서 잡고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소형 경량의 전자기기이며, 조작이 편리하고 휴대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핸드헬드 전자기기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게임기, PMP, 이북 리더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들은 각자의 사용 목적에 따라 핸드헬드 전자기기를 통해 음성통화, 영상통화, 이메일 송수신, 메시지 송수신, 학습 실행, 강좌 시청, 영화감상, VOD 영상 매체 감상, 게임 실행, 독서, 음악 감상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핸드헬드 전자기기의 특성 상 통상적으로 핸드헬드 전자기기를 손으로 들거나 잡은 상태에서 화면을 시청하거나 조작하는 방식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손을 이용하여 장시간 핸드헬드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손과 팔에 미치는 피로가 가중된다.
또한, 사용자가 핸드헬드 전자기기를 손을 이용하여 영화, 드라마, 학습강좌 등 VOD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장시간 이용할 경우, 사용자는 통상적으로 도 9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머리가 핸드헬드 전자기기를 향해 하방으로 숙여지면서 목이 심하게 굽고, 허리도 많이 굽혀지는 등 사용자의 신체가 계속 바람직하지 못한 자세를 장시간 유지하게 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9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통상적으로 팔로 핸드헬드 전자기기를 받쳐들고 화면을 시청하게 되며, 이 경우, 사용자의 손, 팔, 및 어깨를 포함하는 인체의 구조상 눈과 핸드헬드 전자기기 사이에 충분한 시청거리를 확보하기 어렵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핸드헬드 전자기기의 화면과 사용자의 눈 사이의 거리가 점점 가까워지고, 이러한 사용자의 근접 시청은 근시 유발 및 시력 저하를 초래하기 쉽다. 또한, 사용자의 근접 시청은 장시간 불량한 자세로 이루어지므로 심한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북목 증후군을 유발하고, 더욱 악화되면 경추부에는 목디스크를 발생시키고 요추부에는 허리디스크를 발생시켜, 요통 및 좌골신경통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유아기와 청소년기의 사용자(이하 "청소년 사용자"라 함)는 신체의 골격이 계속 성장 중인 신체발달기간에 놓여 있다. 따라서, 도 9와 같이 청소년 사용자가 장시간 불량한 자세를 유지한 상태로 스마트폰, 게임기, PMP, 이북리더 등과 같은 핸드헬드 전자기기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신체발달에 악영향을 끼침은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신체에 심각한 이상이 발생하여 만성적인 질환으로 심각한 고통을 받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청소년 사용자는 도 9와 같은 불량한 자세로 인해 건장하고 곧은 체형을 지니지 못하여, 외관적으로나 심미적으로나 비정상적인 체형으로 굳어질 수 있다. 더욱이, 구부러진 자세에 의해 장시간 동안 인체 내의 장기들이 눌려져 있으므로 소화기관 등의 장애로 인해 생리학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가 초래될 수도 있다.
나아가, 핸드헬드 전자기기를 사용하려면 사용자가 계속 손으로 핸드헬드 전자기기를 들고 있어야 하므로, 손을 사용하는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없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 중의 하나로 강대복 등에 의해 "독서대를 가진 서류가방"이라는 고안의 명칭으로 공개된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1987-0015855호에는 가방에 독서용 거치대를 구비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최남식에 의해 "다용도 가방"이라는 발명의 명칭으로 공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012732호에는 휴대용 컴퓨터 단말기를 수용하는 가방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며, 김정연에 의해 "배낭형 AV 시스템"이라는 고안의 명칭으로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02833호에는 액정 AV 제품과 외부기기(DVD, VTR, Set-top Box)를 배낭에 내장하여 사용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선행기술들은 모두 핸드헬드 전자기기를 거치하기 위해 적합한 구성을 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손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핸드헬드 전자기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고정시켜 사용자가 편리하게 핸드헬드 전자기기를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1987-001585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012732호.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0283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핸드헬드 전자기기를 바람직한 시청 거리에서 원하는 소정의 높이와 소정의 각도를 유지한 상태로 핸드헬드 전자기기를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손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핸드헬드 전자기기를 장시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핸드헬드 전자기기 사용 시 바르고 양호한 자세를 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핸드헬드 전자기기 사용에 따르는 질병 발생 등과 같은 부작용을 예방하여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는 핸드헬드 전자기기용 거치 장치를 구비한 가방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은 상기 가방의 일측면에 제공되는 핸드헬드 전자기기용 거치 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핸드헬드 전자기기용 거치 장치는 상기 일측면에 고정되며, 힌지부재를 구비하는 베이스부; 일단이 상기 힌지부재와 회동식으로 결합되며, 신축 연장이 가능한 지지암부; 및 상기 지지암부의 타단에 회동식으로 결합되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에는 핸드헬드 전자기기가 탈착식으로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헬드 전자기기용 거치 장치를 구비한 가방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달성된다.
1. 사용자는 핸드헬드 전자기기를 거치장치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손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2. 사용자는 핸드헬드 전자기기가 고정 장착되는 거치장치의 위치(높이 및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핸드헬드 전자기기의 사용이 편리하고 피로 발생이 크게 줄어들거나 제거된다.
3. 사용자는 거치장치를 구비한 가방을 이용하여 바람직한 시청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시력 저하가 예방되고, 올바른 자세의 유지가 가능하므로 만성 질환의 발생이 예방된다.
4. 사용자는 핸드헬드 전자기기를 손으로 들거나 잡을 필요가 없으므로 핸드헬드 전자기기를 사용하면서, 손으로 다른 작업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은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가 동일한 구성요소를 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를 갖는 가방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되는 거치장치의 구성과 핸드헬드 전자기기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예시되는 거치장치에 수납부재를 추가로 포함시키는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예시되는 거치장치에 핸드헬드 전자기기를 거치하는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예시되는 거치장치에 보조 지지암 부재를 추가로 포함시킨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거치부에 대한 다른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거치부에 대한 또 다른 구성의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거치장치를 갖는 가방의 다른 구성의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앉은 자세에서 핸드헬드 전자기기를 이용하는 종래 사용자의 자세를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가방을 이용하여 핸드헬드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자세를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를 갖는 가방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예시되는 거치장치의 구성과 핸드헬드 전자기기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예시되는 거치장치에 수납부재를 추가로 포함시키는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예시되는 거치장치에 핸드헬드 전자기기를 거치하는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4에 예시되는 거치장치에 보조 지지암 부재를 추가로 포함시킨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거치부에 대한 다른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거치부에 대한 또 다른 구성의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방(10)은 상기 가방(10)의 일측면(12)에 제공되는 핸드헬드 전자기기용 거치 장치(100)를 구비하되, 상기 핸드헬드 전자기기용 거치 장치(100)는 상기 일측면(12)에 고정되며, 힌지부재(112)(hinge member)를 구비하는 베이스부(110)(base); 일단이 상기 힌지부재(112)와 회동식으로 결합되며, 신축 연장이 가능한 지지암부(120)(support arm); 및 상기 지지암부(120)의 타단에 회동식으로 결합되는 거치부(130)(据置部:holder)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130)에는 핸드헬드 전자기기(200)가 탈착식(脫着式)으로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헬드 전자기기용 거치 장치(100)를 구비한 가방(10)에서, 지지암부(120) 및 거치부(130)는 보관 시(또는 미사용 시)에는 가방(10)의 일측면(12)에 접혀지고, 사용 시에는 지지암부(120)가 베이스부(110)의 힌지부재(112)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며 소정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핸드헬드 전자기기(200)는 예를 들면,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GSM(Global Standard for Mobile), LTE(Long Term Evolution) 통신 방식 및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 등을 추가로 이용하는 피쳐폰(Feature Phone)과 스마트폰(Smart Phone)을 포함하는 모든 이동 통신용 휴대 전자기기;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핸드헬드 PC(Handheld PC) 기기; 및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개인 휴대용 전자기기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헬드 전자기기는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 기반의 휴대용 전기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이동통신 모듈, 화상통신 모듈, 블루투스 모듈, 와이파이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IrDA), GPS 모듈, 및 NFC 모듈 등과 같은 소정의 통신 모듈이 탑재된 휴대용 무선통신용 전자기기, 또는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CPU(Central Process Unit), AP(Application Processor), MPU(Micro Processor Unit)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연산장치를 탑재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모두 포함한다. 특히, 상술한 핸드헬드 전자기기(200) 중에서, 모바일 운영체제(Mobile Operating System)로서 노키아사(Nokia Corp.)의 심비안 OS 및 미고 OS, 구글사(Google, Inc.)의 안드로이드 OS, 애플사(Apple, Inc.)의 iOS, RIM사(Research In Motion)의 블랙베리 OS, 마이크로소프트사(Microsoft Corp.)의 윈도우 모바일 OS, HP사의 웹OS, 삼성전자사(Samsung Electronics Co., Ltd.)의 바다(Bada) OS 등을 탑재하여 사용하는 모든 스마트폰은 본 발명의 거치장치(100) 및 이를 구비한 가방(10)에 사용하기에 가장 바람직한 핸드헬드 전자기기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헬드 전자기기용 거치 장치(100)를 구비한 가방(1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기술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헬드 전자기기기용 거치장치(100)를 구비한 가방(10)의 베이스부(110)는 힌지부재(112)를 구비한다. 베이스부(110)는 가방(10)의 일측면(12) 상에 고정 장착되어 있다. 힌지부재(112)의 일단에는 신축연장이 가능한 지지암부(120)가 힌지부재(112)와 회동식으로 결합된다. 또한, 지지암부(120)의 타단에는 거치부(130)가 회동식으로 결합된다. 거치부(130)에는 핸드헬드 전자기기(200)가 탈착식으로 거치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핸드헬드 전자기기기용 거치장치(100) 및 이를 구비한 가방(10)에서는, 지지암부(120) 및 거치부(130)가 미사용 시에는 가방(10)의 측면(12)에 접혀서 보관되고, 사용 시에는 사용자가 지지암부(120)를 베이스부(110)의 힌지부재(112)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킨 후, 소정 길이만큼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방(10)은 넓은 일측면(12)의 소정 위치에 거치장치(100)의 베이스부(11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부(110)는 회동식(回動式) 결합이 가능한 힌지부재(112)를 구비한다. 지지암부(120)는 그 일단이 힌지부재(112)와 힌지방식으로 결합되므로, 도 2에 점선화살표로 도시된 "A" 방향을 따라 회전운동이 가능하다. 상기 힌지부재(112)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각도에서 멈출 수 있는 공지의 프리스톱식(free-stop type) 힌지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암부(120)는 도 2에 도시된 "B" 방향을 따라 수축 또는 연장이 가능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암부(120)는 외부 지지암부(122) 및 내부 지지암부(124)로 구성된다. 내부 지지암부(124)는 외부 지지암부(122)의 내부에서 미끄럼 운동을 통해 신축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지지암부(120)의 길이(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지지암부(122) 및 내부 지지암부(124)의 결합 구조는, 예를 들면, 공지의 안테나 구조 방식, 또는 망원경 삽통식(揷筒式; telescopic type) 구조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지지암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의 길이에서 멈출 수 있는 공지의 프리스톱 방식(free-stop type)을 사용하는 삽통식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에서는 지지암부(120)가 하나의 외부 지지암부(122)와 하나의 내부 지지암부(124)만으로 이루어진 삽통식 구조만이 예시되어 있지만, 당업자라면 보관 시에는 지지암부(120)의 길이를 단축시키고, 사용 시에는 지지암부(120)의 길이를 연장하기 위해 하나의 외부 지지암부(122)와 복수의 내부 지지암부(124)로 구성된 다단 삽통식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지지암부(120)의 타단에는 거치부(130)가 힌지결합(hinge coupling)에 의해 회동식으로 연결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거치부(130)는 도 2에 예시되는 점선화살표 "C" 방향을 따라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동식 결합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암부(120)는 가방(10)에 고정된 베이스부(110)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조절될 수 있으며, 거치부(130)는 지지암부(120)의 타단에서 소정의 각도로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거치부(130)에는 핸드헬드 전자기기(200)가 파지(把持) 및 고정될 수 있다. 즉, 핸드헬드 전자기기(200)는 거치부(130)에 거치된 후 사용자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각도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거치부(130)는 도 2의 점선화살표 "D" 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여 핸드헬드 전자기기(200)의 시청각도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는 회동식 힌지결합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거치부(130)는 핸드헬드 전자기기(200)가 파지 및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파지부재(134), 및 상기 지지암부(120)와 상기 파지부재(134)를 결합하는 결합부재(132)로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5에 예시되는 파지부재(134)는 핸드헬드 전자기기(200)의 4측면을 잡아주는 복수의 탄성편(彈性片: elastic strip)으로 이루어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파지부재(134)가 홀스터(holster), 보호케이스, 또는 클램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통상적으로 핸드헬드 전자기기(200)는 외부의 충격이나 긁힘으로부터 기기를 보호하기 위해 화면 부분과 조작키 부분이 개방된 보호케이스가 파지부재(134)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7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파지부재(134)로 보호케이스가 사용되는 경우, 보호케이스(134)의 배면 중앙부에 음각 함입부(陰刻陷入部: 134h)를 형성하고, 음각 함입부(134h)의 내측에는 제 1 자성부재(134p)가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핸드헬드 전자기기(200)는 화면 부분이 개방된 상태로 보호케이스(134) 내측에 끼워진다. 또한, 결합부재(132)는 보호케이스(134)의 음각 함입부(134h)에 대응하는 위치에 예를 들어 자석과 같은 제 2 자성부재(132m)를 구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 1 자성부재(134p)와 제 2 자성부재(134m)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용이하게 파지부재(134)와 결합부재(132)를 착탈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자성부재(134p)는 예를 들어 철편 또는 스텐강철편과 같은 상자성체로 구현되고, 제 2 자성부재(132m)는 예를 들어 자석과 같은 강자성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케이스로 구현되는 파지부재(134)는 제 1 자성부재(134p)와 제 2 자성부재(134m)의 부착 위치 및 방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보호케이스(134)에 끼워진 핸드헬드 전자기기(200)의 화면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거치장치(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베이스부(110), 지지암부(120), 및 거치부(130)가 최소 길이로 축소된 후, 가방(10)의 일측면(12)에 평행하게 접촉되어 보관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거치장치(100) 및 이를 구비한 가방(10)에서는, 핸드헬드 전자기기(200)가 거치장치(100)의 파지부재(134)에 거치되어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는 지지암부(120)를 가방(10)의 일측면(12)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전시킨 후, 지지암부(120)를 구성하는 외부 지지암부(122)로부터 내부 지지암부(124)를 소정길이 만큼 연장시켜 높이를 조절한다. 그 후, 사용자는 거치부(130)에 핸드헬드 전자기기(200)를 고정 장착시키되, 핸드헬드 전자기기(20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도 2의 "C"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또한 핸드헬드 전자기기(200)를 사용하거나 조작하기에 편안한 경사각도(도 2의 "D" 방향)로 조절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거치장치(100)의 베이스부(110)는 가방(10)의 일측면(12)에 장착되며, 지지암부(120)를 수용하는 수납부(11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수납부(114)는 지지암부(120)를 수납부(114)의 "ㄷ"자형 공간 내로 수용하여, 거치장치(100)가 미사용 시에 지지암부(120)를 좀 더 안전하게 보관하며, 또한 외부의 충격이나 간섭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한다.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는 가방(10)의 일측면(12)과 수납부(114)의 접촉 면적만큼 더 넓은 면적으로 고정 지지되므로 베이스부(110)가 가방(10)의 일측면(12)에 더욱 견고하게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5를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지지암부(120)만이 사용되는 경우 거치부(130)에 파지 및 고정되는 핸드헬드 전자기기(200)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력이 충분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에 비해 더 무거운 태블릿 PC를 거치부(130)에 거치할 경우 도 4에 도시된 하나의 지지암부(120)만으로는 핸드헬드 전자기기(200)를 충분히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거치장치(100)는 지지암부(120)와 수납부(114) 사이에 제공되는 보조 지지암 부재(126)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지지암 부재(126)에 의해 지지암부(120)는 비교적 하중이 무거운 종류의 핸드헬드 전자기기(200)가 거치부(130)에 거치될 때 더욱 견고하게 지탱하도록 해준다. 도 5에는 하나의 보조 지지암 부재(126)만이 사용되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당업자라면 예를 들어 지지암부(120)의 측면과 수납부(114)의 측면 사이, 또는 상기 지지암부(120) 및 상기 가방(10)의 일측면(12) 사이에 보조 지지암 부재(126)와 동일, 유사한 보조 지지암 부재(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업자라면 지지암부(120) 및 상기 가방(10)의 일측면(12) 사이에 보조 지지암 부재(126)가 추가로 제공되는 경우, 보조 지지암 부재(126)는 지지암부(120)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가방(10)의 일측면(12) 상의 어느 위치에서도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거치부(130)를 지지암부(120)와 결합하도록 사용되는 결합부재(132) 대신 볼조인트 부재(ball joint member: 136)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볼조인트 부재(132)는 도 3 내지 도 4에 예시되는 결합부재(132)에 비해 구성이 훨씬 간단하면서도 더 많은 자유도를 갖는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130)는 볼조인트 부재(132)에 의해 점선화살표로 표시된 "C"방향 및 "D" 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위치 및 방향이 조절되어 지지암부(120)에 대해 임의의 각도와 경사를 유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거치장치를 갖는 가방의 다른 구성의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가방(10)의 일측면(12)이 외부로 볼록한 곡면 형태인 경우, 본 발명의 거치장치(100)를 곡면에 적합하게 구성하는 다른 일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6의 실시예에서, 지지암부(120)가 모두 리니어 형태로 구현되지만, 도 8의 실시예에서는 가방(10)의 일측면(12)의 곡면 형태에 대응하여 지지암부(120)도 곡면형 지지암부(120)로 구현된다. 이 경우, 곡면형 지지암부(120)를 구성하는 외부 지지암부(122)와 내부 지지암부(124)도 역시 곡면 형태로 구현되어야 한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 형태는 도 8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가방(10)의 일측면(12)이 외부로 볼록한 곡면 형태는 물론 가방(10)의 일측면(12)이 내부로 오목한 곡면 형태(미도시)인 경우도 모두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가 수납부(114)를 구비하는 경우, 수납부(114)도 곡면 형태로 구현되어야 한다.
한편, 핸드헬드 전자기기(200)는 일반적으로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소형이며 경량화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핸드헬드 전자기기(200)에 내장되는 전원용 배터리(미도시)로 주로 소형, 경량의 배터리가 사용된다. 그러나, 핸드헬드 전자기기(200)의 멀티미디어 기능이 향상됨에 따라 전력 소모가 상당히 증가하여 소형, 경량의 내장된 배터리의 용량만으로는 핸드헬드 전자기기(200)를 장시간 사용하는 것이 어려워, 자주 충전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는 외장용 배터리를 별도로 휴대하여, 필요시 핸드헬드 전자기기(200)의 외부에서 외장용 배터리를 보조 전원으로 접속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가방(10)의 내부에 상술한 외장용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미도시)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용부(미도시)에 수용된 외장용 배터리는 베이스부(110)와 지지암부(120)의 내부 통로(미도시)에 삽입되는 전원공급 와이어를 통해 거치부(130)에 인접한 위치에 제공되는 플러그 또는 잭과 같은 접속구(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접속구(미도시)는 핸드헬드 전자기기(200)의 충전포트 또는 입출력포트(I/O port)에 삽입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핸드헬드 전자기기(200)의 전원용 배터리(미도시)가 방전된 경우 수용부(미도시)에 수용된 외장용 배터리를 이용하여 충전함으로써, 외장 배터리의 휴대성과 접속 편리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9는 앉은 자세에서 핸드헬드 전자기기를 이용하는 종래 사용자의 자세를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불량한 자세에서는 사용자는 머리가 과도하게 숙여지고 등부분 역시 심하게 굽게 된다. 또한, 손으로 핸드헬드 전자기기(200)를 계속 지지 및 고정시킨 상태로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 팔, 및 어깨부위가 근육이 경직되고 쉽게 피로해진다. 이러한 불량한 자세에서는, 인체 구조 상 눈과 핸드헬드 전자기기(200) 사이의 간격이 무의식적으로 가까워지며, 핸드헬드 전자기기(200)를 장시간의 근접 사용에 따라 사용자에게는 시력 저하가 발생한다. 또한, 불량한 자세로 핸드헬드 전자기기(200)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거북목 증후군, 목디스크, 허리디스크, 및 요통 및 좌골신경통 등의 심각한 질병과 같은 부작용을 겪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가방을 이용하여 핸드헬드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자세를 예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가방(10)을 사용하여 핸드헬드 전자기기(200)의 위치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머리, 목, 및 척추가 곧게 펴져 편안하고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눈과 핸드헬드 전자기기(200) 간의 간격을 사용하기에 편리한 적절한 거리로 유지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매우 바람직한 핸드헬드 전자기기(200)의 사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거치장치(100)가 제공되는 가방(10)이 대부분 사각형 모양의 가방으로 예시되어 있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 따른 가방(10)으로 핸드헬드 전자기기(2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거치장치(100)가 고정 장착될 수 있는 서류가방(briefcase), 어깨가방(shoulder bag), 휴대용 가방(portable bag), 및 핸드백(hand bag) 등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방(10)은 등산용 륙색(rucksack), 청소년 또는 대학생이 주로 사용하는 캠퍼스 등가방(backpack), 및 젊은 세대들이 애용하는 패션풍 등가방과 같은 포괄적 의미의 모든 등가방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거치장치(100)를 등가방에 적용하는 경우, 거치장치(100)는 등가방의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거치장치(100)의 바람직한 설치 방향은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무릎에 등가방을 놓는 방식과 등가방의 측면형태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다양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예시된 구성 및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거나 첨부 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따라서만 정해져야 한다.
10: 가방 12: 일측면 100: 거치장치
110: 베이스부 112: 힌지부재 114: 수납부
120: 지지암부 122: 외부 지지암부 124: 내부 지지암부
126: 보조 지지암 부재 130: 거치부 132: 결합부재
134: 파지부재

Claims (10)

  1. 가방에 있어서,
    상기 가방의 일측면에 제공되는 핸드헬드 전자기기용 거치 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핸드헬드 전자기기용 거치 장치는
    상기 일측면에 고정되며, 힌지부재를 구비하는 베이스부;
    일단이 상기 힌지부재와 회동식으로 결합되며, 신축 연장이 가능한 지지암부; 및
    상기 지지암부의 타단에 회동식으로 결합되는 거치부
    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에는 핸드헬드 전자기기가 탈착식으로 거치되는
    가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부는 외부 지지암부, 및 상기 외부 지지암부의 내부에서 신축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내부 지지암부로 이루어지는 가방.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지지암부 및 상기 내부 지지암부가 다단 삽통식 연장 구조로 구성되는 가방.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가 상기 지지암부를 수용하는 수납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가방.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부 및 상기 수납부 사이, 상기 지지암부의 측면 및 상기 수납부의 측면 사이, 또는 상기 지지암부 및 상기 가방의 일측면 사이에 제공되는 보조 지지암 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가방.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가 상기 핸드헬드 전자기기가 파지 및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파지부재, 및 상기 지지암부와 상기 파지부재를 결합하는 결합부재로 구성되는 가방.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암부 및 상기 거치부가 상기 결합부재 대신 볼조인트 부재로 결합되는 가방.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재는 배면의 중앙부에 음각 함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음각 함입부의 내측에 제 1 자성부재가 부착되는 보호케이스로 구현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음각 함입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2 자성부재를 구비하는
    가방.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방은 내부에 외장용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외장용 배터리는 상기 거치장치를 통해 상기 핸드헬드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가방.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면은 외부로 볼록한 곡면 형태 또는 내부로 오목한 곡면 형태로 구현되고,
    상기 지지암부는 상기 일측면에 대응하여 곡면형 지지암부로 구현되는
    가방.
KR1020120004919A 2012-01-16 2012-01-16 핸드헬드 전자기기용 거치 장치를 구비한 가방 KR101350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919A KR101350362B1 (ko) 2012-01-16 2012-01-16 핸드헬드 전자기기용 거치 장치를 구비한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919A KR101350362B1 (ko) 2012-01-16 2012-01-16 핸드헬드 전자기기용 거치 장치를 구비한 가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128A true KR20130084128A (ko) 2013-07-24
KR101350362B1 KR101350362B1 (ko) 2014-01-14

Family

ID=48994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919A KR101350362B1 (ko) 2012-01-16 2012-01-16 핸드헬드 전자기기용 거치 장치를 구비한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03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359B1 (ko) * 2013-08-06 2014-11-10 한민형 조절형 받침판부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436B1 (ko) * 2014-04-07 2015-02-09 김은광 전자기기용 거치장치
KR101554856B1 (ko) 2014-10-27 2015-09-22 한민형 조절형 받침판부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
KR200482519Y1 (ko) * 2016-01-26 2017-02-03 고형석 여행가방용 전자기기 거치기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428B1 (ko) * 2004-03-31 2006-10-25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용 카메라 장치
KR101146719B1 (ko) * 2010-02-17 2012-05-17 정헌주 거치대
KR200453219Y1 (ko) 2011-01-12 2011-04-12 김채윤 가방에 탈부착이 가능한 태블릿 pc 케이스
KR200456407Y1 (ko) 2011-06-07 2011-10-28 이원식 터치-스크린 제품의 홀더를 구비한 가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7359B1 (ko) * 2013-08-06 2014-11-10 한민형 조절형 받침판부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
WO2015020390A1 (ko) * 2013-08-06 2015-02-12 Han Min-Hyung 조절형 받침판부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
JP2016538061A (ja) * 2013-08-06 2016-12-08 ハン,ミン−ヒョン 調節型支持板部を備えたモバイル機器ユーザー用バック
US9907373B2 (en) 2013-08-06 2018-03-06 Min-Hyung HAN Bag for a mobile device user with an adjustable support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0362B1 (ko) 2014-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2771U (ja) 保護シース
US9316351B2 (en) Cradle apparatus and method for rotating and linearly displacing an electronic device
US8727116B2 (en) Protection cover for portable terminal
US9125475B2 (en) Electronic device holder
US20140228075A1 (en) Functional Support System For Cellular Phone Or Related Devices
US20130146625A1 (en) Attachable holder with flexible ring for any handheld device
US20120175396A1 (en) Structural support device for laptop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rrying cases
US20130079066A1 (en) Mobile Device Support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20140049851A1 (en)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accessories to hand held electronic devices
KR101350362B1 (ko) 핸드헬드 전자기기용 거치 장치를 구비한 가방
WO2018086565A1 (zh) 一种矫姿视力保护器
JP3235917U (ja) 自在に回動伸縮可能なスマートアーム
US9907373B2 (en) Bag for a mobile device user with an adjustable support board
US20110031289A1 (en) Wrist worn electronic device holder
US20130038995A1 (en) Hanging support for tablet/notebook computer
US10258123B1 (en) Holder and method for holding a personal computing device
KR101244983B1 (ko)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
US9654608B2 (en) Information handling device with built-in stand
KR20130008317A (ko)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겸용 화장품 케이스
KR200461325Y1 (ko) 거치기능을 갖는 통신기기 수납용 지갑
KR101424938B1 (ko) 다용도 거치대
KR101554856B1 (ko) 조절형 받침판부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
KR20140008849A (ko) 거치용 케이스 조립체
US20170195469A1 (en) System and apparatus attaching to a mobile device for providing hands-free use thereof and carrying personal items thereon
US9816664B2 (en) Support for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